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961A - 암형 몰드 - Google Patents

암형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961A
KR20180111961A KR1020187025925A KR20187025925A KR20180111961A KR 20180111961 A KR20180111961 A KR 20180111961A KR 1020187025925 A KR1020187025925 A KR 1020187025925A KR 20187025925 A KR20187025925 A KR 20187025925A KR 20180111961 A KR20180111961 A KR 2018011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plate member
forming
forming member
femal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793B1 (ko
Inventor
다비데 페나치
Original Assignee
사크미 코퍼라티브 메카니씨 이몰라 소시에타 코퍼라티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크미 코퍼라티브 메카니씨 이몰라 소시에타 코퍼라티바 filed Critical 사크미 코퍼라티브 메카니씨 이몰라 소시에타 코퍼라티바
Publication of KR2018011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42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내부에서 오목한 물체가 형성될 수 있는 형성 캐비티(3)를 갖는 암형 몰드는, - 축선(Z)을 중심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선(Z)을 중심으로 형성 캐비티를 구획하는 환형 형성 부재(4; 104; 204); - 상기 축선(Z)에 횡방향으로 형성 캐비티(3)를 구획하고, 형성 캐비티(3) 외부에서 상기 축선(Z)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면(7)을 갖는 플레이트 부재(5; 105; 205); - 환형 형성 부재(4; 104; 2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환형 부품(15; 115)을 포함한다. 환형 형성 부재(4; 104; 204)는 플레이트 부재(5; 105; 205)의 기준면(7)의 제1 부분에 접한다. 주변 환형 부품(15; 115)은 플레이트 부재(5; 105; 205)의 기준면(7)의 제2 부분에 접한다.

Description

암형 몰드
본 발명은 오목한 물체, 특히, 용기의 캡을 얻기 위해 수형 몰드와 함께 작동하기에 적합한 암형 몰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형 몰드는 특히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압축 몰딩 물체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압축 몰딩에 의해 캡을 제조하기 위한 기계에서, 내부에 수형 몰드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성형 캐비티가 제공된 암형 몰드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수형 몰드 부재는 캡을 얻기 위해 암형 몰드와 상호 작용하기에 적합하다. 공지된 암형 몰드는 형성 캐비티의 바닥면을 획정하는 플레이트 및 형성 캐비티의 측면을 획정하는 환형 형성 부재를 포함한다. 공지된 암형 몰드는 플레이트 및 환형 형성 부재의 외부에 배치된 링을 또한 포함한다. 플레이트, 환형 형성 부재 및 링 사이에는 냉각 회로가 형성된다. 냉각 회로에서, 형성 캐비티를 열적으로 컨디셔닝하기 위해 냉각 유체가 흐를 수 있다.
환형 형성 부재는 플레이트에 접해 있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암형 몰드의 베이스에 접한다. 상기 베이스는 링을 또한 지지하지만, 개스킷이 상기 베이스와 링 사이에 개재될 수 있기 때문에, 링은 상기 베이스와 직접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환형 형성 부재에는 환형 형성 부재의 전체 상부 둘레를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제공된다.
잠금 너트는 액추에이터의 스템에 대해 고정되는 부품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수형 몰드 부재에 대해 암형 몰드를 이동시키도록 배치된다. 잠금 너트는 환형 형성 부재의 돌출부에 접함으로써, 플레이트에 대해 환형 형성 부재를 가압하는 클램핑력을 가한다. 잠금 너트에 의해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플레이트는 다시 암형의 몰드의 베이스에 가압된다.
상부 표면 상에서 환형 형성 부재는 수형 몰드 부재와 연관된 부품 상에 형성된 대응 시트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원주 방향 돌기를 또한 구비한다. 상기 원주 방향 돌기 및 대응 시트는 수형 몰드 부재가 내장된 수형 몰드에 대해 암형 몰드가 중앙에 놓이도록 한다.
하부 표면 상에서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의 측면 상에서 개방되는 예를 들어, 반경 방향 채널과 같은 복수의 채널을 구비한다. 측면은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상부면 사이에 개재된다. 채널은 환형 형성 부재와 링 사이에 형성된 축방향 내부 공간과 유체 연통한다. 축방향 내부 공간은 형성 캐비티를 상기 캐비티의 축에 평행하게 둘러싸도록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링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어 축방향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 이외에, 환형 형성 부재는 축 방향으로도 링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환형 형성 부재는 사전에 설정된 축방향 클리어런스, 즉, 형성 캐비티의 축에 평행하게 측정된 사전에 설정된 거리만큼 링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축방향 클리어런스는, 예를 들어, 기계 가공 에러로 인해 암형 몰드의 부품이 이론값으로부터 벗어나는 축방향 치수를 가질 수 있는 점으로 인한 것이다. 환형 형성 부재와 링 사이에 형성된 축방향 클리어런스로 인해, 암형 몰드의 부품의 축방향 치수와 이론값과의 편차가 보상될 수 있다.
플레이트의 바닥면의 중심 구역 근처에서 공급되는 냉각 유체는 플레이트의 채널을 따라 외측으로 흐를 수 있으며, 그 다음에 환형 형성 부재와 링 사이에 형성된 축방향 내부 공간에서 위쪽으로 흐를 수 있다. 여기에서, 냉각 유체는 형성 캐비티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해 링과 환형 형성 부재 사이에 형성된 횡방향 통로로 흐른다.
따라서, 냉각 유체는 형성 캐비티 내에 형성된 캡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암형 몰드의 단점은 잠금 너트가 액추에이터의 스템에 대해 고정된 부품 상에서 조여질 때, 환형 형성 부재의 돌출부가 외팔보로서 작용하여 하방으로, 즉, 액추에이터의 스템 쪽으로 굴곡될 수 있다. 이는 환형 형성 부재의 상부면 상에 배치된 원주 방향 돌기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암형 몰드가 수형 몰드에 대해 중앙에 위치하는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특히, 과도한 토크를 가함으로써 잠금 너트가 나사 결합되는 부품 상에 잠금 너트가 부정확하게 조여지는 경우에, 환형 형성 부재의 돌출부가 최악의 경우에 부러질 때까지 변형될 수 있다.
