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622A - 세제 제품 - Google Patents

세제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622A
KR20180111622A KR1020180035896A KR20180035896A KR20180111622A KR 20180111622 A KR20180111622 A KR 20180111622A KR 1020180035896 A KR1020180035896 A KR 1020180035896A KR 20180035896 A KR20180035896 A KR 20180035896A KR 20180111622 A KR20180111622 A KR 20180111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chambers
chamber
footpri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8160B1 (ko
Inventor
프랑크 마이어
카트야 게르하르드스
마티아스 준더
Original Assignee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filed Critical 헨켈 아게 운트 코. 카게아아
Publication of KR2018011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1Both sheets being recessed
    • B65D75/323Both sheets being recessed and forming several compar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1Compositions releasably affixed on a substrate or incorporated into a dispensing means
    • C11D17/042Water soluble or water disintegrable containers or substrates containing cleaning compositions or additives for cleaning compositions
    • C11D17/045Multi-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C11D11/0017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2Soft surfaces, e.g. texti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파우치 챔버들 (3) 을 구비하는 필름 파우치 (2) 를 갖는, 특히 섬유 처리를 위한, 보다 구체적으로 섬유 세정을 위한 그리고/또는 섬유 세탁을 위한, 세제 제품 (1) 이 도해되고 기술되며,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은, 실링평면에서 서로 연결된 수용성 필름들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실링평면에 놓여 있는 실링섹션들 (4) 을 통해 서로 분리되고,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은 각각 세제 조제물로 채워져 있다.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파우치 챔버들 (3) 사이의 좁은 실링섹션들 (4) 을 갖는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의 콤팩트한 배치, 높은 내재적 안정성, 및 상기 세제 제품 (1) 의 보다 좋은 용해거동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세제 제품 (1) 에 있어서, 개수 n ≥ 3 을 갖는 다수의 파우치 챔버들 (3) 이 제공되고, 이때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은 적어도 하나의 단면에서 상기 단면에 대해 수직으로 있는 하나의 공통의 n회 회전축 둘레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세제 제품{DETERGENT PRODUCT}
본 발명은 각각 수용성 필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다수의 파우치 챔버들 (pouch chambers) 을 구비하는 필름 파우치 (film pouch) 를 갖는, 특히 섬유 처리를 위한, 보다 구체적으로 섬유 세정을 위한 그리고/또는 섬유 세탁을 위한, 세제 제품에 관한 것이며,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실링평면 (sealing plane) 에서 서로 연결된 수용성 필름들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실링평면에 놓여 있는 실링섹션들 (sealing sections) 을 통해 서로 분리되고,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각각 세제 조제물로 채워져 있다.
섬유 처리를 위한 일회용-1회량 포장 형태로 수용성 세제 제품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1회량 포장은 통례적으로 섬유 세탁기 안에서 섬유를 처리하기 위해 한 번만 사용된다. 상기 세제 제품은 하나 또는 다수의 파우치 챔버를 갖는 필름 파우치를 구비한다. 각각의 파우치 챔버 안에 세제 조제물이 수용되고, 상기 세제 조제물은 섬유 처리를 위한, 특히 섬유 세탁을 위한, 세탁 활성적 물질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파우치 챔버들의 사용은, 경우에 따라서는 화학적으로 서로 반응하는 또는 그 밖의 이유들로 인해 혼합되면 저장 안정적이지 않은, 여러 가지 세제 조제물들을 따로따로 유지하는 가능성을 연다. 또한, 세탁과정 내에서 다수의 여러 가지 세제 조제물들의 사용은, 예컨대 표백제, 섬유린스 또는 향료와 같은, 다수의 기능적으로 상이한 세탁물질들 및/또는 추가물질들의 방출을 허용한다. 다수의 파우치 챔버들이 제공되면, 상기 파우치 챔버들 내에서의 개별적인 세제 조제물들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농도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액체 상태로, 겔 모양으로, 페이스트 형태로, 왁스 형태로, 액체농도를 가질 수 있고, 또는, 예컨대 분말 형태로, 알갱이 형태로, 자유 유동성 형태로 또는 고체 상태로, 고체농도를 가질 수 있다. 개념 “세제 조제물”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넓게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논의되는 세제 제품이 물에 첨가된 후, 상기 필름은 용해되고, 상기 세제 조제물을 방출한다. 상기 필름 파우치는 다수의 수용성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수용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PVA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일 수 있다. 이용 가능한 필름들은 일반적으로 가소제, 물,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슬립제 (slip agents), 분리제, 쓴 맛 성분들 또는 소금과 같은 상응하는 첨가물들을 갖는 폴리비닐알코올-코폴리머들로 구성된다. 상기 필름 파우치는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 챔버의 제한벽들을 형성하는 수용성 베이스 필름 (base film) 과 수용성 커버 필름 (cover film) 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파우치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소성적으로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디프 드로잉 (deep drawing) 될 수 있다. 후속하여, 상기 베이스 필름과 상기 커버 필름은 하나 또는 다수의 실링섹션 또는 연결섹션에서 서로 실링되거나 또는 서로 연결된다. 그러면 상기 실링섹션들은 두 필름의 이른바 실링평면에 또는 연결평면에 놓여 있다.
다수의 파우치 챔버들을 갖는 세제 제품들이 예컨대 DE 10 2014 102 567 A1 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문헌에 기술된 세제 제품은 다수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챔버들은 서로 포개어 배치된 정렬로 배치될 수 있고, 즉 하나가 다른 것 위에 포지셔닝된다. 또한, 챔버들이 서로 나란히 배치되는, 즉 하나가 다른 것 옆에 포지셔닝되는 배치들이 가능하다. 챔버들은, 제 1 챔버가 제 2 챔버 옆에 있고, 하지만 상기 제 1 챔버가 상기 제 2 챔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지만 상기 제 2 챔버를 완전히 둘러싸지는 않을 정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한 챔버는 완전히 다른 챔버에 의해 둘러싸일 수도 있다. 상기 챔버들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각각, 사전 처리 조성물 또는 침지 조성물 및 다른 세척 조성물을 포함하여, 세탁물 세탁 조성물, 섬유 보호 조성물 또는 식기 세척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세제 조성물 또는 기계-식기 세척 조성물일 수도 있다. 상기 세제 조성물은 주 세척 사이클 동안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는 사전 처리 조성물 또는 침지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서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의 파우치 챔버들을 구비하는 수용성 파우치를 갖는 세제 제품은 예컨대 EP 2 617 659 B1 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2개의 분리된 챔버들은 각각 세정제로 채워져 있고, 이때 필름 파우치는, 빽빽히 서로 실링평면에서 서로 연결된 수용성 베이스 필름과 수용성 커버 필름으로 제작되어 있다.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상기 실링평면에 놓여 있는 실링섹션들을 통해 서로 분리된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파우치 챔버들을 형성하기 위해 소성적으로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디프 드로잉된다. 상기 실링평면에서 제 1 파우치 챔버는 제 1 풋프린트 (footprint) 를 구비하고, 제 2 파우치 챔버는 제 2 풋프린트를 구비한다. 상기 필름 파우치는 제 3 풋프린트를 구비하고, 이때 상기 제 1 파우치 챔버의 제 1 풋프린트는 그의 상기 제 2 파우치 챔버를 향한 측에서 오목한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파우치 챔버의 제 2 풋프린트는 그의 상기 제 1 파우치 챔버를 향한 측에서 볼록한 섹션을 구비한다. 상기 제 2 파우치 챔버의 상기 볼록한 섹션은 상기 제 1 파우치 챔버의 상기 오목한 섹션 안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 2 파우치 챔버의 상기 제 2 풋프린트는 그의 볼록한 섹션의 옆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한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오목한 섹션은 상기 제 1 풋프린트의 적어도 하나의 볼록한 섹션에 인접한다. 이 지오메트리 (geometry) 를 통해, 상기 필름 파우치의 특정한 내재적 형태안정성이 달성되어야 하고, 따라서 상기 필름 파우치를 손으로 잡고 있을 때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서로 상대적으로 접혀지지 않고 휘지 않는다. 즉,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접힘 또는 휨은 자주 상기 논의되는 세제 제품의 사용자에 의해, 추정상 나쁜 제품품질에 관한 표시로 이해된다.
