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564A -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564A
KR20180106564A KR1020170035092A KR20170035092A KR20180106564A KR 20180106564 A KR20180106564 A KR 20180106564A KR 1020170035092 A KR1020170035092 A KR 1020170035092A KR 20170035092 A KR20170035092 A KR 20170035092A KR 20180106564 A KR20180106564 A KR 201801065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ion
signal
motion signal
cas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슬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7003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564A/ko
Publication of KR2018010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5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1Mechanic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ands-free locking or unlo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하나의 입력부를 조작한 후 특정 모션을 통해 도어 잠금, 도어 잠금해제 및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를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모션스타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흔드는 모션 신호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설정모션 신호이면, 도어 잠금해제 신호, 도어 잠금 신호 및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REMOTE CONTROL KEY FOR AN AUTOMOBI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전자키의 보편화에 따라 운전자가 포브 키(FOB Key)와 같은 별도의 키 삽입이나 작동버튼을 누르지 않고서도 외부에서 도어를 개폐하며, 나아가 상기 포브 키가 실내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경우에 키 홈에 상기 포브 키 삽입 과정 없이 시동버튼을 누르는 등의 동작만으로 시동을 걸 수 있는 버튼시동 기술이 개발되었다.
자동차의 포브 키에는 상기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의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기능을 수동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차실 내에 구비된 키홈에 삽입되어 엔진 시동 및 오프를 하는 키(Key)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포브 키에는 복수개의 푸쉬 버튼이 구비되는데, 상기 복수개의 푸쉬버튼은,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를 락킹하는 도어 잠금 버튼과, 상기 사이드 도어를 락킹해제하는 도어 개방 버튼과, 트렁크 도어인 트렁크 리드를 잠금해제하는 트렁크 리드 개방 버튼 등이 구비된다.
상기 도어 잠금 버튼을 사용자가 푸쉬하면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가 자동으로 잠금되고, 상기 도어 개방 버튼을 푸쉬하면 상기 사이드 도어가 자동으로 잠금해제되며, 상기 트렁크 리드 개방 버튼을 사용자가 푸쉬하면 상기 트렁크 리드가 자동으로 잠금해제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는, 상기 푸쉬버튼이 단일 기능을 가지고 복수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푸쉬버튼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푸쉬하게 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하나의 입력부를 조작한 후 특정 모션을 통해 도어 잠금, 도어 잠금해제 및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를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모션스타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흔드는 모션 신호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설정모션 신호이면, 도어 잠금해제 신호, 도어 잠금 신호 및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제어방법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모션스타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흔드는 모션 신호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상기 모션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 신호가 설정모션 신호이면, 도어 잠금해제, 도어 잠금 및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따르면, 리모트 콘트롤 키에 입력부를 복수로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입력부만을 구비하여, 자동차의 도어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고, 트렁크 리드를 잠금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해제시의 모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시의 모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를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의 잠금해제시의 모션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키 홀더(20)와, 케이스(10)에 배치되는 릴리즈 버튼(30)과, 케이스(10)의 상면에 배치되는 입력부(40)를 포함한다.
케이스(10)는 사용자가 손에 쥘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후술하는 모션감지부(50) 및 제어부(60)가 내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제공한다.
키 홀더(20)에는 자동차의 사이드 도어(이하, 도어라 함)에 장착된 키홈에 삽입되어 상기 도어를 수동으로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하는 기능을 함과 아울러,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된 스티어링 휠 부근의 키홈에 삽입되어 상기 자동차의 엔진을 시동 온하거나 오프하는 기능을 하는 키(key;미도시)가 결합된다. 상기 키는 키 홀더(20)가 도 1과 같은 상태일 때 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된 그루브(미도시) 내에 수납될 수 있다.