공지된 암형 몰드의 다른 단점은 형성 캐비티에서 제조하려고 하는 캡의 냉각이 비-최적 냉각 효과로 수행된다는 것이다. 특히, 환형 형성 부재의 돌출부가 과도하게 응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축방향 클리어런스가 한계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 공정을 개선시키는데 적합한 돌출부의 구조는 환형 형성 부재의 파손을 초래할 수 있는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암형 몰드 내에 흐르는 냉각 유체는 환형 형성 부재의 상부면에 매우 근접하게 도달할 수 없다. 이는 상부면 근방에 형성된 캡 영역이 짧은 시간 내에 적절하게 냉각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형성 캐비티 내에 캡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사이클 시간의 증가 및 그에 따른 생산성 감소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중합체 재료의 측정된 양 또는 투여량의 압축 몰딩함으로써 컨테이너용 캡과 같은 오목한 물체를 형성하기 위한 암형 몰드를 개선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오목한 물체를 생성하는 장치 상에 암형 몰드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 작업 중에 암형 몰드의 부품이 변형되거나 파열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몰딩된 물체를 얻기 위해 암형 몰드와 함께 작동되는 수형 몰드에 대해 암형 몰드가 중앙에 위치될 수 있는 정확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암형 몰드 내에서 순환하는 냉각 유체가 형성되는 물체를 열적으로 컨디셔닝하여 사이클 시간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서 오목한 물체가 형성될 수 있는 형성 캐비티를 갖는 암형 몰드가 제공되며, 암형 몰드는,
- 축선을 중심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성형 캐비티를 획정하는 환형 형성 부재;
상기 축선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 캐비티를 획정하고, 형성 캐비티 외부에서 상기 축선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면을 갖는 플레이트 부재;
- 환형 형성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환형 부품을 포함하며,
환형 형성 부재는 플레이트 부재의 기준면의 제1 부분에 접하고, 주변 환형 부품은 플레이트 부재의 기준면의 제2 부분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암형 몰드 부품이 조립되는 정확성이 증가될 수 있다. 실제로, 플레이트 부재는 환형 형성 부재와 주변 환형 부재 모두를 위치설정 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환형 형성 부재 및 주변 환형 부품이 별개의 피스에 대해 인접하여 환형 형성 부재 및 주변 환형 부품을 배치함으로써 조립되는 경우에,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부정확성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동일한 기준면에 접하는 환형 형성 부재 및 주변 환형 부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개선된 정밀도로 인해, 가능한 기계 가공 에러 또는 조립 에러를 보상하기 위한 큰 축방향 클리어런스를 채택할 필요가 없다.
특히, 암형 몰드와 함께 작동하는 수형 몰드에 대해 암형 몰드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플레이트 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강성인 센터링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센터링 수단과 플레이트 부재 사이의 임의의 축방향 클리어런스가 회피될 수 있다. 따라서, 환형 형성 부재 및 주변 환형 부품이 암형을 조립하기 위해 플레이트 부재에 대해 고정될 때, 센터링 수단의 현저한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센터링 수단은 수형 몰드와 관련하여 암형 몰드를 정확하게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환형 형성 부재 및 주변 환형 부품이 플레이트 부재에 조여질 때, 환형 형성 부재 및/또는 주변 환형 부품이 파손될 위험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암형 몰드는 종래 기술의 암형 몰드보다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다. 환형 형성 부재와 주변 환형 부품 사이에 상당한 축방향 클리어런스가 없기 때문에, 냉각 도관은 축방향에서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비교적 먼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가장 멀리, 즉, 수형 몰드에 더 가깝게 배치된 형성 캐비티의 구역이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되게 한다.
실시예에서, 주변 환형 부품은 환형 형성 부재와 플레이트 부재 사이에 클램핑된다.
특히, 주변 환형 부품은 플레이트 부재와 환형 형성 부재의 반경 방향 돌출부 사이에 클램핑된다.
실시예에서, 센터링 수단은 수형 몰드에 대해 암형 몰드를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해 제공되며, 센터링 수단은 특히 원주 방향 돌기로서 형성된다.
센터링 수단은 환형 형성 부재 상에서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암형 몰드는 환형 형성 부재 및 주변 환형 부품을 플레이트 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차단면에 가압하는데 적합한 차단 링을 포함한다.
차단면은 환형 형성 부재, 특히, 환형 형성 부재의 주변 부속물 상에서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구조를 갖는 암형 몰드가 얻어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환형 형성 부재는 플레이트 부재와 주변 환형 부품 사이에 개재된 부분을 갖는다.
센터링 수단은 주변 환형 부품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변 환형 부품 상에 차단면이 또한 형성될 수 있다. 차단 링은 전술한 차단면과 결합한다.
이 경우, 주변 환형 부품은 다중 기능, 즉, 환형 형성 부재를 플레이트 부재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시키고, 암형 몰드가 수형 몰드에 대해 중앙에 위치되도록 하며, 차단 링과 결합되는 기능을 갖는다. 환형 형성 부재는 다른 한편으로는 단일의 주된 기능, 즉, 형성 캐비티를 측 방향으로 구분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환형 형성 부재는 상기 환형 형성 부재가 용인되는 강성 레벨을 갖도록 하기에 충분한 반경 방향으로 감소된 두께를 갖는다.
비교적 얇은 환형 형성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환형 형성 부재와 주변 환형 부품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과하는 냉각 유체가 몰딩 캐비티에 매우 근접하게 유동할 수 있다. 이는 형성 캐비티가 매우 효율적인 방식으로 냉각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되게 수행될 것이며, 상기 도면은 예시로서 몇몇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은 암형 몰드의 축방향 중간 평면을 따라 취해진 중단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암형 몰드의 확대된 세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암형 몰드의 플레이트 부재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플레이트 부재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암형 몰드를 도시하는, 도 1과 같은 중단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암형 몰드의 플레이트 부재의 확대된 세부 단면도이다.
도 7는 도 5의 암형 몰드의 플레이트 부재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는 도 5의 플레이트 부재를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암형 몰드의 확대된 세부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9의 암형 몰드의 플레이트 부재를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플레이트 부재의 하부면이 도시되도록 회전된 플레이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은 중합체 재료를 몰딩함으로써 오목한 물체를 형성하기 위해 도 2에 그 일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수형 몰드(2)와 함께 작동하는데 적합한 암형 몰드(1)를 도시한다. 암형 몰드(1)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물체는 컨테이너용 캡일 수 있지만, 특히 병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암형 몰드(1)는 압축 몰딩에 의해 오목한 물체를 얻는 데 특히 적합하다.
암형 몰드(1)에는 오목한 물체를 얻기 위해 내부에 중합체 재료가 성형될 수 있는 형성 캐비티(3)가 제공된다.
암형 몰드(1)는 형성 캐비티(3)를 측 방향으로, 즉, 축선(Z) 둘레로 구획하기 위해 축선(Z) 둘레로 연장되는 환형 형성 부재(4)를 포함한다.
암형 몰드(1)는 특히, 축선(Z)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특히, 축선(Z)에 수직으로 형성 캐비티(3)를 구획하는 플레이트 부재(5)를 또한 포함한다. 플레이트 부재(5)는 축선(Z)과 일치하는 축선을 갖는다.
