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676A -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 - Google Patents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676A
KR20180104676A KR1020187023822A KR20187023822A KR20180104676A KR 20180104676 A KR20180104676 A KR 20180104676A KR 1020187023822 A KR1020187023822 A KR 1020187023822A KR 20187023822 A KR20187023822 A KR 20187023822A KR 20180104676 A KR20180104676 A KR 20180104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ancing
radius
curved section
self
balancing weigh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320B1 (ko
Inventor
토마스 호눙
후베르트 슈베놀트
베네딕트 쿤
시몬 쉔커
Original Assignee
웨그만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앤드 씨오 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그만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앤드 씨오 케이지 filed Critical 웨그만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앤드 씨오 케이지
Publication of KR20180104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24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the rotating body being a vehicle wheel
    • F16F15/328Multiple weights on adhesive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32Correcting- or balancing-weights or equivalent means for balancing rotating bodies, e.g. vehicle wheels
    • F16F15/34Fasten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olf Clubs (AREA)
  • Adhesive Tapes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Standing Axle, Rod, Or Tube Structures Coupled By Welding, Adhesion, Or Depos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는 상부 표면 및 자착식 테이프를 갖는 저부 표면을 갖는다. 저부 표면은 제1 반경을 갖는 제1 만곡 섹션 및 제2 반경을 갖는 제2 만곡 섹션을 갖는다. 제1 반경은 제2 반경보다 작다. 이는, 밸런싱 웨이트가 접착식 테이프를 통해 림과 접촉하는 적어도 2 개의 유지 지점들(선들)이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접착식 테이프에 의해 밸런싱 웨이트를 거의 모든 림에 유지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
본 발명은 휠 밸런싱을 위해 차륜의 림(rim)에 부착될 수 있는 자착식(self-adhesive) 밸런싱 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의 접촉 표면은, 일반적으로, 안전한 고정(fixation)을 보장하기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접촉 표면 그리고 이에 의해 접착제 표면 영역을 제공하도록 웨이트를 보유하는 휠 림의 카운터 표면에 정확하게 들어맞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이한 유형들 휠들의 림 프로파일들 ― 예를 들어, 상이한 휠 제조사들로부터 유래함 ― 이 광범위한 범위에서 상이하므로, 다수의 상이한 밸런싱 웨이트들이 재고로 유지되어야 한다. 특히, 밸런싱 웨이트들이 고정되어야 하는 알루미늄 휠 림들의 카운터-표면은, 밸런싱 웨이트들의 정확한 적응이 어렵도록 종종 오목-볼록 형상으로 정해진다.
WO 99/00609는 접촉 표면들이 상이한 형상의 휠 림들과 함께 사용될 수 없도록 각각의 휠 림의 카운터-표면의 형상에 정확히 상보적인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들을 개시한다.
US 2007/0108834 A1은 질량 재료 입자들이 채워진 밸런싱 웨이트 본체를 개시한다.
FR 1.309.852는 만곡형 부착 섹션을 갖는 밸런싱 웨이트를 개시한다.
시장에는 다수의 상이한 림 기하학적 형상이 존재한다. 또한, 림들(rims)에는 1 mm 정도일 수 있는 상당한 기계적 허용공차들(mechanical tolerances)이 존재한다.
림에 밸런싱 웨이트들을 신뢰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해, 2 개의 기본 개념들이 존재한다.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들은, 통상적으로, 휠의 회전축 둘레로만 만곡되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평탄한 표면에 부착되도록 설계되는 평면 후면을 갖는다. 이에 따라,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들은 일 축(axis)으로만 굽힘되어야 한다. 두 번째 유형의 밸런싱 웨이트들은 스프링 클립으로 림에 유지되는 클립-온(clip-on) 밸런싱 웨이트들이다. 이러한 밸런싱 웨이트들은, 일반적으로, 림의 외부 홈(outer groove)에 유지되며, 따라서, 적어도 대략적으로 홈의 윤곽에 적응되어야 한다. 다수의 상이한 홈들로 인해, 적어도 상당한 수의 상이하게 형성된 밸런싱 웨이트들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어야 할 문제는, 수개의 상이한 림 형상들에 들어맞는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단지 적은 수의 밸런싱 웨이트들 또는 단지 하나의 유형의 밸런싱 웨이트들만이 다양한 종류의 림들에 들어맞아야 한다.
문제의 해결책들은 독립항들에서 설명되어 있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추가의 개선들에 관한 것이다.