릴리즈 버튼(30)은 키 홀더(20)를 도 1과 같은 상태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함과 아울러, 키 홀더(20)가 도 1과 같은 상태일 때 사용자가 릴리즈 버튼(30)을 누르면 키 홀더(20)가 릴리즈 버튼(30)을 회전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키가 상기 그루브 내에서 돌출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입력부(40)는 푸쉬버튼타입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입력부(40)를 누르면 모션스타트 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의 리모트 컨트롤 키는 종래 기술에 비해 입력부(40)가 하나로 구비된다. 즉, 하나의 입력부(40)만을 누른채 상기 리모트 컨트롤 키를 특정 모션으로 흔들어, 후술하는 도어(1)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고, 트렁크 리드(2)도 잠금해제 할 수 있다.
입력부(40)는 푸쉬버튼타입으로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40)는 터치패드타입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입력부(40)가 터치패드타입으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40)에 손가락을 접촉하면, 입력부(40)는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입력부(40)외에도 도어 락 버튼(41)과, 도어 언락 버튼(42)과, 트렁크 언락 버튼(43)과, 경적음 버튼(44)이 더 구비된다. 사용자는 도어 락 버튼(41)을 눌러서 도어를 잠금할 수 있고, 도어 언락 버튼(42)을 눌러서 도어를 잠금해제할 수 있으며, 트렁크 언락 버튼(43)을 눌러서 트렁크를 잠금 해제할 수 있고, 경적음 버튼(44)을 눌러서 경적음이 울리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입력부(40)를 누른채로 케이스(10)를 설정모션으로 흔들어서 도어를 잠금하거나, 도어를 잠금해제하거나, 트렁크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0)의 상면에는 입력부(40)와, 도어 락 버튼(41)과, 도어 언락 버튼(42)과, 트렁크 언락 버튼(43)과, 경적음 버튼(44)이 모두 구비되나, 케이스(10)의 상면에는 도어 락 버튼(41), 도어 언락 버튼(42), 트렁크 언락 버튼(43) 및 경적음 버튼(44)이 구비?? 않고 입력부(40)만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특징은, 하나의 입력부(40)를 누르거나 터치한 채로 케이스(10)를 설정모션으로 흔들어서 도어를 락하거나 도어를 언락하거나 트렁크를 언락하는 것에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리모트 콘트롤 키는 모션감지부(50) 및 제어부(60)를 더 포함한다. 모션감지부(50) 및 제어부(60)는 케이스(10) 내에 배치된다.
입력부(40)에서 발생된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는 제어부(60)로 입력된다. 제어부(60)는 입력부(40)에서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면 모션감지부(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모션감지부(50)는 사용자가 케이스(10)를 잡고 흔드는 모션 신호를 감지한다. 모션감지부(50)가 감지한 상기 모션 신호는 제어부(60)로 입력된다. 제어부(60)는 입력부(40)가 발생시키는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와, 모션감지부(50)가 감지한 상기 모션 신호를 이용하여, 도어(1) 및 트렁크 리드(2)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60)는 입력부(40)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설정모션 신호이면, 도어 잠금해제 신호, 도어 잠금 신호 및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 신호를 중 적어도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리모트 콘트롤 키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케이스(10) 내에 배치되어, 자동차에 구비된 도어잠금모듈의 제1 통신부와 통신할 수 있고, 자동차에 구비된 트렁크잠금모듈의 제2 통신부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는 제어부(60)가 발생시키는 상기 도어 잠금해제 신호 및 상기 도어 잠금 신호를 상기 도어잠금모듈의 제1 통신부로 송신하여서 상기 도어잠금모듈이 상기 도어를 잠금해제하거나 잠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제어부(60)가 발생시키는 상기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 신호를 상기 트렁크잠금모듈의 제2 통신부로 송신하여서 상기 트렁크잠금모듈이 상기 트렁크 리드를 잠금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60)에 설정되는 상기 설정모션 신호는 제1 설정모션 신호와, 제2 설정모션 신호와, 제3 설정모션 신호를 포함한다. 