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514A - 액비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액비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514A
KR20180103514A KR1020170030555A KR20170030555A KR20180103514A KR 20180103514 A KR20180103514 A KR 20180103514A KR 1020170030555 A KR1020170030555 A KR 1020170030555A KR 20170030555 A KR20170030555 A KR 20170030555A KR 20180103514 A KR20180103514 A KR 20180103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unit
bubbles
receiving tank
vort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036B1 (ko
Inventor
백용기
Original Assignee
백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용기 filed Critical 백용기
Priority to KR1020170030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03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0258
    • C05F17/023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80Separation, elimination or disposal of harmful substances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21Devices in which the material is conveyed essentially horizontally between inlet and discharge means
    • C05F17/939Means for mixing or moving with predetermined or fixed paths, e.g. rails or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05G3/0064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액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용조; 상기 수용조 내부에 연결되어 상류층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공급하며, 하부로 공급된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액비 순환유닛;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상기 액비를 흡입하는 흡입배관; 및 상기 흡입배관의 타측과 연통되고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서 수면에 인접하게 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흡입배관을 통해 흡입된 상기 액비를 수면에서 발생된 기포에 분사하여 제거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소포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액비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LIQUEFIED FERTILIZER}
본 발명은 소포유닛이 구비된 액비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산분뇨를 액비로 빠르게 발효시킬 수 있으며, 발효 시 발생되는 거품을 소포하여 파손을 방지하고 발효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액비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산폐수, 분뇨 및 음식물폐수 등과 같은 유기폐수는 이송차량에 의해 집수조로 저장된 후, 스크린 분리 또는 고액원심분리기에 의해 비교적 큰 오물이나 이물질이 걸러내진 다음, 저장조로 이송되어 미세한 고체 부유물을 함유하는 슬러지가 분리된 후, 침전조로 이송되어 침전처리된 다음(이하 "사전처리"라 한다), 침전물은 탈수화단계를 거쳐 고체부유물을 함유하는 슬러지와 혼합되어 퇴비화되고 사전 처리된 침전조의 상등수는 유량조정조를 거쳐 액비생산용 반응기(수용조)에서 발효 처리되어 액상의 비료(액비)로 제조된다.
이러한 액비는 별도의 제조장치에 수용되며, 제조장치는 액비를 제조하는 반응조 또는 이를 저장하는 저장조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액비를 수용하는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비에서 발생되는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 존재하지 않으며, 단순히 내부의 액비를 상하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히, 거품의 발생은 원수 상층부에 거품층이 형성하기 시작하며 이러한 거품은 대부분 산기관을 통과한 공기가 용존되어 지지 못하고 표면의 유분기와 만나서 거품층을 형성한다. 대략 10cm정도는 원수 표면에서 가스 교환을 방해한다.
또한, 생물학적 거품은 미세 거품 발생의 원인이 되어 급격한 거품층의 성장을 주도하며 급격한 거품층의 팽창을 초래하여 정상 발효를 막는다.
뿐만 아니라, 생산된 액비의 저장 시 발생되는 거품층에 의해 제조장치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비를 생산하는 반응조 또는 이를 수용하는 저장조로 사용되는 액비 제조장치에 있어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저감시키고 수용된 액비를 고르게 혼합시킬 수 있는 액비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는, 내부에 액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용조; 상기 수용조 내부에 연결되어 상류층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공급하며, 하부로 공급된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액비 순환유닛;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상기 액비를 흡입하는 흡입배관; 및 상기 흡입배관의 타측과 연통되고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서 수면에 인접하게 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흡입배관을 통해 흡입된 상기 액비를 수면에서 발생된 기포에 분사하여 제거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소포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비 순환유닛은,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수용조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균일한 압력으로 흡입하는 흡입챔버; 일측이 상기 흡입챔버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조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액비를 흡입하여 상기 수용조의 하부로 순환시키는 순환배관; 및 상기 수용조 하부에서 상기 순환배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상기 액비를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와류가 발생하도록 분사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수용조의 하부에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는 배출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액비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노즐은 각각이 상기 순환배관에서 분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포유닛에 포함되는 상기 분사수단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액비의 분사에 의해 상기 액비의 상부에서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수단은, 횡 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되어 상기 액비가 분사되며, 상기 홀은 횡 방향을 따라 상하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는, 상기 소포유닛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액비의 상부에 발생된 와류의 중심에 존재하는 기포를 향해 상기 액비를 분사하는 보조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하부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단위부재 및 상기 