플레이트 부재(5)는 단일 피스로, 특히, 금속으로 제조된다. 즉, 플레이트 부재(5)는 일체형(one-piece) 구조를 갖는다.
플레이트 부재(5)는 축선(Z)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특히,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성면(6)을 가지며, 중합체 재료를 성형하기 위해 중합체 재료를 접촉시키는데 적합하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형성면(6)은 편평한 원형 구조를 갖지만, 이러한 조건은 필수적이지 않다. 형성면(6)은 도시된 예에서 형성 캐비티(3)의 하부면인 횡단 표면을 획정한다. 형성면(6)은 형성하고자 하는 물체의 횡방향의 오목한 벽을 외부 성형하기에 적합하다. 오목한 물체가 캡인 경우에, 형성면(6)에 의해 형성된 횡방향 벽은 캡의 상부 벽, 즉, 사용시에 컨테이너의 개구를 폐쇄하기 위해 캡의 상부에 배치되는 벽이다.
플레이트 부재(5)는 형성 캐비티(3)의 외부에서 축선(Z)에 횡방향으로, 특히, 축선(Z)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준면(7)을 또한 갖는다. 기준면(7)은 형성면(6)을 둘러싸고 있다.
기준면(7)은 편평한 표면이며, 특히, 원형의 크라운(crown)으로 형성된다.
형성면(6)은 기준면(7)으로부터 돌출된 돌기(protuberance)(46) 상에 형성되며, 축선(Z)에 횡방향으로, 특히, 축선(Z)에 대해 수직으로 구획된다.
환형 형성 부재(4)는 기준면(7)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도 2에 도시된 접촉면(8)에 의해 축선(Z)에 횡방향으로 구획된다. 접촉면(8)은 축선(Z)에 수직으로 배치된 편평한 표면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접촉면(8)은 환형 형성 부재(4)를 아래로 구획한다.
환형 형성 부재(4)는 성형하고자 하는 오목한 물체의 측벽을 외부에서 성형하기 위해 몰딩될 중합체 재료와 상호 작용하기에 적합한 성형면(9)에 의해 그 내부가 구획된다.
성형하고자 하는 오목한 물체가 캡인 경우에, 성형면(9)의 성형된 측벽의 외부에는 사용자 또는 캡핑(capping) 기계에 의해 캡의 파지를 이롭게 하기 위한 복수의 널(knurl)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측벽의 내부에는 캡을 컨테이너에 고정시키기 위해 예컨대, 나사산 부분과 같은 하나 이상의 고정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정 부재는 수형 몰드(2)에 의해 성형된다.
도시된 예에서, 성형면(9)은 오목한 물체의 측벽의 외부를 성형하며(오목한 물체가 캡인 경우에, 측벽에는 변조-방지 링(tamper-evident ring)이 제공될 수도 있음), 오목한 물체의 횡방향 벽에 측벽이 결합되는 결합 영역의 외부를 성형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성형면(9)에는 플레이트 부재(5)의 형성면(6)과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만곡부가 제공된다.
암형 몰드(1)의 조립된 구성에서, 환형 형성 부재(4)는 플레이트 부재(5)의 기준면(7)의 제1 부분에 접한다. 상기 제1 부분은 형성면(6)에 의해 구획된 돌기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환형 형성 부재(4)에는 도시된 예에서 특히, 원주 방향 돌기로서 성형된 센터링 돌기(10)를 포함하는 센터링 수단이 접촉면(8)의 반대측에 제공된다. 센터링 수단은 암형 몰드(1)가 축선(Z)에 대해 중앙에 위치되는 방식으로 수형 몰드(2)에 대해 위치설정되도록 수형 몰드(2)의 센터링 부품(11)과 함께 협동하기에 적합하다. 이를 위해, 센터링 부품(11)에는 센터링 돌기(10)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홈이 제공될 수 있다. 센터링 수단이 센터링 돌기(10)로서 적합하지 않으면, 센터링 부품(11)은 어떠한 홈도 갖지 않지만, 사용된 센터링 수단과 일치하도록 적합하게 성형된다.
환형 형성 부재(4)는 축선(Z)에 대해 횡방향으로, 특히, 축선(Z)에 수직으로 배치된 차단면(12)을 포함한다. 사용 중에, 차단면(12)은 수형 몰드(2)를 향한다.
차단면(12)은 잠금 너트 또는 차단 링(13)과 결합하기에 적합하여서, 환형 형성 부재(4) 및 플레이트 부재(5)가 암형 몰드(1)의 지지체(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될 수 있다.
차단면(12)은 환형 형성 부재(4)의 반경 방향 돌기부(14) 상에 형성되고, 반경 방향 돌기부(14)는 환형 형성 부재(4)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한다.
개스킷(17)은 환형 형성 부재(4)의 내측에서 접촉면(8)으로부터 연장되는 시트에 하우징될 수 있다. 개스킷(17)은 플레이트 부재(5)와 환형 형성 부재(4) 사이의 액체 누출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추가적인 개스킷(18)은 환형 형성 부재(4)와 차단 링(13) 사이에서 액체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환형 형성 부재(4)와 차단 링(13)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돌기(46)의 베이스에 있는 플레이트 부재(5)에는 리세스 영역, 즉, 플레이트 부재(5)가 제조될 때 재료가 제거되는 환형 영역(47)이 제공된다. 환형 영역(47)은 몰딩 중에 형성 캐비티(3) 내부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중합체 재료가 성형되는 동안에 암형 몰드(1)와 수형 몰드(2) 사이에 포획된 임의의 공기는 돌기(46)와 환형 형성 부재(4)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형성 캐비티(3)에서 빠져 나와 최종적으로 환형 영역(47)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환형 영역(47)은 개스킷(17)을 그 시트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리스 또는 기타와 같은 임의의 물질이 형성 캐비티(3) 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형성 캐비티(3)에 함유된 중합체 재료의 오염이 방지된다.
암형 몰드(1)는 환형 형성 부재(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환형 부품(15)을 포함한다. 특히, 도 1 내지 도 4의 예에서, 주변 환형 부품(15)은 환형 형성 부재(4)의 하부, 즉, 플레이트 부재(5) 근처에 배치된 환형 형성 부재(4)의 부분을 둘러싼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주변 환형 부품(15)은 플레이트 부재(5)와 환형 형성 부재(4) 사이에 클램핑, 즉, 축방향으로 차단된다. 특히, 주변 환형 부품(15)은 플레이트 부재(5)의 기준면(7)에 접하는데 적합한 접합면(16)에 의해 구획된다. 접합면(16)은 축선(Z)에 횡방향으로, 특히, 축선(Z)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암형 몰드(1)의 조립된 구성에서, 접합면(16)은 기준면(7)의 제2 부분과 접촉하고, 제2 부분은 기준면(7)의 제1 부분에 대한 주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부분은 환형 형성 부재(4)와 접한다.