제어부(60)는 입력부(40)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모션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1 설정모션 신호이면, 상기 도어 잠금해제 신호를 발생시켜서, 도어(1)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입력부(40)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모션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2 설정모션 신호이면, 상기 도어 잠금 신호를 발생시켜서, 도어(1)를 잠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는 입력부(40)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모션감지부(5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3 설정모션 신호이면, 상기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 신호를 발생시켜서, 트렁크 리드(2)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해제시의 모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설정모션 신호는 사용자가 케이스(10)를 잡고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어(1)의 잠금을 해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40)를 누른 채로, 리모트 컨트롤 키를 일측(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리하면, 입력부(40)는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60)로 입력하고, 모션감지부(50)는 상기 모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입력하며, 제어부(60)는 입력부(40)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모션감지부(50)로부터 입력된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1 설정모션 신호라고 판단하여, 상기 도어 잠금해제 신호를 발생시켜서, 도어(1)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를 이용하여 도어 잠금시의 모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설정모션 신호는 사용자가 케이스(10)를 잡고 타측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어(1)를 잠금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40)를 누른 채로, 리모트 컨트롤 키를 타측(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리하면, 입력부(40)는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60)로 입력하고, 모션감지부(50)는 상기 모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입력하며, 제어부(60)는 입력부(40)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모션감지부(50)로부터 입력된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2 설정모션 신호라고 판단하여, 상기 도어 잠금 신호를 발생시켜서, 도어(1)가 잠금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를 이용하여 트렁크 리드의 잠금해제시의 모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설정모션 신호는 사용자가 케이스(10)를 잡고 전후로 흔드는 모션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트렁크 리드(2)를 잠금해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40)를 누른 채로, 리모트 컨트롤 키를 전후로 흔든다. 이리하면, 입력부(40)는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부(60)로 입력하고, 모션감지부(50)는 상기 모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입력하며, 제어부(60)는 입력부(40)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모션감지부(50)로부터 입력된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2 설정모션 신호라고 판단하여, 상기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 신호를 발생시켜서, 트렁크 리드(2)가 잠금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제어방법에 따른 순서도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제어방법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동작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력부(40)를 누른다. 이리하면, 입력부(40)는 모션스타트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모션스타트 신호는 제어부(60)로 입력된다(S10).
이후, 사용자는 케이스(10)를 흔든다. 이리하면, 모션감지부(50)는 모션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모션 신호는 제어부(60)로 입력된다(S20).
이후, 제어부(60)는 상기 입력된 모션 신호가 설정모션인지를 판단한다(S30,S40,S50).
즉, 제어부(60)는 상기 입력된 모션 신호가 제1 설정모션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30). 제어부(60)는 상기 입력된 모션 신호가 상기 제1 설정모션 신호이면 도어 잠금해제 신호를 발생시켜서, 도어(1)를 잠금해제 시킨다(S60).
또한, 제어부(60)는 상기 입력된 모션 신호가 상기 제1 설정모션 신호가 아니면, 제2 설정모션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40). 제어부(60)는 상기 입력된 모션 신호가 상기 제2 설정모션 신호이면 도어 잠금 신호를 발생시켜서, 도어(1)를 잠금 시킨다(S70).
또한, 제어부(60)는 상기 입력된 모션 신호가 상기 제2 설정모션 신호가 아니면, 제3 설정모션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50). 제어부(60)는 상기 입력된 모션 신호가 상기 제3 설정모션 신호이면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 신호를 발생시켜서, 트렁크 리드(2)를 잠금해제 시킨다(S80).
