KR20180112493A - 액상 표백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액상 표백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493A
KR20180112493A KR1020170043640A KR20170043640A KR20180112493A KR 20180112493 A KR20180112493 A KR 20180112493A KR 1020170043640 A KR1020170043640 A KR 1020170043640A KR 20170043640 A KR20170043640 A KR 20170043640A KR 20180112493 A KR20180112493 A KR 20180112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liquid bleaching
bleaching composition
bleaching
der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균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2493A/ko
Publication of KR2018011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5Bleach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02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combined with specific additives
    • C11D3/3905Bleach activators or bleach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2Inorganic per-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진 비수성 용매 및 계면 활성 성분을 통하여 인체 및 환경 친화적인 효과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과산화물을 포함하여 오랜 보관 시간 동안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표백력이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구현하는 표백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상 표백제 조성물{LIQUID BLEACHING A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상 표백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액상의 형태를 가지면서, 표백력이 우수하고, 인체 및 환경에 친화적인 효과를 구현하는 표백제에 관한 것이다.
세제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표백제는 크게 염소계 표백제와 산소계 표백제가 존재하는데, 최근 산소계 표백제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염소계 표백제는 표백력이 강하나 의류의 표백시 칼라 의류를 변색 시키거나 섬유 구조를 파괴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시 인체에 유해한 염소 발생으로 인한 불쾌한 냄새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산소계 표백제는 형태에 따라 크게 액상 표백제와 분말 표백제로 나뉜다. 산소계 표백제는 분말과 액상 두가지 타입이 있다. 분말 표백제로는 과탄산나트륨을 주로 사용하는데 표백력은 탁월하지만 분진이 날리거나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굳음 현상(CAKING)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액상 표백제는 분말 표백제 제품보다 사용하기가 편리하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액상 표백제는 분말 표백제 보다 계량이 쉽고, 물에 빨리 녹으며, 분진이 발생되지 않고, 보관 시 화학적 분해현상이 일어난다거나 분말 표백제에서 흔히 발생하는 굳음(caking) 현상이 없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액상 표백제에는 과탄산나트륨과 같은 과산화물 대신 과산화수소를 주로 적용한다. 안정한 상태인 과탄산나트륨과 달리 과산화수소는 직접 피부에 닿았을 시 바로 산화작용을 일으켜 자극 및 손상을 유발한다. 따라서 안전 규정상 고농도 과산화수소를 사용할 수 없어서 액상 표백제 내의 과산화수소는 6% 이하로 제한되고 그만큼 분말 표백제에 비해 표백력이 낮은 문제가 있다. 나아가 불안정한 과산화수소 분해를 억제하기 위해서 안정제를 첨가하기 때문에 액상 표백제 내에는 불필요한 화학 성분이 다수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화학적 안정성이 보장됨과 동시에 높은 표백 효과를 구현하면서, 인체 및 환경에 친화적인 표백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액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며, 이와 동시에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천연 유래 성분을 통하여 인체 및 환경에 친화적인 액상 표백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천연 유래 비수성(water-free) 용매;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 활성 성분; 및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액상 표백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액상으로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며, 이와 동시에 물리적,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천연 유래 성분을 통하여 인체 및 환경에 친화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천연 유래 비수성(water-free) 용매;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 활성 성분; 및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액상 표백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액상의 형태로 이루어져 분말 형태의 표백제보다 계량이 쉽고, 물에 빨리 녹으며, 분진이 발생되지 않고, 분말 표백제에서 흔히 발생하는 굳음(caking) 현상이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동시에,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본연의 기능인 표백력이 분말 표백제와 비교하여도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우수하면서, 동시에 천연 물질로부터 유래한 성분들을 주성분으로 하여 인체 및 환경이 친화적인 효과를 구현하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과산화물은 실질적으로 표백 효과를 구현하는 성분으로서, 과탄산염(percarbonate), 과붕산염(perborate), 과황산염(persulfates), 우레아 퍼옥사이드(urea perox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과산화물은 과탄산염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SPC)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액상 형태의 표백제에는 표백 효과를 구현하는 물질로서 과산화수소를 주로 이용하였으며, 과탄산나트륨을 사용하기 어려웠다. 과탄산나트륨은 하기와 같이 탄산나트륨에 과산화수소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과탄산나트륨(sodium percarbonate, SPC) → 2Na2CO3 ·3H2O2
