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495A - 노듈형 주조 합금 - Google Patents

노듈형 주조 합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495A
KR20180108495A KR1020180033303A KR20180033303A KR20180108495A KR 20180108495 A KR20180108495 A KR 20180108495A KR 1020180033303 A KR1020180033303 A KR 1020180033303A KR 20180033303 A KR20180033303 A KR 20180033303A KR 20180108495 A KR20180108495 A KR 20180108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 alloy
cast
pearlite
alloy
fer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콘라트 파피스
세바슈티안 비어슈케
Original Assignee
게오르크 피셔 오토모티브 (쿤산) 컴퍼니 리미티드
게오르크 피셔 게엠베하
게오르크 피셔 아이젠구스 게엠베하
게오르크 피셔 오토모빌구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오르크 피셔 오토모티브 (쿤산) 컴퍼니 리미티드, 게오르크 피셔 게엠베하, 게오르크 피셔 아이젠구스 게엠베하, 게오르크 피셔 오토모빌구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오르크 피셔 오토모티브 (쿤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08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04Cast-iron alloys containing spheroidal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7% by weight of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10Making spheroidal graphite cast-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4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Cr and Ni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5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M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6/00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 C21D6/008Heat treatment of ferrous alloys containing Si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06Cast-iron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7/08Cast-iron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10Cast-iron alloys containing aluminium or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3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5/00Casting using a mould or core of which a part significant to the process is of high thermal conductivity, e.g. chill casting; Mould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5Ferr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9Pear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5/00Heat treatments of cast-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5/00Heat treatments of cast-iron
    • C21D5/04Heat treatments of cast-iron of white cast-iron
    • C21D5/06Malleabilising
    • C21D5/14Graphiti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듈형 주조 합금, 이로부터 제조된 주조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노듈형 주조 합금은 주철 제품을 위한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미세조직을 가지며 주조 상태에서도 양호한 연성 및 인성과 조합된 고강도를 가지며, 비철 성분으로서 C, Si, Ni, Mn, Cu, Mg, Cr, Al, P, S 및 통상의 불순물을 포함하고, 노듈형 주조 합금은
2.8 내지 3.7 중량% 의 C,
1.5 내지 4 중량% 의 Si,
1 내지 6.2 중량% 의 Ni,
0.02 내지 0.05 중량% 의 P,
0.025 내지 0.06 중량% 의 Mg,
0.01 내지 0.03 중량% 의 Cr,
0.003 내지 0.3 중량% 의 Al,
0.0005 내지 0.012 중량% 의 S,
0.03 내지 1.5 중량% 의 Cu, 및
0.1 내지 2 중량% 의 Mn
을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고, 후속 열처리없는 주조 상태의 노듈형 주조 합금은 2 내지 10% 의 파단 연신 A5 의 양호한 연성과 조합된 750 MPa 이상의 인장 강도 및 600 MPa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의 높은 정적 강도를 달성한다.

Description

노듈형 주조 합금{Nodular cast alloy}
본 발명은, 후속 열처리없는 주조 상태에서도, 2% 내지 10% 의 파단 연신의 양호한 연성과 조합된 750 MPa 이상의 인장 강도 및 600 MPa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의 높은 정적 강도를 갖고, 비철 성분 C, Si, P, Mg, S, Mn 및 Ni, 및 통상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주철 제품을 위한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미세조직을 가지는 노듈형 주조 합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구조를 위한 가능한 용도는, 예를 들어, 휠 캐리어, 구조용 차량 부품 및 크랭크샤프트와 같은 샤시 부품이다.
중량 감소의 잠재적 개발을 위해 더 높은 강도를 나타내는 고강도 주철 합금이 자동차 구조에 점점 더 사용되고 있다. 비용상의 이유로, 가능한 경우에 어떠한 열처리 공정을 없애는 것, 그리고 적당량의 합금 성분만으로 필요한 기계적 특성을 달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EP 1 225 239 A1 은, 비철 성분으로서 2 내지 4 중량% 의 Ni 및 0.05 내지 0.45 중량% 의 Mn 을 포함하는 고강도 베이나이트계 노듈형 주조 합금을 개시하고 있으며, Ni-Mn 범위는 강도 대 연신의 가변 비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해당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비철 성분은 3.1 내지 4 중량% 의 C 및 1.8 내지 3 중량% 의 Si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세조직에서 이 조성을 갖는 재료는 7 내지 14.5% 의 파단 연신과 조합된 500 MPa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 및 650 내지 850 MPa 의 높은 인장 강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은 열처리없이 달성되지만, 달성할 수 있는 강도는 합금 조성에 의해 제한된다.