단위부재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안정적으로 경사를 가지며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상기 단위부재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기포의 상승을 둔화시키는 혼류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부재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 측면과의 사이에 개구영역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에서 순환유닛에 의해 상부에 수용된 액비가 하부로 순환하여 이동하며, 하부에서 액비가 와류를 가지며 배출됨으로써 액비 내에 발생된 기포를 소포하여 저감시킴과 동시에 액비를 고르게 순환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수용조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액비의 상부 수면에 별도의 소포유닛을 구비하여 수면에 횡 방향으로 액비를 분사시킴으로써 수면에서 발생된 기포를 소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소포유닛은 복수 개의 분사수단을 가지며 분사수단에서 분사되는 액비에 의해 와류가 발생함으로써 발생되는 기포를 억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소포유닛 외에 보조유닛을 구비하여, 소표유닛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로 인해 거품이 중앙부로 집중될 때 이를 소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가 적용된 액비 제조시설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변형할 때를 도시한 도면;
도 4은 도 2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순환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액비 제조장치에 구비된 순환유닛에서 배출노즐의 배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4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배출노즐의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소포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소포유닛을 변형할 때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소포유닛에서 분사수단의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7의 소포유닛의 유무에 따른 기포 제거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2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혼류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2는 도 11의 혼류유닛이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어 액비가 상부로 이동하는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가 적용된 액비 제조시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을 변형할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은 도 2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순환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액비 제조장치에 구비된 순환유닛에서 배출노즐의 배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배출노즐의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2의 액비 제조장치에서 소포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소포유닛을 변형할 때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소포유닛에서 분사수단의 배치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소포유닛의 유무에 따른 기포 제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해 액비가 제조되기 이전에 가축분뇨는 수송수단에 의해 이송되어 액비 제조시설에 마련된 집수로에 수용되고, 이후 원심분리기를 통해 액체상태의 액비와 고형으로 분리된다.
이와 같이 분리된 상기 액비는 반응조(10)에 의해 발효되어 액체 비료로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고체 비료는 별도의 퇴비처리 설비로 이송되어 비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처리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액체상태의 액비는 반응조(1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반응조(10)로 이송된 상기 액비는 액비로 발효되어 별도의 저장조(20)에 수용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는 상기 반응조(10) 또는 상기 저장조(20)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밖에 액비 제조시설 상에 다른 부분에도 사용될 수 있음,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러나 더욱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비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는 액비가 수용되는 수용조(100),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닛(200), 상기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소포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수용조(100)는 상기 고액분리기에 의해 분리된 처리수 또는 제조된 상기 액비를 수용하는 구성으로써 내부에 상기 액비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0)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조(100)는 별도의 유입구(미도시)와 배출구(미도시)가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액비가 내부에 수용되어 밀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별도의 슬러지 토출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상기 수용조(100)의 하면이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수용조(100)는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된 하면의 최하단부에 상기 슬러지 토출구(미도시)가 구비되어 하면에 침전되는 상기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조(100)는 상기 액비가 생성되어 비워지는 경우 별도의 세척수에 의해 침전된 상기 슬러지가 세척되고, 이와 같이 상기 세척수에 의해 상기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토출구(미도시)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조(100)는 별도의 개구부(미도시) 또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부터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가 팽창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순환유닛(200)은,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순환시킨다.
상기 순환유닛(200)은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 구비되어 수용된 상기 액비 중에서 상부에 위치한 상기 액비를 하부로 이송시키는 구성으로, 하부로 공급된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출하여 순환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순환유닛(200)은, 크게 흡입챔버(210), 순환배관(220) 및 와류발생부(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챔버(210)로부터 흡입된 상기 액비는 상기 순환배관(220)을 통해 순환하여 상기 수용조(100)의 하부에서 상기 와류발생부(230)를 통해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출된다.
상기 흡입챔버(210)는 상기 수용조(10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흡입한다.
