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310A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310A
KR20180103310A KR1020170030062A KR20170030062A KR20180103310A KR 20180103310 A KR20180103310 A KR 20180103310A KR 1020170030062 A KR1020170030062 A KR 1020170030062A KR 20170030062 A KR20170030062 A KR 20170030062A KR 20180103310 A KR20180103310 A KR 20180103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door
temperature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690B1 (ko
Inventor
원종보
이성제
오동훈
우상구
이동규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69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6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n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2001/00614Cooling of electronic units in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의 전장품 또는 승객실에 공급하는 공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조 유닛은 차량의 루프에 형성되고, 상기 전장품은 자율주행 차량의 주위 환경을 판단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공조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상기 전장품을 용이하게 공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장품과 승객에게 공조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장치(이하, 공조장치)는 공기의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을 그 장소의 사용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는 장치로서, 차량, 건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고, 특히 차량용 공조장치의 경우 차량의 승객실을 냉, 난방하거나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특히, 차량용 공조장치의 경우, 통상적으로 엔진의 열을 이용한 냉난방 유닛 및 송풍 유닛을 승객실의 전방 측에 구비하여 구성됨으로써,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승객실에 송풍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승객실 이외의 공간을 가열 또는 냉각시키도록 설계되고 있다. 즉, 요즈음에는, 전파에 가까운 성질을 가진 레이저광선을 사용하는 레이더인 라이더(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와 같은 전장품을 이용해 자율주행이 가능한 자율주행 차량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전장품은 사전에 결정된 온도 범위보다 낮거나 높은 온도 범위에서 작동될 경우 오작동을 일으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전장품은 각종 센서 장비를 포함함에 따라 그 센서 장비의 발열로 쉽게 과열되고, 통상적으로 주변 사물을 용이하게 인식하기 위해 차량의 루프(roof)에 구비됨에 따라 일사, 외기온에 노출되어 쉽게 과열 또는 과냉됨에 따라, 쉽게 오작동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최근에는 차량용 공조장치가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와 유사하게 승객실의 전방 측에 구비되어 승객실을 공조하되, 상기 전장품이 구비되는 공간까지 연통되어 그 공간까지 공조 가능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는, 승객실의 전방 측으로부터 루프까지 공조라인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전장품이 구비되는 공간을 공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장품이 과열 또는 과냉되어 그 전장품이 오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47215호
따라서, 본 발명은, 공조라인을 형성하기 용이하고, 전장품이 구비되는 공간을 용이하게 공조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의 전장품 또는 승객실에 공급하는 공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조 유닛은 차량의 루프에 형성되고, 상기 전장품은 자율주행 차량의 주위 환경을 판단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한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전장품에 냉각된 공기만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루프에는 차량의 외부공간, 상기 전장품이 구비되는 제1 내부공간 및 승객실인 제2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루프 덕트가 형성되고,상기 공조 유닛은 상기 루프 덕트에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1 내부공간의 온도 및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1 내부공간의 실제 온도인 제1 실측 온도와 그 제1 내부공간의 목표 온도인 제1 목표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의 실제 온도인 제2 실측 온도와 그 제2 내부공간의 목표 온도인 제2 목표 온도를 비교하고, 상기 제1 실측 온도가 상기 제1 목표 온도와 같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2 실측 온도가 상기 제2 목표 온도와 같아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1 실측 온도가 상기 제1 목표 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2 실측 온도가 상기 제2 목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상기 제2 내부공간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1 실측 온도가 상기 제1 목표 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2 실측 온도가 상기 제2 목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1 실측 온도가 상기 제1 목표 온도보다 높고, 상기 제2 실측 온도가 상기 제2 목표 온도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1 실측 온도가 상기 제1 목표 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2 실측 온도가 상기 제2 목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1 실측 온도가 상기 제1 목표 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2 실측 온도가 상기 제2 목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상기 제2 내부공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1 실측 온도가 상기 제1 목표 온도보다 낮고, 상기 제2 실측 온도가 상기 제2 목표 온도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1 실측 온도가 상기 제1 목표 온도와 같고, 상기 제2 실측 온도가 상기 제2 목표 온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고, 상기 제2 내부공간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1 실측 온도가 상기 제1 목표 온도와 같고, 상기 제2 실측 온도가 상기 제2 목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고, 상기 제2 내부공간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제1 실측 온도가 상기 제1 목표 온도와 같고, 상기 제2 실측 온도가 상기 제2 목표 온도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과 상기 제2 내부공간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의 전장품 또는 승객실에 공급하는 공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공조 유닛은 차량의 루프에 형성되고, 상기 전장품은 자율주행 차량의 주위 환경을 판단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공조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하고, 상기 전장품을 용이하게 공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계통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1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제어방법의 제2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제어방법의 제3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4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5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6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2의 제어방법의 제7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8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9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도시한 계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1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어방법의 제2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제어방법의 제3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4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5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6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제어방법의 제7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8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2의 제어방법의 제9 모드에서 도 1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자율주행 차량의 라이더와 같은 전장품(200)이 구비되는 루프(100)에 형성되는 루프 덕트(300) 및 상기 루프 덕트(300)의 공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루프(100)에 형성되는 루프 공조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프 덕트(300)는 상기 루프(100)에서 차량의 외부공간(S2), 상기 전장품(200)이 구비되는 제1 내부공간(S11) 및 승객실인 제2 내부공간(S12)과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루프 덕트(300)는 서로 분리된 제1 유로(310) 및 제2 유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310)는 후술할 증발기(414)를 수용하면서 상기 제1 내부공간(S11), 상기 제2 내부공간(S12) 및 상기 외부공간(S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그 증발기(414)를 관류시킨 후 상기 제1 