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838A -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 - Google Patents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838A
KR20180104838A KR1020170031622A KR20170031622A KR20180104838A KR 20180104838 A KR20180104838 A KR 20180104838A KR 1020170031622 A KR1020170031622 A KR 1020170031622A KR 20170031622 A KR20170031622 A KR 20170031622A KR 20180104838 A KR20180104838 A KR 20180104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precursor
shell structure
lithium
precurso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배
백창근
서현승
김경호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알비동일
Priority to KR1020170031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4838A/ko
Publication of KR2018010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Ti2O4 or LiTi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Abstract

본 발명은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니켈 및 망간을 함유하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구조를 Ni rich 의 코어와 이로부터 Ni 과 Mn 의 농도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쉘부를 포함하도록 개선함으로써, 안정성 및 용량특성이 개선되고 사이클 수명이 우수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PRECURSOR FOR CATHODE ACTIVE MATERIALS OF CORE-SHELL STRUCTURE,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CATHODE ACTIVE MATERIA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니켈 및 망간을 함유하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구조를 Ni rich 의 코어와 Mn rich 쉘부를 포함하도록 개선함으로써,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양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안전성, 용량특성, 및 사이클 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제품, 전자 기기, 통신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및 고성능화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이들 제품의 전원으로 사용될 이차 전지의 성능 개선이 크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이차 전지로 리튬 이차 전지가 있다.
양극 활물질은 리튬 이차 전지의 전지 성능 및 안전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LiCoO2, LiNiO2, LiNi1-xCoxO2(0<x<1), LiMnO2, LiMn2O4, LiFePO4 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양극 활물질을 카본 블랙과 같은 도전재, 바인더 및 용매를 혼합하여 양극 활물질 슬러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알루미늄 호일 등의 얇은 금속판에 코팅하여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양극으로 사용한다.
상기 양극 활물질 중 LiMn2O4, LiMnO2 등의 Mn계 양극 활물질은 합성하기도 쉽고, 값이 비교적 싸며, 환경에 대한 오염도 적어 매력이 있는 물질이기는 하나, 용량이 작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LiCoO2 등의 Co계 양극 활물질은 안정된 충방전 특성, 우수한 전기 전도성, 높은 전지 전압 및 양호한 안정성 특성을 보이나, 코발트는 매장량이 적고 고가인 데다가 인체에 대한 독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양극 재료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LiCoO2에 대신할 유망 재료로서, 니켈 및 망간을 함유한 리튬 복합 산화물(이하, 니켈 망간계 산화물)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LixNi0.5Mn0.5O2는, LiCo1 / 3Ni1 / 3Mn1 / 3O2와 동등 이상의 고용량을 가지며, 안전성도 비약적으로 개량할 수 있다고 기대되고 있다. 게다가 LixNi0 . 5Mn0 . 5O2는, 고가의 Co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저렴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합성의 곤란성으로 인한 불량 때문에, 연구자 사이에서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전기 화학 특성을 가진 니켈 망간계 산화물이 합성되고 있으나, LixNi0 . 5Mn0 . 5O2의 정확한 구조도 아직도 결정되어 있지 않다. LiCo1 / 3Ni1 / 3Mn1 / 3O2 보다 뛰어난 LixNi0 . 5Mn0 . 5O2는 여전히 얻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98470000호에는 금속 조성의 농도 구배를 갖는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이 제안되어 있다. 이 방법은 일단 일정 조성의 내부 물질을 합성한 후 외부에 다른 조성을 갖는 물질을 입혀 이중층으로 제조한 후 리튬염과 혼합하여 열처리 하는 방법이다.
상기 내부 물질로는 시판되는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생성된 내부 물질과 외부 물질 조성 사이에서 양극활물질의 금속 조성이 불연속적으로 변화하며, 연속적으로 점진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또한, 이 발명으로 합성된 분말은 킬레이팅제인 암모니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탭 밀도가 낮아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220120000호에는 내부 벌크부와 외부 벌크부를 두고 외부 벌크부에서 금속 성분들이 위치에 따라 연속적인 농도 분포를 가지는 양극활물질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양극활물질에서는 내부 벌크부에서는 농도가 일정하고 외부 벌크부에서만 금속 조성이 변화하기 때문에 안정성 및 용량 면에서 좀 더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양극활물질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었다.