여기서, 상기 흡입챔버(21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장착수단(미도시)에 의해 상기 수용조(100) 내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선택적으로 상하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순환배관(220)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흡입챔버(210)와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조(100)의 하부와 연통되어 상기 흡입챔버(210)를 통해 흡입된 상기 액비를 상기 수용조(100)의 하부로 공급하여 순환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순환배관(220)은 길게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수용조(100)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액비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순환배관(220)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상기 수용조(100)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수용조(100)는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배관(220)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상기 수용조(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용조(100) 외부에 구비된 별도의 제펌프가 연결되어 상기 액비가 순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배관(220)은 일측이 복수 개로 분기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흡입챔버(210)와 연결되며, 상기 흡입챔버(210)로부터 흡입된 상기 액비를 순환시켜 다시 상기 수용조(100)의 하부로 공급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와류발생부(230)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서 상기 순환배관(22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액비를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류발생부(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배출노즐(232)을 구비하여 각각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배출노즐(232)은 상기 순환배관(220)의 타측에서 분기되어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배출노즐(232)은 배출되는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노즐(232)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비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와류가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노즐(232)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출노즐(232) 각각은 복수 개가 균일한 각도를 가지며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출노즐(232)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비는 복수 개 각각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되어 제1방향으로 와류를 형성하며, 상향경사를 가지기 때문에 상부방향으로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와류발생부(23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로 배출된 상기 액비는 다시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용조(100) 내부의 상기 액비가 순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류발생부(230)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비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며 와류가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를 소포하여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와류발생부(230)에서 상기 배출노즐(232)은 복수 개가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액비를 배출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노즐(232)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비의 압력이 균일하지 않은 경우 발생되는 와류가 불규칙적으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통해 상기 배출노즐(232)에서 배출되는 상기 액비의 압력을 균일하게 한다.
하나의 일례로 상기 와류발생부(230)는 상기 액비가 순환하는 상기 순환배관(220)의 타측에서 복수 개의 상기 배출노즐(232) 각각에 이르는 이동경로가 균일한 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배관(220)에서 분기된 상기 액비는 동일한 거리를 이동하며 복수 개의 상기 배출노즐(232)로 공급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른 방법을 통해 복수 개의 상기 배출노즐(232)이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액비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노즐(232)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노즐(232)은 상기 순환배관(2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액비를 균일하도록 분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노즐은(232)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감소하는 영역을 가지며 해당 영역에서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와 연통되어 노출되는 노출공간(232a)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비가 상기 배출노즐(232)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0)하부에서 배출될 때, 직경에 감소하여 압축된 후 상기 노출공간(232a)을 통해 주변의 상기 액비가 함께 유입되며 혼합되어 다시 분사된다.
이대, 상기 배출노즐(232)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액비의 유동압이 변화하며, 공기의 용존률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배관(220)을 따라 순환하는 상기 액비는 후술하는 공기공급부(240)를 통해 공급된 공기와 혼합되며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에서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순환유닛(200)은 상기 흡입챔버(210), 상기 순환배관(220) 및 상기 와류발생부(230)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 수용된 액비와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순환하는 액비가 혼합되며 교반을 이루어 고르게 혼합될 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기포를 억제 및 소포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가 액비를 제조하는 반응조(10)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순환유닛(200)은 별도의 공기공급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부(240)는 상기 순환배관(220)에 연결되어 순환하는 상기 액비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의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비는 산소 또는 공기가 용존되어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서 순환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순환배관(220)에는 별도의 투입구(미도시)가 구비되어 상기 수용조(100)로 순환되는 상기 액비에 악취저감 및 발효촉진을 위한 별도의 첨가제(미도시)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순환배관(220)에 상기 투입구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수용조(100)에서 발효되는 상기 액비의 상태를 확인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첨가제의 투입여부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원활하게 상기 액비를 생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포유닛(300)은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의 상부에 발생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크게 흡입배관(320), 분사수단(310)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배관(320)은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 내부에 위치하고 타측이 상기 액비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배관(320)은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서 일측을 통해 수용된 상기 액비를 흡입하고, 타측이 상기 분사수단(310)과 연결되어 흡입된 상기 액비가 상기 수용조(100)의 상부에서 분사되도록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흡입배관(3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액비가 유동할 수 있도록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펌프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배관(320)의 타측으로 상기 액비가 유입되어 상기 분사수단(310)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배관(320)은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위치하고 일부가 상기 수용조(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입배관(320)은 길게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체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서 상기 액비를 흡입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분사수단(310)과 연결되어 흡입된 상기 액비를 상기 분사수단(310)으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배관(320)은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비를 흡입하되,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서 가장자리가 아닌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배관(320)의 타측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측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와류발생부(23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액비 중 상대적으로 유동이 적은 중앙부의 상기 액비를 흡입한다.
