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94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941A
KR20180105941A KR1020170033292A KR20170033292A KR20180105941A KR 20180105941 A KR20180105941 A KR 20180105941A KR 1020170033292 A KR1020170033292 A KR 1020170033292A KR 20170033292 A KR20170033292 A KR 20170033292A KR 20180105941 A KR20180105941 A KR 20180105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inner case
cabinet
pipe
condens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7213B1 (ko
Inventor
정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3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721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941A/ko
Priority to KR1020210139447A priority patent/KR102453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7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7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 F25D2321/1441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drip water collection pans inside a refrig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1/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1/14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 F25D2321/146Collect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Removing condense or defrost water characterised by the pipes or pip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val Of Water From Condensation And Defro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너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인너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며,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 상기 인너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 장치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 상기 안내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으로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관;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므로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의 종류나 상태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장실 또는 냉동실에 보관할 수 있다.
근래에 들어서는, 음식물 이외에 화장품이나 와인과 같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화장품이나 와인과 같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의 경우, 보관하기 위한 물품의 양이 적어,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 보다 크기가 작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냉장고의 소형화를 위하여, 열전소자를 사용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3876호에는 열전소자를 구비한 냉각패키징 및 그를 채용한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냉장실이 형성되는 냉장고 본체와; 냉장고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냉장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와; 본체결합공에 결합되며 열전소자를 구비하는 냉각패키징과; 냉장실 내부에서 냉각패키징의 선단과 결합되는 흡열유니트와; 냉장고 본체의 후방측에서 냉각패키징의 후단과 결합되는 방열유니트와; 냉장실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방열유니트로 배수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관은 냉장실 또는 흡열유니트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냉장고 본체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배수관은 냉장고 본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냉장실과 흡열유니트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모세관 현상을 통하여 수분을 흡수하는 흡착제로 되어 있다. 흡착제는 호스로 감싸여진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냉장실 또는 흡열유니트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는 배수관을 통하여 방열유니트로 흐르게 되고, 방열유니트는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배수관을 통하여 이송되는 수분은 열에 의하여 증발시킨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의하면, 배수관이 냉장실과 흡열유니트 사이를 연결함에 따라서, 냉장실 바닥으로 낙하된 응축수를 배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흡입유니트중 일부분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을 뿐 흡입유니트 전체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배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수관을 따라 응축수가 방열유니트로 유동하더라도 유동되는 응축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방열유니트의 열에 의해서 응축수 전부가 증발되지 않고, 일부가 방열유니트에서 낙하되어 냉장고 외부의 바닥이 응축수에 의해서 젖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열전소자에 의한 흡열 작용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장실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저장실에서 배출된 응축수의 양이 많더라도 응축수를 집수하여 증발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의 조립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와, 인너 케이스에 설치되는 냉각 장치와, 상기 냉각 장치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를 따라 응축수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안내 유로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배면이 후방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의 하방에서 응축수가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안내 유로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냉각 장치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안내 유로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인너 케이스에는 상기 냉각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경사진 안내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를 따라 하방으로 유동한 응축수가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인너 케이스에는 배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의 일부는 상기 캐비닛의 하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응축수를 자연 증발되도록, 상기 캐비닛에는 저장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배수관의 하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를 포함하고, 응축수가 상기 저장 바디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저장 바디의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는 상기 저장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바디의 바닥면은 상기 바닥 케이스를 관통한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 일 예로 캐비닛의 후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가 상기 캐비닛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 내의 저장 공간은 냉장고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는, 바닥면에 놓이며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가 결합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인너 케이스에 안내 유로가 구비되고, 안내 유로에 배수관이 연통됨에 따라, 열전소자에 의한 흡열 작용에 의해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저장실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관을 통해 배수되는 응축수가 저장부에 저장되므로, 응축수의 양이 많더라도 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의 증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저장부의 바닥면이 배수관과 인접한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므로, 응축수가 저장부에 저장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저장부에서 넘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배수관이 바닥 케이스를 관통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저장부를 캐비닛 외측에서 캐비닛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저장부를 캐비닛에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가 캐비닛에 조립된 상태에서 저장부와 배수관이 중첩되도록 배치되므로, 저장부와 배수관을 정렬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미끄럼 방지부가 저장부에 결합되므로, 캐비닛에 미끄럼 방지부 결합을 위한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조가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냉장고에 구비된 냉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응축수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 인너 케이스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
도 6은 응축수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 인너 케이스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배수관과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의 사시도.