DE 10 2004 040 056 A1 은 고강도 및 내마모성 및 내식성으로 기술된 또 다른 주철 합금을 개시하고 있다. 이는 3 내지 4.2 중량% 의 C, 1 내지 3.5 중량% 의 Si, 1 내지 6 중량% 의 Ni, 5 중량% 이하의 Cr, 3 중량% 이하의 Cu, 3 중량% 이하의 Mo, 1 중량% 이하의 Mn, 1 중량% 이하의 V, 0.4 중량% 이하의 P, 0.1 중량% 이하의 S, 0.08 중량% 이하의 Mg, 0.3 중량% 이하의 Sn 및 생산-관련 불순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광범위한 합금 범위는 오스테나이트 (20% 미만), 마르텐사이트 (30% 미만), 펄라이트 (50% 미만) 및 탄화물 (15% 미만) 의 상이한 비율을 갖는 50% 초과의 침상 페라이트의 다양한 매트릭스 조성으로 된다; 흑연 형성은 구상 흑연에 국한되지 않고 버미큘라 (vermicular) 및 라멜라 (lamellar) 유형일 수 있다. 피스톤 링의 사용 예에 대해서 얻을 수 있는 굴곡 파괴 강도는 1100 MPa 초과이며 경도는 320 HB2.5 이다; 보다 상세하게 특정되지 않은 높은 인성/연성이 강조된다. 그러나, 파단 연신율은, 특히, 미세조직에서 15% 이하의 탄화물 함량을 갖는 합금 변형의 경우에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다. 벽 두께가 작은 경우 (모듈러스 ≤ 1.5 cm), 700℃ 미만의 온도에서 템퍼링 형태의 추가 공정 단계가 필요할 수도 있다.
CA 122 40 66 A1/US 448 49 53 A 로부터 고강도 노듈형 주조 합금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 노듈형 주조 합금은, 비철 성분으로서, 3 내지 3.6 중량% 의 C, 3.5 내지 5 중량% 의 Si, 0.7 내지 5 중량% 의 Ni, 0 내지 0.3 중량% 의 Mo, 0.2 내지 0.4 중량% 의 Mn, 0.06 중량% 이하의 P 및 0.015 중량% 이하의 S 를 포함한다. 여기서의 단점은, 페라이트화 열처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페라이트-베이나이트계 미세조직이 지시된 950 MPa 이상의 인장 강도, 550 MPa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 및 6 내지 10% 의 파단 연신을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하다는 것이다.
US 370 22 69 A 는 고강도의 비교적 고합금화된 노듈형 주조 합금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의 비철 성분은 2.6 내지 4 중량% 의 C, 1.5 내지 4 중량% 의 Si, 6 내지 11 중량% 의 Ni, 7 중량% 이하의 Co, 0.4 중량% 이하의 Mo, 1 중량% 이하의 Mn 및 0.2 중량% 이하의 Cr 을 포함한다. 1000 MPa 이상의 높은 인장 강도는 미세한 입자의 베이나이트계 미세조직에 기인하며, 목표 미세조직은 템퍼링의 형태의 필요한 열처리에 의해 세팅되어야 하는데, 이는 추가 비용을 필요로 한다.
US 585 35 04 A 는 철계의 비교적 고합금화된 주조 재료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의 비철 성분은 0.8 내지 3.5 중량% 의 C, 1 내지 7 중량% 의 Si, 5 내지 15 중량% 의 Ni, 1 중량% 이하의 Mn, 2 중량% 이하의 Cr, 그리고 Mg, Ca 및 C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원소 0.1 중량% 이하 그리고 Mo, Nb, Ti 및 V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원소 2 중량% 이하를 포함한다. 상기 재료는 미세조직에서 적어도 30% 의 마르텐사이트의 비율로 적어도 250 HV 의 경도를 갖는다; 흑연 형성은 주로 구상이다. 타겟 제품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반도체 제조에 사용되는 래핑 디스크 (lapping disc) 가 언급된다. 선택적인 열처리에도 불구하고, 주요 마르텐사이트 매트릭스 및 합금에 존재하는 5 내지 10% 의 탄화물 때문에 단지 낮은 파단 연신만이 고려될 수 있다. 안전상의 이유로, 이는 구조/샤시 부품과 같은 동적으로 응력을 받는 자동차 주조 제품을 위한 사용은 배제한다.
