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956A -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956A
KR20180111956A KR1020187025901A KR20187025901A KR20180111956A KR 20180111956 A KR20180111956 A KR 20180111956A KR 1020187025901 A KR1020187025901 A KR 1020187025901A KR 20187025901 A KR20187025901 A KR 20187025901A KR 20180111956 A KR20180111956 A KR 20180111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intensity
particle diameter
physical condition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즈야 이이나가
Original Assignee
메디컬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컬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메디컬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1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46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analyt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ions, cytochr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6Evaluating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8Artificial waveform generation or derivation, e.g. synthesising signals from measured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61B2562/0238Optical sens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transmission measurements on body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Obes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과제] 대사성 질환의 조기 발견이나 영양 지도, 신체상태 관리의 진단을 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생체 외로부터 생체 내를 향하여 소정의 광 강도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조사부에 의한 광의 조사 위치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생체로부터 방출되는 광 강도를 검출하는 광 강도 검출부와,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광 강도에 근거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산란계수 산출부와, 산란계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혈액 내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입자 직경 산출부와,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신체상태를 판단하는 신체상태 판단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신체상태 관리장치(physical condition management device)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민의 의료비는 앙등하여, 의료비의 억제는 국가 혹은 국민에 있어서 큰 과제다. 의료비의 3분의 1은 생활 습관병에 기인하는 질환의 치료비용이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국민의료비의 억제, 건강수명의 향상, QOL(Quality of Life)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특정 검진이 시행되는 동시에, 미병(未病)에 대한 사고방식이 보급되어 왔다.
특히, 특정 검진의 스크리닝 대상인 대사증후군은, 내장지방 비만의 축적을 원인으로 하는 인슐린 저항성으로부터 발생하는 당뇨병, 지질 이상증, 고혈압을 발증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대사증후군의 조기 발견이 중증화 예방이나 QOL의 향상, 나아가 국민의료비의 억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슐린 저항성이 생활 습관병의 조기 발견에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특정 검진에서는 복부둘레 계측으로부터 인슐린 저항성의 위험성을 예측하는 것밖에 방법이 없었다.
최근, 인슐린 저항성과 식후 고지혈증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식후 고지혈증이 인슐린 저항성을 야기할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다. 식후 고지혈증은, 대사증후군의 원류가 되는 대사이상이라고 여겨진다. 따라서, 이 식후 고지혈증은, 대사증후군의 초기 단계(미병)를 발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맥 경화의 위험인자로서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면, 비 공복 시의 중성 지방 농도가 높아지면 관상동맥질환의 발증 위험성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혈액 중의 지질은, 높은 소수성으로 인해, 양친매성의 인지질에 덮인 마이셀(micelle)을 형성하고, 입자 형상으로 존재한다. 혈액 중의 지질에는, 그 표면에 지질단백질이 결합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지질단백질(lipoprotein)이라고 불리는 것도 있다.
지질단백질은, 그 비중으로부터 크게 4종류로 분류된다. 지질단백질은 비중이 가벼운 순서대로 암죽미립(chylomicron: CM), VLDL, LDL 및 HDL로 분류된다. 또한, 지질단백질은 입자 직경이 큰 순서대로 CM, VLDL, LDL 및 HDL로 분류된다.
지질단백질은 콜레스테롤이나 중성 지방(TG)의 집합체이다. 혈액검사에서는 각 지질단백질의 구성 성분의 최소단위가 되는 중성 지방이나 콜레스테롤을 계측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나쁜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리는 LDL 콜레스테롤은, LDL입자에 포함되는 콜레스테롤 농도이다. LDL 입자 중의 TG을 계측하면 LDL-TG가 된다.
또 지질은 원래 4종류 존재하고 있다. 지질 중에서도 LDL 콜레스테롤이나 HDL 콜레스테롤은, 각각 동맥 경화에 관련되는 지표임이 알려져 있다.
또한, 지질단백질의 소형화가 대사증후군을 표현하고 있다고 한다. 종래의 기술에는, 피험자로부터 채취한 피검시료 중의 sdLDL(small, dense LDL)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여 대사증후군을 검출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한편, 대형 지질단백질인 CM이나 VLDL은 임상 현장에 있어서, 적극적으로 계측되고 있지 않다. 또한, 지질단백질의 대형화와 임상적 혹은 건강 평가로서의 의의는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다른 측정 방법으로서, 지질단백질 프로파일 상의 파형 해석에 의해 지질단백질의 대사 동태의 각각의 표현형을 하위분류로 하여 피검 시료로부터 분리 추출하는 공정과, 분리된 지질단백질 하위분류의 정량을 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지질단백질 하위분류의 분석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JP 2007-304012 A JP 2002-139501 A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의 기술은 채혈한 단계에서의 검사 방법이며, 시간 변화에 의한 검사 방법은 아니다.
특허문헌 1은, 혈청 중의 sdLDL을 계측하여, 대사증후군의 검출을 하는 방법이다.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생체의 대사 혼란에 의해 통상의 LDL보다 소직경화한 LDL, 즉, sdLDL이 생산된다. 특허문헌 1에서는 sdLDL의 농도를 조사함으로써 대사증후군을 발견한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방법은 채혈이나 혈청분리 등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의사의 지시나 전용 장치가 필요하게 되어, 가정 등에서 가볍게 검사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서는, 혈청 중에 포함되는 지질단백질 입자 직경 분포를 HPLC법 등의 크로마토그램으로 계측함으로써, CETP 결손, sdLDL 농도 등을 검사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방법으로는, 채혈한 단계에서의 핀 포인트의 정보밖에 얻어지지 않아, 일상적으로 계속해서 변화되는 생체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근대 사회에 있어서는, 하루 3번의 식사를 섭취하게 되면, 일반적으로는 깨어 있는 시간의 대부분은 식후 상태가 된다. 대사성 질환은 식후의 혈액 상태에 의해 진전된다. 그 때문에, 공복 시 1회만의 채혈로는, 대사성 질환의 스크리닝으로서는 불충분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신체상태 판단을 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신체상태 관리장치는, 생체 외로부터 생체 내를 향하여 소정의 광 강도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조사부에 의한 광의 조사 위치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생체로부터 방출되는 광 강도를 검출하는 광 강도 검출부와,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광 강도에 근거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산란계수 산출부와, 산란계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혈액 내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입자 직경 산출부와,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신체상태를 판단하는 신체상태 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은, 생체 외로부터 생체 내를 향하여 소정의 광 강도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 공정과, 조사 공정에 의한 광의 조사 위치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생체로부터 방출되는 광 강도를 검출하는 광 강도 검출 공정과, 광 강도 검출 공정에 의해 검출된 광 강도에 근거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산란계수 산출 공정과, 산란계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혈액 내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입자 직경 산출 공정과,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신체상태를 판단하는 신체상태 판단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신체상태 관리장치는, 생체 외로부터 생체 내를 향하여 소정의 광 강도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조사한 광의 광 강도의 조사 검출간 거리에 따른 감쇠를 계측하기 위해서, 조사부에 의한 광의 조사 위치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혹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생체로부터 방출되는 광 강도를 검출하는 광 강도 검출부와, 상기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광 강도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지니는 사용자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로서, 사용자 장치로부터 송신된 광 강도에 근거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산란계수 산출부와, 산란계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혈액 내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입자 직경 산출부와,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신체상태를 판단하는 신체상태 판단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계측에 의해, 대사성 질환의 조기 발견이나 영양 지도, 신체상태 관리의 진단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혈액의 광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혈중 지질에 의한 광의 산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증가에 수반되는 산란계수의 변화량을 계측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CM/VLDL-TG와 흡광도의 상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산란계수와 흡광도의 상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건강한 사람을 측정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를 이용해서 간 기능 이상자를 측정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지질단백질 농도의 일내변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전체 지질단백질 중의 TG 농도와의 상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CM 및 VLDL 중의 TG 농도와의 상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총 콜레스테롤량의 일내변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은 원자간력 현미경에 의한 혈청의 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지질단백질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지질단백질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체격이 다른 남녀에게, OFTT 크림을 동일 양을 섭취시킨 시험의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중성 지방 증가량과 입자 직경 변화량의 상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세로축을 평균입자 직경변화로 변환한 도면이다.