문제의 해결책을 찾기 위해, 많은 수의 림들이 분석되었으며 밸런싱 웨이트들을 장착하는데 가능한 위치들이 확인되었다. 시장에서 대부분의 림들에 들어맞는 밸런싱 웨이트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제공한다.
밸런싱 웨이트는 기본적으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상부 표면을 갖지만,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표면을 갖는다. 이 밸런싱 웨이트에 대략 반대에 있는 것은, 바람직하게 자착식 테이프에 의해 림에 유지되도록 설계된 저부 표면이다. 자착식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저부 표면 또는 그 일부에 부착된다. 대체 실시예에서, 밸런싱 웨이트는 클립에 의해 림에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밸런싱 웨이트가 로봇 또는 사람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또는 두 개의 연장부들을 밸런싱 웨이트가 갖는다면, 밸런싱 웨이트가 림에 부착될 때, 바람직하다.
또한, 부착 표면으로서 역할을 하는 저부 표면은 반경이 다른 적어도 2 개의 만곡 섹션들(curved sections)을 갖는다. 제1 반경을 갖는 제1 만곡 섹션 및 제2 반경을 갖는 제2 만곡 섹션이 존재한다. 만곡 섹션들과 밸런싱 웨이트의 상부 표면 또는 밸런싱 웨이트의 연장부들 사이에는,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큰 곡선 반경을 가지며, 제2 만곡 섹션보다 현저하게 크거나 직선인 대략 직선형 또는 복수의 직선형 섹션들이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만곡 섹션은 제2 만곡 섹션 옆에 있고,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는, 제1 만곡 섹션과 제2 만곡 섹션 사이에 직선 섹션이 있을 수 있다. 제1 만곡 섹션에서 제2 만곡 섹션의 반대편에는 제3 만곡 섹션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만곡 섹션은 제2 만곡 섹션보다 작은 반경을 갖는다. 제1 및/또는 제2 만곡 섹션들은 림에 대한 고정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노치들(notches) 또는 오목부들(recesses)을 가질 수 있다. 제3 만곡 섹션의 반경은 제1 만곡 섹션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지만, 보다 큰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3 만곡 섹션의 반경은 제2 만곡 섹션의 반경과 동일한 한편, 양자 모두는 제1 만곡 섹션의 반경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오목부가 제1 만곡 섹션 내에 제공된다. 오목부는 평탄한 블라인드 홀(blind hole)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목부는 원형, 직사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모양일 수 있다. 오목부의 횡단면은 제1 만곡 섹션의 표면 영역의 50 % 내지 10 %일 수 있다. 깊이는 1 mm와 밸런싱 웨이트의 두께의 절반 사이가 될 수 있다. 오목부는 제1 만곡 섹션의 더 작은 표면 영역을 초래한다. 더 작은 표면 영역으로 인해, 제1 만곡 섹션에 위치된 접착식 테이프를 압축하기 위한 전체 힘은 제2 및 제3 섹션에 비해 낮다. 이는, 림과 제1 섹션 사이의 거리가 림과 제2 및 제3 섹션 사이의 거리 미만이도록, 림들에 밸런싱 웨이트를 적응시키는 것(림들의 형상이 이와 같은 경우)을 도우며, 제1 만곡 섹션에서 보다 높은 압축을 요구한다.
이는 제2 섹션의 길이가 제1 섹션의 길이보다 큰 경우에 더 바람직하다. 이는, 또한, 제3 섹션의 길이가 제1 섹션의 길이보다 작은 경우에 더욱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제2 및 제3 만곡 섹션들은 볼록한 형상이다.
이는 자착식 테이프가 제1 만곡 섹션 및 제2 만곡 섹션에 있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 자착식 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제1 만곡 섹션 및 제2 만곡 섹션을 접선 방향으로 덮는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자착식 테이프는 제1 만곡 섹션 및 제2 만곡 섹션을 접선 방향으로 완전히 덮는다.