기하학적으로 간단히 형성된, 서로 나란히 놓여 있는 파우치 챔버들을 갖는 세제 제품들은, 이러한 제품 디자인들은 사용자에 의해 질적으로 저품질로 간주된다는 결과를 갖고, 상기 필름 파우치의 적어도 불충분한 내재적 형태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세제 제품의 낮은 형태강성은 상기 제품의 제작 및 추후처리시 불충분한 가공성을 동반하여 나타난다.
또한, 상기 필름 파우치의 큰 풋프린트, 및 파우치 챔버들 사이의 넓은 실링섹션들은 사용자의 시점에서 볼 때 세탁과정 동안의 상기 세제 제품의 (완전한) 용해성을 의심스럽게 한다. 실제로, 세탁과정 동안의 다중챔버 캡슐들의 용해거동, 즉 용해속도와 용해도는 자주 수용성 세제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높은 기대에 상응하지 않는다. 공지의 다중챔버 캡슐들의 파우치 챔버들은 단추들 또는 아플리케와 같은 세탁물 피스들의 부분들을 위한 부착면들을 형성하고, 이는 세제 제품이 상기 세탁물 안에 걸리고, 그 후 세탁물 피스와 함께 이동되고, 세탁물 더미 위에 올라타는 것을 초래한다. 이는 세탁과정 동안 세제 제품 둘레의 비균일한 그리고 약한 흐름 (flow) 을 초래할 수 있고, 이로써 필름 재료의, 특히 상기 필름 파우치의 중앙 영역에서의 실링 이음매들의 지체된 그리고 불충분한 용해를 초래할 수 있다. 때에 따라서, 상기 파우치들이 세탁물 더미 위에 올라타고, 원형창 도어 아래로, 즉 프론트 적재기 타입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적재 개구부 아래로, 그곳에서 상당히 넓은 고무 슬리브 위로 이동되는 것이 관찰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 제조사와 타입에 따라, 상기 파우치는 물과의 매우 적은 접촉에만 노출되거나 또는 더 이상 전혀 물과의 접촉에 노출되지 않고, 이는 거의 불가피하게 파우치 잔류물을 초래한다. 또한, 고무 슬리브 위에서의 상기 파우치의 용해는 기계적 작용의 결핍을 통해 어려워진다. 이 효과는 매우 바람직하지 않고, 상기 파우치가 세탁 사이클에 있어서 세탁 드럼과의 그리고 세탁물 더미와의 접촉시 기계적 부하에 노출되어야 한다는 희망 상태와 대립하고 있다.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지오메트리 또는 형태화도 상기 공지된 세제 제품들의 최적이 아닌 (non-optimal) 용해거동에 기여하고, 이때 이웃한 파우치 챔버들 사이에 영역들이 형성되고, 상기 영역들은 보다 약한 흐름에 노출되고, 세탁과정의 끝에 충분치 않게 용해된다.
수용성 다중챔버 캡슐의 제품 디자인이, 사용자의 시점에서 볼 때 싱글챔버 캡슐에 비해 미적으로 보다 매력적으로 여겨지는 그리고 혁신적인 제품구상을 위한 표시로 이해되는 설계를 허용하기는 한다. 하지만, 다중챔버 캡슐을 제작하기 위한 필름 소비는, 파우치 챔버 안에 또는 파우치 챔버들 안에 포함된 세제 조제물의 동일한 전체량에 있어서, 싱글챔버 시스템을 제작하기 위한 필름 소비보다 10 내지 50 % 만큼 크다. 보다 높은 필름 소비는 서로 포개어 배치된 다수의 챔버를 갖는 세제 제품에 있어서는, 챔버들을 제작하기 위한 제 3 필름층의 사용에 기인할 수 있고, 서로 나란히 배치된 파우치 챔버들을 갖는 세제 제품에 있어서는, 챔버들 사이의 넓은 실링섹션들 또는 밀봉섹션들을 갖는 이웃한 파우치 챔버들의 최적화되지 않은 형태에 기인할 수 있다. 보다 높은 필름 소비는 보다 높은 제작비용을 초래한다. 또한, 높은 필름 소비는 사용자의 계속해서 높아지는 환경의식 및 자원 절약적 제작방법에 대한 소망과 모순된다.
상기에서 기술된 선행기술에서 출발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높은 내재적 형태안정성을 구비하는, 특히 섬유 세탁기 안에서의 개선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또한 특히 세탁과정 동안의 개선된 용해거동을 포함하는, 동종 세제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은 특히 높은 용해속도 및 섬유 세탁기 안에서의 미리 정해져 있는 세탁과정 동안 가능한 한 잔류물이 없는 용해로 특징지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 세제 제품은 간단한 방식으로 비용절감적으로 그리고 자원 절약적으로 좋은 가공성에 있어서 제작될 수 있어야 하고, 혁신적인 제품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의 높은 요구를 충족시켜야 한다.
상기 언급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도입부에서 언급된 종류의 세제 제품에 있어서, 개수 n ≥ 3 을 갖는 다수의 파우치 챔버들이 제공되는 것이 제안되고, 이때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적어도 하나의 단면 (sectional plane) 에서 상기 단면에 대해 수직으로 있는 하나의 공통의 n회 (n-fold) 회전축 둘레에 배치된다. 상기 회전축 둘레로 360°/n 의 각도 만큼의 상기 필름 파우치의 또는 상기 세제 제품의 회전을 통해, 상기 단면에서의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면적들과 관련하여,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배치는 다시 그 자체와 일치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필름 파우치가 또는 상기 세제 제품이 상기 회전축 둘레로 회전하면, 그리고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배치가 360°/n 만큼의 회전시 본질적으로 시작상태에 대해 구별할 수 없는 채로 있으면, 상기 필름 파우치는 본 발명의 의미에서 n회 회전축을 갖는다. 예컨대 3회 회전축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둘레로 각각 120°의 각도 만큼의 상기 필름 파우치의 회전은,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단면적들이 상기 단면에서 각각 다시 그 자체와 일치하게 되는 것을 초래한다. 이때, 상기 단면에서의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단면적들과 관련하여,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총 3개의 대칭 동치적 (symmetry-equivalent) 또는 본질적으로 합동인 (congruent) 배열체들이 생긴다.
개념 “세제 제품”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넓게 이해되어야 하고, 특히 식기 세척을 위해 자동 식기 세척기 안에서 사용되는 제품들도 포함한다. 개념 “세제 조제물”은 그렇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넓게 이해되어야 하고, 예컨대 기계 식기 세척제 및 린스 보조제도 포함한다. 섬유 세탁기 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사용과 관련된 하기의 실시들은 상응하여, 자동 식기 세척기 안에서의 사용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구현형태에도 적용되며, 이에 관해서는 상세히 다루지 않는다.
적어도 3개의 파우치 챔버들을 갖는 필름 파우치의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회전대칭적 구현형태는, 높은 내재적 안정성으로 특징지어진 제품 디자인을 초래한다. 제작시, 처리시 및 사용시 상기 파우치 챔버들 상호간의 접힘 또는 휨이 명백히 감소될 수 있고, 따라서 가공성이 개선되고,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은 사용자에 의해 특히 고급으로 여겨진다.
또한, 하나의 공통의 n회 회전축 둘레로의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배치를 통해, 미적으로 매력적인 제품 디자인이 달성될 수 있고, 이는 높은 사용자 수용 (user acceptance) 에 기여한다.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흐름 최적화되어 형성될 수 있고, 흐름 최적화되어 서로 상대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이는 섬유 세탁기 안에서의 사용시, 필름 재료의 빠른 그리고 가능한 한 가장 완전한 용해와 관련하여 상기 파우치 챔버들 주위의 그리고 상기 파우치 챔버들 위로의 균일한 그리고 집중적인 흐름을 초래한다.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특히, 단추들 및/또는 아플리케와 같은 세탁물 부분들을 위한 보다 적은 부착면들이 만들어질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은 세탁물 부분들에 잘 걸리지 않고, 이를 통해 세탁과정 동안 보다 집중적으로 움직여지고, 따라서 세탁과정 동안 물과의 충분히 많은 접촉이 보장된다.
결국, 매우 콤팩트한 구성으로 특징지어진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그리고 그들 상호간의 배치의 구현형태들이 가능하다. 상기 콤팩트한 구성은 감소된 재료소비를 초래한다. 제작 공정 및 포장 공정이 간단해진다.