도 16은 지방의 흡수 시간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7은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과 혈당을 동시에 계측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 간의 대사 기능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그 작동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는, CPU(연산수단)와 메모리 장치(RAM이나 ROM 등의 기억 수단)를 지니고, 이 메모리 장치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도 1의 블록도에 나타낸 장치로서 기능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1)는, 생체(도면 중의 A)의 밖으로부터 생체 안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2)와, 생체 밖의 소정의 검출 위치(31)에 있어서의 광 강도를 검출하는 광 강도 검출부(3)와, 광 강도 검출부(3)에 의해 검출된 광 강도에 근거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μs')를 산출하는 산란계수 산출부(4)와, 산란계수 산출부(4)에 의해 산출된 광의 산란계수(μs')에 근거하여, 혈액 내에 있어서의 지질단백질 등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입자 직경 산출부(5)와,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계시적인 변화에 근거하여 신체상태를 판단하는 신체상태 판단부(102)를 구비하는 신체상태 관리 계측기(10)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사부(2)는, 생체 외로부터 생체 내를 향하여, 소정의 조사 위치(21)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22)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광원(22)은 조사하는 광의 파장을 조정할 수 있다. 광원(22)은 파장 범위를 혈장의 무기물에 의해서 광이 흡수되는 파장범위 이외로 조정할 수 있다. 광원(22)은, 혈액의 세포성분에 의해서 광이 흡수되는 파장범위 이외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혈액의 세포성분이란, 혈중의 적혈구, 백혈구 및 혈소판이다. 혈장의 무기물이란, 혈중의 물 및 전해질이다.
도 2는 혈액의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혈장의 무기물에 의해 광을 흡수하는 파장범위란, 주로,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혈장의 무기물에 의한 광의 흡수가 강한 범위다. 마찬가지로, 혈액의 세포성분에 의해 광을 흡수하는 파장범위란, 주로,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혈액의 세포성분에 의한 광의 흡수가 강한 범위다. 이들 이외의 파장범위에서는, 혈장의 무기물에 의한 광의 흡수나 혈액의 세포성분에 의한 광의 흡수는, 실험이나 생체계측 수준에 있어서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22)의 파장범위는 혈장의 무기물에 의해 광을 흡수하는 파장범위를 고려해서 약 1400㎚ 이하, 및, 약 1500㎚ 내지 약 186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원(22)의 파장범위는, 혈액의 세포성분에 의해 광이 흡수되는 파장범위를 고려해서 약 580㎚ 내지 약 1400㎚ 및 약 1500㎚ 내지 약 1860㎚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원(22)으로 채용할 수 있는 파장범위를, 도 2의 A 및/또는 B를 제외한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후술하는 광 강도 검출부(3)에 의해 검출되는 광에 있어서, 혈장의 무기물에 의한 광의 흡수의 영향, 및, 혈액의 세포성분에 의해 광의 흡수의 영향을 억제한다. 이에 의해, 물질을 특정할 만큼의 흡수는 존재하지 않고, 흡수에 의한 광 에너지 손실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진다. 그 때문에, 혈중의 광은 혈중의 지질에 의한 산란에 의해서 멀리까지 전파되고, 체외로 방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조사부(2)는, 후술하는 산란계수 산출부(4)에 의한 산란계수(μs')의 산출 방법에 따라서, 광의 연속적인 조사나 광의 펄스 형상의 조사 등의 광을 조사하는 시간길이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조사부(2)는 조사하는 광의 강도 또는 광의 위상을 임의로 변조할 수 있다.
조사부(2)는 파장이 고정된 광원(22)을 이용해도 된다. 조사부(2)는 파장이 다른 복수의 광원 혹은 복수의 파장의 광을 혼합한 것이어도 된다.
광 강도 검출부(3)는, 생체로부터 생체 외로 방출되는 광을 수광하여, 그 광 강도를 검출한다. 복수의 광 강도 검출부(3)를 이용할 경우에는, 광 강도 검출부(3)는 조사 위치(21)를 거의 중심으로 해서 각각 다른 거리에 설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사 위치(21)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동일면 상에서 또한 직선 형상으로, 제1 광 강도 검출부(31) 및 제2 광 강도 검출부(32)가 순서대로 나열된다. 광 강도 검출부(3)는 CCD, CMOS 등의 수광 소자이어도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사 위치(21)로부터 제1 광 강도 검출부(31)에 의한 제1 검출 위치(331)까지의 거리를 제1 조사 검출간 거리(ρ1)라고 하고, 조사 위치(21)로부터 제2 광 강도 검출부(32)에 의한 제2 검출 위치(332)까지의 거리를 제2 조사 검출간 거리(ρ2)라고 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을 생체에 조사하는 조사 위치(21)와, 생체 중의 혈액(도면 중의 E)으로부터 방출되는 광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 위치(31)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ρ)를 둔다. 소정의 거리(ρ)를 두는 것에 의해, 조사한 광(도면 중의 A)이 생체 표면 및 표면 근방의 산란체에 의해 반사하여 직접적으로 생체로부터 방출되는 광(도면 중의 B)의 영향을 억제한다. 조사한 광이, 지질단백질 등의 지질이 존재하는 깊이에 도달한 뒤, 혈액 중의 지질(도면 중의 D)에 의해 광이 반사한다. 지질에 의한 광의 반사에 의한 산란을 거쳐, 생체로부터 방출되는 후방 산란광(도면 중의 C)에 의한 광 강도를 검출한다. 또한, 조사 위치(21)와 검출 위치(31)의 거리(ρ)를 길게 함으로써, 광로 길이는 길어진다. 이 때문에, 지질과의 충돌 횟수가 늘어나고, 검출되는 광은 산란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거리(ρ)를 길게 하는 것에 의해, 지금까지는 약하고 검출하기 어려웠던 산란의 영향을 파악하기 쉬워진다.