이는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 중에서 상기 와류발생부(230)에 의해 상기 액비가 회전함으로써, 교반 효율을 증가되지만, 회전 방향의 중앙부는 상대적으로 유동이 적으므로 이를 흡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고르게 교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분사수단(310)은 상기 흡입배관(320)의 타측과 연통되고 상기 수용조(100)의 상부에서 수면에 인접하게 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흡입배관(320)을 통해 흡입된 상기 액비를 수면에서 발생된 기포에 분사하여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수단(310)은 상기 수용조(100)의 상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의 수면에 인접한 상부에서 액비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분사수단(310)은 상기 수면에 인접한 상태에서 횡 방향으로 상기 액비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액비의 수면에 있는 기포를 제거 또는 소포하게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분사수단(310)은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부에서 분사되는 상기 액비에 의해 상기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분사수단(310)은 상기 와류발생부(230)에서 발생되는 와류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부에서도 와류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 전체에서 와류가 발생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는 제1방향으로 회전하며 내부에서 발생된 기포를 소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포유닛(300)은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흡입하여 상부에서 상기 액비의 수면에 발생된 기포에 분사함으로써 소포함과 동시에 상부에 위치한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액비에서는 PH농도 상승 / 과다한 MLSS / 과폭기에 의한 불용존가스 등에 의해 거품(기포)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액비의 정상적인 발효를 방해할 뿐만 아니라 수용조(1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여 파손이 일어날 수도 있다.
특히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는 상층부 수면상에서 형성되며 이와 같은 거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포유닛(300)에 의해 상기 액비를 상부에서 분사하는 것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포유닛(30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액비의 발효를 촉진시키며 상기 수용조(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는 상기 수용조(100), 상기 순환유닛(200) 및 상기 소포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수용조(100)에 구비된 상기 액비를 상하방향으로 순환시킬 뿐만 아니라 와류를 발생시켜 상기 액비 내부에서 용존되지 않은 기포를 소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포유닛(300)을 통해 상기 액비의 수면에 발생된 기포에 상기 액비를 횡 방향으로 분사함으로써 소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소포유닛(300)은 도 3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조유닛(500)을 통해 소포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례에 의하면, 상기 분사수단(320)은 수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각도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와류가 갖는 운동의 자유도를 상승시켜 소포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분사수단(320)을 수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를 기울여, 상측을 향할 수 있도록 하거나(310a의 경우), 하측을 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310b의 경우), 반드시 상측과 하측 어느 한 방향으로 기울일 필요 없으며 수용조(10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여 소포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분사수단(320)과 수면이 이루는 기설정된 각도 역시 수용조(10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최적 설계(도면 상에서는 θ1과 θ2를 다르게 설계)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례에 의하면, 상기 분사수단(320)은 수용조(100) 중앙부를 향해 기설정된 각도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으며, 이 역시 이로 인해 와류가 갖는 운동의 자유도를 상승시켜 소포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분사수단(320)을 수용조(100) 중앙부를 향해 소정 각도를 기울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조(100)의 내부면을 따라 와류가 발생되는 것에 자유도를 더욱 부가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류가 발생되도록 하여 소포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분사수단(320)을 수용조(100) 중앙부를 향하는 기설정된 각도는 수용조(100)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서, 또는 앞서 설명한 도 3에 도시된 변형례와 함께 복합적으로 고려되어 사용자가 최적 설계를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보조유닛(500)은 상기 소포유닛(300)에 의해 기포가 수용조(100) 중앙부에 집중될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소포유닛(300) 상측 수용조(100) 중앙부에 제거수단(510), 회전수단(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거수단(510)은 흡입배관(320)과 연통되어 수용조(100) 하부에 있는 액비를 끌어 올려 액비에 발생된 거품을 향해 분사하는 구성요소이고, 상기 회전수단(520)은 상기 제거수단(510)을 회전시켜 다양한 방향으로 거품을 향해 액비를 분사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상기 보조유닛(500)은,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거품, 즉 액비의 수면 상에서 발생된 기포를 수용조(100) 상부에서 분사하여 소포할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과는 무관함은 미리 밝혀둔다.