주변 환형 부품(15)은 환형 형성 부재(4)가 놓일 수 있는, 특히, 환형 형성 부재(4)의 반경 방향 돌기부(14)가 놓일 수 있는 안착면(resting surface)(19)에 의해 구획된다.
하나 이상의 오목부(indentation)(20)가 안착면(19) 상에 제공된다. 오목부(20)에서, 주변 환형 부품(15)은 환형 형성 부재(4)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주변 환형 부품(15)은 플레이트 부재(5)를 향해 돌출하여 플레이트 부재(5)를 둘러싸는 부속물(21)을 또한 포함한다. 부속물(21)은 플레이트 부재(5)에 대해 주변 환형 부품(15)을 각을 이루며 배향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주변 환형 부품(15)은 환형 형성 부재(4)의 부분을 둘러싸며, 상기 부분은 주변 환형 부품(15)의 내부 직경보다 작은 외부 직경을 갖는다. 따라서, 환형 내부 공간(22)이 주변 환형 부품(15)과 환형 형성 부재(4) 사이에 형성되며, 환형 내부 공간(22)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냉각 유체는 환형 내부 공간(22)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환형 내부 공간(22)은 환형 형성 부재(4)와 주변 환형 부품(15) 사이의 인터페이스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횡방향 통로(23)와 유체 연통한다. 횡방향 통로(2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목부(20) 내부에 형성된다.
횡방향 통로(23)는 주변 환형 부품(15)의 외부에 있는 차단 링(13)에 의해 구획된 복귀 공간(24)과 유체 연통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5)는 도시된 예에서 암형 몰드(1)의 베이스 상에 놓기에 적합한 하부면인 표면(face)(25)에 의해 구획된다. 플레이트 부재(5)는 또한 형성면(6)이 제공되며 표면(25)에 대향하는 추가적인 표면(26)에 의해 구획된다.
추가적인 표면(26)에는 기준면(7)이 또한 제공된다.
축선(Z)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측면(27)은 플레이트 부재(5)를 측방향으로 구획하고, 표면(25)을 추가적인 표면(26)과 연결시킨다. 측면(27)은 특히, 원통형일 수 있다.
표면(25)의 중앙 영역에는 냉각 유체용 입구(28)가 제공되며, 냉각 유체는 암형 몰드를 열적으로 컨디셔닝하는데 적합하다.
입구(28)는 플레이트 부재(5)에 인접한 암형 몰드의 부품으로부터 냉각 유체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블라인드 캐비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입구(28)는 표면(25) 상에 형성된 복수의 냉각 채널(29)과 유체 연통한다. 냉각 채널(29)은 입구(28)로부터 플레이트 부재(5)의 주변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예에서, 냉각 채널(29)은 서로 각도가 등거리이다.
냉각 채널(29)은 플레이트 부재(5)의 표면(25) 상에 제공된 환형 채널(30) 내로 개방된다.
플레이트 부재(5)는 플레이트 부재(4)의 추가적인 표면(26) 상에 배치된 각각의 출구(32)에 이르는 다수의 구멍(31)을 또한 포함한다. 출구(32)는 형성 표면(6) 둘레에 분포되고, 특히, 서로 각도가 등거리이다.
출구(32)는 특히, 기준면(7) 상에 위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구멍(31)은 축선(Z)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구멍(31)은 축선(Z) 둘레로 동일하게 이격될 수 있다.
냉각 채널(29), 환형 채널(30) 및 구멍(31)은 복수의 냉각 도관을 획정하며, 암형 몰드(1)를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냉각 도관을 이용하여 냉각 유체가 플레이트 부재(5)를 통과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몰드(1)는 몰딩 장치의 지지체에 고정되기에 적합한 베이스 부재(33)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특히,베이스 부재(33)는 액추에이터의 스템(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될 수 있으며, 액추에이터는 축선(Z)을 따라 수형 몰드(2)에 대해 암형 몰드(1)를 이동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베이스 부재(33)에는 축선(Z)을 따라 배치될 수 있는 입구 도관(34)이 제공된다. 입구 도관(34)을 통해 냉각 유체는 형성 캐비티(3)를 향하여 지향되도록 암형 몰드(1) 내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부재(33)에는 형성 캐비티(3)를 냉각시킨 후에 냉각 유체가 암형 몰드(1)로부터 유출되도록 하는 출구 도관(35)이 제공된다.
암형 몰드(1)는 플레이트 부재(5)와 베이스 부재(33) 사이에 개재된 스페이서(3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36)에는 중앙 영역에 배치된 통로 구멍(37)이 제공되어서, 입구 도관(34)은 플레이트 부재(5) 상에 제공된 입구(28)와 유체 연통한다.
암형 몰드(1)를 조립하기 위해, 스페이서(36)가 제공된다면 베이스 부재(33) 상에 배치된다. 베이스 부재(33) 및 스페이서(36)는 플레이트 부재(5)가 놓여지는 암형 몰드(1)의 베이스를 형성한다.
기준면(7)의 제2 부분 또는 외측 부분 상에는 주변 환형 부품(15)이 배치된다. 이어서, 기준면(7)의 제1 부분 또는 내측 부분 상에는 환형 형성 부재(4)가 배치된다. 이 시점에 차단 링(13)이 장착되고, 차단 링(13)은 암형 몰드(1)의 지지체에 잠금되어서, 환형 형성 부재(4)가 플레이트 부재(5)를 가압한다. 차단 링(13)에 의해 가압된 환형 형성 부재(4)는 플레이트 부재(5)에 대해 주변 환형 부품(15)을 가압함으로써 주변 환형 부품(15)에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환형 형성 부재(4), 플레이트 부재(5) 및 주변 환형 부품(15)은 암형 몰드(1)의 지지체에 고정된다.
암형 몰드(1)가 조립된 구성으로 있을 때, 환형 형성 부재(4)의 반경 방향 돌기부(14)는 주변 환형 부품(15)의 안착면(19)과의 접촉으로 인해 그 변형이 제한된다. 이는 반경 방향 돌기부(14)가 하방으로, 즉, 플레이트 부재(5)를 향해 만곡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환형 형성 부재(4), 특히, 센터링 돌기(10)의 과도한 변형이 방지된다. 이는 수형 몰드(2)에 대해 암형 몰드(1)를 중앙에 위치시킬 때 양호한 정밀도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차단 링(13)이 실수로 과도하게 나사 결합되면, 차단 링(13)에 의해 반경 방향 돌기부(14)에 가해지는 힘(매우 강한 힘)이 주변 환형 부품(15),플레이트 부재(5) 및 암형 몰드(1)의 지지체 상으로 방출되고, 이는 환형 형성 부재(4)의 임의의 파손을 방지한다.
