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011A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2011A KR20180112011A KR1020187026549A KR20187026549A KR20180112011A KR 20180112011 A KR20180112011 A KR 20180112011A KR 1020187026549 A KR1020187026549 A KR 1020187026549A KR 20187026549 A KR20187026549 A KR 20187026549A KR 20180112011 A KR20180112011 A KR 2018011201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cover portion
- combiner
- display
- ang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3—Head-up displays [HU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3—Cover plate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using a head-up displa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49—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02B2027/015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 G02B2027/0156—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with movable elements with optionally us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표시 수단(5, 50)은, 표시 상을, 장치 하우징(2)의 내부로부터 장치 하우징(2)의 개구(2H)를 통과하는 형태로, 장치 하우징(2)의 외부에 위치하는 표시 부재(4)에 투사한다. 커버(3)는, 제1 측에 대하여 그 반대의 제2 측이 구부러짐으로써 관통 구멍(3H)을 형성 가능하다. 가동 기구(7)는, 커버(3)를, 장치 하우징(2)의 개구(2H)를 폐쇄 상태로 하는 폐쇄 위치와, 당해 개구(2H)를 개방 상태로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굽힘 수단(341, 342)은, 커버(3)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커버(3)를, 관통 구멍(3H)이 비형성 상태로 되도록 유지하고, 커버(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는, 커버(3)에 굽힘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커버(3)를 관통 구멍(3H)의 비형성 상태로부터 형성 상태로 변화시킨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16년 2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6-28521호와 2016년 2월 18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6-28522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차량에는, 표시기로부터 컴바이너에 영상을 투사(투영)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탑재된 것이 있다. 이러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표시기로부터 컴바이너에 영상을 투사할 때, 컴바이너 표시면에 있어서 소정의 표시 치수의 영상을 얻기 위하여 표시기와 컴바이너 사이에 소정의 거리(즉, 광로 길이)가 확보되어 있다.
또한 컴바이너는, 사용 시에는 장치 하우징 밖으로 전개되지만 비사용 시에는 장치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컴바이너가 수용된 비사용 시의 장치 하우징은, 그 컴바이너의 출입구와 영상의 통과 광로의 양쪽을 막도록 커버에 의하여 덮인 상태로 된다. 사용 시에는, 이 커버가 이동하여, 막혀 있던 컴바이너의 출입구가 노출되고, 컴바이너가 장치 하우징 밖의 소정의 표시 위치까지 이동 가능해짐과 함께, 막혀 있던 영상의 통과 광로도 확보된다.
근년, 이와 같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가 배치되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는 미터 표시 장치 등의 다른 장치가 보다 많이 배치되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체격을 보다 작게 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영상의 광을 컴바이너에 직접 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영상의 통과 광로를 따라 장치의 체격이 길어져 버려, 장치의 체격을 작게 하는 것은 어렵다. 한편, 체격의 길이가 개선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영상의 통과 광로의 도중에 반사경을 놓고, 영상의 통과 광로를 꺾는 구성을 채용한 것이 있다. 이 구성의 경우, 이번에는 장치 하우징의 덮개로 되는 커버의 가동 영역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또한, 설령 영상의 통과 광로와 커버의 가동 영역의 양쪽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장치 하우징 내에 데드 스페이스가 증가해 버려, 결과적으로 장치의 체격을 그다지 작게 하지는 못한다.
또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통상, 커버와 컴바이너의 각각에 구동원을 설치하고, 그들 구동원을 제어부가 각각 구동 제어하는 구성을 취한다. 그리고 그 구동 제어 시에는 커버와 컴바이너를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구성이 필요해진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컴바이너가 장치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컴바이너의 출입구를 막고 있는 커버를 우선 먼저 이동시켜 컴바이너의 출입구를 확보한 후에, 컴바이너를 장치 하우징 밖으로 이동시키는 시간 차 제어 및 가동 기구가 필요해진다. 그 결과, 제어 및 기구가 복잡해지고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기구의 대형화는, 그것을 수용하는 장치 하우징의 대형화와, 구동원에 대한 부하의 증대라는 다른 과제도 발생시켜 버린다.
본 개시는, 종래보다도 장치의 체격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장치 하우징의 커버와 컴바이너의 양쪽을 이동시키는 기구를 종래보다도 심플한 기구로 실현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제1 양태에 있어서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상을, 장치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상기 장치 하우징의 개구를 통과하는 형태로,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표시 부재에 투사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측에 대하여 그 반대의 제2 측이 구부러짐으로써 관통 구멍을 형성 가능한 커버를 더 구비한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커버를, 상기 장치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 상태로 하는 폐쇄 위치와, 당해 개구를 개방 상태로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가동 기구를 더 구비한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굽힘 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굽힘 수단은,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를, 상기 관통 구멍이 비형성 상태로 되도록 유지한다. 상기 굽힘 수단은,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는, 상기 커버에 굽힘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상기 커버를 상기 관통 구멍의 비형성 상태로부터 형성 상태로 변화시킨다. 상기 굽힘 수단은, 상기 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를 상기 관통 구멍의 형성 상태로 되도록 유지한다. 상기 굽힘 수단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는, 상기 커버의 굽힘을 해소 또는 완화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를 상기 관통 구멍의 형성 상태로부터 비형성 상태로 변화시킨다.
본 개시의 제2 양태에 있어서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치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수용 위치와, 상기 장치 하우징 밖에서 유저에 의하여 시인 가능해지는 표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컴바이너를 구비한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상으로 되는 광을,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우징 개구를 통과하는 형태로, 상기 표시 위치에 있는 상기 컴바이너에 투사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한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장치 하우징에 있어서의 상기 컴바이너의 출입구와 상기 하우징 개구를 폐쇄 상태로 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출입구와 상기 하우징 개구를 개방 상태로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를 더 구비한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회전체를 더 구비한다.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회전체는 소정의 회전축선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체에는, 상기 컴바이너와 상기 커버가 각각 상기 회전축선 둘레의 상이한 위치에서 연결된다.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축선 둘레에 있어서, 상기 컴바이너가 상기 표시 위치에, 또한 상기 커버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1 각도 위치와, 상기 컴바이너가 상기 수용 위치에, 또한 상기 커버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요동 동작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체를 상기 제1 각도 위치와 상기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요동 동작시킨다.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목적 및 그 외의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 상세한 기술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진다. 그 도면은,
도 1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구성과 차 실내에 있어서의 배치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폐쇄된 상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폐쇄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폐쇄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5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고,
도 5b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의 커버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커버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ⅦB-ⅦB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7b의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한 경우의 도면이고,
도 8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커버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ⅧB-ⅧB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8b의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한 경우의 도면이고,
도 9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커버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의 ⅨB-ⅨB 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한 경우의 도면이고,
도 10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변형예에 관한 구성과 차 실내에 있어서의 배치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커버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의 ⅩⅠB-ⅩⅠB 단면도이고, 또한,
도 11c는 도 11b의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한 경우의 도면이다.
도 1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구성과 차 실내에 있어서의 배치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폐쇄된 상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폐쇄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폐쇄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5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고,
도 5b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의 커버의 이동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커버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도 7a의 ⅦB-ⅦB 단면도이고,
도 7c는 도 7b의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한 경우의 도면이고,
도 8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커버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ⅧB-ⅧB 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8b의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한 경우의 도면이고,
도 9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2 변형예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커버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의 ⅨB-ⅨB 단면도이고,
도 9c는 도 9b의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한 경우의 도면이고,
도 10은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3 변형예에 관한 구성과 차 실내에 있어서의 배치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a는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4 변형예에 있어서의 폐쇄 상태의 커버를 간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의 ⅩⅠB-ⅩⅠB 단면도이고, 또한,
도 11c는 도 11b의 커버를 개방 상태로 한 경우의 도면이다.
도 1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차량(100)에 탑재되는 차량용 표시 장치의 일례이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예를 들어 차 실내의, 운전자(9)가 착좌하는 공간, 즉, 운전석 공간의 전방 위치에 있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부(10)에 배치된다.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인스트루먼트 패널부(10)의 내부에 내장되는 장치 하우징(2)(도 2a 및 도 2b 참조)을 갖는다. 장치 하우징(2)의 내부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바이너(4)와, 표시부(5)(도 1 참조)와, 회전체(71)를 포함하는 가동 기구(7)와, 제어부(8)(도 1 참조)가 배치된다. 또한 도 2b,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하우징(2)의 상면에는 개구(2H)(이하, 하우징 개구(2H)라고도 함)가 형성되며, 그 개구(2H)를 막도록 커버(3)가 배치된다(도 2a, 도 3a, 도 4a 참조). 또한 인스트루먼트 패널부(10)의 상면에도 개구(10H)(도 1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장치 하우징(2)은, 그 개구(10H)의 위치에 자신의 개구(2H)가 위치하는 형태로 인스트루먼트 패널부(10)의 내부에 배치된다.
