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406A -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406A
KR20180103406A KR1020170030292A KR20170030292A KR20180103406A KR 20180103406 A KR20180103406 A KR 20180103406A KR 1020170030292 A KR1020170030292 A KR 1020170030292A KR 20170030292 A KR20170030292 A KR 20170030292A KR 20180103406 A KR20180103406 A KR 20180103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ed
toilet
backrest
foot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268B1 (ko
Inventor
박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더스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더스핸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더스핸즈
Priority to KR1020170030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268B1/ko
Priority to US16/491,557 priority patent/US11207230B2/en
Priority to PCT/KR2017/006641 priority patent/WO2018164319A1/ko
Priority to CN201780087257.7A priority patent/CN110325161A/zh
Publication of KR20180103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8Devices for prevention against falling-out, e.g. detachable side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2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 A47K11/026Dry closets, e.g. incinerator closets with continuous tubular film for receiving fae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1Accessories for showers or bathing douches, e.g. cleaning devices for walls or floors of sho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47Beds for special sanitary purposes, e.g. for giving enemas, irrigations, flush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3Aids for getting into, or out of, bed, e.g. steps, chairs, cane-lik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6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converting a lying surface into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으로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등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에 연결되는 둔부 받침부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부가 연결되는 다리 받침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상 구조의 침대 프레임과, 상기 침대 프레임의 등 받침부와 둔부 받침부와 발 받침부가 연결되는 다리 받침부에 대응하여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등 받침 매트와 둔부 받침 매트와 발받침 매트 및 다리받침 매트를 구비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 및 상기 환자용 침대의 침대 프레임의 둔부 받침부 상에 설치 구비되며, 환자가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보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배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배변장치는, 상기 환자의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공을 구비하는 배변기 본체; 상기 배변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 공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배변기 본체의 배출 공을 통해 공급수와 환자의 용변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용변 배출 배관; 상기 용변 배출 배관의 라인 상의 중간 부위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용변 배출 배관의 말단 부위까지 평행하게 배치되는 역 ㄱ자 형상의 연결 바디와, 상기 연결 바디의 절곡되는 내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길이가 짧은 삽입부와, 상기 연결 바디의 말단에 체결되는 결합 나사와, 상기 연결 바디의 말단 상부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공을 구비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 바디의 말단 상부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공과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 연결 본체를 매개로 연결되는 손잡이 작동 로드와, 상기 손잡이 작동 로드에 연동하도록 특정 각도를 갖도록 결합 고정되고, 상기 용변 배출 배관의 개방된 말단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설치되는 손잡이 연동 로드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환자가 배출하는 용변의 용이한 수거를 위한 용변 수거 비닐을 내장하여 배출하는 이중 관 형상으로, 내부의 중공이 상기 용변 배출 배관을 수용하는 형태로 삽입된 후 상기 연결 바디에 형성된 삽입부에 후면 외관이 삽입되고, 전면 외관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체결부재가 상기 결합 나사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따르면, 환자용 침대에 배변장치를 일체로 구성하되, 배변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 공과 연통되는 용변 배출 배관을 자중으로 용변이 흘러내리는 라운드 경사진 배관 구조로 구성하고, 용변 배출 배관의 개방된 말단을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간단한 조작으로 용변 배출을 위한 개폐가 가능하며, 환자가 배출하는 용변의 용이한 수거를 위한 용변 수거 비닐을 내장하여 배출하는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가 용변 배출 배관에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용변장치에 비해 청소가 용이하고 한 손으로 간단한 조작이 가능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하고, 본인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없는 중증 환자 및 치매 환자 등이 간병인이나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보조 없이 스스로 대/소변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용변을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환자 이동장치의 회전판을 이용한 이동이 불편한 환자가 휠체어 또는 침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A PATIENT BED SYSTEM WITH A DEFECATION DEVICE HAVING AN IMPROVED PIPING STRUCTURE}