즉, 도 10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하는 내용은 수용조(100) 내에서 소포하는 주된 방향이 수용조(100) 상부(수직방향)인지 측부(수평방향)인지에 관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보조유닛(500)은 액비가 주로 측부(수평방향)에서 소포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추가적인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는 상술한 수용조(100), 상기 순환유닛(200) 및 상기 소포유닛(300)과 함께 추가적으로 별도의 혼류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류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액비에 용존되지 않고 발생되는 기포의 체류시간을 증가시켜 용존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류유닛(4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구비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기포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수용조(100) 내부에서 발생되어 상부로 이동하는 기포의 양을 최소화시키며 수용조(100)의 파손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어서, 계속하여 상기 분사수단(3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분사수단(310)은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상기 액비를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사수단(310)은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액비를 분사한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분사수단(31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높이상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분사수단(310)이 같은 높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액비를 분사함으로써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분사수단(3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방 끝단부에 복수 개의 홀(312)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홀(312)은 횡 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홀(312)을 통해 상기 액비가 분사된다. 이때, 상기 홀(312)은 횡 방향을 따라 2열로 배치되며 상하 반복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홀(312)은 상기 분사수단(310)의 끝단부에서 2열 중 상하 동시에 형성되지 않고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며 횡 방향을 따라 상하 반복하여 배치됨으로써, 상기 분사수단(310)을 통해 상기 액비의 분사 시 음영지역이 발생하지 않고 고르게 분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분사수단(310)을 통해 분사되는 상기 액비는 일정한 폭 및 두께를 가지고 분사되며 전체적으로 균일한 압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분사수단(310)이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부에서 제1방향으로 상기 액비의 와류가 발생하여 발생된 기포를 소포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a)를 살펴보면,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된 상기 액비의 수면상에서 발생된 기포에 상기 액비를 상부에서 분사사여 소포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비의 수면에 발생된 기포에 상부에서부터 상기 액비를 분사하여 소포하는 경우 상기 기포의 형상에 의해 기포가 안정적으로 소포되지 않으며,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분사되는 상기 액비가 수면상에 부딪히는 충격으로 추가적인 기포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액비의 수면상에서 횡 방향으로 상기 액비를 분사함으로써 발생된 기포를 손쉽게 소포함과 동시에 수면에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시켜 추가적인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분사수단(310)과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상부에서 상기 액비의 수면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횡 방향을 따라 상기 액비를 분사함으로써, 수면상에 발생된 기포를 제거함과 동시에 추가적인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가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안정적으로 수용함과 동시에 발생되는 기포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류유닛(4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도 2의 제조장치에서 혼류유닛(4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혼류유닛(400)이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되어 액비가 상부로 이동하는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류유닛(400)은 크게 단위부재(410) 및 상기 단위부재(41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420)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부재(41)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하부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순환하여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로 공급되는 상기 액비상에서 발생되는 기포 중 일부 기포의 수직 상승을 둔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란 상기 액비의 PH농도, 슬러지 농도(SS: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및 온도에 의한 화학적 반응 또는 유체의 흐름에 의한 물리적 반응에 의해 발생하거나,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와 상부의 기압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기포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액비상에서 다양한 종류의 기포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발생되는 기포는 상기 액비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혼류유닛(400)은 이와 같이 발생된 상기 액비의 기포 중 일부 기포의 수직 상승을 둔화시킨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부재(4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형태로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면(414) 및 상기 가이드면(414)에서 상측 끝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41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면(414) 및 상기 연결면(412)은 플레이트형태의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면(412)은 기 설정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면(414) 및 연결면(412)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길게 형성된다.
