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826A -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826A
KR20180102826A KR1020170029463A KR20170029463A KR20180102826A KR 20180102826 A KR20180102826 A KR 20180102826A KR 1020170029463 A KR1020170029463 A KR 1020170029463A KR 20170029463 A KR20170029463 A KR 20170029463A KR 20180102826 A KR20180102826 A KR 20180102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information
evaluator
evaluation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4252B1 (ko
Inventor
전천광
Original Assignee
전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천광 filed Critical 전천광
Priority to KR1020170029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252B1/ko
Priority to PCT/KR2018/002662 priority patent/WO2018164459A1/ko
Publication of KR20180102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06F17/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소비자 단말;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물품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에서 제공된 제1 물품정보 중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제2 물품정보를 선별한 후, 선별된 제2 물품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 및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에서 제공된 제2 물품정보의 물품평가정보를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평가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평가자 단말에서 제공된 물품평가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상기 물품평가정보에서 추천된 물품을 구매하면 상기 평가자 단말로 소정 형태의 리워드(reward)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BIDIRECTIONAL E-COMMERE SYSTEM AND E-COMME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상거래 서비스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 판매할 상품 정보를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고객들이 제공된 상품 정보를 확인한 후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고객들은 방대한 양의 상품 정보가 존재하는 대형 쇼핑몰 사이트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상품을 검색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러한 상품 검색에 대한 어려움은 고객의 만족도와 재방문의 의지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저하 요인을 극복하기 위해서 전자상거래 서비스에서는 고객들에게 자신이 선호하는 상품들을 추천해주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91669호 (발명의 명칭: 전자상거래 서비스에서의 개인화 추천 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소비자 단말;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물품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에서 제공된 제1 물품정보 중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제2 물품정보를 선별한 후, 선별된 제2 물품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 및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에서 제공된 제2 물품정보의 물품평가정보를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평가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평가자 단말에서 제공된 물품평가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상기 물품평가정보에서 추천된 물품을 구매하면 상기 평가자 단말로 소정 형태의 리워드(reward)를 제공한다.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관련된 물품을 제조 및 납품하는 물품공급업체로부터 상기 물품에 관한 물품정보를 요청 및 수집한 후, 수집된 물품정보에 대한 평가정보를 상기 평가자 단말로 요청하는 물품정보 수집/요청 관리부; 물품 별로 등록된 평가자의 평가자 단말에서 제공된 물품의 물품평가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물품평가정보 관리부;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에 입력된 물품정보와 관련된 물품공급업체의 물품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물품평가정보 관리부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평가정보 중 상위등급에 해당하는 물품평가정보와 관련된 물품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물품정보 및 물품평가정보 선별부; 및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구매한 구매물품이 상기 평가자 단말에서 작성한 물품평가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일 경우, 상기 구매물품의 결제금액의 일정분을 특정형태의 리워드로 지급하는 보상 지급관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물품 별로 부합되는 평가자를 선별 및 등록하는 평가자 관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물품정보 및 물품평가정보 선별부는 물품평가정보 내에 기록된 복수 개의 항목별 점수를 평균값으로 산출하거나 또는 텍스트로 내의 긍정적인 단어들의 개수를 추출하여 단어당 개수를 점수로 수치화하여 산정하는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 물품공급업체에서 제공한 물품정보의 기간별 물품 판매개수를 기 설정된 등급표에 적용시켜 각 물품의 물품정보 등급을 산정하는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 및 상기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에서 산정된 물품평가정보의 점수와 상기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에서 산정한 물품 등급에 기초하여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 및 상기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를 평가한 물품평가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물품정보 선별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상 지급관리부는 상기 평가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평가자 별 약정정보를 관리하는 약정정보 관리부; 및 상기 약정정보에 기재된 물품 별 평가정보의 작성이행 횟수에 충족된 경우 약정정보에 포함된 리워드를 평가자 단말로 제공하는 리워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자 별 약정정보는 평가자의 이력정도에 따라 리워드 보상액, 약정 체결일 및 리워드 지급방식, 리워드 형태가 기록된 약정 설정 정보가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형 맞춤 전자상거래방법은 소비자 단말에서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를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물품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로부터 