내부공간(S11), 상기 제2 내부공간(S12) 및 상기 외부공간(S2)으로 토출하기 위한 유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유로(310)는, 후술할 증발기(414)와 그 증발기(414)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송풍하는 제1 송풍기(421)가 수용되는 제1 유로 열교환부(315), 상기 제1 유로 열교환부(315)의 상류 측에 형성되는 제1 유로 입구부 및 상기 제1 유로 열교환부(315)의 하류 측에 형성되는 제1 유로 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 입구부는,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공기를 상기 제1 유로(310)로 안내하는 제1 유로 제1 입구(311),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공기를 상기 제1 유로(310)로 안내하는 제1 유로 제2 입구(312) 및 상기 외부공간(S2)의 공기를 상기 제1 유로(310)로 안내하는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로 입구부는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와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가 합류되는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와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가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보다 상류 측에서 합류되어,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가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와 합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유로 입구부에는 후술할 제1 유로 제1 도어(431a) 및 후술할 제1 유로 제2 도어(431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 출구부는, 상기 제1 유로(310)의 공기를 상기 제1 내부공간(S11)으로 토출하는 제1 유로 제1 출구(319), 상기 제1 유로(310)의 공기를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토출하는 제1 유로 제2 출구(318) 및 상기 제1 유로(310)의 공기를 상기 외부공간(S2)으로 토출하는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유로 출구부는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로부터 분기되는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가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와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보다 상류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로부터 분기된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가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와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로 다시 분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유로 출구부에는 후술할 제1 유로 제3 도어(431c) 및 후술할 제1 유로 제4 도어(431d)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320)는 후술할 응축기(412)를 수용하면서 상기 제1 내부공간(S11), 상기 제2 내부공간(S12) 및 상기 외부공간(S2)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그 응축기(412)를 관류시킨 후 상기 제1 내부공간(S11), 상기 제2 내부공간(S12) 및 상기 외부공간(S2)으로 토출하기 위한 유로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유로(320)는, 후술할 응축기(412)와 그 응축기(412)의 상류 측으로부터 하류 측으로 송풍하는 제2 송풍기(422)가 수용되는 제2 유로 열교환부(325), 상기 제2 유로 열교환부(325)의 상류 측에 형성되는 제2 유로 입구부 및 상기 제2 유로 열교환부(325)의 하류 측에 형성되는 제2 유로 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 입구부는,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공기를 상기 제2 유로(320)로 안내하는 제2 유로 제1 입구(321),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공기를 상기 제2 유로(320)로 안내하는 제2 유로 제2 입구(322) 및 상기 외부공간(S2)의 공기를 상기 제2 유로(320)로 안내하는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로 입구부는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와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가 합류되는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와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가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보다 상류 측에서 합류되어,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가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와 합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유로 입구부에는 후술할 제2 유로 제1 도어(432a) 및 후술할 제2 유로 제2 도어(432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 출구부는, 상기 제2 유로(320)의 공기를 상기 제1 내부공간(S11)으로 토출하는 제2 유로 제1 출구(329), 상기 제2 유로(320)의 공기를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토출하는 제2 유로 제2 출구(328) 및 상기 제2 유로(320)의 공기를 상기 외부공간(S2)으로 토출하는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유로 출구부는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로부터 분기되는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가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와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보다 상류 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로부터 분기된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가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와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로 다시 분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유로 출구부에는 후술할 제2 유로 제3 도어(432c) 및 후술할 제2 유로 제4 도어(432d)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루프 공조 유닛(400)은, 상기 루프 덕트(300)의 공기를 가열 및 냉각하기 위한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기구 및 상기 루프 덕트(300)의 유로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기구는 상기 루프(100)에 수용되도록 형성되고, 저온저압의 기체상태의 냉매에 일을 가해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 변화시키는 압축기(미도시), 상기 압축기(미도시)에서 변화된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의 냉매로부터 열을 외부로 전달하여 중온고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로 변화시키는 응축기(412), 상기 응축기(412)에서 변화된 중온고압의 액체냉매를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로 변화시키는 팽창수단(미도시), 상기 팽창수단(미도시)에서 변화된 저온저압의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변화시키면서 외부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414) 및 상기 압축기(미도시), 상기 응축기(412), 상기 팽창수단(미도시) 및 상기 증발기(414)를 통과하는 냉매 유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기구는, 상기 제1 유로(310)를 제어하는 제1 유로 도어 기구 및 상기 제2 유로(320)를 제어하는 제2 유로 도어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 도어 기구는,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와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1 유로 제1 도어(431a),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보다 하류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1 유로 제2 도어(431b),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보다 하류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와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1 유로 제3 도어(431c) 및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보다 하류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와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1 유로 제4 도어(43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와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동 가능한 플랩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는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의 개도량과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의 개도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 측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를 완전히 개방하면서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 및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 측 격벽으로부터 모두 이격되어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를 일부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일부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와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동 가능한 플랩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는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의 개도량과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의 개도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 열교환부(315) 측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완전히 개방하면서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와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동 