또한, 이종 분말이 서로 다른 체적입자분포를 갖는 제 1 리튬 니켈 복합산화물과 제2 리튬 니켈 복합산화물을 포함하여 종래의 양극 활물질에 비해 충진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의 경우, 레이트 특성이 낮고, 리튬 니켈 복합산화물을 사용한 경우 열화 문제 해결에 어려움이 있으며, 리튬 니켈 복합산화물 표면에 형성된 금속 산화물 또는 복합 금속 산화물층을 처리하는 제법인 경우, 공정상 어려움이 있다.
정극활성물질로서 리튬 니켈 복합 산화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충방전은 정극 활성 물질과 전해액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이동하여 리튬 이온이 가역적으로 정극활성물질 중에 출입함으로써 진행된다.
이 때문에, 충방전시에 있어서의 리튬 이온의 이동의 용이성, 즉 이동도는, 이차 전지의 충방전 특성, 특히 출력 특성이나 레이트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양극활물질 내에서의 리튬 이온의 침입 경로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종래 특허의 전구체 제조방법은 니켈과 망간을 포함하는 리튬 복합 산화물을 구성하는 니켈과 망간의 중심으로부터 표면까지 입자 전체에서 농도 구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전구체의 내부에서 외부까지 금속조성을 조절하기 어렵고, 내부의 Ni-rich 조성부터 외부의 Mn-rich 조성까지의 연속적인 금속 조성은 양극활물질 내에서 리튬 이온의 확산이 어려워 출력특성이나 레이트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특허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98210호
(비특허 문헌1) Cobalt-Free Nickel Rich Layered Oxide Cathodes for Lithium-Ion Batteries ACS Appl. Mater. Interfaces 2013, 5, 11434-1144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니켈 및 망간을 함유한 코어쉘 구조의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니켈 및 망간을 함유한 코어쉘 구조의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니켈 및 망간을 함유한 코어쉘 구조의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어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쉘부; 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NiaMnb(OH)2
[화학식 2] Nia'Mnb'(OH)2
(상기 화학식 1에서 0.5≤a≤1, 0≤b≤0.5 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0≤a'≤0.5, 0.5≤b'≤1 이다.)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입도균일도(D90-D10/D50)를 나타내는 정수 p 및 상기 코어쉘부의 입도균일도(D90-D10/D50)를 나타내는 정수 p'는 0.5≤p≤2.0, 0.5≤p'≤2.0 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입도균일도(D90-D10/D50)를 나타내는 정수 p 및 상기 코어쉘부의 입도 균일도(D90-D10/D50)를 나타내는 정수 p'의 입도균일도 비율 p/p' 는 0.25≤p/p'≤4 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결정 구조는 X선 회절상이, (001)면에 귀속되는 피크 P001와, (100)면에 귀속되는 피크 P100, 및 (011)면에 귀속되는 피크 P011를 가지며, X선 회절 강도비는 2.2≤P001/P100≤3.1, 0.9≤P001/P011≤1.8, 1.4≤P011/P001≤2.3 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 수산화물의 평균 입자지름은 0.01 내지 200 ㎛ 이며, 상기 코어부의 직경을 Dc, 상기 전구체의 직경을 D 라고 할 때 0.5 um≤│D-Dc│≤1 u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 수산화물의 입도 분포는 bimodal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니켈 원료 물질 및 망간 원료 물질을 포함하는 코어 형성을 위한 제 1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구체 용액을 공침 반응 시켜서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니켈 원료 물질 및 망간 원료 물질을 포함하는 쉘 형성을 위한 제 2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코어에 제 2 전구체 용액을 공침 반응시켜서 코어 표면에 형성되는 쉘부를 갖는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수세 및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구체 용액은 니켈을 0.5 내지 1 M, 망간을 0 내지 0.5 M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구체 용액은 니켈을 0 내지 0.5 M, 망간을 0.5 내지 1 M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구체 용액 및 제 2 전구체 용액은 각각 55 내지 65 ℃에서 700 내지 1000 rpm 의 속도로 교반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침 반응은 pH 가 11 내지 14 에서 6 내지 15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를 리튬 화합물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제 1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제 2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처리 단계는 공기 분위기 하에서 1시간당 1 내지 5 ℃의 승온 속도로 500 내지 800 ℃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처리 단계는 공기 분위기 하에서 1시간당 1 내지 5 ℃의 승온 속도로 800 내지 1000 ℃에서 4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코어부;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쉘부; 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3] LixNiaMnbM1 -a- bO2 +y
[화학식 4] Lix'Nia'Mnb'M1 -a'- b'O2 +y'
(상기 M은 각각 독립적으로 Co, Al, Mg, Cr, Fe, Ti, Zr, Mo 및 이들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이다.)
