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5470A -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5470A
KR20180105470A KR1020170032578A KR20170032578A KR20180105470A KR 20180105470 A KR20180105470 A KR 20180105470A KR 1020170032578 A KR1020170032578 A KR 1020170032578A KR 20170032578 A KR20170032578 A KR 20170032578A KR 20180105470 A KR20180105470 A KR 20180105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er reading
collector
reading data
data
rep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4742B1 (ko
Inventor
윤찬수
한창우
민준규
정용철
이재현
조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콤
Priority to KR102017003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74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5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3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selection of one or more conductors or channels from a plurality of conductors or channe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40Remote control systems using repeaters, converters, gatew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침단말기기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전송기와의 통신 시간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전체 검침 데이터 수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은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 검침 데이터를 발송하는 복수의 검침단말기와, 상기 복수의 검침단말기에서 발송하는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중계기와, 상기 복수의 중계기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근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중계기 또는 상기 수집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집기는, 상기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검침단말기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검침단말기와 상기 수집기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각 검침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다르게 설정한다.

Description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WIRELESS REMOTE METER READING SYSTEM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등 시분할 방식을 이용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가스, 수도 등과 같은 공공 에너지를 검침하는 방법은, 검침원이 직접 방문하여 각각의 검침단말기를 검침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는, 검침원이 직접 눈으로 검침단말기의 표시부를 보고, 그 검침량을 점검표에 적거나 PDA 등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유, 무선으로 전송하여 공급자가 사용량을 통합적으로 계산하는 방식이 이용된다.
최근에는 검침원이 일일이 검침단말기가 수용된 수용가를 방문하여 검침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원격으로 검침하고 그 검침 정보를 원격으로 송, 수신하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같은 검침단말기의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은, 복수 개의 검침단말기와 수집기를 포함한다. 검침단말기는, 복수 개의 검침단말기에서 계량된 각각의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수집기로 검침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검침단말기와 수집기의 거리가 먼 경우, 전송기에서 전송된 검침 데이터는 중계기를 거쳐 수집기로 전송된다. 이 때 중계기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먼 거리에 위치하는 검침단말기는 여러 단계의 중계기를 거쳐 원격검침 수집기로 검침 데이터를 전송한다.
종래의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에 있어서, 수집기는 안정적인 데이터 수신을 위해 시분할 방식으로 한 번에 하나의 검침단말기와만 통신을 수행하며, 이로 인해 시간당 통신할 수 있는 전송기의 개수가 한정된다. 이 때 수집기는 각각의 검침단말기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는 시간을 일률적으로 설정한다. 그에 따라 수집기는 가장 먼 곳에 있는 검침단말기를 기준으로 각 전송기당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는 시간을 할당하는데, 그에 따라 가까운 검침단말기와의 통신 수행중에는 불필요한 시간 낭비가 발생하며, 그 결과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의 전체적인 검침 데이터 수신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은, 검침단말기기의 위치에 따라 각각의 전송기와의 통신 시간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전체 검침 데이터 수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은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 검침 데이터를 발송하는 복수의 검침단말기와, 상기 복수의 검침단말기에서 발송하는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중계기와, 상기 복수의 중계기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근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중계기 또는 상기 수집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집기는, 상기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검침단말기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검침단말기와 상기 수집기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각 검침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다르게 설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근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수집기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통해 상기 검침 데이터가 출력된 검침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검침 데이터가 출력된 검침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은 검침 단말기와 수집기 사이 거리에 비례하여 검침 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인 검침 단말기와 수집기 간 통신 시간을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검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시스템 운용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 시스템의 검침 단말기와, 중계기 및 수집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밞여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은, 복수 개의 검침단말기(100)와, 상기 복수 개의 검침단말기(100)로부터 각각의 검침단말기(100)의 사용량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복수 개의 중계기(200)와, 상기 중계기(200)로부터 검침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수집기(300)와, 상기 수집기(300)로부터 검침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침단말기(100)는 각 가정이나 건물 내에 장착되어 가스나 수도 등의 사용량을 검침한다. 그리고 검침단말기(100)는 상기 가스나 수도 등의 사용량을 검침하여 획득한 검침 데이터를 수집기(300)로 전송한다. 검침단말기(100)가 수집기(300)와 근거리에 배치되면 검침단말기(100)에서 검침된 검침 데이터는 수집기(300)로 직접 전송된다. 그러나 검침단말기(100)와 수집기(300) 사이의 거리가 먼 경우, 검침단말기(100)에서 검침된 검침 데이터는 중계기(200)를 통해 수집기(300)로 전송된다. 이 때 중계기(200)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검침단말기(10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각각의 검침단말기(100)에는 상기 검침단말기(100) 각각의 위치정보를 갖는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검침단말기(100)는 상기 검침 데이터에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하여 중계기(200)로 전송한다.