계측 대상인 지질단백질은, 아포단백질 등에 덮인 구 형상 구조를 하고 있다. 지질단백질은 혈중에 있어서 고체와 같은 상태로 존재한다. 지질단백질은 광을 반사하는 성질을 지닌다. 특히, 입자 직경이나 비중이 큰 암죽미립(CM)이나 VLDL 등은 중성 지방(TG)을 많이 포함하고, 광을 보다 산란시키기 쉬운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광 강도 검출부(3)에 의해 검출되는 광 강도에는, 지질단백질에 의한 광의 산란의 영향이 포함된다.
한편, 복수의 검출 위치(31)를 마련할 경우의 배열은, 조사 위치(21)를 거의 중심으로 해서 각각 다른 거리에 배치되는 것이라면 적선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상, 파형, 지그재그 형상 등,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조사 위치(21)로부터 검출 위치(31)까지의 제1 조사 검출간 거리(ρ1)나 제2 조사 검출간 거리(ρ2), 검출 위치(331, 332)끼리의 간격은, 일정한 간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연속적이어도 된다.
산란계수 산출부(4)는, 광 강도 검출부(3)에 의해 검출된 광 강도에 근거하여 생체(혈액, 피부, 근육 등을 포함함)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μs')를 산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광 강도 검출부(3)에 의해 검출된 광 강도에는, 지질단백질에 의한 광의 산란의 영향이 포함된다. 그로부터 산란계수(μs')를 산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산란계수(μs')는, 일반적인 산란 과정의 효율을 수치화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산란 현상을 고려해서 산란의 영향을 일정한 조건하에서 수치화한 것도 포함한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산란계수 산출부(4)는 광 강도비 산출부(42), 광 강도차 산출부(43)의 2개의 산출부를 지닌다.
광 강도비 산출부(42)는, 복수의 광 강도 검출부(3)에 의해 검출된 광 강도의 각각의 비로부터 산란계수(μs')를 산출한다. 광 강도비 산출부(42)는, 조사한 광이, 검출 위치(33)까지의 거리를 멀게 함에 따라서 산란에 의해 감쇠해가는 산란 현상에 근거하여 산란계수(μs')를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사부(2)에 의해 소정의 광 강도의 연속광을 조사하고, 제1 광 강도 검출부(31)에 의해 검출된 제1 광 강도(R(ρ1))와, 제2 광 강도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제2 광 강도(R(ρ2))의 비로부터, 산란계수(μs')를 산출한다 (수식 1).
(수식 1)
Figure pct00001
광 강도차 산출부(43)는, 복수의 광 강도 검출부(3)에 의해 검출된 광 강도의 차로부터 산란계수(μs')를 산출한다. 광 강도비 산출부(42)와 마찬가지로, 조사한 광이, 검출 위치(33)까지의 거리를 멀게 함에 따라서 산란에 의해 감쇠해가는 산란 현상에 근거하여 산란계수(μs')를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광 강도차 산출부(43)는, 제1 검출 위치(331) 및 제2 검출 위치(332)에 있어서의 광 강도(R(ρ1))과 광 강도(R(ρ2))의 차로부터 산란계수(μs')를 산출한다(수식 2).
(수식 2)
Figure pct00002
또한, 산란계수 산출부(4)에 의한 산란계수(μs')의 산출 방법은, 상기의 각 산출에 의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입자 직경 산출부(5)는, 산란계수 산출부(4)에 의해 산출된 산란계수(μs')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혈액 중의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산란계수(μs')의 변화량과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관계에 대해서 통계 데이터를 취하고, 산란계수(μs')의 변화량과, 통계 데이터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실제의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한다.
또, 통계 데이터의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성별, 신장, 체중, BMI 등으로 분류하여도 되고, 표나 그래프, 함수식 등을 이용해서 산출해도 된다.
여기서,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이란, ㎚단위로 표기되는 입자 직경을 말한다.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은, 대략, CM: 80 내지 1000㎚, VLDL: 30 내지 80㎚, LDL: 18 내지 25㎚, HDL: 7.5 내지 10㎚이다.
여기서 말하는 평균입자 직경이란, 이하의 변화·조건을 포괄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지질단백질은 4종류 존재하고, 입자의 수의 변화도 산란에 영향을 준다. 또한, 4종류의 지질단백질 입자수도 조금이지만 변동한다. 즉, 대입자의 수의 증감으로 평균입자 직경은 변화되고, 소립자의 수의 증감으로도 평균입자 직경은 변화된다. 따라서, 대입자가 대형화(혹은, 소형화)해도 평균입자 직경은 변화되고, 소립자가 대형화(혹은, 소형화)해도 평균입자 직경은 변화된다.
산란계수(μs')로부터,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을 산출하는 방법으로서, 동적 광 산란법(이하, 간단히 DLS법이라고도 칭함)과의 상관을 보는 방법이 있다. DLS는 동적 광 산란으로, 현탁액 중의 입자의 평균입자 직경과 입자 수 분포를 계측하는 장치이다.
도 4a에, 산란계수의 변화량으로부터 혈중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하기 위한 검량선을 나타낸다. 이는 25㎚ 내지 500㎚의 라텍스 입자를 생체의 지질단백질 분포를 상정하여 임의로 혼합한 경우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과 산란계수(μs')의 변화량의 상관도이다. 또한, 라텍스 농도는 250㎎/dL 정도이다. 도 4a에 나타내는 검량선에서는, 혈액이 현탁되기 전과 현탁 후의 산란계수의 차의 값(Δμs')으로부터, 증가한 평균치 입자 직경(Δ입자 직경)을 구한다.