커버(3)는, 장치 하우징(2)에 있어서의 컴바이너(4)의 출입구(24H)(도 5b 및 도 6 참조) 및 하우징 개구(2H)를 폐쇄 상태로 하는 폐쇄 위치와, 그 출입구(24H) 및 하우징 개구(2H)를 개방 상태로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커버(3)는, 이 이동에 의하여 개방 위치에 있을 때는, 장치 하우징(2)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 상태로 된다. 수용 상태의 커버(3)는, 제1 측에 대하여 그 반대의 제2 측이 구부러짐으로써 관통 구멍(3H)을 형성하는 구부러짐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3H)은, 표시부(5)로부터 출사되는 표시 상을 이루는 광의 통과 구멍으로서 기능한다. 표시부(5)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이 관통 구멍(3H)을 통과하고, 나아가 하우징 개구(2H)를 통과하는 형태로 장치 하우징(2)의 외부의 컴바이너(4)에 투사된다.
여기서의 커버(3)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측의 제1 커버부(31)와, 그 반대의 제2 측의 제2 커버부(32)와, 그들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를 소정의 회전축선(3x1)의 둘레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3)를 갖는다. 즉, 커버(3)는,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부(33)를 기점으로 하여 제1 커버부(31)측과 제2 커버부(32)측이 절곡된 절곡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개방 위치의 커버(3)는, 도 2b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절곡 상태로 되어 장치 하우징(2)의 내부에 수용된다. 한편,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는 각각 판형을 이루고 있으며, 커버(3)는,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가 평면형으로 배열된 평면 상태로 할 수도 있다. 상기 폐쇄 위치의 커버(3)는, 도 2a 및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평면 상태로 되어 하우징 개구(2H)에 배치되어, 하우징 개구(2H)를 폐쇄하여 덮은 상태로 된다.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는, 회전축선(3x1)의 둘레에 있어서의 서로의 각도 θ가 소정의 개방 각도 θB를 이루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4b 참조), 그 각도 차에 의하여 관통 구멍(3H)이 형성되는 상태(즉, 관통 구멍(3H)의 형성 상태: 도 3b 참조)로 된다. 한편,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는, 소정의 폐쇄 각도 θA를 이루는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4a 참조), 그 관통 구멍(3H)이 막히는 상태(즉, 관통 구멍(3H)의 비형성 상태: 도 3a 참조)로 된다. 여기서는, 폐쇄 각도 θA가 0도로 될 때 관통 구멍(3H)이 막힌다. 그리고 각도 θ가 각도 θA보다 큰 절곡 상태로 됨에 수반하여 관통 구멍(3H)이 형성된다. 또한 여기서의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의 절곡 각도 θ는, 도 4a의 폐쇄 각도 θA에 있어서 최소로 되고 도 4b의 개방 각도 θB에 있어서 최대로 된다.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는, 서로가 폐쇄 각도 θA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이 오목부(3B)를 갖고, 다른 쪽이, 그 오목부(3B)의 내측에 들어가서 막는 폐색부로서의 볼록부(3A)를 가진 형상을 이룬다. 오목부(3B)를 이루는 오목한 공간이 관통 구멍(3H)으로 되는 부분이다. 볼록부(3A)가 그 오목부(3B)의 오목한 공간 내를 막은 상태가, 관통 구멍(3H)이 막힌 각도 상태(도 4a 및 도 5a 참조)이고, 볼록부(3A)가 오목부(3B)의 오목한 공간 내에 없는 상태가, 관통 구멍(3H)이 개구된 각도 상태(도 4b 및 도 5b 참조)이다. 여기서는 제1 커버부(31)가 오목부(3B)를 갖고, 제2 커버부(32)가 볼록부(3A)를 갖는다.
커버(3)는 가동 기구(7)에 의하여, 장치 하우징(2)의 하우징 개구(2H)를 폐쇄 상태로 하는 폐쇄 위치(도 4a 및 도 5a 참조)와, 하우징 개구(2H)를 개방 상태로 하는 개방 위치(도 4b 및 도 5b 참조) 사이를 이동한다. 이 이동에 수반하여 커버(3)는 상기 절곡 동작(즉, 상기 각도 θ의 변화)을 발생시킨다. 이 절곡 동작은, 커버(3)가,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커버용 가이드부를 이루는 캠 홈(341, 342)으로부터 가이드를 받는 형태로 실시된다.
캠 홈(341, 342)은, 그들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의 양쪽에 대응하여 마련된다. 여기서의 캠 홈(341, 342)은, 장치 하우징(2)에 있어서 서로 대면하는 측면부(21)(여기서는 차량 좌우 양측의 측면부: 도 2a 및 도 2b 참조)의 내측 벽면의 양쪽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 중에서는, 한쪽 측면부(21)의 캠 홈(341, 342)만이 도시되며, 대면측으로 되는 다른 쪽 측면부(21)의 캠 홈(341, 342)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다른 쪽의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에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에 대응하는 캠 홈(341, 342)으로부터 가이드를 받는 가이드 수용부로서의 캠 핀(351, 352)이 설치된다. 캠 핀(351, 352)은 캠 홈(341, 342) 내를 홈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부를 이루는 캠 홈(341, 342)은, 커버(3)의 위치 이동에 수반하여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에 소정의 각도 변화를 발생시키도록 가이드하는 것이면, 다른 가이드 방식, 다른 가이드 형상을 채용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버(3)는 가동 기구(7)에 의한 개폐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가 이루는 각도 θ를 변화시킨다. 즉, 커버(3)가 가동 기구(7)에 의하여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캠 홈(341, 342)은,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를 회전축선(3x1)의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형태로, 서로가 이루는 각도 θ를 폐쇄 각도 θA로부터 개방 각도 θB로 변화시킨다. 이때,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는, 볼록부(3A)와 오목부(3B)가 그 회동 방향으로 어긋나 각도 차 θB가 발생한다. 이것에 의하여 커버(3) 전체가 절곡된 상태로 되고, 오목부(3B)의 내측에, 볼록부(3A)의 볼록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 구멍(3H)이 형성된다.
한편, 커버(3)가 가동 기구(7)에 의하여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캠 홈(341, 342)은,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를 회전축선(3x1)의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형태로, 서로가 이루는 각도 θ를 개방 각도 θB로부터 폐쇄 각도 θA로 변화시킨다. 이때,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는, 오목부(3B)와 볼록부(3A)의 각도 차가 없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커버(3) 전체가 평면 상태로 되고, 오목부(3B)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던 관통 구멍(3H)은 볼록부(3A)에 의하여 폐쇄된다.
또한 캠 홈(341, 342)은, 커버(3)에 이들 각도 변화를 발생시키는 각도 이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캠 홈(341, 342)은, 커버(3)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를 폐쇄 각도 θA로 유지하는 폐쇄 각도 유지부로서도 기능하고, 또한 커버(3)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를 개방 각도 θB로 유지하는 개방 각도 유지부로서도 기능한다. 여기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홈(341, 342)의 제1 측단부(여기서는 상측단부)(341A, 342A)가 폐쇄 각도 유지부로서 기능하고, 그 반대의 제2 측단부(여기서는 하측단부)(341B, 342B)가 개방 각도 유지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캠 홈(341, 342)의 제1 측단부(341A, 342A)와 제2 측단부(341B, 342B) 사이의 구간(341C, 342C)이 각도 이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들 각도 이행 수단과 폐쇄 각도 유지부와 개방 각도 유지부가, 커버(3)에 굽힘을 발생시키는 굽힘 수단이다.
가동 기구(7)는, 상기와 같이 커버(3)를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커버 이동 기구와 함께, 그 커버(3)의 이동에 연동하여 컴바이너(4)를, 장치 하우징(2) 내에 수용되는 수용 위치(도 3a 및 도 4a 참조)와, 장치 하우징(2) 밖에서 유저에 의하여 시인 가능해지는 표시 위치(도 3b 및 도 4b 참조)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컴바이너 이동 기구를 갖는다. 컴바이너(4)는, 이 이동에 수반하여, 그들 수용 위치와 표시 위치 사이를 소정의 자세로 이동하도록, 컴바이너용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 레일부(2R)로부터 가이드를 받는다. 즉, 컴바이너(4)는, 가이드 레일부(2R)에 의하여, 자신의 가동 방향의 제1 측과 제2 측 사이를 소정의 컴바이너 이동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가이드를 받는다.
컴바이너(4)는, 표시부(5)로부터 표시 상이 투사되는 표시 부재(투사 부재라고도 할 수 있음)이다. 여기서의 컴바이너(4)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프런트 윈도우(11)보다 운전자(9)측에 배치된다. 컴바이너(4)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등의 투명 재료로 형성된다. 컴바이너(4)는, 예를 들어 정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의 판형 부재이다. 컴바이너(4)는, 표시부(5)로부터의 표시 상은 반사시키고 배면(4b)측으로부터의 광은 투과시키는 하프 미러와 같이 기능한다.