중계기(200)들은 다른 중계기(200)들을 거쳐 수집기(300)로 검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검침단말기(100)가 수집기(300)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수집기(300)와 멀리 떨어진 검침단말기(100)로부터의 검침 데이터는 복수 개의 중계기(200)들을 경유하여 수집기(300)로 전송된다.
이 때 중계기(200)들 중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중계기와 수집기(300) 사이의는 n(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구간으로 구분되고, 수집기(300)로부터 가까운 순으로 제 1 구간부터 제 n 구간까지 순차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n=5인 경우, 즉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중계기(D5)와 수집기(300) 사이의 구간이 5개로 나뉘도록 정의된 예를 설명한다. 이 때 수집기(300)와 직접 통신하는 검침단말기(100)들이 위치하는 구간은 제 1 구간(D1)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여기서, n 값은 2 내지 10 사이에서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1 구간(D1)에 위치하는 중계기를 지 1 중계기(200a)로 정의하고, 순차적으로 제 2 구간(D2)에 위치하는 중계기를 제 2 중계기(200b)로, 제 3 구간(D3)에 위치하는 중계기를 제 3 중계기(200c)로, 제 4 구간(D4)에 위치하는 중계기를 제 4 중계기(200d)로, 제 5 기간(D5)에 위치하는 중계기를 제 5 중계기(200e)로 정의한다.
편의상 상기 제 1 내지 제 5 중계기(200a, 200e)는 각각 하나씩만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 1 내지 제 5 중계기(200a, 200e)는 각각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k(k는 n 보다 작은 자연수) 구간에 위치하는 제 k 중계기는 인접한 검침단말기(10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공급받아, 이를 k-1 구간에 위치한 중계기로 검침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검침 데이터는 제 k-1 중계기에서 다시 k-2 구간에 위치하는 중계기로, 그리고 점차 수집기(300)와 가까운 구간에 위치하는 중계기들로 순차적으로 전송되다가, 제 1 구간(D1)에 우치하는 제 1 중계기(200a)까지 전송되고, 제 1 중계기(200a)는 수집기(300)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한다.
k=3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 3 중계기(200c)는 인접한 검침단말기(10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공급받아, 이를 제 2 중계기(200b)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 2 중계기(200b)는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제 1 중계기(200a)로 전송하고, 제 1 중계기(200a)는 수집기(300)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제 3 중계기(200c)는 제 4 중계기(200d)로부터 다른 검침 단말기(10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공급받아, 이를 제 2 중계기(200b)로 전송할 수 있다.
이같이, 수집기(300)로부터 멀리 떨어진 검침단말기(100)로부터의 검침 데이터는 복수 개의 중계기(200a~200e)를 거쳐 수집기(300)로 공급됨으로써 검침단말기(100)가 원거리에 위치할 때에도 검침단말기(100)는 원격으로 검침 데이터를 복수 개의 중계기(200a~200e)를 경유시켜 수집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집기(300)는 전술한 것과 같이 각 검침 단말기(100)와 일대일로 통신한다. 그런데, 검침 단말기(100)로부터 수집기(300)로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는, 상기 전송 데이터가 경유하는 중계기(200a~200e)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즉, 제 1 중계기(200a)만을 거치는 전송 데이터는 제 2 중계기(200b)와 제 1 중계기(200a)를 경유하는 전송 데이터에 비해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다. 그러나, 종래에는 가장 외곽에 위치하는 중계기, 예를 들어 제 5 중계기(200e)로부터 수집기(300)로 전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속도를 기준으로 검침 단말기(100)와 수집기(300) 사이의 통신 시간을 모두 일률적으로 할당하였다.
그 결과, 상대적으로 수집기(300)에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는 검침 단말기(100)와 수집기(300) 사이의 통신 시간이 불필요하게 증가되므로, 결국 전체적인 전송 데이터 수신 기간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에서 수집기(300)는 각 검침 단말기(100)로부터의 검침 데이터가 경유한 중계기 수에 비례하도록 각 검침 단말기(100)와의 통신 시간을 다르게 할당한다.
