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3732A -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3732A
KR20230153732A KR1020220053503A KR20220053503A KR20230153732A KR 20230153732 A KR20230153732 A KR 20230153732A KR 1020220053503 A KR1020220053503 A KR 1020220053503A KR 20220053503 A KR20220053503 A KR 20220053503A KR 20230153732 A KR20230153732 A KR 20230153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ing
buyer
product
shopping mall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도진
Original Assignee
나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도진 filed Critical 나도진
Priority to KR1020220053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3732A/ko
Publication of KR2023015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373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echnology Law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기관(관공서, 준공공기관, 공기업, 준공기업 등)이나 대기업들과 같이 대량구매자들이 선택한 상품을 대량 주문하거나 발주/입찰방식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맞춤형 상품 및 서비스를 조달하는 경우 생산 공급자와 구매자 간 대량 판매, 구매계약 건에 대해서 구매자의 예산 성격 및 지불능력 등의 신용을 바탕으로 구매계약서를 근거로 시스템적으로 신속히 생산 및 공급할 운영자금을 플랫폼 운영사가 대출 또는 보증을 할 수 있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회적 기업의 판매자 단말기(100)에서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 게재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구매자 단말기(300)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량주문이 요청되는 단계(S0 3);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의 쇼핑플랫폼을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가 구매할 상품이나 서비스가 발주되면(S0 7), 상기 판매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로 공급가능 품목에 대한 가격 및 공급량견적이 제시되는 단계(S0 8);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와 판매자 단말기(100)간 쌍방이 합의한 가격 및 수량으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통해 발주공급계약이 체결되는 단계(S0 10); 및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서 금융사 서버(400)와 연계하여 상기 발주공급계약이 체결된 구매자에 대한 신용평가와 판매자에 대해 대출한도 또는 보증한도를 설정하고, 대출보증을 수행하여 보증이나(M 1) 직접대출을 통해(M 2) 생산 및 운영자금에 대한 대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Product service interactive trading platform system for seller and buyer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매자 특히 사회적기업들의 판매와 구매에 있어서 특히 공공기관(관공서, 준공공기관, 공기업, 준공기업 등)이나 대기업들과 같이 대량구매자들이 선택한 상품을 대량 주문하거나 발주/입찰방식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맞춤형 상품 및 서비스를 조달하는 경우 생산 공급자와 구매자 간 대량 판매, 구매계약 건에 대해서 구매자의 예산 성격 및 지불능력 등의 신용을 바탕으로 구매계약서를 근거로 시스템적으로 신속히 생산 및 공급할 운영자금을 플랫폼 운영사가 대출 또는 보증을 할 수 있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랫폼의 쇼핑몰부분에서 구매할 상품 및 서비스가 없거나 맞춤형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할 경우 플랫폼의 발주/조달부분에서 이 플랫폼을 통해 생산 및 공급하는 사회적 기업들을 대상으로 생산 공급자를 찾기 위해서 발주를 내서 입찰에 참여하도록 한다.
그래서 주로 공공기관(정부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및 이들의 산하기관, 학교와 같이 정부 및 지방예산으로 집행되는 곳들, 공기업, 정부예산을 위탁 수행하는 협회·단체들이 예산집행) 중 국가재정법 제44조(예산집행지침의 통보)에 따라 기획재정부는 매년 1월까지 정부 각 부처 및 지자체들에게 지침을 하달하면서 사회적기업에서 총예산대비 구매비율이 현재는 3% 수준에서 권고하고 있다.
그러면서 각 기관들 평가항목에 반영하고 있으나 사회적기업들이 매년 수 백 개씩 증가함에 따라 앞으로도 사회적기업으로 구매하는 예산집행 비율도 점점 높여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고용노동부는 매년 4월에 사회적기업부터 예산집행 실적과 계획을 공고하고 있는데 2021년 4월 고용노동부 발표자료에 의하면 2020년도 사회적기업들로부터 공공기관들이 구매금액이 1조 6,200억원이라고 한다.