혈청 중의 CM/VLDL-TG의 흡광도(ABS)를 계측하면, 도 4b와 같이 상관성이 보인다. 또한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란계수(μs')와 흡광도의 사이에는 상관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b에서 ABS가 0.05인 경우에는, 산란계수(μs')의 변화량도 0.05/㎜가 된다. 도 4a로부터, 75 내지 100㎚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 변화를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신체상태 관리가 가능하다. 이에 의해, 종래의 지질검사가 아니더라도, 간편하게 신체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신체상태란, 운동 효과의 확인이나, 식사에 의한 영양흡수나, 투약·보조식품 등에 의한 영양흡수 조절 효과의 확인이나, 건강관리 등을 포괄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실시형태의 비침습에 의한 신체상태 관리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나타낸다. 채혈 후의 CM/VLDL-TG 농도와 변동한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이 연동해서 움직이고 있다. 이로부터, 비침습 계측이 가능한 것이나, 산란계수(μs')의 계측이 가능한 것이나, 산란계수(μs')로부터 도출되는 지질단백질 입자의 변동되는 입자 직경의 계측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지질농도를 계측하지 않더라도, 건강한 사람(도 5a)과 간 기능 이상자(도 5b)의 구별을 할 수 있다.
신체상태 관리 계측기(10)는, 산란계수 산출부(4) 및 입자 직경 산출부(5)에 의해 산출된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취득하고,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지질대사 상태나 신체상태를 판단한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 계측기(1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자 직경 산출부(5)에 통신회선 등을 개재하여 접속된다. 신체상태 관리 계측기(10)는, 입자 직경 산출부(5)에 의해 산출된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소정 시간마다 취득하는 산출치 취득부(101)와, 산출치 취득부(101)에 의해 취득된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에 따라서 지질대사 상태나 신체상태를 판단하는 신체상태 판단부(102)를 포함한다.
또, 산출치 취득부(101)가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취득하는 시간간격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시간 간격은, 검사 대상에 따라서 몇 초 간격부터 몇 십분 간격, 혹은 그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취득은, 통신회선을 개재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입자 직경 산출부(5)에 의해 산출된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수기 입력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자 직경 산출부(5)와 신체상태 관리 계측기(10)를 별체로 하여 구성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신체상태 판단부(102)는, 산출치 취득부(101)에 의해 취득된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피험자의 신체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이 최대치가 될 때까지의 시간은, 위나 소장에 의한 지질의 소화·흡수를 나타내고 있다. 그 시간의 길이에 따라서 건강한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또한,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이 공복 시와 같은 값이 될 때까지의 시간으로부터, 간에 의한 지방분해능력을 판단한다. 최종적으로는, 이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건강상태의 종합적인 판단을 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질단백질 농도의 일내변동은, CM 및 VLDL이 가장 크다.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 지질단백질 중의 TG 농도와의 상관은 양호하다고는 하기 어렵다. 그러나,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CM 및 VLDL 중의 TG 농도와의 상관은 양호한 점으로부터도, 혈액의 산란계수(μs')의 변화는, CM 및 VLDL 중의 TG 농도와 양호하게 상관됨을 알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의 일내변동에서는, 총 콜레스테롤량은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CM 및 VLDL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이들에 포함되는 콜레스테롤량은 거의 변화되지 않는다. 즉, 지질단백질의 1입자에 포함되는 콜레스테롤 증가가 없고, TG 농도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지질단백질의 1입자당의 입자 직경이, TG 농도의 증가분에 따라서 변동하고 있다고 여겨진다.
그 때문에, 측정 대상의 CM 및 VLDL 각각의 콜레스테롤량에 대한, 각 TG 농도가,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를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즉,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증가(Δ입자 직경)에 따른 산란계수의 변화량(Δμs')은, 이하의 관계가 성립한다.
(수식 3)
Figure pct00003
여기서, CM-TG는 암죽미립 입자 중의 TG 농도를 나타내고, CM-C는 암죽미립 입자 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내며, VLDL-TG는 VLDL 입자 중의 TG 농도를 나타내고, VLDL-C는 VLDL 입자 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다.
도 4a는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증가(Δ입자 직경)에 따른 산란계수의 변화량(Δμs')을 실제로 계측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가 비교적 갖추어져 있는 평균입자 직경 200㎚까지의 2차 방정식(예를 들면, y=4×10-5x2-0.0016x+0.0047)에 의해 환산하는 것에 의해, 산란계수의 변화량(Δμs')으로부터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Δ입자 직경)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고지혈증에는 1형 내지 5형이 존재하고, 이 형에 의해 지질입자에 변화가 보이는 고지혈증의 형태가 특정된 경우에는, 상기 수식 3을 하기 수식 4로 변형시켜, 형에 따른 계수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다.
(수식 4)
Figure pct00004
여기서, A는 CM의 산란강도 보정계수를 나타내고, B는 VLDL의 산란강도 보정계수를 나타내며, CM-TG는 암죽미립 입자 중의 TG 농도를 나타내고, CM-C는 암죽미립 입자 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내고, VLDL-TG는 VLDL 입자 중의 TG 농도를 나타내며, VLDL-C는 VLDL 입자 중의 콜레스테롤 농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는, 생체 내에 펄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 인가부를 포함해도 된다. 지질입자는 대전되어 있고, 지질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제타전위가 다르다. 이 성질을 이용하여, 전류 인가부에 의해, 체외로부터 체내로 펄스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CM 혹은 VLDL을 진동시킨다. 이에 의해 산란계수에 변화가 생기고, 보다 정확하게 지질단백질의 분포를 계측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부(102)는,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생체의 대사 상태를 판단하고, 신체상태를 판단한다. 대형 지질단백질은 대사 속도가 비교적 빠른 점으로부터, 대사에 관련되는 장기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부(102)는, 혈중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체류 시간으로부터, 동맥 경화의 위험성을 판단한다. 이는 동맥 경화의 재료가 되는 지질이 혈액 내에 장시간 체류함으로써 혈관에 축적되기 쉬워진다는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부(102)는, 혈중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인슐린 분비의 시기를 판단한다. 혈중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와 혈당값을 동시에 계측하면, 혈당이 피크가 되는 시간에서, 지질농도의 상승 및 지질단백질에 의한 산란의 상승이 일시적으로 억제된다. 이것은 인슐린이 분비되는 타이밍과 일치하고 있어, 체내에서, 지질보다 인슐린 분비가 우선되는 현상을 포착하고 있다. 이것은, 인슐린의 활성이 증가함으로써, 모세혈관의 LPL 활성이 증가하고, CM의 대사 속도(소립자화)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부(102)는, 인슐린 분비의 시기로부터 인슐린의 분비 지연을 판정하고, 인슐린 저항성을 검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부(102)는 인슐린 저항성으로부터 당뇨병을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슐린 저항성으로부터, 혈당 컨트롤의 이상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당뇨병의 검사나 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부(102)는, 혈중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증가로부터, 식사에 의한 지질흡수량(중성 지방 농도의 증가량)을 구한다. 지방부하식 등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흡수량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져, 체질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부(102)는, 미리 준비된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통계 데이터를 격납하고, 해당 통계 데이터와, 검지된 지방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이상의 유무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 결과에 근거해서 신체상태를 판단하여, 영양 지도, 복약 관리를 행한다. 지방의 흡수량에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지질의 흡수 억제제 등, 약효가 발휘되는 투약량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음식 조합 등의 연구에 의한 영양흡수 관리에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의 순서도이다.
