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3298A - 네일 아트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네일 아트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3298A
KR20180103298A KR1020170030033A KR20170030033A KR20180103298A KR 20180103298 A KR20180103298 A KR 20180103298A KR 1020170030033 A KR1020170030033 A KR 1020170030033A KR 20170030033 A KR20170030033 A KR 20170030033A KR 20180103298 A KR20180103298 A KR 20180103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work
unit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196B1 (ko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170030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5196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22Finger-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4Cleaning by suction, with or without auxiliary 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일 아트용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시술자와 피시술자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상면이 오목하게 작업공간이 마련된 작업대; 및 투명한 재질로 상기 작업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는,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송풍되도록 송풍팬을 구비한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연접하여 상기 작업공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의 송풍에 의해 상기 작업공간의 이물질 및 공기를 흡수하는 흡진부; 및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흡진부로터 배출되는 이물질 및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풍부와 흡진부 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과정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과 도료 냄새를 벤추리 작용에 의해 작업공간으로부터 별다른 노력없이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일 아트용 테이블{TABLE FOR NAIL ART}
본 발명은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일 아트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일 아트란 손톱에 각종 문양이나 색상을 칠하여 미용상 미려한 손톱으로 가꾸는 일종의 미용기술 중 하나이다.
최근 네일 아트를 전문으로 하는 점포 또는 샵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네일 아트는 시술자가 피시술자의 손톱을 가꿀 수 있는 테이블이 작업대로써 이용되고 있다.
시술자는 작업대에서 피시술자의 손톱에 도료를 발라 문양이나 색상을 입히고, 작업이 끝나면 피시술자는 상기 도료를 건조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등록실용신안 제0357121호에서는 작업대와 건조기를 하나로 한 네일아트용 테이블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등록실용신안 제0357121호는 상기 작업대에서 네일 아트가 실시될 경우, 피시술자의 손톱이나 피부에서 떨어져 나오는 손톱조각이나 피부의 조직과 같은 이물질 또는 손톱에 도포된 도료로 인한 냄새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357121 Y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과정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과 도료 냄새를 작업공간으로부터 별다른 노력없이 손쉽게 제거함으로써, 피시술자가 작업에만 집중할 수 있고 작업공간의 청결유지가 가능하도록 송풍부와 흡진부 및 배출부를 구비한 네일 아트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공간의 하측에 흡진부를 배치하고, 상기 이물질 또는 도료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벤추리 작용을 통해 작업공간으로부터 빨아들여 작업공간에 유입 또는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피시술자의 손톱에 도포된 도료를 건조시키는 네일 아트용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은, 시술자와 피시술자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상면이 오목하게 작업공간이 마련된 작업대; 및 투명한 재질로 상기 작업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는,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송풍되도록 송풍팬을 구비한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연접하여 상기 작업공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의 송풍에 의해 상기 작업공간의 이물질 및 공기를 흡수하는 흡진부; 및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흡진부로터 배출되는 이물질 및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작업대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복수 개가 준비되고, 어느 한 작업대의 송풍부는 그와 이웃하는 작업대의 배출부와 연결 및 연통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진부는 벤추리 작용에 의해 상기 작업공간의 이물질 및 공기를 흡수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흡진부는, 구멍이 형성되고 작업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작업판; 상기 작업판 하측에서 상기 작업판과 집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집진공간이 상기 작업공간과 연통되며 끝단이 상기 배출부를 향해 절곡된 집진부; 및 상기 송풍부로부터 상기 배출부까지 연통되고 어느 일부가 축관되는 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집진부의 끝단이 관통함으로써 내부가 상기 집진공간과 연통되는 제1벤추리관;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흡진부는, 상기 제1벤추리관 내부에 수용되고 일단이 상기 송풍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축관부까지 이어지는 제2벤추리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벤추리관은, 양단이 상기 송풍부와 상기 배출부를 향하도록 직선의 길이를 갖고,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출부는, 상기 흡진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진부 내부의 이물질 또는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는 배출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출부는, 상기 흡진부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 또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 발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풍부와 흡진부 및 배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작업과정 중에 발생하는 이물질과 도료 냄새를 벤추리 작용에 의해 작업공간으로부터 별다른 노력없이 손쉽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시술자는 작업공간 내의 이물질 또는 도료 냄새를 신경쓸 필요없이 작업에만 집중가능하고, 작업공간의 청결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벤추리 작용을 통해 작업공간 내의 이물질과 도료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를 제거함으로써 외부의 공기 유입 및 공기 유동에 따라 피시술자의 손톱에 도포된 도료를 건조시킬 수 있어 별도의 건조과정이 불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2의 (b)는 도 1을 평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을 나타낸 도 1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을 나타낸 도 1의 B-B´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도 1을 정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며, 도 2의 (b)는 도 1을 평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의 (a) 및 도 2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은 피시술자의 손톱에 대하여 미용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공간(110)이 마련된 작업대(100)와 커버(200)가 마련될 수 있다.