사회적기업들로부터 예산구매액이 2013년 2천 632억원에서 2020년 1조 6,225억원으로 최근 8년 동안 평균 30.6%씩 증가하고 있다. 이 기관에서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사회적기업에서 구매대상이 되는 공공기관이 847개라고 하지만 교육청 산하에 2만여개의 초·중·고등학교들과 특수학교 및 국공립대학교 등이 있듯이 각 부처나 지자체별로 집행하위기관들도 있고 한국전력 같으면 수많은 사업팀별로 구매를 담당하기 때문에 최소한 5만여 곳이 넘고 지자체 등과 같은 일정 크기 조직에서는 각 팀별로 구매를 담당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 구매담당자들이 10만명이 넘을 것이다.
생산 공급자가 많은 구매담당자들에게 일일이 찾아다니면서 영업을 할 수 없고 구매자들이 일일이 사회적기업들을 찾기가 어려워 중간에 판매자와 구매자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사회적기업진흥원의 자료에 의하면 2022년 3월말 현재 사회적기업이 6,230개 기업, 협동조합이 22,612개가 있고 2020년 12월 현재 이들 기업들에 54,600여명이 고용되어 있어 정부에서 구매비율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런데 연간 수백개 기업들이 창업하는데 이들의 판로가 어렵다. 또한 공기관의 구매담당자들이 구매하고 싶어도 제조, 공급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적기업들이 영세하여 홈페이지조차 없는 기업들이 대다수이다보니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들로부터 구입을 하고자 하여도 찾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조달청에서 운영하는 나라장터에는 수십만 개의 회사의 수천만 개 상품들 속에 사회적기업들 제품이 미미하게 섞여있어 사회적기업 제품만 별도로 찾기가 쉽지 않다. 또한 일반 쿠팡 등과 같이 대형 쇼핑몰에서는 취급하는 품목이 더욱 많아서 사회적기업들 제품을 별도로 찾기가 더욱 어려운 실정이다.
그래서 제조 공급 및 서비스 제공자와 구매자 간 사회적기업 제품과 서비스만을 취급하여 구매자와 연결해주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또한 구매고객들이 현재는 공공기관(정부중앙부처, 중앙부처 산하기관, 광역 및 기초지자체, 광역 및 기초지자체의 산하기관, 공기업, 위탁받아 집행하는 협회 및 단체)들이 대부분이지만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에 대한 인식[장기적 관점에서 기업 가치와 지속가능성에 영향을 주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의 비재무적 요소를 충분히 반영해 평가로 기업의 ESG 성과를 활용한 투자 방식은 투자자들의 장기적 수익을 추구하는 한편, 기업 행동이 사회에 이익이 되도록 영향을 줄 수 있다.]의 증가로 사회적기업들로부터 구매액이 증가할 것인데 사회적기업들만의 제품 및 서비스만을 취급하는 플랫폼이 없다.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현재 사회적기업들로부터 수의계약 한도가 1억원이고 중증장애인생산시설 인가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은 수의계약 한도가 없다. 그런데 구매고객들 특성상 공공기관이나 대기업들이 대량으로 구매를 하고 있는데 사회적기업들이 영세하여 주문을 받으면 생산 및 운영자금이 없어서 주문을 받아도 어려움에 처하는 기업들이 많다. 그래서 플랫폼에서 구매계약을 근거로 플랫폼 운영사가 대출이나 보증을 시스템적으로 신속히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쇼핑몰 부분에서는 구매자들이 쇼핑몰에 게시된 상품을 보고 구매하는 기술은 이미 활용되고 있는 부분에 대량구매 고객들을 위해서 각 상품의 페이지에 판매자가 설정한 일정 수량 이상 구매 시 별도로 “대량구매”아이콘을 클릭하여 들어가도록 추가된 것이다. “대량구매”를 클릭하여 들어가서 구매할 수량 및 납기, 납품장소 등 필요한 사항을 넣어 보내면 판매자에게 견적요청서가 인터넷,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 문자 등의 방식으로 전달된다. 그러면 판매자는 단가 및 공급가능 수량을 기재하여 간단한 확인 인증한 후 보내면 견적서가 구매자에게 전달된다. 구매자가 견적 조건이 맞으면 발주하면서 시스템상에 게재된 표준전자계약서에 위 내용들이 들어가서 발주 계약서가 생성된다.