US 354 94 30 A 로부터는 고강도 베이나이트계 노듈형 주조 합금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 노듈형 주조 합금은 비철 성분으로서 2.9 내지 3.9 중량% 의 C, 1.7 내지 2.6 중량% 의 Si, 3.2 내지 7 중량% 의 Ni, 0.15 내지 0.4 중량% 의 Mo, 0.2 중량% 이하의 Cr 및 1 중량% 이하의 Mn 을 함유한다. 합금은 적어도 2% 의 파단 연신과 조합된 520 MPa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 820 MPa 이상의 높은 인장 강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열처리가 필요하며, 비교적 큰 벽 두께의 경우에 국부적으로 사용되는 냉각 몰드 (chill mould) 가 추가로 필요할 수 있다.
또한, DE 180 85 15 A1 은 고강도 노듈형 주조 합금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의 비철 성분은 2.9 내지 3.9 중량% 의 C, 1.7 내지 2.6 중량% 의 Si, 3.2 내지 7 중량% 의 Ni, 0.15 내지 0.4 중량% 의 Mo, 0.1 중량% 이하의 Mg, 0 내지 1 중량% 의 Mn 및 0 내지 0.25 중량% 의 Cr 을 함유하고, Mo 및 Cr 의 총 함량이 0.5 중량% 이하이다. 이 재료는 적어도 4% 의 파단 연신과 조합된 750 MPa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 및 1000 MPa 이상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그러나, 이 재료의 중심적인 특징은 200 내지 315℃ 의 온도에서 수 시간 동안 템퍼링 형태의 열처리를 하는 것인데, 이는 지시된 특성들이 매트릭스 미세조직의 템퍼링없이는 달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EP 1 834 005 B1 으로부터는 자동차 구조에서의 적용을 위한 고강도, 주로 펄라이트계 노듈형 주조 합금이 공지되어 있다. 이는 비철 성분 3.0 내지 3.7 중량% 의 C, 2.6 내지 3.4 중량%의 Si, 0.02 내지 0.05 중량% 의 P, 0.025 내지 0.045 중량% 의 Mg, 0.01 내지 0.03 중량% 의 Cr, 0.003 내지 0.017 중량% 의 Al, 0.0005 내지 0.012 중량% 의 S, 0.0004 내지 0.002 중량% 의 B, 0.1 내지 1.5 중량% 의 Cu, 0.1 내지 1.0 중량% 의 Mn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함유한다. 이 조성물로 제조된 샤시 부품은, 부가적인 열처리가 없는 주조 상태에서도, 14 내지 5% 의 파단 연신과 조합된 400 내지 600 MPa 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 및 600 내지 900 MPa 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이러한 선행 기술로부터,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주조 상태에서도 0.2% 오프셋 항복 강도, 인장 강도 및 파단 연신율에 대한 요구가 쉽게 달성될 수 있는, 즉 ADI 재료 (= Austempered Ductile Iron) 와 같은 공지된 고강도 주철 합금과는 달리, 별도의 열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고강도 노듈형 주조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에 의해 달성되는데, 이 노듈형 주조 합금은 2.8 내지 3.7 중량% 의 C, 1.5 내지 4 중량% 의 Si, 1 내지 6.2 중량% 의 Ni, 0.02 내지 0.05 중량% 의 P, 0.025 내지 0.06 중량% 의 Mg, 0.01 내지 0.03 중량% 의 Cr, 0.003 내지 0.3 중량% 의 Al, 0.0005 내지 0.012 중량% 의 S, 0.03 내지 1.5 중량% 의 Cu, 및 0.1 내지 2 중량% 의 Mn 을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고, 후속 열처리없는 주조 상태의 노듈형 주조 합금은 2 내지 10% 의 파단 연신 A5 의 양호한 연성과 조합된 750 MPa 이상의 인장 강도 및 600 MPa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의 높은 정적 강도를 달성한다.
구상 흑연 침전물을 둘러싸는 매트릭 미세조직은 50% 초과의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펄라이트-페라이트계 조직을 갖는다; 펄라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미세한 줄무늬 (fine streak) 로서 존재하고, 페라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구형 형태로 존재한다. 이는 기계적 특성 및 카바이드 형성물 Mo, Nb, Ti 및 V 의 생략에 부가하여 부분적으로 겹치는 Ni 합금 범위를 갖는 US 585 35 04 A 로부터 공지된 합금과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 사이의 또 다른 중요한 차이이다. 유사하게, 이 합금은 DE 10 2004 040 056 A1 에 공지된 주철 합금과는 상이한데, 그 이유는 침상 페라이트의 기계적 특성이 구형 페라이트의 기계적 특성과 상당히 상이하기 때문이다.
