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277A -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277A
KR20180108277A KR1020170037823A KR20170037823A KR20180108277A KR 20180108277 A KR20180108277 A KR 20180108277A KR 1020170037823 A KR1020170037823 A KR 1020170037823A KR 20170037823 A KR20170037823 A KR 20170037823A KR 20180108277 A KR20180108277 A KR 20180108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ear cover
ground switch
front cov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8585B1 (ko
Inventor
문승환
김종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7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858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2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8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85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6Eart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28Earth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 개폐기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커버부재를 구비시키고, 커부부재를 구성하는 전면커버가 후면커버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면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진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접지 개폐기 스위치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여,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GROUND SWITCH OF DISTRIBUTING BOARD}
본 발명은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조작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 차단기 등은 발전소 및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차단기를 포함한 여러 전기기기를 넣어 관리하는 배전반과 함께 설치되며, 배전반에 고정된 크래들 내부에 수납되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배전반 내부에서는 회로 차단기의 모선과 부하 터미널이 크래들의 모선이 부하단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Run)위치와,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차단기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테스트 위치(Test)를 가진다.
회로 차단기가 운전위치에 있을 때 단락 및 지락사고 발생시 차단기 내부에서 사고를 방지하지만, 운전위치가 아닌 테스트 위치에 있을 때에는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고 방지를 위한 접지 스위치를 배전반 후방에 설치하여 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접지 스위치는 회로 차단기가 테스트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동작이 될 수 있으며, 접지 스위치의 가동접점과 배전반 후방에 취부되는 고정접점이 접속된 상태에서 단락 및 지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회로 차단기가 운전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접지 스위치는 동작이 될 수 없으며, 만약 동작이 되어 접지 스위치가 투입이 되었을 때는 전기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회로 차단기와 접지 스위치의 동작 연결부는 서로 인터록이 되어 있어 안전사고를 발생시킬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접지 스위치가 투입이 되었을 때는 회로 차단기의 인입출이 불가능하며, 회로 차단기가 인입출 중 또는 운전위치에 있을 때는 접지 스위치의 투입동작이 불가능하다.
한편, 도 1에는 종래의 배전반의 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배전반의 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종래의 배전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종래의 배전반에 구비되는 접지 스위치 조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반에는 진공 차단기(11) 등의 회로 차단기(11)와 배전반 후면에 위치하는 접지 스위치(15) 및 배전반의 전면에 위치하여 접지 스위치(15)를 구동하는 접지 스위치 조작부(13) 등이 구비된다.
배전반(10) 내부에서는 회로 차단기(11)의 모선과 부하 터미널이 크래들의 모선이나 부하 단자에 접속되어 전압과 전류가 공급되는 운전(Run)위치와, 크래들의 단자들로부터 분리되어 회로 차단기(11)의 동작 테스트만 가능한 테스트 위치(Test)를 가진다.
접지 스위치(15)는 회로 차단기(11)가 배전반(10)의 테스트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동작(투입, 차단)이 될 수 있으며, 접지 스위치(15)가 투입이 되어 있을 경우에는 회로 차단기(11)가 테스트 위치에서 운전위치로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배전반(10) 후면에 취부되어 있는 접지 스위치(15)를 동작시키는 접지 스위치 조작부(13)의 동작의 시작은 인디케이터 레버(13a)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 시작된다.