저부 표면을 상부 측에 대해 제한하는 1 개 또는 2 개의 추가의 만곡 섹션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들은 제1 만곡 섹션과 제2 만곡 섹션과 상이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만곡 섹션들은 적어도 림과의 접촉 선(contact line)을 형성한다. 이 접촉 지점들에서는 밸런싱 웨이트의 길이에 걸쳐 접촉이 존재한다. 림의 곡률이 밸런싱 웨이트의 저부 표면의 곡선과 매우 유사하다면, 심지어 큰 접촉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작은 편차들(deviations)만이 존재하거나 림과 밸런싱 웨이트 사이의 거리의 작은 변경들이 존재한다면, 이들은 접착식 테이프로 보정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림들을 위한 밸런싱 웨이트들을 갖는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선 또는 심지어 직선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와의 접촉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서, 접촉 점들 및 접촉 선들이라는 용어가 사용된다. 밸런싱 웨이트들의 단면도에서, 밸런싱 웨이트와 림 사이의 접촉 영역은 점처럼 보일 수 있다. 실제로, 밸런싱 웨이트의 길이 방향으로 접촉 선을 형성하는 접촉 점이 돌출되어 있다. 이 문서에서, 용어 접촉 점과 접촉 선 양자 모두는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등물로서 사용된다.
양자 모두의 만곡 섹션들은, 림에 대해 충분한 접촉 및 충분한 접착력을 초래하는 매우 다양한 밸런싱 웨이트들의 림과의 적어도 2 개의 접촉 점들을 초래할 것이다. 만곡 섹션들의 곡선들로 인해, 림의 형태의 임의의 편차들이 있을 경우 림에 대한 거리가 약간 감소한다. 이러한 약간 감소하는 거리는 밸런싱 웨이트와 림 사이에서 자착식 테이프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착력이 적용되는 비교적 큰 섹션을 초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만곡 섹션의 반경은 제2 만곡 섹션의 반경의 대략 절반(half)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반경은 약 4 mm인 한편, 제2 반경은 약 8 mm이다. 이들 값들은 ± 5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 30 % 이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 10 % 이내로 수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만곡 섹션의 반경은 제2 만곡 섹션의 반경의 약 1/5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반경은 약 1.8 mm인 한편, 제2 반경은 약 9 mm이다. 이들 값들은 ± 50 %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 30 % 이내,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 10 % 이내로 변형될 수 있다. 이는 곡선 섹션들 각각과 상부 표면 사이에 2 개의 직선 섹션들이 존재하는 경우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직선 섹션들 사이의 각도는 90°이다. 이 각도는 ± 30도 미만, 바람직하게는 ± 20도 미만,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 10도 미만으로 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반경은 8 mm인 제2 반경보다 작은 1 mm이며, ± 50 % 및 30 %의 바람직한 허용공차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반경의 중심 축은 밸런싱 웨이트 본체를 통과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2 반경의 중심 축은 밸런싱 웨이트 본체의 외부측에 있다.
밸런싱 웨이트들은 당 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아연 또는 강을 포함한다. 이는, 밸런싱 웨이트들이 자성 피킹 헤드(magnetic picking head)에 의한 핸들링을 허용할 수 있는 강자성 재료(ferromagnetic material)(예를 들어, 철 또는 강과 같음)의 적어도 하나의 인레이(inlay)를 갖는 경우에 더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착식 테이프의 적어도 일측 및 바람직하게는 양자 모두의 (대향하는) 측면들에 갭들(gaps) 또는 절취부들(cutouts)이 존재하며, 이는 림의 반경에 더 쉽게 적응하도록 더 용이한 구부러짐을 허용한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밸런싱 웨이트들 사이에 존재한다.
추가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밸런싱 웨이트들을 포함하는 밸런싱 웨이트의 체인 또는 벨트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자착식 테이프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있다.
본원에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은 임의의 순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로 한 실시예의 예들 상에서,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제한 없이,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바람직하게는, 강 림들을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는, 평면도로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절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확대 절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확대 절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단면도로 약간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단면도로 추가로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제2 단면도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사시도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오목부를 갖는 일 실시예의 제1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2 단면도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사시도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림에 장착되는 제1 실시예의 밸런싱 웨이트를 도시한다.
도 14는, 림의 밸런싱 웨이트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15는, 저부측으로부터 밸런싱 웨이트들의 체인을 도시한다.
도 16은, 갭들 또는 절취부들을 갖는 자착식 테이프를 도시한다.