또한 컴바이너(4)는, 표시면(투사면이라고도 할 수 있음)(4a)의 면 폭 방향(4x)(여기서는 차량 좌우 방향: 도 3b 참조)의 양단의 하단부(40)에 전동체(轉動體)(여기서는 롤러)(4R)가 설치된다. 전동체(4R)는, 장치 하우징(2)의 차량 전방측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부(2R) 상을 회전한다. 이 전동체(4R)의 회전에 의하여 컴바이너(4)는, 가이드 레일부(2R)를 따라 전체가 상하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부를 이루는 가이드 레일부(2R)는, 컴바이너(4)를 소정의 자세로 소정의 이동 궤적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하는 것이면 되며, 다른 가이드 방식, 다른 가이드 형상을 채용해도 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부(2R)는 미끄럼 이동 가이드여도 되며, 컴바이너(4)에 상기 전동체(4R) 대신 설치된 가이드 수용부로서의 미끄럼 이동부를 당해 미끄럼 이동 가이드를 따라 미끄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가이드 레일부(2R)는 차량 상하 방향(4z)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전동체(4R)가 가이드 레일부(2R)의 하단 위치에 있는 상태가 컴바이너(4)의 수용 위치이고, 전동체(4R)가 가이드 레일부(2R)의 상단 위치에 있는 상태가 컴바이너(4)의 표시 위치이다. 컴바이너(4)는, 표시 위치에 있어서, 장치 하우징(2)의 하우징 개구(2H)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 상태로 되어, 운전자(9)에 의하여 시인 가능해진다(도 1 참조). 한편, 컴바이너(4)는, 수용 위치에 있어서, 장치 하우징(2)의 하우징 개구(2H)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형태로 수용되어, 운전자(9)로부터는 표시면(4a)을 시인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장치 하우징(2)의 상면 개구(2H)에 있어서의 컴바이너(4)의 통과 영역이 장치 하우징(2)에 있어서의 컴바이너(4)의 출입구(24H)(도 6 참조)이다.
표시부(5)는, 운전자(9)에게 제시하는 표시 상을 생성하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표시 상으로 되는 광을 컴바이너(4)에 투사한다. 도 4a 및 도 4b에 있어서 표시부(5)로부터 뻗어 있는 1점 쇄선은 그 광의 통과 경로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부(5)는, 광원부나 표시 패널(예를 들어 액정 패널) 등을 갖는 주지의 표시기(투사부라고도 할 수 있음)이다. 표시부(5)는 장치 하우징(2)의 저면(22) 상에 배치되며, 장치 하우징(2) 내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이고, 또한 수용 위치에 있는 컴바이너(4)보다도 차량 후방측에 위치한다.
표시부(5)로부터 출사된, 표시 상으로 되는 광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있는 커버(3)의 제2 커버부(32)의 상방을, 당해 제2 커버부(32)에 있어서의 캠 핀(352)측과는 반대의 단부측으로부터 연결부(33)측을 향하여 통과하고, 그 후에 관통 구멍(3H)(도 3b 참조) 내를 통과한다. 여기서의 표시 상으로 되는 광은, 제2 커버부(32)의 상방을, 제2 커버부(32)를 따라(여기서는 판형의 제2 커버부(32)에 대하여 평행으로) 통과한다. 또한 커버(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제2 커버부(32)는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제2 커버부(32)의 상방은, 이 제2 커버부(32)가 통과해 온 통과 영역이다. 즉, 표시부(5)로부터 출사된 광은, 이 제2 커버부(32)의 통과 영역(가동 범위라고도 할 수 있음)을 통과하는 형태로 관통 구멍(3H)을 향한다.
장치 하우징(2)의 내부에는, 표시 상으로 되는 광이 관통 구멍(3H)을 통과한 후에 반사경(50)(여기서는 확대경을 이루는 오목면경)이 배치되어 있다. 관통 구멍(3H)을 통과한 광은 이 반사경(50)에 반사되어, 제1 커버부(31)의 상방을, 당해 제1 커버부(31)에 있어서의 연결부(33)측으로부터 그 반대의 단부측을 향하여 통과하고, 또한 그 후에 장치 하우징(2)의 하우징 개구(2H) 내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부(10)의 상면 개구(10H)(도 1 참조) 내를 통과한다. 그들 개구(2H, 10H)를 통과한 광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 실내에 진입하여, 표시 위치에 위치하는 컴바이너(4)에 투사된다. 즉, 표시부(5)는 반사경(50)과 함께, 표시 상을 장치 하우징(2)의 내부로부터 장치 하우징(2)의 하우징 개구(2H)를 통과하는 형태로, 표시 위치에 있는 컴바이너(4)에 투사하는 표시 수단(투사 수단이라고도 할 수 있음)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제어부(8)는 주지의 CPU, ROM, RAM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8)는, 가동 기구(7)(구체적으로 말하면 모터(72))를 제어함으로써 컴바이너(4) 및 커버(3)의 이동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부이다. 또한 제어부(8)는, 표시부(5)를 제어함으로써 컴바이너(4)에, 장면에 따른 표시를 행하게 하는 표시 제어부이기도 하다.
이하, 가동 기구(7)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동 기구(7)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회전축선(7x)의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71)와, 구동원으로서의 모터(72)와, 회전체(71)에 모터(72)의 회전 출력을 전달하는 회전력 전달부로서의 기어부(73)를 갖는다.
회전체(71)는 컴바이너(4)와 커버(3)를 각각 회전축선(7x)의 둘레의 상이한 위치에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컴바이너(4)는, 회전축선(7x)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의 제1 측(여기서는 차량 전방측)에 위치하고, 커버(3)는, 그 직경 방향의 제1 측과는 반대의 제2 측(여기서는 차량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회전체(71)는 그 직경 방향의 제1 측에서 컴바이너(4)와 연결되고, 그 직경 방향의 제2 측에서 커버(3)와 연결된다.
그리고 회전체(71)는 가동 기구(7)에 의하여, 회전축선(7x)의 둘레에 있어서의 소정의 제1 각도 위치(도 4a 참조)와 제2 각도 위치(도 4b 참조) 사이를 시소와 같이 요동 동작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요동 동작에 의하여 컴바이너(4) 및 커버(3)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회전체(71)가 제1 각도 위치에 있을 때, 컴바이너(4)는 수용 위치에 있고 또한 커버(3)는 폐쇄 위치에 있다. 제1 각도 위치에 있는 회전체(71)는, 제2 각도 위치를 향하는 제1 방향 회전이 발생한 경우, 컴바이너(4)를 소정의 가동 방향의 제1 측(여기서는 상측)을 향하여 이동시켜 수용 위치로부터 표시 위치에 도달시킴과 함께, 커버(3)를 그 가동 방향의 제1 측과는 반대의 제2 측(여기서는 하측)을 향하여 이동시켜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에 도달시킨다. 한편, 회전체(71)는, 제2 각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방향 회전과는 반대의 제2 방향 회전이 발생한 경우, 컴바이너(4)를 상기 가동 방향의 제2 측(여기서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표시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에 도달시킴과 함께, 커버(3)를 상기 가동 방향의 제1 측(여기서는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에 도달시킨다. 또한 여기서의 가동 방향은 차량 상하 방향이다.
또한 회전체(71)는 컴바이너(4)와 커버(3)의 양쪽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각도 위치에 있어서 제2 각도 위치를 향하는 제1 방향 회전이 개시됨과 동시에, 컴바이너(4)의, 수용 위치로부터 표시 위치로의 이동과, 커버(3)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의 양쪽이 개시된다. 마찬가지로 회전체(71)는, 제2 각도 위치에 있어서 제1 방향 회전과는 반대의 제2 방향 회전이 개시됨과 동시에, 컴바이너(4)의, 표시 위치로부터 수용 위치로의 이동과, 커버(3)의,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이동의 양쪽이 개시된다. 즉, 회전체(71)의 이동과 동시에 컴바이너(4)와 커버(3)의 양쪽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구성이며, 이것에 의하여 컴바이너(4)와 커버(3)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이동한다.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컴바이너(4)와 커버(3)의 각각을 타이밍을 가늠하여 움직이게 하는 복잡한 제어 내지 기구는 불필요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의 회전체(71)는, 본체부(710)와, 커버(3)와 연결되는 제1 연결부(713)과, 컴바이너(4)와 연결되는 제2 연결부(714)와, 원호형부(715)를 갖는다.
본체부(7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선(7x)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 회전축부(711)와, 회전축부(711)의 양단측에서 각각이 연결되고, 서로가 대향하여 위치하는 대향 프레임(712)을 갖는다. 대향 프레임(712)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 형상 프레임부(712R)와, 회전축부(711)의 양 단부로부터 상기 직경 방향(즉, 회전축선(7x)과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호 형상 프레임부(712R)에 접속되는 복수의 연결 프레임부(712r)를 일체로 갖는다. 여기서의 대향 프레임(712)은, 회전축선(7x)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를 이루어 상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연결 프레임부(712r)과, 그들의 외측을 원호형을 이루어 연결하는 호 형상 프레임부(712R)가 연결된 부채형의 프레임이다.