또한, 상기 제품 디자인, 즉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기하학적 구현형태, 그들의 크기 및 그들 상호간의 배치는 이웃한 챔버들 사이의 매우 좁은 실링섹션들을 제공할 수 있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크기의 감소를 초래하고, 이로써 상기 세제 제품의 제작 및 운반을 위해 이용된 장치들과 기계들의 장치용량 및 기계용량의 최대 이용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세제 제품의 외관의 가치가 높아진다.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하나 또는 다수의 실링섹션에서 서로 실링된 적어도 2개의, 바람직하게는 다만 2개의, 필름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만 서로 나란히 놓여 있는 그리고 서로 분리된 파우치 챔버들이 제공되고, 중첩되는/서로 겹치는 파우치 챔버들이 제공되지 않고, 따라서 상기 필름 파우치의 제작은 다만 2개의 필름층을 통해 가능하다. 이는 감소된 제작비용 및 감소된 제작 복잡성을 초래한다. 상기 필름 파우치는, 빽빽히 서로 상기 실링평면에서 연결된 수용성 베이스 필름과 수용성 커버 필름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필름은, 소성적으로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파우치 챔버들을 형성하기 위해 디프 드로잉될 수 있다.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상기 실링평면에 놓여 있는 실링섹션들을 통해 서로 분리된다. 상기 실링섹션들은 특히 비직선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렇게 상기 세제 제품의 원하는 높은 내재적 형태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상기 필름 파우치의 외부윤곽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일 수 있고, 삼각형일 수 있거나 또는 사각형일 수 있다. 상기 형태화는 예컨대 레이저절단 또는 펀칭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필름 파우치의 다른 외부윤곽들이 배제되지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상기 실링평면에서 동일한 풋프린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풋프린트들은 상기 실링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있는 하나의 공통의 n회 회전축 둘레에 배치되고, 이때 n 은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개수이다. 디프 드로잉 다이 안에서의 베이스 필름의 소성적 변형을 통해 그리고 후속하는 커버 필름과의 연결을 통해 상기 파우치 챔버들을 제작할시, 상기 풋프린트들의 형태와 크기는 상기 디프 드로잉 다이의 챔버 공동들의 윤곽들을 통해 미리 정해져 있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의 “동일한”은 상기 풋프린트들의 동일한 형태와 크기 또는 상기 풋프린트들의 근사적으로 동일한 형태와 크기, 즉 본질적으로 일치하는 형태와 크기를 포함하고, 따라서 상기 회전축 둘레로의 상기 필름 파우치의 n회 회전시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상기 풋프린트들의 본질적으로 대칭 동치적인 외관들이 발생한다. “풋프린트들의 본질적으로 대칭 동치적인 외관들”은, 본 발명의 의미에서 특히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의 합동 정도가 시작상태에서의 0°위치로부터 시작하여 360°/n 만큼 상기 필름 파우치의 회전 후, 예컨대 3회 회전축에 있어서 120°만큼 상기 필름 파우치의 회전 후, 각각 상기 시작상태와 관련하여, 적어도 9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 에 달하는 경우에 존재한다.
상기 필름 파우치는 3개 내지 10개 사이의 파우치 챔버들,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5개 사이의 파우치 챔버들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세제 조제물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여,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3회 내지 9회 회전축 둘레에, 바람직하게는 3회 또는 4회 또는 5회 회전축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높은 챔버 개수에도 불구하고, n회 회전축 둘레로의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배치를 근거로, 상기에서 언급된 장점들을 갖는 콤팩트한 그리고 흐름 최적화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필름 파우치의 원형 또는 다각형, 예컨대 사각형 또는 삼각형 외부윤곽을 갖는 필름 파우치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된 n회 회전축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n회 회전축 둘레에 상기 파우치 챔버들이 배치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매우 콤팩트한 구성을 허용한다. 또한, 이로써 가능한 한 가장 작은 실링섹션들을 갖는, 사용자의 시점에서 볼 때 매우 매력적인 제품 디자인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 수용은 이에 상응하여 높다.
강제적이지는 않을지라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파우치 챔버들, 바람직하게는 모든 파우치 챔버들은, 동일한 충전부피 (fill volume) 및/또는 동일한 공간적 형태를 구비한다. 개념“동일한”은 동일한 충전부피 및/또는 동일한 공간적 형태를 포함하거나 또는 근사적으로 동일한 충전부피 및/또는 근사적으로 동일한 공간적 형태도 포함하고, 이는 20%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10% 보다 작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보다 작은, 충전부피 안의 편차를 허용하고 그리고/또는 동일하지 않은, 하지만 3차원에서 볼 때 사용자의 시점에서 본질적으로 일치하는 파우치 챔버들의 외관을 허용한다. 파우치 챔버들을 동일하게 형성할시, 상기 필름 파우치의 높은 내재적 안정성이 안전해질 수 있고, 모든 파우치 챔버들 둘레로의 집중적인 그리고 균일한 흐름이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그들은 본질적으로 똑같이 빨리 용해된다. 또한, 3차원적 공간 안에서도, 단추들 또는 아플리케와 같은 세탁물 부분들이 걸릴 수 있는 그리고 그 후 상기 필름 파우치를 의도치 않게 함께 이동시키는 보다 적은 부착면들이 만들어진다. 결국, 같은 크기의 파우치 챔버들의 형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제작이 간단해지고 제작비용이 감소된다.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충전부피는 이때 1 ml 내지 50 ml 사이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ml 내지 15 ml 사이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상기에서 제시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실링평면에 놓여 있는 상기 파우치 챔버의 풋프린트가 축비대칭적 (axially asymmetrical) 이면 목적에 맞는다. 상기 풋프린트는, 상기 풋프린트를 통해 연장된 거울축에서의 수직 축반사를 통해 그 자체로 영상화될 수 없으면 축비대칭적이다. 상기 축비대칭을 통해, 세탁과정에서의 상기 세제 제품의 사용시 필름 재료의 개선된 그리고 보다 균일한 용해를 초래하는, 파우치 챔버에서의 흐름상태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파우치 챔버들 상호간의 특정한 배치를 통해, 상기 필름 파우치의 콤팩트한 구성이 실현될 수 있고, 이때 이웃한 파우치 챔버들 사이의 실링섹션들의 폭이 감소될 수 있다. 사용자의 시선을 보다 강하게 상기 파우치 챔버들 및 그들의 내용물로 향하게 하는, 색다른 파우치 챔버들 형태를 갖는 현대적인 제품 디자인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에 대한 높은 사용자 수용에 기여한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파우치 챔버의 물방울 모양의, 잎 모양의 또는 음양 모양의 풋프린트들을 제공한다.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파우치 챔버의 특히 바람직한 윤곽은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과, 상기 파우치 챔버의 세로방향으로 마주 보고 있는 상기 윤곽의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으로 특징지어진다. 상기 윤곽은 보다 작은 내부반경을 갖는, 상기 좁은 단부섹션에 놓인 제 1 원형 형태와, 보다 큰 내부반경을 갖는, 상기 보다 넓은 단부섹션에 놓인 제 2 원형 형태로 특징지어질 수 있고, 이때 보다 작은 내부반경에 대한 보다 큰 내부반경의 비율은 3:1 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5:1 보다 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1 보다 크고, 또는 12:1 보다 클 수도 있다. 디프 드로잉 금형에서 상기 필름 파우치를 제작할시, 상기 내부반경들은 상기 디프 드로잉 금형의 공동들을 통해 미리 정해진다. 상기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과 상기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사이에서, 상기 윤곽은 상기 필름 파우치의 중앙을 향한 오목한 또는 똑바른 내부섹션을 통해 그리고 상기 필름 파우치의 외부 가장자리 쪽으로 향한 볼록한 또는 똑바른 외부섹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고, 이는 상기 파우치 챔버의 물방울 모양의, 잎 모양의 또는 음양 모양의 풋프린트를 야기할 수 있다.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상기 파우치 챔버 윤곽의 바람직한 구현형태는, 각각 제 1 파우치 챔버의 윤곽의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이, 이웃한 제 2 파우치 챔버의 윤곽의 오목한 또는 똑바른 내부섹션에 그리고/또는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에 인접하거나 또는 마주 보고 있는 것을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충적으로, 상기 제 2 파우치 챔버의 상기 윤곽의 상기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은 상기 이웃한 제 1 파우치 챔버의 상기 윤곽의 상기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을 일부 섹션에서 밖으로부터 둘러쌀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충적으로, 상기 제 1 파우치 챔버의 상기 윤곽의 상기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은 접선과 교차할 수 있고, 상기 접선은 상기 이웃한 제 2 파우치 챔버의 상기 윤곽의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에 그리고 상기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에 놓여 있다. 그러면, 상기 제 1 파우치 챔버의 상기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은 상기 제 2 파우치 챔버의 윤곽의 오목한 영역 안으로 연장된다. 상기 먼저 기술된 윤곽들은, 상기 필름 파우치 위에서의 파우치 챔버들의 매우 콤팩트한 배치로 특징지어진 제품 디자인을 허용한다.