도 9은 도 8의 저장부가 캐비닛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냉장고에 구비된 냉각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연결되는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에 연결되며, 저장실(104)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힌지 기구(22, 24)에 의해서 회전 방식으로 상기 저장실(104)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04)에는 와인병을 지지하기 위한 와인 랙(3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와인 랙(30)은 상기 저장실(104)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냉각 장치>
본 발명의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104)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 장치(40)는 냉장고의 소형화를 위하여 열전소자를 이용한 냉각 장치(40)이다.
상기 냉각 장치(40)는, 제1면이 흡열면이고 상기 제1면과 반대면이 방열면인 열전소자(400)와, 상기 제1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흡열부(410)와, 상기 제2면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방열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장치(40)는, 상기 흡열부(410) 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흡열팬(420)과, 상기 방열부(430)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방열팬(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흡열팬(420), 흡열부(410), 열전소자(400), 방열부(430) 및 방열팬(440)의 전후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에는 상기 냉각 장치(40)의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4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인너 케이스(10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400)의 전부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열전소자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06)를 구비하는 미들 케이스(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들 케이스(105)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인너 케이스(10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06)는 상기 열전소자(4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06)는 상기 미들 케이스(105)에서 돌출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과 접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미들 케이스(105)와 상기 인너 케이스(102) 사이에 충진되는 단열재를 위한 발포액이 상기 열전소자(400) 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열전소자(400)의 일부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14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들 케이스(105)가 생략되거나 상기 미들 케이스(105)가 상기 열전소자(400)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0)에는 상기 흡열부(410)와 상기 흡열팬(420)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에는 상기 수용부(140)를 커버하는 커버(45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45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에 구비되는 커버 결합부(146)에 일 예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버(450)에 의해서 사용자가 상기 흡열팬(420)에 접근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자의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커버(450)에는 상기 저장실(104) 내의 공기가 상기 수용부(140)로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452)와, 상기 수용부(140)의 공기가 상기 저장실(104)로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4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흡입구(452)의 상측 및 하측 각각에 배출구(45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0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 사이에는 상기 방열부(430)와 방열팬(440)이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방열부(430)는 상기 미들 케이스(105)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430) 및 상기 방열팬(440)은 상기 미들 케이스(105)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장치(40)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열전소자(400)로 전류가 흐르면, 상기 열전소자(400)의 흡열면이 열을 흡수하고, 방열면이 열을 방출한다.
상기 흡입팬(420)은, 상기 저장실(104)의 공기를 상기 흡열부(410) 측으로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전소자(400)의 흡열면과 접촉된 상기 흡열부(410) 측으로 상기 저장실(104)의 공기가 송풍되면, 상기 흡열부(410)와 접촉된 공기가 열을 뺏겨 공기의 온도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온도가 하강된 공기는 상기 흡입팬(420)에 의해서 상기 토출구(454)를 통하여 상기 저장실(104)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방열팬(440)은 상기 냉장고(1) 외부의 공기를 상기 방열부(430) 측으로 송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도 9의 101a 참조)와, 상기 방열부(430)와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구(101a)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방열부(430) 측으로 송풍되면 상기 방열부(430)가 외부의 공기에 의해서 냉각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부(430)를 냉각한 공기는 상기 방열팬(440)에 의해서 상기 토출구(101b)를 통하여 상기 냉장고(1) 외부로 토출된다.
<응축수 배수를 위한 안내 유로 및 배수관>
도 5는 응축수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 인너 케이스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응축수 배수를 위한 배수관이 인너 케이스에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배수관과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실(104)의 공기가 상기 흡열부(410)와 열교환되는 과정에서 공기가 포함하는 수분에 의해서 상기 흡열부(410)의 표면 상에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응축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용부(140)는 경사진 안내면(14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140)는, 상기 열전소자(140) 또는 상기 흡열부(410)가 설치되며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설치면(141)과, 상기 설치면(141)에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면(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02)는 상기 안내면(142)을 따라 유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이너 케이스(102)의 하면(114)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144)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에서 후방을 향하여 함몰되는 홈일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0) 내의 응축수가 상기 안내 유로(144)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부(140)의 하측과 상기 안내 유로(144)의 상측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144)는 상기 수용부(140)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144)로 인입된 응축수가 한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상기 안내 유로(144)의 전부 또는 일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좌우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대략적으로 상기 안내 유로(144)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로(144)는 배수관(50)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내 유로(144)를 따라 유동한 응축수는 상기 배수관(50)을 통해 상기 저장실(104)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너 케이스(102)에는 상기 배수관(50)이 결합되기 위한 개구(14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50)은, 파이프(5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개구(146)에 결합되는 결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부(520)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하면(114)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520) 자체는 하방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내홈(144)을 따라 흘러내린 응축수가 상기 결합부(520)에서 모인 상태로 상기 파이프(510) 내부를 따라 유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510)의 입구(511)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하면(114)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520) 