이때, 과탄산나트륨이 물에 용해되면 과산화수소가 분리되고, 활성 산소를 발생시켜 표백 작용을 하게 된다. 과탄산나트륨 자체는 안정하지만, 물에 넣는 순간 분해되기 때문에 액상화가 용이하기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물에 과탄산나트륨을 넣고 플라스틱 용기 등에 저장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산소가 발생하고 용기가 팽창되기 때문에 폭발의 우려도 있다. 나아가, 이미 용기 내에서 산소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실제 사용시 표백력을 상실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액상의 표백제는 과탄산나트륨 대신 과산화수소를 주로 사용하였고, 불안정한 과산화수소의 분해를 억제하기 위하여 안정제를 함께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액상의 표백제는 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수성(water-free) 용매와 상기 과산화물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표백 성분으로 상기 과탄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용기의 팽창이 발생하지 않고, 실제 사용시까지 표백력을 상실하지 않는 이점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은 고체상의 입자로서, 그 평균 입경(particle diameter)이 약 0.1㎛ 내지 약 10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0.1㎛ 내지 약 4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과산화물의 평균 입경이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 내에서 침강 현상이 발생하여 저조한 분산성을 보일 수 있고, 상기 과산화물이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 내에 균일하게 혼합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액상 표백제는 비수성 용매와 계면 활성 성분으로서 천연 유래 성분을 사용한다. 상기 천연 유래 성분은 인공적으로 화학 구조를 합성한 성분과 차별화되는 성분을 의미하며, 천연 성분으로부터 추출된 성분이다. 최종 동일한 화학 구조를 갖는다 하여도,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경우에는 합성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불순물들이 함유될 수 있지만, 식물, 꽃, 과일, 해양 등의 천연 물질에서 유래된 성분은 이러한 불순물의 혼입이 실질적으로 없으며, 인체에 자극을 주거나,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유래 비수성 용매는 예를 들어, 천연 오일(natural oil)을 포함할 수 있다. 천연 재료로부터 상기 천연 오일을 추출하는 방법에는 크게 용매를 이용하는 추출방법과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추출 방법이 있다. 상기 용매를 이용하는 추출방법에는 냉침법, 온침법, 용매 추출법 등이 있고, 상기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추출방법에는 압착법, 수증기 증류법이 있다.
일 구현예에서, 천연 재료로부터 추출되어 상기 천연 유래 비수성 용매로 사용되는 천연 오일에는 용매나 수분이 실질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상기 천연 오일은, 필요에 따라, 천연 재료로부터 추출된 후 용매 또는 수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액상 표백제 내에 용매나 수분이 실질적으로 포함되지 않게 되며, 이로써 표백 성분으로 과산화수소 이외에 과탄산나트륨 등의 과산화물을 사용하더라도 용기 팽창 또는 표백력 상실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 유래 비수성 용매는, 천연 미네랄 오일(natural mineral oil), 올리브(olive) 오일, 팜 오일(palm oil), 동백 오일(camellia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 아니스 오일(oils of anise), 레몬 오일(lemon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로즈마리 오일(rosemary oil),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클로브 오일(clove oil), 티트리 오일(tea tree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밀 오일(wheat oil), 보리 오일(barley oil), 레몬그라스 오일(lemongrass oil), 시더잎 오일(cedar leaf oil), 시더우드 오일(cedar wood oil), 시나몬 오일(cinnamon oil), 플리그라스 오일(fleagrass oil), 제라늄 오일(geranium oil), 산달우드 오일(sandalwood oil), 바이올렛 오일(violet oil), 크랜베리 오일(cranberry oi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버베인 오일(vervain oil), 페퍼민트 오일(peppermint oil), 바질 오일(basil oil), 고수 오일(coriander oil), 장미 오일(rose oil), 사이프러스 오일(cypress oil), 유향 오일(frankincense oil), 생강 오일(ginger oil), 자몽 오일(grapefruit oil), 자스민 오일(jasmine oil), 라임 오일(lime oil), 파인 오일(pine oil)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의 계면 활성 성분은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통상의 계면 활성제는 용해되어 전하를 띄는지 여부에 따라 크게 이온성 및 비이온성으로 분류되며, 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용해되어 띄는 전하에 따라 음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대한 자극성은 음이온성 > 양이온성 ≒ 양쪽성 > 비이온성의 경향을 갖는다. 즉,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인체에 대한 자극성이 가장 낮다.