가능한 플랩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는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의 개도량과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의 개도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 열교환부(315) 측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완전히 개방하면서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는, 일단부가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와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동 가능한 플랩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는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의 개도량과 상기 제1 유로(310) 제2 츨구의 개도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 측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를 완전히 개방하면서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 및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 측 격벽으로부터 모두 이격되어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를 일부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일부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 도어 기구는,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와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2 유로 제1 도어(432a),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보다 하류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2 유로 제2 도어(432b),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보다 하류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와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2 유로 제3 도어(432c) 및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보다 하류 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와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의 개도량을 조절하는 제2 유로 제4 도어(432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는, 일단부가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와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동 가능한 플랩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는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의 개도량과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의 개도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 측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를 완전히 개방하면서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 및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 측 격벽으로부터 모두 이격되어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를 일부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일부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는, 일단부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와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동 가능한 플랩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는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의 개도량과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의 개도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유로 열교환부(325) 측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완전히 개방하면서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는, 일단부가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와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동 가능한 플랩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는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의 개도량과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의 개도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유로 열교환부(325) 측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완전히 개방하면서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는, 일단부가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와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 사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동 가능한 플랩 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는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의 개도량과 상기 제2 유로(320) 제2 츨구의 개도량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를 폐쇄하면서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고,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의 타단부가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 측 격벽에 접촉되어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를 완전히 개방하면서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의 타단부가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 사이 격벽 및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 측 격벽으로부터 모두 이격되어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를 일부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일부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루프 공조 유닛(400)은, 상기 제1 내부공간(S11)과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 각각 최적의 온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 검출기(미도시),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검출기(미도시) 및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온도와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방법에 따라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상기 제1 검출기(미도시)로 측정된 제1 실측 온도(T1)와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목표 온도로 사전에 설정된 제1 목표 온도(T1’)를 비교하고, 상기 제2 검출기(미도시)로 측정된 제2 실측 온도(T2)와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목표 온도로 사전에 설정된 제2 목표 온도(T2’)를 비교하여, 사전에 설정된 제1 모드 내지 제9 모드로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높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높은 경우, 제1 모드로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드의 경우,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가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와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가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가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와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가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는 나중 동작을 실행할 때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와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 역시 나중 동작의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와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높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낮은 경우, 제2 모드로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의 경우,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가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가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가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가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가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가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높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와 같은 경우, 제3 모드로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의 경우,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가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가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가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가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는 나중 동작을 실행할 때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와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 역시 나중 동작의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와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낮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높은 