(상기 화학식 3에서 0<x≤1.7, 0.5≤a≤1, 0≤b≤0.5, 0≤y<2 이고, 상기 화학식 4에서 0<x'≤1.7, 0≤a'≤0.5, 0.5≤b'≤1, 0≤y<2 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를 양극으로 구비하여 전기화학 특성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니켈 및 망간을 함유하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구조를 Ni rich 코어 및 Mn rich 쉘의 코어쉘 구조로 개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양극활물질을 구비하는 이차전지는 안정성 및 용량특성이 개선되고 사이클 수명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전구체 산화물의 SEM 분석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전구체 산화물의 XRD 분석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조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전구체 수산화물의 입도분포 분석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코어부 Ni 0 . 75 Mn 0 .25 (OH) 2 , 쉘부 Ni 0 . 5 Mn 0 .5 (OH) 2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 제조
Li 함유 화합물로서 Li2CO3, Ni함유 화합물로서 NiSO4-xH2O, Mn함유 화합물로서 MnSO4-H2O을 이용하였고, 코어쉘 구조는 Ni, Mn 황화물을 공침법을 통하여 수화물 형태로 제조하였다.
먼저, 코어부 제조를 위해 Ni, Mn 황화물을 각각 0.75 M, 0.25 M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2.3 M의 리튬 니켈 복합산화물 제 1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 전구체 용액에 2.3 M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암모니아수를 적정량으로 혼합하여 55 내지 65 의 항온조에서 700 내지 1000 rpm의 속도로 교반한 뒤, 공침 반응을 실시하였다.
상기 공침 반응시 pH는 11 내지 14 범위에서 유지하였고, 용액의 반응조 내 평균 체류 시간은 6 내지 15시간으로 하였다.
쉘부 제조를 위해 Ni, Mn 황화물을 각각 0.5 M, 0.5 M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2.3 M의 리튬 니켈 복합산화물 제 2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 전구체 용액으로 공침 반응시켜 코어부를 형성하고, 이어서 제 2 전구체 용액으로, 또 한번의 공침 반응을 실시하여 쉘부를 형성하였다. 상기 제 2 전구체 용액에도 동일하게 2.3 M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암모니아수를 적정량으로 혼합하여 55 내지 65 의 항온조에 700 내지 1000 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공침 반응시, 마찬가지로, pH는 11 내지 14 범위에서 유지하였고, 용액의 반응조 내 평균 체류 시간은 6 내지 15시간으로 하였다.
상기 반응시킨 공침물을 수세 및 건조하여, Ni0 . 75Mn0 .25(OH)2의 Ni rich 코어부 및 Ni0 . 5Mn0 .5(OH)2의 Mn rich 쉘부를 형성하여 전체 조성이 0.8Ni0 . 75Mn0 .25(OH)2 0.2Ni0.5Mn0.5(OH)2 인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코어부 Ni 0 . 9 Mn 0 .1 (OH) 2 , 쉘부 Ni 0 . 25 Mn 0 .75 ( OH) 2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코어부의 제 1 전구체 용액 제조에 있어서 Ni, Mn 황화물을 각각 0.9 M, 0.1 M로 조절하고, 쉘부의 제 2 전구체 용액 제조에 있어서 Ni, Mn 황화물을 각각 0.25 M, 0.75 M로 조절하여 증류수에 용해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Ni0 . 9Mn0 .1(OH)2의 Ni rich 코어부 및 Ni0 . 25Mn0 .75(OH)2의 Mn rich 쉘부를 형성하여 전체 조성이 0.8Ni0 . 9Mn0 .1(OH)2 0.2Ni0 . 25Mn0 .75(OH)2 인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1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 : Ni 0 . 75 Mn 0 . 25 (OH) 2 제조
Li-함유 화합물로서 Li2CO3, Ni-함유 화합물로서 NiSO4-xH2O, Mn-함유 화합물로서 MnSO4-H2O을 이용하였고, Ni, Mn 황화물을 각각 0.75 M, 0.25 M을 증류수에 용해하여 공침법을 통하여 코어쉘 구조가 아닌 수화물 형태로 2.3 M의 리튬 니켈 복합산화물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전구체 용액에 2.3 M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암모니아수를 적정량으로 혼합하여 55 내지 65 의 항온조에서 700 내지 1000 rpm의 속도로 교반한 뒤, 공침 반응을 실시하였다. 상기 공침 반응시 pH는 11 내지 14 범위에서 유지하였고, 용액의 반응조 내 평균 체류 시간은 6 내지 15시간으로 하였다.