또한,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비수성(water-free) 특성을 갖는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계면 활성 성분으로 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주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비수성 용매 및 기타 오염원의 최종적인 제거가 어려울 수 있다. 즉, 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세척을 위해 제공되는 물 안에 포함된 금속 이온, 예를 들어,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 등과 결합하여 염의 형태로 석출됨으로써 계면 활성력을 상실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상기 천연 유래 비수성 용매와 함께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 사용함으로써 이온성의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우수한 계면 활성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인체에 대한 자극성이 최소화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 성분은, 필요에 따라, 상기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함께 천연 유래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천연 유래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천연 유래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계면 활성 성분은 전체 중의 상기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가 약 50중량% 이상, 예를 들어, 약 60중량% 이상, 예를 들어, 약 80중량% 내지 100중량%일 수 있고,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계면 활성 성분은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소수성 부분 및 친수성 부분으로 이루어져 계면 활성 효과를 구현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천연 오일 유래 지방산 또는 천연 오일 유래 지방알코올로부터 유래된 소수성 부분; 및 알킬렌 옥사이드(alkylen eoxide) 또는 하이드록시기(-OH)를 포함하는 친수성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수성 부분은 천연 오일로부터 유래된 지방산, 천연 오일로부터 유래된 지방알코올로부터 유래된다. 여기서, 천연 오일에 관한 사항은 상기 천연 유래 비수성 용매에 관해 언급한 바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방산 및 상기 지방알코올은 각각 탄소수 8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수 8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알킬기 및 알케닐기가 상기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부분은 수소 결합(Hydrogen bonding)을 통하여 물에 대한 결합력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알킬렌 옥사이드(alkylene oxide), 하이드록시기(-OH)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는 에틸렌 옥사이드(ethylene oxide) 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propylene oxid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친수성 부분은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글루코오스(glucose)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천연 오일로부터 유래된 소수성 부분과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글루코오스(glucose)로부터 유래된 친수성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하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하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수크로오스에스테르; RO(CH2CH2O)nH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RCON(CH2CH2OH)2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지방산 디에탄올아민; ROCH2CH(OH)CH2OH의 화학식으로 표현되는 구조를 갖는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들에서, 각각 R은 탄소수 8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탄소수 8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알케닐기일 수 있고, n은 1 내지 20의 정수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일 구현예에서, 상기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상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상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수크로오스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대 상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를 5:1 내지 1:5의 중량비, 예를 들어,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대 상기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대 상기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지방산 수크로오스에스테르를 2~4:1:3~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액상 형태의 표백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의 팽창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백 성분으로 과산화수소를 주로 사용하였다. 다만, 과산화수소의 경우, 반응성이 매우 높아 직접 피부에 닿을 경우 산화 작용을 일으켜 자극 및 손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안전 규정상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전체 표백제 성분 중의 약 10중량% 미만으로 사용량이 제한적이고, 이에 따라, 표백력이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보다 안정성이 높은 과산화물을 표백 성분으로 사용하면서, 동시에, 비수성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용기의 팽창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에 비하여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보다 높은 함량으로 사용 가능하고, 기존의 액상 표백제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표백력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전체 중에 상기 과산화물을 약 30중량% 이상, 예를 들어, 약 40중량% 이상, 예를 들어, 약 50중량% 이상, 예를 들어, 약 80중량% 이하, 예를 들어, 약 70중량% 이하, 예를 들어, 약 65중량%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산화물의 함량이 약 30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표백 효과를 확보할 수 없다.