경우, 제4 모드로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모드의 경우,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가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가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가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가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가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가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도 2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낮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낮은 경우, 제5 모드로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5 모드의 경우,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가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가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와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가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가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와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는 나중 동작을 실행할 때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와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 역시 나중 동작의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와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낮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와 같은 경우, 제6 모드로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6 모드의 경우,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가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가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가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가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는 나중 동작을 실행할 때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와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 역시 나중 동작의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와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도 2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와 같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높은 경우, 제7 모드로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7 모드의 경우,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가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가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가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가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는 나중 동작을 실행할 때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와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 역시 나중 동작의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와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와 같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낮은 경우, 제8 모드로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8 모드의 경우,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가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가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가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가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는 나중 동작을 실행할 때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와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 역시 나중 동작의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와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도 2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와 같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와 높은 경우, 제9 모드로 상기 도어 기구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9 모드의 경우, 상기 제1 유로 제2 도어(431b)가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를 폐쇄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3 도어(431c)가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개방하고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2 도어(432b)가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를 폐쇄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3 도어(432c)가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개방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나중 동작의 응답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1 유로 제1 도어(431a)는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와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유로 제4 도어(431d)는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와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유로 제1 도어(432a)는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와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유로 제4 도어(432d)는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와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모두 개방하는 상태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송풍기(421) 및 상기 제2 송풍기(422)는 공조 성능 및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각각의 풍속 및 풍량이 상기 제어기(미도시)에 의해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즉, 차량용 공조장치가 작동되면, 상기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기구가 냉매를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검출기(미도시)는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온도인 상기 제1 실측 온도(T1)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미도시)로 전송하고, 상기 제2 검출기(미도시)는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온도인 상기 제2 실측 온도(T2)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미도시)는 상기 제1 실측 온도(T1)와 사전에 설정된 상기 제1 목표 온도(T1’)를 비교하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와 사전에 설정된 상기 제2 목표 온도(T2’)를 비교하여, 상기 도어 기구를 상기 제1 모드 내지 상기 제9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기구에 의해 유로가 제어되는 상기 제1 유로(310)와 상기 제2 유로(320)를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응축기(412) 또는 상기 증발기(414)를 관류한 후 상기 제1 내부공간(S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온도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온도가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전장품(200) 및 승객에게 각각 최적의 온도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부공간(S11)과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 모두 냉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1 모드로 운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공기와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공기가 각각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 및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로 흡입되어 합류된 후 상기 증발기(414)를 관류하고, 상기 증발기(414)를 관류한 공기는 분기되어, 일부가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를 통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으로 토출되어 그 제1 내부공간(S11)에 냉방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장품(20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부가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통해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토출되어 그 제2 내부공간(S12)에 냉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가 상기 응축기(412)를 관류한 후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폐열(온열)이 상기 제1 내부공간(S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냉방이 필요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는 난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2 모드로 운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공기가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414)를 