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031A -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031A
KR20180111031A KR1020170041367A KR20170041367A KR20180111031A KR 20180111031 A KR20180111031 A KR 20180111031A KR 1020170041367 A KR1020170041367 A KR 1020170041367A KR 20170041367 A KR20170041367 A KR 20170041367A KR 20180111031 A KR20180111031 A KR 20180111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vehicle
engine control
control module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41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1031A/ko
Priority to DE102018204937.8A priority patent/DE102018204937B4/de
Priority to US15/940,743 priority patent/US10647314B2/en
Priority to CN201810296768.6A priority patent/CN108688653B/zh
Publication of KR2018011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031A/ko
Priority to US16/219,867 priority patent/US1065447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8Driving aids for parking, e.g. acoustic or visual feedback on par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06Automatic manoeuvring for p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에 의해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으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엔진을 제어하고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으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함으로써, 자동 주차 제어 중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작동으로 인한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자동 주차가 유효한 상황에만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함으로써, 불필요한 작동 제한을 최소화하며 안전한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OF DRIVER ASSIST SYSTEM}
본 실시예들은 운전자 지원 시스템과,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성능에 대한 요구뿐만 아니라 차량의 안전 및 편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차량에 장착된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제어를 보조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 Driver Assist System)이 연구, 개발되어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는 기본적인 샤시 시스템 이외에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이라는 범주 안에 많은 시스템이 장착되고 있다.
일 예로,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기 위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Smart Cruise Control), 교통 체증 지원 시스템(TJA: Traffic Jam Assist)이나, 차량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긴급 제동 시스템(AEB: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교차로 경고 시스템(CTA: Cross Traffic Assist), 후측방 충돌 회피 시스템(ABSD: Active Blind Spot Detection)이나, 차량의 주차를 보조하기 위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 Smart Parking Assist System) 등의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이 차량에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은 각각 일정한 작동 요건에서 차량에 장착된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을 제어하며 운전자를 보조한다.
이때, 여러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이 차량에 장착됨에 따라, 복수의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동시 작동으로 인하여 운전자에게 혼란을 주거나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특히,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행 중인 차량의 정차시 엔진을 자동으로 오프 시키는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Idle Stop and Go)이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과 동시에 작동하는 경우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작동을 방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차량에 장착된 여러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이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 상황에서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에 의한 엔진 작동을 제어하여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이 정상적이고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에 의한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이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의 동시 작동으로 인해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지 못하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고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동안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과, 차량의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을 제어하고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작동에 따른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과,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된 제1 엔진 제어 신호 또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된 제2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엔진 제어부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부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된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
그리고, 엔진 제어부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부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엔진 제어부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완료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된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엔진 제어부는, 차량의 엔진이 오프 된 상태에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엔진을 온 시킨 후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엔진 제어부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비활성화 명령을 전송하고,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활성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에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의 위치와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설정된 목적지를 비교하고, 차량이 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한 상태이면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에 따른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로부터 차량의 위치가 주차 공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의 위치가 주차 공간에 해당하면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에 따른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차량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가 유효한 공간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주차가 유효한 공간이면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에 따른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주차 보조 제어 모듈은, 자동 주차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 보조 제어 확인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들은,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와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와,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부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에 의한 엔진 제어 신호가 발생하면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에 의한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도록 함으로써, 자동 주차 제어 중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작동으로 인해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에 의해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자동 주차 제어 중 엔진이 오프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 주차가 유효한 상황에 해당하면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에 의한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엔진을 제어함으로써,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에 의한 엔진 제어 신호가 무시되는 상황을 최소화하며 스마트 보조 시스템(SPAS)을 포함한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에 의한 차량 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이 작동하는 속도 영역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에서 엔진 제어부의 작동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에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과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 간의 작동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에서 자동 주차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이 작동하는 속도 영역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가 장착되는 차량에는 여러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이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의 조향과 제동을 제어하며 운전자의 주차를 보조하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은, 차량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및 카메라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공간을 탐색하고, 차량의 조향과 제동을 제어하며 차량을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은, 차량의 주차를 보조하므로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느린 속도 영역에서 작동하며, 차량의 주차를 위해 후진을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 속도 영역에서도 작동한다.