도 1에서, 바람직하게는 강 림들을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밸런싱 웨이트(10)는 상부 표면(12) 및 상부 표면에 대항하는 저부 표면(11)을 갖는다. 상부 표면은 적어도 하나의 마킹 및/또는 장식용 디자인을 지닐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밸런싱 웨이트의 배향을 도시하고 림의 둘레에 대체로 평행한 제1 선(15)이 존재하고; 직각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이 실시예에서 2 개의 대시들을 포함하며 반경 방향이며 휠의 축을 향해 지향하는 제2 선(16)이 존재한다. 저부 표면(11)은 다수의 상이한 림들에 적응될 특정 윤곽을 가지는데, 이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림에 대한 용이한 조립을 위해 밸런싱 웨이트를 유지하기 위해, 밸런싱 웨이트는 제1 연장부(13) 및/또는 제2 연장부(14)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제1 실시예가 평면도로 도시된다. 여기서, 단면 절단(A-A)이 표시되며, 이는 다음 도면에서 상세히 도시될 것이다.
도 3에서, 제1 실시예의 단면 절단이 도시된다. 이 절단은 이전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선들(A-A)을 따라 이루어진다.
도 4는 도 3과 유사한 단면 절단을 도시한다. 보다 양호한 가시성을 위해, 이 도면은 이전 도면들에 비해 확대되었다. 밸런싱 웨이트의 저부 표면(11)은 적어도 제1 만곡 섹션(43) 및 제2 만곡 섹션(44)을 갖는다. 이는 제3 만곡 섹션(45)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섹션들은 도면에서 작은 수직선들로 표시된다. 제1 만곡 섹션(43)은 제1 길이 및 제1 반경(40)을 갖는다. 제2 만곡 섹션(44)은 제2 길이 및 제2 반경(41)을 갖는다. 제3 만곡 섹션(45)은 제3 길이 및 제3 반경(42)을 갖는다. 반경 지시선들(indicating lines)(40, 41, 42)의 길이는 화살표와 선의 끝 사이의 반경을 나타낸다. 따라서, 각각의 곡선 섹션의 중심 축은 선의 끝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반경(40)의 중심 축은 밸런싱 웨이트 본체를 통과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2 반경(41)의 중심 축은 밸런싱 웨이트 본체의 외부측에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3 만곡 섹션(45)과 상부 표면(12) 사이에는 제1 직선 섹션(46)이 존재하고, 제2 만곡 섹션(44)과 상부 표면(12) 사이에는 제2 직선 섹션(47)이 존재한다. 제1 만곡 섹션(43)과 제2 만곡 섹션(44) 사이에는 추가의 직선 섹션(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이 존재할 있을 수 있고, 그리고/또는 제1 만곡 섹션(43)과 제3 만곡 섹션(45) 사이에는 추가의 직선 섹션이 존재할 수 있다. 양자 모두의 만곡 섹션들은, 접착식 테이프가 밸런싱 웨이트와 림 사이에 있다면, 림에 대해 충분한 접촉 및 충분한 접착력을 초래하는 매우 다양한 밸런싱 웨이트들의 림과의 적어도 2 개의 접촉 점들을 초래할 것이다. 만곡 섹션들의 곡선들로 인해, 림의 형태의 임의의 편차들이 있을 경우 림에 대한 거리가 약간 감소한다. 이러한 약간 감소하는 거리는, 밸런싱 웨이트와 림 사이의 자착식 테이프에 의해 용이하게 흡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착력이 적용되는 비교적 큰 섹션을 초래한다.
도 5는, 제3 반경(42)이 제1 반경(40)보다 크지만, 이전의 도면에서는 반경(42)이 제1 반경(40)보다 작은, 약간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가장 넓은 범위의 적응의 상이한 밸런싱 웨이트들을 얻으기 위해서는 상이한 반경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제2 반경(41)이 제3 반경(42)과 동일한 대칭 디자인을 갖는 이전 도면의 약간 수정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 반경(40), 제2 반경(41) 및 제3 반경(42)을 포함하는 저부 표면(11)의 디자인은, 유럽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25 개의 림과 미국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의 다수의 림들과 들어맞도록 적응된다. 4 mm 내지 12 mm 범위로 제1, 제2, 및 제3 만곡 섹션들의 반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 한편, 제1 만곡 섹션의 반경은 제2 및 제3 만곡 섹션의 반경보다 0.5 내지 3 mm 작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1 섹션의 반경은 7 mm인 한편, 제2 및 제3 섹션들의 반경은 8 mm이다.
