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560A - 음식물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560A
KR20180109560A KR1020170039453A KR20170039453A KR20180109560A KR 20180109560 A KR20180109560 A KR 20180109560A KR 1020170039453 A KR1020170039453 A KR 1020170039453A KR 20170039453 A KR20170039453 A KR 20170039453A KR 20180109560 A KR20180109560 A KR 20180109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garbage
shaft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762B1 (ko
Inventor
김동수
Original Assignee
가나그린환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그린환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나그린환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76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8Means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 of the receptacle, e.g. wheels, rolls
    • B65F1/1473Receptacles hav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61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noise reduction, e.g. during opening or clo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가압판을 가압함에 따라 본체의 개구된 상면에 설치된 덮개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 가압판에 의해 개방되는 범위를 벗어나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걸림지지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가압판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의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덮개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는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본체 내부에 버릴 수 있고, 수거자는 본체 내부에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으며, 덮개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지지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걸림지지부에 묻은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통{FOOD WASTE BASKET}
본 발명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보관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발판을 가압함에 따라 본체의 개구된 상면에 설치된 덮개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그 덮개가 발판에 의해 개방되는 범위를 벗어나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여 사용자가 위생적이면서 용이하게 본체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 있고, 발판에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의 상면이 완전히 개방되게 덮개를 회동시켜 수거자가 보관용기 내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일반 쓰레기와 달리 수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쉽게 부패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거나 극심한 악취를 발산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기 위한 보관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용기는 상향 개구된 투입구를 갖는 통형의 본체와, 그 본체의 상부 일측에 힌지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구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된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보관용기는 사용자가 덮개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회동시켜 개방하고, 개방된 상태의 투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며,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후에는 손으로 잡고 있던 덮개가 투입구를 폐쇄하도록 닫는 방식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보관용기는 사용자가 덮개를 손으로 개폐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임에 따라, 사용자가 덮개를 파지하는 부분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위생적으로 대단히 불결하여 사용자가 거부감을 일으키게 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오염균이 사용자의 손을 통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이후 손을 깨끗이 씻거나 닦아야 하는 불편을 감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개방된 상태의 덮개를 닫는 동작에서 덮개는 본체의 상부와 충돌하게 되는데, 본체의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묻어 있는 경우에는 덮개를 덮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사용자의 신체에 튀게 됨에 따라 위생상 불결한 문제는 물론 사용자의 기분을 심히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하게 되었으며, 더욱이 본체와 덮개의 충격은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때마다 반복됨에 따라 덮개와 본체가 쉽게 파손되어 보관용기의 사용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를 유발하게 되었다.
이에 상기한 개인위생 및 주변 환경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9036호에는 도 1과 같이 사용자가 발판을 밟는 동작에 의해 뚜껑(12)이 개방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통체(11) 내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수거차량에 배출할 때에는 뚜껑(12)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통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뚜껑(12)을 개방시키고자 사용자가 발판(15)을 세게 밟은 경우는 물론, 음식물 쓰레기통이 경사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개폐축(23)에 의해 밀어 올려진 뚜껑(12)이 완전히 개방되어 통체(11)의 후면과 뚜껑(12)이 서로 접촉된 상태가 될 우려가 있는 있었다.