< 비교예 2>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 :Ni 0 . 9 Mn 0 . 1 (OH) 2 제조
상기 비교예 1의 전구체 용액 제조에 있어서, Ni, Mn 황화물을 각각 0.9 M, 0.1 M로 조절하여 증류수에 용해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3>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 : Ni 0 . 25 Mn 0 . 75 (OH) 2 제조
상기 비교예 1의 전구체 용액 제조에 있어서, Ni, Mn 황화물을 각각 0.25 M, 0.75 M로 조절하여 증류수에 용해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비교예 4>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 : Ni 0 . 5 Mn 0 . 5 (OH) 2 제조
상기 비교예 1의 전구체 용액 제조에 있어서, Ni, Mn 황화물을 각각 0.5 M, 0.5 M로 조절하여 증류수에 용해하는 것을 제외하고,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제조예 > 양극활물질용 리튬 복합산화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와 리튬화합물로서 Li2CO3 를 1.0~1.7 : 1의 몰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을 소성하여 리튬 복합산화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물의 소성은 공기분위기에서 1 내지 5 /min의 승온속도로 500 내지 800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1차 열처리를 하였고, 1 내지 5/min의 승온속도로 800 내지 1000 에서 4 내지 10시간 동안 2차 열처리를 실시하여 리튬 복합산화물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SEM 분석
상기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를 SEM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조된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 입자는 구형의 형태로 코어부 주변에 작은 입자가 모여 쉘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실험예 > XRD 분석
상기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의 XRD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XRD 분석결과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리튬복합산화물은 10°와 20° 사이, 20°와 30° 사이, 30°와 40° 사이, 40°와 50° 사이, 50°와 60° 사이, 그리고 60°와 70° 사이에서 피크를 나타낸다.
상기 10°와 20° 사이, 40°와 50° 사이 및 60°와 70° 사이에서 나타나는 피크는 암염 층상구조(공간군 Fm-3m)를 갖는 전구체 수산화물의 피크이고, 상기 20°와 30° 사이, 30°와 40° 사이 및 50°와 60° 사이에서 나타나는 피크는 층상구조(공간군 R3)를 갖는 전구체 수산화물의 피크로써,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 0.8Ni0 . 9Mn0 .1(OH)2 0.2Ni0 . 25Mn0 .75(OH)2 은 Fm-3m 및 R3형의 혼합 구조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입도 분포 분석
상기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의 입도 분포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는 0.01 내지 100 ㎛ 의 입도 분포 범위를 나타내며, 입도의 크기가 bimodal 분포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입도 분포 분석을 통해, bimodal의 입도 분포가 양극활물질의 탭밀도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용량 및 율특성의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열적 안정성을 만족시키는 입도 분포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 제조예 >전지 제작
상기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리튬 복합 산화물 최종 분말을 양극활물질로서 사용하여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과 코인형 반쪽 전지(coin half cell)를 제작하였다.
상기 리튬 복합 산화물과 탄소 도전제 및 바인더를 혼합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된 슬러리를 알루미늄박 위에 코팅하여 얇은 극판 형태로 만들었고, 110 내지 135 ℃에서 2시간 이상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리튬 메탈을 상대극으로 사용하고, 1.2 M의 LiPF6을 EC/EMC (3/7 by volume%)에 용해시켜 전해질로 사용하였으며, W-scope C500 필름을 분리막으로 이용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 실험예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상기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을 양극활물질(Li/Me 1.2M)로서 사용하여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하고, 상온 25 ℃에서 방전 특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은 2.0 내지 4.4 V 및 2.0 내지 4.8 V의 두 구간에서 방전 용량의 측정을 진행하였고, 각 구간의 방전 용량 및 충/방전 효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0.2C/2.0C (2.0~4.4V) 0.2C/2.0C (2.0~4.8V)
방전용량(mAh/g) 효율(%) 방전용량(mAh/g) 효율(%)
비교예1 165.42 99.86 159.18 97.20
비교예2 170.18 99.16 179.54 99.49
비교예3 26.93 98.64 151.45 98.60
비교예4 127.2 99.04 121.53 95.88
실시예1 126.90 99.34 142.37 99.45
실시예2 130.90 98.21 149.36 99.22
표 1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를 적용한 전지의 방전 용량은 다소 열위하지만, 두 구간의 전압 범위에서 98 내지 99 % 이상의 효율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기 표 2는 2.0 내지 4.4 V 및 2.0 내지 4.8 V의 두 구간에서 방전 용량의 측정을 진행하였고, 각 구간의 사이클(50 cycle) 수명에 따른 방전용량 및 수명유지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이다.