조사 공정(S101)에서는, 조사부(2)를 이용하여 조사 위치(21)에 대하여 연속광을 조사한다.
광 강도 검출 공정(S102)에서는, 제1 광 강도 검출부(31)를 이용하여 제1 검출 위치(331)에 있어서의 광 강도를 검출하는 동시에, 제2 광 강도 검출부(32)를 이용하여 제2 검출 위치(332)의 광 강도를 검출한다. 제1 검출 위치(331) 및 제2 검출 위치(332)에서 검출된 광 강도는, 산란계수 산출 공정으로 보내진다.
산란계수 산출 공정(S103)에서는, 제1 검출 위치(331)에 있어서의 제1 광 강도와, 제2 검출 위치(332)에 있어서의 제2 광 강도와의 광 강도 차 혹은 광 강도비를 산출하고, 해당 광 강도 차 혹은 광 강도비에 근거하여 산란계수(μs')를 산출한다. 산출한 산란계수(μs')는 입자 직경 산출 공정으로 보내진다.
입자 직경 산출 공정(S104)에서는, 산란계수(μs')의 변화량으로부터, 혈중의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한다.
산출치 취득 공정(S105)에서는, 산출된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통신회선을 개재하여 취득하고, 신체상태 판단 공정으로 보낸다.
신체상태 판단 공정(S106)에서는,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에 근거하여, 신체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이 최대치, 최대치가 될 때까지의 시간, 및 최대치를 거쳐 공복 시의 값으로 돌아갈 때까지의 시간, 지질의 흡수량 등을 얻는다.
그리고, 각 값이, 미리 준비된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통계 데이터와, 계측된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비교를 하여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정상치이면 정상치라고 판단하고, 정상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라면, 신체상태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예를 들면,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최대치가 정상치 내에 있을 경우에는, 지질의 기초대사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정상치 밖에 있을 경우에는,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마찬가지로,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이 최대치가 될 때까지의 시간이 정상치 내에 있을 경우에는, 위나 소장에 의한 지질의 소화·흡수 기능은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정상치 밖에 있을 경우에는, 위나 소장에 의한 어떠한 소화·흡수 기능의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이 공복 시와 같은 값이 될 때까지의 시간이 정상치 내에 있을 경우에는, 간에 의한 지방분해능력이 정상이라고 판단하고, 정상치 밖일 경우에는 이상이라고 판단한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혈중의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생체의 대사 상태를 계측한다. 대형 지질단백질은 대사 속도가 비교적 빠른 점으로부터, 대사에 관련되는 장기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혈중의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체류 시간으로부터, 동맥 경화의 위험성을 판단한다. 이는 동맥 경화의 재료가 되는 지질이, 혈액 내에 장시간 체류함으로써, 혈관에 축적하기 쉬워진다는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혈중의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인슐린 분비의 시기를 판정한다. 혈중의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 변화와 혈당치를 동시에 계측하면, 혈당이 피크가 되는 시간에서, 지질의 상승이 일시적으로 억제된다. 이것은 인슐린이 분비되는 타이밍과 일치하고 있어, 체내에서 지질보다 인슐린 분비가 우선되는 현상을 포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인슐린 분비의 시기로부터 인슐린 저항성을 검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슐린 분비 시간을 계측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인슐린의 분비 지연 등의, 인슐린 저항성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인슐린 저항성으로부터 당뇨병을 조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슐린 저항성을 검출할 수 있다면, 혈당 컨트롤에 이상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 되기 때문에, 당뇨병의 검사나 관리에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혈중의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증가로부터, 식사에 의한 지질흡수량을 구한다. 지방부하식 등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흡수량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체질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혈중의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증가로부터, 미리 준비된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통계 데이터를 격납하고, 해당 통계 데이터와, 검지된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을 비교하여, 영양흡수의 개인차를 조사하고, 영양 지도, 복약 관리를 행한다. 영양의 흡수에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지질의 흡수 억제제 등, 약효가 발휘되는 투약량을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음식 조합 등의 연구에 의한 영양흡수 관리에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체외로부터 체내에 펄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 인가 공정을 마련함으로써, CM 혹은 VLDL을 진동시킴으로써 산란계수에 변화를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지질단백질의 분포를 계측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작동 방법에 따르면, CM, VLDL 등의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 변화의 계측에 의해, 영양흡수율의 개체차나, 피로도 체크나, 당뇨병 관리나, 대사증후군 관리나, 간 기능 검사나, 동맥 경화의 위험성 관리를 계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사성 질환의 조기 발견이나 영양 지도, 신체상태 관리의 진단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구성은, 상기 실시 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구성과 공통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상이한 부분을 주로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사부(2)와, 광 강도 검출부(3)와 산란계수 산출부(4)와 입자 직경 산출부(5)와, 신체상태 관리 계측기(10)를 일체로서 구성한 예, 및, 조사부(2)와 광 강도 검출부(3)와 산란계수 산출부(4)와 입자 직경 산출부(5)와, 신체상태 관리 계측기(10)를 별체로서 구성한 예를 나타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2)와 광 강도 검출부(3)를 사용자 장치로서 구성하고, 산란계수 산출부(4)와 입자 직경 산출부(5)와 산출치 취득부(101)와 신체상태 판단부(102)를 신체상태 관리장치로서 구성한 시스템으로 하여도 된다.
도 19는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 시스템에 이용되는 사용자 장치(110)와 신체상태 관리장치(120)는, CPU(연산 수단)와 메모리 장치(RAM이나 ROM 등의 기억 수단)를 각각 포함하고, 이 메모리 장치에 격납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도 19의 블록도에 나타낸 장치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 시스템은, 광 강도를 측정하는 사용자 장치(110)와, 해당 광 강도로부터 신체상태를 판단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120)로 구성된다. 사용자 장치(110)와 신체상태 관리장치(120)는, 무선 또는 유선통신망(N)을 개재하여 네트워크 접속된다.
신체상태 관리장치(120)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송신된 광 강도에 근거해서 소정의 처리를 행하여, 신체상태의 판단을 하기 위한 장치이며, 구체적으로는 퍼스널 컴퓨터나, 장치의 대수나 송수신하는 데이터량에 따라서는 서버 장치가 적절히 이용된다.