본 발명은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거동이 불편하고, 본인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없는 중증 환자 및 치매 환자 등이 앉거나 누운 상태에서 용변의 배변활동이 가능하고, 이동이 불편한 환자가 휠체어 또는 침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를 구성하되, 악취 발생 없이 청결하고 위생적인 용변 처리가 가능하면서도 청소하기가 용이하도록 하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원이나 요양시설 등에는 홀로 거동이 어려운 노약자 및 환자 등이 눕거나 앉아서 사용할 수 있는 환자용 침대가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환자용 침대는 취침이나 독서 또는 식사 등의 사용 목적에 따라 침대의 등받이가 수직을 향하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상체를 일정부분 일으키거나, 침대의 등받이가 수평을 향하도록 등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 환자의 상체를 누이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환자용 침대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본인 스스로 대/소변 등의 용변을 배변하러 이동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환자용 침대에서 이동이 어려운 환자의 경우에 대/소변 등의 용변을 위해서는 간병인이나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도움이 요구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이 어려운 환자의 용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로 화장실까지 이동하거나, 또는 간이 변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침대 하부에 위치시킨 후 환자의 배변 시 간이 변기를 사용하여 대/소변 등의 용변을 해결하였다. 즉, 대/소변 등의 용변을 배변하기 위해서는 항시 간병인 또는 보호자의 도움이 절실히 요구되고,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환자의 주변에서 항상 대기하여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따르고 있었다. 또한, 간이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악취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환자 스스로 대/소변 등의 용변을 조절하기 어려운 노약자 또는 중증 환자의 경우에는 화장실까지의 이동시간 또는 간이 변기의 설치시간을 견디기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속옷 등에 용변을 해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수술 등을 통하여 부분적인 마취 또는 마비 등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대/소변 등 용변을 처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며, 용변을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중요 부위를 노출시키는 등 환자가 수치심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환자가 대/소변 등의 용변을 배변하고자 할 경우, 간병인 또는 보호자 등에게 환자의 중요 부위를 보여줘야 하며, 이에 따라 환자가 심리적으로 부담감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병인이나 보호자 또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용 기저귀가 제안되어 환자의 대/소변 등 용변을 위생적으로 처리 및 해결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또한 환자용 기저귀의 사용 후 제거 시 티슈 또는 수건 등으로 환자의 둔부 등에 묻어 있는 용변을 제거해야 하는 등 환자이 수치심을 유발하고, 또한 환자용 기저귀의 반복적인 사용 시 환자의 둔부 등 취약한 부분의 피부가 손상됨과 동시에 습진, 욕창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환자용 기저귀가 합성섬유 재질의 1회 용품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 후 버려지는 환자용 기저귀 등의 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되고, 이러한 환자용 기저귀의 폐기 및 소각 시 이산화탄소(CO2)가 배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환자용 기저귀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환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2963호(환자용 침대 시스템)가 선행기술 문헌으로 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선행기술 문헌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 발명이다.