인디케이터 레버(13a)를 회전함으로 인하여 외부와 차단되어 있던 삽입홀(13b)이 개방되고, 삽입홀(13b)의 개방을 통하여 접지 스위치(15)를 구동시키는 구동 샤프트(미도시)가 나타나면 핸들(미도시)을 이용하여 접지 스위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접지 스위치 조작부(13)를 구비한 배전반(10)의 경우 IEC62271-200의 IP시험인 수직 낙수 침투 시험(IP□1)을 진행하게 되면, 접지 스위치 조작부(13)를 타고 내부로 물이 스며들게 되어, IP□1 배전반(10) 규격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접지 스위치 커버를 구비시키더라도 자물쇠가 없을 경우, 감독자 승인 없이 임의로 접지 스위치(15)를 조작할 수 있어 안전사고에 노출될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접지 스위치 커버에 별도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지 않으면 접지 스위치 커버의 내부에 남아 있는 물로 인해 부품이 부식되고, 접지 스위치 조작부(13)로 물이 침투될 수 있는 위험성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접지 스위치 커버를 구비시키더라도 접지 스위치 커버의 동작 공간을 최소화하지 않으면 접지 스위치 조작부(13)의 각 구성부품이 소형화됐을 때 접지 스위치 커버의 사용상의 제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조작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커버부재가 구비된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반에 구비되고,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구비된 커버부재를 통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삽입홀에 핸들이 삽입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태가 조절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결합되고, 전면커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후면커버; 및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후면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이동하는 전면커버;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후면커버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가이드 판; 상기 후면커버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가이드 판; 및 상기 후면커버의 측면판과 상기 각 가이드 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에 끼워져 좌우 이동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상기 접지 개폐기 조작부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내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접지 개폐기 조작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 판과 상기 하부 가이드 판에는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도록 체결부재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의 일단에는 상기 후면커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에 끼워질 때 상기 후면커버의 측면판에 걸림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 중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에 끼워질 때 상기 측면판에 맞닿는 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판 중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에 끼워질 때 상기 걸림부에 맞닿는 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의 일측에는 제1 연결홀이 형성된 전면커버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일측에는 제2 연결홀이 형성된 후면커버 연결부가 형성되어, 자물쇠가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 연결부와 상기 후면커버 연결부는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후면커버를 폐쇄하도록 이동했을 때 상호 대응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의 내부에는 제습제가 구비되도록 제습제 보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습제 보관부의 양측면은 공기가 순환되도록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커버부재로 유입된 액체가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배출홀의 양단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의 하측에는 상기 각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액체가 수용되도록 수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는, 접지 스위치 조작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커버부재를 구비시키고, 커버부재를 구성하는 전면커버가 후면커버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면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진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접지 스위치 조작부의 개방 또는 폐쇄가 조절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커버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면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때문에 커버부재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 필요한 이동공간이 최소화되어, 접지 스위치 조작부의 구성부품이 소형화되어도 커버부재의 사용상의 제한이 발생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커버에 별도의 손잡이부를 형성시켜 사용자를 통한 전면커버의 이동이 용이해지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면커버에 다수개의 배출홀을 형성시켜 커버부재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더라도 배출홀을 통해 유입된 액체가 외부로 쉽게 배출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 배출홀의 양단이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시켜 커버부재로 유입된 액체가 배출홀의 경사진 양단을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면커버의 하측에 수용부재를 구비시켜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액체가 수용부재에 수용되도록 하여 다른 구성부품으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면커버의 내부에 제습제를 구비시킴으로써, 커버부재의 내부에 습기가 차 액체가 발생되어 접지 스위치 조작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반의 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배전반의 후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배전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배전반에 구비되는 접지 스위치 조작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커버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커버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부착되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부착되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폐쇄된 상태로 배전반의 전면 플레이트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전면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배전반의 전면 플레이트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전면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후면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후면커버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후면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후면커버에 제습제 보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커버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커버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커버부재가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부착되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부착되는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가 폐쇄된 상태로 배전반의 전면 플레이트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전면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배전반의 전면 플레이트부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전면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후면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후면커버를 나타내는 다른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후면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의 후면커버에 제습제 보관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100)에는 하나의 외함 내부에 계기판, 배선 등이 배치되는 박스 형태의 차단기실(CB실)(110) 및 변압기실(PT실)(130) 등과 같이 여러개의 실(室)이 조립된다.
고압 배전반(100)은 여러개의 실들로 구분하여 조립함으로써 각 실을 격리 및 차폐하여 어느 하나의 실에서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실들은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차단기실(110)에는 접지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 스위치에는 접지 스위치 조작부(190)가 구비되어 상기 접지 스위치 조작부(190)를 통해 접지 스위치의 상태가 투입 또는 차단상태가 되도록 조절된다.
즉, 상기 접지 스위치 조작부(190)에 구비된 삽입홀(193)에 핸들(미도시)을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접지 스위치 조절부재(19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접지 스위치의 상태가 조절되게 된다.
이때 종래의 경우 접지 스위치 조작부(190)의 삽입홀(193)을 폐쇄시키는 별도의 구성이 없어 IEC62271-200의 IP시험인 수직 낙수 침투 시험(IP□1)을 실시하게 되면, 시험을 위해 사용되는 물 등의 액체가 삽입홀(193)을 통해 접지 스위치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접지 스위치 조작부(190)의 삽입홀(193)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는 커버부재(200)를 별도로 구비시켜, 커버부재(200)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서 삽입홀(193)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하여 물 등의 액체가 접지 스위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커버부재(200)는, 전면커버(210) 및 후면커버(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커버(210)는 상기 후면커버(230)에 슬라이딩 결합하여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후면커버(230)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상기 후면커버(230)는 상기 배전반(100)의 전면 플레이트(300)에 구비되어 상기 접지 스위치 조작부(190)에 결합되고, 상기 전면커버(210)가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를 제공하여 상기 전면커버(210)의 이동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된다.