수집기(300)와 직접 통신하는 검침 단말기(100)에 할당된 통신 시간은 t0로 정의되며, 가장 짧게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집기(300)와 직접 통신하는 검침 단말기(100)에 할당된 통신 시간(t0)은 서로 동일하다.
제 1 중계기(200a)에 인접한 검침 단말기(100)에 할당된 통신 시간은 t1으로 정의되며, 상기 t0에 비해 긴 통신 시간이 할당된다.
제 2 중계기(200b)에 인접한 검침 단말기(100)에 할당된 통신 시간은 t2로 정의되며, t1에 비해 긴 통신 시간이 할당된다.
제 3 중계기(200c)에 인접한 검침 단말기(100)에 할당된 통신 시간은 t3로 정의되며, t2에 비해 긴 통신 시간이 할당된다.
제4 중계기(200d)에 인접한 검침 단말기(100)에 할당된 통신 시간은 t4로 정의되며, t3에 비해 긴 통신 시간이 할당된다.
제 5 중계기(200e)에 인접한 검침 단말기(100)에 할당된 통신 시간은 t5로 정의되며, t4에 비해 긴 통신 시간이 할당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등 시분할 방식을 통해, 검침 단말기(100)로부터의 검침 데이터가 중계기(200)를 경유하는 횟수에 비례하여 수집기(300)와 검침 단말기(100)의 통신 시간을 증가시키는 특징을 갖는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은 수집기(300)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검침 단말기(100)들과의 통신 시간이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 때 검침 단말기(100)각 가구별로 구비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수집기(300)와 특정 지역 내의 각 가구별로 구비된 다수의 검침 단말기(100)가 통신하므로, 전체적인 검침 데이터 전송 시간이 크게 감소하고 효율적인 무선 원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 시스템의 검침 단말기(100)와, 중계기(200) 및 수집기(3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중계기(200)를 하나만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 검침 단말기(100)와 수집기(300)는 복수의 중계기(20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함은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다.
검침단말기(100)는 각 가정이나 건물 내에 장착되어 가스나 수도 등의 사용량을 검침한다. 이를 위하여, 검침 단말기(100)는 가스나 수도 등의 사용량을 검침하여 획득하는 검침부(110)와, 검침부(110) 내에서 획득한 사용량에 대한 검침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20)와, 메모리(120)에 저장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140)와, 검침부(110), 메모리(120) 및 무선통신부(140) 전반을 제어, 관리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검침부(110)는 가스나 수도 등의 사용량을 검침하는 부분으로, 사용량을 전자식으로 검침하는 전자식 검침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다. 그 일례로는, 리드스위치센서와 리드스위치를 사용하여 사용량을 전자식으로 검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메모리(120)는 검침부(110)를 통해 획득한 사용량에 대한 검침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메모리(120)는 기록 저장을 위해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나 램(RA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메모리(120)에는 검침 데이터와 별도로 전술한 어드레스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같은 어드레스 정보는 무선통신부(140)를 통해 중계기(120)로 검침 데이터를 전송할 때 상기 검침 데이터와 함께 중계기(120)로 전송된다. 이를 통해 송신된 검침 데이터가 어느 검침단말기(100)에서 획득된 검침 데이터인지 식별할 수 있다. 이 때 어드레스 정보에는 해당 검침단말기(100)가 몇 단계의 중계기(200)를 경유하도록 수집기(300)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구분할 수 있는 단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검침단말기(100)로부터의 어드레스 정보를 통해 수집기(300)는 검침단말기(100)가 몇 단계의 중계기(200)를 경유하여 수집기(300)로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중계기(200)는 검침단말기(100)와 무선통산하도록 구비되는 무선통신부(210)와,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검침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검침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20)와, 메모리(200)에 저장된 검침 데이터를 수집기(300)로 송신하는 무선통신모듈(240) 및 중계기(200)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210)는 검침단말기(100)로부터 검침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검침단말기(100)에 검침요청 정보 등을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210)는 적외선무선통신(IrDA), 지그비(Zigbee), RF통신(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의 무선방식을 사용하여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수신된 검침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즉, 메모리(220)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검침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사용량에 대한 검침 데이터와, 어드레스 정보 등을 저장한다. 이같은 메모리(220)는 플래시메모리나 램(RAM)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중계기(200) 전반의 기능을 제어하고 관리한다. 