사용자 장치(110)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장치이며, 단독의 장치인 경우도 있고, 휴대전화, 손목시계 등에 탑재되는 경우도 있다.
사용자 장치(110)는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2)와 광 강도 검출부(3)와 통신부(110a)를 지닌다. 통신부(110a)는 광 강도 검출부(3)에서 검출된 광 강도를 송신한다. 조사부(2)와 광 강도 검출부(3)의 기능·동작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다.
신체상태 관리장치(120)는 통신부(120a)와 산란계수 산출부(4)와, 입자 직경 산출부(5)와, 산출치 취득부(101)와, 신체상태 판단부(102)를 포함한다. 통신부(120a)는, 통신부(110a)로부터 송신된 광 강도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N)을 개재하여 수신하고, 산란계수 산출부(4)에 송신한다. 산란계수 산출부(4)와 입자 직경 산출부(5)와 산출치 취득부(101)와 신체상태 판단부(102)의 기능·동작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장치(110)로부터 신체상태 관리장치(120)에, 네트워크(N)를 개재하여 광 강도를 송신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장치(110)와 신체상태 관리장치(120)가, 네트워크(N)를 개재하지 않고 직접 접속되어, 유선통신이나 무선통신 등의 수단에 의해 광 강도를 송신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는, 생체 외로부터 생체 내를 향하여 소정의 광 강도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와, 조사한 광의 광 강도의 조사 검출간 거리에 따른 감쇠를 계측하기 위해서, 조사부에 의한 광의 조사 위치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혹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생체로부터 방출되는 광 강도를 검출하는 광 강도 검출부와,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광 강도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이며, 사용자 장치로부터 송신된 광 강도에 근거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산란계수 산출부와, 산란계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혈액 내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입자 직경 산출부와,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신체상태를 판단하는 신체상태 판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에 있어서, 조사 위치와 광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 위치가 소정의 조사 검출간 거리를 두고 마련되어 있어, 광 강도 검출부가 혈액 내의 지질에 의해 산란된 후방 산란광에 의한 광 강도를 검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에 있어서, 조사부가 연속광을 발하는 광원이며, 광원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그 조사 위치를 거의 중심으로 해서 각각 다른 거리에 설치된 복수의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각각의 검출 위치에 있어서의 광 강도를 검출하고, 산란계수 산출부는, 각각의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각각의 광 강도의 비, 또는 각각의 광 강도의 차에 근거해서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신체상태 판단부는,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동맥 경화의 위험성, 간의 대사 기능 또는 피로도를 판단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신체상태 판단부는,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인슐린 분비의 시기를 판정하고, 해당 인슐린 분비의 시기부터 인슐린 저항성을 계측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는 생체 내에 펄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 인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신체상태 관리장치에 있어서, 지질은 암죽미립 또는 VLDL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1)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계측
식후에 증가하는 지질단백질은 CM과 VLDL이다. 그 밖의 지질단백질은 일내변동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제로 식후의 지질을 계측한 경우에, 중성 지방(TG)은 측정값에 변화가 보인다. 그렇지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레스테롤은 일정하다. 즉 TG 농도의 일내변동은, 대형입자인 CM, VLDL 중의 TG 농도 변화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지방부하 전(도면 중의 (a)), 지방부하 후 60분(도면 중의 (b)), 180분(도면 중의 (c))의, 원자간력 현미경에 의한 혈청의 화상이다. 흰 점이 지질단백질이다. 도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식후 180분(도면 중의 (c))에서는, 입자의 대형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1 및 도 12는 지질단백질의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있어서, A는 VLDL이고, B는 암죽미립이며, C는 HDL이고, D는 LDL이다. 또한, a는 콜레스테롤이며, b는 TG를 나타낸다. 콜레스테롤 농도가 일정하고 중성 지방(TG) 농도가 증가한다는 것은, 도면 중의 A, B, C, D의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이 커짐으로써, 지질에 의한 산란이 증가했다고 여겨진다. 특히 식후에는, A, B의 입자 직경 증대가 추정되고, 이들은 입자 직경이 큰 점으로부터, 산란 강도에의 영향이 크다고 여겨진다.
도 12에 있어서, A는 암죽미립이며, B는 식후의 암죽미립이다. 또한, a는 콜레스테롤이며, b는 TG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질단백질의 1입자당의 평균입자 직경의 증가에는 한계가 있어, 무한히 커지는 것은 아니다. 즉, 같은 암죽미립(CM)이라도 격납고가 빈 상태가 비교적 작은 것(도면 중의 A)부터, 가득 찬 비대한 암죽미립(CM)(도면 중의 B)이 존재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계측하고 있는 식후의 산란의 상승은, 지질단백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상승을 나타내게 된다. 그 때문에, 산란계수는 (CM-TG)/(CM-TC)+(VLDL-TG)/(VLDL-TC)로 양호한 상관을 나타낸다.
(실시예 1) 지방흡수율의 개체 차이
종래, 약의 흡수율 체크나 지방부하시험 등은 체표면적 등에 의해 투여량을 보정하여, 혈중 농도가 일정해지는 바와 같은 추정을 행하였다.
그러나,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중이 90㎏ 이상인 남성(도면 중의 B)과, 체중이 50㎏ 이하인 여성(도면 중의 A)이, 모두 OFTT 크림을 160g 섭취한 바, 남성(도면 중의 B)은 100㎎/dL 이상 중성 지방(TG) 농도가 증가했지만, 여성(도면 중의 A)은 50㎎/dL 정도의 중성 지방(TG)농도의 상승에 그쳤다. 즉, 동일 성분의 영양분을 동량 섭취해도, 명확한 개인차가 존재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 중성 지방 증가량은, 입자 직경의 변화량으로 환산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도 14와 같이 된다. 그 때문에, 도 13은, 도 15의 그래프로 전환될 수 있어서,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으로 신체상태 관리도 가능하며, 중성 지방 농도로 환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부터, 본 실시예의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지방을 흡수하기 쉬운 등의 체질이 시각화됨으로써, 개인의 영양관리 지도 등의 활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지질의 흡수억제제의 효과 등도, 본 실시예의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계측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2) 피로도 체크
도 16은, 40대의 남성 1명을 피험자로 해서, 한쪽은 철야 후의 피로 상태(도면 중의 B)와, 잔업이 없는 통상근무 상태(도면 중의 A)에서 지방의 흡수 시간을 비교한 도면이다.