커버(3)의 제2 커버부(32)는, 그들 대향 프레임(712) 사이의 공간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하강하는 형태로 회동하여 개방 위치에 도달한다. 한편, 표시부(5)는 회전축부(7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표시부(5)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회전축부(711)의 하측의 그들 대향 프레임(71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는 형태로 상기 관통 구멍(3H)을 통과하게 된다. 즉, 표시부(5)로부터 출사되는 광은, 제2 커버부(32)가 이동하는 공간을 통과한 후에 상기 관통 구멍(3H)을 통과하게 된다. 제2 커버부(32)의 가동 공간을, 표시부(5)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통과 경로로서도 이용함으로써, 장치 하우징(2) 내로부터 쓸모없는 공간을 제거하여, 장치 하우징(2)의 더 한층의 소형화가 가능해져 있다.
제1 연결부(713)는 본체부(710)에 대하여 일체를 이루어, 본체부(710)와 일체로 회전한다. 제1 연결부(713)는, 본체부(710)에 있어서의 회전체(71)의 회전축선 방향(7x)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1 연결부(713)는 그 연장 선단측에 있어서, 커버(3)의 회전축선 방향(3x1)의 양 단부(36)에 대하여, 커버(3)가 회전축선(3x1)과 평행인 위치 관계에 있는 회전축선(3x2)의 둘레를 회전 가능해지도록 연결된다. 또한 제1 연결부(713)는 그 연장 방향의 도중 위치에 있어서, 대향 프레임(712)과 일체로 연결되는 보강 프레임부(713R)를 갖는다. 여기서의 보강 프레임부(713R)는, 호 형상 프레임부(712R)로부터 제1 연결부(713)측을 향하여, 당해 호 형상 프레임부(712R)로부터 원호형으로 이어지는 형상을 이루고, 그 양단측에서 대향 프레임(712)과 제1 연결부(713)에 대하여 일체를 이룬다.
또한 제1 연결부(713)는, 커버(3)에 대하여 연결부(33)와는 상이한 위치에서 연결된다. 연결부(33)는, 커버(3)의 절곡 동작의 회동 지지점부로 되는 부위이고, 한편, 제1 연결부(713)는, 회전체(71)의 회전력을 커버(3)에 대하여 전달하는 부위이다.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를 연결하는 연결부(33)와, 커버(3)와 제1 연결부(713)를 연결하는 연결부(36)가 다른 위치에 있음으로써, 더 자세히 설명하면, 각각의 회전축선(3x1, 3x2)이 서로 평행이면서도 다른 위치에 있음으로써, 커버(3)에 대한 회전체(71)의 회전력의 전달과, 커버(3)의 절곡 동작이, 직접 간섭하는 것을 피하고 있다. 즉, 회전체(71)의 회전력의 전달을 받아 회전하는 커버(3)는, 그 회전력을 직접 받음으로써 절곡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이 발생했을 때 캠 홈(341, 342)으로부터 가이드를 받는 형태로 절곡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의 제1 커버부(31)는, 그 주면(여기서는 주 표면 및 그 뒷면의 주 이면의 양쪽을 의미함)(31a)의 면 폭 방향(31x)에 있어서의 양측의 측면부(여기서는 차량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 중의 연결부(33)측에 있어서, 그 주면(31a)의 면 길이 방향(31y)에 대하여 굴곡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굴곡 단부(36)를 갖는다(도 3b 참조). 그 굴곡 방향은, 폐쇄 위치에 있는 커버(3)(도 4a 참조)에 있어서, 커버(3)가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전하는 방향측이다. 제1 연결부(713)는 그 굴곡 단부(3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에 있어서의 면 폭 방향(31x, 32x)이란, 3x1, 3x2의 방향이다. 여기서의 면 폭 방향(31x, 32x)은 회전축선(3x1, 3x2, 7x)의 연장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에 있어서의 면 길이 방향(31y, 32y)이란, 각각의 주면(여기서는 주 표면 및 그 뒷면의 주 이면의 양쪽)(31a, 32a)에 있어서 면 폭 방향(31x, 32x)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이며,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가 평판형으로 배열된 상태(즉, 각도 θ가 0도인 상태: 도 4a 참조)에 있어서, 그들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가 연결되는 연결 방향이다.
또한 제1 연결부(713)는, 가이드부로서의 캠 홈(341, 342)에 의한 가이드를 받는 형태로 위치 이동 및 각도 변화를 발생시키는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 중, 각도 변화가 작은 쪽의 커버부에 대하여 연결된다. 여기서의 제1 연결부(713)는 제1 커버부(31)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부(714)는, 본체부(710)(더 자세히 설명하면 회전축부(711))에 있어서의 회전체(71)의 회전축선 방향(7x)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상술한 직경 방향(즉, 회전축선(7x)과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부(710)의 회전축선(7x)의 둘레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축선(7x)의 둘레를 회전한다. 여기서의 제2 연결부(714)의 선단측은, 회전체(71)의 회전축선(7x) 방향에 있어서의 컴바이너(4)의 양단의 하단부(40)에 대하여, 회전축선(7x)의 둘레에 있어서 회전 가능해지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컴바이너(4)의 하단부(40)는, 전동체(여기서는 롤러)(4R)를, 가이드 레일부(2R) 상을 회전 가능해지도록 지지하는 전동체 지지부이다.
또한 컴바이너(4)는 회전체(71)의 제2 연결부(71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그 연결 부분인 컴바이너(4)의 하단부(40)에는, 컴바이너(4)가 소정의 자세에 대하여 회전하여 경도(傾倒)되었을 때 원래의 자세로 복귀시키는 자세 유지 수단(40S)이 설치된다(도 3a 및 도 3b 참조). 여기서의 자세 유지 수단(40S)은 가압 수단으로서의 스프링 부재이다. 이 자세 유지 수단(40S)의 조정에 의하여 컴바이너(4)의 경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컴바이너(4)의 경도 회전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졌다고 하더라도, 이 자세 유지 수단(40S)이 그 힘을 흡수하기 때문에 컴바이너(4)의 손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제2 연결부(714)는 회전축선(7x)의 둘레를 요동 동작하기 때문에, 그 이동 궤적은 원호형이다. 이에 비해, 컴바이너(4)의 이동 궤적은 비원호형(여기서는 직선형)이다. 그 결과, 본체부(710)의 요동 동작 중, 컴바이너(4)와 회전축선(7x)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게 되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제2 연결부(714)는, 회전축선(7x)의 둘레의 요동 동작을 컴바이너(4)의 직선 동작으로 변환하는 동작 방향 변환 기구로서, 컴바이너(4)와 회전축선(7x) 사이의 거리 변화를 흡수하는 거리 흡수부(740)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2 연결부(714)는, 회전체(71)의 회전축선(7x)의 둘레의 제1 방향 회전에 수반하여 컴바이너(4)를 그 직선형의 가동 방향의 제1 측(여기서는 상측)으로 압출하는 한편, 그 반대의 제2 방향 회전에 수반하여 컴바이너(4)를 그 가동 방향의 제1 측과는 반대의 제2 측(여기서는 하측)으로 압출하도록 회전체(71)와 컴바이너(4)를 연결하고 있다. 거리 흡수부(740)는, 그들 압출에 의하여 직선형으로 왕복 이동하는 컴바이너(4)에 발생하는, 회전체(71)(구체적으로 말하면 회전축선(7x))에 대하여 접근 내지 이격시키는 변위를 흡수하는 변위 흡수부이다.
거리 흡수부(740)는 제1 미끄럼 이동부(741) 및 제2 미끄럼 이동부(742)와 미끄럼 이동 가이드부(743)를 갖는다. 제1 및 제2 미끄럼 이동부(741, 742)는, 본체부(710)로부터 회전축선(7x)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이며, 제2 연결부(714)의 연장 방향의 상이한 2개소에 나란히 설치할 수 있다. 미끄럼 이동 가이드부(743)는, 그들 미끄럼 이동부(741, 742)의 배열 방향, 즉, 제2 연결부(714)의 연장 방향을 따른 왕복 미끄럼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회전축선(7x)에 대한 둘레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1 돌출부(741)는 회전축부(711)의 양단이다. 또한 제2 돌출부(742)는, 회전축부(711)의 양단측의 대향 프레임(712)과 일체로 설치되고, 회전축부(711)의 양단에 대하여 컴바이너(4)측에서, 회전축선(7x)의 연장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이다. 제2 연결부(714)는, 회전축부(711)에 대하여 컴바이너(4)측에서, 대향 프레임(712)으로부터 회전축선(7x)의 둘레로 돌출되는 돌출 프레임부(714R)를 갖는다. 제2 돌출부(742)는 그 돌출 프레임부(714R)의 선단에 설치된다. 여기서의 돌출 프레임부(714R)는, 대향 프레임(712)의 컴바이너(4)측으로부터, 호 형상 프레임부(712R)의 원호형으로 이어지는 형태로 연장된다.
