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850A -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 Google Patents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850A
KR20180102850A KR1020170029516A KR20170029516A KR20180102850A KR 20180102850 A KR20180102850 A KR 20180102850A KR 1020170029516 A KR1020170029516 A KR 1020170029516A KR 20170029516 A KR20170029516 A KR 20170029516A KR 20180102850 A KR20180102850 A KR 20180102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rowth
cosmetic composition
hair loss
polypep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784B1 (ko
Inventor
최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데이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데이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데이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7002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784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7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이 함유된 색조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 (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1,2-헥산디올(1,2-Hexanediol)을 추가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은 높은 안전성과 생체 친화성을 바탕으로 탁월한 발모 및 탈모 개선효과가 있으며 아이메이크업, 특히 마스카라 및 아이라이너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색조화장을 하면서 동시에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A colo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ng loss of hair and promoting growth of hair}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이 함유된 색조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피부의 부속기관으로서 손바닥, 발바닥, 입술 등을 제외한 신체 모든 부위에 나와 있는 털을 말하며, 체모와 두발의 총칭으로 사용된다. 대개 모발은 동물성 천연섬유로 피부 표면에 나와 있는 부분인 모간(毛幹)과 피부 내부에 있는 부분인 모근(毛根)으로 나뉜다. 이러한 모발은 태내에서 생성되어, 피부의 발생과 같이 생긱는 것으로서 각질화 형성이 진행되어 모발이 된다.
인간의 머리에는 보통 평균적으로 80,000 ~ 100,000개의 성모가 있으며, 이들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의 주기적인 변화를 하면서 생성, 소멸을 반복한다. 인간의 모발은 "모낭"에서 형성되며, 모낭에는 모유두가 있는데, 이 부위에는 작은 혈관들이 분포되어 모발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며, 모유두 위 옆으로는 모발에 윤기를 주며 기름을 공급하는 피지선이 있다. 모낭의 뿌리 부분을 모구라고 하는데, 모유두라는 독특하게 생긴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모유두는 모발의 성장을 조절하는 사령부에 해당하는 곳으로 남성형 탈모에서 남성 호르몬이 작용하는 부위이기도 하다. 모유두에서의 조절에 따라 세포 분열이 일어나는 부위가 모기질이며 모발을 생성하는 부위이다.
호르몬에 의한 탈모 같은 생리적 인자들과 더불어, 모발 손상의 원인에는 브러싱이나 역모 등의 기술적인 자극, 열 등에 물리적 원인에 의한 것과, 웨이브제나 염색제 등에 의해 모발성분에 화학적 변화를 주어 질적 손상을 일으키는 화학적 원에 의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물리적 화학적 원인으로 인해 탈모를 유발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생활습관의 변화와 스트레스 등으로 20~30대 탈모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어, 과거 노년층의 전유물로 꼽히던 탈모는 전 연령층의 고민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처럼 탈모는 외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제품에 대해 관심이 높다.
또한, 현대인은 외모를 가꾸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고 있으며,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 촉진을 위한 관심뿐만 아니라 외모를 가꾸기 위한 메이크업 화장품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이 있다.
아이라이너 및 마스카라 등으로 대표되는 아이메이크업 분야에도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속눈썹을 길게 보이게 하고 풍성하게 보이게 하기 위한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위해 속눈썹과 친화력이 우수한 폴리머를 배합하여 속눈썹에 형성된 필름막이 땀이나 물 등 수분과의 접촉시 부착력이 떨어지거나 번지는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제품들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풍성하게 보이게 하는 아이라이너 및 마스카라는 일시적인 것으로 화장 및 제거 과정에서 오히려 자극을 주어 탈모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아이브로우 타투(eyebrow tatoo) 색조화장품이 개발되어 눈썹을 매번 일회성으로 그리는 것이 아니라, 일정기간 색소가 눈썹에 남아 눈썹 문신을 한 효과를 주는 화장품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역시 화장 및 제거 과정에서 오히려 자극을 주어 탈모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성장인자(단백질)는 인체의 피부와 몸을 구성하는 고분자 유기물질로 생체내의 구성성분, 세포 안의 각종 화학반응의 촉매 역할 (효소),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는 성장인자, 항체를 형성하여 면역을 담당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성장인자(단백질)로 EGF(Epidermal Growth Factor)와 AQP(Aquaporin)를 포함하여 100 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피부세포의 증식을 유도하거나,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는 등 우수한 생리활성으로 미용분야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일본 특허(일본 특개평10-279501호)에 의하면 FGF-10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육모제가 