본 출원인은 기 출원하여 등록받은 선행기술 문헌에서 발생되는 볼 밸브를 사용하는 용변장치의 기존 배관구조로 인해, 용변 처리를 위한 청소가 어렵고, 용변의 이물질이 연결 부위에 잔존하게 되는 문제를 더욱 개선한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환자용 침대에 배변장치를 일체로 구성하되, 배변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 공과 연통되는 용변 배출 배관을 자중으로 용변이 흘러내리는 라운드 경사진 배관 구조로 구성하고, 용변 배출 배관의 개방된 말단을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간단한 조작으로 용변 배출을 위한 개폐가 가능하며, 환자가 배출하는 용변의 용이한 수거를 위한 용변 수거 비닐을 내장하여 배출하는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가 용변 배출 배관에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용변장치에 비해 청소가 용이하고 한 손으로 간단한 조작이 가능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하고, 본인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없는 중증 환자 및 치매 환자 등이 간병인이나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보조 없이 스스로 대/소변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용변을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환자 이동장치의 회전판을 이용한 이동이 불편한 환자가 휠체어 또는 침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은,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으로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등 받침부와 상기 등 받침부에 연결되는 둔부 받침부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부가 연결되는 다리 받침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상 구조의 침대 프레임과, 상기 침대 프레임의 등 받침부와 둔부 받침부와 발 받침부가 연결되는 다리 받침부에 대응하여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등 받침 매트와 둔부 받침 매트와 발받침 매트 및 다리받침 매트를 구비하는 매트리스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 및
상기 환자용 침대의 침대 프레임의 둔부 받침부 상에 설치 구비되며, 환자가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보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배변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배변장치는,
상기 환자의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공을 구비하는 배변기 본체;
상기 배변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 공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배변기 본체의 배출 공을 통해 공급수와 환자의 용변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용변 배출 배관;
상기 용변 배출 배관의 라인 상의 중간 부위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용변 배출 배관의 말단 부위까지 평행하게 배치되는 역 ㄱ자 형상의 연결 바디와, 상기 연결 바디의 절곡되는 내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길이가 짧은 삽입부와, 상기 연결 바디의 말단에 체결되는 결합 나사와, 상기 연결 바디의 말단 상부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공을 구비하는 연결부재;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 바디의 말단 상부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공과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 연결 본체를 매개로 연결되는 손잡이 작동 로드와, 상기 손잡이 작동 로드에 연동하도록 특정 각도를 갖도록 결합 고정되고, 상기 용변 배출 배관의 개방된 말단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설치되는 손잡이 연동 로드를 포함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환자가 배출하는 용변의 용이한 수거를 위한 용변 수거 비닐을 내장하여 배출하는 이중 관 형상으로, 내부의 중공이 상기 용변 배출 배관을 수용하는 형태로 삽입된 후 상기 연결 바디에 형성된 삽입부에 후면 외관이 삽입되고, 전면 외관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체결부재가 상기 결합 나사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변 배출 배관은,
상기 환자의 용변이 공급수와 함께 자중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배변기 본체의 하부에 나팔 형태로 라운드 경사진 배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 연동 로드가 상기 개폐부재의 설치 위치를 가변 하여 조정할 수 있는 마주하는 가이드 바 형태의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용변 배출 배관의 개방된 말단을 밀폐하는 원판 형태로 구성하되, 중심 부위에는 상기 손잡이 연동 로드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용변 배관 배관의 개방된 말단과 접촉되는 원판 부위에는 기밀한 밀폐를 위한 패킹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는,
전면은 밀폐되고 후면은 개방되는 이중 관 형상으로, 후면에서 개방되는 외관이 내관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밀폐된 전면의 중공 부위에는 환자의 용변으로 인한 냄새가 실내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용변 배출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배출되는 상기 용변 수거 비닐과 접촉하는 원형 튜브 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자용 침대는,
상기 침대 프레임의 등 받침부에는 환자가 누워서 머리를 감을 수 있는 머리 감는 통이 더 설치되고, 상기 등 받침부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등 받침 매트의 상부 등 받침 매트를 하부 등 받침 매트로 접을 때 상기 등 받침부에 설치되는 머리 감는 통이 사용될 수 있도록 노출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머리 감는 통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 또는 배관이 연결되는 호퍼 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환자용 침대 시스템은,
상기 환자용 침대의 침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급수를 저장하는 플라스틱 용기와, 상기 플라스틱 용기에 저장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를 통해 연결된 파이프로 공급수를 제공하기 위한 급수 장치;
상기 환자용 침대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를 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
상기 발 받침부의 중앙에 형성하되, 그 하부면 중심부에 톱니기어가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톱니기어에 연결되는 축기어와, 상기 축기어에 연결되는 감속기를 포함하고,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감속기의 구동에 의해 축기어에 치합 되는 톱니기어가 회전되면서 회전판이 자동으로 회전되는 전동식의 환자 이동장치; 및