자체가 응축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상기 저장실(104) 내에 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저장실(104) 내의 물도 상기 배수관(50)을 따라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결합부(520)가 존재하지 않고, 상기 안내 유로(144)가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에서 하면(114)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 유로(144) 중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하면(114)에 위치되는 유로에 상기 파이프(510)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파이프(510)가 상기 인너 케이스(102)를 관통하여 상기 안내 유로(144)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미들 케이스(10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어 케이스(109)와, 리어 케이스(109)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 케이스(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케이스(109)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배면(113)과 이격되고, 상기 바닥 케이스(108)는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하면(114)과 이격된다.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는 상기 바닥 케이스(108)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는 상기 파이프(510)가 관통하기 위한 홀(108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가 상기 바닥 케이스(108)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파이프(510)가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안착되도록, 상기 파이프(510)의 외주면에는 안착 리브(5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 리브(514)는 상기 파이프(510)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착 리브(514)는 상기 파이프(510)의 원주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안착 리브(514)가 상기 파이프(510)의 원주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수관(50)이 상기 인너 케이스(10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배수관(50)의 하측 부분은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안착되므로, 상기 인너 케이스(102)의 하면(114)과 상기 바닥 케이스(108) 간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50)이 상기 인너 케이스(102)에 결합되고, 상기 배수관(50)의 상기 안착 리브(514)가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02)와 상기 바닥 케이스(108) 사이에는 단열재 형성을 위한 발포액에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배수관(50)이 상기 안착 리브(514)가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안착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발포액 주입 후 발포액이 냉각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수관(50)의 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주입된 발포액이 상기 안착 리브(514)를 상기 바닥 케이스(108) 측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배수관(50)이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서 빠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부의 사시도이고, 도 9은 도 8의 저장부가 캐비닛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상기 배수관(50)을 따라 배출되는 응축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0)는, 응축수 저장을 위한 저장 공간(611)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6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는 상기 저장 바디(61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510)에서 낙하된 응축수가 상기 저장 바디(610)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는 상기 저장 바디(610)의 바닥면(612)과 이격된다. 이때, 상기 바닥 케이스(108)를 관통한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는 상기 저장 공간(6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바디(610)에 저장된 응축수는 외부 열이나 외부 공기에 의해서 자연 증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 바디(610)의 바닥면(612)은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장 바디(610)의 바닥면(612)은 상기 파이프(510)의 하단부(512)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상기 캐비닛(10)의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510)에서 배출되어 상기 저장 바디(610)로 인입된 응축수는 상기 저장 바디(610)에서 상기 냉장고(1)의 후측으로 흘러내려 저장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저장 바디(610)에 저장된 응축수의 자연 증발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고, 상기 저장 바디(610)에 응축수가 저장되는 과정에서 응축수가 상기 저장 바디(61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0)는,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 리브(616, 6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는 상기 냉장고(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패널(110)은 상기 방열부(430)와 방열팬(440)을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어 패널(110)에 상기 흡입구(10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616, 618)는 상기 리어 패널(110)과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 리브(6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는 상기 저장 바디(610)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의 일부는 상기 리어 패널(11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상기 리어 패널(110)의 배면에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에서 상기 리어 패널(110)의 배면과 접촉된 부분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에는 제 1 체결홀(6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60)가 상기 리어 패널(1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저장부(60)는 상기 리어 패널(110)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리브(6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리브(614)는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에서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리브(616, 618)는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체결되기 위한 제 2 체결 리브(6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 리브(618)는 상기 제 1 결합 리브(616)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 리브(618)는 상기 바닥 케이스(108)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바닥 케이스(108)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2 체결 리브(618)에는 제 2 체결홀(61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0)는, 바닥면에 놓여 상기 냉장고(1)가 바닥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부(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620)는 일 예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620)는 일 예로 상기 제 2 체결 리브(61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부(620)의 두께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620)가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저장 바디(610)의 바닥면(612)에서 이격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에서 상기 저장부(60)를 캐비닛(10)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상기 저장부(60)의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배수관(50)이 상기 바닥 케이스(108)를 관통한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저장부(60)를 바닥 케이스(108)에 체결하면 바로 상기 배수관(50)과 상기 저장부(60)가 중첩되어 정렬되므로, 상기 저장부(60)와 상기 배수관(50)의 정렬을 위한 별도의 작업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60)가 상기 캐비닛(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바디(610)의 상면은 상기 리어 패널(110)의 하면과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 공간(611)이 상기 냉장고(1) 외부와 연통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저장 공간(611)에 수용된 응축수의 자연 증발이 원활해지는 장점이 있다.