관류한 후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를 통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으로 토출되어 그 제1 내부공간(S11)에 냉방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장품(20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공기가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로 흡입되어 상기 응축기(412)를 관류한 후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통해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토출되어 그 제2 내부공간(S12)에 난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414)에서 발생되는 냉열은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냉방에 사용되고, 상기 응축기(412)에서 발생되는 온열은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난방에 사용되므로, 폐열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냉방이 필요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는 냉방 및 난방 모두 불필요한 경우, 상기 제3 모드로 운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공기가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414)를 관류한 후 상기 제1 유로 제1 출구(319)를 통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으로 토출되어 그 제1 내부공간(S11)에 냉방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장품(20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 및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가 모두 폐쇄되어,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는 냉방 및 난방이 모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가 상기 응축기(412)를 관류한 후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폐열(온열)이 상기 제1 내부공간(S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난방이 필요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 냉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4 모드로 운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공기가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로 흡입되어 상기 응축기(412)를 관류한 후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를 통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으로 토출되어 그 제1 내부공간(S11)에 난방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장품(200)이 과냉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그 전장품(200)을 예열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공기가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414)를 관류한 후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통해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토출되어 그 제2 내부공간(S12)에 냉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증발기(414)에서 발생되는 냉열은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냉방에 사용되고, 상기 응축기(412)에서 발생되는 온열은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난방에 사용되므로, 폐열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부공간(S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 모두 난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5 모드로 운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공기와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공기가 각각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 및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로 흡입되어 합류된 후 상기 응축기(412)를 관류하고, 상기 응축기(412)를 관류한 공기는 분기되어, 일부가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를 통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으로 토출되어 그 제1 내부공간(S11)에 난방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장품(200)이 과냉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그 전장품(200)을 예열하고, 일부가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통해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토출되어 그 제2 내부공간(S12)에 난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가 상기 증발기(414)를 관류한 후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폐열(냉열)이 상기 제1 내부공간(S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난방이 필요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 냉방 및 난방이 모두 불필요한 경우, 상기 제6 모드로 운전됨에 따라,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공기가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로 흡입되어 상기 응축기(412)를 관류한 후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를 통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으로 토출되어 그 제1 내부공간(S11)에 난방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장품(200)이 과냉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그 전장품(200)을 예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 및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가 모두 폐쇄되어,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는 냉방 및 난방이 모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가 상기 증발기(414)를 관류한 후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폐열(냉열)이 상기 제1 내부공간(S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냉방 및 난방이 모두 불필요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 냉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7 모드로 운전됨에 따라,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공기가 상기 제1 유로 제2 입구(312)로 흡입되어 상기 증발기(414)를 관류한 후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를 통해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토출되어 그 제2 내부공간(S12)에 냉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로 제1 입구(311), 상기 제1 유로 제2 출구(318),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 및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가 모두 폐쇄되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는 냉방 및 난방이 모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가 상기 응축기(412)를 관류한 후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폐열(온열)이 상기 제1 내부공간(S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냉방 및 난방이 모두 불필요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 난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8 모드로 운전됨에 따라,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공기가 상기 제2 유로 제2 입구(322)로 흡입되어 상기 응축기(412)를 관류한 후 상기 제2 유로 제2 출구(328)를 통해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토출되어 그 제2 내부공간(S12)에 난방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 상기 제2 유로 제1 입구(321) 및 상기 제2 유로 제1 출구(329)가 모두 폐쇄되어,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는 냉방 및 난방이 모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가 상기 증발기(414)를 관류한 후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폐열(냉열)이 상기 제1 내부공간(S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부공간(S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 냉방 및 난방이 모두 불필요한 경우, 상기 제9 모드로 운전됨에 따라, 상기 제1 유로 제1 합류부(313), 상기 제1 유로 제1 분기부(317), 상기 제2 유로 제1 합류부(323) 및 상기 제2 유로 제1 분기부(327)가 모두 폐쇄되어, 상기 제1 내부공간(S11)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에 냉방 및 난방이 모두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유로 제3 입구(314)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가 상기 증발기(414)를 관류한 후 상기 제1 유로 제3 출구(316)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2 유로 제3 입구(324)를 통해 흡입되는 외기가 상기 응축기(412)를 관류한 후 상기 제2 유로 제3 출구(326)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증기 압축 냉동 사이클 기구가 중지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전장품(200) 및 승객에게 각각 최적의 온도를 제공함에 따라, 승객에게 쾌적함을 제공하면서, 상기 전장품(200)의 과열 및 과냉을 방지하고 오작동을 방지하여 자율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는 상기 루프(100)에 형성됨에 따라, 공조라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1 내부공간(S11)과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을 용이하게 공조할 수 있다.