제어부(230)는 제어 프로그램이 입력된 중앙 처리장치(CPU) 등을 활용하여 무선통신부(210)나 무선통신모듈(240)이 데이터 송, 수신을 수행하도록 하거나, 메모리(220)가 정보저장이나 관리 등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240)은 메모리(220)에 저장되어 있는 검침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집기(300)로 전송하고, 수집기(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무선통신모듈(240) 또한 무선통신부(210)와 동일하게 적외선무선통신(IrDA), 지그비(Zigbee), RF 통신(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중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검침단말기(100)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부(210)와 수집기(300)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모듈(240)이 서로 독립적인 구성인 예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설계에 따라서는 무선통신부(210)와 무선통신모듈(240)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지그비(Zigbee) 무선네트워크 규격의 통신모듈을 활용하면 소형화 및 저전력 통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수집기(300)는 중계기(20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무선으로 관리서버(500)에 전송한다. 또한 수집기(300)는 검침 데이터 중의 어드레스 정보를 분석하여 검침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하고, 검침단말기(100)의 위치에 따라 해당 검침단말기(100)와의 통신 시간을 다르게 설정한다. 이 때 통신 시간은 전술한 것과 같이 검침단말기(100)로부터의 검침 데이터가 경유한 중계기(200) 수에 비래하도록 설정되며, 상기 단계 정보를 통해 수집기(300)는 상기 검침 데이터가 경유한 중계기 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원거리에 위치한 검침단말기(100)일수록 중계기(200)를 많이 경유하며, 수집기(300)는 원거리에 위치한 검침단말기(100)와의 통신 시간을 더 길게 설정한다.
이를 위하여, 수집기(300)는 중계기(200)와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310)과, 중계기(200)로부터 전송된 검침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320)와, 관리서버(500)와 정보를 송, 수신하는 광대역통신모듈(340) 및 이들 전반을 관리하는 제어부(330)를 구비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310)은 중계기(200)로부터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 검침 데이터를 수신하며, 중계기로 각종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같은 무선통신모듈(310)은 적외선무선통신(IrDA),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320)는 무선통신모듈(310)을 통해 수신한 검침 데이터 및 전술한 어드레스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부분으로, 앞서 설명한 중계기(200)의 메모리(220)와 동일하게 플래시 메모리나 램(RAM)등이 사용될 수 있다.
광대역통신모듈(340)은 메모리(320)에 저장되어 있는 검침 데이터 등을 무선으로 관리서버(500)에 송신하고, 관리서버(500)로부터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서, CDMA 통신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광대역통신모듈(340)이 CDMA 등을 이용하여 형성되면, 광대역통신모듈(340)은 휴대폰 등과도 통신이 가능해지며, 따라서 관리자가 휴대폰의 CDMA 망을 이용하여 수집기(300)의 광대역통신모듈(340)에 검침 데이터 등을 요청하는 명령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이를 수신하여 메모리(320)에 저장된 검침 데이터 등을 광대역통신모듈(340)을 통해 관리자의 휴대폰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관리 서버(500)가 아닌 원격지에서도 휴대폰을 수집기(300)에 저장된 검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20)는 무선통신모듈(310), 메모리(320), 광대역통신모듈(340) 전반을 제어, 관리하는 부분으로, 제어 프로그램이 입력된 중앙처리장치(CPU)등을 활용하여 무선통신모듈(310)이나 광대역통신모듈(340)을 통하여 정보의 송, 수신을 제어하고, 메모리(320)에 각종 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20)는 상기 어드레스 정보, 특히 단계 정보를 분석하여 검침 데이터가 입력된 검침단말기(100)로부터 검침 데이터가 수신되는 데 소요되는 최대 시간을 계산하여, 해당 검침 단말기(100)와의 통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관리서버(500)는 수집기(300)로부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관리하며, 각종 명령신호를 송신하는 특징을 갖는다. 관리서버(500)는 수집기(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광대역 통신모듈(510)과, 광대역 통신모듈(510)로 수신된 검침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520)와, 광대역 통신모듈(510) 및 데이터베이스(520) 전반을 관리하는 제어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대역 통신모듈(510)은 수집기(300)의 광대역 통신모듈(340)로부터 검침 데이터 및 어드레스 정보를 수신하고, 관리서버(500)로부터의 각종 데이터를 수집기(300)의 광대역 통신모듈(340)로 송신한다. 이 때 광대역 통신모듈(510)은 CDMA 통신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수집기(300)의 광대역통신모듈(340)과 동일하다.
데이터베이스(520)는 광대역 통신모듈(510)을 통해 수집기(300)로부터 전송된 검침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플래시메모리나, 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530)는 제어 프로그램이 입력된 중앙처리장치(CPU)등을 활용하여 광대역 통신모듈(510)이나 데이터베이스(520)를 제어한다.