도 7에는, 추가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는 이전의 도면과 유사하지만, 더 큰 제1 및 제2 측벽들(46, 47)을 갖는다. 측벽들은 평행할 수 있고, 또는 측벽들은 측벽들의 평면들이 상부 표면 위로 교차하도록 내측으로 각도(48) 상태에 있을 수 있다. 더 큰 측벽들은 밸런싱 웨이트의 추가 높이 그리고 따라서 부피와 질량을 부여한다. 이들은 추가로, 강자성체, 바람직하게는, 연 자성 재료(soft magnetic material)를 포함하는 인레이(22)를 포함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인레이의 목적은 자성 핸들링 장치에 의한 개선된 핸들링이다. 이 인레이의 바람직한 재료는 철 또는 강이다
도 8은, 인레이 중심을 통과하는 동일한 밸런싱 웨이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는, 인레이가 전방 측면(25)으로부터 연장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방 측면과 동일 높이(flush with)에 있음을 도시한다. 인레이는, 바람직하게는, 전방 측면(25)에 대향하는 후방 측면(26) 이전에 종결되므로, 후방 측면을 통해 관통하지는 않는다.
도 9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은 모든 특징들을 갖는 밸런싱 웨이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에는, 상기 밸런싱 웨이트와 유사한 밸런싱 웨이트가 도시된다. 여기서, 저부 표면에, 바람직하게는 저부 표면의 중심에, 오목부(24)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오목부는 제1 만곡 섹션(43)의 더 작은 표면 영역을 초래한다. 더 작은 표면 영역으로 인해, 제1 만곡 섹션에 위치된 접착식 테이프를 압축하기 위한 전체 힘은 제2 및 제3 섹션에 비해 낮다. 이는, 림과 제1 섹션 사이의 거리 또는 공간이 림과 제2 및 제3 섹션들 사이의 거리 미만이 되도록, 림들에 밸런싱 웨이트를 적응시키는 것(림들의 형상이 이와 같은 경우)을 돕는다.
도 11은, 오목부(24)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도 8과 유사하다.
도 12는, 오목부(24)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도 9와 유사하다.
도 13에는, 휠의 강 림(2)에 장착되는 밸런싱 웨이트(10)가 도시된다. 휠 림(2)은, 당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적어도 휠 디스크(4) 및 휠 혼(wheel horn)(8)에서 끝나는 휠 밴드(wheel band)(6)를 포함한다. 타이어(9)는 휠 림(2)에 장착된다.
도 14에는, 림 상의 밸런싱 웨이트의 확대 단면이 도시된다. 밸런싱 웨이트의 제1 반경(40) 또는 제3 반경(42)에서의 밸런싱 웨이트와 림 사이에는 제1 접촉 영역(50)이 존재한다. 더욱이, 밸런싱 웨이트의 제2 반경(41)과 림 사이에는 제2 접촉 영역(51)이 존재한다. 이들 2 개의 접촉 영역들은 서로 일정한 거리에 있으며 림에서 오랜 시간 내구성있는 위치에 밸런싱 웨이트를 유지할만큼 충분히 크다.
도 15는, 저부측으로부터 밸런싱 웨이트들의 체인을 도시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자착식 테이프에 갭들 또는 절취부들(cutouts)(18)이 제공되며, 이는 림 반경을 적응시키도록 쉽게 구부리는 것을 허용한다.
도 16은, 자착식 테이프(17)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갭들 또는 절취부들(18)이 제공되며, 이는 림의 반경을 적응시키도록 쉽게 구부리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갭들 또는 절취부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지 일측면에만 또는 양측면들에 있을 수 있다.