상기 침대 프레임과 배변장치와 급수장치와 환자 이동장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 받침부가 구비되는 침대 프레임 단부에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다리판이 더 구비되되, 상기 다리판에 후크와 고리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따르면, 환자용 침대에 배변장치를 일체로 구성하되, 배변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 공과 연통되는 용변 배출 배관을 자중으로 용변이 흘러내리는 라운드 경사진 배관 구조로 구성하고, 용변 배출 배관의 개방된 말단을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간단한 조작으로 용변 배출을 위한 개폐가 가능하며, 환자가 배출하는 용변의 용이한 수거를 위한 용변 수거 비닐을 내장하여 배출하는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가 용변 배출 배관에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용변장치에 비해 청소가 용이하고 한 손으로 간단한 조작이 가능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하고, 본인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없는 중증 환자 및 치매 환자 등이 간병인이나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보조 없이 스스로 대/소변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용변을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환자 이동장치의 회전판을 이용한 이동이 불편한 환자가 휠체어 또는 침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변장치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변장치의 조립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변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용변 배출 배관과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의 체결 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등 받침부에 배치되는 머리 감는 통의 일례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샤워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급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이용하는 환자의 이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동식의 환자 이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평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변장치의 분해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변장치의 조립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배변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용변 배출 배관과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의 체결 단면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의 등 받침부에 배치되는 머리 감는 통의 일례의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샤워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급수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10)은, 환자용 침대(100), 및 배변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급수장치(300), 샤워기(400), 환자 이동장치(500), 제어부(600), 및 다리판(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자용 침대(100)는,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등 받침부(111)와 등 받침부(111)에 연결되는 둔부 받침부(112)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부(113)가 연결되는 다리 받침부(114)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상 구조의 침대 프레임(110)과, 침대 프레임(110)의 등 받침부(111)와 둔부 받침부(112)와 발 받침부(113)가 연결되는 다리 받침부(114)에 대응하여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등 받침 매트(121)와 둔부 받침 매트(122)와 발받침 매트(123) 및 다리받침 매트(124)를 구비하는 매트리스(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환자용 침대(100)는 침대 프레임(110)의 등 받침부(111)에는 환자가 누워서 머리를 감을 수 있는 머리 감는 통(115)이 더 설치되고, 등 받침부(111)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등 받침 매트(121)의 상부 등 받침 매트(121a)를 하부 등 받침 매트(121b)로 접을 때 등 받침부(111)에 설치되는 머리 감는 통(115)이 사용될 수 있도록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머리 감는 통(11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 또는 배관이 연결되는 호퍼 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7의 (a)는 등 받침부(111)에 설치되는 박스 형태의 머리 감는 통(115)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7의 (b)는 등 받침부(111)에 설치되는 배수용 호스가 연결되는 호퍼 형태의 머리 감는 통(115)을 나타내고 있다. 호퍼 형태의 머리 감는 통(115)은 호스를 매개로 연결되어 배수되고, 외부의 통을 통해 머리 감은 물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침대 프레임(110)은 등 받침부(111)와 둔부 받침부(112)와 발 받침부(113)가 연결되는 다리 받침부(114)의 프레임 형상 구조가 ㄷ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배변장치(200)는, 환자용 침대(100)의 침대 프레임(110)의 둔부 받침부(112) 상에 설치 구비되며, 환자가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보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배변장치(200)는 도 3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공(211)을 구비하는 배변기 본체(210)와, 배변기 본체(210)의 하부로 배출 공(211)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배변기 본체(210)의 배출 공(211)을 통해 공급수와 환자의 용변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용변 배출 배관(220)과, 용변 배출 배관(220)의 