특히, 상기 필름 파우치의 외주방향 (circumferential direction) 으로의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전이부들 (transitions) 은 좁은 실링섹션들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상기 실링섹션들은 특히 2개의 이웃한 파우치 챔버들 사이의 방사상으로 밖에 놓여 있는 영역들에서 5 mm 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3 mm 보다 작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만 2 mm 이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최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세제 제품은 이에 상응하여 세탁물 부분들에 잘 걸리지 않는다. 이는 세탁과정 동안, 세탁액과의, 세탁 드럼과의 그리고 세탁물과의 상기 필름 파우치의 집중적인 접촉을 야기하고, 세탁물 더미 위로 올라탐이 저지되고, 이는 상기 필름 파우치의 개선된 용해거동을 야기한다. 또한, 이렇게 상기 세제 제품의 보다 높은 내재적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품 디자인은 사용자의 시점에서 볼 때 현대적으로 그리고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색다른 형태화를 근거로 흥미있게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사용자는 상기 파우치 챔버들 사이의 좁은 실링섹션들을 거의 의식하지 않고, 사용자는 상기 파우치 챔버 및 그의 내용물에 주목하게 된다.
상기 파우치 챔버들로의 가능한 한 가장 균일한 흐름, 좋은 용해거동, 및 상기 파우치 챔버들 사이의 가능한 한 가장 좁은 실링섹션들을 갖는 높은 내재적 형태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윤곽들의 외부섹션들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하나의 공통의 둘레선 위에 놓여 있을 수 있고, 상기 둘레선은 본질적으로 원형, 타원형, 초타원형,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삼각형 연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파우치 챔버의 풋프린트의 면적 이등분선 (area bisector) 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또는 시계 방향으로 돌면, 바람직하게는, 모든 파우치 챔버들의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 배치가 제공되면, 상기 파우치 챔버들에서의 특히 유리한 흐름상태, 및 상기 필름 파우치의 전체적으로 매우 좋은 용해거동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나타났다. 모든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은, 적어도 일부 섹션들에서 동일한 만곡방향을 갖는 외부윤곽들 및/또는 내부윤곽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필름 파우치의 모든 파우치 챔버들의 면적 이등분선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즉 왼쪽으로 또는 오른쪽으로 구부러져 있고,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미적으로 매력적인 외관을 초래한다. 또한,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동일한 방향을 향한 만곡은, 상기 세제 제품이 세탁 드럼 안에서 세탁액과 그리고 세탁물 부분들과 집중적인 접촉을 하게 되는 것에 기여할 수 있고, 특정한 세탁물 부분들에 걸리지 않고 그리고 세탁물 더미 위에 올라타지 않거나 또는 결코 원형창 도어로 이동되지 않고, 말하자면 세탁액을 통해 “돌아다니는 것에”기여할 수 있다.
특히, 면적 이등분선을 가로지른 상기 풋프린트의 폭이, 상기 폭의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상기 파우치 챔버의 윤곽의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으로부터 시작하여 우선 상기 면적 이등분선을 따라서 상기 윤곽의 마주 보고 있는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을 향한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상기 실링평면에 놓여 있는 상기 파우치 챔버의 풋프린트의 형태는, 개선된 용해거동을 위해 유리하다. 그 후, 후속하여 상기 폭은 상기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까지 다시 감소할 수 있다. 상응하여,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실링평면에 대해 수직인 상기 파우치 챔버의 횡단면적은 상기 윤곽의 상기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으로부터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상기 면적 이등분선을 따라서 증가할 수 있고, 그 후, 상기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에 도달할 때까지 다시 감소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파우치 챔버는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2차원 공간 안에서 뿐만 아니라 3차원 공간 안에서도 상기 면적 이등분선의 순환 또는 회전 방향으로 나선형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우치 챔버의 횡단면적은 최대값에 도달할 때까지 우선 상기 면적 이등분선의 보다 긴 섹션에 걸쳐 증가할 수 있고, 그 후 상기 최대값에 도달한 후 보다 짧은 섹션에 걸쳐 다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풋프린트의 폭에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그 후, 동일한 횡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뒤따르는 파우치 챔버가 이어질 수 있고, 이때 상기 뒤따르는 파우치 챔버의 최대 횡단면적은 선행하는 파우치 챔버의 최대 횡단면적과 같거나 또는 선행하는 파우치 챔버의 최대 횡단면적보다 크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파우치 챔버의 윤곽이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 및 상기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과 마주 보고 있는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을 구비하면, 상기 파우치 챔버의 최대 횡단면 또는 최대 폭은, 내부로부터 상기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에 놓인 원호의 중심점의 영역에 놓여 있을 수 있다.
상기 필름 파우치의 중앙 영역에서 보다 강한 소용돌이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필름 파우치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챔버 (central chamber) 가 제공될 수 있고, 이때 그러면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상기 중앙챔버 둘레에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세제 제품의 용해거동이 최적화되고, 상기 세제 제품을 잡고 있을 때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의도치 않은 접힘에 맞선 높은 안정성이 달성된다.