이하로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복수의 검침단말기(100) 중 어느 하나는, 그로부터 가장 가까운 중계기(200b)에 검침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검침 데이터에는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전술한 것과 같이, 어드레스 정보에는 해당 검침단말기(100)가 수집기(300)로 몇 단계의 중계기(200)를 거쳐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나타내는 단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S1)
중계기(200b)는 수집부(300)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다른 중계기(200a)에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한다. (S2) 이같이 중계기(200a, 200b) 사이의 검침 데이터 전송 단계는 점차 더 가까이 위치하는 중계기로 상기 검침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복수 회 반복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집기(300)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중계기(도 1의 200e 참조)와 상기 수집기(300) 사이의 거리를 n (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제 1 내지 제 n 구간으로 순차적으로 정의하고, 상기 중계기(200) 중 제 k(k는 n 보다 작은 자연수) 구간에 위치한 중계기는, 제 k+1 구간에 위치하는 중계기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고, 제 k-1 구간에 위치한 중계기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수집기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중계기가 상기 수집기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특징을 갖는다.
수집기(300)는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아 어드레스 정보를 분석하고, 검침 데이터가 출력된 검침단말기(100)의 위치를 파악한다.(S3) 이 때 수집기(300)는 어드레스 정부 중 전술한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검침단말기(100)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검침 데이터가 몇 단계의 중계기(200)를 거쳤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집기(300)는 상기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은 검침단말기(100)와의 통신 시간을 설정한다.(S4) 이 때 검침단말기(100)와 수집기(300)는 일대일 통신하고, 검침 단말기(100)로부터의 검침 데이터가 경유한 중계기 수에 비례하도록 통신 시간이 설정된다. 이 때 수집기(300)는 단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검침 데이터가 몇 개의 중계기를 경유하여 수집기(300)로 전송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집기(300)는 상기 단계 정보를 입력받아 검침 단말기로부터 검침 데이터가 수신되는 데 소요되는 최대 시간을 계산하여 검침 단말기(100)와의 통신 시간을 설정한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은 검침 단말기(100)와 수집기(300) 사이 거리에 비례하여 검침 단말기(100)와의 통신 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전체적인 검침 단말기(100)와 수집기(300) 간 통신 시간을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검침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시스템 운용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검침단말기 200:중계기
300: 수집기 500: 관리서버
110: 검침부 130, 230, 330, 530: 제어부
120, 220, 320: 메모리 140: 210, 310: 무선통신부
340. 340, 510: 광대역 통신 모듈

Claims (10)

  1.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 검침 데이터를 발송하는 복수의 검침단말기;
    상기 복수의 검침단말기에서 발송하는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중계기;
    상기 복수의 중계기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계기 각각은,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근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중계기 또는 상기 수집기로 전송하고,
    상기 수집기는, 상기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통해 상기 복수의 검침단말기 각각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검침단말기와 상기 수집기 사이의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각 검침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중계기와 상기 수집기 사이의 거리를 n (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제 1 내지 제 n 구간으로 순차적으로 정의하고,
    상기 중계기 중 제 k(k는 n 보다 작은 자연수) 구간에 위치한 중계기는, 제 k+1 구간에 위치하는 중계기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고, 제 k-1 구간에 위치한 중계기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중계기는 상기 수집기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는, 상기 각 검침 단말기와 일대일 통신하고,
    상기 각 검침 단말기로부터의 검침 데이터가 거친 중계기 수에 비례하도록 상기 각 검침 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할당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상기 검침 단말기로부터의 검침 데이터가 몇 단계의 중계기를 거쳐 상기 수집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구분하기 위한 단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는, 상기 단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검침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가 수신되는 데 소요되는 최대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검침 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설정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
  6. 어드레스 정보가 포함된 검침 데이터를 발송하는 복수의 검침단말기와, 상기 복수의 검침단말기에서 발송하는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복수의 중계기 및 상기 복수의 중계기와 무선통신하여 상기 중계기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집기를 포함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근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수집기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어드레스 정보를 통해 상기 검침 데이터가 출력된 검침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검침 데이터가 출력된 검침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동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원거리에 위치하는 중계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수집기로부터 더 근거리에 위치하는 다른 중계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기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중계기와 상기 수집기 사이의 거리를 n (n은 2 이상의 자연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하여, 제 1 내지 제 n 구간으로 순차적으로 정의하고,
    상기 중계기 중 제 k(k는 n 보다 작은 자연수) 구간에 위치한 중계기는, 제 k+1 구간에 위치하는 중계기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를 입력받고, 제 k-1 구간에 위치한 중계기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수집기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구간에 위치하는 중계기가 상기 수집기로 상기 검침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동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는, 상기 각 검침 단말기와 일대일 통신하고,
    상기 검침 데이터가 출력된 검침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각 검침 단말기로부터의 검침 데이터가 거친 중계기 수에 비례하도록 상기 각 검침 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할당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동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정보는, 상기 검침 단말기로부터의 검침 데이터가 몇 단계의 중계기를 거쳐 상기 수집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지를 구분하기 위한 단계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동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침 데이터가 출력된 검침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집기가 상기 단계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검침 단말기로부터 상기 검침 데이터가 수신되는 데 소요되는 최대 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검침 단말기와의 통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원격검침 시스템의 구동 방법.