또한, 제어부(60)는 상기 입력된 모션 신호가 상기 제3 설정모션 신호가 아니면, 사용자가 설정되지 않은 모션으로 케이스(10)를 흔드는 것으로 판단하여, 모션 신호 입력 단계(S20)로 리턴된다. 이 때, 제어부(60)는 사용자에게 정확한 모션으로 케이스(10)를 흔들 것을 알려줄 수 있다. 제어부(60)가 사용자에게 정확한 모션으로 케이스(10)를 흔들 것을 알려주는 방법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 키에 설치된 경고등을 점등시키거나, 부져를 울리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알려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 제어부(60)에 설정되는 상기 설정모션 신호가 상기 제1 설정모션 신호, 상기 제2 설정모션 신호 및 상기 제3 설정모션 신호로 3개로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부(60)에 설정되는 상기 설정모션 신호는 반드시 3개로 한정될 필요는 없고, 3개보다 적은 모션이 설정될 수도 있고, 3개보다 많은 모션이 설정될 수도 있다. 제어부(60)에 3개보다 많은 모션이 설정되는 경우, 사용자는 입력부(40)를 누른채로 실시예에서 설명하지 않은 다른 모션으로 케이스(10)를 흔들어서 자동차의 경적음이 울리도록 하거나 멈추도록 할 수도 있고, 상기 자동차의 엔진의 시동을 걸거나 정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리모트 콘트롤 키에 입력부(40)를 복수로 구비할 필요없이 하나의 입력부(40)만을 구비하여, 자동차의 도어를 잠금하거나 잠금해제할 수 있고, 트렁크 리드를 잠금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입력부(40)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케이스 40 : 입력부
50 : 모션감지부 60 : 제어부

Claims (6)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모션스타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흔드는 모션 신호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설정모션 신호이면, 도어 잠금해제, 도어 잠금 및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정모션 신호는 제1 설정모션 신호, 제2 설정모션 신호 및 제3 설정모션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1 설정모션 신호이면, 상기 도어 잠금해제를 실행하고,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2 설정모션 신호이면, 상기 도어 잠금을 실행하며,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3 설정모션 신호이면, 상기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를 실행하는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모션 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이고,
    상기 제2 설정모션 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타측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이며,
    상기 제3 설정모션 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전후로 흔드는 모션인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4.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모션스타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입력부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흔드는 모션 신호를 감지하는 모션감지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상기 모션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모션스타트 신호가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모션 신호가 설정모션 신호이면, 도어 잠금해제, 도어 잠금 및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설정모션 신호는 제1 설정모션 신호, 제2 설정모션 신호 및 제3 설정모션 신호를 포함하고,
    도어 잠금해제, 도어 잠금 및 트렁크 리드 잠금해제 중 적어도 하나를 실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1 설정모션 신호이면, 상기 도어 잠금해제를 실행하고,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2 설정모션 신호이면, 상기 도어 잠금을 실행하며,
    상기 모션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모션 신호가 상기 제3 설정모션 신호이면, 상기 트렁크 잠금해제를 실행하는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모션 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이고,
    상기 제2 설정모션 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타측으로 회전시키는 모션이며,
    상기 제3 설정모션 신호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를 전후로 흔드는 모션인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의 제어방법.
KR1020170035092A 2017-03-21 2017-03-21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801065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92A KR20180106564A (ko) 2017-03-21 2017-03-21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092A KR20180106564A (ko) 2017-03-21 2017-03-21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64A true KR20180106564A (ko) 2018-10-01

Family

ID=63877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092A KR20180106564A (ko) 2017-03-21 2017-03-21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56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4899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8994499B2 (en) Locking and unlocking a mobile device using facial recognition
KR101270379B1 (ko) 잠금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실행 방법
JP4649273B2 (ja) 車両用施解錠システム
JP2009018656A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固定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携帯無線通信装置および方法
US9793940B2 (en) Cover for mobile device
JP2007016412A (ja) 車両の開閉自在な部材を開放するための制御装置
JP5272815B2 (ja) 車両盗難防止装置、車両盗難防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19536A (ja) 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2009127252A (ja) ドア制御システム
US20210229633A1 (en) Biometric user authenticating keys for vehicles and methods of use
JP2009091839A (ja) コード凹凸キー
JP6264806B2 (ja) 車両の電子キーシステム
US20220314932A1 (en) Vehicle-mounted device
JP2009091745A (ja) コード凹凸照合式キーシステム
KR20180106564A (ko) 자동차의 리모트 콘트롤 키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241725B1 (ko) 생체 인식을 이용한 차량의 도어 락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JP4578984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システム
KR101636297B1 (ko) 트렁크 자동 오픈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EP2963214A1 (en) Operation input confirmation device, and vehicle door handle device
JP4839701B2 (ja) 車両用ロック制御装置およびロック制御方法
KR101350892B1 (ko) 차량의 터미널 천이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01428884B1 (ko) 포브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JP4879089B2 (ja) 携帯端末装置
KR10099320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