다시 말해,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뚜껑을 손으로 만지지 않더라도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개방된 상태가 되어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이 발판(15)을 발로 밟았을 때 뚜껑(12)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가 되면 결국 통체(11)의 상부를 뚜껑(12)을 덮기 위해서 사용자가 뚜껑을 손으로 만져야 함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과 비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771101호에는 도 2와 같이 사용자가 발판을 누르면 회동레버와 이 회동레버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레버의 상단에 설치된 가로바가 뚜껑의 걸림판을 밀어 뚜껑을 개방함과 동시에, 일정 각도로 뚜껑이 개방되면 가로바의 양단에 세움 설치된 세로바와 뚜껑의 후면이 면 접촉하여 더 이상 뚜껑이 개방되지 아니하고 고정되며, 사용자가 발판을 놓고 손으로 뚜껑을 파지하여 뚜껑을 외전시키면 250도 이상 회전되어 뚜껑이 완전히 개방되도록 하여, 음식물을 수거할 용도로 뚜껑을 개방시키지 않고서는 사용자가 뚜껑을 만지지 않더라도 음식물을 용이하게 버릴 수 있는 족압식 쓰레기통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족압식 쓰레기통의 경우는 세로바가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된 것임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거나, 쓰레기통을 운반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세게 밟는 경우 쉽게 변경되거나 파손되어 뚜껑이 더 이상 개방되지 않게 고정하는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세로바가 변형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세로바의 크기를 크게하거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쓰레기통의 무게 증가와 함께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거나 수거자가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세로바에 묻게 되어 외관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 악취를 풍기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과 비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9036호(2006.06.09.등록, 완전 개방형 뚜껑이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통) 한국등록특허 제10-0771101호(2007.10.23.등록, 족압식 쓰레기통)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가압판을 가압함에 따라 본체의 개구된 상면에 설치된 덮개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그 가압판에 의해 개방되는 범위를 벗어나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며, 가압판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의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덮개를 회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덮개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지지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하여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체의 상부가 개방되게 회동시킨 덮개를 본체의 상부가 폐쇄되게 덮는 과정에서 본체와 덮개가 부딪혀 충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많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곳에서는 복수개의 본체를 서로 연이어지게 연결 설치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회동축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형성된 덮개; 상기 본체의 하부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양 측이 상하 회동되게 설치된 연결축과, 그 연결축의 일측에 사용자가 밟는 힘이 전달되게 설치된 가압판과, 그 가압판에 가해진 힘에 의해 상향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축의 타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승강축으로 이루어진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축의 상단부에는 상기 승강축이 상향 이동시 상기 덮개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게 들어올려주는 승강지지편이 형성되고, 그 승강지지편의 중앙부에는 상기 승강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축이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의 후방 측으로 완전히 회동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걸림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지지편이 상향 이동되어 상기 덮개를 들어올릴 때 상기 걸림지지부가 수용되도록 하는 지지부수용홈이 형성되고, 그 지지부수용홈에는 상기 승강축이 상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승강축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지지부는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의 후방 측으로 완전히 회동되는 동안 간섭되지 않도록 상단에서 상기 본체의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상기 덮개의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되도록 상기 덮개를 회동시켰을 때, 상기 덮개와 본체가 부딪히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충부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끼움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끼움구가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구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구와 걸림구를 매개로 복수개의 상기 본체가 상호 연이어져 설치되게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는 납부필증함이 수용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납부필증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납부필증함의 하부에는 상기 납부필증설치부의 하부에 걸려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어느 하나의 본체 내부에 다른 하나의 본체가 일부 수용되게 끼워져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로 적층되도록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돌출리브를 복수개 형성시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덮개가 가압판의 가압 동작에 의해 회동하여 본체의 상면이 일정 각도로 개방되도록 하고, 가압판을 가압한 상태에서는 덮개가 더 이상 열리지 않게 덮개의 회동 동작을 제한하여 사용자가 덮개를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사용자가 위생적이면서도 용이하게 본체 내부에 버릴 수 있고, 가압판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의 상부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덮개를 회동시킬 수 있어 수거자가 본체 내부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덮개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지지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덮개가 본체의 후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덮개를 개방시키거나 본체를 운반하거나 본체 내부에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경우에도 걸림지지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걸림지지부에 묻은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상부를 개방시킨 이후 다시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덮개를 덮을 때 본체와 덮개가 접촉하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와 