이때 상기 후면커버(230)에는 핸들 삽입홀(241)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210)를 통해 상기 후면커버(2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 삽입홀(241)에 핸들을 삽입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접지 스위치의 상태가 조절된다.
한편, 상기 후면커버(230)에는 상기 전면커버(210)가 슬라이딩 결합하면서 좌우로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35)는, 상부 가이드 판(235a), 하부 가이드 판(235b) 및 공간부(235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가이드 판(235a)은 상기 후면커버(230)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하부 가이드 판(235b)은 상기 후면커버(230)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공간부(235c)는 상기 후면커버(230)의 측면판(237)과 상기 각 가이드 판(235a, 235b)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210)가 상기 후면커버(230)에 끼워져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즉, 상기 측면판(237)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각 가이드 판(235a, 235b)까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측면판(237)과 상기 각 가이드 판(235a, 235b) 사이에는 공간부(235c)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35c)를 통해 상기 전면커버(210)가 상기 후면커버(230)에 끼워지면서 이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커버(210)가 상기 공간부(235c)를 통해 상기 후면커버(230)에 끼워지면서 상기 각 가이드 판(235a, 235b)을 통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후면커버(230)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한편, 상기 후면커버(230)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상기 접지 스위치 조작부(19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2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233)는 내부가 관통되는 관통홀(233a)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홀(233a)을 관통하여 상기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후면커버(230)가 상기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체결되게 된다.
이외에 상기 상부 가이드 판(235a)과 상기 하부 가이드 판(235b)에는 상기 체결부(233)에 대응되도록 체결부재 이동홈(235a-1, 235b-1)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 이동홈(235a-1, 235b-1)은 상기 각 체결부(233)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부(233)에 끼워질 때 충분한 체결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상기 관통홀(233a)에 끼워넣을 때 상기 체결부재 이동홈(235a-1, 235b-1)을 통해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상기 체결부(233)에 끼워넣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커버(210)의 일측에는 제1 연결홀(211a)이 형성된 전면커버 연결부(211)가 측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230)의 일측에는 제2 연결홀(231a)이 형성된 후면커버 연결부(231)가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커버 연결부(211)와 상기 후면커버 연결부(231)는 상기 전면커버(210)가 상기 후면커버(230)를 폐쇄하도록 이동했을 때 상호 대응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커버(210)를 통해 상기 후면커버(230)가 폐쇄되면 상기 전면커버 연결부(211)와 상기 후면커버 연결부(231)가 상호 대응되게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는 자물쇠의 고리를 상기 제1 연결홀(211a)과 상기 제2 연결홀(231a)에 넣은 다음 자물쇠를 잠금상태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면커버(210)와 상기 후면커버(230)의 폐쇄상태가 유지되게 한다.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커버(210)의 일단에는 상기 후면커버(230) 측으로 돌출되도록 걸림부(215)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15)는 상기 전면커버(210)가 상기 후면커버(230)에 끼워질 때 상기 후면커버(230)의 측면판(237)에 걸림되면서 상기 전면커버(210)가 끼워지게 한다.
또한 상기 전면커버(210)와 상기 후면커버(23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후면커버(230)가 개방되도록 상기 전면커버(21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215)가 상기 후면커버(230)의 상기 측면판(237)에 걸림되어 상기 전면커버(210)가 상기 후면커버(230)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215) 중 상기 전면커버(210)가 상기 후면커버(230)에 끼워질 때 상기 측면판(237)에 맞닿는 면(215a)이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237) 중 상기 전면커버(210)가 상기 후면커버(230)와 분리될 때 상기 걸림부(215)에 맞닿는 면(273a)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커버(210)가 상기 후면커버(230)에 끼워질 때 상기 걸림부(215)의 라운드진 면(215a)이 상기 후면커버(230)의 라운드진 면(237a)에 맞닿게 됨으로써 손쉽게 상기 전면커버(210)가 상기 후면커버(230)에 끼워지게 된다.
