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249A -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249A
KR20180110249A KR1020170038321A KR20170038321A KR20180110249A KR 20180110249 A KR20180110249 A KR 20180110249A KR 1020170038321 A KR1020170038321 A KR 1020170038321A KR 20170038321 A KR20170038321 A KR 20170038321A KR 20180110249 A KR20180110249 A KR 20180110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cathode active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nick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우석
송준호
조용남
유지상
이선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38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0249A/ko
Publication of KR20180110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249A/ko
Priority to KR1020220033958A priority patent/KR202200417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3/00Compounds of nickel
    • C01G53/40Nickelates
    • C01G53/42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 C01G53/44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 C01G53/50Nickelates containing alkali metals, e.g. LiNiO2 containing manganese of the type [MnO2]n-, e.g. Li(NixMn1-x)O2, Li(MyNixMn1-x-y)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50Solid solutions
    • C01P2002/52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 C01P2002/54Solid solutions containing elements as dopants one element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i 고함량(rich)계 양극 활물질에서 표면의 Ni 함량을 낮추기 위한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Ni, Co 및 Mn을 포함하는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표면에 Mn 또는 이종원소를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Mn 또는 이종 원소가 Ni, Co 및 Mn 중 적어도 하나와 치환되어 형성되는 표면 도핑층을 포함하여, 표면의 Ni 함량을 감소시켜 고온의 환경에서 전지 특성과 열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Surface doped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i 고함량(rich)계 양극 활물질에서 표면의 Ni 함량을 낮추기 위한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이차전지는 핸드폰 및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소형 기기의 주 전력 공급원으로 사용되어져 왔으나 대형기기에 대한 수요의 증가에 따라 전기 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 장치로 그 외연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수준의 에너지 밀도는 대형 장치에 적용하기 위하여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를 개선하고자 고용량의 발현이 가능한 신규 양극 소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고용량 달성을 위하여 Ni함량이 60%이상인 LiNiaCobMncO2(0.6<a≤0.9, a+b+c=1), NCM계 양극 활물질이 주목받고 있으나, Ni 함량 증가에 따른 구조안정성의 저하에 기인하는 전지 특성의 저하, 특히 고온의 환경에서의 전지 특성 열화와 열 안정성의 감소가 심각하게 발생하는 것이 문제시 되어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8652호(2016.01.28.)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의 환경에서의 전지 특성 열화와 열 안정성의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Ni, Co 및 Mn을 포함하는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표면에 Mn 또는 이종원소를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상기 Mn 또는 이종 원소가 상기 Ni, Co 및 Mn 중 적어도 하나와 치환되어 형성되는 표면 도핑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LiNixCoyMnzMaO2(x+y+z+a=1, x ≥ 0.7, a ≥ 0, M = 이종 원소, M = Al, Ti, V, Cr, Fe, Zr, Nb, Mo, Ga 및 Sn 중 적어도 하나 포함)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표면 도핑층의 Ni 함량은 상기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Ni 함량보다 낮고, 표면에서 내부로 들어갈수록 상기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Ni 함량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표면 도핑층의 두께는 100 ~ 5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에 있어서,상기 리튬 과량계 양극 소재는 Ni 함량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이종 원소는 Al, Ti, V, Cr, Fe, Zr, Nb, Mo, Ga 및 S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은 Mn 또는 이종 원소를 포함하는 코팅 용액에 Ni, Co 및 Mn을 포함하는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를 투입하여 상기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입자 표면에 Mn 또는 이종 원소를 코팅하는 단계, 상기 Mn 또는 이종 원소가 코팅된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를 열처리하여 상기 Mn 또는 이종 원소가 상기 Ni, Co 및 Mn 중 적어도 하나와 치환되어 형성되는 표면 도핑층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열처리를 700℃에서 900℃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Ni, Co 및 Mn을 포함하는 니켈 과량계 복합 양극 소재의 표면에 Mn 또는 이종 원소를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Mn 또는 이종 원소가 Ni 및 Co 중 적어도 하나와 치환되어 형성됨으로써, 표면의 Ni 함량을 감소시켜 고온의 환경에서 전지 특성과 열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의 SEM 영상과 EDS 선형 매핑(EDS linear mapping)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고온에서의 수명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열 안정성 평가를 위한 DSC 분석에 따른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Mn 또는 이종 원소가 Ni, Co 및 Mn 중 적어도 하나와 치환되어 형성되는 표면 도핑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화학식 1]