라인 상의 중간 부위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절곡 형성되어 용변 배출 배관(220)의 말단 부위까지 평행하게 배치되는 역 ㄱ자 형상의 연결 바디(231)와, 연결 바디(231)의 절곡되는 내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길이가 짧은 삽입부(232)와, 연결 바디(231)의 말단에 체결되는 결합 나사(233)와, 연결 바디(231)의 말단 상부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공(234)을 구비하는 연결부재(230)와, 연결부재(230)의 연결 바디(231)의 말단 상부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공(234)과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 연결 본체(241)를 매개로 연결되는 손잡이 작동 로드(242)와, 손잡이 작동 로드(242)에 연동하도록 특정 각도를 갖도록 결합 고정되고, 용변 배출 배관(220)의 개방된 말단을 개폐하는 개폐부재(243)가 설치되는 손잡이 연동 로드(244)를 포함하는 손잡이부(240), 및 환자가 배출하는 용변의 용이한 수거를 위한 용변 수거 비닐(251)을 내장하여 배출하는 이중 관 형상으로, 내부의 중공이 상기 용변 배출 배관(220)을 수용하는 형태로 삽입된 후 상기 연결 바디(231)에 형성된 삽입부(232)에 후면 외관이 삽입되고, 전면 외관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체결부재(252)가 상기 결합 나사(233)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용변 배출 배관(220)은 환자의 용변이 공급수와 함께 자중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배변기 본체(210)의 하부에 나팔 형태로 라운드 경사진 배관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240)는 손잡이 연동 로드(244)가 개폐부재(243)의 설치 위치를 가변 하여 조정할 수 있는 마주하는 가이드 바 형태의 구조로 구성되고, 개폐부재(243)는 용변 배출 배관(220)의 개방된 말단을 밀폐하는 원판 형태로 구성하되, 중심 부위에는 손잡이 연동 로드(244)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243a)를 구비하고, 용변 배관 배관(220)의 개방된 말단과 접촉되는 원판 부위에는 기밀한 밀폐를 위한 패킹부재(243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은 밀폐되고 후면은 개방되는 이중 관 형상으로, 후면에서 개방되는 외관이 내관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밀폐된 전면의 중공 부위에는 환자의 용변으로 인한 냄새가 실내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용변 배출 배관(220)을 감싸는 형태로 배출되는 용변 수거 비닐(251)과 접촉하는 원형 튜브 관(25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급수장치(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용 침대(100)의 침대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급수를 저장하는 플라스틱 용기(301)와, 플라스틱 용기(301)에 저장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302)와, 수중펌프(302)를 통해 연결된 파이프로 공급수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급수 장치(300)는 후술하게 될 샤워기(400)와 배변장치(200)의 배변기 본체(210)를 통해 공급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샤워기(400)는, 환자용 침대(100)의 일 측에 설치되어, 급수 장치(3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를 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환자 이동장치(500)는, 침대 프레임(110)의 단부에 구비되어 환자를 회동시키기 위한 환자 이동의 편의를 위해 회동하는 장치의 구성이다. 이러한 환자 이동장치(5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받침부(113)의 중앙에 형성하되, 그 하부면 중심부에 톱니기어(501)가 형성되는 회전판(502)과, 회전판(502)의 톱니기어(501)에 연결되는 축기어(503)와, 축기어(503)에 연결되는 감속기(504)를 포함하고, 제어부(600)의 제어 하에 감속기(504)의 구동에 의해 축기어(503)에 치합 되는 톱니기어(501)가 회전되면서 회전판(502)이 자동으로 회전되는 전동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침대 프레임(110)과 배변장치(200)와 급수장치(300)와 환자 이동장치(5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의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600)는 환자용 침대 시스템(10)에 구비되어 전자적으로 제어가 필요한 구성을 전자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유선상으로 연결되는 조작 패널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무선 형태의 리모컨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리판(700)은 발 받침부(113)가 구비되는 침대 프레임(110) 단부에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다리판(7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701)와 고리(702)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리판(700)은 침대 프레임(110)에서 휠체어(미도시)로 이동하거나, 휠체어에서 침대 프레임(110)으로 이동 시 환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개폐되는 구성이다. 또한, 다리판(70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으로 개방되는 구성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제한을 두지는 않으며, 상부로 분리가 가능한 통상의 구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을 이용하는 환자의 이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침대 시스템(10)의 환자용 침대(100)에서 생활하는 거동 및 이동이 불편한 환자, 노약자 또는 중증 환자가 제어부(600)의 조작패널의 키패드를 조작 및 제어하여 환자용 침대(100)의 침대 프레임(110)의 등 받침부(111) 및 다리 받침부(114)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의자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용 침대(100)를 사용하는 노약자 또는 환자가 앉은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리판(700)은 후크(701)와 고리(702)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침대 프레임(110)의 