수집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수집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의 물품정보를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평가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3 단계; 상기 복수의 평가자 단말에서 상기 물품정보의 물품평가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제4 단계;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평가자 단말에서 제공된 물품평가정보 중 상위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를 선별한 후, 선별된 물품정보와 상기 물품평가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상기 물품정보 및 상기 물품평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에 부합하는 물품을 구매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구매한 구매물품이 상기 복수의 평가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서 작성한 물품평가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일 경우, 상기 평가자 단말로 상기 구매물품의 결제금액의 일정분을 특정형태의 리워드로 지급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5 단계는,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에서 상기 물품평가정보 내에 기록된 복수 개의 항목별 점수를 평균값으로 산출하거나 또는 텍스트로 내의 긍정적인 단어들의 개수를 추출하여 단어당 개수를 점수로 수치화하여 산정하는 단계;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가 상기 물품공급업체의 서버에서 제공한 물품정보의 기간별 물품 판매개수를 기 설정된 등급표에 적용시켜 각 물품의 물품정보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 및 물품정보 선별부에서 상기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에서 산정된 물품평가정보의 점수와 상기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에서 산정한 물품 등급에 기초하여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 및 상기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를 평가한 물품평가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7 단계는, 평가자 별 약정정보에 기재된 물품 별 평가정보의 작성이행 횟수에 충족된 경우 약정정보에 포함된 리워드를 평가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이고, 상기 평가자 별 약정정보는 평가자의 이력정도에 따라 리워드 보상액, 약정 체결일 및 리워드 지급방식, 리워드 형태가 기록된 약정 설정 정보가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은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소비자가 선호하는 물품의 물품평가정보를 외부의 평가자로부터 평가받은 평가정보 중 상위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는 종래와 같이 방대한 양의 물품정보를 선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신뢰성있는 평가자들의 평가정보의 상위등급의 물품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소비자가 선호하는 물품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에 기반하여, 판매자들은 기존 소비자들의 선택을 기다렸던 수동적인 단방향에서, 해당 틀에 부합하는 상품을 소비자에게 능동적으로 제시할 수있고, 양방향 거래로 인한 전자상거래 건전성 및 활동성을 상승시킬 수 있고, 고품질 저자본의 신규 스타트업 업체등의 시장 판로 확보 가능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는 쇼핑과 관련된 여러 의사결정 과정의 시간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과 동시에, 물품 평가를 수행하는 물품 평가자라는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쇼핑몰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소비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S75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100)은 소비자 단말(200), 쇼핑몰 서버(300) 및 평가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각 구성요소들(200, 300, 400)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소비자 단말(200) 및 평가자 단말(400)은 쇼핑몰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300)는 물품공급업체의 서버(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단말(200, 400) 및 서버(300)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단말(200, 400)은 후술할 쇼핑몰 서버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랫폼과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비자 단말(200)은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비자 단말(200)은 쇼핑몰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쇼핑몰 플랫폼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구매 또는 선호하는 물품의 정보가 포함된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를 쇼핑몰 서버(300)로 제공한다.
쇼핑몰 서버(300)는 소비자 단말(200)에서 제공된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물품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의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은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의 서버(미도시)에서 제공된 물품정보 중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 또는 가장 매칭되는 물품정보를 선별한 후, 선별된 물품정보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한다.
여기서, 쇼핑몰 서버(300)의 물품정보 선별과정은 평가자 단말에서 제공된 물품정보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선별하게 된다.
또한, 쇼핑몰 서버(300)는 평가자 단말(400)에서 제공된 평가정보를 물품정보와 함께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소비자 단말(200)에서 상기 평가정보에서 추천된 물품을 구매(결제)하면 평가자 단말(400)로 소정 형태의 리워드(reward)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평가자 단말(400)은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의 서버(미도시)에서 제공된 물품정보의 평가정보를 쇼핑몰 서버(300)로 제공한다.
한편, 평가자 단말(400)의 평가자는 쇼핑몰 서버에서 유통하는 물품들 별 전문가 또는 소비자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쇼핑몰 서버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쇼핑몰 서버(300)는 플랫폼 제공부(310), 물품정보 수집/요청 관리부(320), 물품평가정보 관리부(330), 물품정보 및 물품평가정보 선별부(340) 및 보상 지급관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쇼핑몰 서버(300)의 각 부(310, 320, 330, 340, 35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호연동된다.