상기 중앙챔버는 실링섹션에 의하여 각각의 파우치 챔버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이때 상기 중앙챔버는 각각의 파우치 챔버에 대해 동일한 간격을 가질 수 있다. 파우치 챔버와 상기 중앙챔버 사이의 상기 실링섹션의 최소 폭은 5 mm 보다 작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mm 보다 작을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mm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로써, 높은 내재적 형태안정성, 및 사용자의 시점에서 볼 때 매력적인 제품 디자인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중앙챔버는 상기 실링평면에서 풋프린트를 구비하고, 이때 상기 풋프린트는 원형 대칭적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필름 파우치의 파우치 챔버들의 개수로서의 n 을 갖고 n회 회전대칭적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중앙챔버는 원형 풋프린트 또는 다각형 풋프린트,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의, 삼각형의, 별 모양의, 프로펠러 모양의 (propeller-shaped) 또는 팬 휠 모양의 (fan-wheel shaped) 풋프린트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챔버는 상기 실링평면에서 예컨대 볼록하게 구부러진 모서리 섹션들을 갖는 그리고 볼록한 그리고/또는 오목한 그리고/또는 물결 모양의 측면 섹션들을 갖는 삼각형 모양의 풋프린트를 구비할 수 있다. 3차원 공간 안에서 상기 중앙챔버는 예컨대 반구 모양일 수 있다. 2차원 공간 안에서, 즉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상기 중앙챔버의 풋프린트의 평면도와 관련하여 그리고/또는 3차원 공간 안에서, 즉 상기 중앙챔버의 투시도와 관련하여 상기 중앙챔버의 회전대칭적 형성을 통해, n회 회전축 둘레로의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배치의 본 발명에 따른 기본 사상이 고려되고, 이 기본 사상은 상기에서 기술된 장점들을 강화하기 위해 개선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중앙챔버는 특히 달리 설계되고, 그러므로 그를 둘러싸는 그 밖의 파우치 챔버들과 다른 공간적 형태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제 제품의 제작방법, 및 상기 제품을 제작하기 위해 이용된 수용성 필름들도 당업자에게 원칙적으로 알려져 있다. 파우치 챔버로서의 이용을 위해 적합한, 바람직한 폴리머들, 코폴리머들 또는 파생물들을 위한 예들은 DE 10 2014 102 567 A1 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문헌의 공개내용은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발명 명세서의 공개내용 안에 포함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으로 도면들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된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을지라도, 상기에서 언급된 그리고 기술된 특징들 및 도면에 도시된 그리고 하기에서 기술되는 특징들은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도시된 특징들 및 특징조합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은 투시도로 비스듬히 위로부터, 3개의 파우치 챔버들을 갖는 필름 파우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실링평면에서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과 필름 파우치의 풋프린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실링평면에서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과 필름 파우치의 풋프린트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4 는 도 2 에 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1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5 는 도 2 에 I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1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6 은 도 2 에 II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1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7 은 도 2 에 IV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1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8 은 투시도로 비스듬히 위로부터, 3개의 파우치 챔버들과, 중앙에 있는 하나의 중앙챔버를 갖는 필름 파우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그 밖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9 는 도 8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실링평면에서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과 필름 파우치의 풋프린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0 은 도 8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실링평면에서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과 필름 파우치의 풋프린트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1 은 도 9 에 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8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2 는 도 9 에 I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8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3 은 도 9 에 II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8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4 는 도 8 에 IV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8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5 는 투시도로 비스듬히 위로부터, 3개의 파우치 챔버들을 갖는, 그리고 실링평면에서 삼각형 풋프린트를 갖는 돔 모양의 (dome-shaped) 하나의 중앙챔버를 갖는 필름 파우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6 은 도 15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상기 실링평면에서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과 상기 필름 파우치의 풋프린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17 은 도 15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상기 실링평면에서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과 상기 필름 파우치의 풋프린트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18 은 도 16 에 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15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19 는 도 16 에 I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15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0 은 도 16 에 II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15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1 은 도 16 에 IV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15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2 는 투시도로 비스듬히 위로부터, 3개의 파우치 챔버들을 갖는, 그리고 실링평면에서 삼각형의 비틀린 풋프린트를 갖는 돔 모양의 하나의 중앙챔버를 갖는 필름 파우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23 은 도 22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상기 실링평면에서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과 상기 필름 파우치의 풋프린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24 는 도 22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상기 실링평면에서 상기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과 상기 필름 파우치의 풋프린트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25 는 도 23 에 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22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6 은 도 23 에 I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22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7 은 도 23 에 II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22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8 은 도 23 에 IV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22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29 는 투시도로 비스듬히 위로부터, 4개의 파우치 챔버들을 갖는 필름 파우치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제품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30 은 도 29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실링평면에서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과 필름 파우치의 풋프린트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31 은 도 29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실링평면에서 파우치 챔버들의 풋프린트들과 필름 파우치의 풋프린트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내고;
도 32 는 도 30 에 I 로 표시된 시선방향에서, 도 29 에 도시된 세제 제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 도 8 내지 도 14; 도 15 내지 도 21; 도 22 내지 도 28; 도 29 내지 도 32 는 일회용-1회량 포장의 형태로, 섬유 처리를 위한 세제 제품들 (1) 의 여러 가지 실시형태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1회량 포장은 통례적으로 섬유 세탁기 안에서 섬유를 처리하기 위해 한 번만 사용된다. 각각의 세제 제품 (1) 은 3개 또는 4개의 파우치 챔버들 (3) 을 갖는 필름 파우치 (2) 를 구비한다. 개별적인 파우치 챔버들 (3) 안에는 세제 조제물들이 수용되고, 상기 세제 조제물들은 섬유 처리를 위한, 특히 섬유 세탁을 위한 세탁 활성적 물질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 파우치 (2) 를 제작하기 위해, 필름 제조사 Monosol 의 타입 명칭 M8630 또는 M8720 을 갖는 수용성 PVA 필름들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컨대 Aicello, Nippon Gohsei 또는 Mondi 와 같은 다른 필름 제조사들의 상응하여 형성된 수용성 필름들도 사용될 수 있다.
필름 파우치 (2) 는 PVA 필름들로서 실시될 수 있는 2개의 수용성 필름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성 필름들은, 그들이 파우치 챔버들의 제한벽들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을 둘러싼다. 상기 필름들은, 파우치 챔버들 (3) 이 각각 전체 둘레에 걸쳐 실링섹션들 (4) 에 의해 실링되고 서로 분리되어 있을 정도로 실링섹션들 (4) 의 영역에서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2개의 이웃한 파우치 챔버들 (3) 사이에, 각각 실링된 필름섹션이 제공되고, 상기 실링된 필름섹션은 하나의 유일한 1회량 포장을 실현하기 위해 파우치 챔버들 (3) 을 서로 연결한다.
파우치 챔버들 (3) 은 상기 필름들 사이의 실링평면에서 또는 연결평면에서 각각 하나의 동일한 풋프린트 (A1) 를 구비하는 한편 (도 2, 도 3; 도 9, 도 10; 도 16, 도 17; 도 23, 도 24; 도 30, 도 31), 반면 전체 세제 제품 (1) 또는 필름 파우치 (2) 는 상기 실링평면에서 풋프린트 (A2) 를 구비한다. 파우치 챔버 (3) 의 풋프린트 (A1) 는 이때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각각의 파우치 챔버 (2) 의 윤곽선을 통해 한정된다. 상기 (전체) 세제 제품 (1) 의 풋프린트 (A2) 는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그의 윤곽선을 통해 한정된다. 도 1 내지 도 28 에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세제 제품 (1) 의 본질적으로 원형인 또는 초타원형인 풋프린트 (A2) 가 제공된다. 도 29 내지 도 32 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둥근 모서리 영역들을 갖는, 세제 제품 (1) 의 본질적으로 사각형인 풋프린트 (A2) 를 구비한다.
모든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파우치 챔버들 (2) 의 풋프린트들 (A1) 은 각각,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각각의 파우치 챔버 (3) 의 윤곽선의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 (5) 을 갖는 (보다 작은 내부반경 (r1) 을 갖는), 그리고 파우치 챔버 (3) 의 세로방향으로 마주 보고 있는 보다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을 갖는 (보다 큰 내부반경 (r2) 을 갖는) 물방울 형태 또는 눈물방울 형태를 갖는다. 파우치 챔버 (3) 의 단부들에서의 상기 볼록한 두 섹션 (5, 6) 사이에는, 방사상으로 안쪽에 놓여 오목한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똑바른 연결섹션 (7), 및 방사상으로 바깥쪽에 놓여 볼록한 또는 똑바른 연결섹션 (8) 이 제공된다.
하기에서, 도 1 내지 도 32 에 도시된 세제 제품들 (1) 의 여러 가지의 제품 디자인들, 즉 특히 파우치 챔버들 (3) 상호간의 기하학적 형상 (형태), 크기 및 배치가 상세히 설명된다. 모든 도시된 실시형태들은, 개수 n ≥ 3 을 갖는 다수의 파우치 챔버들 (3) 이 제공된다는 공통의 특징을 가지며, 이때 파우치 챔버들 (3) 은 적어도 하나의 단면에서, 여기서 상기 실링평면에서, 상기 단면에 대해 수직으로 있는 하나의 공통의 n회 회전축 (Y) 둘레에 (도 1, 도 8, 도 15, 도 22, 도 29) 배치된다. 이를 통해, 파우치 챔버들 (3) 사이의 좁은 실링섹션들 (4) 을 갖는 파우치 챔버들 (3) 의 콤팩트한 배치가 제공되고, 따라서 세제 제품 (1) 을 제작하기 위해 이용된 장치들과 시설들의 제품용량들이 최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파우치 챔버들 (3) 은 필름 파우치 (2) 의 중앙 영역 둘레에 그리고 외주방향으로 (도 2, 화살표 15) 잇달아 놓여 배치된다.
또한, 파우치 챔버들 (3) 의 상기 콤팩트한 배치는 단추들 또는 아플리케와 같은 세탁물 부분들이 걸릴 수 있는 부착면들을 감소시킨다. 즉, 걸림이 발생하면, 세제 제품 (1) 은 상기 상응하는 세탁물 부분에 꽉 달라붙고, 그와 함께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전체적으로 세제 제품 (1) 의 회전운동은 섬유 세탁기 안에서의 세탁과정 동안 감소하고, 필름 파우치 (2) 는 세탁액의 덜 집중적인 흐름에 노출된다. 세제 제품 (1) 의 제한된 운동 및 상기 세제 제품 둘레의 감소된 흐름은 수용성 필름 파우치 (2) 의 용해거동, 즉 용해속도, 및 세탁과정 동안 달성되는 용해도를 악화시킨다.