작업대(100)는 시술자와 피시술자가 상기 개구를 통해 입수(入手)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작업공간(110)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작업대(100)는 시술자와 피시술자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의 양측이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공간(110)의 바닥을 이루는 작업판(120)이 구비될 수 있다.
작업판(120)은 구멍(121)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구멍(121)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후술하는 집진부(410)의 크기나 형태에 대응하여 작업판(12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는 작업판(120)에 구멍(121)이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가로로 배열되어 있다. 이때, 후술하는 집진부(410)는 가로로 배열된 구멍(121)을 하측에서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구멍(121)의 배치 및 배열은 상기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작자의 선택사항으로 집진부(410)의 크기나 형태와 함께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작업공간(110)의 상부에는 커버(200)가 배치될 수 있고, 커버(200)는 외부의 이물질이 작업공간(110)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200)가 안착되도록 커버(200)는 작업공간(11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작업대(100)의 작업공간(110) 측에는 커버(200)가 장착되도록 단턱(미도시) 또는 슬라이딩 홈(미도시) 등이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술자가 작업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커버(2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작업대(100)는 송풍부(300)와 흡진부(400) 및 배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은 작업판(120)이 천장(天障)을 이루도록 작업공간(110) 또는 작업판(120)의 하측에 위치하는 흡진부(400)를 중심으로 양측에 송풍부(300)와 배출부(500)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송풍부(300)와 흡진부(400) 및 배출부(500)는 시술자 또는 피시술자를 기준으로 좌에서 우 또는 우에서 좌 방향으로 즉,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송풍부(300)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송풍팬(310)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300)는 상기 내부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일측이 개구된 유입구(320)가 마련되고, 외부의 공기가 유입구(320)를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320)에는 그릴(grill)이 배치될 수 있다.
흡진부(400)는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흡진부(400)는 벤추리 작용에 의해 작업공간(110)의 이물질 및 공기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집진부(410)와 제1벤추리관(42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진부(400)는 송풍부(300)와 연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작업공간(110)의 하부 즉, 작업판(120)의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흡진부(400)는 송풍부(300)의 송풍에 의해 작업공간(110)의 이물질 및 공기를 흡진(吸塵)할 수 있다.
집진부(410)는 작업판(1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작업판(120)과 함께 집진공간(411)을 형성할 수 있다. 집진공간(411)은 작업판(120)에 형성된 구멍(121)을 통해 작업공간(110)과 연통될 수 있다. 집진부(410)의 끝단은 후술하는 제1벤추리관(420)을 관통하며 배출부(500)를 향해 절곡될 수 있다. 즉, 집진부(410)는 깔대기와 같이 후술하는 제1벤추리관(420)을 향하여 테이퍼진 형상일 수 있다.
제1벤추리관(420)은 일측이 송풍부(300)와 연결되고 타측이 후술하는 배출부(500)와 연결되며 송풍팬(310)과 배출팬(510)을 통해 상기 타측 방향으로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벤추리관(420)은 양단이 송풍부(300)와 배출부(500)를 각각 향하도록 미리 정해진 두께와 크기를 갖는 관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벤추리관(420)은 직선방향 즉, 송풍부(300)에서 배출부(500)를 향한 방향으로 흡진부(4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흡진부(400)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도 3과 도 5에는 송풍팬(310)이 복수 개의 제1벤추리관(420)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송풍부(300)에 하나의 송풍팬(310)이 배치되어 복수 개의 제1벤추리관(420) 각각에 송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송풍팬(310)이 송풍하는 공기를 복수 개의 제1벤추리관(420) 각각으로 이동시키도록 분기되는 관체를 이용할 수 있다.