다른 예로, 차량의 감/가속을 제어하며 차량의 자율 주행을 제어하는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은, 차량에 장착된 레이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전방 물체를 감지하고, 차간 거리, 차량의 속도 등을 조정하여 차량이 전방 차량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은, 주로 도로에서 작동하며 (+) 속도 영역의 거의 모든 구간에서 작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차량의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의 정차 여부에 따라 엔진을 온/오프 시키는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고 차량의 정지 상태가 일정 시간 이상 유지되면 차량의 엔진을 오프 시키고, 운전자의 액셀레이터 조작 등에 의해 차량의 이동이 예상되면 엔진을 온 시킴으로써, 차량의 엔진이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은, 차량의 정지 상태에서 차량의 엔진을 오프 시켜주므로, 차량의 속도가 0인 경우에 작동할 수 있다.
전술한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 외에도, 차량에는 긴급 제동 시스템(AEB), 교통 체증 지원 시스템(TJA), 차선 유지 시스템(LKS: Lane Keeping System), 교차로 경고 시스템(CTA), 후측방 충돌 회피 시스템(ABSD) 등과 같은 다양한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여러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은 작동하는 속도 영역이 일부 중첩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중첩된 속도 영역에서 복수의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이 작동하면 운전자에게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이 작동하는 동안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이 작동하여 자동 주차 중인 차량이 전방 차량을 추종하며 주행하거나, 긴급 제동 시스템(AEB)이 작동하여 자동 주차 중인 차량이 급정거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이 작동하는 동안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이 작동하여 자동 주차 제어 중인 차량의 엔진이 오프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반대로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이 작동하는 상황에서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이 작동하여 차량이 주행 중인 주변 차량 사이로 주차를 시도함으로써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이 작동하여 엔진이 오프 된 상태이면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 등이 작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실시예들은, 이러한 여러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이 장착된 차량에서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동시 작동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200, 이하 '엔진 제어 장치'라고도 함)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200)는,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과,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을 제어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과,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이나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에 장착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카메라 센서 등을 통해 주차 공간을 탐색하고, 탐색 결과에 따라 주차 공간을 설정한다.
그리고,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차량의 조향과 제동 등을 제어하며 설정된 주차 공간으로 차량을 이동시키며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하는 동안 자동 주차 제어에 따른 엔진 제어를 위해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엔진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은,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작동에 따른 엔진 제어를 위해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엔진 제어부(230)로 출력한다.
여기서,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은, 여러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작동에 따른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각각의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마다 별도로 존재할 수도 있다.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이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의 작동에 따른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은 차량의 주행 또는 정차 상태에 따라 엔진을 온 또는 오프 시키는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엔진 제어 신호 또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출력되는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엔진 제어부(230)는, 제1 엔진 제어 신호나 제2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
이때, 엔진 제어부(230)가,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과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엔진을 제어함에 따라, 스마트 주차 보조 시스템(SPAS)을 포함한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에 의한 차량 제어가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태이면,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
일 예로,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
그리고,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주차 보조 완료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에 의해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작동에 의한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에 의한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엔진 제어부(230)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2 엔진 제어 신호에 의해 차량의 엔진이 오프 된 상태이면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온 시키고 자동 주차 제어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엔진 제어부(230)가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태이고 차량의 엔진이 오프 된 상태에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온 시키고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서 자동 주차 제어 요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자동 주차 요건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른 엔진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200)는,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신호에 의해 자동 주차 제어가 방해받지 않고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 엔진이 오프 된 상태이면, 엔진을 온 시킨 후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
즉,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과 같은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작동에 의해 차량의 엔진이 오프 된 상태에서 주차 보조 시작 신호가 수신될 수 있으므로, 주차 보조 시작 신호가 수신되면 오프 상태인 엔진을 온 시킨 후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의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
또한,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비활성화 명령을 전송할 수도 있다.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할 수도 있으나,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비활성화 명령 등과 같은 비활성화 명령을 전송하여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제2 엔진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주차 보조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여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엔진 제어부(230)가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 전송하는 비활성화/활성화 명령은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뿐만 아니라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 등과 같은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 전송되는 비활성화/활성화 명령은 엔진 제어부(230)에 의해 출력될 수도 있으나,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에 의해 출력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 전송되는 비활성화/활성화 명령이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출력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엔진 제어부(230)로 주차 보조 시작 신호와 자동 주차 제어에 따른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그리고,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비활성화 명령을 전송한다.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은,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을 비활성화시켜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의 작동에 따른 엔진 제어 신호가 출력되지 않도록 한다.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가 완료되면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고, 엔진 제어부(230)로 주차 보조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은,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수신된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활성화 명령에 따라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엔진 제어부(230)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
따라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에 의해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엔진 제어부(230)가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수신되는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수신되는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의 작동에 의해 엔진이 오프 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200)는, 주차 보조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 주차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설정된 목적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내비게이션에 설정된 목적지가 존재하면 차량이 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차량이 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한 상태이면 엔진 제어부(230)로 주차 보조 시작 신호 및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다른 예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내비게이션 정보로부터 차량의 위치가 주차 공간(예: 공영 주차장 등)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차량이 주차 공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엔진 제어부(230)로 주차 보조 시작 신호 및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차량에 장착된 센서 등을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차가 가능한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차량이 주차가 가능한 공간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 제어부(230)로 주차 보조 시작 신호 및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이 자동 주차 제어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주차 보조 시작 신호와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에 의해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의 제2 엔진 제어 신호가 불필요하게 무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자동 주차가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 보조 제어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다.