발주 및 입찰 부분에서는 구매자가 품목, 납기일, 납기장소, 공급자가 수량을 분할 공급 허용 여부 등의 발주 내용을 게재한다. 그러면 공급자가 이들 발주내용들 중 공급 가능한 품목의 발주내용을 클릭하여 가격 및 공급가능 수량을 게재하여 간단한 인증 절차를 거쳐 보내어 입찰에 참여한다. 그러면 구매자의 페이지에서 입찰 제안한 업체들의 내용이 가격순별로 또는 품질 및 서비스 등급순별로 볼 수 있다.
이에 쌍방향 전자상거래 관련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 1은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으로써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소비자 단말;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물품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로부터 제공받은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에서 제공된 제1 물품정보 중 상기 물품구매 이벤트 정보와 부합되는 제2 물품정보를 선별한 후, 선별된 제2 물품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는 쇼핑몰 서버; 및 상기 쇼핑몰 서버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품공급업체에서 제공된 제2 물품정보의 물품평가정보를 상기 쇼핑몰 서버로 제공하는 평가자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쇼핑몰 서버는 상기 평가자 단말에서 제공된 물품평가정보를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상기 물품평가정보에서 추천된 물품을 구매하면 상기 평가자 단말로 소정의 형태의 리워드(Reward)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2는 쌍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장치 및 방법으로서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해당 상품 또는 판매자 페이지와 MCN(Multi Channel Network) 서버의 해당 상품 또는 판매자 채널을 상호 연계시키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를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이다.
특허문헌 3은 응답방식형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B2B 전자상거래에서 발생하는 작업 절차를 공유영역과 내부영역으로 분리함으로써 상품관리는 판매사가 직접하되 상품인텍스는 통합적으로 불특정 다수가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고, 회원사별 거래 정보는 철저히 분리 관리되어 기업비밀을 보호할 수 있으며, 중개상의 개입 없이 판매사와 구매사가 직접거래를 진행할 수 있는 요청 응답 방식형 기업 간 전자상거래 시스템이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상거래 방식들은 대부분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다보니 상품 상세페이지 구매설정이 소량 구매위주로 구성되어 있다. 대량구매 고객들에게 일정한 할인된 금액이나 별도의 주문 수량별 다른 가격으로 제안받기 어렵게 구성 즉 소량구매와 대량구매를 구분하여 구매할 수 없는 문제와 판매자와 구매가 간 소통하면서 판매 및 구매할 수 없다. 또한 구매자가 쇼핑몰에 게재되어있지 않은 상품을 구매할 수 없고 발주하여 입찰형태로 공급자와 소통하여 맞춤형 상품 및 서비스를 구매조달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042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1010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35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판매자 특히 사회적기업들의 판매와 구매에 있어서 특히 공공기관(관공서, 준공공기관, 공기업, 준공기업 등)이나 대기업들과 같이 대량구매자들이 선택한 상품을 대량 주문하거나 발주/입찰방식으로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여 맞춤형 상품 및 서비스를 조달하는 경우 생산 공급자와 구매자 간 대량 판매, 구매계약 건에 대해서 구매자의 예산 성격 및 지불능력 등의 신용을 바탕으로 구매계약서를 근거로 시스템적으로 신속히 생산 및 공급할 운영자금을 플랫폼 운영사가 대출 또는 보증을 할 수 있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쇼핑몰에 대량구매를 하고자 할 경우 구매자가 “대량구매”를 클릭하여 들어가서 공급자에게 구매할 수량, 납기, 납품 장소 등을 게재하여 보내면 해당 상품을 게재한 공급자에게 이메일,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 등의 방법으로 전달된다. 