  1.0C/1.0C 50cy (2.0~4.4V) 1.0C/1.0C 50cy (2.0~4.8V)
50cy 방전용량(mAh/g) 수명유지율(%) 50cy 방전용량(mAh/g) 수명유지율(%)
비교예1 121.3 88.88 112.4 87.09
비교예2 155.1 86.23 146.6 75.39
비교예3 28.6 93.20 159.7 86.37
비교예4 89.1 91.81 140.1 86.1
실시예1 144.3 89.27 152.8 81.42
실시예2 154.7 92.41 170.3 93.27
표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를 적용한 전지는 두 구간의 전압범위 모두에서 50 cycle 에 따른 방전용량은 140 mAh/g 이상의 특성을 보이며, 수명유지율은 80 % 이상을 유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산화물를 적용한 전지의 경우, 2.0 내지 4.8 V 의 구간에서 170.3 mA/g 의 방전용량 및 93.27 % 에 이르는 수명유지율로써, 용량 및 수명유지율이 크게 향상된 전지의 특성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산화물 전구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활물질을 포함하는 전지는 우수한 용량과 수명유지율의 특성을 내제할 뿐 아니라, 두 구간의 전압범위에서도 상기 특성을 유지하는 범용성이 우수한 전지의 제조가 가능하다.

Claims (1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코어부;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쉘부; 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
    [화학식 1] NiaMnb(OH)2
    [화학식 2] Nia'Mnb'(OH)2
    (상기 화학식 1에서 0.5≤a≤1, 0≤b≤0.5 이고, 상기 화학식 2에서 0≤a'≤0.5, 0.5≤b'≤1 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입도균일도(D90-D10/D50)를 나타내는 정수 p 및 상기 코어쉘부의 입도균일도(D90-D10/D50)를 나타내는 정수 p'는 하기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
    0.5≤p≤2.0
    0.5≤p'≤2.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의 입도균일도(D90-D10/D50)를 나타내는 정수 p 및 상기 코어쉘부의 입도균일도(D90-D10/D50)를 나타내는 정수 p'의 입도균일도 비율 p/p'는 하기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
    0.25≤p/p'≤4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 수산화물의 결정 구조는 X선 회절상이, (001)면에 귀속되는 피크 P001와, (100)면에 귀속되는 피크 P100, 및 (011)면에 귀속되는 피크 P011를 가지며, X선 회절 강도비는 하기의 범위를 만족하는 것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
    2.2≤P001/P100≤3.1
    0.9≤P001/P011≤1.8
    1.4≤P011/P001≤2.3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 수산화물의 평균 입자지름은 0.01 내지 200 ㎛ 이며, 상기 코어부의 직경을 Dc, 상기 전구체의 직경을 D 라고 할 때
    상기 전구체 수산화물의 평균 입자지름 D 는 0.01 um≤│D-Dc│≤200 ㎛ 이고, 0.5 um≤│D-Dc│≤1 um 인 것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 수산화물의 입도 분포는 bimodal 인 것인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
  7. 니켈 원료 물질 및 망간 원료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구체 용액을 공침 반응시켜서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니켈 원료 물질 및 망간 원료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코어에 제 2 전구체 용액을 공침 반응시켜서 코어 주변에 쉘부를 갖는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 및
    수세 및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 1 항에 의한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구체 용액은 니켈을 0.5 내지 1 M, 망간을 0 내지 0.5 M로 함유하는 것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구체 용액은 니켈을 0 내지 0.5 M, 망간을 0.5 내지 1 M로 함유하는 것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구체 용액 및 제 2 전구체 용액은 55 내지 65 ℃ 항온에서 700 내지 1000 rpm 의 속도로 교반하여 준비되는 것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침 반응은 pH 조건이 11 내지 14 에서 6 내지 15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
  12. 제 7 항에 의한 상기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를 리튬 화합물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제 1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제 2 열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처리 단계는 공기 분위기 하에서 1시간당 1 내지 5 ℃의 승온 속도로 500 내지 800 ℃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처리 단계는 공기 분위기 하에서 1시간당 1 내지 5 ℃의 승온 속도로 800 내지 1000 ℃에서 4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전구체의 제조 방법.