노듈형 주조 합금은 바람직하게는 샌드에 노듈형 주조 합금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핵심 개념은,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의 적절하게 매칭된 조성과 그 결과로 생기는 기계적 특성의 조합으로 인해, 예를 들어 자동차의 충돌의 경우에 소성 변형은 되어야 하지만 파괴되지는 않아야 하는 액슬 및 샤시 부품 뿐만아니라 높은 동적 응력을 받는 구조 부품 및 크랭크샤프트를 위한 자동차 구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노듈형 주조 합금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계적 특성 및 가능한 용도를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은 오스테나이트계 노듈형 주조 합금에 비해 보통의 합금 첨가만이 필요하다는 것을 언급할 만하다.
Ni 및 Si 는 0.2% 오프셋 항복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첫째로 혼성 결정 강화에 기인하고 (Si 및 Ni), 둘째로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변태 온도를 저온으로 전환하는 것에 의한 펄라이트 정련에 기인한다 (Ni). 합금은 너무 낮지 않은 파단 연신값에서 매우 높은 0.2% 오프셋 항복 강도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높은 경량 구조 잠재성). 이는 첫째로 그리고 으뜸으로 1 내지 6.2 중량% 의 Ni,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2 중량% 의 Ni,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5.2 중량% 의 Ni 를 포함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에 의해 달성된다.
너무 낮지 않은 파단 연신값과 조합된 양호한 강도 특성은 1.5 내지 4 중량% 의 Si,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5 중량% 의 Si, 특히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3 중량% 의 Si 와 조합하여 특히 달성된다. 예를 들어, 마찬가지로 임의의 열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EP 1 225 239 A1 에 공지된 베이나이트계 합금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노듈형 주조 합금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는 500 MPa 이상에 비해 600 MPa 이상으로 상당히 높다 (마찬가지로 인장 강도도 다소 높다). 따라서, EP 1 225 239 A1 에 주어진 실시예는 550 MPa 를 초과하는 0.2% 오프셋 항복 강도의 어떠한 값도 포함하지 않는다.
비철 성분 Si 및 Ni 에 대해 표시된 상한 및 하한에 대한 고수는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목표 미세조직을 위해서 그리고 따라서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의 기계적 특성을 달성하는데 중요하다. Ni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상당한 오프셋 항복 강도 증가가 관찰되지 않는다; 마르텐사이트 형성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6.2 중량% 를 초과하는 함량은 피해야 한다. 마르텐사이트 형성의 위험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은 유사한 Ni 함량 한계를 갖는 DE 10 2004 040 056 A1 의 합금에 비해 중요한 이점을 가진다; 따라서 약 8 mm 의 낮은 벽 두께에서도, 후속의 템퍼링 단계가 필요없이 신뢰성있게 마르텐사이트가 없는 미세조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이는 Ni, Si 및 Mn 함량의 특정 조성비에 대한 고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주조 상태에서 마르텐사이트가 없는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미세조직을 달성하기 위해 Ni 및 Si 의 함량의 합계가 9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동시에 비율 (Ni+ 0.5*Mn)/(1.5*Si) 은 1.5 의 값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Si 함량이 1.5 중량% 미만이면, 탄화물 형성의 위험이 증가한다; 최악의 경우, 백색 주철로서 응고가 발생할 수 있다. Si 함량이 4 중량% 를 초과하면, 파단 연신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며, 오스테나이트에서의 탄소의 감소된 용해도로 인해, 마찬가지로 마르텐사이트 형성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또한, 규소는 오스테나이트-페라이트 변태 온도를 더 높은 온도로 이동시키고 따라서 니켈 첨가에 의해 추구되는 펄라이트 정련에 역행하기 때문에, Si 함량도 제한되어야 한다.
기계적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50% 초과의 펄라이트, 잔부 페라이트를 포함하는 주로 펄라이트계의 미세조직을 보장하기 위해, 특히 동시에 높은 Si 함량에서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에 대해 지시된 낮은 제한 Ni 함량과 관련하여, 0.03 내지 1.5 중량% 의 Cu 를 합금에 첨가하는 것이 실행된다; 페라이트는 바람직하게는 구형 형태로 존재한다.