그에 따라 공급자가 대량주문 수량에 따른 게재된 가격과 다른 별도의 가격과 공급가능 수량을 기재하여 보내면 구매 희망자에게 전달되어 공급자와 소통하면서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 쇼핑몰에 게재된 상품이 없으면 발주/입찰시스템에서 발주 통해 구매할 상품을 게재하여 입찰에 참여하는 공급자와 소통하면서 맞춤형 상품 및 서비스도 적기에 공급받을 수 있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쇼핑몰에 게재된 상품이 없거나 맞춤형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할 때는 발주/입찰시스템에서 발주내용을 게재하면 공급자가 공급 가능한 품목을 클릭하여 가격 및 공급 가능한 수량을 제시하여 보내면 발주자가 입찰자들 중 선택하여 구매 결정하도록 하고, 쇼핑플랫폼의 특성상 공공기관 및 대기업들이 많이 구매를 하므로 이들과 같은 우량고객들로부터 대량주문 계약을 체결하면 생산 공급자는 생산 및 운영자금난에 봉착할 수 있는 경우 이들을 위해서 전자계약시 시스템적으로 구매자가 회원가입 시 회원코드 분류번호에 따라 우량고객으로 구분되면 시스템적으로 신속히 대출·보증을 해줄 수 있음에 따라 부실을 예방할 수 있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회적 기업의 판매자 단말기(100);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구매자 단말기(300);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회적 기업에서 판매하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게재되는 쇼핑몰 홈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로 상기 판매자 단말기(100)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안내하며, 상기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발주 및 입찰이 한 서버에 같이 공존하여 클릭 한 번으로 쇼핑몰에서 발주/입찰 화면으로 발주/입찰 화면에서 쇼핑몰 화면으로 이동하여 상품 검색하여 구매 및 발주 및 입찰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자의 예산 성격 및 지불능력을 포함하는 신용을 바탕으로 하는 구매계약서를 근거로 생산 및 공급할 운영자금을 상기 판매자에게 금융사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판매자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300)는 PC, 스마트폰, 서버, 스마트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회적 기업의 판매자 단말기(100)에서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 게재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구매자 단말기(300)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량주문이 요청되는 단계(S0 3);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의 쇼핑플랫폼을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가 구매할 상품이나 서비스가 발주되면(S0 7), 상기 판매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로 공급가능 품목에 대한 가격 및 공급량견적이 제시되는 단계(S0 8);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와 판매자 단말기(100)간 쌍방이 합의한 가격 및 수량으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통해 발주공급계약이 체결되는 단계(S0 10); 및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서 금융사 서버(400)와 연계하여 상기 발주공급계약이 체결된 구매자에 대한 신용평가와 판매자에 대해 대출한도 또는 보증한도를 설정하고, 대출보증을 수행하여 보증이나(M 1) 직접대출을 통해(M 2) 생산 및 운영자금에 대한 대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회적 기업의 판매자 단말기(100)에서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 게재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구매자 단말기(300)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량주문이 요청되는 단계(S0 3) 후에,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 복수의 판매자 단말기(100)로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가 선택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구매수량, 납기일, 납기장소를 제시하여 견적을 요청하는 단계(S0 4)와, 상기 복수의 판매자 