작동 중에, 베이스 부재(33)의 입구 도관(34) 내부이 있는 예컨대, 물과 같은 냉각 유체를 보냄으로써 암형 몰드(1)가 냉각된다. 여기에서, 냉각 유체는 스페이서(36)의 통로 구멍(37)을 통과하여 플레이트 부재(5)에 제공된 입구(28)에 도달한다. 입구(28)로부터 유입된 냉각 유체는 플레이트 부재(5)의 냉각 도관을 통과함으로써 추가적인 표면(26)으로 유출된다. 냉각 유체는 특히, 스페이서(36)에 의해 하방이 폐쇄되는 냉각 채널(29)을 통해 흐르고, 환형 채널(30) 을 통과한다. 여기에서, 냉각 유체는 구멍(31)을 통해 유동함으로써 출구(32)에 도달한다.
따라서, 형성면(6)이 냉각된다.
출구(32)로부터, 냉각 유체는 환형 내부 공간(22)으로 유동하고, 환형 내부 공간(22)으로부터 횡방향 통로(23)로 유동하여 복귀 공간(24)에 도달한다. 복귀 공간은 베이스 부재(33)에 형성된 출구 도관(35)과 유체 연통하여서, 냉각 유체가 암형 몰드(1)로부터 흘러나올 수 있다.
환형 내부 공간(22)에서 유동할 때, 냉각 유체는 형성 캐비티(3)를 측방향으로 구획하는 성형면(9)을 냉각시킨다. 환형 형성 부재(4)의 반경 방향 돌기부(14)가 안착면(19) 상에 놓이게 되어 감소된 변형 위험을 받기 때문에, 축방향으로 반경 방향 돌기부(14)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환형 내부 공간(22)이 형성 캐비티(3)를 가능한 크게 축방향 부분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횡방향 통로(23)는 종래의 암형 몰드와 비교하여 센터링 돌기(10)에 더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플레이트 부재(5)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오목한 물체의 영역이 효과적으로 냉각될 수 있기 때문에 냉각 효율을 증가시킨다.
도 5 내지 도 8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암형 몰드(101)를 도시한다. 암형 몰드(1)의 부분과 공통인 암형 몰드(101)의 부분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이미 사용된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암형 몰드(101)는 플레이트 부재(105), 환형 형성 부재(104) 및 주변 환형 부품(115)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 발생된 것과 달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환형 형성 부재(104)는 주변 환형 부품(115)과 플레이트 부재(105) 사이에 부분적으로 개재된다.
특히, 환형 형성 부재(104)에는 도 5에 도시된 측면 부속물(40)이 제공되며, 상기 측면 부속물(40)은 플레이트 부재(105)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환형 형성 부재(104)의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측면 부속물(40)은 축선(Z)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접합면(16)은 플레이트 부재(105)와 대면하는 주변 환형 부품(115)의 부분에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접합면(16)은 사용시에 플레이트 부재(105)의 기준면(7)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주변 환형 부품(115)의 내부에는 횡단면(42)에 의해 구획되는 계단부가 또한 제공된다.
측면 부속물(40)은 암형 몰드(101)가 조립된 구조에서 횡단면(42)이 접하는 정지면(41)에 의해 그 상부가, 즉 플레이트 부재(105)로부터 가장 먼 측이 구획된다.
도시된 예에서, 주변 환형 부품(115)은 축방향 치수, 즉, 환형 형성 부재(104)의 축방향 치수와 같거나 큰 축선(Z)을 따른 치수를 갖는다. 따라서, 주변 환형 부품(115)은 환형 형성 부재(104)의 전체 축방향 연장부를 따라 환형 형성 부재(104)를 둘러쌀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주변 환형 부품(115)의 축방향 치수는 환형 형성 부재(104)의 축방향 치수보다 작을 수 있다.
주변 환형 부품(115)은 수형 몰드(2)와 대면하는 영역에 차단 링(13)이 결합할 수 있는 차단면(112)에 의해 구획되는 숄더부(43)를 구비한다.
숄더부(43)에 근접한 위치에서 주변 환형 부품(115)의 두께를 관통하는 복수의 횡방향 통로(123)가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횡방향 통로(123)는 주변 환형 부품(115)의 두께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구멍으로서 형성된다. 횡방향 통로(123)는 축선(Z)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될 수 있다. 횡방향 통로(123)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변위될 때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즉, 플레이트 부재(105)를 향해 배향될 수 있다. 횡방향 통로(123)는 주변 환형 부품(115)과 환형 형성 부재(104) 사이에 형성된 환형 도관(122)을 차단 링(13)과 주변 환형 부품(115) 사이에 형성된 복귀 공간(24)과 유체 연통시킨다.
환형 형성 부재(104)의 외부 표면에는 복수의 홈이 형성된다. 이들 홈은 주변 환형 부품(115)의 내부 표면과 함께 냉각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대응 종방향 도관(45)을 형성한다. 종방향 도관(45)은 환형 도관(122) 내로 개방된다.
종방향 도관(45)은 주변 환형 부품(115)와 환형 형성 부재(104) 사이에 형성된 적절한 통로 도관을 통해 플레이트 부재(105)의 구멍(31)과 유체 연통한다.
수형 몰드(2)에 대해 암형 몰드(101)를 중앙에 위치시키는 센터링 수단이 주변 환형 부품(115) 상에 제공된다.
이들 센터링 수단은 센터링 돌기(10)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링 돌기(10) 이외에 또는 그 대신에, 센터링 수단은 도시되지 않은 각도 타이밍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도 타이밍 돌출부는 예를 들어, 치형일 수 있고, 베이스 부재(33)에 제공된 대응 리세스에 결합하기 위해 주변 환형 부품(115) 상에 형성되어 하부 에지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주변 환형 부품(115)에는 핀(44)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제공될 수 있으며, 핀(44)은 환형 형성 부재(104)의 리세스에 결합하기에 적합하다. 이는 주변 환형 부품(115)이 환형 형성 부재(104)에 대해 사전에 정의된 각도 위치에 장착되는 것을 보장한다.