  15. 제 13항 또는 제 14항에 의하여 제조되고,
    하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코어부;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쉘부; 를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리튬 복합 산화물.
    [화학식 3] LixNiaMnbM1-a-bO2+y
    [화학식 4] Lix'Nia'Mnb'M1 -a'- b'O2 +y'
    (상기 M은 각각 독립적으로 Co, Al, Mg, Cr, Fe, Ti, Zr, Mo 및 이들의 합금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이다.)
    (상기 화학식 3에서 0<x≤1.7, 0.5≤a≤1, 0≤b≤0.5, 0≤y<2 이고, 상기 화학식 4에서 0<x'≤1.7, 0≤a'≤0.5, 0.5≤b'≤1, 0≤y<2 이다.)
  16. 제 15 항의 리튬 복합 산화물을 양극활물질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170031622A 2017-03-14 2017-03-14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 KR20180104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622A KR20180104838A (ko) 2017-03-14 2017-03-14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622A KR20180104838A (ko) 2017-03-14 2017-03-14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838A true KR20180104838A (ko) 2018-09-27

Family

ID=6371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622A KR20180104838A (ko) 2017-03-14 2017-03-14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48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3699A (zh) * 2019-01-04 2019-04-12 西北工业大学 一种受限水热体系制备MnCO3@RF空心复合微球的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03699A (zh) * 2019-01-04 2019-04-12 西北工业大学 一种受限水热体系制备MnCO3@RF空心复合微球的方法
CN109603699B (zh) * 2019-01-04 2021-07-06 西北工业大学 一种受限水热体系制备MnCO3@RF空心复合微球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Xu et al. A review of Ni-based layered oxides for rechargeable Li-ion batteries
KR100738192B1 (ko) 코아·쉘 다층구조를 갖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과이를 사용한 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8492030B2 (en)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batteries
KR101605254B1 (ko) 리튬 복합 산화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12591B1 (ko) 비수계 전해질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과 그 제조 방법 및 비수계 전해질 이차전지
KR101948343B1 (ko) 망간 니켈 복합 산화물 입자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용 정극 활물질 입자 분말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KR101470092B1 (ko)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9803929B (zh) 镍锰复合氢氧化物及其制造方法、非水系电解质二次电池用正极活性物质及其制造方法
KR101313575B1 (ko) 리튬 이차 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 및 상기 리튬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전구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양극활물질의 제조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 양극활물질
KR102177799B1 (ko)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CN106910887B (zh) 一种富锂锰基正极材料、其制备方法及包含该正极材料的锂离子电池
KR20180104837A (ko) 코어쉘 구조의 양극활물질 전구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극활물질
US20140162126A1 (en) Cathode active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the same
KR102217593B1 (ko) 표면 코팅된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용 전구체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하여 제조된 표면 코팅된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용 전구체, 및 리튬 과량 양극활물질
EP4047689A1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JP7172301B2 (ja) 遷移金属複合水酸化物、遷移金属複合水酸化物の製造方法、リチウム遷移金属複合酸化物活物質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200085693A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525000B1 (ko) 리튬이차전지의 양극 활물질용 니켈-망간 복합 수산화물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니켈-망간 복합 수산화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KR100872370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스피넬형 양극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Guan et al. Enhancing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 1.2 Ni 0.2 Mn 0.6 O 2 by surface modification with nickel–manganese composite oxide
JPWO2020027158A1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951699B1 (ko) LNO 매트릭스 내 Li-O-P 화합물이 고르게 분포된 리튬-니켈 복합 산화물
WO2018096999A1 (ja) リチウムマンガン系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405663B1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im et al. Effects of the fluorine-substitution and acid treatment on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0.3 Li2MnO3· 0.7 LiMn0. 60Ni0. 25Co0. 15O2 cathode material for Li-ion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