단부가 개폐 가능하게 되며, 다리판(700)이 개방되면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한 휠체어를 환자용 침대(100)의 다리 받침부(114)의 발 받침부(113) 측으로 일정 부분 인입되게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휠체어가 준비되어 위치되면, 의자 형태로 변환된 환자용 침대(100)에 앉은 자세를 취한 환자가 본인의 발을 다리 받침부(114)의 발 받침부(113) 중앙에 구비되는 회전판(502) 상에 위치시키고, 환자용 침대(100)의 좌, 우 측면 프레임을 양손으로 파지하면서 직립한 후 전동식의 환자 이동장치(50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를 통해 환자의 둔부가 환자용 침대(100)에서 휠체어의 좌석에 착석하여 휠체어를 통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환자용 침대 시스템(10)의 환자용 침대(100)에서 생활하는 환자가 환자 이동장치(500)를 통하여 침대에서 휠체어로의 이동이 본인 스스로 가능해지고, 이를 통한 간병인,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도움이 요구되지 않는 등 환자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휠체어의 이용이 완료된 후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를 환자용 침대(100)의 다리 받침부(114)의 발 받침부(113) 측으로 인입하여 위치시키고, 환자가 본인의 발을 다리 받침부(114)의 발 받침부(113)의 중앙에 구비되는 회전판(502)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환자용 침대(100)의 좌우측 프레임을 양손으로 파지하면서 환자 이동장치(500)의 전동식 구동으로 회전하여 환자의 둔부가 휠체어에서 침대로 향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에 적용되는 전동식의 환자 이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이동장치(500)는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환자의 이동 편의를 위해 회동하는 전동식 회동 장치로서, 발 받침부(113)의 중앙에 형성하되, 그 하부면 중심부에 톱니기어(501)가 형성되는 회전판(502)과, 회전판(502)의 톱니기어(501)에 연결되는 축기어(503)와, 축기어(503)에 연결되는 감속기(504)를 포함하고, 제어부(600)의 제어 하에 감속기(504)의 구동에 의해 축기어(503)에 치합 되는 톱니기어(501)가 회전되면서 회전판(502)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은, 환자용 침대에 배변장치를 일체로 구성하되, 배변기 본체의 하부로 배출 공과 연통되는 용변 배출 배관을 자중으로 용변이 흘러내리는 라운드 경사진 배관 구조로 구성하고, 용변 배출 배관의 개방된 말단을 개폐부재가 구비되는 손잡이부의 간단한 조작으로 용변 배출을 위한 개폐가 가능하며, 환자가 배출하는 용변의 용이한 수거를 위한 용변 수거 비닐을 내장하여 배출하는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가 용변 배출 배관에 체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용변장치에 비해 청소가 용이하고 한 손으로 간단한 조작이 가능한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거동이 불편하고, 본인 스스로 용변을 해결할 수 없는 중증 환자 및 치매 환자 등이 간병인이나 간호사 또는 보호자의 보조 없이 스스로 대/소변을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용변을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환자 이동장치의 회전판을 이용한 이동이 불편한 환자가 휠체어 또는 침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용 침대 시스템
100: 환자용 침대
110: 침대 프레임
111: 등 받침부
112: 둔부 받침부
113: 발 받침부
114: 다리 받침부
115: 머리 감는 통
120: 매트리스
121: 등 받침 매트
121a: 상부 등 받침 매트
121b: 하부 등 받침 매트
122: 둔부 받침 매트
123: 발 받침 매트
124: 다리 받침 매트
200: 배변장치
210: 배변기 본체
211: 배출 공
220: 용변 배출 배관
230: 연결부재
231: 연결 바디
232: 삽입부
233: 결합 나사
234: 체결 공
240: 손잡이부
241: 연결 본체
242: 손잡이 작동 로드
243: 개폐부재
243a: 체결부재
243b: 패킹부재
244: 손잡이 연동 로드
250: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
251: 용변 수거 비닐
252: 가이드 체결부재
253: 원형 튜브 관
300: 급수 장치
301: 플라스틱 용기
302: 수중펌프
303: 파이프
400: 샤워기
500: 환자 이동장치
501: 톱니기어
502: 회전판
503: 축기어
504: 감속기
600: 제어부(조작패널)
700: 다리판
701: 후크
702: 고리

Claims (8)

  1.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10)으로서,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등 받침부(111)와 상기 등 받침부(111)에 연결되는 둔부 받침부(112)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부(113)가 연결되는 다리 받침부(114)를 포함하는 프레임 형상 구조의 침대 프레임(110)과, 상기 침대 프레임(110)의 등 받침부(111)와 둔부 받침부(112)와 발 받침부(113)가 연결되는 다리 받침부(114)에 대응하여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등 받침 매트(121)와 둔부 받침 매트(122)와 발받침 매트(123) 및 다리받침 매트(124)를 구비하는 매트리스(120)를 포함하는 환자용 침대(100); 및
    상기 환자용 침대(100)의 침대 프레임(110)의 둔부 받침부(112) 상에 설치 구비되며, 환자가 누운 상태 또는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보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배변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배변장치(200)는,
    상기 환자의 용변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 공(211)을 구비하는 배변기 본체(210);
    상기 배변기 본체(210)의 하부로 배출 공(211)과 연통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배변기 본체(210)의 배출 공(211)을 통해 공급수와 환자의 용변이 흘러내리도록 하는 용변 배출 배관(220);
    상기 용변 배출 배관(220)의 라인 상의 중간 부위에 일단이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절곡 형성되어 상기 용변 배출 배관(220)의 말단 부위까지 평행하게 배치되는 역 ㄱ자 형상의 연결 바디(231)와, 상기 연결 바디(231)의 절곡되는 내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길이가 짧은 삽입부(232)와, 상기 연결 바디(231)의 말단에 체결되는 결합 나사(233)와, 상기 연결 바디(231)의 말단 상부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공(234)을 구비하는 연결부재(230);