개발되었으며, 국내의 경우에도 FGF-10 유래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탈모 개선 및 피부 개선 조성물에 대한 연구 및 천연물을 이용한 피부 개선 조성물과 탈모방지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또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이 있는 색조 화장품에 대해 연구도 미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이 있는 색조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 (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1,2-헥산디올(1,2-Hexanediol)을 추가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왁스,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색소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왁스,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소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성장인자는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8(PDGE-A; sh-Polypeptide-8),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3(Noggin; sh-Polypeptide-13),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 62(HGF; sh-Polypeptide-6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VEGFA; sh-Polypeptide-9),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IGF-1; sh-Oligopeptide-2) 가운데 일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리미딘 유도체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리미딘 유도체는 미녹시딜(minoxidil, 6-(1-piperdininyl)2,4-pyrimidinediamine 3-oxide)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은 높은 안전성과 생체 친화성을 바탕으로 탁월한 발모 및 탈모 개선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은 아이메이크업, 특히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및 아이브로우 타투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색조화장을 하면서 동시에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런 효과는 마스카라, 아이라이너, 아이브로우 타투를 비롯한 아이메이크업 제품 전체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은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 (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은 다양한 염증성 탈모와 스트레스성 탈모로부터 세포를 보호한다고 알려져 있는 Thymosine beta 4의 활성 펩타이드와 강력한 항산화능력으로 세포 보호 및 세포 활성화 기능을 갖는 caffeic acid의 융합 펩타이드이다.
펩타이드는 두 개 이상의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peptide bond)이라는 화학결합 형태로 연결된 물질로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solid-phase peptide syntheses) 및 액체상 펩타이드 합성(liquid phase peptide synthesis) 방법을 이용한다.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방법은 C-말단 아미노산을 비활성 고체 지지체에 연결하고, 연속으로 아미노산을 펩타이드결합을 통해 결합시키는 펩타이드 합성법으로, 합성이 완료되면 폴리펩타이드를 지지체로부터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의 고효율 생산을 위하여 고체상 합성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합성하였다. 카페익산(3-(3,4-Dihydroxy-phenyl)-acrylic acid)과 티모신 베타4 유도체(Thymosin β-4)의 코어 펩타이드 접합으로 합성하였다. 아세틸글루타밀-글루타밀-글루타밀-메치오닐-글루타미닐-아르기닐-아르기닐아미드(Acetyl glutamyl-glutamyl-glutamyl-methyonyl-glutaminyl-arginyl-arginylamide)의 순서로 7개의 아미노산을 연속적으로 첨가하여 펩타이드 부분인 헵타펩타이드를 우선 합성한 후, 이를 합성지지체에서 분리하지 않고 마지막 서열인 카페익산(3-(3,4-Dihydroxy-phenyl)-acrylic acid)을 결합시켰다. 이후 결합되지 않은 카페익산은 반응체에서 제거함으로써 순도 높은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를 합성하였다.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는 총 중량% 100 대비 0.0040~0.005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퍼트리펩타이드-1는 구리이온과 3개의 아미노산 복합체이다. 줄여서 GHK-Cu로 불리기도 한다. 인체 내 혈장, 타액, 신장, 콜라겐 등에서도 발견된다. 분자가 작아 쉽게 조직과 세포 사이로 이동이 가능하며, 콜라겐 타입 가운데 진피층에 분포하는 콜라겐 3의 합성에 특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카퍼트리펩타이드-1의 알려진 효능으로는 비타민c나 레티놀보다 뛰어난 항노화제인 프로콜라겐의 합성을 촉진하며 강력한 항산화제로 작용하는 효소의 형성에 관여하고 엘라스틴과 콜라겐을 교차연결시키는 효소의 활성에도 필수적인 인자이다. 따라서 카퍼트리펩타이드는 모발이식 후의 상처 치유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며 조직을 복구하고 탄력을 강화시키며 주름개선, 피부장벽 강화 등의 기능을 한다. 또 항염 기능이 탁월하여 의학적으로는 위장의 궤양을 치유하며 DNA를 복구하며 피부 손상으로 인한 염증을 치유한다. 모발을 지탱해주는 상피층에 직접 침투하여 발모와 탈모방지 기능을 하며 과학적으로 안전성이 확인된 안티에이징 물질이다.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1은 총 중량% 100 대비 0.0040~0.005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장인자는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8(PDGE-A; sh-Polypeptide-8),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3(Noggin; sh-Polypeptide-13),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 62(HGF; sh-Polypeptide-6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VEGFA; sh-Polypeptide-9),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IGF-1; sh-Oligopeptide-2) 가운데 일 이상 선택되어진다.