따라서, 자동 주차가 유효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주차 보조 요청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여, 자동 주차 제어가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엔진 제어부(230)의 작동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와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S400).
엔진 제어부(230)는 차량의 엔진이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 등의 제어에 의해 오프 된 상태이면(S410) 엔진을 온 시킨다(S420).
그리고,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수신된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S430).
엔진 제어부(230)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로부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S440)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에 의한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450).
엔진 제어부(230)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에 의해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 중이면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S460), 자동 주차 제어가 완료된 상태이면 제2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한다(S470).
따라서, 자동 주차 제어 중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여,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에 의한 엔진 제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나아가,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을 비활성화시켜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과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 중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을 제어하는 모듈 간의 작동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의 상태와 기능 정보를 수신한다(S510).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스위치 등을 통한 입력에 의해 주차 보조 요청이 수신되면(S511),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의 상태가 활성화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12).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의 상태가 활성화 상태이면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으로 비활성화 요청을 전송한다(S513).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은 활성화 상태이고 기능은 온 또는 오프 인 상태에서(S520),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비활성화 요청을 수신한다(S521).
여기서,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의 활성화 상태는 기능이 온 또는 오프 될 수 있는 상태이고, 비활성화 상태는 기능이 온 또는 오프로 변경되지 않고 오프를 유지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의 기능이 온 이면 차량의 정차시 엔진을 오프 시키고 기능이 오프 이면 차량이 정차하더라도 엔진을 오프 시키지 않는다.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은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비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고 기능을 오프 상태로 유지한다(S522).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의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이고 기능이 오프 인 것이 확인되면(S514),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시작한다(S515).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자동 주차의 완료나 해제에 의해 자동 주차 제어가 종료되면(S516),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으로 활성화 요청을 전송한다(S517).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은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S523), 상태를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고 기능이 온 또는 오프 될 수 있도록 한다(S524).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는 동안에는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을 비활성화시킴으로써, 자동 주차 제어 중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의 작동에 의해 엔진이 오프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방식은 공회전 제한 시스템(ISG)뿐만 아니라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과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220) 중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을 제어하는 모듈 간의 작동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의 상태를 수신한다(S610).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S611)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의 상태를 확인한다(S612).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의 상태가 온 인 것으로 확인되면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로 비활성화 요청을 전송한다(S613).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은 온 상태에서(S620)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로부터 비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S621)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을 오프 상태로 변경한다(S622). 그리고,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이 오프 상태인 정보를 차량 내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623).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의 상태가 오프 인 것으로 확인되면(S614),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한다(S615).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자동 주차 제어가 완료되면(S616)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로 활성화 요청을 전송한다(S617).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은 활성화 요청을 수신하면(S618)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여 운전자에 의해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변경한다(S625).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 주차 제어 중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의 작동으로 인해 자동 주차 제어 중인 차량이 전방 차량을 추종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자동 주차 제어 상황에서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비활성화/활성화 명령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엔진 제어 장치(200)의 엔진 제어부(230)나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주차 제어 모듈(210)은,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신호를 불필요하게 무시하거나 비활성화시키지 않도록 자동 주차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자동 주차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은 본 실시예들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200)에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이 자동 주차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과정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S700)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설정된 목적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10).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설정된 목적지가 존재하면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한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720).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차량이 목적지에 도착한 상태이면 엔진 제어부(210)로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S730).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내비게이션에 설정된 목적지가 존재하지 않으면 내비게이션 정보로부터 차량이 주차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40).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차량이 주차 공간에 위치하고 있으면 엔진 제어부(230)로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S730).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차량이 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하지 않거나 주차 공간에 위치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 보조 제어 확인 메시지를 출력하여(S750), 주차 보조 요청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하며 자동 주차가 가능하지 않은 상황에서 자동 주차 제어가 수행되지 않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이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S800) 차량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정보를 획득한다(S810). 그리고,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주차가 유효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20).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자동 주차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S830) 엔진 제어부(230)로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S840). 그리고, 유효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주차 보조 제어 확인 메시지를 출력한다(S850).