단말기(100)에서 제시한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의 공급가격, 공급수량을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로 제사하는 단계(S0 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서 금융사 서버(400)와 연계하여 상기 발주공급계약이 체결된 구매자에 대한 신용평가와 판매자에 대해 대출한도 또는 보증한도를 설정하고, 대출보증을 수행하여 보증이나(M 1) 직접대출을 통해(M 2) 생산 및 운영자금에 대한 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금융사 서버(400)에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의 운영사로 대출을 한 후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의 운영사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100)의 운영자로 재대출하는 것이거나, 상기 금융사 서버(400)에서 판매자 단말기(100)의 운영자에게 직접대출하는 것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통해 사회적 기업의 생산/공급자가 공공기관이나 우량기업 회원과 대량주문계약을 체결하는 단계(M 9); 사회적 기업의 생산/공급자가 사회적 기업의 판매자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대량주문계약을 근거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로 생산 및 운영자금 조달을 요청하는 단계(M 14, M 15);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운영하는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에 대하여 금융사에서 대출받도록 보증해주거나(M 34), 상기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의 구매계약을 근거로 금융사에서 대출을 받거나(M 35), 상기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의 구매계약을 근거로 자체 여유자금으로 생산/공급자에게 생산 및 운영자금을 대출해주는 단계(M 36); 및 상기 사회적 기업의 생산/공급자가 주문자인 상기 공공기관이나 우량기업에게 체결된 대량주문계약에 대한 물품을 생산/공급하는 단계(M 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공공기관이나 우량기업을 구분하기 위해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는 회원가입 시, 회원번호 앞에 중앙부처, 산하기관, 하위 예산집행기관, 정부 및 지자체 등의 공공예산을 위탁받아 집행하는 협·단체를 포함하는 공공기관의 구분코드, 대기업 구분코드, 중·소기업 구분코드, 기타단체 및 특수법인 구분코드, 개인사업자 구분코드, 일반개인 구분코드로 구분하여 코드를 부여하여 코드 분류별로 회원가입하는 단계(M 7);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운영하는 쇼핑플랫폼 운영사는 구매자가 회원가입 시 등록한 사업자등록증을 통해 코드분류를 적합하게 선택했는지 확인하여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대출받도록 보증해주거나(M 34), 상기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의 구매계약을 근거로 금융사에서 대출을 받거나(M 35), 상기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의 구매계약을 근거로 자체 여유자금으로 생산/공급자에게 생산 및 운영자금을 대출해주는 단계(M 36), 상기 대출 및 보증해주기 위해서, 구매자의 회원번호 앞에 공공기관, 공적예산 집행기관, 대기업으로 구분 설정한 기호나 숫자를 인식하여 회원의 신용도나 결제능력을 구분 인식하도록 하고, 설정한 공공기관 및 대기업의 코드나 기호를 인식한 후 지난 설정한 일정기간 동안에 구매취소 및 결제거부가 있었는지 확인(M 21, M 22)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공공기관 및 대기업의 우량 구매고객들로부터 구매계약 건에 대해 자동적 및 시스템적으로 대출/보증을 해주는데 있어서 일정한 향후에 문제 발생가능 구매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설정한 일정 과거기간 내에 구매취소 및 결제거부 건이 있을 경우에, 대출 및 보증 여부를 심사하는 단계(M 24, M25)와, 심사하여 대출 및 보증을 승인하거나 거부하는 단계(M 26, M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회적기업들 제품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데 제조 공급하는 사회적기업들과 사회적기업으로부터 구매예산 집행이 할당이 되어 사회적기업들 제품 및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는 공공기관이나 대기업들에게 편리하게 상품 및 서비스를 찾도록 해준다.