2 휠 림
4 휠 디스크
6 휠 밴드
8 휠 혼
9 타이어
10 밸런싱 웨이트
11 저부 표면
12 상부 표면
13 제1 연장부
14 제2 연장부
15 제1 선
16 제2 선
17 자착식 테이프
18 절취부
20 밸런싱 웨이트
22 인레이
24 오목부
25 전방 측면
26 후방 측면
30 밸런싱 웨이트
40 제1 반경
41 제2 반경
42 제3 반경
43 제1 만곡 섹션
44 제2 만곡 섹션
45 제3 만곡 섹션
46 제1 직선 섹션
47 제2 직선 섹션
48 측면 각도
50 제1 접촉 영역
51 제2 접촉 영역

Claims (14)

  1.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balancing weight)(10, 20, 30)로서,
    상기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는 상부 표면(12) 및 저부 표면(11)을 가지며,
    상기 저부 표면은 자착식 테이프(17)를 갖는 부착 표면(attachment surface)이고,
    상기 저부 표면(11)은 제1 반경(40)을 갖는 제1 만곡 섹션(43), 제2 반경(41)을 갖는 제2 만곡 섹션(44), 및 제3 반경(42)을 갖는 제3 만곡 섹션(45)을 가지고,
    상기 자착식 테이프(17)는 상기 제1 만곡 섹션(43), 상기 제2 만곡 섹션(44), 및 제3 만곡 섹션(45) 상에 있고, 그리고
    상기 제1 반경(40)은 상기 제2 반경(41)보다 작은,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착식 테이프(17)는 제1 만곡 섹션(43) 및 제2 만곡 섹션(44)를 접선 방향으로 완전히 덮고, 제3 만곡 섹션(45)를 접선 방향으로 덮을 수 있는,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 섹션(43) 및 상기 제2 만곡 섹션(44)은, 상기 림에 적용될 때, 상기 자착식 테이프를 통해 림과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선을 형성하는,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경(41)의 중심 축은 상기 밸런싱 웨이트(10, 20, 30)의 외부측에 있는,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만곡 섹션(44) 및 상기 제3 만곡 섹션(45)의 만곡 섹션과 상기 상부 표면(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 섹션(46, 47)이 제공되는,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선 섹션은 상기 제1 만곡 섹션(43)과 상기 제2 만곡 섹션(44) 사이 그리고/또는 상기 제1 만곡 섹션(43)과 상기 제3 만곡 섹션(45) 사이에 있는,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경(40)은 상기 제2 반경(41)의 1/2이거나
    상기 제1 반경(40)은 상기 제2 반경(41)의 1/5인,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경(40)은 4 mm이고 상기 제2 반경(41)은 8 mm(이들 값들의 ± 50 %의 허용공차 및 30 %의 바람직한 허용공차를 갖는 상태)이며, 또는 상기 제1 반경(40)은 1.8 mm이고 상기 제2 반경(41)은 9 mm(이들 값들의 ± 50 %의 허용공차 및 30 %의 바람직한 허용공차를 갖는 상태)이고, 또는 상기 제1 반경(40)은 1 mm이고 상기 제2 반경(41)은 8 mm(이들 값들의 ± 50 %의 허용공차 및 30 %의 바람직한 허용공차를 갖는 상태)인,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경(40)의 중심 축은 상기 밸런싱 웨이트(10, 20, 30)를 통과하는,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10. 제1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경(41)은 상기 제3 반경(42)과 동일한,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11. 제1 항 내지 제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웨이트는 강자성 재료를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22)를 포함하는,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12. 제1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싱 웨이트는 그 저부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24)를 포함하는,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10, 20, 30).
  13. 제1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밸런싱 웨이트들(10, 20, 30)를 포함하는, 밸런싱 웨이트들의 체인으로서,
    상기 밸런싱 웨이트들은 자착식 테이프(17)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밸런싱 웨이트들의 체인(10, 20, 30).
  14. 제13 항에 있어서,
    갭들 또는 절취부들(18)이 상기 자착식 테이프(17)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바람직하게는 밸런싱 웨이트들 사이에 제공되는,
    밸런싱 웨이트들의 체인(10, 20, 30).