Mn 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스크랩을 수반한다. 적절한 함량까지는, Mn 은 오프셋 항복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유리하다. 또한, Mn 은 마르텐사이트 시작 온도를 낮추며, 따라서 더 빨리 냉각되는 얇은 벽 구성부품에서의 마르텐사이트 형성의 위험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에 대한 Mn 의 2 중량% 의 상한은 탄화물 형성으로 인한 큰 취화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더 낮은 Mn 함량에서도, 특히 동시에 비교적 높은 Si 함량에서 분리 입자 경계 탄화물의 증가가 발견된다.
0.003 내지 0.3 중량% 의 Al 을 합금에 첨가하는 것은 혼성 결정 강화에 의한 강도의 추가 증가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Al 은 기계적 특성에 필요한 50% 초과의 펄라이트를 포함하는 주로 펄라이트계의 미세조직과는 반대로 그리고 페라이트 안정화제로서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Al 의 함량은 0.3 중량% 미만으로 제한되어야 한다.
비철 성분 Mn, Cu, Mg, Cr, Al, P, S 에 대한 지시된 상한의 고수는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의 기계적 특성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그리고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으로 이루어진 주조 부품의 가공능을 위해 중요하다. 과량의 Cu, Mg, Al 및 S 함량은 흑연 형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흑연 형상이 원하는 구형 형상으로부터 벗어나면 파단 연신율 및 달성가능한 강도가 현저하게 악화된다. Cr 은 마찬가지로 이 경우에 탄화물 형성의 촉진에 의해 취화 작용을 한다. P 는 입자 경계 (구, P-풍부 잔류 용융 영역) 에서 형성될 수 있는 저융점 P-리치 상의 잘 알려진 취화 효과 때문에 제한되어야 한다.
주조 공정 직후, 즉 주형에서의 주조 및 냉각 후에 주조 상태에 존재하는 흑연의 90% 이상이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조 공정 직후, 즉 주형의 주조 및 냉각 후에 주조 상태의 주조 부품의 매트릭스 미세조직이 50 내지 90% 의 펄라이트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한 실시형태에서, 주조 공정 직후, 즉 주형에서의 주조 및 냉각 후에 주조 상태의 주조 부품의 미세조직이 mm2 당 200 내지 1200 개의 스페로이드 (spheroid) 를 갖는다.
흑연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DIN EN ISO 945 에 따라 적어도 5% 의 크기 8, 40% 내지 70% 의 크기 7, 및 35% 이하의 크기 6 의 크기 분포를 갖는다.
주조 부품은 260 내지 320 HBW 의 브리넬 경도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의 미세조직의 현미경사진을 나타낸다.
도 2 는 여러 가지의 GJS 합금들에 대한 파단 연신 A5 에 따른 오프셋 항복 강도 Rp0.2 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거나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Y2 시험편이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으로부터 샌드에서 주조되었다. 화학 조성은 2.87 중량% 의 C, 5.12 중량% 의 Ni, 3.25 중량% 의 Si, 0.03 중량% 의 Cu, 0.22 중량% 의 Mn, 0.046 중량% 의 Mg, O.037 중량% 의 P, 0.022 중량% 의 Cr, 0.013 중량% 의 Al 및 0.003 중량% 의 S 이고, 잔부는 Fe 및 통상의 불순물이다. 따라서 Ni+Si 함량의 합은 약 8.4 중량% (9 중량% 이하가 바람직함) 이고, (Ni+0.5*Mn)/(1.5*Si) 의 비율은 약 1.1 (1.5 이하가 바람직함) 이다. 주조품은 주조 상태에서 스페로이드 (spheroid) 카운트, 흑연 함량, 흑연 형상 및 흑연 크기, 펄라이트 함량에 대해 그리고 인장 시험의 특성의 면에서 그리고 브리넬 경도 및 충격 작업의 면에서 검사되었다. 스페로이드 카운트는 mm2 당 218 스페로이드이고, 흑연 함량은 10.6% 이다. DIN EN ISO 945 에 따른 흑연 형상은 형상 VI 의 94% 이다. DIN EN ISO 945 에 따른 크기 분포는 8% 의 크기 8, 57% 의 크기 7 및 33% 의 크기 6 이다. 매트릭스의 펄라이트 함량은 79% 이다 (미세조직의 이미지의 경우, 도 1 참조, 잔류 성분: 페라이트, 구형 형상을 가짐). 브리넬 경도는 310 +/- 2 HBW5/750 이다. 개별 시험편의 충격 작업은 실온에서 30.1 J 이고, -30℃ 에서 12.5 J 였다. DIN EN ISO 6892-1 에 따른 실온 인장 시험은 다음의 특성 값들을 나타냈다:
- 0.2% 오프셋 항복 강도: 658 내지 663 MPa,
- 인장 강도: 884 내지 889 MPa,
- 파단 연신: 6.2 내지 7.9%,
- 탄성 계수 (100 내지 300 MPa 범위에서 회귀 (regression) 에 의해 결정됨): 175 내지 186 GPa.