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상기 천연 유래 비수성 용매 대 상기 계면 활성 성분의 중량비가 약 10:1 내지 약 1:1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0:1 내지 약 1:1일 수 있다. 상기 계면 활성 성분의 함량이 상기 천연 유래 비수성 용매의 함량이 비하여 지나치게 적은 경우에는, 상기 천연 유래 비수성 용매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없으며,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액상 제형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점도조절제, 착색제, 형광증백제, 오물침전방지제, 세정효소, 향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의 전체 성분의 합은 100중량%를 초과하지 않는다.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상온에서 점도가 약 1cps(centi poise) 내지 약 10,000cps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cps 내지 약 5,000cps일 수 있다. 이때, 상온이란 약 20℃ 내지 약 35℃의 온도를 의미한다.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의 점도는 용매, 계면 활성 성분 및 과산화물의 종류, 형상, 함량 등을 적절히 조절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점도조절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범위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액상 표백제의 점도가 이와 같은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액상의 제형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계량이 용이한 이점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수분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수분이 함량이 약 0.5중량% 미만, 예를 들어, 약 0.3중량% 미만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중량%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유래 비수성 용매를 베이스로 함으로써, 수분의 함량이 실질적으로 거의 없을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각 성분이 조합되어 사용되어도 물리적, 화학적으로 우수한 안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진 비수성 용매 및 계면 활성 성분을 통하여 인체 및 환경 친화적인 효과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이와 함께 과산화물을 포함하여 오랜 보관 시간 동안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사용이 간편하면서도, 표백력이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첨가 성분과 혼합되어, 천연 세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현예는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세제는 예를 들어, 세탁 세제, 주방 세제, 세안제, 목욕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액상 표백제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천연 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진 비수성 용매와 천연 유래 성분으로 이루어진 계면 활성 성분을 포함하며, 이로써 이를 포함하는 상기 천연 세제는 인체에 대한 자극성이 최소화되면서, 우수한 표백 효과를 구현하는 세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천연 유래 올리브 오일(olive oil)과 하기 화학식 1의 천연 유래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RPM에서 10분 동안 적절히 혼합하였다. 이어서, 과탄산나트륨(SPC) 함량이 전체 조성물 중에 60중량%가 되도록 투입하는데, 이때, 소량씩 나누어 투입하면서 500RPM에서 30분 동안 혼합함으로써 액상 표백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4

실시예 2
상기 화학식 1의 천연 유래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대 하기 화학식 2의 천연 유래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를 3: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계면 활성 성분을 마련하였다. 이후, 천연 유래 올리브 오일(olive oil) 대 상기 계면 활성 성분을 7:3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RPM에서 10분 동안 적절히 혼합하였다. 이어서, 과탄산나트륨(SPC) 함량이 전체 조성물 중에 60중량%가 되도록 투입하는데, 이때, 소량씩 나누어 투입하면서 500RPM에서 30분 동안 혼합함으로써 액상 표백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5

실시예 3
상기 화학식 1의 천연 유래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대 상기 화학식 2의 천연 유래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대 하기 화학식 3의 천연 유래 지방산 수크로오스에스테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3:1: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계면 활성 성분을 마련하였다. 상기 지방산 수크로오스에스테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Mitsubishi-Kagaku Foods Corporation 의 Ryoto sugar ester 2종 (S-1170, S-1670)이 1:1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천연 유래 올리브 오일 대 상기 계면 활성 성분을 5: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500rpm에서 10분 동안 적절히 혼합하였다. 이어서, 과탄산나트륨이 전체 조성물 중 65%가 되도록 투입하는데, 이때 소량씩 나누어 투입하면서 500rpm 에서 30분 동안 혼합함으로써 액상 표백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6

비교예 1
정제수를 용매로 하여 과산화수소를 6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직쇄 알킬벤젠계 계면 활성제 및 고급알코올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 활성 성분 15~30중량%를 포함하고, 인산염 0.1중량%를 포함하고, pH 조절제, 향료, 형광증백제 및 산화방지제를 포함하는 상용 액상 표백제 제품(옥시레킷벤키저社, 옥시크린 리퀴드)을 비교예 1로 하였다.