미끄럼 이동 가이드부(743)는, 회전체(71)의 회전축선 방향(7x)으로 관통하여 상술한 직경 방향(즉, 회전축선(7x)과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743H)를 갖는 긴 구멍부이며, 제1 미끄럼 이동부(741) 및 제2 미끄럼 이동부(742)를 이루는 돌출부가 내부에 배치된다. 긴 구멍(743H)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미끄럼 이동부(741) 및 제2 미끄럼 이동부(742)를 이루는 돌출부에 대하여, 긴 구멍(743H)의 긴 쪽 방향(즉, 회전체(71)의 회전축선(7x)과의 직교 방향)에 대한 이동을 허용하는 한편, 긴 구멍(743H)의 짧은 쪽 방향(즉, 회전체(71)의 회전 방향)에 대한 이동을 규제한다.
기어부(73)로는, 여기서는 웜 기어가 사용되고 있다. 회전체(71)를 요동 동작시키는 구동부인 모터(72)에는, 그 회전 출력축에 자신의 회전 출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측 기어부로서 원통 웜(73A)이 부착된다. 한편, 회전체(71)는, 이것에 맞물리는 웜 휠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회전체(71)는, 대향 프레임(712)의 외주측에, 회전축선(7x)을 중심으로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원호형부(715)를 갖는다. 원호형부(715)의 외주면에는, 원통 웜(73A)의 기어에 맞물리는 회전체측 기어부로서의 기어(73B)가 직접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의 원호형부(715)는, 호 형상 프레임부(712R)에 연결되는 2개의 연결 프레임부(712r)가, 그 호 형상 프레임부(712R)로부터 그보다 더 밖으로 이어지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그 선단을 원호형으로 연결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기어부(73)에 의하여 회전체(71)는, 모터(72)의 회전 출력에 의하여 회전축선(7x)의 둘레를 요동 회전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커버(3)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커버부(31)에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부(31B)와 대향 선단부(31S)에 의하여 오목부(3B)가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31B)는, 오목형을 이루는 오목부(3B)의 바닥측을 이루는 부위이다. 대향 선단부(31S)는, 기단부(31B)의 면 폭 방향(31x)의 양단측으로부터 면 길이 방향(31y)으로 연장되어, 대향하는 사이에 오목부(3B)의 오목 공간을 형성하는 부위이다. 여기서의 오목부(3B)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개방측으로부터 면 길이 방향(31y)에 있어서의 제1 커버부(31)의 중간 위치를 넘는 형태로 넓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의 대향 선단부(31S)는, 기단부(31B)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서로가 대향 방향으로 접근해 가는 경사 형상을 이룬다. 이것에 의하여, 표시부(5)로부터 출사되어 반사경(50)에 있어서 반사된 광의 통과 구멍을 이루는 관통 구멍(3H)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보다도 상측 쪽이 폭이 넓은 역사다리꼴 형상의 개구로 되어 있다.
제1 커버부(31)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3B)의 개방측 단부, 즉, 대향 선단부(31S)의 선단에서, 회동 축부를 이루는 연결부(33)와 연결된다. 여기서의 연결부(33)는, 판형의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의 양쪽에 대하여 면 폭 방향(31x, 32x)으로 관통되어 배치되는 직선형 부재이다.
제1 커버부(31)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면 길이 방향(31y)에 있어서 기단부(31B)측으로 되는 위치에, 면 폭 방향(31x)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캠 핀(351)을 갖는다. 여기서의 캠 핀(351)은, 제1 커버부(31)에 있어서 면 길이 방향(31y)의 중간 위치보다도, 오목부(3B)의 개방측과는 반대측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캠 핀(351)은, 면 길이 방향(31y)에 있어서 오목부(3B)보다도, 그 개방측과는 반대측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2 커버부(32)는, 기단부(32B)와 볼록부(3A)를 가진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단부(32B)는, 면 폭 방향(32x)의 폭이 넓은 부위이다. 볼록부(3A)는, 면 폭 방향(32x)의 폭이 기단부(32B)보다도 좁아지는 형태로, 그 기단부(32B)의 면 폭 방향(32x)에 있어서의 중앙으로부터 면 길이 방향(32y)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이다. 여기서의 볼록부(3A)는, 오목부(3B)의 오목형 공간을 메우도록, 그 오목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룬다. 구체적으로는, 기단부(32B)로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면 폭 방향(32x)의 폭이 넓어져 가는 형상을 이룬다.
제2 커버부(32)는, 기단부(32B)에 있어서 볼록부(3A)가 비형성으로 되는 면 폭 방향(32x)의 양 단부(32b)의, 볼록부(3A) 측의 단부에서 연결부(33)와 연결된다(도 7a 참조).
제2 커버부(32)는, 기단부(32B)에 있어서, 면 폭 방향(32x)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캠 핀(352)을 갖는다(도 4a 및 도 4b 참조). 여기서의 캠 핀(352)은, 면 길이 방향(32x)에 있어서, 기단부(32B)에 있어서의 볼록부(3A)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위치한다. 즉, 캠 핀(352)은, 제2 커버부(32)에 있어서, 제1 커버부(31)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된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커버부(31)에 있어서, 캠 핀(351)보다도 오목부(3B)의 개방측과는 반대측으로 되는 단부(31C)는, 커버(3)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컴바이너(4)의 출입구(24H)를 막는 부분이다.
여기서 커버(3)의 이동에 대하여 도 6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할 때, 우선은 컴바이너(4)의 출입구(24H)로부터 컴바이너(4)가 통과 가능해지도록 제1 커버부(31)의 단부(31C)가 그 출입구(24H)로부터 신속히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커버(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는 개방 이동의 적어도 초기 구간에 있어서, 캠 핀(351)의 이동 거리(제1 커버부(31)의 이동 거리라고도 할 수 있음)는, 출입구(24H)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2H)의 면 내 방향(여기서는 개구(2H)의 개구면 상에서 차량 후방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많고, 수용 위치가 존재하는 하측 방향에 대한 이동량이 적어진다. 여기서의 캠 홈(341)은, 상기 초기 구간뿐 아니라 전 구간이, 회전축선(7x)의 상측으로부터, 출입구(24H)로부터 이격되어 가는 방향으로 호 형상으로 처져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캠 홈(342)은, 커버(3)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는 개방 이동의 초기 구간에 있어서, 제2 커버부에 대하여 평면 상태에 있던 제1 커버부(31)를, 오목부(3B)에 대하여 볼록부(3A)가 상방으로 어긋나지도록 캠 핀(352)을 이동시킨다. 그 후, 커버(3)가, 상기 초기 구간의 앞에 위치하는 잔여 구간(달리 말하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하는 폐쇄 이동의 초기 구간)에 있어서, 커버(3)의 회전축선(3x1)이 통과하는 원 궤적(3L)에 대하여 이격해 가는 형상으로 전환된다. 그 결과, 제2 커버부(32)는, 오목부(3B)에 대하여 상방으로 어긋난 볼록부(3A)가 이번에는 오목부(3B)에 대하여 하방으로 어긋나 가는 형태로, 제1 커버부(31)에 대한 회전축선(3x1)의 둘레의 상대 회전이 발생한다. 그 후, 오목부(3B)에 대하여 볼록부(3A)의 하방으로의 어긋남이 확대되어,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의 각도 차가 각도 θB를 이루는 개방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반대로 커버(3)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할 때는, 커버(3)는 상기와는 반대의 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그 사용 시에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가 절곡되는 형태로 장치 하우징(2)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그들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로 이루어지는 커버(3)의 가동 범위를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단,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가 절곡되는 형태로 장치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계하는 경우, 통상이면, 장치 하우징 내에 수용된 절곡 상태의 제1 커버부와 제2 커버부 사이에 놓이는 영역이 광대한 데드 스페이스로 되어 쓸모없어진다. 그러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는, 그들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가 절곡됨으로써 커버(3)에 관통 구멍(3H)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곡 상태의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 사이에 놓이는 영역(3S)(도 6 참조)을, 표시부(5)로부터 출사되는 영상 광의 통과 경로로서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절곡 상태의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 사이에 놓이는 영역(3S)을 통과하는 영상 광을, 절곡 상태의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가 형성하는 관통 구멍(3H)을 통하여 그 영역(3S) 밖으로 출사할 수 있기 때문에,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데드 스페이스는, 제2 커버부(32)가 통과하는 공간(즉, 제2 커버부(32)의 가동 영역)으로서도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데드 스페이스를 활용한 분만큼 장치 하우징(2) 내의 다른 스페이스를 생략할 수 있어, 장치 하우징(2)의 체격을 종래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는 회전체(71)의 요동 동작에 의하여, 커버(3)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위치 이동과, 컴바이너(4)의 표시 위치와 수용 위치 사이에서의 위치 이동의 양쪽을 동시에 행한다. 즉, 제어부(8)는, 커버(3)와 컴바이너(4)의 각각에 설치된 구동원을 각각 구동 제어할 필요가 없으며, 회전체(71)를 회전시키는 구동원(여기서는 모터(72))만을 구동 제어하기만 하면 된다. 통상, 커버와 컴바이너의 각각에 대응하는 구동원을 설치하고, 그들을 각각 구동 제어하는 구성을 취하는데, 이 경우, 먼저 커버의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시켜 컴바이너의 출입구를 확보하고, 그 다음 타이밍에서 컴바이너를 수용 위치로부터 표시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시키는 등의 복잡한 제어나 기구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는, 그러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는 제어나 기구가 불필요하며, 회전체(71)를 회전시키면 커버(3)의 개방 동작과 컴바이너(4)의 표시 위치로의 이동이, 커버(3)와 컴바이너(4)가 충돌하지 않는 형태로 동시에 발생한다. 또한 회전체(71)에 연결되는 컴바이너(4)와 커버(3)는, 회전체(71)가 회전하더라도 서로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상대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서로가 간섭하는 일도 없다. 이와 같이,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는, 회전체(71)를 사용함으로써, 커버(3)와 컴바이너(4)의 양쪽을 이동시키는 가동 기구(7)가 심플한 형태로 실현되어 있다. 또한, 구동원인 모터(72)의 구동 제어도 또한 매우 단순한 것이며, 복잡한 요소가 없다.