제1벤추리관(420)은 외면 어느 일부가 움푹 패여 축관(縮管)된 축관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벤추리관(420)의 내부 역시 축관부(421)와 대응하는 지점에서 상기 공기 유로가 좁아질 수 있다.
축관부(421)의 어느 일부는 외부에서 내부로 집진부(410)의 끝단이 관통하고, 축관부(421) 또는 제1벤추리관(420)의 내부는 집진공간(411)과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집진부(410)의 끝단은 배출부(500)를 향하여 절곡될 수 있고, 축관부(421)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송풍팬(310)에 의해 송풍된 공기는 축관부(421)에서 송풍속도가 빨라지고 압력이 낮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축관부(421)에서는 음압이 발생하게 되어 작업공간(110)의 이물질 또는 공기는 구멍(121)과 집진공간(411)을 통과하며 축관부(421)로 이동될 수 있다.
배출부(500)는 흡진부(40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 및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500)는 작업대(100)의 타측에 내부공간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부(500)는 내부공간에 배출팬(510)과 필터(520) 및 음이온 발생기(53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팬(510)은 흡진부(400)를 향하여 마련될 수 있고, 송풍팬(310)과 함께 공기를 이동시킴으로써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배출부(500)는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가 연통하여 상기 내부공간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540)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부(500)에는 유입구(320)와 같이 그릴(grill)이 배치될 수 있다.
필터(520)는 배출팬(510)보다 외측으로 배치될 수 있고, 흡진부(400)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 또는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이때, 필터(520)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이온 발생기(530)는 음이온을 발생시키고, 음이온은 필터(520)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은 복수 개의 작업대(1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대(100)는 시술자 또는 피시술자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어느 한 작업대(100)의 배출부(500)와 그와 이웃하는 작업대(100)의 송풍부(300)가 서로 연결되어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어느 한 작업대의 배출부(500)와 그와 이웃하는 작업대(100)의 송풍부(300)는 별도의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 및 연통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부재는 유입구(320) 또는 배출구(540)의 크기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관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체는 휘어짐이 가능한 플렉시블한 형태일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작업대(100)가 횡방향이 아닌 꺾인 형태로 배치될 때 상기 플렉시블한 관체로 형성된 연결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작업대(100)로부터 송풍부(300)와 배출부(500)가 분리가능하다면, 횡으로 배치된 작업대(100) 중 양끝단에 위치한 작업대(100)에만 각각 송풍부(300)와 배출부(500)만 배치하고 다른 송풍부(300)와 배출부(500)를 탈락시킨 채 복수 개의 작업대(100)를 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때, 송풍팬(310)과 배출팬(510)은 이물질이나 공기가 복수 개의 작업대(100)를 통과할 수 있을 만큼의 회전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의 사용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공기가 송풍부(300)에서 흡진부(400)와 배출부(500)로 송풍되도록 송풍팬(310)과 배출팬(510)을 작동시킨다.
그리고 시술자와 피시술자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개구된 작업공간(110)으로 입수하여 네일 아트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작업공간(110)에는 작업과정 중 피시술자의 손톱이나 피부에서 떨어져 나오는 이물질 및 도료 냄새가 발생하게 된다.
송풍팬(310)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이송되며 제1벤추리관(420)의 축관부(421)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따라, 작업공간(110) 내부의 이물질 또는 도료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는 작업판(120)의 구멍(121)과 집진부(410)의 집진공간(411)을 통해 제1벤추리관(420)의 축관부(421)로 이송되고, 송풍팬(310)과 배출팬(510)의 작동으로 배출부(500)로 이송된다.