시험 영역에서의 주조 벽 두께가 약 8 mm 인 인장 시험편 블랭크가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의 전술한 예의 동일한 용융물로부터 또한 주조되었다. 이로부터 취한 6 mm 인장 시험편은 Y2 시편 결과를 확인하였다: 6.9% 의 파단 연신과 조합된 872 MPa 의 인장 강도 및 652 MPa 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를 달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의 이 예시된 변형예의 시편은, 인장 시험 특성 값에 관해서, ADI (= Austempered Ductile Iron) 의 크기 정도의 주조 상태에서도, EN 1564 하에 유럽에서 표준화되고, 매우 복잡한 열처리를 통해 생산되며, 합금에 Ni 및/또는 Mo 원소를 첨가하는 것만으로 비교적 큰 벽 두께에서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예상대로 비싼 노듈형 주조 재료이다.
예시를 위해, 도 2 에는 오프셋 항복 강도 Rp0.2 가 파단 연신 A5 의 함수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노듈형 주조 합금의 전술한 실시예 및 또한 DIN EN 1563 및 DIN EN 1564 로 표준화된 대표적인 노듈형 주조 합금들이 그려져 있다. 도 2 의 회색 선들은 주조 상태에서 생성된 유형의 구상 흑연을 포함하는 주철에 대한 표준 DIN EN 1563 에 따라 최소값을 결합한다. 도 2 의 검정 실선은 열처리된 ADI 등급의 구상 흑연을 포함하는 주철에 대한 표준 DIN EN 1564 에 따라 최소값을 결합한다. 파선의 검정은 Georg Fischer 사의 특허된 노듈형 주조 합금 (EP 1 834 005 B1 및 EP 1 270 747 B1) 을 나타낸다.

Claims (13)

  1. 주철 제품을 위한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미세조직을 가지며 주조 상태에서도 양호한 연성 및 인성과 조합된 고강도를 가지며, 비철 성분으로서 C, Si, Ni, Mn, Cu, Mg, Cr, Al, P, S 및 통상의 불순물을 포함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으로서,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은
    2.8 내지 3.7 중량% 의 C,
    1.5 내지 4 중량% 의 Si,
    1 내지 6.2 중량% 의 Ni,
    0.02 내지 0.05 중량% 의 P,
    0.025 내지 0.06 중량% 의 Mg,
    0.01 내지 0.03 중량% 의 Cr,
    0.003 내지 0.3 중량% 의 Al,
    0.0005 내지 0.012 중량% 의 S,
    0.03 내지 1.5 중량% 의 Cu, 및
    0.1 내지 2 중량% 의 Mn
    을 함유하고,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이고, 후속 열처리없는 주조 상태의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은 2 내지 10% 의 파단 연신 A5 의 양호한 연성과 조합된 750 MPa 이상의 인장 강도 및 600 MPa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의 높은 정적 강도를 달성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은 2 내지 3.5 중량% 의 Si, 특히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3.3 중량% 의 Si 를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에서의 Ni 및 Si 의 함량의 합은 9 중량% 이하이고, 동시에 비율 (Ni+0.5*Mn)/(1.5*Si) 이 1.5 이하이고, 50% 초과의 펄라이트, 잔부 페라이트를 함유하는 순수한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미세조직이 주조 온도로부터 실온으로의 냉각시에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은 2.5 내지 5.2 중량% 의 Ni,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2 중량% 의 Ni 를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에서의 Ni 및 Si 의 함량의 합은 9 중량% 이하이고, 동시에 비율 (Ni+0.5*Mn)/(1.5*Si) 이 1.5 이하이고, 50% 초과의 펄라이트, 잔부 페라이트를 함유하는 순수한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미세조직이 주조 온도로부터 실온으로의 냉각시에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은 0.2 내지 0.5 중량% 의 Mn,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0.4 중량% 의 Mn 을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에서의 Ni 및 Si 의 함량의 합은 9 중량% 이하이고, 동시에 비율 (Ni+0.5*Mn)/(1.5*Si) 이 1.5 이하이고, 50% 초과의 펄라이트, 잔부 페라이트를 함유하는 순수한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미세조직이 주조 온도로부터 실온으로의 냉각시에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은 0.03 내지 0.5 중량% 의 Cu,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 중량% 의 Cu 를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에서의 Ni 및 Si 의 함량의 합은 9 중량% 이하이고, 동시에 비율 (Ni+0.5*Mn)/(1.5*Si) 