덮개의 훼손이나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본체나 덮개에 묻어있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사용자나 주변에 튀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양에 따라 복수개의 본체를 연결 설치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통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통의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음식물 쓰레기통의 측면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2는 종래 족압식 쓰레기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을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판을 가압하여 본체의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걸림턱부와 걸림지지부에 의해 덮개의 회동이 제한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덮개에 의해 본체의 개구부가 폐쇄된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서 덮개가 본체의 후방으로 회동되어 덮개의 개구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 본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덮는 동안 충격완화부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이 복수개 연결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납부필증설치부에 설치되는 납부필증함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1)은 크게 음식물 쓰레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형의 본체(100)와, 본체(100)의 상면에 회동축(110)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형성된 덮개(200)와, 사용자가 발로 밟는 힘이 덮개(200)에 전달되어 개구부가 개방되도록 회동되거나 밟은 힘이 해제되어 개구부가 폐쇄되도록 회동되도록 하는 개폐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본체(100)는 세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어느 하나의 본체(100) 내부에 다른 하나의 본체(100)를 일정 높이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복수개의 본체(100)를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본체(100)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삼각 이상의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의 하부 양측 후방에는 한 쌍의 바퀴(120)를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통(1)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체(100)의 전면부에는 바퀴(120)의 설치 높이를 고려하여 바닥면 방향으로 하향 돌출되는 바닥면지지부(130)를 형성시켜 음식물 쓰레기통(1)이 바닥면에 수평을 유지하여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0)와 회동축(110)은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연결바(140)를 매개로 연결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바(140)는 회동축(110)이 본체(100)에 견고학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며, 이 뿐 아니라 후술할 승강축(340)이 상기의 연결바(140) 사이의 이격된 공간들 중 중앙부에 끼워지게 설치함으로써 승강축(340)의 상하 이동을 안정적으로 안내함과 동시에 승강축(34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덮개(200)에는 본체(100)의 전방측 또는 좌우측에는 손잡이부(210)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손잡이부(210)는 본체(100) 내부에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자는 물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는 사용자가 덮개(20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개폐수단(300)은 본체(100)의 하부에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양 측이 상하 회동되게 설치된 연결축(320)과, 그 연결축(320)의 일측에 사용자가 밟는 힘이 전달되게 설치된 가압판(330)과, 그 가압판(330)에 가해진 힘에 의해 상향 이동되도록 연결축(320)의 타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승강축(3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승강축(340)의 상단부에는 승강축(340)이 상향 이동시 덮개(200)에 접촉되어 개구부가 개방되게 들어올려주는 승강지지편(350)이 형성되고, 그 승강지지편(350)의 중앙부에는 승강축(3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됨과 동시에 승강축(340)이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덮개(200)가 본체(100)의 후방 측으로 완전히 회동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걸림지지부(360)가 형성된다.
상기의 걸림지지부(360)는 덮개(200)가 본체(100)의 후방 측으로 완전히 회동되는 동안 간섭되지 않도록 상단에서 본체(100)의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걸림지지부(360)의 경사면은 덮개(200)의 회전 반경을 고려하여 그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덮개(200)의 내부에는 승강지지편(350)이 상향 이동되어 덮개(200)를 들어올릴 때 걸림지지부(360)가 수용되도록 하는 지지부수용홈(220)이 형성되고, 그 지지부수용홈(220)에는 승강축(340)이 상향 이동된 상태에서 걸림지지부(360)에 지지되어 덮개(200)가 승강축(340)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부(230)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통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압판(33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본체(100)의 개구부가 덮개(20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는데, 이때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하고자 사용자가 가압판(330)을 발로 밟으면 본체(100)의 전방과 후방에서 상하 회동되게 설치된 연결축(320)은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게 되고, 가압판(330)의 반대측 즉 본체(100)의 후방측에 설치된 승강축(340)은 가압판(330)이 하향 이동됨에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승강축(340)이 상향 이동하게 되면, 승강축(340)의 상단부에 설치된 승강지지편(350)은 덮개(200)에 접촉된 상태가 되어 덮개(200)가 열리도록 들어 올려주는 힘을 전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덮개(200)는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상면에 일정 각도로 열리며 본체(100)의 개구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되어, 사용자가 덮개(200)를 손으로 잡아 열지 않더라도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본체(100) 내부에 버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덮개(200)가 일정 각도를 이루며 열리도록 가압판(330)을 가압한 상태에서는 도 6b와 같이, 승강지지편(350)의 끝단부 중앙에 형성된 걸림지지부(360)가 덮개(200)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부수용홈(220)에 끼워져 걸림턱부(230)에 걸려 지지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덮개(200)는 본체(100)의 상측이나 후방측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덮개(200)는 사용자가 가압판(330)을 가압한 상태에 있는 경우, 승강축(340)이 승강되는 최대 높이만큼 일측이 들어올려져 일정 각도로 열린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이 열린 상태에서는 걸림지지부(360)가 걸림턱부(230)에 걸려 승강축(340)에 의해 들어 올려진 높이 이상으로 들어올려지거나 회동되지 못하도록 제한되는 것이다.