또한, 파우치 챔버들 (3) 의 상기 콤팩트한 배치는 필름 파우치 (2) 의 보다 높은 내재적 안정성을 초래하고, 이는 세제 제품들 (1) 에 대한 사용자의 수용을 높인다.
필름 파우치 (3) 의 개선된 용해거동은 그 밖에 필름 파우치 (3) 의 흐름 최적화된 구현형태로부터 그리고 파우치 챔버들 (3) 상호간의 흐름 최적화된 배치로부터 생긴다.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세탁과정 동안 파우치 챔버들 (3) 주위에 난류가 발생하고, 따라서 특히 이웃한 파우치 챔버들 (3) 사이에 놓여 있는 필름 파우치의 실링섹션들 (4) 은, 선행기술에 알려져 있는 세제 제품들 (1) 에서보다 짧은 시간 내에 그리고 보다 완전히 용해될 수 있다. 필름 파우치 (2) 의 (방사상으로) 외부에 놓여 있는 가장자리 영역들 안의 파우치 챔버들 (3) 의 전이부들은 이웃한 파우치 챔버들 (3) 사이의 좁은 실링섹션들로 특징지어지고,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은 파우치 챔버들 (3) 및 그들의 내용물로 향하게 된다. 매우 매력적인 “혁신적인”제품 디자인이 생기고, 이는 높은 사용자 수용에 기여한다.
도 1 내지 도 28 에 도시된 세제 제품들 (1) 은,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동일한 풋프린트들 (A1) 을 갖는 각각 3개의 파우치 챔버들 (3) 을 구비하고, 이때 풋프린트들 (A1) 은 상기 실링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있는 하나의 공통의 3회 회전축 (Y) 둘레에 배치된다. 필름 파우치 (2) 또는 세제 제품 (1) 이 회전축 (Y) 둘레로 회전하면, 파우치 챔버들 (3) 의 배치는 각각 120°만큼의 회전시 본질적으로 시작상태에 대해 구별할 수 없는 채로 있고, 이때 풋프린트들 (A1) 의 총 3개의 대칭 동치적 또는 본질적으로 합동인 배열체들이 생긴다.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파우치 챔버들 (3) 은 중단되지 않은 실링섹션 (4) 둘레에 필름 파우치 (1) 의 중앙 영역에서 배치된다. 파우치 챔버들 (3) 은 파우치 챔버들 (3) 의 세로방향으로 또는 필름 파우치 (2) 의 풋프린트 (A2) 의 외주방향으로 잇달아 배치되고, 서로 겹치지 않는다. 모든 파우치 챔버들 (3) 은 동일한 충전부피 및 동일한 공간적 형태를 구비한다.
또한, 풋프린트 (A1) 는 축비대칭적이다. 풋프린트 (A1) 는 각각 물방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작은 내부반경 (r1) 을 갖는,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파우치 챔버 (3) 의 윤곽의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 (5) 에 놓인 원형 형태와, 보다 큰 내부반경 (r2) 을 갖는, 보다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에 놓인 원형 형태와 관련하여, 보다 작은 내부반경 (r1) 에 대한 보다 큰 내부반경 (r2) 의 비율은 도 2 에 따르면 약 5:1 이거나 또는 그보다 크다.
또한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웃한 파우치 챔버들 (3) 은, 제 1 파우치 챔버 (3) 의 윤곽의 보다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이, 외주방향으로 뒤따르는 제 2 파우치 챔버 (3) 의 오목한 연결섹션 (7) 과 마주 보고 있을 정도로 서로 상대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뒤따르는 제 2 파우치 챔버 (3) 의 보다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 (5) 은 이때 제 1 파우치 챔버 (3) 의 보다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에 대해, 상기 이웃한 파우치 챔버들 (3) 의 두 풋프린트 (A1) 의 면적 이등분선들 (10) 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밖으로 오프셋된다. 이때, 필름 파우치 (2) 의 외주방향으로 뒤따르는 파우치 챔버 (3) 의 좁은 단부에서의 풋프린트 (A1) 의 면적 이등분선 (10) 의 시작점은 선행하는 파우치 챔버 (3) 의 넓은 단부에서의 풋프린트 (A1) 의 면적 이등분선 (10) 의 마지막 점에 대해 방사상으로 밖으로 오프셋된다.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선행하는 파우치 챔버 (3) 의 윤곽의 보다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은 게다가 접선 (9) 과 교차하고, 상기 접선은 뒤따르는 파우치 챔버 (3) 의 윤곽의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 (5) 에 그리고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에 놓여 있고, 이로써 상기 뒤따르는 파우치 챔버 (3) 의 오목한 영역 안으로 연장된다.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모든 파우치 챔버들 (3) 의 윤곽들의 연결섹션들 (7, 8) 은, 각각의 파우치 챔버 (3) 의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 (5) 으로부터 시작하여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으로의 동일한 만곡방향을 갖는다. 면적 이등분선 (10) 에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도 2 에 따르면, 이는, 위에서 볼 때,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 (5) 으로부터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으로의 방향으로 파우치 챔버들 (3) 의 풋프린트들 (A1) 의 시계 반대 방향 배치 (또는 도 3 에 따르면 필름 파우치 (2) 를 아래에서 볼 때, 상응하는 시계 방향 배치) 를 야기한다. 평면도에서 볼 때 파우치 챔버들 (3) 의 풋프린트들 (A1) 의 시계 방향 배치도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면적 이등분선 (10) 을 가로지른 각각의 파우치 챔버 (3) 의 풋프린트 (A1) 의 폭 (b) 이, 최대 폭에 도달할 때까지,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 (5) 으로부터 시작하여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으로의 방향으로 우선 연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도 2 에서 볼 수 있다. 후속하여, 상기 폭은 연속적으로 상기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까지 다시 감소한다. 상기 실링평면에 대해 수직인 횡단면적에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이때, 파우치 챔버 (3) 의 최대 횡단면적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횡단면적은 파우치 챔버 (3) 의 좁은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횡단면적 = 0) 파우치 챔버 (3) 의 넓은 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횡단면적 = 0) 파우치 챔버 (3) 의 세로방향으로 우선 보다 큰 길이에 걸쳐 보다 작은 기울기로 증가하고, 상기 최대 횡단면적에 도달한 후, 보다 짧은 길이에 걸쳐 보다 큰 기울기로 다시 영 (zero) 으로 파우치 챔버 (3) 의 보다 넓은 단부에서 감소한다. 그 후, 동일한 또는 비슷한 횡단면 프로파일을 갖는, 뒤따르는 파우치 챔버 (3) 가 이어지고, 이때 상기 뒤따르는 파우치 챔버 (3) 의 최대 횡단면적은 도 1 내지 도 31 에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각각 선행하는 파우치 챔버 (3) 의 최대 횡단면적과 같다.
파우치 챔버 (3) 의 또는 그의 포락선의 지오메트리는 이로써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2차원 공간 안에서 뿐만 아니라 (풋프린트들 (A1) 의 평면도에 있어서) 3차원 공간 안에서도 (파우치 챔버들 (3) 의 투시도에 있어서) 면적 이등분선 (10) 의 만곡방향으로 나선형 구조로 특징지어진다.
풋프린트 (A1) 의 최대 폭 또는 파우치 챔버 (3) 의 최대 횡단면적은 이때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파우치 챔버 (3) 의 윤곽선의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에 놓인 원호의 중심점의 영역에서 도달될 수 있다.
또한, 필름 파우치 (2) 의 파우치 챔버들 (3) 의 윤곽선들의 볼록한 외부 연결섹션들 (8) 이 도 1 내지 도 32 에 도시된 세제 제품들 (1) 에 있어서, 적어도 본질적으로 원형으로 또는 초타원형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공통의 둘레선 (11) 위에 배치된다는 것에 주의하도록 한다. 둘레선 (11) 의 다른 형태들이 배제되지 않고, 예컨대 둘레선 (11) 은 직사각형으로 또는 사각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또한 콤팩트한 구성에 기여한다.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둘레선 (11) 의 방향으로 뒤따르는 2개의 파우치 챔버들 (2) 사이의 가장 작은 간격은 이때 바람직하게는 5 mm 보다 작을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mm 보다 작을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2 mm 보다 작을 수 있다. 디프 드로잉을 통해 필름 파우치 (2) 를 제작할시 발생하는 변형을 근거로 그리고 필름층들의 복원력을 근거로, 이웃한 파우치 챔버들 (3) 은 세제 제품 (1) 의 사용 상태에서 심지어 부분적으로 서로 밀착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그 밖의 도 8 내지 도 32 에 도시된 세제 제품들과 상기 이미 기술된 그리고 도 1 내지 도 7 에 도시된 실시형태 사이의 차이들만 상세히 설명된다. 일치하는 특징들은 동일한 참조부호들로 표시되었다.