이 1.5 이하이고, 50% 초과의 펄라이트, 잔부 페라이트를 함유하는 순수한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미세조직이 주조 온도로부터 실온으로의 냉각시에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은 0.003 내지 0.25 중량% 의 Al,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3 내지 0.02 중량% 의 Al 을 함유하고, 여기서 상기 노듈형 주조 합금에서의 Ni 및 Si 의 함량의 합은 9 중량% 이하이고, 동시에 비율 (Ni+0.5*Mn)/(1.5*Si) 이 1.5 이하이고, 50% 초과의 펄라이트, 잔부 페라이트를 함유하는 순수한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미세조직이 주조 온도로부터 실온으로의 냉각시에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존재하는 흑연의 90% 이상이 주조 및 냉각 직후에 구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조 및 냉각 직후의 주조 부품의 펄라이트-페라이트계 매트릭스 미세조직이 55 내지 90% 펄라이트이고, 잔류 페라이트가 바람직하게는 구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조 및 냉각 직후의 주조 부품의 미세조직이 mm2 당 200 내지 1200 개의 스페로이드 (spheroid)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흑연 입자들은 DIN EN ISO 945 에 따라 적어도 5% 의 크기 8, 40% 내지 70% 의 크기 7, 및 35% 이하의 크기 6 의 크기 분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조 부품은 260 내지 320 HBW 의 브리넬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듈형 주조 합금.
  12. 2 내지 10% 의 파단 연신 A5 의 양호한 연성과 조합된 750 MPa 이상의 인장 강도 및 600 MPa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의 높은 정적 강도를 갖는 자동차의 샤시 부품, 바람직하게는 자동차의 휠 캐리어, 피봇팅 베어링, 액슬 가이드, 크랭크샤프트 및/또는 리어 액슬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한 제 1 항에 따른 노듈형 주조 합금의 용도.
  13. 제 1 항에 따른 노듈형 주조 합금으로 구성된 주조 부품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주조 부품의 주조 및 냉각 후에 상기 주조 부품의 열처리를 행하지 않고, 상기 주조 부품은 2 내지 10% 의 파단 연신 A5 의 양호한 연성과 조합된 750 MPa 이상의 인장 강도 및 600 MPa 이상의 0.2% 오프셋 항복 강도의 높은 정적 강도를 갖는, 노듈형 주조 합금으로 구성된 주조 부품의 제조 방법.
KR1020180033303A 2017-03-24 2018-03-22 노듈형 주조 합금 KR201801084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62715.1 2017-03-24
EP17162715.1A EP3243920B1 (de) 2017-03-24 2017-03-24 Sphärogusslegier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495A true KR20180108495A (ko) 2018-10-04

Family

ID=58412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303A KR20180108495A (ko) 2017-03-24 2018-03-22 노듈형 주조 합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80274066A1 (ko)
EP (1) EP3243920B1 (ko)
JP (1) JP7369513B2 (ko)
KR (1) KR20180108495A (ko)
CN (1) CN108624803A (ko)
BR (1) BR102018004643A2 (ko)
MX (1) MX20180032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02496A (zh) * 2018-11-28 2019-03-01 精诚工科汽车系统有限公司 具有均匀壁厚的球墨铸铁铸件中合金元素添加量的确定方法与球墨铸铁铸件及其铸造和模具
US11618937B2 (en) 2019-10-18 2023-04-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igh-modulus, high-strength nodular iron and crankshaft
CN113897538A (zh) * 2021-10-12 2022-01-07 安徽裕隆模具铸业有限公司 一种高强度、高伸长率铸态qt500-18球墨铸铁及其制备方法
WO2023111403A1 (fr) * 2021-12-13 2023-06-22 Sediver Nuance de fonte ductile à matrice ferritique renforcée
CN114411049B (zh) * 2021-12-29 2022-12-02 天润工业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强度的铁素体球墨铸铁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9430A (en) 1967-11-14 1970-12-22 Int Nickel Co Bainitic ductile iron having high strength and toughness
US3702269A (en) 1971-01-22 1972-11-07 Int Nickel Co Ultra high strength ductile iron
JPS5917186B2 (ja) * 1977-03-30 1984-04-19 日立金属株式会社 球状黒鉛鋳鉄とその製造方法