상기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다.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 청구범위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추가 및 생략 등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다른 실시예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임으로써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하기 실시예 내지 하기 변형예는, 기술적인 모순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체(71)에 대하여, 컴바이너(4)를 포함하는 직경 방향의 제1 측에서 연결되는 연결체와, 커버(3)를 포함하는 직경 방향의 제2 측에서 연결되는 연결체는, 한쪽을 다른 쪽보다도 무겁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진동이나 기어의 덜걱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체(71)의 제1 방향 회전과 제2 회전 방향 중 어느 것에 대한 회전 동작을 어시스트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반대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체(71)에 대하여, 컴바이너(4)를 포함하는 직경 방향의 제1 측에서 연결되는 연결체와, 커버(3)를 포함하는 직경 방향의 제2 측에서 연결되는 연결체에 있어서, 양쪽이 서로 균형을 이루는 무게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특히 가동 방향이 차량 상하 방향인 경우, 양 연결체의 자중이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모터의 토크·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어, 모터의 회전 출력을 전달하는 부재의 강도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체(71)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검출부를 회전체(71)에 설치할 수 있다. 각도 검출부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8)에 입력하고, 제어부(8)가 회전체(71)의 속도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여 커버(3)의 개폐 스피드나 컴바이너(4)의 이동 스피드를 조정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3)는,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3B)가 직사각형의 오목 공간을 이루고, 오목 공간의 바닥측이 직선형을 이룬다. 이에 대하여 오목부(3B)의 형상을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오목 공간의 바닥측이 만곡면을 이루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7a의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3)는, 제2 커버부(32)가 볼록부(3A)와 기단부(32B)를 갖는 형상을 이루지만, 제2 커버부(32)는, 적어도 제1 커버부(31)의 오목부(3B)의 오목 공간을 막는 폐색부를 갖는 형상이면, 다른 형상으로 변경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제2 커버부(32)는, 적어도 제1 커버부(31)의 오목부(3B)의 오목 공간을 막는 폐색부(3A)만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7a의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3)는, 평면 상태로 배열되는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에 있어서, 그 배열 방향의 양단이 아닌 위치에 연결부(33)를 갖고 있다. 그러나 연결부(33)는, 예를 들어 도 8a와 같이, 평면 상태로 배열되는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에 있어서, 그 배열 방향의 제2 커버부(32)측의 단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3)는, 도 8b 및 도 8c와 같이 각도 변화 가능해진다. 또한 연결부(33)는, 예를 들어 도 9a와 같이, 평면 상태로 배열되는 제1 커버부(31)와 제2 커버부(32)에 있어서, 그 배열 방향의 제1 커버부(31)측의 단부, 즉, 오목부(3B)의 바닥으로 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3)는, 도 9b 및 도 9c와 같이 각도 변화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표시부(5)로부터의 광은, 도 9c와 같이, 제2 커버부(32)의 하측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절곡에 의하여 관통 구멍(3H)을 형성하는 커버(3)는, 컴바이너(4)를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가 아니고, 컴바이너(4)와 같은 전용 표시 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프런트 윈도우(11)에 표시 상을 이루는 광을 투사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3)는, 제1 측에 대하여 그 반대의 제2 측이 구부러지는 판형 탄성 부재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판형 탄성 부재인 커버(3)에는, 구부러졌을 때 관통 구멍(3H)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절입(3V)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커버(3)는, 도 11a에 도시한 판형 탄성 부재로 하고, H형 절입부(3V)를 형성해 둔다. 커버(3)는, 도 11b와 같이 구부러져 있지 않은 평면 상태에 있어서는, 절입부(3V)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관통 구멍(3H)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커버(3)는, 도 11c와 같이 구부러진 상태에 있어서는, 절입(3V)에 의하여 관통 구멍(3H)이 형성된다. 또한 절입(3V)의 형상은, 커버(3)를 구부렸을 때 관통 구멍(3H)이 생기는 것이면,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상술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 수단과 커버와 가동 기구와 굽힘 수단을 구비한다. 표시 수단은, 표시 상을, 장치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장치 하우징의 개구를 통과하는 형태로, 장치 하우징의 외부에 위치하는 표시 부재에 투사한다. 커버는, 제1 측에 대하여 그 반대의 제2 측이 구부러짐으로써 관통 구멍을 형성 가능하다. 가동 기구는, 커버를, 장치 하우징의 개구를 폐쇄 상태로 하는 폐쇄 위치와, 당해 개구를 개방 상태로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굽힘 수단은, 커버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커버를, 관통 구멍이 비형성 상태로 되도록 유지한다. 굽힘 수단은, 커버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는, 커버에 굽힘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커버를 관통 구멍의 비형성 상태로부터 형성 상태로 변화시킨다. 굽힘 수단은, 커버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커버를 관통 구멍의 형성 상태로 되도록 유지한다. 굽힘 수단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는, 커버의 굽힘을 해소 또는 완화하는 형태로, 커버를 관통 구멍의 형성 상태로부터 비형성 상태로 변화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 시에 커버가 구부러진 형태로 장치 하우징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장치의 체격을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단, 커버가 제1 측에 대하여 제2 측이 구부러지는 형태로 장치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구성을 생각할 경우, 통상은, 장치 하우징 내에 수용된 구부러짐 상태의 커버 제1 측과 제2 측 사이에 놓이는 영역이 광대한 데드 스페이스로 되어 쓸모없어진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 의하면, 구부러짐으로써 커버에 관통 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에, 구부러짐 상태의 커버 제1 측과 제2 측 사이에 놓이는 영역을,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영상 광의 통과 경로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구부러짐 상태의 커버 제1 측과 제2 측 사이에 놓이는 영역을 통과하는 영상 광을, 구부러짐 상태의 커버가 형성하는 관통 구멍을 통하여 그 영역 밖으로 출사할 수 있기 때문에, 데드 스페이스를 광의 통과 경로로서 유효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데드 스페이스를 활용한 분만큼 장치 하우징 내의 다른 스페이스를 생략할 수 있어, 장치의 체격을 종래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상술한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바이너와 표시 수단과 커버와 회전체와 구동부를 구비한다. 컴바이너는, 장치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수용 위치와, 장치 하우징 밖에서 유저에 의하여 시인 가능해지는 표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표시 수단은, 표시 상으로 되는 광을, 장치 하우징의 내부로부터 하우징 개구를 통과하는 형태로, 표시 위치에 있는 컴바이너에 투사한다. 커버는, 장치 하우징에 있어서의 컴바이너의 출입구와 하우징 개구를 폐쇄 상태로 하는 폐쇄 위치와, 출입구와 하우징 개구를 개방 상태로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회전체는 소정의 회전축선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체에는, 컴바이너와 커버가 각각 회전축선 둘레의 상이한 위치에서 연결된다. 회전체는 회전축선 둘레에 있어서, 컴바이너가 표시 위치에, 또한 커버가 개방 위치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1 각도 위치와, 컴바이너가 수용 위치에, 또한 커버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요동 동작 가능하다. 구동부는 회전체를 제1 각도 위치와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요동 동작시킨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회전체의 요동 동작에 의하여, 커버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의 위치 이동과, 컴바이너의 표시 위치와 수용 위치 사이에서의 위치 이동의 양쪽이 동시에 실행된다. 따라서 커버와 컴바이너의 각각에 설치된 구동원을 각각 구동 제어할 필요가 없으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원만을 구동 제어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회전체에 연결되는 커버와 컴바이너는, 회전체가 회전하더라도 서로의 위치 관계를 유지한 채 상대적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서로가 간섭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커버의 이동 개시 타이밍과 컴바이너의 이동 개시 타이밍을 어긋나게 하는 제어나 기구는 불필요하다. 커버와 컴바이너의 양쪽을 이동시키는 가동 기구가, 회전체를 구비하는 심플한 기구로 실현되고, 회전체의 구동 제어도 또한, 그 회전체를 요동시킬 뿐인 심플한 제어로 된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게다가 다양한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 그들에 일 요소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16)
- 표시 상을, 장치 하우징(2)의 내부로부터 상기 장치 하우징(2)의 개구(2H)를 통과하는 형태로, 장치 하우징(2)의 외부에 위치하는 표시 부재(4)에 투사하는 표시 수단(5, 50)과,
제1 측에 대하여 그 반대의 제2 측이 구부러짐으로써 관통 구멍(3H)을 형성 가능한 커버(3)와,
상기 커버(3)를, 상기 장치 하우징(2)의 개구(2H)를 폐쇄 상태로 하는 폐쇄 위치와, 당해 개구(2H)를 개방 상태로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가동 기구(7)와,
굽힘 수단(341, 342)
을 구비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이며,
상기 굽힘 수단(341, 342)은, 상기 커버(3)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3)를, 상기 관통 구멍(3H)이 비형성 상태로 되도록 유지하고,
상기 굽힘 수단(341, 342)은, 상기 커버(3)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는, 상기 커버(3)에 굽힘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상기 커버(3)를 상기 관통 구멍(3H)의 비형성 상태로부터 형성 상태로 변화시키고,