둘째, 게재된 상품 및 서비스뿐만 아니라 쇼핑몰에 게재되어있지 않은 상품 및 서비스도 발주 및 입찰방식으로 구매할 수 있어 발주자가 희망하는 맞춤형 상품이나 서비스도 소통하면서 신속히 구매 조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셋째, 소량구매자뿐만 아니라 주로 대량구매자를 대상으로 하여 대량구매자들에게 구매 수량에 따라 다른 가격으로 구매하거나 가격을 협상하여 구매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넷째, 쇼핑몰에 게재된 상품을 대량으로 구매하고자 할 때나 게재된 상품이 없거나 맞춤형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할 때 발주 및 입찰방식으로 조달 구매할 때 공급자와 구매자 간 본 쇼핑플랫폼의 발주/입찰 시스템에서 발주 및 입찰 현황을 본 플랫폼에 내재된 발송 시스템을 통해 Social Network Service, Application, 이메일, 문자 등으로 수시로 소통하면서 신속히 의사결정하여 구매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다섯째, 시스템화된 견적서를 통해 공급자가 가격 및 공급수량만 입력하면 바로 구매자/발주자에게 전달되고 구매자/발주자도 간단히 구매할 상품이나 서비스의 사양과 조건만 입력하여 등록하면 공급자들이 해당 품목을 클릭하여 가격 등만 간편하게 입력하여 제출하면 견적서를 제출하는 것과 같아서 신속히 발주 및 입찰하는 효과를 갖는다.
여섯째, 구매고객들이 공공기관(정부중앙부처, 광역 및 기초 자치단체, 이 기관들의 산하기관, 이들로부터 예산을 위탁 집행하는 협회 및 단체, 공기업)이나 대기업들로부터 대량구매가 많은데, 대량구매 주문을 받으면 생산 운영자금이 필요한 경우 자체자금이 있어 자금 문제가 없는 생산 공급자들이 있지만 대부분 생산 공급자들이 영세하여 대량주문을 받으면 생산 운영자금난을 겪으면서 은행들로부터 자금을 조달받지 못해 대량주문을 받을 수 없는 경우에 본 발명 쇼핑몰에서의 전자계약을 한 근거를 통해 우량고객들로부터 구매/판매계약 건은 쇼핑몰 운영사가 은행에 대출보증을 서줘서 생산 운영자금을 신속히 조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특히 우량고객 계약 건에 대해서 시스템적으로 신속히 자동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영세한 경우에도 생산 운영자금을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보증으로 은행에서 대출받은 생산공급자가 영세하거나 자금관리가 부실할 수 있어 보이면 자금 집행을 건건히 플랫폼 운영사가 승인해 줘서 부실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쇼핑몰과 발주/입찰이 공존하면서 판매자와 구매자 간 발주공급계약 체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쇼핑몰에서 상품을 검색하여 상품의 상세페이지 중 주문란에서 대량주문 아이콘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대량주문을 클릭하여 들어갔을 때 대량 주문 시스템에서 구매자가 견적을 요청하기 위해 구매내용을 입력하는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대량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요청한 견적에 대해 판매자가 단가 및 공급가능 수량을 기재하여 보내는 견적의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쇼핑몰에서 대량구매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발주/입찰 화면에서 발주자들이 등록한 리스트의 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발주/입찰에서 입찰에 응찰하는 화면의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입찰에 발주 수량을 공급자가 일괄 공급할 때 응찰한 것을 발주자에게 보이는 화면의 실시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입찰에 발주 수량을 공급자가 분할 공급 허용할 때 응찰한 화면의 실시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발주/입찰 시스템에서 발주자가 가격우선 또는 품질등급우선에 따른 프로그램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의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에게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보증을 해줘서 이들이 직접대출을 받도록 하는 구성 흐름도(M 1)와, 이들의 계약 건을 근거로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아서 생산 공급사에게 자금을 제공하는 구성 흐름도(M 2)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구매기관(자)가 구매 결제하는데 있어서 구매회원에 따라서 예산의 성격에 따른 결제능력, 신용도를 회원가입 시 회원번호 앞에 코드로 구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회원분류 