이외에 상기 전면커버(210)에는 손잡이부(213)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부(213)를 쥔 상태에서 상기 전면커버(210)를 좌우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230)의 하면에는 상기 커버부재(200)로 유입된 액체가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239)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각 배출홀(239')의 양단은 상기 후면커버(230)의 내부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배출홀(239')을 통해 상기 커버부재(200)로 유입된 액체가 원활히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후면커버(230)의 하측에는 상기 각 배출홀(239)을 통해 배출된 액체가 수용되도록 수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 배출홀(23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액체가 상기 수용부재에 모이도록 하여 배출된 액체가 다른 구성부품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커버(230)의 내부에는 제습제가 구비되도록 제습제 보관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습제 보관부(250)에 제습제를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커버부재(200)의 내부에 차있는 습기로 인해 액체가 발생하고, 이러한 액체가 상기 접지 스위치 조작부(190)에 쉽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습제 보관부(250)의 양측면은 공기가 순환되도록 망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습제가 상기 제습제 보관부(250)에 위치한 상태에서 망 형상으로 형성된 양측면을 통해 상기 제습제 보관부(250)의 내부로 공기가 원활히 순환되게 한다.
이때 상기 제습제 보관부(250)는 양측면외에 상하좌우면도 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공기의 순환이 원활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제습제 보관부(250)의 상측에는 제습제 삽입홀(237b)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제습제 삽입홀(237b)을 통해 상기 제습제를 상기 후면커버(230)의 내부에 넣은 다음 상기 제습제 보관부(250)에 위치시키거나 상기 전면커버(21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제습제 보관부(250)에 상기 제습제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습제 삽입홀(237b)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덮개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부를 통해 상기 제습제 삽입홀(237b)을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액체가 상기 제습제 삽입홀(237b)을 통해 상기 후면커버(2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경우, 접지 스위치 조작부(19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커버부재(200)를 구비시키고, 커버부재(200)를 구성하는 전면커버(210)가 후면커버(2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면커버(23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하여,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진 커버부재(200)를 이용하여 접지 스위치 조작부를 개방 또는 폐쇄함으로써 접지 스위치 조작부(190)에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전면커버(2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면커버(230)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때문에 커버부재(200)가 개방 또는 폐쇄될 때 필요한 이동공간이 최소화되어, 접지 스위치 조작부(190)의 구성부품이 소형화되어도 커버부재(200)의 사용상의 제한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전면커버(210)에 별도의 손잡이부(213)를 형성시켜 사용자를 통한 전면커버(210)의 이동이 용이해지게 한다.
또한 후면커버(230)에 다수개의 배출홀(239)을 형성시켜 커버부재(200)의 내부에 액체가 유입되더라도 배출홀(239)을 통해 유입된 액체가 외부로 쉽게 배출되게 한다.
또한 각 배출홀(239)의 양단이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시켜, 커버부재(200)로 유입된 액체가 배출홀(239)의 경사진 양단을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또한 후면커버(230)의 하측에 수용부재를 구비시켜 배출홀(23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액체가 수용부재에 수용되도록 하여 다른 구성부품으로 액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후면커버(230)의 내부에 제습제를 구비시킴으로써, 커버부재(200)의 내부에 습기가 차 액체가 발생되어 접지 스위치 조작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0, 100: 배전반 11: 진공 차단기
13: 접지 스위치 조작부 13a: 인디케이터 레버
13b: 삽입홀 15: 접지 스위치
110: 차단기실 130: PT실 190: 접지 스위치 조작부 191: 접지 스위치 조절부재 193: 삽입홀 200: 커버부재 210: 전면커버 211: 전면커버 연결부 211a: 제1 연결홀 213: 손잡이부 215: 걸림부 215a, 237a: 라운드면 230: 후면커버 231: 후면커버 연결부 231a: 제2 연결홀 233: 체결부 233a: 관통홀 235: 가이드부 235a: 상부 가이드 판 235b: 하부 가이드 판 235a-1, 235b-1: 체결부재 이동홈
235c: 공간부 237: 측면판
237b: 제습제 삽입홀 239, 239': 배출홀
241: 핸들 삽입홀 250: 제습제 보관부
300: 전면 플레이트

Claims (16)

  1. 배전반에 구비되고,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구비된 커버부재를 통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삽입홀에 핸들이 삽입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태가 조절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접지 스위치 조작부에 결합되고, 전면커버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후면커버; 및
    상기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후면커버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이동하는 전면커버;
    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후면커버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상부 가이드 판;
    상기 후면커버의 하부에서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하부 가이드 판; 및
    상기 후면커버의 측면판과 상기 각 가이드 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에 끼워져 좌우 이동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공간부;