성장인자는 세포, 조직의 수·중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이 있는 단백질성의 생리 활성물질로 기능성 펩타이드이다.
상기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8(PDGE-A; sh-Polypeptide-8)은 액상의 수용성 단백질로, 혈관신생이 필수 세포인자이다. 피부세포 및 모발세표를 자극하고, 생체 내 모든 세포에서 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조절하는 조절단백질이다. 세포의 노화와 함께 활성이 감소한다. 레이져 박피 등 상처 후 재생 촉진 및 콜라겐 합성 촉진의 효능이 있다.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3(Noggin; sh-Polypeptide-13)는 초기 발생 단계에서 모낭 분화를 억제하는 BMP-2/-4의 신호전달을 길항하는 주요한 생체분자로 알려져 있으며, 과발현을 통해 강력한 모발 형성 촉진 및 성장 촉진 효과가 알려진 성장인자이다.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 62(HGF; sh-Polypeptide-62)는 다양한 조직 내 간엽세포 (mesenchymal cells)에 의해 분비되어 혈류를 통해 순환하다가 분열 및 성장이 필요한 표피세포 및 내피세포에 작용하는 성장인자이다. 특히 손상된 피부의 재생, 상처난 피부의 재상에 중요한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모발 모낭 세포의 새로운 형성과 발모 주기의 연장과 건강한 모발 상태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VEGFA; sh-Polypeptide-9)는 PDGF와 매우 연관된 성장인자로써 혈관의 신생을 유도하는 성장인자이다. 또한, 세포의 이동을 유도하며 생리적으로는 혈압을 떨어트리고 미세혈관의 수용성을 증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의 재생이나 모발의 성장 등 어떠한 생리적인 현상도 혈관 조직의 신생과 그를 통한 산소 및 영양분의 공급이 필요하기 때문에 항노화, 손상된 피부의 재생과 모발의 재생 및 성장에 매우 중요한 인자로 사용되고 있다.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IGF-1; sh-Oligopeptide-2)는 somatomedin C(소마토메딘C)로 불리우는 성장인자로 설페이션요소(sulfation factor)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다양한 세포 생리적 기능을 수행하며 EGF 및 기타 성장인자들과 연합하여 피부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돕고 진피 내 콜라겐(collagen), 피브로넥틴(fibronectin), 엘라스틴(elastin) 및 케라틴(keratin) 같은 ECM 물질의 생성을 도와 노화 방지와 주름을 예방해 줍니다. 또, EGF와는 다르게 건강한 모발 형성을 도와주며 모발 손상과 탈모를 예방해 준다.
본 발명은 상기 성장인자 가운데 일 이상 선택되는 것으로, 이들 기능성 펩타이드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성장인자는 총 중량% 100 대비 0.0005~0.001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1,2-헥산디올(1,2-Hexanediol)을 추가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1,2-헥산디올(1,2-Hexanediol)은 1,2-디하이드록시헥산으로도 불리며, 직선형의 알킬 체인의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알코올 기가 각각 하나씩 붙어있는 구조로 소수성 기와 친수성 기를 모두 갖는 계면활성제 구조를 가지고 있다. 1,2-헥산디올은 항균력, 산화방지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의 수분증발을 차단시키는 보습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경우, 1,2-헥산디올을 첨가하여 다른 성분이 잘 어우러 지도록 한다. 총 중량% 100 대비 1~3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왁스,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색소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왁스,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소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위 성분 외에 잔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총 중량100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왁스,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색소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을 제공한다.