LiNixCoyMnzMaO2(x+y+z+a=1, x ≥ 0.7, a ≥ 0, M = 이종 원소, M = Al, Ti, V, Cr, Fe, Zr, Nb, Mo, Ga 및 Sn 중 적어도 하나 포함)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Mn 또는 이종 원소가 치환된 니켈계 전이금속 산화물로서, Ni, Co 및 Mn을 포함하는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표면에 Mn 또는 이종 원소를 코팅한 후 열처리(calcination; 소성 또는 하소)하여 Mn 또는 이종 원소를 Ni, Co 및 Mn 중 일부와 치환하여 표면 도핑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종 원소는 Al, Ti, V, Cr, Fe, Zr, Nb, Mo, Ga 및 S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Ni, Co 및 Mn을 포함하는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표면에 Mn 또는 이종 원소를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Mn 또는 이종 원소가 Ni 및 Co 중 적어도 하나와 치환되어 형성되는 표면 도핑층을 포함하여, 표면의 Ni 함량을 감소시켜 고온의 환경에서 전지 특성과 열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때 표면 도핑층의 두께는 100 ~ 500nm가 될 수 있으며, 코팅량과 열처리 조건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Mn 또는 이종 원소를 포함하는 코팅 용액에 Ni, Co 및 Mn을 포함하는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를 투입한 후, 교반 및 건조를 수행(S100)하여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입자 표면에 Mn 또는 이종 원소를 코팅한다(S200). 그리고 S300 단계에서 Mn 또는 이종 원소가 코팅된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를 열처리하여 Mn 또는 이종 원소가 Ni, Co 및 Mn 중 적어도 하나와 치환되어 형성되는 표면 도핑층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S100 단계는 하기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S110 단계에서 나노 크기의 Mn 또는 이종 원소를 포함하는 코팅 용액을 제조한다. 여기서 이종 원소는 Al, Ti, V, Cr, Fe, Zr, Nb, Mo, Ga 및 S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Mn 소스로 Mn acetate를 사용하여 이소프로필알콜(isopropyl alcohol; IPA)과 같은 용매에 투입한 후 교반하여 Mn이 균일하게 분산된 코팅 용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S130 단계에서 S110 단계에서 제조된 코팅 용액에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를 투입한 후, S150 단계에서 50℃ 내지 70℃에서 2시간 내지 4시간 동안 교반 및 건조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S200단계에서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표면에 Mn 또는 이종 원소를 코팅할 수 있다. 여기서,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Ni 함량은 70% 이상이 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80%이 이상이 될 수 있다.
S300 단계는 하기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Mn 또는 이종 원소가 코팅된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와 혼합물을 700℃에서 900℃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850℃에서 5시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S330 단계 이전에 표면 도핑량이 높아지면 리튬의 보상 차원에서 리튬 소스를 첨가(S310)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S350 단계에서 Mn 또는 이종 원소가 열처리 과정에서 Ni, Co 및 Mn 중 적어도 하나와 치환되어 형성되는 표면 도핑층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이 제조된다. 여기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표면 도핑층의 Ni 함량은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Ni 함량보다 낮고, 표면에서 내부로 들어갈수록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Ni 함량에 근접해질 수 있다. 이때 표면 도핑층의 두께는 100 ~ 500nm가 될 수 있으며, 코팅량과 열처리 조건에 따라 상이해 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은 Ni, Co 및 Mn을 포함하는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표면에 Mn 또는 이종 원소를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Mn 또는 이종 원소가 Ni 및 Co 중 적어도 하나와 치환되어 형성되는 표면 도핑층을 포함하여, 표면의 Ni 함량을 감소시켜 고온의 환경에서 전지 특성과 열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물성 및 전기 화학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LiNi0.82Co0.12Mn0.06O2의 조성을 가지는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표면에 Mn 원소를 흡착시키기 위하여 Mn acetate를 Mn 소스로 사용하였다. 또한 Mn acetate를 IPA에 용해시킨 용액에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 10g을 투입하여 60℃에서 교반한 후 건조시켜 Mn이 코팅된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Mn이 코팅된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를 열처리를 수행하여 Mn이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표면에 도핑된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비교예는 표면 처리를 하지 않은 LiNi0.82Co0.12Mn0.06O2 조성을 가지는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를 사용하여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의 SEM 영상과 EDS 선형 매핑(EDS linear mapping)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은 표면의 조성이 LiNi0.71Co0.10Mn0.19O2로 표면 처리하기 전 조성 LiNi0.81Co0.13Mn0.16O2과 비교하여 Ni함량이 낮은 조성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고온에서의 수명 특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입자 강도 측정 결과, 입자 강도가 비교예는 51Mpa인 반면에 실시예는 110MPa로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입자의 구조 안정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의 고온 수명 평가를 60도에서 진행한 결과, 50 cycle 후 용량 유지율이 비교예는 57%(용량 121 mAh/g)인 것에 비해 실시예는 87%(용량 184 mAh/g)으로, 비교예에 비하여 현저히 개선된 용량 유지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에 대한 열 안정성 평가를 위한 DSC 분석에 따른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열적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이용하여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고, 4.3V의 완전 충전 상태의 전극을 회수하여 DSC 평가를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 발열 온도 피크가 실시예는 231℃, 비교예는 214℃로 비교예와 대비하여 실시예에 따른 양극 활물질을 이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전지의 열 안정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Claims (8)

  1. Ni, Co 및 Mn을 포함하는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표면에 Mn 또는 이종원소를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상기 Mn 또는 이종 원소가 상기 Ni, Co 및 Mn 중 적어도 하나와 치환되어 형성되는 표면 도핑층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는 하기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화학식 1]