즉, 상기 단위부재(410)는 하부 방향으로 개구되며 `ㄷ` 형태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단위부재(410)는 길게 형성되어 하부방향에서 상승하는 기포 중 일부가 수직 상승하는 것을 방해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부재(410)는 상향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 중 일부는 상기 단위부재(410)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상기 단위부재(410)에 접하며 경사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의 일부는 상기 단위부재(410)에 의해 상승속도가 둔화되어 상기 액비 내에서 체류시간이 증가함으로써 상기 액비에서 용존되지 않고 발생되는 공기 또는 산소입자의 용존률이 증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위부재(410)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복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상기 고정수단(420)에 의해 상호 이탈되지 않고 결합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단위부재(410)는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단위부재(41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의 일부는 상승하게 되고 나머지는 상기 단위부재(410)에 의해 수직상승이 차단되어 상기 단위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체류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즉, 상기 단위부재(410)는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이동하는 레일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따라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의 용존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재(410)가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재공급되는 상기 액비의 수직상승 공간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부재(410)는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재공급되는 상기 액비 중 일부가 직상승을 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액비의 일부가 상기 단위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되어 횡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서서히 상승하고, 나머지는 상기 단위부재(410)의 이격된 공간을 따라 직상승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재공급되는 상기 액비의 일부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교반하여 상승하며 상기 액비가 고르게 혼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승하는 상기 액비가 교반과 동시에 제1방향으로 발생된 와류에 의해 회전하며 기포가 액비 내부로 용존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420)은 상기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재(410)가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고정하는 구성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재(410)가 이격된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단위부재(41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42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에서 상기 단위부재(410)가 경사를 가지며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420)은 플레이트 또는 샤프트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위부재(410)와 결합됨과 동시에 일부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수단(420)은 샤프트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단위부재(410)에 연속하여 결합되며 상기 단위부재(410)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20)이 구성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고정수단(420)은 복수 개가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됨과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재공급 되는 상기 액비 및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의 직상승을 방해하며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ㅇ 상기 단위부재(410)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 측면과의 사이에 개구영역(A)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부재(410)는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단위부재(410)의 최하단부인 일측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 측면과 인접하게 배치되지만 최상단부인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부 측면과 이격되어 개구영역(A)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재공급된 상기 액비와 발생된 기포가 직상승 하지 않고 상기 단위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경사를 따라서 상부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며, 상기 단위부재(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타측 끝단부까지 기포가 이동하는 경우 상기 개구영역(A)을 통해 기포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단위부재(410) 각각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액비에서 발생된 기포가 상기 단위부재(410)의 하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에어포켓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단위부재(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 기포는 상기 개구영역(A)에서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단위부재(410)의 양단부가 모두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측 벽면과 인접하게 배치된다면, 상기 단위부재(410)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 상기 액비 또는 기포가 추가적인 상승을 하지 못하고 하부에 머물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위부재(410)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를 가지며 개구영역(A)을 형성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순환유닛(200)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액비 및 발생된 기포가 서서히 상승함과 동시에 기포가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류유닛(400)은 하부가 개구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경사지게 배치된 상기 단위부재(41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0)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상기 액비 및 기포의 상승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공기의 용존량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액비의 상층부와 하층부를 교반하여 상기 액비의 온도를 고르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혼류유닛(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적층형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류유닛(400)은 단순히 하나로만 구성되지 않고 복수 개가 적층형태로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혼류유닛(400)이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혼류유닛(400)에 의해 형성된 개구영역(A)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위부재(410)의 경사방향도 서로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혼류유닛(4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며, 각각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개구영역(A)의 위치가 엇갈리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10) 하부에서 상승하는 상기 액비 및 기포의 이동경로를 강제적으로 조절하여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혼류유닛(400)은 상기 수용조(100) 하부에서 상기 액비에 용존되지 않은 상기 산소 또는 상기 공기에 의한 기포가 상승하는 경우 소분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혼류유닛(400)이 복수 개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로부터 발생되는 기포를 보다 미세하게 소분화시키며, 상승하는 기포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혼류유닛(400)은 상기 수용조(100)에 수용된 상기 액비에서 용존되지 못해 발생되는 기포를 세분화시켜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반응조