플레이트 부재(105)는 도 7 및 도 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플레이트 부재(10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플레이트 부재(5)와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완전히 유사하다. 플레이트 부재(105)는 주로 추가적인 면(26)에 홈(38)이 제공되기 때문에 플레이트 부재(5)와 다르다. 특히, 원형의 홈일 수 있는 홈(38)은 도 5에 도시된 밀봉 개스킷(39)을 수용하는데 적합하다. 밀봉 개스킷(39)은 플레이트 부재(105)와 환형 형성 부재(104) 사이의 임의의 실질적인 액체 누출을 방지한다.
조립된 구성에서, 플레이트 부재(105)는 가능한 스페이서(36)가 삽입된 상태에서 베이스 부재(33)에 의해 지지된다.
플레이트 부재(105) 상에는 환형 형성 부재(104)가 놓인다. 특히, 환형 형성 부재(104)의 접촉면(8)은 플레이트 부재(105)를 구획하는 기준면(7)의 제1 부분 또는 내부 부분에 접한다. 플레이트 부재(105) 및 환형 형성 부재(104)는 형성 캐비티(3)를 구획한다.
차단 링(13)은 암형 몰드(1)의 지지체에 주변 환형 부품을 잠금하기 위해 주변 환형 부품(115)과 결합된다. 특히, 차단 링(13)은 숄더부(43)를 구획하는 차단면(112)에 접한다. 차단 링(13)은 플레이트 부재(105)에 접하는 주변 환형 부품(115)을 가압한다. 특히, 접합면(16)은 기준면(7)의 제2 부분 또는 외부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주변 환형 부품(115)의 횡단면(42)은 환형 형성 부재(104)의 정지면(41)과 대면하여, 환형 형성 부재는 플레이트 부재(105)와 주변 환형 부품(115) 사이에 유지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형성면(6)은 플레이트 부재(105)의 돌기(46)를 구획한다. 돌기(46)의 베이스에는 오목부(depression)와 일치하는 리세스 영역 또는 환형 영역(47)이 제공된다. 환형 영역(47)은 몰딩 중에 형성 캐비티(3) 내부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환형 영역(47)은 그리스 등과 같이, 개스킷(39)을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임의의 물질의 통과를 차단하여 이러한 물질이 형성 캐비티(3)를 향해 역류하여 그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암형 몰드(101)의 작동 중에, 냉각 유체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부재(104) 상에 제공된 입구(28)에 도달한다. 여기에서 냉각 채널(29), 환형 채널(30) 및 구멍(31)에 의해 형성된 냉각 도관을 통과함으로써, 냉각 유체는 환형 형성 부재(104)에 도달한다. 냉각 유체는 형성 캐비티(3)의 측방향을 냉각하기 위해 종방향 도관(45)을 통과한 다음 환형 도관(122), 횡방향 통로(123) 및 복귀 공간(24)을 통해 유동함으로써 암형 몰드(101)로부터 냉각 유체가 유출된다.
암형 몰드(101)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전술한 이점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암형 몰드는 형성 캐비티(3)가 개선된 방식으로 냉각되도록 하며, 특히, 수형 몰드(2) 근처의 형성 캐비티(3)를 측방향으로 구획하는 표면의 냉각을 향상시킨다.
이는 주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환형 형성 부재(104)가 단일의 우세한 기능, 즉, 형성 캐비티(3)에서 몰딩되는 오목한 물체를 성형하는 기능을 갖는다는 점에 기인한다. 그러나, 환형 형성 부재(104)는 암형 몰드(101)의 다른 부재와 관련하여 어떠한 지지 또는 차단 기능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환형 형성 부재(104)의 두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냉각 유체는 형성 캐비티(3)에 매우 근접하여 형성 캐비티(3) 내에서 형성되는 물체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종방향 도관(45)이 개방되어 있는 환형 도관(122)은 환형 형성 부재(104)의 상부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어서, 수형 몰드(2) 근방에 배치된 형성 캐비티(3)의 구역이 또한 냉각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암형 몰드(101)와 유사한 추가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암형 몰드(201)를 도시하며, 암형 몰드(201)는 주로 플레이트 부재 및 환형 형성 부재 각각에 제공되는 형성면 및 성형면의 구조가 상이하다.
특히, 암형 몰드(201)는 성형면(209)이 제공된 환형 형성 부재(204)를 포함하며, 환형 형성 부재는 형성 캐비티(3) 내에서 형성되는 오목한 물체의 측벽(가능하게는 변조-방지 링이 제공될 수 있음)을 외부에서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암형 몰드(201)는 또한 성형면(206)이 제공된 플레이트 부재(205)를 포함하며, 플레이트 부재는 오목한 물체의 횡방향 벽뿐만 아니라 횡방향 벽과 측벽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영역을 외부에서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오목한 물체의 측벽뿐만 아니라 측벽과 횡방향 벽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영역은 둘 다 환형 형성 부재에 의해 외부에서 형성되는 반면, 플레이트 부재는 오목한 물체의 횡방향 벽만을 외부에서 형성하도록 의도된다.
이에 따라, 형성면(206)은 횡방향 벽을 성형하기에 적합한 실질적으로 편평한 중앙 부분을 포함하고, 중앙 부분은 오목한 물체의 측벽과 횡방향 벽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영역을 성형하는데 적합한 만곡된 연결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다.
몰딩면(206)은 플레이트 부재(205)의 두께로 관통하는 리세스를 구획한다.
기준면(7)은 형성면(206)을 둘러싸고 있다. 기준면(7)에는 홈(38)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홈(38)은 밀봉 개스킷(39)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홈으로서 형성되는 리세스 환형 영역(247)은 기준면(7) 상에 제공될 수 있다. 환형 영역(247)은 홈(38)에 대해 동심원 위치에 배치되고, 홈(38)보다 형성면(206)에 더 가깝다. 환형 영역(247)은 몰딩 중에 형성 캐비티(3) 내부에 포획된 임의의 공기의 통기구로서 작용한다. 또한, 환형 영역(247)으로 인해, 개스킷(39)을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그리스 또는 다른 유사한 물질이 형성 캐비티(3)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된다.