마스카라 조성물은 그 제형과 기능 등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데, 제형에 따라 분류한 경우, 유화시킨 유화형 타입, 용매에 필름형성제 및 파우더를 분산시킨 분산타입, 파우더에 필름형성제를 함유시켜 성형한 케이크형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기능(품질), 안정성, 피부안전성, 사용의 편리성 측면에서 유화형 타입이 일반적으로 개발 및 시판되고 있다. 또한, 마스카라 조성물은 제형 및 기능에 따라 그 조성도 약간 상이한데, 상기한 것들 중 유화형 아이메이크업의 경우, 컬링과 두께감을 부여하기 위해 수용성 폴리머와 유용성 폴리머를 혼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착색안료와 이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 필름형성제를 부드럽게 하기 위한 가소제, 유화형성을 위한 유화제 등을 첨가하여 조성된다. 유화형 마스카라 조성물의 원료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필름형성제로는 아크릴 및 변성아크릴 등의 아크릴유도체, 폴리에칠렌, 카르복시계 및 그 유도체, 키토산 및 그 유도체, 폴리비닐 및 그 유도체 등이 주로 사용되며, 분산제로는 트리에탄올아민 및 그 중화물질, 말레인산 공중합체류 등이 널리 이용되고, 유화제로는 폴리솔베이트, 소르비탄 및 그 유도체, 폴리글리세릴글루코스스테아레이트계 등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파우더류로는 아이론옥사이드, 울트라마린, 세룰로오스, 실리카, 세리사이트, 카올린 등이 사용되며, 왁스류로는 카르나우바 납, 칸데릴라 납, 세레신, 마이크로크리스탈린 등의 고융점 왁스들이 사용되고, 부착성을 위해 로지네이트류도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이 함유된 색조 화장용 조성물은 특히 마스카라와 같이 속눈썹을 풍성하게 연출하기 위한 색조 화장품에 적용하는 경우,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지 않고, 속눈썹의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서 지속적인 사용으로 속눈썹이 사실상 풍성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왁스,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소를 포함한다.
아이브로우 타투(eyebrow tatoo)는 흐리거나 눈썹이 없는 부위에도 색소를 칠하여 눈썹을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점액상의 아이브로우 타투를 눈썹에 그리고나서 건조되면 떼어낸다. 이때 색소가 일정기간 남아 눈썹을 그리지 않아도 눈썹형상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이 함유된 색조 화장용 조성물은 특히 아이브로우 타투와 같이 눈썹을 연출하기 위한 색조 화장품에 적용하는 경우, 일시적인 효과에 그치지 않고, 눈썹의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어서 지속적인 사용으로 원하는 형상으로 눈썹이 풍성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카본블랙,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색소를 포함한다.
아이라이너는 아이 메이크업 화장품의 하나로, 속눈썹 주위에 붓을 이용하여 가는 선을 그려 눈의 인상을 선명하게 하고 매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유화제(Eulsion) 형태의 아이라이너로서 부착력 및 내수성이 요구된다. 액상의 수계 제형에서 피막타입의 아이라이너로 수지 에멀젼 상이 주성분이고, 도포 후 수분이 증발하여 피막을 피부에 형성하게 된다. 즉, 카본블랙,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색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이라이너 조성물에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모발성장을 촉진하고 탈모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아이브로우 타투 색조화장품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성분 함량(%)
정제수(water) Up to 100
1,2-헥산디올(1,2-Hexanediol) 2
sh-Polypeptide-8(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8) 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3(sh-Polypeptide-13) 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62(sh-Polypeptide-62) 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Polypeptide-9) 0.0002
sh-Oligopeptide-2(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0.0002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0.0050
카페오일 헵타펩타이드-11(caffeoylheptapeptide-11) 0.0050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15.0000
디하이드록실아세톤(Dihydroxyacetone) 11.0000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4.0000
알코올(Alcohol) 3.0000
킬레이트화제 1.0200
폴리소베이트80(Polysorbate 80) 0.2000
색소(CI 17200) 0.0600
향료(Fragrance) 0.0600
산화방지제 0.8000
피부컨디셔닝제 0.2000
상기 성분으로 킬레이트화제는 시트르산(Citric Acid), 시트르산나트륨(sodium citrate), 디소듐EDTA(Disodium EDTA), 사이클로덱스트린, 디암모늄EDTA, 디포타슘 EDTA, EDTA, 글루코닌산, 포타슘 폴리포스페이트, 소디움 글루코네이트, 테트라소디움 EDTA, 트리소디움 EDTA,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물을 들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디소듐EDTA 및/또는 시트르산나트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 조성물에 사용되는 킬레이트제는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1~1.5%의 함량으로 포함된다. 상기한 킬레이트제의 함량이 중량 기준으로 0.01% 미만이면 백탁으로 인한 저온 안정성의 악화를 초래하게 될 우려가 있으며, 역으로 3.0%를 초과하면 색상 발현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의 구성 성분 외에, pH 조정제, 향료, 착색제, 산화방지제 등 화장품법규에 규정된 통상의 성분이 본 발명의 색조 화장 조성물의 점도 및 색상발현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마스카라 색조화장품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성분 함량(%)