코드 부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회원번호 앞에 부여된 코드를 통해 기본승인 대상 우량고객(공공기관, 대기업 등)과 선별승인 대상 고객을 구분하여 시스템적으로 자동적으로 보증 및 대출해주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생산 공급자가 쇼핑몰에서 대량구매를 통해 계약한 건이나 발주/입찰 시스템을 통해 대량 구매계약 건을 통해 생산 운영자금을 필요하여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은행에 보증을 해줘서 생산 공급사에 직접대출, 은행에서 쇼핑플랫폼운영사로 대출해줘서 제조 공급사로 대출, 플랫폼 운영사의 자체자금으로 대출해주고 집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매자 단말기(100),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 구매자 단말기(300), 금융사 서버(400) 및 통신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판매자 단말기(100)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단말기로 사회적 기업의 판매자 단말기이며, PC, 스마트폰, 서버, 스마트 패드 등의 단말기로 구성된다.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는 사회적 기업에서 판매하는 상품이 게재되는 쇼핑몰 홈페이지를 제공하고, 발주 및 입찰이 한 서버에 같이 공존하여 클릭 한 번으로 쇼핑몰에서 발주/입찰 화면으로 발주/입찰 화면에서 쇼핑몰 화면으로 이동하여 상품 검색하여 구매 및 발주 및 입찰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공공기관 및 대기업 등으로부터 대규모 구매계약 근거를 가지고 생산 공급자인 판매자가 생산 운영자금을 대출 및 보증을 요청하면 시스템적으로 금융사와 연계하여 자동적으로 신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구매자 단말기(300)는 상품을 구매하는 구매자의 단말기로 공공기관(관공서, 준공공기관, 공기업, 준공기업 등)의 PC, 서버이거나 해당 공공기관 상품 구매 담당자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일 수 있다. 물론 대기업의 PC, 서버이거나 해당 공공기관 상품 구매 담당자의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일 수 있고, 일반인의 PC,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도 포함된다.
금융사 서버(400)는 카드사 및 페이팔(카카오 페이 등) 등의 서버일 수 있다.
통신망(500)은 유무선 인터넷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 대하여 판매자 단말기(100), 구매자 단말기(300) 등의 PC, 서버,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는 통신망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의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나타낸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부(201), 판매자 정보 저장부(202), 구매자 정보 저장부(203), 쇼핑몰 정보 저장부(204), 구매자 신용정보 저장부(205), 공공기관 구매정보 저장부(206), 구매 담당부서(담당자) 정보 저장부(207), 금융정보 저장부(208), 구매자 체크리스트 저장부(209), 구매자 회원 코드 분류부(210), 발주/입찰 접수부(211), 발주/입찰 전송부(212), 발주/입찰 분류부(213), 대출/보증 요청부(214), 제품 만족도 요청/분류부(215), 공공기관 구매 포인트 계산부(216), 공공기관 구매 포인트 (담당자) 전송부(217) 및 제어부(2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01)는 통신망(500)을 통해 판매자 단말기(100), 구매자 단말기(300) 및 금융사 서버(400)와 통신한다.
판매자 정보 저장부(202)는 사회적기업의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정보가 저장되는데, 사회적기업에서 생산(공급) 판매하는 상품정보, 회사명, 이메일정보, 담당자 연락처 정보 등이 저장된다.
구매자 정보 저장부(203)는 구매기관명, 기업명, 예산성격, 지불능력, 구매금액, 구매처(판매자) 정보 등이 저장된다.
쇼핑몰 정보 저장부(204)는 쇼핑몰에서 판매하는 상품정보가 저장된다.
구매자 신용정보 저장부(205)는 구매자의 신용도 정보가 저장된다.
공공기관 구매정보 저장부(206)는 구매자가 공공기관인 경우에 해당 공공기관의 구매정보(구매상품, 구매일시, 구매 금액 정보 등)가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는 추후 해당 공공기관에 주기적으로 제공된다.
구매 담당부서(담당자) 정보 저장부(207)는 구매기관의 담당부서의 이메일 정보나 구매 담당자의 이메일, 스마트폰 정도 등이 저장되어 판매자의 판매상품정보제공, 구매정보 등의 정보 제공에 이용된다.