배출부(500)에 도달한 이물질 또는 도료 냄새를 포함하는 공기는 활성탄을 포함하는 필터(52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필터(520)에 걸러진 공기는 음이온 발생기(530)에서 발생하는 음이온을 포함하며 외부로 배출된다.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을 나타낸 도 1의 A-A´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을 나타낸 도 1의 B-B´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흡진부(400)의 구성이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나머지 구성들은 상기 제1실시예로부터 유추가능하며, 상기 나머지 구성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은 흡진부(400)가 이중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벤추리관(420) 내부에 제2벤추리관(430)이 수용된 구조이다. 다시 말해, 제2벤추리관(430)의 일단은 송풍부(300)와 연결되고, 제2벤추리관(430)의 타단은 제1벤추리관(420)의 축관부(421)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2벤추리관(430)의 타단은 축관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벤추리관(430)의 일단은 송풍팬(310)으로부터 직접 송풍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벤추리관(420)과 제2벤추리관(430)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유입구(32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존재하고, 제2벤추리관(430)의 내부는 송풍팬(310)으로부터 송풍된 공기가 존재할 수 있다. 이는 더욱 효과적인 벤추리 작용을 위한 것으로 제2벤추리관(430)의 타단으로 뿜어져 나오는 공기에 의해 제1벤추리관(420)의 축관부(421)에서 음압이 발생하고, 상기 음압에 의해 집진공간(411)의 이물질 또는 공기가 축관부(421)로 빨려들어올 수 있다.
도 4와 도 6에는 송풍팬(310)이 복수 개의 제2벤추리관(430) 각각에 대응하여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내부에 어느 하나의 송풍팬(310)이 배치된 관이 복수 개의 제2벤추리관(430)으로 분기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송풍팬(310)이 복수 개의 제2벤추리관(430) 각각에 송풍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의 사용 및 작동과정은 제1실시예를 통해 유추 가능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네일 아트용 테이블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작업대 110 : 작업공간
120 : 작업판 121 : 구멍
200 : 커버 300 : 송풍부
310 : 송풍팬 320 : 유입구
400 : 흡진부 410 : 집진부
411 : 집진공간 420 : 제1벤추리관
421 : 축관부 430 : 제2벤추리관
500 : 배출부 510 : 배출팬
520 : 필터 530 : 음이온 발생기
540 : 배출구

Claims (8)

  1. 시술자와 피시술자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양측이 개구되고 상면이 오목하게 작업공간이 마련된 작업대; 및
    투명한 재질로 상기 작업공간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는,
    일측에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송풍되도록 송풍팬을 구비한 송풍부;
    상기 송풍부와 연접하여 상기 작업공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부의 송풍에 의해 상기 작업공간의 이물질 및 공기를 흡수하는 흡진부; 및
    타측에 마련되고 상기 흡진부로터 배출되는 이물질 및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는 네일 아트용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횡방향으로 복수 개가 준비되고,
    어느 한 작업대의 송풍부는 그와 이웃하는 작업대의 배출부와 연결 및 연통이 가능한 네일 아트용 테이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진부는 벤추리 작용에 의해 상기 작업공간의 이물질 및 공기를 흡수하는 네일 아트용 테이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진부는,
    구멍이 형성되고 작업공간의 바닥을 이루는 작업판;
    상기 작업판 하측에서 상기 작업판과 집진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집진공간이 상기 작업공간과 연통되며 끝단이 상기 배출부를 향해 절곡된 집진부; 및
    상기 송풍부로부터 상기 배출부까지 연통되고 어느 일부가 축관되는 축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집진부의 끝단이 관통함으로써 내부가 상기 집진공간과 연통되는 제1벤추리관;
    을 포함하는 네일 아트용 테이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흡진부는,
    상기 제1벤추리관 내부에 수용되고 일단이 상기 송풍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축관부까지 이어지는 제2벤추리관;
    을 더 포함하는 네일 아트용 테이블.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벤추리관은, 양단이 상기 송풍부와 상기 배출부를 향하도록 직선의 길이를 갖고,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배열된 네일 아트용 테이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흡진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흡진부 내부의 이물질 또는 공기를 외부로 내보내는 배출팬;
    을 더 포함하는 네일 아트용 테이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흡진부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 또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상기 필터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음이온을 방출하는 음이온 발생기;
    를 더 포함하는 네일 아트용 테이블.