이처럼, 덮개(200)가 개방되는 범위는 항시 가압판(330)에 의해 승강축(340)이 상향 이동하는 최대 높이로 제한됨에 따라, 덮개(200)가 개방되는 측이 하향 경사진 곳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물론 사용자가 가압판(330)을 일시에 강한 힘으로 밟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덮개(200)를 손으로 만질 필요가 없으므로,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덮개(200)나 본체(100)에 음식물 쓰레기가 일부 묻어 있는 경우라 할지라도 불쾌감을 덜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아울러, 덮개(200)의 회동을 제한하는 걸림지지부(360)는 덮개(200)가 열린 상태이거나 닫힌 상태에 관계없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된 것임에 따라, 본체(100)를 운반하거나 덮개(200)를 완전히 개방시킨 상태에서 본체(100) 내부에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동안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강지지편(350)의 크기는 증대시키지 않으면서도 승강지지편(350)에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제조원가의 절감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통(1)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걸림지지부(360)에 음식물 쓰레기가 묻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가압판(330)을 가압하여 덮개(200)가 열린 상태에서 본체(100) 내에 음식물 쓰레기를 버린 후 가압판(330)을 밟고 있던 발을 내리게 되면, 덮개(200)가 열린 상태가 되도록 지지하고 있던 승강축(340)에 가해진 힘이 해제되면서 도 7a와 같이 본체(100)의 개구부는 덮개(200)에 의해 다시 폐쇄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가압판(330)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7b와 같이 승강축(340)이 하향 이동됨에 따라 걸림지지부(360)가 걸림턱부(230)에 간섭되지 않도록 위치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덮개(200)를 본체(100)의 후방측으로 회동시켜 본체(100)의 개구부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수거자가 본체(100) 내부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의 덮개(200)는 사용자가 가압판(330)을 가압하였을 때 승강지지편(350)에 지지되어 들어 올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지부수용홈(220)의 깊이나 형상에 따라 가압판(330)을 가압하는 초기에는 승강지지편(350)에 지지된 상태로 들어 올려지다가 승강축(340)이 일정 높이로 상향 이동되었을 때부터 걸림지지부(360)가 지지부수용홈(220)을 지지하여 들어 올려진 상태 즉 열려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때에도 걸림지지부(360)는 가압판(330)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덮개(200)를 여닫을 때 회동이 제한되거나 간섭되지 않는 길이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도 8과 같이 본체(100)의 상면 또는 덮개(200)의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되도록 덮개(200)를 회동시켰을 때, 덮개(200)의 하중을 지지하며 덮개(200)가 서서히 닫히도록 하는 충격완충부(4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충격완충부(400)를 통해 덮개(200)와 본체(100)가 부딪히는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덮개(200)와 본체(100)의 파손을 효율적으로 방지하여 제품의 사용수명이 연장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덮개(200)나 본체(100)에 음식물 쓰레기가 묻어 있는 경우에도 이 음식물 쓰레기가 튀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덮개(200)나 본체(100)에 묻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에 의해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충격완충부(400)는 본체(100)의 전방측이나 좌·우측에 설치해도 무방하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후방측에 설치하는 것인데, 이는 본체(100) 내부에 음식무 쓰레기를 버리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묻지 않도록 하면서도 덮개(200)를 닫을 때 가장 먼저 덮개(2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이기 때문이며, 이러한 충격완충부(400)는 덮개(200)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9과 같이 본체(100)의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끼움구(150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측면에는 끼움구(150a)가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구(150b)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100)의 좌·우측면에는 동일선상에 서로 반대되는 형상을 갖는 끼움구(150a)와 걸림구(150b)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끼움구(150a)와 걸림구(150b)는 복수개의 본체(100)를 서로 연결하여 연이어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다량으로 배출되는 곳에 두고 사용하는 경우는 물론, 정해진 장소에서만 음식물 쓰레기를 버릴 수 있도록 제한된 곳에 두고 사용하는 경우처럼, 설정된 곳에 여러 개의 음식물 쓰레기통(1)을 모아두고 사용해야 할 때 음식물 쓰레기통(1)을 측면방향으로 나란히 연결 설치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통(1)의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통(1)의 설치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및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일부 제한된 영역에만 흐르도록 제한되어 주변 환경을 더욱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다음으로, 도 10과 같이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납부필증함(510)이 수용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납부필증설치부(500)가 형성되고, 납부필증함(510)의 하부에는 납부필증설치부(500)의 하부에 걸려 지지되는 필증함지지돌기(51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납부필증(520)은 사용자(배출자)가 직접 사업장별 전용용기에 음식물쓰레기를 배출할 때에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용량 및 과금 현황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써, 종래의 납부필증함(510)은 본체(100)의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나사못 등으로 고정 설치된 것이어서 쉽게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본체(100)에는 납부필증함(51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쉽고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납부필증설치부(500)를 형성시킨 것이고, 납부필증설치부(500) 내에 납부필증함(510)이 설치된 상태에서는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납부필증함(510)의 하부에 필증함지지돌기(511)를 형성시킨 것이다.