    상기 연결부재(230)의 연결 바디(231)의 말단 상부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는 체결 공(234)과 나사 결합으로 고정되는 연결 본체(241)를 매개로 연결되는 손잡이 작동 로드(242)와, 상기 손잡이 작동 로드(242)에 연동하도록 특정 각도를 갖도록 결합 고정되고, 상기 용변 배출 배관(220)의 개방된 말단을 개폐하는 개폐부재(243)가 설치되는 손잡이 연동 로드(244)를 포함하는 손잡이부(240); 및
    상기 환자가 배출하는 용변의 용이한 수거를 위한 용변 수거 비닐(251)을 내장하여 배출하는 이중 관 형상으로, 내부의 중공이 상기 용변 배출 배관(220)을 수용하는 형태로 삽입된 후 상기 연결 바디(231)에 형성된 삽입부(232)에 후면 외관이 삽입되고, 전면 외관에 돌출되어 형성된 가이드 체결부재(252)가 상기 결합 나사(233)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25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 배출 배관(220)은,
    상기 환자의 용변이 공급수와 함께 자중으로 흘러내리도록 상기 배변기 본체(210)의 하부에 나팔 형태로 라운드 경사진 배관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240)는,
    상기 손잡이 연동 로드(244)가 상기 개폐부재(243)의 설치 위치를 가변 하여 조정할 수 있는 마주하는 가이드 바 형태의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재(243)는 상기 용변 배출 배관(220)의 개방된 말단을 밀폐하는 원판 형태로 구성하되, 중심 부위에는 상기 손잡이 연동 로드(244)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243a)를 구비하고, 상기 용변 배관 배관(220)의 개방된 말단과 접촉되는 원판 부위에는 기밀한 밀폐를 위한 패킹부재(243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변 수거 비닐 공급부(250)는,
    전면은 밀폐되고 후면은 개방되는 이중 관 형상으로, 후면에서 개방되는 외관이 내관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밀폐된 전면의 중공 부위에는 환자의 용변으로 인한 냄새가 실내로 역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용변 배출 배관(220)을 감싸는 형태로 배출되는 상기 용변 수거 비닐(251)과 접촉하는 원형 튜브 관(253)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침대(100)는,
    상기 침대 프레임(110)의 등 받침부(111)에는 환자가 누워서 머리를 감을 수 있는 머리 감는 통(115)이 더 설치되고, 상기 등 받침부(111)를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등 받침 매트(121)의 상부 등 받침 매트(121a)를 하부 등 받침 매트(121b)로 접을 때 상기 등 받침부(111)에 설치되는 머리 감는 통(115)이 사용될 수 있도록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감는 통(115)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 또는 배관이 연결되는 호퍼 형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용 침대 시스템(10)은,
    상기 환자용 침대(100)의 침대 프레임(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공급수를 저장하는 플라스틱 용기(301)와, 상기 플라스틱 용기(301)에 저장된 공급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중펌프(302)와, 상기 수중펌프(302)를 통해 연결된 파이프로 공급수를 제공하기 위한 급수 장치(300);
    상기 환자용 침대(100)의 일 측에 설치되어, 상기 급수 장치(300)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수를 환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샤워기(400);
    상기 발 받침부(113)의 중앙에 형성하되, 그 하부면 중심부에 톱니기어(501)가 형성되는 회전판(502)과, 상기 회전판(502)의 톱니기어(501)에 연결되는 축기어(503)와, 상기 축기어(503)에 연결되는 감속기(504)를 포함하고, 제어부(600)의 제어 하에 상기 감속기(504)의 구동에 의해 축기어(503)에 치합 되는 톱니기어(501)가 회전되면서 회전판(502)이 자동으로 회전되는 전동식의 환자 이동장치(500); 및
    상기 침대 프레임(110)과 배변장치(200)와 급수장치(300)와 환자 이동장치(5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 받침부(113)가 구비되는 침대 프레임(110) 단부에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다리판(7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다리판(700)에 후크(701)와 고리(702)로 이루어지는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임의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KR1020170030292A 2017-03-09 2017-03-09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KR101949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292A KR101949268B1 (ko) 2017-03-09 2017-03-09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US16/491,557 US11207230B2 (en) 2017-03-09 2017-06-23 Patient bed system including defecation device having improved piping structure
PCT/KR2017/006641 WO2018164319A1 (ko) 2017-03-09 2017-06-23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CN201780087257.7A CN110325161A (zh) 2017-03-09 2017-06-23 设置有配管结构得到改善的排便装置的患者用病床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292A KR101949268B1 (ko) 2017-03-09 2017-03-09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406A true KR20180103406A (ko) 2018-09-19
KR101949268B1 KR101949268B1 (ko) 2019-04-29

Family

ID=6344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292A KR101949268B1 (ko) 2017-03-09 2017-03-09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07230B2 (ko)
KR (1) KR101949268B1 (ko)
CN (1) CN110325161A (ko)
WO (1) WO201816431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3696A (zh) * 2020-12-24 2021-04-06 曹梅娟 用于大小便失禁患者的自动清理方法及自动清理床