비교예 2
정제수를 용매로 하여 과산화수소를 6중량% 이하로 포함하고, 고급알코올계 계면 활성제 및 제4급 암모늄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 활성 성분 5~15중량%를 포함하고, 인산염 0.2중량%를 포함하고, pH 조절제, 향료, 색소 및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상용 액상 표백제 제품(CJ 라이온社, 비트 항균버블)을 비교예 2로 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대신에, 카르복실레이트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액상 표백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
실험예 1: 표백력의 평가
규격화된 오염포를 사용하여 정해진 조건 하에 세척력 시험기에 상기 실시예 1-3 및 상기 비교예 1-3의 액상 표백제 조성물을 각각 일정량을 투입하여 세척 후 표백 전/후 백색도 차이를 측정하였고, 하기 1)의 식에 의하여 표백력을 산출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1) 표백력 = 세척 후 백색도 - 세척 전 백색도
(하얗게 된 정도로 표백 정도 표현, 백색도가 높을수록 하얗다.)
2) 테스트 규정: KS M 2709
3) 세척력 시험기: TERQ-O-TOMETER
4) 규격 오염포: 탄닌산 함유 차(tea) 얼룩, 테스트 페브릭스사, C-BC-03
5) 측정 조건: 1 GRAM 샘플 1L 물 투입, 40℃, 120RPM, 세척 1회(10분), 행굼 2회(3분)
구분 표백력 육안관찰 (밝기)
실시예 1 3.3 하얗게 변함
실시예 2 3.3 하얗게 변함
실시예 3 3.5 하얗게 변함
비교예 1 1 미만 세척 전과 동일
비교예 2 1 미만 세척 전과 동일
비교예 3 1 미만 세척 전과 동일
일반적으로, 표백력이 3 이상이 되어야 표백 효과가 구현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표 1의 결과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액상 표백제의 경우, 3.3 이상, 예를 들어, 약 3.3 내지 약 3.5 수준의 표백력을 구현하는 반면, 상기 비교예 1 내지 3의 액상 표백제의 경우,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그 효과가 현저히 열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세척력의 평가
상기 실험예 1에서, 규격 오염포 및 측정 조건의 일부를 하기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3 및 상기 비교예 3의 액상 표백제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력을 평가하였고, 육안으로 오염원의 잔류 여부를 확인하여 세척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다.
1) 규격 오염포: 단백질, 피지, 색소, 기름 등 생활 오염 구현, JIS-124
2) 측정 조건: 25℃, 100RPM
육안관찰
실시예 1 오염원 제거
실시예 2 오염원 제거
실시예 3 오염원 제거
비교예 3 오염원 잔류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할 때,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액상 표백제의 경우, 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비교예 3의 액상 표백제에 비하여 오염원 제거 성능, 즉, 계면 활성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천연 유래 비수성(water-free) 용매;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포함하는 계면 활성 성분; 및
    과산화물을 포함하는
    액상 표백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은,
    과탄산염(percarbonate), 과붕산염(perborate), 과황산염(persulfates), 우레아 퍼옥사이드(urea peroxid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 표백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은,
    평균 입경(particle diameter)이 0.1㎛ 내지 100㎛인 고체상 입자인
    액상 표백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유래 비수성 용매는,
    천연 미네랄 오일(natural mineral oil), 올리브(olive) 오일, 팜 오일(palm oil), 동백 오일(camellia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 아니스 오일(oils of anise), 레몬 오일(lemon oil), 오렌지 오일(orange oil), 로즈마리 오일(rosemary oil),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클로브 오일(clove oil), 티트리 오일(tea tree oil), 시트로넬라 오일(citronella oil), 밀 오일(wheat oil), 보리 오일(barley oil), 레몬그라스 오일(lemongrass oil), 시더잎 오일(cedar leaf oil), 시더우드 오일(cedar wood oil), 시나몬 오일(cinnamon oil), 플리그라스 오일(fleagrass oil), 제라늄 오일(geranium oil), 산달우드 오일(sandalwood oil), 바이올렛 오일(violet oil), 크랜베리 오일(cranberry oi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버베인 오일(vervain oil), 페퍼민트 오일(peppermint oil), 바질 오일(basil oil), 고수 오일(coriander oil), 장미 오일(rose oil), 사이프러스 오일(cypress oil), 유향 오일(frankincense oil), 생강 오일(ginger oil), 자몽 오일(grapefruit oil), 자스민 오일(jasmine oil), 라임 오일(lime oil), 파인 오일(pine oil)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액상 표백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유래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천연 오일 유래 지방산 또는 천연 오일 유래 지방알코올로부터 유래된 소수성 부분; 및 알킬렌 옥사이드(alkylene oxide) 또는 하이드록시기(-OH)를 포함하는 친수성 부분으로 이루어진