KR1020187023822A 2016-02-19 2017-02-17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 KR101949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56457 2016-02-19
EP16156457.0 2016-02-19
PCT/EP2017/053689 WO2017140888A1 (en) 2016-02-19 2017-02-17 Self-adhesive balancing weight for a vehicle whe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676A true KR20180104676A (ko) 2018-09-21
KR101949320B1 KR101949320B1 (ko) 2019-02-18

Family

ID=5545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3822A KR101949320B1 (ko) 2016-02-19 2017-02-17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90011015A1 (ko)
EP (1) EP3256753B1 (ko)
JP (1) JP6648293B2 (ko)
KR (1) KR101949320B1 (ko)
CN (1) CN108700158B (ko)
BR (1) BR112018016635A2 (ko)
ES (1) ES2721231T3 (ko)
MX (1) MX2018009755A (ko)
RU (1) RU2720752C2 (ko)
WO (1) WO2017140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75016A1 (en) 2021-04-13 2022-10-19 WEGMANN automotive GmbH Self-adhesive balancing weight for different rim geometri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2039A (en) * 1947-07-07 1950-09-12 Bee Line Co Balancing means for motor vehicle wheels
WO1999000609A1 (en) * 1997-06-27 1999-01-07 Polyvas Istvan Wheel-weight for balancing vehicle wheel
WO2015134426A1 (en) * 2014-03-03 2015-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heel balancing weights, and methods and devices for using same
KR20170048242A (ko) * 2014-08-21 2017-05-08 웨그만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앤드 씨오 케이지 차량용 휠을 위한 자기-접착 평형추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0142A (en) * 1955-07-22 1960-08-23 Lyon George Albert Wheel balancing weight assembly
FR1309852A (fr) 1961-08-17 1962-11-23 Hofmann Maschf Geb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e contrepoids sur les roues de véhicules
FR1430356A (fr) * 1965-01-22 1966-03-04 Lauravia Masse d'équilibrage d'une roue de véhicule automobile et dispositif d'accrochage sur la jante
JPS5691104U (ko) * 1979-12-17 1981-07-21
US4728154A (en) * 1987-02-04 1988-03-01 Motor Wheel Corporation Balance weight for vehicle wheel
JPH0389248U (ko) * 1989-12-28 1991-09-11
JPH05321984A (ja) * 1992-05-22 1993-12-07 Asahi Tec Corp 車両用ホイール
JP2002295592A (ja) * 2001-04-03 2002-10-09 Toho Kogyo Kk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
US20070108834A1 (en) 2003-07-18 2007-05-17 Fogal Robert D Sr Balance weight cartridge with enclosed balance media
FR2896289B1 (fr) * 2006-01-13 2008-03-28 Snecma Sa Masselotte d'equilibrage, disque de rotor en etant equipe, rotor et moteur d'aeronef les comportant
US20090243370A1 (en) * 2008-03-31 2009-10-01 Hennessy Industries, Inc. Wheel weight
JP3176197U (ja) * 2012-03-30 2012-06-14 株式会社マルエム バランスウエイト並列体
US9447842B2 (en) * 2012-07-27 2016-09-20 Sram, Llc Bicycle wheel and counterweight
ES2621756T3 (es) * 2013-04-12 2017-07-05 Wegmann Automotive Gmbh & Co. Kg Pesos de equilibrado con incrustación ferromagnétic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2039A (en) * 1947-07-07 1950-09-12 Bee Line Co Balancing means for motor vehicle wheels
WO1999000609A1 (en) * 1997-06-27 1999-01-07 Polyvas Istvan Wheel-weight for balancing vehicle wheel
WO2015134426A1 (en) * 2014-03-03 2015-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heel balancing weights, and methods and devices for using same
KR20170048242A (ko) * 2014-08-21 2017-05-08 웨그만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앤드 씨오 케이지 차량용 휠을 위한 자기-접착 평형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320B1 (ko) 2019-02-18
EP3256753B1 (en) 2019-01-30
US20190011015A1 (en) 2019-01-10
JP6648293B2 (ja) 2020-02-14
RU2720752C2 (ru) 2020-05-13
JP2019505745A (ja) 2019-02-28
CN108700158B (zh) 2020-06-19
EP3256753A1 (en) 2017-12-20
BR112018016635A2 (pt) 2018-12-26
RU2018132515A3 (ko) 2020-03-19
RU2018132515A (ru) 2020-03-19
ES2721231T3 (es) 2019-07-29
CN108700158A (zh) 2018-10-23
MX2018009755A (es) 2018-11-09
WO2017140888A1 (en)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6101B2 (en) Vehicle wheel balance weights
KR101949320B1 (ko) 차륜용 자착식 밸런싱 웨이트
EP2952387A1 (en) A wheel holder for a bicycle carrier
US10400856B2 (en) Self-adhesive balancing weight for a vehicle wheel
KR200393139Y1 (ko) 부착형 휠 밸런스 웨이트
JP2005515119A (ja) ホイール、ホイールリムおよびホイールディスク
US20020166176A1 (en) Bottle opener
US10167926B2 (en) Self-adhesive balancing weight for a vehicle wheel
JP3112148U (ja)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エイト
US20090294227A1 (en) End Stabilization for Brake Shoes Extending Beyond the Ends of the Brake Head
WO2015128349A1 (en) Linked clip-on balancing weights for vehicles
WO2006074131A2 (en) Vehicle wheel balance weights
JP2002061714A (ja)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ェイト
EP2988017B1 (en) Split self-adhesive balancing weight for a vehicle wheel
KR100471327B1 (ko) 차량의 슬라이딩 도어용 레일의 가니쉬 고정구조
JPH0741362Y2 (ja) トップ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