KR1020170030033A 2017-03-09 2017-03-09 네일 아트용 테이블 KR101965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33A KR101965196B1 (ko) 2017-03-09 2017-03-09 네일 아트용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33A KR101965196B1 (ko) 2017-03-09 2017-03-09 네일 아트용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98A true KR20180103298A (ko) 2018-09-19
KR101965196B1 KR101965196B1 (ko) 2019-08-07

Family

ID=6371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033A KR101965196B1 (ko) 2017-03-09 2017-03-09 네일 아트용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1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7869A (zh) * 2019-02-15 2019-05-17 安徽理工大学 一种多功能图书馆书籍搬运车
CN110773519A (zh) * 2019-11-10 2020-02-11 李涛涛 一种机械加工用除尘装置及其吸尘结构
JP2020195434A (ja) * 2019-05-31 2020-1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塵装置
JP2020201028A (ja) * 2019-06-05 2020-12-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塵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121Y1 (ko) 2004-04-30 2004-07-21 김형상 네일아트용 테이블
JP2009050351A (ja) * 2007-08-24 2009-03-12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組み込み式家具
KR20110105049A (ko) * 2010-03-18 2011-09-26 어은수 네일아트 기능성 테이블
JP3180758U (ja) * 2012-10-23 2013-01-10 京 栗田 ヒトの手の爪の施術台及び載置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0758B2 (ja) * 1998-04-13 2001-06-25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積層可能な半導体装置とこれらの半導体装置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121Y1 (ko) 2004-04-30 2004-07-21 김형상 네일아트용 테이블
JP2009050351A (ja) * 2007-08-24 2009-03-12 Panasonic Corp 加熱調理器組み込み式家具
KR20110105049A (ko) * 2010-03-18 2011-09-26 어은수 네일아트 기능성 테이블
JP3180758U (ja) * 2012-10-23 2013-01-10 京 栗田 ヒトの手の爪の施術台及び載置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57869A (zh) * 2019-02-15 2019-05-17 安徽理工大学 一种多功能图书馆书籍搬运车
JP2020195434A (ja) * 2019-05-31 2020-12-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塵装置
JP2020201028A (ja) * 2019-06-05 2020-12-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集塵装置
CN110773519A (zh) * 2019-11-10 2020-02-11 李涛涛 一种机械加工用除尘装置及其吸尘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196B1 (ko) 201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3298A (ko) 네일 아트용 테이블
TWI548813B (zh) A fanless fan with air cleaning function
US7189272B2 (en) Movable spray painting stand
KR100748634B1 (ko) 바이오 세이프티 배기형 크린벤치
US20180224134A1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EP3457047A1 (de) Personalisierte luftreinigungsvorrichtung
KR101417449B1 (ko) 휴대용 흄 집진기
DE602006005438D1 (de) Klimaanlage
EP2223777A3 (de) Akkubetriebenes, handgeführtes Elektrogerät
JP2013226415A (ja) ドライヤ、特にハンドドライヤ
KR101215393B1 (ko) 네일아트 기능성 테이블
CN103861858A (zh) 一种实验室绿色通风柜
KR20170003155U (ko) 조명이 구비된 네일 관리용 집진장치
CN110270463A (zh) 一种自动喷漆室用漆雾消除设备
CN214155827U (zh) 宠物烘干设备
KR20170021620A (ko) 네일 건조기
KR20160101789A (ko) 제습기
KR101723516B1 (ko) 돔형 집진장치
KR20150103909A (ko) 공기조화장치
KR200395099Y1 (ko) 바이오 세이프티 배기형 크린벤치
KR20220077221A (ko) 듀얼 양압챔버를 구비하는 생물안전작업대
WO2000053143A1 (en) Placing unit for a human being
KR101437360B1 (ko) 생물안전작업대
JP2010227442A (ja) 解剖台におけるホルムアルデヒド拡散防止装置
JP2011252633A (ja) におい除去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