그 밖의 도 8 내지 도 28 에 도시된 세제 제품들 (1) 은, 필름 파우치 (2) 안의 각각 하나의 중앙챔버 (12) 를 구비한다. 중앙챔버 (12) 는 파우치 챔버들 (3) 에 의해 둘러싸인다. 중앙챔버 (12) 는 섬유 세탁기 안에서의 사용시 상기 인접하는 파우치 챔버들 (3) 사이의 필름 파우치 (2) 의 중앙 영역에서 세탁물의 강한 소용돌이를 초래한다. 중앙챔버 (12) 를 통해, 이렇게 필름 파우치 (2) 의 용해거동이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이를 위해 중앙챔버 (12) 는, 그의 풋프린트 (A3) 뿐만 아니라 그의 전체 공간적 형태에 관하여도, 상기 그를 둘러싸는 파우치 챔버들 (3) 과 다른 디자인을 갖는다.
도 8 내지 도 14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링평면에서의 원형 풋프린트 (A3) 를 갖는 구 모양의 중앙챔버 (12) 가 제공된다 (도 9).
도 15 내지 도 21 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실링평면에서의 삼각형 풋프린트 (A3) 를 갖고 필름 파우치 (2) 의 윗면에 그리고 아랫면에 각각 하나의 돔 (dome) 을 형성하는 중앙챔버 (12) 를 나타낸다. 풋프린트 (A3) 는 보다 많이 볼록하게 만곡된 모서리 섹션들 (13) 과, 단지 약간만 볼록하게 만곡된 측면 섹션들 (14) 로 특징지어진다. 실링평면에서의 원형 풋프린트 (A3) 를 구비하는 중앙챔버 (12) 를 갖는, 도 8 내지 도 14 에 도시된 실시형태들과 비교하여, 삼각형 풋프린트 (A3) 를 갖는 중앙챔버 (12) 를 통해, 중앙챔버 (12) 와 상기 이웃한 파우치 챔버들 (3) 사이의 실링섹션들 (4) 의 표면영역은 보다 많이 감소될 수 있다. 중앙챔버 (12) 와 파우치 챔버들 (3) 사이의 실링섹션들 (4) 은 사용자에게 덜 눈에 띄고, 이는 세제 제품 (1) 의 매력적인 미적 외관을 초래하고, 사용자의 관심을 더 강하게 파우치 챔버들 (3) 및 그들 안에 포함된 세제 조제물로 향하게 한다.
도 22 내지 도 28 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풋프린트 (A3) 를 갖는 중앙챔버 (12) 를 구비하고, 그의 윤곽은 인접하는 파우치 챔버들 (3) 의 윤곽에 더 많이 맞춰져 있다. 이는 파우치 챔버들 (3) 사이의, 필름 파우치 (2) 의 중앙 영역에서의 실링면들의 크기의 상당한 최소화를 초래한다. 중앙챔버 (12) 의 풋프린트 (A3) 는 근사적으로, 볼록한 모서리 섹션들 (13) 을 갖는 그리고 그 사이에 놓여 있는 S 모양의 또는 물결 모양의 측면 섹션들 (14) 을 갖는, 비틀린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다. 측면 섹션들 (14) 의 연장부에 걸쳐, 중앙챔버 (12) 의 풋프린트 (A3) 와 상기 인접하는 파우치 챔버들 (3) 의 풋프린트들 (A1) 사이의 최소 간격은 본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중앙챔버들 (12) 의 풋프린트들 (A3) 은 도 15 내지 도 28 에 도시된 실시형태들에 있어서 각각 3회 회전대칭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배치된다.
도 29 내지 도 32 에 도시된 세제 제품 (1) 은 4개의 파우치 챔버들 (3) 을 구비하고, 상기 파우치 챔버들은 실링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있는 4회 회전축 둘레에 배치된다. 두 실시형태는 상기 실링평면에 놓여 있는 물방울 모양의 풋프린트들 (A1) 을 갖는 파우치 챔버들 (3) 을 구비한다. 도 29 내지 도 32 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풋프린트들 (A1) 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29 내지 도 32 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파우치 챔버 (3) 의 윤곽선의 볼록한 보다 넓은 단부섹션 (6) 은, 도 1 내지 도 28 에 도시된 실시형태들에서의 것들보다,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큰 호의 길이 (arc length) 를 갖는다.
또한, 도 30 에 따르면, 상기 실링평면에서의 파우치 챔버들 (3) 의 윤곽의, 외부에 놓여 있는 연결섹션들 (8) 이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된다. 직선 연결섹션들 (8) 은 본질적으로 사각형인 하나의 공통의 둘레선 (11) 위에 놓여 있다. 이로써, 파우치 챔버들 (3) 의 빽빽한 배치를 갖는 필름 파우치 (2) 의 매우 콤팩트한 구성이 달성된다. 모든 파우치 챔버들 (3) 의 풋프린트들 (A1) 은 각각 좁은 볼록한 단부섹션 (5) 으로부터 시작하여 면적 이등분선 (10) 을 따라서 파우치 챔버 (3) 의 윤곽선의 넓은 볼록한 단부섹션 (6) 쪽으로의 방향으로, 위에서 볼 때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고 (도 30), 또는 아래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배치된다 (도 31). 그 밖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모든 파우치 챔버들 (3) 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동일한 충전부피를 나타낸다.
1 : 세제 제품 2 : 필름 파우치
3 : 파우치 챔버 4 : 실링섹션
5 : 단부섹션 6 : 단부섹션
7 : 연결섹션 8 : 연결섹션
9 : 접선 10 : 면적 이등분선
11 : 둘레선 12 : 중앙챔버
13 : 모서리 섹션 14 : 측면 섹션
15 : 화살표

Claims (15)

  1. 각각 적어도 하나의 수용성 필름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다수의 파우치 챔버들 (3) 을 구비하는 필름 파우치 (2) 를 갖는, 특히 섬유 처리를 위한, 보다 구체적으로 섬유 세정을 위한 그리고/또는 섬유 세탁을 위한, 세제 제품 (1) 으로서,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은, 실링평면에서 서로 연결된 수용성 필름들을 통해 형성되고, 상기 실링평면에 놓여 있는 실링섹션들 (4) 을 통해 서로 분리되고,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은 각각 세제 조제물로 채워져 있고,
    개수 n ≥ 3 을 갖는 다수의 파우치 챔버들 (3) 이 제공되고,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은 적어도 하나의 단면에서 상기 단면에 대해 수직으로 있는 하나의 공통의 n회 (n-fold) 회전축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은 상기 실링평면에서 동일한 풋프린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실링평면에서 상기 풋프린트들은 상기 실링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있는 하나의 공통의 n회 회전축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파우치 (2) 는 3개 내지 10개 사이의 파우치 챔버들 (3),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5개 사이의 파우치 챔버들 (3)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은 적어도 하나의 단면에서 3회 내지 9회 회전축 둘레에, 바람직하게는 3회 또는 4회 또는 5회 회전축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은 적어도 하나의 단면에서 중앙에 배치된 n회 회전축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파우치 챔버들 (3), 바람직하게는 모든 파우치 챔버들 (3) 은, 동일한 충전부피 및/또는 동일한 공간적 형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은 상기 실링평면에서 풋프린트를 구비하고, 상기 풋프린트는 축비대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풋프린트는 물방울 모양이거나 또는 음양 모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풋프린트의 면적 이등분선 (10) 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또는 시계 방향으로 돌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파우치 챔버들 (3) 의 시계 반대 방향 또는 시계 방향 배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풋프린트의 면적 이등분선 (10) 을 가로지른 상기 풋프린트의 폭 및/또는 상기 실링평면에 대해 수직인 상기 파우치 챔버 (3) 의 횡단면적은 우선 상기 면적 이등분선 (10) 의 길이의 섹션에 걸쳐 증가하고, 최대값에 도달한 후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파우치 (2) 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중앙챔버 (12) 가 제공되고,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은 상기 중앙챔버 (12)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챔버 (12) 는 실링섹션 (4) 에 의하여 각각의 파우치 챔버 (3) 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상기 중앙챔버 (12) 는 각각의 파우치 챔버 (3) 에 대해 동일한 간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파우치 챔버 (3) 와 상기 중앙챔버 (12) 사이의 상기 실링섹션 (4) 의 최소 폭은 5 mm 보다 작고, 바람직하게는 3 mm 보다 작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mm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챔버 (12) 는 상기 실링평면에서 풋프린트를 구비하고, 상기 풋프린트는 원형 대칭적이거나 또는 n회 회전대칭적이고,
    여기서 n 은 상기 파우치 챔버들 (3) 의 개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챔버 (12) 는 원형 풋프린트 또는 다각형 풋프린트,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의, 삼각형의, 별 모양의, 프로펠러 모양의 또는 팬 휠 모양의 (fan-wheel shaped) 풋프린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제품 (1).