또한, 쇼핑몰 서버(300)의 각 부(310, 320, 330, 340, 350)는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저장매체인 데이터페이스를 포함할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프로그램(DBMS)을 이용하여 제1 중계서버의 저장공간(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에 구현된 일반적인 데이터구조를 가지며, 데이터의 검색(추출), 삭제, 편집, 추가 등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본원발명에 개시된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서버(30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 (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랫폼 제공부(310)는 소비자 단말(200)로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 추천물품, 평가자의 물품평가 정보, 결제정보 등을 입력 및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랫폼을 제공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랫폼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비자 단말들 간의 평가, 후기, 대화를 기록 및 저장하거나 또는 소비자 단말과 쇼핑몰 서버의 관리자 간의 대화를 기록 및 저장할 수 있는 양방향 커뮤니티 기능을 갖는 커뮤니티 플랫폼일 수 있다.
커뮤니티 플랫폼은 특정 콘텐츠에 대한 퍼가기 기능, facebook like 버튼, SNS 플러그인 기능, 네이버 블로그 연동, 페이스북 연동, 트위터 연동, RSS 피드 기능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쇼핑몰 플랫폼은 소비자 단말 (200) 및 입양자 단말(300)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물품정보 수집/요청 관리부(320)는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관련된 물품 제조 및 납품하는 물품공급업체의 서버로부터 해당 물품에 관한 물품정보를 요청 및 수집한 후, 수집된 물품정보를 상기 평가자 단말로 제공한다.
물품평가정보 관리부(330)는 물품 별로 등록된 평가자의 평가자 단말(400)에서 제공된 해당 물품정보의 물품평가정보를 수집 및 관리한다.
물품정보 및 물품평가정보 선별부(340)는 물품평가정보 관리부(330)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평가정보 중 상위등급에 해당하는 물품평가정보 및 물품평가정보와 관련된 물품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품정보 및 물품평가정보 선별부(340)는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341),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342) 및 물품정보 선별부(343)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341)는 물품평가정보 내에 기록된 복수 개의 항목별 점수를 평균값으로 산출하거나 또는 텍스트로 내의 긍정적인 단어들의 개수를 추출하여 단어당 개수를 점수로 수치화하여 산정할 수 있다.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342)는 물품공급업체에서 제공한 물품정보의 기간별 물품 판매개수를 기 설정된 등급표에 적용시켜 각 물품의 물품정보 등급을 산정한다.
물품정보 선별부(343)는 상기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341)에서 산정된 물품평가정보의 점수와 상기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에서 산정한 물품 등급에 기초하여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 및 상기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를 평가한 물품평가정보를 선별한다.
여기서, 물품정보 선별부(343)에서 선정하는 물품정보의 선정개수는 물품의 종류 및 기간별 소비자의 수요에 따른 선정지수로 인하여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정보가 ①헤어로션 및 ②거위털 코트라고 할 경우, 헤어로션은 계절 또는 기간에 따라 수요량의 변화가 크지 않을 수 있어, 물품정보를 선정하는 선정지수가 일정함으로, 물품정보의 선정개수는 일정할 수 있는 반면에, 거위털 코트는 계절에 따라 수요량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물품정보를 선정하는 선정지수가 기간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 단말로 제공되는 물품정보의 선정개수는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보상 지급관리부(350)는 소비자 단말에서 구매한 구매물품이 상기 평가자 단말에서 작성한 물품평가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일 경우, 상기 구매물품의 결제금액의 일정부분을 특정형태로 리워드(reward) 한다.
한편, 보상 지급관리부(350)는 평가자 단말별로 서로 다른 리워드 약정에 기반하여 리워드를 지급할 수 있도록 약정정보 관리부(351) 및 리워드 관리지급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정정보 관리부(351)는 평가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평가자 별 약정정보를 관리한다. 상기 평가자 별 약정정보는 평가자의 이력정도에 따라 리워드 보상액이 포함된 정보일 수 있으며, 약정 체결일 및 약정 설정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워드 관리부(352)는 약정 정보에 기재된 물품 별 평가정보의 작성이행 횟수에 충족된 경우 약정정보에 포함된 리워드를 평가자 단말로 제공한다.