암형 몰드(201)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립되고 작동된다. 또한, 암형 몰드(201)는 전술한 몰드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미 개시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2)

  1. 내부에서 오목한 물체가 형성될 수 있는 형성 캐비티(3)를 갖는 암형 몰드(1; 101; 201)로,
    - 축선(Z)을 중심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선(Z)을 중심으로 형성 캐비티(3)를 구획하는 환형 형성 부재(4; 104; 204);
    - 상기 축선(Z)에 횡방향으로 형성 캐비티(3)를 구획하고, 형성 캐비티(3) 외부에서 상기 축선(Z)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준면(7)을 갖는 플레이트 부재(5; 105; 205);
    - 환형 형성 부재(4; 104; 20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주변 환형 부품(15; 115)을 포함하며,
    플레이트 부재(5; 105; 205)의 기준면(7)의 제1 부분에 환형 형성 부재(4; 104; 204)가 접하는, 암형 몰드에 있어서,
    주변 환형 부품(15; 115)은 플레이트 부재(5; 105; 205)의 기준면(7)의 제2 부분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5; 105; 205)는 표면(25) 및 상기 표면(25)에 대향하는 추가적인 표면(26)에 의해 구획되며, 상기 형성면(6; 206)은 상기 추가적인 표면(26) 상에 제공되고, 상기 형성면(6; 206)은 상기 축선(Z)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며, 중합체 재료를 성형하기 위해 중합체 재료와 접촉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기준면(7)은 상기 추가적인 표면(26) 상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5; 105; 205)는 상기 축선(Z)을 중심으로 연장되고 상기 표면(25)을 상기 추가적인 표면(26)과 연결하는 측면(27)에 의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7)은 상기 형성면(6; 206)을 둘러싸는 원형 크라운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5.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7)은 편평한 표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6. 임의의 선행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형 부품(15)은 상기 환형 형성 부재(4)와 플레이트 부재(5) 사이에 클램핑되어서, 상기 환형 형성 부재(4)가 플레이트 부재(5)를 향하여 주변 환형 부품(15)을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형 부품(15)은 상기 플레이트 부재(5)에 인접한 환형 형성 부재(4)의 부분을 둘러싸고, 상기 주변 환형 부품(15)은 서로 대향하는 접합면(16) 및 지지면(19)에 의해 축방향으로 구획되며, 상기 접합면(16)은 상기 기준면(7)의 제2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환형 형성 부재(4)는 상기 지지면(19) 상에 놓이는 반경 방향 돌기부(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수형 몰드(2)에 대해 암형 몰드(1)를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센터링 수단(10)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 수단(10)은 상기 환형 형성 부재(4) 상에서 얻어지며, 상기 센터링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돌기(1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부재(5)에 대해 환형 형성 부재(4) 및 주변 환형 부품(15)을 차단하기 위해 차단면(12)을 가압하기에 적절한 차단 링(13)을 또한 포함하고, 차단 링(13)이 작용하는 차단면(12)은 환형 형성 부재(4) 상에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형성 부재(104; 204)는 상기 주변 환형 부품(115)와 플레이트 부재(105; 205) 사이에 개재된 부분을 구비하여, 주변 환형 부품(115)은 환형 형성 부재(104; 204)가 플레이트 부재(105; 205)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형 부품(115)은 환형 형성 부재(104;204)의 전체 축방향 연장부를 따라 환형 형성 부재(104;204)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형 부품(115)와 플레이트 부재(105; 205) 사이에 개재된 상기 환형 형성 부재(104; 204)의 부분은 측면 부속물(40) 상에서 얻어지며, 상기 측면 부속물(40)은 플레이트 부재(105; 205)와 접촉하여 배치된 환형 형성 부재(104; 204)의 영역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주변 환형 부품(115)은 상기 측면 부속물(40)에 접하는 내측 계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형 몰드(2)에 대해 암형 몰드(101; 201)를 중앙에 위치시키기 위한 센터링 수단(10)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센터링 수단(10)은 상기 주변 환형 부품(115) 상에서 얻어지며, 상기 센터링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원형 돌기(10)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형 형성 부재(104; 204) 및 주변 환형 부품(115)과 플레이트 부재(105; 205)와의 접촉을 유지하기 위해 차단면(112)을 가압하기에 적절한 차단 링(13)을 또한 포함하고, 차단 링(13)이 작용하는 차단면(112)은 주변 환형 부품(115) 상에서 얻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주변 환형 부품(115)의 숄더부(43)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5; 105; 205)는,
    - 냉각 유체용 입구(28)로, 상기 입구(28)는 플레이트 부재(5; 105; 205)의 표면(25)의 중앙 영역에서 얻어지며, 상기 표면(25)은 암형 몰드(1; 101; 201)의 베이스(33, 36)와 대면하는, 냉각 유체용 입구(28);
    - 냉각 유체용 복수의 출구(31)로, 상기 복수의 출구(31)는 플레이트 부재(5; 105; 205)의 추가적인 표면(26) 상에서 얻어지며, 상기 추가적인 표면(26)은 상기 표면(25)과 대향하고, 몰딩 캐비티(3)와 대면하는, 냉각 유체용 복수의 출구(31);
    - 상기 입구(28)를 상기 복수의 출구(31)와 연결하는 복수의 냉각 도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각 도관은 상기 입구(28)로부터 유래하는 복수의 반경 방향 채널(29), 상기 반경 방향 채널(29)이 개방되는 환형 채널(30) 및 플레이트 부재(5; 105; 205)의 두께를 관통하는 복수의 구멍(31)을 포함하여, 환형 채널(30)이 상기 복수의 출구(31) 각각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환형 부품(15)은 상기 환형 형성 부재(4)와 플레이트 부재(5) 사이에 클램핑되어서, 상기 환형 형성 부재(4)가 플레이트 부재(5)를 향해 주변 환형 부품(15)을 가압시키고, 상기 암형 몰드는 상기 환형 형성 부재(4)와 주변 환형 부품(15) 사이에 개재된 환형 내부 공간(22)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환형 내부 공간(22)은 플레이트 부재(5)의 출구와 유체 연통하고, 상기 암형 몰드(1)는 상기 축선(Z)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통로(23)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횡방향 통로(23)는 상기 환형 형성 부재(4)와 주변 환형 부품(15)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횡방향 통로(23)는 형성 캐비티(3)로부터 냉각 유체를 멀어지게 이동시키기 위해 환형 내부 공간(22)을 주변 환형 부품(15)을 둘러싸는 복귀 공간(24)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형성 부재(104; 204)는 상기 주변 환형 부품(115)과 플레이트 부재(105; 205) 사이에 개재된 부분을 구비하여, 주변 환형 부품(115)은 환형 형성 부재(104; 204)가 플레이트 부재(105; 205)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암형 몰드는 환형 형성 부재(104; 204)와 주변 환형 부품(115)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종방향 도관(45)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종방향 도관(45)은 플레이트 부재(5)의 출구(31)와 유체 연통하고, 환형 형성 부재(104; 204)와 주변 환형 부품(115) 사이에 형성된 환형 도관(122)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암형 몰드(101; 201)는 주변 환형 부품(115)의 두께를 관통하여 상기 축선(Z)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횡방향 통로(123)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통로(123)는 형성 캐비티(3)로부터 냉각 유체를 멀어지게 이동시키기 위해 환형 도관(122)을 주변 환형 부품(115)을 둘러싸는 복귀 공간(24)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5; 105)는 상기 오목한 물체의 횡방향 벽을 외부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형성면(6)을 포함하며, 상기 환형 형성 부재(4; 104)는 상기 오목한 물체의 측벽을 외부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9)을 포함하고, 환형 형성 부재(4; 104)의 성형면(9)은 또한 상기 오목한 물체의 횡방향 벽과 측벽 사이의 결합 영역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면(9)은 플레이트 부재(5; 105)의 돌기(46) 상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46)는 기준면(7)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형성면(9)은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부재(205)는 상기 오목한 물체의 횡방향 벽을 외부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형성면(206)을 포함하며, 상기 환형 형성 부재(204)는 상기 오목한 물체의 측벽을 외부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성형면(209)을 포함하고, 플레이트 부재(205)의 형성면(206)은 또한 상기 오목한 물체의 횡방향 벽과 측벽 사이의 결합 영역을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면(206)은 플레이트 부재(205)의 두께를 관통하는 리세스를 구획하고, 상기 리세스는 기준면(7)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형 몰드.