US4484953A (en) 1983-01-24 1984-11-27 Ford Motor Company Method of making ductile cast iron with improved strength
JP3597211B2 (ja) * 1993-10-21 2004-12-02 株式会社日本製鋼所 高温強度に優れた球状黒鉛鋳鉄
JP3691913B2 (ja) 1996-09-05 2005-09-07 株式会社東芝 研磨工具用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研磨定盤
JP2001059127A (ja) 1999-06-08 2001-03-06 Asahi Tec Corp 球状黒鉛鋳鉄
EP1225239A4 (en) 1999-06-08 2002-09-11 Asahi Tec Corp CAST IRON WITH BALL GRAPHITE WITHOUT BAINITIC CONVERSION
DE10129382A1 (de) 2001-06-20 2003-01-02 Fischer Georg Fahrzeugtech Sphärogusslegierung
DE102004040056A1 (de) 2004-08-18 2006-02-23 Federal-Mogul Burscheid Gmbh Hoch- und verschleißfester, korrosionsbeständiger Gusseisenwerkstoff
DE102004056331A1 (de) 2004-11-22 2006-05-24 Georg Fischer Fahrzeugtechnik Ag Sphärogusslegier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ussteilen aus der Sphärogusslegierung
FI118738B (fi) * 2005-01-05 2008-02-29 Metso Paper Inc Pallografiittivalurauta ja menetelmä pallografiittivaluraudan valmistamiseksi lujuutta ja sitkeyttä vaativia koneenrakennusosia varten
KR100681270B1 (ko) 2005-09-05 2007-02-09 한금태 고강도 고연신율 구상흑연주철
JP2007327083A (ja) 2006-06-06 2007-12-20 I Metal Technology Co Ltd 球状黒鉛鋳鉄及びその製造方法
JP4963444B2 (ja) 2007-06-21 2012-06-27 旭テック株式会社 球状黒鉛鋳鉄部材
DE102008050152B4 (de) * 2008-10-01 2013-05-23 Claas Guss Gmbh Hochfeste, duktile Gusseisenlegierung mit Kugelgraphit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8003248A (es) 2018-11-09
EP3243920A1 (de) 2017-11-15
BR102018004643A2 (pt) 2018-10-30
JP2018162516A (ja) 2018-10-18
CN108624803A (zh) 2018-10-09
EP3243920B1 (de) 2020-04-29
JP7369513B2 (ja) 2023-10-26
US20180274066A1 (en)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udel et al. Effect of composition and heat treatment parameters on the characteristics of austempered ductile irons
KR20180108495A (ko) 노듈형 주조 합금
US20220162731A1 (en) Hot-working die steel, heat treatment method thereof and hot-working die
WO2013100148A1 (ja) 強度及び靭性に優れた球状黒鉛鋳鉄及びその製造方法
US6258180B1 (en) Wear resistant ductile iron
CN108950432A (zh) 一种高强度、高韧性低合金耐磨钢及其制造方法
CN107587069B (zh) 一种高强度高韧性螺栓用钢及生产方法
US7846381B2 (en) Ferritic ductile cast iron alloys having high carbon content, high silicon content, low nickel content and formed without annealing
JPS58185745A (ja) 強靱性を有する球状黒鉛鋳鉄部品の製造方法
EP0272788B1 (en) A method of making wear resistant gray cast iron
JP3913935B2 (ja) 亜共晶球状黒鉛鋳鉄
CN110106451A (zh) 一种高硅中碳耐磨铸钢及其热处理方法
JPS60197841A (ja) 球状黒鉛鋳鉄
JP2023539781A (ja) 鋼の鍛造された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775049B2 (ja) 球状黒鉛鋳鉄の製造法
JPH0230731A (ja) 伸びの優れた高力ダクタイル鋳鉄材とその製造方法
RU225026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тливок из половинчатого чугуна с аустенитно-бейнитной структурой
Swain et al. Development of high strength micro-alloyed forged steel
JP7380051B2 (ja) 強度及び靭性に優れ、かつ低硬度な球状黒鉛鋳鉄
US2974035A (en) Nodular graphite steel
JPS6196054A (ja) 球状黒鉛鋳鉄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67681B2 (ko)
US20110256017A1 (en) High temperature cast iron with niobium and having compacted graphite structures
US2370179A (en) Steel alloys
JPS63199847A (ja) 高強度、高靭性、耐磨耗性機械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