피험자에게, OFTT 크림을 160g 섭취하게 하고 비교한 바, 도 1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경시 변화에 차이가 보였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면,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경시 변화로부터 몸의 어떠한 부진을 시각화하여, 제3자에게 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매일의 흡수 패턴을 기록함으로써, 신체상태 관리나 건강 상담에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3) 당뇨병 관리/대사증후군 관리
본 실시예에서는,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연속 측정을 행하면서, 일내변동이 큰 혈당과 동시 계측을 행하였다. 식사는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사를 하게 하고, 1일의 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혈중의 CM, VLDL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은 혈당값과 가까운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면의 A는 식사, B는 인슐린 분비, C는 공복감을 나타낸다. 또한, 인슐린이 분비된 타이밍(도면 중의 B)에서 지질의 혈중 배출이 억제되는 것으로부터, 인슐린 분비의 타이밍을 아는 것에 의해, 대사증후군의 원류인 인슐린 저항성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피험자가 공복감을 느낀 타이밍(도면 중의 C)에서, CM, VLDL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저하와 함께 혈당도 저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을 이용해서 CM, VLDL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경시 변화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당뇨병의 조기 발견이나 관리도 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간 기능 검사
지질은 간에서 대사되는 점으로부터, 지질대사 시간 등의 평가 지표는, 간 기능 평가에의 사용 가능성을 검증했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사로부터 지방간이라고 진단받은 피험자(도면 중의 A)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는, 건강한 사람(도면 중의 B)보다 지연되고 있어, 간의 대사 기능이 평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음주자의 경우에, 건강진단에 있어서 GOT=26U/L, GPT=30U/L로, 기준값 내인 피험자에게서도 지질대사 지연이 보였지만, 반년 후의 건강진단에서, GOT38U/L,GPT=68U/L로 간 기능 검사치에 이상이 나타나, 에코 검사에서 경도의 지방간이라는 진단이 내려졌다.
이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의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이 종래의 혈액검사보다 우수한 간 기능 검사가 되는 것이 나타났다.
(실시예 5) 동맥 경화의 위험성 관리
본 실시예의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혈중의 CM, VLDL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 및 체류 시간을 월 단위로 적산하는 것에 의해, 장래의 동맥 경화의 발증 예측에도 사용 가능하다.
1: 신체상태 관리장치 2: 조사부
3: 광 강도 검출부 4: 산란계수 산출부
5: 입자 직경 산출부 10: 신체상태 관리 계측기
101: 산출치 취득부 102: 신체상태 판단부
21: 조사 위치 22: 광원
31: 제1 광 강도 검출부 32: 제2 광 강도 검출부
33: 검출 위치 331: 제1 검출 위치
332: 제2 검출 위치 42: 광 강도비 산출부
43: 광 강도차 산출부

Claims (20)

  1. 신체상태 관리장치(physical condition management device)로서,
    생체 외로부터 생체 내를 향하여 소정의 광 강도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
    조사한 광의 광 강도의 조사 검출간 거리에 따른 감쇠를 계측하기 위해서, 상기 조사부에 의한 광의 조사 위치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혹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생체로부터 방출되는 광 강도를 검출하는 광 강도 검출부;
    상기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광 강도에 근거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산란계수 산출부;
    상기 산란계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혈액 내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입자 직경 산출부; 및
    상기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신체상태를 판단하는 신체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위치와 상기 광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 위치가 소정의 조사 검출간 거리를 두고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광 강도 검출부가 혈액 내의 지질에 의해 산란된 후방 산란광에 의한 광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가 연속광을 발하는 광원이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당해 조사 위치를 거의 중심으로 하여 각각 다른 거리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각각의 검출 위치에 있어서의 광 강도를 검출하고,
    상기 산란계수 산출부는, 각각의 상기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각각의 광 강도의 비 또는 상기 각각의 광 강도의 차에 근거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상태 판단부는, 상기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동맥 경화의 위험성, 간의 대사 기능 또는 피로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상태 판단부는, 상기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인슐린 분비의 시기를 판정하고, 상기 인슐린 분비의 시기로부터 인슐린 저항성을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내에 펄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암죽미립(chylomicron) 또는 VLD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8.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으로서,
    생체 외로부터 생체 내를 향하여 소정의 광 강도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 공정;
    조사한 광의 광 강도의 조사 검출간 거리에 따른 감쇠를 계측하기 위해서, 상기 조사 공정에 의한 광의 조사 위치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혹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생체로부터 방출되는 광 강도를 검출하는 광 강도 검출 공정;
    상기 광 강도 검출 공정에 의해 검출된 상기 광 강도에 근거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산란계수 산출 공정;
    상기 산란계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혈액 내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입자 직경 산출 공정; 및
    상기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신체상태를 판단하는 신체상태 판단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위치와 상기 광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 위치가 소정의 조사 검출간 거리를 두고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광 강도 검출 공정에서는, 혈액 내의 지질에 의해 산란된 후방 산란광에 의한 광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공정에서는, 연속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당해 조사 위치를 거의 중심으로 해서 각각 다른 거리에 설정된 각각의 검출 위치에 있어서의 각각의 광 강도를 검출하고,
    상기 산란계수 산출 공정에서는, 상기 각각의 광 강도의 비 또는 상기 각각의 광 강도의 차에 근거하여,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상기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동맥 경화의 위험성, 간의 대사 기능 또는 피로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상태 판단 공정에서는, 상기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인슐린 분비의 시기를 판정하고, 상기 인슐린 분비의 시기로부터 인슐린 저항성을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암죽미립 또는 VLD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
  14. 생체 외로부터 생체 내를 향하여 소정의 광 강도로 광을 조사하는 조사부; 상기 조사한 광의 광 강도의 조사 검출간 거리에 응한 감쇠를 계측하기 위해서, 상기 조사부에 의한 광의 조사 위치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혹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생체로부터 방출되는 광 강도를 검출하는 광 강도 검출부; 및 상기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광 강도를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에,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로서,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광 강도에 근거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산란계수 산출부;
    상기 산란계수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혈액 내의 지질의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을 산출하는 입자 직경 산출부; 및
    상기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신체상태를 판단하는 신체상태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위치와 상기 광 강도를 검출하는 검출 위치가 소정의 조사 검출간 거리를 두고 마련되어 있고, 상기 광 강도 검출부가 혈액 내의 지질에 의해 산란된 후방 산란광에 의한 광 강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가 연속광을 발하는 광원이고, 상기 광원으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동시에, 당해 조사 위치를 거의 중심으로 해서 각각 다른 거리에 설치된 복수의 상기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각각의 검출 위치에 있어서의 광 강도를 검출하고,
    상기 산란계수 산출부는, 각각의 상기 광 강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각각의 광 강도의 비 또는 상기 각각의 광 강도의 차에 근거하여, 생체 내에 있어서의 광의 산란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상태 판단부는, 상기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동맥 경화의 위험성, 간의 대사 기능 또는 피로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상태 판단부는, 상기 평균입자 직경의 변화량의 시간 변화로부터, 인슐린 분비의 시기를 판정하고, 상기 인슐린 분비의 시기로부터 인슐린 저항성을 계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체 내에 펄스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 인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암죽미립 또는 VLD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체상태 관리장치.