    액상 표백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부분은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글루코오스(glucose)으로부터 유래된
    액상 표백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을 30중량% 이상 포함하는
    액상 표백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유래 비수성 용매 대 상기 계면 활성 성분의 중량비가 10:1 내지 1:10인
    액상 표백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온에서 점도가 1cps 내지 10,000cps인
    액상 표백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착색제, 형광증백제, 오물침전방지제, 세정효소, 향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더 포함하는
    액상 표백제 조성물.
KR1020170043640A 2017-04-04 2017-04-04 액상 표백제 조성물 KR20180112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640A KR20180112493A (ko) 2017-04-04 2017-04-04 액상 표백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640A KR20180112493A (ko) 2017-04-04 2017-04-04 액상 표백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93A true KR20180112493A (ko) 2018-10-12

Family

ID=6387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640A KR20180112493A (ko) 2017-04-04 2017-04-04 액상 표백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24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124526C3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mischungen mit geregeltem Schaumverhalten
JP2952713B2 (ja) 化粧料用研磨剤
US6376437B2 (en) Skin cleansing composition for removing ink
EP1945850B1 (en) Non-aqueous liquid oxygen bleach composition
AT14818U1 (de) Reinigungsmittel mit einem gehalt an carbamid und/oder mindestens einem derivat hiervon
AT396114B (de) Waschmittel
DE1467648A1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ES2743613T3 (es) Un aditivo para el tratamiento de manchas
WO2007054177A1 (de) Oxidationsmittel enthaltende, wohlriechende verbrauchsprodukte
WO2008128826A1 (de) Photokatalytisches material enthaltende partikel
DE2217021A1 (de) Reinigungsmittel mit Gehalt an stabilisierten RiechstofTmischungen
KR101565097B1 (ko) 액체 세제 조성물
EP2113025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teilchenförmiger bleichmittelzusammensetzungen
JPH093492A (ja) 洗剤用組成物
CN110079401B (zh) 一种无水溶剂型清洗剂及其制备方法
KR20180112493A (ko) 액상 표백제 조성물
KR20020030181A (ko) 마일드한 의류용 무공해 세제 조성물
EP2414496A1 (de) Flüssige bleichmittelzusammensetzung
WO2000060046A1 (de) Maschinelle geschirrspülmittel mit teilchenförmigem klarspüler
RU2038366C1 (ru) Порошковое моющее средство
DE2631129A1 (de) Verfahren zum konditionieren von geweben und mittel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DE10043118A1 (de) Waschmittel mit desodorierender Wirkung
EP3041920B1 (de)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r leistung
EP3450532B1 (de) Verwendung eines amodimethicone/ organosilizium copolymers, waschmittel, verwendung des waschmittels und waschverfahren
WO2017072111A1 (de) Enzymstabilisato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