정제수(water) Up to 100
1,2-헥산디올(1,2-Hexanediol) 2
sh-Polypeptide-8(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8) 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3(sh-Polypeptide-13) 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62(sh-Polypeptide-62) 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Polypeptide-9) 0.0002
sh-Oligopeptide-2(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0.0002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0.0050
카페오일 헵타펩타이드-11(caffeoylheptapeptide-11) 0.005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올리브오일스테아릴에스터 15.0000
왁스 11.0000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s Copolymer) 4.0000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3.0000
킬레이트화제 1.0200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0.2000
색소(CI 17200) 0.0600
향료(Fragrance) 0.0600
산화방지제 0.8000
상기의 구성 성분 외에, pH 조정제, 향료, 착색제, 산화방지제 등 화장품법규에 규정된 통상의 성분이 본 발명의 마스카라 색조 화장 조성물의 점도 및 색상발현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아이라이너 색조화장품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성분 함량(%)
정제수(water) Up to 100
1,2-헥산디올(1,2-Hexanediol) 2
sh-Polypeptide-8(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8) 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3(sh-Polypeptide-13) 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62(sh-Polypeptide-62) 0.000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sh-Polypeptide-9) 0.0002
sh-Oligopeptide-2(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 0.0002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0.0050
카페오일 헵타펩타이드-11(caffeoylheptapeptide-11) 0.0050
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Styrene/Acrylates Copolymer) 10.0000
프로필렌글라이콜(Propylene Glycol) 11.0000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피이지-4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4.0000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3.0000
킬레이트화제 1.0200
폴리소베이트80(Polysorbate 80) 0.2000
색소(CI 17200) 0.0600
상기의 구성 성분 외에, pH 조정제, 향료, 착색제, 산화방지제 등 화장품법규에 규정된 통상의 성분이 본 발명의 아이라이너 색조 화장 조성물의 점도 및 색상발현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리미딘 유도체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리미딘 유도체는 미녹시딜(minoxidil, 6-(1-piperdininyl)2,4-pyrimidinediamine 3-oxide)이 바람직하다. 미녹시딜은 모낭에서 활성대사 산물인 미녹시딜 황산염(minoxidil sulfate)으로 전환되어 포타슘(K) 통로를 열어 세포내 칼슘(Ca) 농도를 낮춘다. 칼슘 존재하에 모낭의 성장이 표피 성장 인자(EGF, Epidermal Growth Factor)에 의해 억제되되므로, 이 같은 기전으로 미녹시딜에 의한 칼슘농도 저하가 표피성장인자에 의한 모낭성장 억제 효과를 저해하고 이를 통해 탈모를 정지 혹은 완화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를 추가로 함유한다. 피나스테리드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의 4-azo유사체로서, 테스토스테론을 DHT(5α-dihydrotestosterone)로 전환시키는 효소인 스테로이드 5α-환원효소(steroid -5α-reductase)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경쟁적으로 억제한다. 그 결과 혈중의 DHT 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모발의 탈락을 막는 효과가 있다. DHT는 모유두 세포막의 안드로겐 수용체와 결합해 모발증식 촉진인자를 줄이고, 피지선 증식에도 관여하는 등 탈모를 유발한다. 5α-환원효소는 피지 생성에 관여하는 제1형과 모발 성장에 개입하는 제2형이 있다. 피나스테리드는 5α-환원효소 제2형의 작용을 막아 테스토스테론이 DHT로 변화되는 것을 억제한다.
본 발명은 pH에 따라 안전성 등에 차이가 있는데, pH가 6.5~9.5일때가 가장 안정적이다. 이는 앞서 설명한 피부 안정성을 고려한 pH 범위에도 부합된다. 상기 pH가 6.5 이하이거나 9.5 이상이면 시간경과에 따라 상기 물질의 해리가 일어나고, 내용물에서도 안정도가 저하되고 뭉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전체적인 실시예는 아이라이너, 마스카라를 이용하였다. 아이메이크업을 비롯하여 색조 화장의 전반적인 제품에 동일하게 본 발명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임을 밝혀둔다.