100: 루프 200: 전장품
300: 루프 덕트 310: 제1 유로
311: 제1 유로 제1 입구 312: 제1 유로 제2 입구
313: 제1 유로 제1 합류부 314: 제1 유로 제3 입구
316: 제1 유로 제3 출구 317: 제1 유로 제1 분기부
318: 제1 유로 제2 출구 319: 제1 유로 제1 출구
320: 제2 유로 321: 제2 유로 제1 입구
322: 제2 유로 제2 입구 323: 제2 유로 제1 합류부
324: 제2 유로 제3 입구 326: 제2 유로 제3 출구
327: 제2 유로 제1 분기부 328: 제2 유로 제2 출구
329: 제2 유로 제1 출구 400: 루프 공조 유닛
412: 응축기 414: 증발기
421: 제1 송풍기 422: 제2 송풍기
431a: 제1 유로 제1 도어 431b: 제1 유로 제2 도어
431c: 제1 유로 제3 도어 431d: 제1 유로 제4 도어
432a: 제2 유로 제1 도어 432b: 제2 유로 제2 도어
432c: 제2 유로 제3 도어 432d: 제2 유로 제4 도어
S2: 외부공간 S11: 제1 내부공간
S12: 제2 내부공간 T1: 제1 실측 온도
T1’: 제1 목표 온도 T2: 제2 실측 온도
T2’: 제2 목표 온도

Claims (14)

  1.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차량의 전장품 또는 승객실에 공급하는 공조 유닛(400)을 포함하고,
    상기 공조 유닛(400)은 차량의 루프(100)에 형성되고,
    상기 전장품은 자율주행 차량의 주위 환경을 판단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품에 냉각된 공기만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100)에는 차량의 외부공간(S2), 상기 전장품(200)이 구비되는 제1 내부공간(S11) 및 승객실인 제2 내부공간(S12)과 연통되는 루프 덕트(300)가 형성되고,
    상기 공조 유닛(400)은 상기 루프 덕트(300)에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온도 및 상기 제2 내부공간(S12)의 온도를 독립적으로 제어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공간(S11)의 실제 온도인 제1 실측 온도(T1)와 그 제1 내부공간(S11)의 목표 온도인 제1 목표 온도(T1’)를 비교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22)의 실제 온도인 제2 실측 온도(T2)와 그 제2 내부공간(S22)의 목표 온도인 제2 목표 온도(T2’)를 비교하고,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와 같아지도록 하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와 같아지도록 조절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높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S11)과 상기 제2 내부공간(S22)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높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22)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높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22)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낮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22)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낮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S11)과 상기 제2 내부공간(S22)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보다 낮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2 내부공간(S22)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와 같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높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고, 상기 제2 내부공간(S22)에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와 같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S11)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고, 상기 제2 내부공간(S22)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1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측 온도(T1)가 상기 제1 목표 온도(T1’)와 같고, 상기 제2 실측 온도(T2)가 상기 제2 목표 온도(T2’)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내부공간(S11)과 상기 제2 내부공간(S22)에 공기를 공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70030062A 2017-03-09 2017-03-09 차량용 공조장치 KR102236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62A KR102236690B1 (ko) 2017-03-09 2017-03-09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62A KR102236690B1 (ko) 2017-03-09 2017-03-09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310A true KR20180103310A (ko) 2018-09-19
KR102236690B1 KR102236690B1 (ko) 2021-04-06

Family

ID=63719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062A KR102236690B1 (ko) 2017-03-09 2017-03-09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66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17A (ko) 2019-06-18 2020-12-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WO2021156311A1 (de) * 2020-02-05 2021-08-12 Webasto SE Dachmodul für ein kraftfahrzeug, umfassend sensori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270A (ko) * 2010-05-17 2011-11-23 한라공조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공조장치
JP2014061876A (ja) * 2012-09-20 2014-04-1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自動車の空調システム
KR20150047215A (ko) 2013-10-24 2015-05-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형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타겟 차량 감지 장치 및 회전형 라이다 센서
KR20160050910A (ko) * 2014-10-31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버스 배터리팩 냉각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270A (ko) * 2010-05-17 2011-11-23 한라공조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공조장치
JP2014061876A (ja) * 2012-09-20 2014-04-10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自動車の空調システム
KR20150047215A (ko) 2013-10-24 2015-05-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회전형 라이다 센서를 이용한 타겟 차량 감지 장치 및 회전형 라이다 센서
KR20160050910A (ko) * 2014-10-31 2016-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버스 배터리팩 냉각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4317A (ko) 2019-06-18 2020-12-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탁자형 공조장치
WO2021156311A1 (de) * 2020-02-05 2021-08-12 Webasto SE Dachmodul für ein kraftfahrzeug, umfassend sensori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6690B1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6033B2 (ja)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の設定温度維持装置
JP5833095B2 (ja) 暖房、換気および/または空調ループ、およびこのような暖房、換気および/または空調ループを含む暖房、換気および/または空調装置
WO2014129097A1 (ja) 冷却システム
WO2013136693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17133823A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1669826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EP2869001B1 (en) Heat pump cycle
JP6075058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EP3025884A1 (en) Vehicular air conditioning device, and constituent unit thereof
US10059168B2 (en) Vehicle air conditioner device
WO2020110509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WO2019003694A1 (ja) 空調装置
CN107584991B (zh) 用于车辆的空气调节装置
WO2014024376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
WO2020100410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180103310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18858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510116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101418857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JP2016060300A (ja) 車両用空調装置
WO2017130845A1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KR101578101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JP2000280733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1418856B1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CN111511592A (zh) 车辆用空调装置以及车辆用空调装置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