KR1020187025925A 2016-03-15 2017-03-15 암형 몰드 KR102195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UA2016A001670A ITUA20161670A1 (it) 2016-03-15 2016-03-15 Stampo femmina.
IT102016000026937 2016-03-15
PCT/IB2017/051503 WO2017158530A1 (en) 2016-03-15 2017-03-15 A female mou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961A true KR20180111961A (ko) 2018-10-11
KR102195793B1 KR102195793B1 (ko) 2020-12-29

Family

ID=5608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925A KR102195793B1 (ko) 2016-03-15 2017-03-15 암형 몰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1241808B2 (ko)
EP (1) EP3429813B1 (ko)
JP (1) JP6732929B2 (ko)
KR (1) KR102195793B1 (ko)
CN (1) CN107186939B (ko)
BR (1) BR112018068002B1 (ko)
CA (1) CA3014518C (ko)
IT (1) ITUA20161670A1 (ko)
MX (1) MX2018010745A (ko)
RU (1) RU2731090C2 (ko)
TW (1) TWI761334B (ko)
WO (1) WO2017158530A1 (ko)
ZA (1) ZA2018053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1676A1 (it) * 2016-03-15 2017-09-15 Sacmi Metodo ed attrezzo per assemblare uno stampo femmina, e disposizione di stampo femmina.
TW202122239A (zh) * 2019-10-03 2021-06-16 義大利商沙克米機械合作伊莫拉公司 用於在壓縮成型機中製造封閉件之模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5852A (en) * 1977-08-01 1981-05-05 National Can Co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plastic article
JPH01280516A (ja) * 1989-03-24 1989-11-10 Toyo Seikan Kaisha Ltd 圧縮成形装置
KR20020024299A (ko) * 2000-05-05 2002-03-29 밍고티 루시아노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캡을 압축성형에 의해서 제조하는카루셀형 장치
US6390800B1 (en) * 2000-06-01 2002-05-21 Unique Mould Makers Limited Apparatus for removing threaded parts from plastic injection molds
JP2008074110A (ja) * 2007-10-31 2008-04-03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物品の圧縮成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4905B (it) * 1994-09-19 1997-07-25 Sacmi Apparecchiatura per la fabbricazione di articoli di materiale plasticoin particolare tappi a vite, mediante stampaggio a pressione.
US20040180107A1 (en) * 2003-03-14 2004-09-16 Zeno Zuffa Mould for plastics items
TWI281889B (en) * 2003-07-09 2007-06-01 Radiant Opto Electronics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direct-press injection molding optical formation product
US7431582B2 (en) 2005-06-17 2008-10-07 Rexam Closure Systems Inc. Molding machine
US7381049B2 (en) * 2006-03-08 2008-06-03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Injection mold
KR101042295B1 (ko) * 2010-08-12 2011-06-17 동신산업(주) 캐비티와 코어 교체식 발포 폼 성형 금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5852A (en) * 1977-08-01 1981-05-05 National Can Coporation Process for forming a plastic article
JPH01280516A (ja) * 1989-03-24 1989-11-10 Toyo Seikan Kaisha Ltd 圧縮成形装置
KR20020024299A (ko) * 2000-05-05 2002-03-29 밍고티 루시아노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캡을 압축성형에 의해서 제조하는카루셀형 장치
US6390800B1 (en) * 2000-06-01 2002-05-21 Unique Mould Makers Limited Apparatus for removing threaded parts from plastic injection molds
JP2008074110A (ja) * 2007-10-31 2008-04-03 Japan Crown Cork Co Ltd 合成樹脂物品の圧縮成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UA20161670A1 (it) 2017-09-15
BR112018068002A2 (pt) 2019-01-15
CN107186939A (zh) 2017-09-22
BR112018068002B1 (pt) 2022-07-26
TWI761334B (zh) 2022-04-21
EP3429813A1 (en) 2019-01-23
ZA201805389B (en) 2019-11-27
WO2017158530A1 (en) 2017-09-21
KR102195793B1 (ko) 2020-12-29
EP3429813B1 (en) 2021-12-01
RU2018130602A3 (ko) 2020-04-15
JP2019508295A (ja) 2019-03-28
US20190084190A1 (en) 2019-03-21
CA3014518C (en) 2021-05-11
JP6732929B2 (ja) 2020-07-29
US11241808B2 (en) 2022-02-08
CN107186939B (zh) 2020-07-03
RU2018130602A (ru) 2020-04-15
RU2731090C2 (ru) 2020-08-28
MX2018010745A (es) 2019-01-14
CA3014518A1 (en) 2017-09-21
TW201736075A (zh)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771B2 (en) Gasket assembly with improved locating and retention pi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102106228B1 (ko) 통합적 압력 보상 수단을 구비하는 마개 플러그
KR20180111961A (ko) 암형 몰드
KR102262318B1 (ko) 유체 제어 조립체
JPH03181630A (ja) ガススプリング
US11433570B2 (en) Method and a tool for assembling a female mould and a female mould arrangement
CN110023051B (zh) 轮胎模具及轮胎模具的制造方法
KR101795346B1 (ko) 사출금형용 냉각수 칸막이판이 포함된 냉각홀 마개
CN210548002U (zh) 下模锁定结构及所应用的轮毂模具
US10247175B2 (en) Wax-motor with high cycle life
KR101797675B1 (ko) 금형용 냉각수 마개
CN206436445U (zh) 在阴模中使用的板元件
KR200246817Y1 (ko) 타이어용 가류금형
US20130065500A1 (en) Sealing Element And Vehicle Heating/Air-Conditioning Unit
KR200394858Y1 (ko) 금형의 냉각수 누수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