따라서, 주차 보조 제어 모듈(210)은 자동 주차가 가능한 상황에서만 엔진 제어부(230)로 주차 보조 시작 신호와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엔진 제어부(230)가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도록 한다.
즉, 자동 주차 제어가 가능하고 수행되는 동안에만 다른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신호 무시 또는 비활성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불필요한 제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동 주차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주차 보조 제어 확인 메시지 출력을 통해 주차 보조 요청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 주차 제어가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운전자 지원 시스템(DAS)의 엔진 제어 장치
210: 주차 보조 제어 모듈
220: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
230: 엔진 제어부

Claims (14)

  1.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를 제어하는 동안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주차 보조 제어 모듈;
    상기 차량의 운전자 지원 시스템을 제어하고, 상기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작동에 따른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 및
    상기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고,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엔진 제어부
    를 포함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완료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오프 된 상태에서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차량의 엔진을 온 시킨 후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 공회전 제한 시스템 비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는,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 공회전 제한 시스템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차량의 위치와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에 설정된 목적지를 비교하고, 상기 차량이 상기 설정된 목적지에 도착한 상태이면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에 따른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차량의 내비게이션 정보로부터 상기 차량의 위치가 주차 공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위치가 주차 공간에 해당하면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에 따른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은,
    주차 보조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차량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가 유효한 공간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주차가 유효한 공간이면 상기 차량의 자동 주차 제어에 따른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10.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시작 신호와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부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엔진이 오프 된 상태이면 상기 차량의 엔진을 온 시킨 후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태에서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상기 주차 보조 시작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완료 신호를 수신하기 전까지 상기 제2 엔진 제어 신호를 무시하고 상기 제1 엔진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차량의 엔진을 제어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보조 시작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 공회전 제한 시스템 비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 보조 제어 모듈로부터 주차 보조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운전자 지원 시스템 제어 모듈로 공회전 제한 시스템 활성화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방법.
KR1020170041367A 2017-03-31 2017-03-31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80111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367A KR20180111031A (ko) 2017-03-31 2017-03-31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DE102018204937.8A DE102018204937B4 (de) 2017-03-31 2018-03-29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integrierten Steuern von Fahrerunterstützungssystemen
US15/940,743 US10647314B2 (en) 2017-03-31 2018-03-29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controlling of driver assistance systems
CN201810296768.6A CN108688653B (zh) 2017-03-31 2018-03-30 驾驶者支援系统的综合控制装置及方法
US16/219,867 US10654471B2 (en) 2017-03-31 2018-12-13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controlling of driver assistance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367A KR20180111031A (ko) 2017-03-31 2017-03-31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031A true KR20180111031A (ko) 2018-10-11

Family

ID=63865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367A KR20180111031A (ko) 2017-03-31 2017-03-31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10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60673B (zh) 车道变换支持设备
CN111902322B (zh) 用于本车的间距调节的方法和系统
JP4852482B2 (ja) 車両走行支援制御装置
US20170361841A1 (en) Travel control device for vehicle
US20150203126A1 (en) Drive assist device
US10908605B2 (en) Driving assist device
KR102360633B1 (ko) 운전 지원 장치
US20210016783A1 (en) Vehicle travel control apparatus
US11685410B2 (en)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riving with automated longitudinal guidance
JP6988908B2 (ja) 自動運転車両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CN112977611A (zh) 行驶辅助系统及其控制方法
US20200216074A1 (en) Control system of vehicle, control method of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4962137B2 (ja) 追従走行制御装置
JP7140092B2 (ja) 運転支援装置
US20230398990A1 (en) Mobile body control device, mobile body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KR20210029859A (ko) 최소 위험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및 상기 차량의 작동 방법
WO2016186175A1 (ja) 制動解除手段を備えた衝突回避支援装置および衝突回避支援方法
US1065447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controlling of driver assistance systems
KR20180111031A (ko)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엔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88458B1 (ko) 운전자 지원 시스템의 통합 제어 장치 및 방법
JP7008537B2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追従走行システム
KR20210029357A (ko) 최소 위험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및 상기 차량의 작동 방법
KR20210029356A (ko) 최소 위험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및 상기 차량의 작동 방법
JP2008265611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KR20210029858A (ko) 최소 위험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차량 및 상기 차량의 작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