Claims (10)

  1.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장인자는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8(PDGE-A; sh-Polypeptide-8),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13(Noggin; sh-Polypeptide-13),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 62(HGF; sh-Polypeptide-62), 에스에이치-폴리펩타이드-9(VEGFA; sh-Polypeptide-9),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IGF-1; sh-Oligopeptide-2) 가운데 일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1,2-헥산디올(1,2-Hexanediol)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왁스,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색소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왁스,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소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왁스,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소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카페오일헵타펩타이드-11(Caffeoyl Heptapeptide-1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tripeptide-1) 및 성장인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카본블랙, 지방산, 유화제,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킬레이트화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색소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피리미딘 유도체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리미딘 유도체는 미녹시딜(minoxidil, 6-(1-piperdininyl)2,4-pyrimidinediamine 3-ox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피나스테리드(finasteride)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KR1020170029516A 2017-03-08 2017-03-08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KR102342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516A KR102342784B1 (ko) 2017-03-08 2017-03-08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516A KR102342784B1 (ko) 2017-03-08 2017-03-08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850A true KR20180102850A (ko) 2018-09-18
KR102342784B1 KR102342784B1 (ko) 2021-12-23

Family

ID=63718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516A KR102342784B1 (ko) 2017-03-08 2017-03-08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785B1 (ko) * 2022-11-08 2023-10-12 김현준 마이크로 니들 패치용 발모물질,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와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923A (ko)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태평양 헵타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3159A (ko) * 2005-03-23 2006-09-28 정용지 모발과 피부의 치료를 위한 성장인자
KR20130042750A (ko) * 2011-10-19 2013-04-29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속눈썹 성장 촉진 포뮬라
KR20130112771A (ko) * 2012-04-03 2013-10-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멘틴을 포함하는 탈모 억제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107784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크라운진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40120018A (ko) * 2013-04-02 2014-10-13 일양약품주식회사 상처치료, 신생혈관유도 및 발모효능을 증식시키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60054087A (ko) * 2014-11-05 2016-05-16 조길래 피부자극완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카페오일펜타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923A (ko) * 2004-11-12 2006-05-18 주식회사 태평양 헵타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103159A (ko) * 2005-03-23 2006-09-28 정용지 모발과 피부의 치료를 위한 성장인자
KR20130042750A (ko) * 2011-10-19 2013-04-29 한불화장품주식회사 속눈썹 성장 촉진 포뮬라
KR20130112771A (ko) * 2012-04-03 2013-10-1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멘틴을 포함하는 탈모 억제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107784A (ko) * 2013-02-28 2014-09-05 주식회사 크라운진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140120018A (ko) * 2013-04-02 2014-10-13 일양약품주식회사 상처치료, 신생혈관유도 및 발모효능을 증식시키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KR20160054087A (ko) * 2014-11-05 2016-05-16 조길래 피부자극완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카페오일펜타펩타이드 및 이를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785B1 (ko) * 2022-11-08 2023-10-12 김현준 마이크로 니들 패치용 발모물질,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니들 패치와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784B1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9842B2 (ja) L−アルギニンオリゴマーを含む化粧品処方
JP6530032B2 (ja) カルボジイミド系化合物を含む組成物
JP4488560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US8685391B2 (en) Skin care compositions
JP2000226317A (ja) 毛髪保護作用と毛髪減損の予防性並びにアンドロゲン性脱毛症の外因作用とその結果もたらされる毛髪減損の低下性において、改善された性質を有するヘアロ―ション
US9622963B2 (en) Methods for stimulating growth and preventing loss of human hair
KR20130108805A (ko) 황금 누에 유래 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5880A (ko) 시스투스 몬스펠리엔시스 추출물의 신규한 미용 및 피부과 용도
KR20200112598A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화장료
EP2498750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enhancing eyelashes
KR100894230B1 (ko) 글루코스 및 비타민 f 의 유도체 및 특정 계면활성제를함유하는 미용 또는 피부학적 조성물
KR20070117355A (ko) 태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도포용 조성물
KR102368903B1 (ko) 속눈썹, 눈썹 및 모발의 굵기 증대 및 성장촉진용 조성물
KR20170003685A (ko) 안드로겐성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한 테트라펩타이드 및 글리세릴 에스테르의 결합체
KR20070118719A (ko) 상피세포성장인자 및 섬유아세포성장인자를 함유하는 피부도포용 조성물
KR102342784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촉진용 색조 화장 조성물
KR102403451B1 (ko)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86625B1 (ko)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JP7135106B2 (ja) 頭皮頭髪用組成物
JP2002284668A (ja) クスミの予防・治療剤
JP2008162987A5 (ko)
JP5259127B2 (ja) ツツジ科エリカ属植物由来成分を少なくとも含む外皮系組織用組成物
JP2022527728A (ja) 成長因子を含有する脱毛治療又は毛髪成長促進用組成物
KR102021836B1 (ko) 탈모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921246B1 (ko) 탈모 방지 및 양모를 위한 헤어 필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