    를 포함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가장자리 부근에는 상기 접지 개폐기 조작부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내부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부재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접지 개폐기 조작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판과 상기 하부 가이드 판에는 상기 체결부에 대응되도록 체결부재 이동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일단에는 상기 후면커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에 끼워질 때 상기 후면커버의 측면판에 걸림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 중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에 끼워질 때 상기 측면판에 맞닿는 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 중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후면커버에 끼워질 때 상기 걸림부에 맞닿는 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9.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에는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10.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의 일측에는 제1 연결홀이 형성된 전면커버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커버의 일측에는 제2 연결홀이 형성된 후면커버 연결부가 형성되어,
    자물쇠가 상기 제1 연결홀과 상기 제2 연결홀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커버 연결부와 상기 후면커버 연결부는 상기 전면커버가 상기 후면커버를 폐쇄하도록 이동했을 때 상호 대응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12.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내부에는 제습제가 구비되도록 제습제 보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 보관부의 양측면은 공기가 순환되도록 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14.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하면에는 상기 커버부재로 유입된 액체가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출홀의 양단은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하측에는 상기 각 배출홀을 통해 배출된 액체가 수용되도록 수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KR1020170037823A 2017-03-24 2017-03-24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KR102388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823A KR102388585B1 (ko) 2017-03-24 2017-03-24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823A KR102388585B1 (ko) 2017-03-24 2017-03-24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277A true KR20180108277A (ko) 2018-10-04
KR102388585B1 KR102388585B1 (ko) 2022-04-21

Family

ID=6386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823A KR102388585B1 (ko) 2017-03-24 2017-03-24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858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560U (ko) * 1998-02-24 1999-09-27 이종수 접지스위치의 키 잠금장치
KR101020575B1 (ko) * 2010-10-27 2011-03-09 신동아전기감리(주) 벽면매설용 공동주택용 콘센트박스
KR101158653B1 (ko) * 2011-03-10 2012-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접지 스위치의 인터록 장치
JP5932525B2 (ja) * 2012-07-03 2016-06-08 Idec株式会社 操作部材ロック装置及び該操作部材ロック装置を備えた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6560U (ko) * 1998-02-24 1999-09-27 이종수 접지스위치의 키 잠금장치
KR101020575B1 (ko) * 2010-10-27 2011-03-09 신동아전기감리(주) 벽면매설용 공동주택용 콘센트박스
KR101158653B1 (ko) * 2011-03-10 2012-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접지 스위치의 인터록 장치
JP5932525B2 (ja) * 2012-07-03 2016-06-08 Idec株式会社 操作部材ロック装置及び該操作部材ロック装置を備えた操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8585B1 (ko) 202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3942A (en) Panelboard having panel-mounted interlock for two main circuit breakers
KR102099072B1 (ko) 전기 패널용 셔터 도어 조립체
RU2741065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шкаф с выдвижным модулем
KR20120020658A (ko) 전원차폐형 자동접속 모터 컨트롤 센터
DE102011003598B4 (de) Elektronische Auslöseeinheit für einen elektrischen Schalter
KR100746787B1 (ko) 안전 잠금 장치를 구비한 분전함
CA2320782A1 (en) Rack system for insertion of electrical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ies
KR100776713B1 (ko) 멀티 커넥터형 절연패널이 구비된 모터 컨트롤 센터
US6936781B2 (en) Load terminal cover
US10141129B2 (en) Interlock apparatus of ring main unit
KR20180108277A (ko)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US9692213B2 (en) Doorless modular panelboard
KR100555634B1 (ko) 전동기 제어반
JP2000208176A (ja) 盤用コンセント
KR101850110B1 (ko) 배전반의 접지 스위치
KR20180069579A (ko) 배전반의 접지스위치
KR101070575B1 (ko) 스위치 기어
RU2488908C2 (ru) Отсек для защиты и изоляции переключателя и блока переключателей
JPH10257613A (ja) 金属閉鎖形スイッチギヤ
KR102648597B1 (ko) 배전반의 아크 배출 시스템
KR200451950Y1 (ko) 단상 전용 전자접촉기
CN215645623U (zh) 配电箱外壳及配电箱组
US12002636B2 (en) Low profile circuit breaker lock-out assembly
KR100954558B1 (ko) 이단 인입/인출 구조를 갖는 배전반
JP2022183816A (ja) 電気機器収納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