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720Y1 - 음식물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720Y1
KR200465720Y1 KR2020100010841U KR20100010841U KR200465720Y1 KR 200465720 Y1 KR200465720 Y1 KR 200465720Y1 KR 2020100010841 U KR2020100010841 U KR 2020100010841U KR 20100010841 U KR20100010841 U KR 20100010841U KR 200465720 Y1 KR200465720 Y1 KR 200465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outer cylinder
seating portion
inner cylind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989U (ko
Inventor
오영주
Original Assignee
포세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세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세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72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7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을 수거하는 쓰레기통의 외통과 내통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청결하게 쓰레기통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쓰레기통을 분리하기 위해 손톱 등의 신체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통의 상부로 내통이 안착 되게 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내통의 손잡이가 외통의 밖으로 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는 안착부가 하단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인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통은 외통의 안착부 상으로 안착되게 상부로 착지턱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에 위치되는 부위가 상단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인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통{food waste baske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수거하여 수분가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외통과 내통으로 구성된 쓰레기통에 양 단으로 손잡이를 구성하여 외통에서 내통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에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통은, 수분이 포함된 음식물을 수거하여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외통의 내부로 내통을 수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통에는 수분이 하단으로 빠지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음식물 쓰레기통은 음식물을 수거한 후 외통의 뚜껑을 닫아 놓으면 악취가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수분은 하단으로 배출되어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수분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통은 내통에 음식물을 수거되면 외통에서 내통을 분리하여 음식물을 버릴 수 있게 내통에 손잡이가 마련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손잡이가 하나로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통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내통에 음식물이 담겨 진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들어올릴 때, 손잡이 반대편으로 하중이 쏠리게 되므로 내통에서 외통이 쉽게 빠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둘째, 이와 같이 내통에서 외통이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손잡이의 반대편을 같이 들어올려야 하는데 이때, 손에 분비물이 묻게 되므로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셋째, 이와 같이 손을 사용할 경우 특히 외통과 내통 사이에 틈새가 없어 손톱으로 들어올리게 되는데 쓰레기 무게에 의해 손톱을 상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에 따라 종래의 쓰레기통은 사용상 불편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서술된 바와 같이, 종래의 쓰레기통의 구조에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음식물을 수거하는 쓰레기통의 외통과 내통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청결하게 쓰레기통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쓰레기통을 분리하기 위해 손톱 등의 신체가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통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로 인해 쓰레기통의 사용상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통은, 외통의 상부로 내통이 안착 되게 안착부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내통의 손잡이가 외통의 밖으로 인출되게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타측에는 안착부가 하단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인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내통은 외통의 안착부 상으로 안착되게 상부로 착지턱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부에 위치되는 부위가 상단으로 단턱지게 형성되어 인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외통의 안착부와 외통 상단으로 안착 되는 내통의 착지턱 사이에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착부에 돌기를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통에 따르면, 내통에 형성되는 손잡이의 반대편에 손을 넣어 내통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인입구를 더 구비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하면서도 신체를 상하지 않고도 외통에서 내통을 쉽게 들어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해 소비자로 하여금 쓰레기통의 사용상 신뢰성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쓰레기통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통 중 내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통 사시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쓰레기통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음식물 쓰레기통 중 내통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통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100)은 외통(110)과 상기 외통의 상단에서 내부로 수납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수납하는 내통(120)으로 구비된다.
상기 외통(110)은 내부가 중공부를 이루며 일측에 배출구(미도시함)가 형성되는 본체(111)와 상기 본체의 상부로 안착부(114)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114)의 하단으로 쓰레기통을 이동시키기 편하게 회동가능한 손잡이(115)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111)의 상단으로는 일측에 힌지에 의해 여닫을 수 있는 뚜껑(112)이 결합 된다. 이때, 뚜껑과 본체는 잠금부(1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14)에는 내통(120)이 수납된 상태에서 내통에 형성된 손잡이(123)가 외통(110)의 밖으로 인출되게 개구부(116)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116)의 타측에는 안착부(114)의 요부가 하단으로 단턱(114b)져 인입구(13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안착부(114)의 상단은 내통(120)의 착지턱(124)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안착부상에 돌기(114a)가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116) 및 하단으로 단턱(114b)진 인입구(130) 상에는 돌기(114a)를 형성하지 않는다.
상기 외통(110)을 삽입되는 내통(120)은 음식물 찌꺼기가 저장되는 수거함(121)이 형성되되, 상기 수거함에는 물기가 하단으로 빠지게 다수의 통공(122)이 형성되며, 상단에는 안착부(114)의 돌기(114a)에 안착 되게 착지턱(124)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통(120)에는 손잡이(123)이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123)의 타측에는 착지턱(124)의 요부가 상부로 단턱(124a)져 인입구(130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턱(124a)은 외통(110)에 형성되는 단턱(114b)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서로 반대쪽으로 단턱져 인입구(130a)를 형성하며, 이 인입구(130a)는 상술한 인입구(130)와 일체로 하나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들 인입구(130,130a)는 점선으로 구획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하나의 공간부이다.
한편, 본 고안의 쓰레기통은 도면상 사각형상으로 대비하여 설명하였으나, 사각형상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원형 및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의 사용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통(100)에 음식물 찌꺼기를 담기 위해서는 잠금부(113)를 해지하고 뚜껑(112)을 일측 방향으로 개폐한 후 수납된 내통(120)에 음식물 찌꺼기를 버리고 다시 뚜껑(112)을 닫고 잠금부(113)를 잠그면된다.
이와 같이 내통에 담겨 지는 음식물 찌꺼기는 내통(120)에 형성된 통공(122)으로 물기가 외통(110) 본체(111)의 공간부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을 버리고 뚜꺼을 덮어 두면 물기는 제거되고 악취는 밖으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기가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기 위해서는 외통(110)에 구비된 손잡이(115)를 잡고 음식물 찌꺼기를 배출하는 장소로 이동시켜 배출하면 된다.
즉, 잠금부(113)를 해지하고 뚜껑(112)을 열어 한 손으로는 내통(120)에 형성된 손잡이(123)를 잡고 다른 한 손은 외통과 내통에 형성되는 인입구(130,130a)에 손가락을 넣고 단턱(124a)의 하단을 들어올려 내통(120)을 외통(110)에서 꺼내어 음식물을 배치된 수거통에 버리면 된다.
이와 같이, 양 손을 이용하여 손잡이(123)와 일측에 마련된 단턱(124a)을 잡고 내통을 들어올리므로 무게중심을 잡을 수 있으므로 손쉽게 외통에서 내통을 들어 올릴 수 있다.
종전에는 외통과 내통에 간격이 없어 손톱으로 사이에 삽입시켜 들어올리므로 손톱이 상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의 쓰레기통은 단턱을 상하로 형성하여 손가락을 인입할 수 있는 입입구를 형성함으로써, 신체가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종전에는 내통을 들어올릴 때 타측을 들어올리기 위한 손에 이물질이 묻어 위생상 청결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으나, 본 고안은 인입구가 밖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0: 음식물 쓰레기통 110:외통
111: 본체 112: 뚜껑
114:안착부 114a: 돌기
114b, 124a: 단턱 115, 123: 손잡이
124: 착지턱 130, 130a: 인입구