KR102314802B1 (ko) * 2021-06-28 2021-10-20 (주)엘티 환자용 비데침대
KR20220112535A (ko) * 2021-02-04 2022-08-11 박찬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변처리 환자용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58825B (zh) * 2017-09-27 2019-05-11 名一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結合輪椅之照護床
US10821042B1 (en) * 2018-03-27 2020-11-03 Beatrice Williams Patient bed with mattress and integrated bed pan
CN110063855A (zh) * 2019-03-29 2019-07-30 吴正义 重病人智能护理设备
CN110840686A (zh) * 2019-11-14 2020-02-28 安徽上元新型家居材料有限公司 卧床患者便溺装置及制作方法
CN113476237A (zh) * 2021-08-09 2021-10-08 温州市人民医院 一种呼吸科用多功能医疗护理床
CN113842282A (zh) * 2021-09-29 2021-12-28 中国人民解放军总医院第八医学中心 一种神经外科重症监护组合式护理床
WO2023086804A1 (en) * 2021-11-10 2023-05-19 Carnegie Mellon University Automated perineal care system
CN114159247A (zh) * 2021-12-04 2022-03-11 河南孝道科技有限公司 一种护理床的全自动便后处理系统
CN114159246B (zh) * 2021-12-10 2023-05-23 南华大学附属第一医院 一种产科母婴多用病床
CN114344012B (zh) * 2022-01-12 2023-11-17 河南省精神病医院(新乡医学院第二附属医院) 一种神经内科患者排泄物收集清理装置
KR102524715B1 (ko) 2022-07-14 2023-05-02 진양메디 주식회사 환자용 비데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539A (ko) * 2010-05-04 2011-11-10 박신택 용변처리가 간편한 침대
KR20120078544A (ko) * 2010-12-30 2012-07-10 이앤에이웰(주) 환자용 기능성 침대
KR20120139242A (ko) * 2011-06-17 2012-12-27 임준우 배변 처리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20160000654A (ko) * 2014-06-25 2016-01-05 박찬호 환자용 침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68213A (en) * 1949-10-12 1952-03-12 Isadore Levin Combination flush-type toilet and bedpan
US5323497A (en) * 1993-09-16 1994-06-28 Lih Yin Peng Toilet seat lifting device
KR100856669B1 (ko) 2006-09-29 2008-09-26 (주)리파인드 환자용 침대
CN201239292Y (zh) * 2008-08-07 2009-05-20 王健 自动解便器
CN101433485B (zh) * 2008-12-05 2011-07-27 朱明谦 卧床病人自助排便床
CN102100623B (zh) * 2009-12-16 2013-05-15 林聪益 移位机
US9038215B2 (en) * 2012-09-13 2015-05-26 Ahmed I. S. I. Al-Jafar Bed with integral toilet
CN104688456A (zh) * 2013-12-04 2015-06-10 谢辅强 一种多用病床
CN204501310U (zh) * 2015-03-19 2015-07-29 衡水恒泽康医疗器械有限公司 新型轮椅护理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2539A (ko) * 2010-05-04 2011-11-10 박신택 용변처리가 간편한 침대
KR20120078544A (ko) * 2010-12-30 2012-07-10 이앤에이웰(주) 환자용 기능성 침대
KR20120139242A (ko) * 2011-06-17 2012-12-27 임준우 배변 처리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KR20160000654A (ko) * 2014-06-25 2016-01-05 박찬호 환자용 침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3696A (zh) * 2020-12-24 2021-04-06 曹梅娟 用于大小便失禁患者的自动清理方法及自动清理床
KR20220112535A (ko) * 2021-02-04 2022-08-11 박찬호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배변처리 환자용 침대
KR102314802B1 (ko) * 2021-06-28 2021-10-20 (주)엘티 환자용 비데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268B1 (ko) 2019-04-29
US11207230B2 (en) 2021-12-28
US20200030168A1 (en) 2020-01-30
CN110325161A (zh) 2019-10-11
WO2018164319A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268B1 (ko) 개선된 배관구조를 갖는 배변장치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시스템
KR101592963B1 (ko) 환자용 침대 시스템
JP2016022371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を装着した電動ベッド(autobedwithapparatusforevacuation)
US11089923B2 (en) Advanced hygienic excreta system
US10238559B1 (en) Hospital bed with sliding disposable toilet pan
US8171583B1 (en) Hospital bed with an integral bed pan
US5241712A (en) Invalid toliet seat
JP3127367B2 (ja) 多目的介護用ベッド
CN216168393U (zh) 辅助腿脚不便老人全自护理的床椅一体装置
CN111616883B (zh) 适用于护理床的马桶以及多功能智能护理床
CN111494117B (zh) 多功能智能护理床及其安装方法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JP2012519021A (ja) 身体障害患者のための支持ユニット
CN104382711A (zh) 护理装置及护理垫
KR20080101508A (ko) 환자용 침대
US11583147B2 (en) Advanced hygienic excreta system
KR101102513B1 (ko)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침대
CN204337182U (zh) 护理装置及护理垫
JP2003038369A (ja) 移動洗面台
EP2213271A1 (en) Apparatus for facilitating washing of a bedridden person
JP2003175084A (ja) 介護用ベッド
JP3183626B2 (ja) 介護用ベット
US20180353363A1 (en) Maryed healthcare solution bed
JP2000288035A (ja) 排便排尿全自動便器及びカプセル装置付寝台
US9422705B2 (en) Movable flushable toilet bow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