상기 굽힘 수단(341, 342)은, 상기 커버(3)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버(3)를 상기 관통 구멍(3H)의 형성 상태로 되도록 유지하고, 또한,
상기 굽힘 수단(341, 342)은,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는, 상기 커버(3)의 굽힘을 해소 또는 완화하는 형태로, 상기 커버(3)를 상기 관통 구멍(3H)의 형성 상태로부터 비형성 상태로 변화시키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는 상기 제1 측의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측에서 상기 제1 커버부(31)에 대하여 소정의 회전축선(3x1) 둘레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서로의 각도(θ)가 상기 회전축선(3x1) 둘레에 있어서 소정의 개방 각도(θB)를 이루는 경우에 그 각도 차에 의하여 관통 구멍(3H)을 형성하고, 소정의 폐쇄 각도(θA)를 이루는 경우에 그 관통 구멍(3H)을 막는 제2 커버부(32)를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 수단(341, 342)은,
상기 커버(3)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를 상기 폐쇄 각도(θA)로 유지하는 폐쇄 각도 유지부(341A, 342A)와,
상기 커버(3)가 상기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를 상기 개방 각도(θB)로 유지하는 개방 각도 유지부(341B, 342B)와,
상기 커버(3)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는,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를 상기 회전축선(3x1)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형태로 서로의 각도를 상기 폐쇄 각도(θA)로부터 상기 개방 각도(θB)로 변화시키는 한편,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는,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를 상기 회전축선(3x1) 둘레로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형태로 서로의 각도를 상기 개방 각도(θB)로부터 상기 폐쇄 각도(θA)로 변화시키는 각도 이행 수단(341C, 342C)
을 갖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는, 상기 폐쇄 각도(θA)를 이루는 상태에 있어서 한쪽이 오목부(3B)를 갖고, 다른 쪽이, 그 오목부(3B)의 내측에 들어가는 폐색부(3A)를 갖고 있고,
상기 각도 이행 수단(341C, 342C)은,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가 상기 회전축선(3x1) 둘레를 회동하여 상기 폐쇄 각도(θA)로부터 상기 개방 각도(θB)로 변화될 때에, 상기 오목부(3B)와 상기 폐색부(3A)를 그 회동 방향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상기 관통 구멍(3H)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가 상기 회전축선(3x1) 둘레를 회동하여 상기 개방 각도(θB)로부터 상기 폐쇄 각도(θA)로 변화될 때, 상기 오목부(3B)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 구멍(3H)이 상기 폐색부(3A)에 의하여 막히는 것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는,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가 평면형으로 배열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B)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 구멍(3H)이 상기 폐색부(3A)에 의하여 막힌 상태로 되고, 그들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커버부(32)측의 단부에,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3)가 설치되어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는,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가 평면형으로 배열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B)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 구멍(3H)이 상기 폐색부(3A)에 의하여 막힌 상태로 되고, 그들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B)의 바닥으로 되는 위치에,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3)가 설치되어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는,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가 평면형으로 배열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B)의 내측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 구멍(3H)이 상기 폐색부(3A)에 의하여 막힌 상태로 되고, 그들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3B)의 바닥으로 되는 위치와 상기 제2 커버부(32)측의 단부 사이에, 상기 제1 커버부(31)와 상기 제2 커버부(3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33)가 설치되어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는, 제1 측에 대하여 그 반대인 제2 측이 구부러지는 판형 탄성 부재이고, 구부러졌을 때 관통 구멍(3H)을 형성하기 위한 절입부(3V)가 형성되어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장치 하우징(2) 내에 수용되는 수용 위치와, 상기 장치 하우징(2) 밖에서 유저에 의하여 시인 가능해지는 표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컴바이너(4)와,
표시 상으로 되는 광을, 상기 장치 하우징(2)의 내부로부터 하우징 개구(2H)를 통과하는 형태로, 상기 표시 위치에 있는 상기 컴바이너(4)에 투사하는 표시 수단(5, 50)과,
상기 장치 하우징(2)에 있어서의 상기 컴바이너(4)의 출입구(24H)와 상기 하우징 개구(2H)를 폐쇄 상태로 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출입구(24H)와 상기 하우징 개구(2H)를 개방 상태로 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3)와,
회전체(71)와,
구동부(72)
를 구비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이며,
상기 회전체(71)는 소정의 회전축선(7x) 둘레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71)에는, 상기 컴바이너(4)와 상기 커버(3)가 각각 상기 회전축선(7x) 둘레의 상이한 위치에서 연결되고,
상기 회전체(71)는 상기 회전축선(7x) 둘레에 있어서, 상기 컴바이너(4)가 상기 표시 위치에, 또한 상기 커버(3)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1 각도 위치와, 상기 컴바이너(4)가 상기 수용 위치에, 또한 상기 커버(3)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소정의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요동 동작 가능하고, 또한,
상기 구동부(72)는 상기 회전체(71)를 상기 제1 각도 위치와 상기 제2 각도 위치 사이에서 요동 동작시키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컴바이너(4)는, 상기 회전축선(7x)과 직교하는 직경 방향의 제1 측에 위치하고,
상기 커버(3)는, 상기 직경 방향의 제1 측과는 반대의 상기 직경 방향의 제2 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체(71)는, 상기 제1 각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각도 위치를 향하는 제1 방향 회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컴바이너(4)를 소정의 가동 방향의 제1 측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 위치에 도달시킴과 함께, 상기 커버(3)를 상기 가동 방향의 제1 측과는 반대의 제2 측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에 도달시키고, 한편, 상기 제2 각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각도 위치를 향하는, 상기 제1 방향 회전과는 반대의 제2 방향 회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컴바이너(4)를 상기 가동 방향의 제2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표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에 도달시킴과 함께, 상기 커버(3)를 상기 가동 방향의 제1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에 도달시키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방향이 상하 방향인,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컴바이너(4)를 포함하는 상기 직경 방향의 제1 측과, 상기 커버(3)를 포함하는 상기 직경 방향의 제2 측에 있어서, 한쪽이 다른 쪽보다도 무겁게 되어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컴바이너(4)를 포함하는 상기 직경 방향의 제1 측과, 상기 커버(3)를 포함하는 상기 직경 방향의 제2 측에 있어서, 양쪽의 무게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71)는, 상기 제1 각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각도 위치를 향하는 제1 방향 회전이 개시됨과 동시에, 상기 컴바이너(4)의, 상기 수용 위치로부터 상기 표시 위치로의 이동과, 상기 커버(3)의,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의 이동의 양쪽이 개시되고, 한편, 상기 제2 각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 회전과는 반대의 제2 방향 회전이 개시됨과 동시에, 상기 컴바이너(4)의, 상기 표시 위치로부터 상기 수용 위치로의 이동과, 상기 커버(3)의,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상기 폐쇄 위치로의 이동의 양쪽이 개시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바이너(4)가 소정의 가동 방향의 제1 측과 제2 측 사이를 소정의 컴바이너 이동 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R)와,
상기 회전체(71)의 상기 제1 방향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컴바이너(4)를 상기 가동 방향의 제1 측으로 압출하는 한편, 상기 제2 방향 회전에 수반하여 상기 컴바이너(4)를 상기 가동 방향의 제2 측으로 압출하도록, 상기 회전체(71)와 상기 컴바이너(4)를 연결함과 함께, 그들 압출에 의하여 상기 컴바이너(4)에 발생하는, 상기 회전축선(7x)에 대하여 접근 내지 이격시키는 변위를 흡수하는 변위 흡수부(740)를 갖는 연결부(714)
를 구비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 제9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72)는, 구동원의 회전 출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측 기어부(73A)를 갖고,
상기 회전체(71)는, 회전축선(7x) 둘레에,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원호형부를 갖고, 당해 원호형부에, 상기 구동원의 회전 출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선(7x) 둘레를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측 기어부(73A)에 대하여 맞물리는 회전체측 기어부(73B)가 설치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028521A JP6516205B2 (ja) | 2016-02-18 | 2016-02-18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JPJP-P-2016-028521 | 2016-02-18 | ||
JP2016028522A JP6516206B2 (ja) | 2016-02-18 | 2016-02-18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JPJP-P-2016-028522 | 2016-02-18 | ||
PCT/JP2017/000940 WO2017141594A1 (ja) | 2016-02-18 | 2017-01-13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2011A true KR20180112011A (ko) | 2018-10-11 |
KR102038356B1 KR102038356B1 (ko) | 2019-10-31 |
Family
ID=59624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6549A KR102038356B1 (ko) | 2016-02-18 | 2017-01-13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901208B2 (ko) |
KR (1) | KR102038356B1 (ko) |
DE (1) | DE112017000901B4 (ko) |