    LiNixCoyMnzMaO2(x+y+z+a=1, x ≥ 0.7, a ≥ 0, M = 이종 원소, M = Al, Ti, V, Cr, Fe, Zr, Nb, Mo, Ga 및 Sn 중 적어도 하나 포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표면 도핑층의 Ni 함량은 상기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Ni 함량보다 낮고, 표면에서 내부로 들어갈수록 상기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Ni 함량에 근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표면 도핑층의 두께는 100 ~ 500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과량계 양극 소재는 Ni 함량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종 원소는 Al, Ti, V, Cr, Fe, Zr, Nb, Mo, Ga 및 S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7. Mn 또는 이종 원소를 포함하는 코팅 용액에 Ni, Co 및 Mn을 포함하는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를 투입하여 상기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의 입자 표면에 Mn 또는 이종 원소를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Mn 또는 이종 원소가 코팅된 니켈 과량계 양극 소재를 열처리하여 상기 Mn 또는 이종 원소가 상기 Ni, Co 및 Mn 중 적어도 하나와 치환되어 형성되는 표면 코팅층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열처리를 700℃에서 900℃에서 1시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KR1020170038321A 2017-03-27 2017-03-27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8011024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21A KR20180110249A (ko) 2017-03-27 2017-03-27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220033958A KR20220041799A (ko) 2017-03-27 2022-03-18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321A KR20180110249A (ko) 2017-03-27 2017-03-27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958A Division KR20220041799A (ko) 2017-03-27 2022-03-18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249A true KR20180110249A (ko) 2018-10-10

Family

ID=638762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321A KR20180110249A (ko) 2017-03-27 2017-03-27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220033958A KR20220041799A (ko) 2017-03-27 2022-03-18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958A KR20220041799A (ko) 2017-03-27 2022-03-18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11024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009A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652B1 (ko) 2014-02-26 2016-01-28 전자부품연구원 양극 활물질, 그를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009A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20116858A1 (ko) * 2018-12-03 2020-06-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양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799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Conformal conducting polymer shells on V2O5 nanosheet arrays as a high‐rate and stable zinc‐ion battery cathode
Cao et al. Polypyrrole-coated LiCoO2 nanocomposite with enhanc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at high voltage for lithium-ion batteries
Xiong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LiNi 0.8 Co 0.1 Mn 0.1 O 2 with conducting polypyrrole
KR101630209B1 (ko) 양극 활물질, 그를 갖는 리튬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Wang et al. Li2ZrO3 coated LiNi1/3Co1/3Mn1/3O2 for high performance cathode material in lithium batteries
KR101941869B1 (ko) 양극활물질의 잔류 리튬 제어방법
CN107681147B (zh) 一种固态电解质包覆改性锂离子电池正极材料的制备方法与应用
Lv et al. Li2O-B2O3-Li2SO4 modified LiNi1/3Co1/3Mn1/3O2 cathode material for enhanced electrochemical performance
Zhou et al. Enhanced rate performance and high potential as well as decreased strain of LiNi0. 6Co0. 2Mn0. 2O2 by facile fluorine modification
Sun et al. Achieving a bifunctional conformal coating on nickel-rich cathode LiNi0. 8Co0. 1Mn0. 1O2 with half-cyclized polyacrylonitrile
Wang et al. Manganese dissolution from LiMn 2 O 4 cathodes at elevated temperature: methylene methanedisulfonate as electrolyte additive
Yang et al. Mg2+ and Ti4+ co–doped spinel LiMn2O4 as lithium‐ion battery cathode
Zhang et al. Capacity fading mechanism and improvement of cycling stability of the SiO anode for lithium-ion batteries
US20180090752A1 (en) Cathode active material, method of preparing the cathode active material, and all-solid-state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722875B1 (ko) MoS2/카본 나노복합체 제조방법
KR20170120735A (ko) 리튬 일차전지의 양극 제조방법
Wu et al. Improving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Ni‐Rich LiNi0. 8Co0. 1Mn0. 1O2 by Enlarging the Li Layer Spacing
US20200185765A1 (en)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for negative electrode of all-solid-stat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49558B1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Lin et al. Structur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CoMnO4 doped with Mg, La, and F as a high-voltage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Bonino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Li2MxMn4− xO8 (M= Co, Fe) as positiv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ion cells
CN111211302B (zh) 锂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正极、锂离子电池和用电设备
KR20220041799A (ko) 표면 도핑 처리된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298432B1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Lai et al. Preparation of TiO 2-coated LiMn 2 O 4 by carrier transfer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59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318

Effective date: 2022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