한편, 약정 설정 정보는 리워드의 지급방식, 형태 등이 기록된 정보일 수 있으며, 이는 평가자에 의해 변경가능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리워드 관리부(352)는 약정 정보에 설정된 물품 별 평가정보의 작성이행 횟수 대비 실제 작성이행 횟수의 비율을 가지급된 리워드로 적용하여 해당 비율에 따라 리워드의 일부를 지급처리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소비자 단말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비자 단말(200)에서는 회원가입, 물품 선호도 조사 및 굿즈카운셀러의 후기를 나타낸 창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소비자가 물품 선호도 조사 항목을 클릭하면, 성별, 나이, 색상, 선호제품, 제조국, 가격, 인증제품 여부 및 A/S 형태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소비자가 굿즈카운셀러(물품 평가자)의 후기를 클릭하면, 소비자가 선호하는 물품에 대한 물품평가자들의 평가글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S750의 보다 상세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맞춤 전자상거래방법(S700)은 먼저, 소비자 단말(200)에서 쇼핑몰 서버에서 제공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랫폼을 이용하여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를 쇼핑몰 서버로 제공(S710)하면, 쇼핑몰 서버는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물품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로부터 수집(S720)한다.
여기서,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는 소비자가 선호하는 물품의 정보(예컨대, 종류, 색상, 재질, 가격 등의 상세정보 등)를 포함한다.
다음을, 쇼핑몰 서버(300)에서 상기 S720 단계에서 수집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의 물품정보를 내부에 등록된 복수의 평가자 단말(400)로 제공(S730)하면, 상기 복수의 평가자 단말(400)에서 상기 물품정보의 물품평가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300)로 제공(S740)한다.
이후, 상기 쇼핑몰 서버(300)에서 상기 복수의 평가자 단말(400)에서 제공된 물품평가정보 중 상위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를 선별한 후, 선별된 물품정보와 상기 물품평가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200)로 제공(S750)하면, 상기 소비자 단말(200)에서 상기 물품정보 및 상기 물품평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에 부합하는 물품을 구매(S760)한다.
여기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S750 단계는 물품정보 및 물품평가정보 선별부의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에서 상기 물품평가정보 내에 기록된 복수 개의 항목별 점수를 평균값으로 산출하거나 또는 텍스트로 내의 긍정적인 단어들의 개수를 추출하여 단어당 개수를 점수로 수치화하여 산정(S751)하면,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가 상기 물품공급업체의 서버에서 제공한 물품정보의 기간별 물품 판매개수를 기 설정된 등급표에 적용시켜 각 물품의 물품정보 등급을 산정(S752)하고, 물품정보 선별부에서 상기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에서 산정된 물품평가정보의 점수와 상기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에서 산정한 물품 등급에 기초하여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 및 상기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를 평가한 물품평가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S753)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단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비자 단말(200)에서 구매한 구매물품이 상기 복수의 평가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에서 작성한 물품평가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일 경우, 상기 평가자 단말(400)로 상기 구매물품의 결제금액의 일정 부분을 특정형태의 리워드로 지급(S770)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S770 단계는 평가자 별 약정정보에 기재된 물품 별 평가정보의 작성이행 횟수에 충족된 경우 약정정보에 포함된 리워드를 평가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평가자 별 약정정보는 평가자의 이력정도에 따라 리워드 보상액, 약정 체결일 및 리워드 지급방식, 리워드 형태가 기록된 약정 설정 정보가 포함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은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소비자가 선호하는 물품의 물품평가정보를 외부의 평가자로부터 평가받은 평가정보 중 상위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는 종래와 같이 방대한 양의 물품정보를 선별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신뢰성있는 평가자들의 평가정보의 상위등급의 물품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소비자가 선호하는 물품을 쉽게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점에 기반하여, 판매자들은 기존 소비자들의 선택을 기다렸던 수동적인 단방향에서, 해당 틀에 부합하는 상품을 소비자에게 능동적으로 제시할 수있고, 양방향 거래로 인한 전자상거래 건전성 및 활동성을 상승시킬 수 있고, 고품질 저자본의 신규 스타트업 업체등의 시장 판로 확보 가능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비자는 쇼핑과 관련된 여러 의사결정 과정의 시간낭비를 제거할 수 있다는 이점과 동시에, 물품 평가를 수행하는 물품 평가자라는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200: 소비자 단말
300: 쇼핑몰 서버
310: 플랫폼 제공부
320: 물품정보 수집/요청 관리부
330: 물품평가정보 관리부
340: 물품정보 및 물품평가정보 선별부
341: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
342: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
343: 물품정보 선별부
350: 보상 지급관리부
351: 약정정보 관리부
352: 리워드 관리지급부
400: 평가자 단말

Claims (8)