WO (1) | WO201714159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71142B2 (ja) * | 2016-04-28 | 2020-10-21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KR102035136B1 (ko) * | 2018-01-18 | 2019-10-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CN108646417B (zh) * | 2018-04-24 | 2020-05-22 | 惠州市华阳多媒体电子有限公司 | 一种车载hud的防尘结构 |
DE102023103949B3 (de) * | 2023-02-17 | 2024-05-29 |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 Projektionsanzeigesystem für ein Fahrzeug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20252A (ko) | 1973-05-18 | 1975-03-04 | ||
JP2002331855A (ja) * | 2001-05-11 | 2002-11-19 | Yazaki Corp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開口部カバーユニット |
JP2002331854A (ja) * | 2001-05-11 | 2002-11-19 | Yazaki Corp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コンバイナの収納方法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コンバイナ収納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20252B1 (ko) | 1969-08-06 | 1975-07-14 | ||
JPH1191403A (ja) | 1997-09-25 | 1999-04-06 | Asahi Glass Co Ltd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
JP4263375B2 (ja) | 2001-02-09 | 2009-05-13 | 矢崎総業株式会社 | 車両表示装置用表示源ユニット |
JP4351565B2 (ja) * | 2003-07-29 | 2009-10-2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JP4336245B2 (ja) * | 2004-05-18 | 2009-09-30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JP4404715B2 (ja) * | 2004-07-27 | 2010-01-27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ミラー一体カバーユニット |
FR2893553B1 (fr) * | 2005-11-18 | 2009-07-03 |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 Dispositif d'affichage escamotable pour un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
US8077396B2 (en) | 2006-11-20 | 2011-12-13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display for a vehicle |
FR2962815B1 (fr) * | 2010-07-16 | 2013-06-21 | Delphi Tech Inc | Dispositif d'affichage tete haute ajustable |
CN103229503B (zh) | 2010-11-26 | 2016-06-29 | 日本电气株式会社 | 图像编码设备、图像解码设备、图像编码方法、图像解码方法和程序 |
JP5923251B2 (ja) | 2011-06-08 | 2016-05-24 | 日本精機株式会社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EP2541303B1 (en) * | 2011-07-01 | 2017-12-20 | Johnson Controls Automotive Electronics GmbH | Head-up display for a vehicle |
EP2769259B1 (en) * | 2011-10-21 | 2021-12-01 | Jabil Inc. | Combiner positioning system |
KR101329287B1 (ko) | 2012-04-02 | 2013-11-14 |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
JP6061525B2 (ja) | 2012-07-06 | 2017-01-18 | 矢崎総業株式会社 | 車両用表示装置 |
US9244694B2 (en) | 2012-12-27 | 2016-01-26 | Intel Corporation | Executing a command within a transport mechanism based on a get and set architecture |
JP6222988B2 (ja) * | 2013-05-20 | 2017-11-01 |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 表示装置 |
JP6080704B2 (ja) * | 2013-06-18 | 2017-02-15 |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 表示装置 |
EP3312040A1 (en) * | 2013-06-25 | 2018-04-25 | Nippon Seiki Co., Ltd. | Head-up display device |
JP6213770B2 (ja) * | 2013-12-23 | 2017-10-18 | 日本精機株式会社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KR101558658B1 (ko) * | 2013-09-06 | 2015-10-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JP6265701B2 (ja) * | 2013-11-22 | 2018-01-24 |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DE102014106498A1 (de) * | 2014-05-08 | 2015-11-12 |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zeigevorrichtung |
EP2955562B1 (en) * | 2014-06-11 | 2023-01-04 | Jabil Circuit, Inc. | Head-up display system with a drive mechanism to move a cover to protect a combiner |
DE102014212796A1 (de) | 2014-07-02 | 2016-01-07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Anordnung zum Freigeben und Schließen einer Öffnung in einem Innenausstattungsteil eines Fahrzeugs |
EP3200006B1 (en) * | 2014-09-24 | 2020-08-26 | Nippon Seiki Co., Ltd. | Head-up display device |
JP2016151588A (ja) * | 2015-02-16 | 2016-08-22 | 日本精機株式会社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US20180037115A1 (en) * | 2015-03-19 | 2018-02-08 | Pioneer Corporation | Display device |
EP3279023A4 (en) * | 2015-03-30 | 2018-12-12 | Pioneer Corporation | Display device |
TWI604226B (zh) * | 2015-04-09 | 2017-11-01 | 光寶電子(廣州)有限公司 | 抬頭顯示裝置 |
JP6507242B2 (ja) * | 2015-06-24 | 2019-04-24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表示装置 |
US20180180142A1 (en) * | 2015-06-24 | 2018-06-28 | Pioneer Corporation | Display apparatus |
JP6575855B2 (ja) * | 2015-06-29 | 2019-09-1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車載用コンバイナ昇降装置および車載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WO2017014132A1 (ja) * | 2015-07-17 | 2017-01-26 | パイオニア株式会社 | 表示装置 |
TWI592697B (zh) * | 2015-09-10 | 2017-07-21 | 光寶科技股份有限公司 | 抬頭顯示裝置 |
JP6542689B2 (ja) * | 2016-02-04 | 2019-07-10 | ヒュンダイ・モービス・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US10712557B2 (en) * | 2016-02-24 | 2020-07-14 | Nippon Seiki Co., Ltd. | Head-up display device |
JP6650634B2 (ja) * | 2016-02-25 | 2020-02-19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US10788668B2 (en) * | 2016-03-14 | 2020-09-29 | Nippon Seiki Co., Ltd. | Display device |
CN107462990B (zh) * | 2016-06-06 | 2020-04-21 |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 抬头显示器 |
US9995995B2 (en) * | 2016-11-10 | 2018-06-12 | E-Lead Electronic Co., Ltd. | Head-up display device with dust cover |
-
2017
- 2017-01-13 US US16/077,099 patent/US10901208B2/en active Active
- 2017-01-13 DE DE112017000901.4T patent/DE112017000901B4/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7-01-13 KR KR1020187026549A patent/KR10203835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1-13 WO PCT/JP2017/000940 patent/WO201714159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20252A (ko) | 1973-05-18 | 1975-03-04 | ||
JP2002331855A (ja) * | 2001-05-11 | 2002-11-19 | Yazaki Corp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開口部カバーユニット |
JP2002331854A (ja) * | 2001-05-11 | 2002-11-19 | Yazaki Corp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コンバイナの収納方法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コンバイナ収納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901208B2 (en) | 2021-01-26 |
KR102038356B1 (ko) | 2019-10-31 |
US20190041640A1 (en) | 2019-02-07 |
DE112017000901B4 (de) | 2024-02-08 |
WO2017141594A1 (ja) | 2017-08-24 |
DE112017000901T5 (de) | 2018-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12011A (ko) |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1558658B1 (ko)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
US6930836B2 (en) | Head-up display device | |
CN107102438B (zh) | 平视显示器装置 | |
US20180201204A1 (en) | Display apparatus | |
EP3312040A1 (en) | Head-up display device | |
JP6542689B2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
JP6516206B2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
KR100836119B1 (ko) | 차량 모니터의 각도조절장치 | |
JP2017516143A (ja) | 自動車両用の表示装置、自動車両、及び、表示装置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 |
JP6358474B2 (ja) | 車両用ドアのドアチェック機構 | |
US20140085787A1 (en) | On-vehicle electronic device | |
CN211592393U (zh) | 用于车辆的平视显示器 | |
US11726531B2 (en) | Hing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KR20160047168A (ko) |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조립체 | |
JP6760220B2 (ja) | 角度調整機構、反射鏡ユニット、および、表示装置 | |
JP6516205B2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 |
JP5168127B2 (ja) | 窓開閉装置 | |
JP6505279B1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ミラー支持用弾性体 | |
JP6482702B1 (ja) |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のミラー支持構造 | |
US11214146B2 (en) | Head-up display apparatus for vehicle | |
KR101362897B1 (ko) | 자동차용 선루프의 이중 슬라이딩 메커니즘 개폐장치 | |
US20180180142A1 (en) | Display apparatus | |
KR20190115786A (ko) |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 |
JP2006103623A (ja) | 防眩タイプの車両用インサイドミラ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