KR1020180035896A 2017-03-31 2018-03-28 세제 제품 KR1024881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5549.9A DE102017205549A1 (de) 2017-03-31 2017-03-31 Waschmittelprodukt
DE102017205549.9 2017-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622A true KR20180111622A (ko) 2018-10-11
KR102488160B1 KR102488160B1 (ko) 2023-01-12

Family

ID=6156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896A KR102488160B1 (ko) 2017-03-31 2018-03-28 세제 제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80282672A1 (ko)
EP (1) EP3381835B1 (ko)
KR (1) KR102488160B1 (ko)
CN (1) CN108688983A (ko)
AU (1) AU2018202253B2 (ko)
DE (1) DE102017205549A1 (ko)
ES (1) ES2813618T3 (ko)
PL (1) PL3381835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13676S (en) * 2017-01-12 2017-08-15 Henkel Ag & Co Kgaa Chamber pouches
WO2020109079A1 (en) * 2018-11-26 2020-06-04 Unilever Plc Customised unit dose products
USD921982S1 (en) * 2019-01-15 2021-06-08 Henkel Ag & Co. Kgaa Pouch
USD927777S1 (en) * 2019-04-26 2021-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it dose pouch
DE102019207162A1 (de) * 2019-05-16 2020-11-19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rtionseinheit eines Waschmittels und Portionseinheit
CN110316473B (zh) * 2019-07-16 2024-05-28 威莱(广州)日用品有限公司 一种多腔室凝珠及其制作方法
USD953881S1 (en) 2019-08-05 2022-06-07 Henkel Ag & Co. Kgaa Multi-chamber pouch
USD939764S1 (en) 2019-08-07 2021-12-28 Henkel Ag & Co. Kgaa Detergent pouch
DE102019131454A1 (de) * 2019-11-21 2021-05-27 Henkel Ag & Co. Kgaa Wirkstoffsachet,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irkstoffsachets und Verwendung eines Wirkstoffsachets
EP3828255B1 (de) * 2019-11-29 2023-11-22 Henkel AG & Co. KGaA Mehrkammer-waschmittelprodukt mit hohem kontrast zwischen den kammern
USD942680S1 (en) 2020-03-03 2022-02-01 Korex Canada Company Multi-compartment detergent unit dose
US20220025303A1 (en) * 2020-06-30 2022-0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a water-soluble unit dose article
CN115735003A (zh) * 2020-07-03 2023-03-03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单位剂量胶囊
WO2022002613A1 (en) * 2020-07-03 2022-01-06 Unilever Ip Holdings B.V. A unit dose capsule
US20230235255A1 (en) * 2020-07-03 2023-07-27 Conopco, Inc. D/B/A Unilever A unit dose capsule
DE102021209932A1 (de) 2021-09-08 2023-03-09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chmitteldosiereinheiten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EP4257336A1 (de) * 2022-04-04 2023-10-11 Henkel AG & Co. KGaA Waschmittelportionseinheiten
EP4257334A1 (de) * 2022-04-04 2023-10-11 Henkel AG & Co. KGaA Heizvorrichtung
EP4257335A1 (de) * 2022-04-04 2023-10-11 Henkel AG & Co.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chmittelportionseinheit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0288A1 (en) * 2002-08-30 2004-03-11 Packaging Imolese S.P.A. Process for manufacturing water-soluble containers by thermoforming
WO2014170882A1 (en) * 2013-04-19 2014-10-23 Rideau Machinery, Inc Making water soluble pouches
WO2015179584A1 (en) * 2014-05-21 2015-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dispensing a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09411C (zh) * 2002-01-16 2005-07-06 郝喜海 调控水溶性薄膜的水溶解速度的方法
EP1375637A1 (en) * 2002-06-17 2004-01-02 Unilever N.V. Detergent compositions
GB2475538B (en) * 2009-11-23 2011-11-23 Rideau Machinery Inc Improvements to continuous motion rotary thermoforming of soluble pouches
PT2617659E (pt) 2012-01-19 2014-07-25 Lakma Strefa Sp Z O O Produto de limpeza
CA2841024C (en) 2014-01-30 2017-03-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it dose article
EP2924104A1 (en) * 2014-03-24 2015-09-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Laundry unit dose article
US10023826B2 (en) * 2014-08-07 2018-07-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oluble unit dose comprising a composition
TWI689547B (zh) * 2014-10-13 2020-04-01 美商摩諾索公司 具有塑化劑摻合物的水溶性聚乙烯醇膜、相關方法及相關物品
US10294445B2 (en) * 2016-09-01 2019-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unitized dose pouches with modifications at a seal reg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0288A1 (en) * 2002-08-30 2004-03-11 Packaging Imolese S.P.A. Process for manufacturing water-soluble containers by thermoforming
WO2014170882A1 (en) * 2013-04-19 2014-10-23 Rideau Machinery, Inc Making water soluble pouches
WO2015179584A1 (en) * 2014-05-21 2015-11-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and systems for dispensing a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7205549A1 (de) 2018-10-04
US20180282672A1 (en) 2018-10-04
CN108688983A (zh) 2018-10-23
PL3381835T3 (pl) 2021-01-11
AU2018202253A1 (en) 2018-10-18
AU2018202253B2 (en) 2023-10-05
ES2813618T3 (es) 2021-03-24
EP3381835B1 (de) 2020-08-05
EP3381835A1 (de) 2018-10-03
KR102488160B1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1622A (ko) 세제 제품
KR102485530B1 (ko) 세제 제품
US10745653B2 (en) Detergent product
ES2287711T3 (es) Envase que comprende una composicion detergente.
ES2619430T3 (es) Cápsulas de múltiples-compartimientos solubles en agua
ES2279467T3 (es) Solido ahuecado compartimentado que contiene una porcion de detergente, producto de limpieza o aclarador.
US20210163860A1 (en) Multi-Chamber Detergent Product Having A High Contrast Between The Chambers
WO2004081162A1 (en) A water soluble delivery product
ES2966759T3 (es) Unidad de porción de un agente de limpieza
US20230235255A1 (en) A unit dose capsule
CN110741071A (zh) 包含漂白剂和包封物的多组合物体系
JP2021514332A (ja) 洗濯ビーズ成形型、洗濯ビーズおよび洗濯ビーズ成形方法
AU2021299912B2 (en) Unit dose capsule
EP3887269A1 (en) Package containing water-soluble capsules
ES2951437T3 (es) Cápsula para máquina de lavado de la vajilla con tres compartimentos
WO2020254406A1 (en) Package containing water-soluble capsules
WO2004055152A1 (de) Grossvolumige wasch- oder reinigungsmittelformkörper
TWM627165U (zh) 單位劑量膠囊
TW202210621A (zh) 製造用於基材處理的單位劑量膠囊的方法
CN216738259U (zh) 一种容器
TW202206354A (zh) 單位劑量膠囊及其製造方法
TWM613302U (zh) 清潔膠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Z072 Maintenance of patent after cancellation proceedings: certified copy of decision transmitted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
Z131 Decision taken on request for patent cancellation [new post grant opposition system as of 2017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