이에 더해, 본체(100)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돌출리브(160)를 복수개 형성시켜 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돌출리브(160)는 적은 공간을 이용해 복수개의 본체(100)를 운반 및 보관하기 위해 바퀴(120)를 탈거한 이후 어느 하나의 본체(100) 내부에 다른 하나의 본체(100)가 일부 수용되게 끼워 적층시켰을 때 각각의 본체(100)들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본체(1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1)은 사용자가 덮개(200)를 손으로 만지지 않고서도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수거자가 덮개(200)를 완전히 열어 본체(100) 내부에 채워진 음식물 쓰레기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걸림지지부(36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설치된 상태로 덮개(200)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 또는 수거하는 과정에서 걸림지지부(360)에 음식물 쓰레기가 묻더라도 덮개(200)가 덮혀 있는 동안은 물론 가압판(330)에 의해 덮개(200)가 개폐 동작되는 동안에도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더불어, 열린 상태의 덮개(200)를 덮을 때 본체(100)에 부딪혀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튀는 것을 방지되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본체(100)를 연이어지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통(1)의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음식물 쓰레기통
100 : 본체 110 : 회동축
120 : 바퀴 130 : 바닥면지지부
140 : 연결바 150a : 끼움구
150b : 걸림구 160 : 돌출리브
200 : 덮개 210 : 손잡이부
220 : 지지부수용홈 230 : 걸림턱부
300 : 개폐수단 310 : 힌지축
320 : 연결축 330 : 가압판
340 : 승강축 350 ; 승강지지편
360 : 걸림지지부
400 : 충격완충부
500 : 납부필증설치부 510 : 납부필증함
511 : 필증함지지돌기 520 : 납부필증

Claims (6)

  1. 음식물 쓰레기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통형의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회동축(110)으로 회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도록 형성된 덮개(2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힌지축(310)을 중심으로 양 측이 상하 회동되게 설치된 연결축(320)과, 그 연결축(320)의 일측에 사용자가 밟는 힘이 전달되게 설치된 가압판(330)과, 그 가압판(330)에 가해진 힘에 의해 상향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축(320)의 타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승강축(340)으로 이루어진 개폐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승강축(340)의 상단부에는 상기 승강축(340)이 상향 이동시 상기 덮개(200)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부가 개방되게 들어올려주는 승강지지편(350)이 형성되고, 그 승강지지편(350)의 중앙부에는 상기 승강축(3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승강축(340)이 하향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200)가 상기 본체(100)의 후방 측으로 완전히 회동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걸림지지부(360)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200)의 내부에는 상향 이동된 상기 승강지지편(350)에 의해 상기 덮개(200)가 들어 올려졌을 때 상기 걸림지지부(360)가 수용되는 지지부수용홈(220)이 형성되고, 그 지지부수용홈(220)에는 상기 승강지지편(350)이 상향 이동되었을 때 상기 걸림지지부(360)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덮개(200)가 상기 승강축(340)에 의해 들어 올려지는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부(2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지지부(360)는 상기 덮개(200)가 상기 본체(100)의 후방 측으로 완전히 회동되는 동안 간섭되지 않도록 상단에서 상기 본체(100)의 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상면 또는 상기 덮개(200)의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되도록 상기 덮개(200)를 회동시켰을 때, 상기 덮개(200)와 본체(100)가 부딪히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완충부(4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끼움구(150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측면에는 상기 끼움구(150a)가 끼워져 결합되는 