KR1020170032578A 2017-03-15 2017-03-15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964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578A KR101964742B1 (ko) 2017-03-15 2017-03-15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578A KR101964742B1 (ko) 2017-03-15 2017-03-15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470A true KR20180105470A (ko) 2018-09-28
KR101964742B1 KR101964742B1 (ko) 2019-04-03

Family

ID=63721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578A KR101964742B1 (ko) 2017-03-15 2017-03-15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7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3546A (zh) * 2020-08-10 2020-12-08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面向营配贯通业务提升的智能融合终端及通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674A (ko) * 2007-07-27 2009-02-02 (주)누리텔레콤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72539B1 (ko) * 2012-01-16 2013-06-10 (주)누리텔레콤 검침 스케줄을 이용하는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099072A (ko) * 2010-10-04 2013-09-05 소니 주식회사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1592895B1 (ko) * 2015-09-25 2016-02-18 주식회사 유비콤 원격검침 시스템 장치
KR20160022714A (ko) * 2014-08-20 2016-03-0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1674A (ko) * 2007-07-27 2009-02-02 (주)누리텔레콤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99072A (ko) * 2010-10-04 2013-09-05 소니 주식회사 통신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통신 시스템
KR101272539B1 (ko) * 2012-01-16 2013-06-10 (주)누리텔레콤 검침 스케줄을 이용하는 검침 데이터 관리 장치, 검침 데이터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60022714A (ko) * 2014-08-20 2016-03-0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미터들의 시간정보와 통신성능을 고려한 검침 스케줄링 방법
KR101592895B1 (ko) * 2015-09-25 2016-02-18 주식회사 유비콤 원격검침 시스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53546A (zh) * 2020-08-10 2020-12-08 北京智芯微电子科技有限公司 面向营配贯通业务提升的智能融合终端及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742B1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537B1 (ko)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전력 측정 시스템
KR101045740B1 (ko) 스마트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식물 관리 시스템
KR101768679B1 (ko)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한 무선원격 검침시스템
KR101592895B1 (ko) 원격검침 시스템 장치
CN103268086A (zh) 一种集成了智能家居系统的机器人
CA2596207C (en) Amr transmitter with programmable operating mode parameters
KR101964742B1 (ko) 무선 원격 검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JP2020522908A (ja) バッテリーで運用されるスマート計測カウンタ
KR20170099698A (ko) 원격 검침 시스템
US20150145689A1 (en)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site survey system
KR101125378B1 (ko) 스마트 배전시스템과 지능형 검침 인프라 시스템을 연계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연계방법
KR20150073669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전력 사용량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030024A (ko) 절전형 스마트계량기
JP2012028966A (ja) 無線検針システム
KR101992979B1 (ko) 전력선 통신을 활용한 스마트 홈 시스템
KR20210004409A (ko) 자율형 통합 원격검침 및 요금고지 시스템
KR101030163B1 (ko) 중계기가 필요없는 다중 수도검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95696B1 (ko) Li-Fi/RF(WiFi/ZigBee/Bluetooth) Hybrid 기술
SE1551127A1 (en) A wireless sensor network
KR20120022501A (ko) 원격 검침 시스템
KR20190070687A (ko) LoRaWAN 기반 스마트 미터 원격 검침 시스템
JP2014112989A (ja) 電力計量情報中継装置、中継装置の設置場所決定方法及び電力計量情報通信方法
US20210400446A1 (en) Sensor-integrated communication module, control system comprising same, and control method
JP7005390B2 (ja) 設定端末、無線テレメータシステム、及び設定方法
RU2620041C1 (ru) Анали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оценки потребления воды абонент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