10: 캐비닛 20: 도어
40: 냉각 장치 50: 배수관
60: 저장부 144: 안내 유로

Claims (13)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인너 케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인너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며,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실의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
    상기 인너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냉각 장치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하방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 유로;
    상기 안내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으로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관;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수관에서 배출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로는 상기 인너 케이스의 배면이 후방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는, 상기 안내 유로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냉각 장치가 수용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냉각 장치가 설치되는 설치면과, 상기 설치면에서 상기 냉각 유로 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안내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로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상기 인너 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는 상기 캐비닛을 관통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로 인출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인너 케이스의 하면의 하방에 위치되는 바닥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은, 상기 바닥 케이스를 관통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둘레에는 상기 바닥 케이스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 리브가 구비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서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며,
    상기 배수관은, 응축수를 안내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는 상기 저장 공간에 수용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저장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 바디의 바닥면은 상기 바닥 케이스를 관통한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하단부와 중첩되는 부분에서 멀어지는 방향은 상기 캐비닛의 후측 방향인 냉장고.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인너 케이스의 배면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냉각 장치를 커버하는 리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리어 패널에 체결되며,
    상기 저장부가 상기 리어 패널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 바디의 상면은 상기 리어 패널의 하면과 이격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저장 바디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어 패널의 하면을 지지하는 체결 리브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바닥면에 놓이며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부가 결합되는 냉장고.
KR1020170033292A 2017-03-16 2017-03-16 냉장고 KR102317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92A KR102317213B1 (ko) 2017-03-16 2017-03-16 냉장고
KR1020210139447A KR102453753B1 (ko) 2017-03-16 2021-10-19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292A KR102317213B1 (ko) 2017-03-16 2017-03-16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447A Division KR102453753B1 (ko) 2017-03-16 2021-10-19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941A true KR20180105941A (ko) 2018-10-01
KR102317213B1 KR102317213B1 (ko) 2021-10-26

Family

ID=638777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292A KR102317213B1 (ko) 2017-03-16 2017-03-16 냉장고
KR1020210139447A KR102453753B1 (ko) 2017-03-16 2021-10-19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447A KR102453753B1 (ko) 2017-03-16 2021-10-19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17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155A1 (ko) * 2020-01-07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69A (ja) * 1993-07-09 1995-01-27 Sanyo Electric Co Ltd 高湿度低温貯蔵庫
JPH10300304A (ja) * 1997-04-23 1998-11-13 Matsushita Refrig Co Ltd 熱電モジュール式電気冷蔵庫
KR20090006419A (ko) * 2007-07-11 2009-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85597A (ko) * 2010-01-21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143412A (ko) * 2015-06-05 201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975B1 (ko) 2006-03-31 200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80006652U (ko) * 2007-06-26 2008-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234065B1 (ko) 2011-12-2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469A (ja) * 1993-07-09 1995-01-27 Sanyo Electric Co Ltd 高湿度低温貯蔵庫
JPH10300304A (ja) * 1997-04-23 1998-11-13 Matsushita Refrig Co Ltd 熱電モジュール式電気冷蔵庫
KR20090006419A (ko) * 2007-07-11 2009-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085597A (ko) * 2010-01-21 201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143412A (ko) * 2015-06-05 201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41155A1 (ko) * 2020-01-07 2021-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000A (ko) 2021-10-27
KR102317213B1 (ko) 2021-10-26
KR102453753B1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3689B2 (en) Drain hose assembly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JP4620663B2 (ja) キャビネット冷蔵システム
KR101578003B1 (ko) 냉장고
KR101343092B1 (ko) 냉장고도어 제빙실
US20100326116A1 (en) Refrigerator
US9382909B2 (en) Refrigerator having centrifugal fan-duct assembly
KR20120007500A (ko) 냉장고 공기 덕트
KR101520704B1 (ko) 냉장고
KR20070093634A (ko) 음료수용 냉장고의 열교환 장치
CN111527359A (zh) 冰箱
KR20110021128A (ko) 냉장고
KR102453753B1 (ko) 냉장고
KR100919822B1 (ko) 냉장고
KR20210058240A (ko) 냉장고
KR20170115386A (ko) 냉장고
JP4270326B1 (ja) 冷蔵庫
US11624543B2 (en) Under counter type refrigerator
AU2020229911B2 (en) Refrigerator having air blower located downstream of transverse side of evaporator
KR20210081010A (ko) 냉장고
KR100432215B1 (ko) 김치냉장고
JP2021101136A (ja) 冷蔵庫
JP2020139645A (ja) 冷蔵庫
CN210036033U (zh) 一种改进的双温室酒柜
KR100412416B1 (ko) 김치저장고의 서랍식 저장실 증발관 설치구조
KR20210112183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