걸림구(150b)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구(150a)와 걸림구(150b)를 매개로 복수개의 상기 본체(100)가 상호 연이어져 설치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납부필증함(510)이 수용되게 끼워져 고정되는 납부필증설치부(500)가 형성되고, 상기 납부필증함(510)의 하부에는 상기 납부필증설치부(500)의 하부에 걸려 지지되는 필증함지지돌기(5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는 각각의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돌출리브(160)를 복수개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KR1020170039453A 2017-03-28 2017-03-28 음식물 쓰레기통 KR101926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453A KR101926762B1 (ko) 2017-03-28 2017-03-28 음식물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453A KR101926762B1 (ko) 2017-03-28 2017-03-28 음식물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560A true KR20180109560A (ko) 2018-10-08
KR101926762B1 KR101926762B1 (ko) 2018-12-07

Family

ID=63864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453A KR101926762B1 (ko) 2017-03-28 2017-03-28 음식물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7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35868A (zh) * 2018-12-11 2019-03-08 荣成富琪科技有限公司 一种房车污水箱
KR101999223B1 (ko) 2018-11-27 2019-07-11 김경래 음식물 쓰레기통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7372B2 (ja) * 1999-02-12 2001-01-22 宮崎県 活魚の保持装置
WO2000053515A1 (en) 1999-03-08 2000-09-14 Kevin Sydney Lansdown A bin lid lifting assembly
JP4355183B2 (ja) 2003-09-04 2009-10-28 天馬株式会社 ゴミ入れ容器の連結構造
NL1026542C2 (nl) 2004-07-01 2006-01-03 Brabantia Nederland Bv Pedaalemmer.
KR100769081B1 (ko) 2006-10-10 2007-10-22 신태식 쓰레기통 뚜껑 개폐장치
KR200445410Y1 (ko) 2007-11-21 2009-07-28 구자황 음식물쓰레기통의 덮개개폐장치
KR100886609B1 (ko) * 2008-07-07 2009-03-05 내쇼날푸라스틱주식회사 쓰레기통
KR100880922B1 (ko) * 2008-11-25 2009-02-04 정종국 음식물쓰레기 수거통용 납부필증 고정구
KR101148408B1 (ko) 2010-07-16 2012-05-21 홍승표 쓰레기통의 연동형 덮개장치
KR101422997B1 (ko) 2013-04-10 2014-08-13 김은주 종량제용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223B1 (ko) 2018-11-27 2019-07-11 김경래 음식물 쓰레기통 커버
CN109435868A (zh) * 2018-12-11 2019-03-08 荣成富琪科技有限公司 一种房车污水箱
CN109435868B (zh) * 2018-12-11 2024-04-09 荣成富琪科技有限公司 一种房车污水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762B1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762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0989172B1 (ko) 압축수단이 구비된 쓰레기통
AU2007100057A4 (en) A waste bin
KR20100115563A (ko) 이중 페달식 쓰레기통
KR200411612Y1 (ko) 발판과 완전 개방형 뚜껑이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통
KR20130131855A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100771101B1 (ko) 족압식 쓰레기통
CN212291432U (zh) 一种侧开门式垃圾桶
KR101004019B1 (ko) 뚜껑의 개폐구조가 개선된 쓰레기통
KR102053585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N212150187U (zh) 一种垃圾分类收集亭
KR20110087693A (ko) 쓰레기 압축하는 휴지통 뚜껑
CN215973263U (zh) 一种便于容积调节的家用分体式垃圾桶
KR20110002191A (ko) 기능성 쓰레기통
KR200465720Y1 (ko) 음식물 쓰레기통
JP3061601U (ja) ゴミ容器
JP5785672B2 (ja) 取り外し可能なごみ容器を備えたロボット電気掃除機
CN215708998U (zh) 脚踏破袋垃圾桶
CN216661213U (zh) 具有倾倒垃圾防夹手功能的智能垃圾箱
CN109051447A (zh) 一种垃圾桶
KR102371955B1 (ko) 내용물 배출 수단이 구비된 쓰레받기
KR20080005705U (ko) 쓰레기 수거용기의 뚜껑 구조체
CN216071508U (zh) 一种垃圾分类箱用气味抑制机构
CN214086023U (zh) 一种脚踩式垃圾桶
US7219602B2 (en) Can collection catch bin for use with aluminum can compacting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