20: 저장조
100: 수용조
110: 수용공간
200: 순환유닛
210: 흡입챔버 220: 순환배관
230: 와류발생부
300: 소포유닛
310: 흡입배관 320: 분사수단
400: 혼류유닛
410: 단위부재 420: 고정수단
500 : 보조유닛
510: 제거수단 520: 회전수단

Claims (8)

  1. 내부에 액비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선택적으로 밀폐 가능하도록 구성된 수용조;
    상기 수용조 내부에 연결되어 상류층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를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로 공급하며, 하부로 공급된 상기 액비가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하는 액비 순환유닛;
    상기 수용공간의 내부에서 일측으로 상기 액비를 흡입하는 흡입배관; 및
    상기 흡입배관의 타측과 연통되고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서 수면에 인접하게 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흡입배관을 통해 흡입된 상기 액비를 수면에서 발생된 기포에 분사하여 제거하는 분사수단을 포함하는 소포유닛을 포함하는,
    액비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비 순환유닛은,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서 복수 개의 연통구를 가지며 상기 수용조에 수용된 상기 액비를 균일한 압력으로 흡입하는 흡입챔버;
    일측이 상기 흡입챔버 연통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조의 하부와 연통되며, 상기 수용조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액비를 흡입하여 상기 수용조의 하부로 순환시키는 순환배관; 및
    상기 수용조 하부에서 상기 순환배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전달되는 상기 액비를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하여 와류가 발생하도록 분사하는 와류발생부;를 포함하는,
    액비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는,
    상기 수용조의 하부에서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되는 배출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액비를 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출노즐은 각각이 상기 순환배관에서 분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액비의 분사에 의해 상기 액비의 상부에서 제1방향으로 와류가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횡 방향으로 복수 개의 홀이 구비되어 상기 액비가 분사되며, 상기 홀은 횡 방향을 따라 상하 반복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포유닛 상측에 마련되어, 상기 액비의 상부에 발생된 와류의 중심에 존재하는 기포를 향해 상기 액비를 분사하는 보조유닛을 더 포함하는,
    액비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하부방향으로 개구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횡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단위부재 및 상기 단위부재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안정적으로 경사를 가지며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액비에서 발생되는 기포가 상기 단위부재의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기포의 상승을 둔화시키는 혼류유닛을 더 포함하는,
    액비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부재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타측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 측면과의 사이에 개구영역을 형성하도록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비 제조장치.
KR1020170030555A 2017-03-10 2017-03-10 액비 제조장치 KR102064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55A KR102064036B1 (ko) 2017-03-10 2017-03-10 액비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555A KR102064036B1 (ko) 2017-03-10 2017-03-10 액비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514A true KR20180103514A (ko) 2018-09-19
KR102064036B1 KR102064036B1 (ko) 2020-01-08

Family

ID=6371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555A KR102064036B1 (ko) 2017-03-10 2017-03-10 액비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681B1 (ko) * 2022-07-12 2024-01-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포의 이동 경로를 길게 하는 기포길을 포함하는 챔버 및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953B1 (ko) * 2011-03-11 2011-09-19 그린엔텍 주식회사 액체분사식 제트 교반기가 구비된 혐기성 소화장치
KR101498924B1 (ko) * 2014-12-17 2015-03-12 백용기 액비 제조장치
KR101872902B1 (ko) * 2015-12-04 2018-06-29 백용기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5953B1 (ko) * 2011-03-11 2011-09-19 그린엔텍 주식회사 액체분사식 제트 교반기가 구비된 혐기성 소화장치
KR101498924B1 (ko) * 2014-12-17 2015-03-12 백용기 액비 제조장치
KR101872902B1 (ko) * 2015-12-04 2018-06-29 백용기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681B1 (ko) * 2022-07-12 2024-01-1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포의 이동 경로를 길게 하는 기포길을 포함하는 챔버 및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036B1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903B1 (ko) 고체 분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화기 및 폐수 정화 방법
KR100674510B1 (ko) 수처리 공정 및 장치
KR101872902B1 (ko) 순환유닛을 구비한 액비 수용장치
KR101498924B1 (ko) 액비 제조장치
MX2015000022A (es) Aparato y metodo para el tratamiento biologico de aguas residuales.
CN105339312B (zh) 水处理装置
US364261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KR101140769B1 (ko) 가압부상조
US9776896B2 (en) Container, series of containers and method for treating liquids
KR20180103514A (ko) 액비 제조장치
JP7016623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EP0112095A1 (en) Aqueous liquid treatment process and apparatus
CN111818993B (zh) 气泡产生装置
JP2007253046A (ja) 硫化物含有ガスの脱硫設備
KR101700841B1 (ko) 혼류유닛이 구비된 액비 제조장치
KR102058956B1 (ko) 고액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2020501890A (ja) 内部固体分離を備えた曝気反応器
CN208667224U (zh) 跌水曝气生物接触氧化一体处理设备
JP2008212930A (ja) 膜分離装置
JP7016622B2 (ja)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JP4765041B2 (ja) 水処理装置
KR101081900B1 (ko) 담체가 구비된 생물학적 수처리 장치
KR102005018B1 (ko) 무동력 교반기를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장치
JP2019076887A (ja) 汚水処理装置及び汚水処理方法
CN220788253U (zh) 一种sbr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