  1.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소비자 단말;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물품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에서 제공된 제1 물품정보 중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제2 물품정보를 선별한 후, 선별된 제2 물품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 및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에서 제공된 제2 물품정보의 물품평가정보를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평가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평가자 단말에서 제공된 물품평가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상기 물품평가정보에서 추천된 물품을 구매하면 상기 평가자 단말로 소정 형태의 리워드(reward)를 제공하는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관련된 물품을 제조 및 납품하는 물품공급업체로부터 상기 물품에 관한 물품정보를 요청 및 수집한 후, 수집된 물품정보에 대한 평가정보를 상기 평가자 단말로 요청하는 물품정보 수집/요청 관리부;
    물품 별로 등록된 평가자의 평가자 단말에서 제공된 물품의 물품평가정보를 수집 및 관리하는 물품평가정보 관리부;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에 입력된 물품정보와 관련된 물품공급업체의 물품정보를 수집한 후, 상기 물품평가정보 관리부에서 수집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평가정보 중 상위등급에 해당하는 물품평가정보와 관련된 물품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물품정보 및 물품평가정보 선별부; 및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구매한 구매물품이 상기 평가자 단말에서 작성한 물품평가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일 경우, 상기 구매물품의 결제금액의 일정분을 특정형태의 리워드로 지급하는 보상 지급관리부를 포함하는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물품 별로 부합되는 평가자를 선별 및 등록하는 평가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정보 및 물품평가정보 선별부는
    물품평가정보 내에 기록된 복수 개의 항목별 점수를 평균값으로 산출하거나 또는 텍스트로 내의 긍정적인 단어들의 개수를 추출하여 단어당 개수를 점수로 수치화하여 산정하는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
    물품공급업체에서 제공한 물품정보의 기간별 물품 판매개수를 기 설정된 등급표에 적용시켜 각 물품의 물품정보 등급을 산정하는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 및
    상기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에서 산정된 물품평가정보의 점수와 상기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에서 산정한 물품 등급에 기초하여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 및 상기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를 평가한 물품평가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물품정보 선별부를 포함하는 쌍방형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지급관리부는
    상기 평가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평가자 별 약정정보를 관리하는 약정정보 관리부; 및
    상기 약정정보에 기재된 물품 별 평가정보의 작성이행 횟수에 충족된 경우 약정정보에 포함된 리워드를 평가자 단말로 제공하는 리워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가자 별 약정정보는 평가자의 이력정도에 따라 리워드 보상액, 약정 체결일 및 리워드 지급방식, 리워드 형태가 기록된 약정 설정 정보가 포함된 정보인 쌍방형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6. 소비자 단말에서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를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물품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로부터 수집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수집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의 물품정보를 쇼핑몰 서버에 등록된 복수의 평가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3 단계;
    상기 복수의 평가자 단말에서 상기 물품정보의 물품평가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제4 단계;
    상기 쇼핑몰 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평가자 단말에서 제공된 물품평가정보 중 상위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를 선별한 후, 선별된 물품정보와 상기 물품평가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상기 물품정보 및 상기 물품평가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에 부합하는 물품을 구매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구매한 구매물품이 상기 복수의 평가자 단말 중 어느 하나에서 작성한 물품평가정보에 해당하는 물품일 경우, 상기 평가자 단말로 상기 구매물품의 결제금액의 일정분을 특정형태의 리워드로 지급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는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에서 상기 물품평가정보 내에 기록된 복수 개의 항목별 점수를 평균값으로 산출하거나 또는 텍스트로 내의 긍정적인 단어들의 개수를 추출하여 단어당 개수를 점수로 수치화하여 산정하는 단계;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가 상기 물품공급업체의 서버에서 제공한 물품정보의 기간별 물품 판매개수를 기 설정된 등급표에 적용시켜 각 물품의 물품정보 등급을 산정하는 단계; 및
    물품정보 선별부에서 상기 물품평가정보 수치화부에서 산정된 물품평가정보의 점수와 상기 물품정보 등급 선정부에서 산정한 물품 등급에 기초하여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 및 상기 상위 등급에 해당하는 물품정보를 평가한 물품평가정보를 선별하여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평가자 별 약정정보에 기재된 물품 별 평가정보의 작성이행 횟수에 충족된 경우 약정정보에 포함된 리워드를 평가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이고,
    상기 평가자 별 약정정보는 평가자의 이력정도에 따라 리워드 보상액, 약정 체결일 및 리워드 지급방식, 리워드 형태가 기록된 약정 설정 정보가 포함된 정보인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방법.