Claims (2)

  1.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본체(111)의 상단으로 손잡이(115)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측부에 힌지에 의해 여닫을 수 있게 뚜껑(112)이 구비되는 외통(110)과, 상기 외통(110)의 내측에 수납되며 일측에 손잡이(123)를 가지고 음식물이 수납되는 내통(120)으로 구비되는 음식물 쓰레기통(100)에 있어서,
    상기 외통(110)의 상부로 내통(120)이 안착 되게 안착부(114)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114)의 소정부위에는 상기 내통(120)의 손잡이(123)가 외통(110)의 밖으로 인출되게 개구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6)의 타측에는 안착부(114)가 하단으로 단턱(114b)지게 형성되어 인입구(130)가 형성되며,
    상기 내통(120)은 외통(110)의 안착부(114) 상으로 안착되게 상부로 착지턱(124)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114b)에 위치되는 부위가 상단으로 단턱(124a)지게 형성되어 인입구(13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통(110)의 안착부(114) 상에는 안착부(114)와 착지턱(124) 사이에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돌기(114a)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통.
KR2020100010841U 2010-10-22 2010-10-22 음식물 쓰레기통 KR200465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41U KR200465720Y1 (ko) 2010-10-22 2010-10-22 음식물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41U KR200465720Y1 (ko) 2010-10-22 2010-10-22 음식물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89U KR20120002989U (ko) 2012-05-03
KR200465720Y1 true KR200465720Y1 (ko) 2013-03-07

Family

ID=46606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841U KR200465720Y1 (ko) 2010-10-22 2010-10-22 음식물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7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971B1 (ko) * 2013-11-29 2014-12-23 김대종 음식물 쓰레기 통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88Y1 (ko) 2009-06-08 2010-02-22 (주)이컴앤드시스템 음식물 쓰레기통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788Y1 (ko) 2009-06-08 2010-02-22 (주)이컴앤드시스템 음식물 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989U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7788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841240B1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KR101077480B1 (ko)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KR200465720Y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101468721B1 (ko)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KR200489080Y1 (ko) 쓰레기봉투 거치용 쓰레기통
KR200468598Y1 (ko) 인출식 비닐봉지가 수납된 쓰레기통
KR20150073683A (ko) 하부 개방 가능한 쓰레기통
US20120217242A1 (en) Vented trash receptacle
CN209275377U (zh) 内置垃圾袋的双层垃圾桶
KR101926762B1 (ko) 음식물 쓰레기통
KR20090007253U (ko) 음식점 반찬 운반구
KR101873849B1 (ko)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용기
KR200434958Y1 (ko) 바닥 개방형 쓰레기통
KR10112808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CN208292013U (zh) 一种厨房用干湿分离式垃圾桶
KR200469467Y1 (ko) 중앙부가 개폐되는 쓰레기통
CN201680665U (zh) 电冰箱旋转式果蔬盒
KR101727667B1 (ko) 다기능 보관 용기
KR20110002191A (ko) 기능성 쓰레기통
KR20140005944U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채반
KR101466971B1 (ko) 음식물 쓰레기 통
CN207142014U (zh) 一种多功能垃圾桶
KR102289638B1 (ko) 측벽 개폐형 쓰레기통
KR20080005705U (ko) 쓰레기 수거용기의 뚜껑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