KR1020187025901A 2016-02-18 2017-02-14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11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28553A JP5984074B1 (ja) 2016-02-18 2016-02-18 体調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JP-P-2016-028553 2016-02-18
PCT/JP2017/005261 WO2017141895A1 (ja) 2016-02-18 2017-02-14 体調管理装置及びその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956A true KR20180111956A (ko) 2018-10-11

Family

ID=5684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901A KR20180111956A (ko) 2016-02-18 2017-02-14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00214B2 (ko)
EP (1) EP3417779A4 (ko)
JP (1) JP5984074B1 (ko)
KR (1) KR20180111956A (ko)
CN (1) CN108697388B (ko)
TW (1) TWI721076B (ko)
WO (1) WO20171418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9128B1 (ja) 2016-05-18 2016-11-24 メディカルフォトニクス株式会社 血中脂質濃度計測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JP7062359B2 (ja) * 2016-12-27 2022-05-06 花王株式会社 生理指標の推定方法及び推定装置並びに健康情報の推定方法及び推定装置
WO2019123559A1 (ja) * 2017-12-20 2019-06-27 メディカルフォトニクス株式会社 脂質計測装置及びその方法
KR20210004952A (ko) * 2018-04-26 2021-01-13 메디컬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지질농도 계측장치 및 그 방법
JP7093963B2 (ja) * 2018-05-22 2022-07-01 メディカルフォトニクス株式会社 血管検知装置
CN109059795B (zh) * 2018-06-29 2020-11-03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深度测量方法、深度测量装置及拍摄设备
KR20210076015A (ko) * 2018-10-17 2021-06-23 메디컬포토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입자농도 계측장치, 입자농도 계측 프로그램 및 입자농도 계측방법
JPWO2020105682A1 (ja) * 2018-11-21 2021-10-07 メディカルフォトニクス株式会社 血中脂質濃度計測装置及びその方法
JP2020106318A (ja) * 2018-12-26 2020-07-09 メディカルフォトニクス株式会社 吸収カロリー計測装置、吸収カロリー計測方法、及び、吸収カロリー計測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5061B1 (en) * 1998-11-23 2003-09-02 Abbott Laboratories Optical sensor having a selectable sampling distance for determination of analytes
JP2002139501A (ja) 2000-10-30 2002-05-17 Mass Medical Kk リポ蛋白サブクラスの分析ならびに診断方法
US7167734B2 (en) * 2001-04-13 2007-01-23 Abbott Laboratories Method for optical measurements of tissue to determine disease state or concentration of an analyte
JP3902999B2 (ja) * 2002-10-16 2007-04-11 日機装株式会社 光学的散乱特性推定装置およびその作動方法
JP2007117221A (ja) * 2005-10-25 2007-05-17 Hirato Koji Ftirを用いた非侵襲血液検査「光人間ドックシステム」
JP2007304012A (ja) 2006-05-12 2007-11-22 Denka Seiken Co Ltd 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診断方法
JP5147011B2 (ja) * 2008-08-22 2013-02-20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血清脂質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WO2014087825A1 (ja) * 2012-12-06 2014-06-12 国立大学法人北海道大学 非侵襲型生体脂質濃度計測器、非侵襲型生体脂質代謝機能計測器、非侵襲による生体脂質濃度計測方法および非侵襲による生体脂質代謝機能検査方法
WO2014152717A2 (en) * 2013-03-14 2014-09-25 Sano Intelligence, Inc. On-body microsensor for biomonitoring
JP6029128B1 (ja) * 2016-05-18 2016-11-24 メディカルフォトニクス株式会社 血中脂質濃度計測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84074B1 (ja) 2016-09-06
CN108697388B (zh) 2021-05-18
CN108697388A (zh) 2018-10-23
EP3417779A4 (en) 2019-08-28
US20190046091A1 (en) 2019-02-14
TWI721076B (zh) 2021-03-11
WO2017141895A1 (ja) 2017-08-24
JP2017144079A (ja) 2017-08-24
US11000214B2 (en) 2021-05-11
EP3417779A1 (en) 2018-12-26
TW201729759A (zh) 2017-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1956A (ko) 신체상태 관리장치 및 그 방법
US11331012B2 (en) Non-invasive biolipid concentration meter, non-invasive biolipid metabolism measuring device, non-invasive method for measuring biolipid concentration, and non-invasive method for examining biolipid metabolism
Sergi et al. Assessing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with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 free-living Caucasian older adults
US10863934B2 (en) Blood lipid concentration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Andreoli et al. New trends in nutritional status assessment of cancer patients.
US20050015002A1 (en) Integrated protocol for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bone mass degradation
Souza et al. Phase angle as a marker for muscle abnormalities 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Marinangeli et al. Use of dual X-ray absorptiometry to measure body mass during short-to medium-term trials of nutri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s
WO2020105682A1 (ja) 血中脂質濃度計測装置及びその方法
El Ghoch et al. Physical performance measures in screening for reduced lean body mass in adult females with obesity
Wells et al. Body composition in young female eating-disorder patients with severe weight loss and controls: evidence from the four-component model and evaluation of DXA
Yoshida et al. The utility of a phase angle analysis in patients with severe motor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De Lorenzo et al. A new predictive equation for evaluating women body fat percentage and obesity-relate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Peeters et al. Beyond BMI: how to capture influences from body composition in health surveys
Hung et al. Body composition following stem cell transplant: Comparison of bioimpedance and air-displacement plethysmography
Gomes et al. Appendicular lean soft tissue: development and cross-validation of predictive models for older men and women
WO2019208718A1 (ja) 脂質濃度計測装置及びその方法
KR20210157062A (ko) 근적외선 분광분석법 기반의 골밀도 측정 시스템
吉田索 et al. The utility of a phase angle analysis in patients with severe motor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Puri et al. Can neck circumference be used as a tool to identify the metabolic syndrome and insulin resistance?
Passos et al.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Anthropometric Clinical Indicators of Visceral Fat in Adults and Elderly
Klement et al. Clinical Nutrition ESPEN
Baudrand Biggs et al. The estimation of visceral adipose tissue with a body composition monitor predicts the metabolic syndrome
JP2012181070A (ja) 健康度の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