KR1020170029463A 2017-03-08 2017-03-08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2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463A KR102004252B1 (ko) 2017-03-08 2017-03-08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PCT/KR2018/002662 WO2018164459A1 (ko) 2017-03-08 2018-03-06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463A KR102004252B1 (ko) 2017-03-08 2017-03-08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826A true KR20180102826A (ko) 2018-09-18
KR102004252B1 KR102004252B1 (ko) 2019-10-17

Family

ID=6344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463A KR102004252B1 (ko) 2017-03-08 2017-03-08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4252B1 (ko)
WO (1) WO20181644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11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커뮤니티를 이용한 제품 감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118567A (ko) * 2020-03-23 2021-10-01 노영렬 견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732A (ko) 2022-04-29 2023-11-07 나도진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467B1 (ko) * 2000-11-29 2008-06-05 강민수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20100091669A (ko) 2009-02-11 2010-08-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상거래 서비스에서의 개인화 추천 시스템
KR20140138485A (ko) * 2013-05-24 2014-12-04 서명성 일반적인 상품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온라인 구매 및 판매활동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법
KR20170004218A (ko) * 2015-07-01 2017-01-11 박종찬 상품후기를 통한 보상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9709A (ko) * 2006-04-05 2007-10-10 김길호 기호지수 기반 사용자 매칭 방법 및 시스템
KR20160090479A (ko) * 2015-01-22 2016-08-0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상품 정보 제공 장치, 상품 정보 제공 서버, 상품 정보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467B1 (ko) * 2000-11-29 2008-06-05 강민수 전자지도 기반 서비스 랭킹정보 제공방법 및 서비스랭킹정보 제공시스템
KR20100091669A (ko) 2009-02-11 2010-08-1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상거래 서비스에서의 개인화 추천 시스템
KR20140138485A (ko) * 2013-05-24 2014-12-04 서명성 일반적인 상품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온라인 구매 및 판매활동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방법
KR20170004218A (ko) * 2015-07-01 2017-01-11 박종찬 상품후기를 통한 보상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211A (ko) * 2019-06-21 2020-12-30 주식회사 구하다 블록체인 기반의 쇼핑몰에서 커뮤니티를 이용한 제품 감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10118567A (ko) * 2020-03-23 2021-10-01 노영렬 견적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252B1 (ko) 2019-10-17
WO2018164459A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9608B2 (en) Merchant recommendations associated with a persona
KR101868583B1 (ko) 객관적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가맹점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US114684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purchase recommendations based on purchase category associations
KR101998296B1 (ko)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
US10217149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uating an electronic purchase transaction between a consumer device and a merchant
JP64425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5493119A (zh) 基于智能手机的互动广告输出系统
JP5957164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116312B1 (ko) 상품 주문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403331B1 (ko) 소재/부품 재고관리 및 스마트 거래 시스템, 방법
US20150317709A1 (e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effectuating an electronic negotiation between a consumer device and a merchant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KR102004252B1 (ko)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14032442A (ja) ネットショップ評価装置
KR101979237B1 (ko) 쇼핑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80136399A (ko) 역경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865521B1 (ko) 온라인을 통해 판매되는 제품의 가격결정방법
JP3200756U (ja) ネットショップ評価装置
US20130268345A1 (en) Methods for and apparatus for automated presale kiosk
KR101682635B1 (ko) 균일가 판매상품을 거래하기 위한 균일가상품거래시스템 및 균일가상품거래방법
KR102078854B1 (ko) 추천 컨텐츠 선정 시스템 및 방법
KR102504185B1 (ko) O2o 기반의 고객 유치 보상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56076A (ko) 할인견적 산출을 통한 사업자, 구매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JP7214790B2 (ja) インセンティブ付与システム及びインセンティブ付与方法
US2023011350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content for a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