금융정보 저장부(208)는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거래 정보가 안정적으로 저장된다.
구매자 체크리스트 저장부(209)는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300)를 통해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 접속하여 구매자 등록 시 미리 설정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구매자가 공공기관, 대기업, 중소기업, 기타단체, 개인 등인지를 체크 및 입력하고, 연락처정보를 입력하도록 하여 쇼핑몰 이용에 다양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구매자 회원 코드 분류부(210)는 구매자 체크리스트 저장부(209)에 저장된 체크리스트에 따라 구매자 회원 코드를 분류한다. 이는 구매자의 예산 성격, 지불능력 및 신용도에 따른 기준에 따라 회원번호 기본코드 부호기준 설정을 위한 것으로,
(A 01~A 99) : 정부중앙부처, ex. A 03 : 교육부
(A 100~A 999) : 산하기관, ex. A 110 : 서울교육청
(A 1000 ~ A 9999 ) : 하위 예산집행기관, ex. A110001 : OO고등학교
(B 01~B 99) : 광역지자체, ex. B02 : 경기도
(B 100 ~ B 999) : 광역산하기관, ex. B02100 : 경기도시공사
(C 01~ C 999) : 기초지자체. ex. C20 : 안양시청
(C 1000 ~ C 9999) : 기초 산하기관. ex. C1001 : 안양도시공사
(D 01~D 999) : 정부예산으로 집행하는 협회, 단체 등
(E 01 ~ E 999) : 공기업 ex. E01 한국전력
(F 01 ~ F 999) : 대기업
(G 01 ~ G 99999 : 중소 기업
(H 01 ~ H 9999) : 기타 단체, 특수법인 등
(I 01 ~ I 999999) : 개인, 개인 사업자
과 같이 분류할 수 있고, 이러한 분류에 따라 본 발명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는 상품의 주문을 위한 발주/입찰 시 이를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때, 회원가입 시 사업자등록증을 통해 확인하는 절차를 할 수 있다. 이러한 확인은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운영하는 쇼핑플랫폼 운영사에서 관리자가 별도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하는 경우 보다 확실할 수 있다.
발주/입찰 접수부(211)는 구매자가 구매자 단말기(300)를 통해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의 쇼핑몰 페이지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발주나 입찰을 접수 받는다.
발주/입찰 전송부(212)는 구매자가 쇼핑몰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발주나 입찰이 접수되면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서는 판매자 단말기(10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발주/입찰 분류부(213)는 판매자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300)로부터의 발주/입찰을 분류한다.
대출/보증 요청부(214)는 판매자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300)간 대출/보증이 필요한 경우 미리 설정된 전자계약을 기본으로 금융사 서버(400)와 대출/보증에 필요한 요청을 수행한다.
제품 만족도 요청/분류부(215)는 판매자의 구매 상품,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구매자 단말기(300)로 요청하고, 이를 분류하며, 다른 구매자들에게 해당 상품,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정보를 노출한다.
공공기관 구매 포인트 계산부(216)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국가재정법 제44조(예산집행지침의 통보)에 따라 기획재정부는 매년 1월까지 정부 각 부처 및 지자체들에게 지침을 하달하면서 사회적기업에서 총예산대비 구매비율이 현재는 3% 수준에서 권고하고 있으므로, 해당 구매 포인트(금액 정보를 포함하며, 부처나 지자체의 구매 비율을 아는 경우 해당 총예산대비 구매 비율을 백분률로 계산할 수 있음)를 계산한다. 이러한 경우 해당 공공기관 등에서는 이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공공기관 구매 포인트 전송부(217)는 공공기관 구매 포인트 계산부(216)에서 계산된 구매 포인트를 담당자나 담당부서의 미리 설정된 이메일 계정이나, 담당자 스마트폰 등에 문자나 카톡 등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어부(218)는 통신부(201), 판매자 정보 저장부(202), 구매자 정보 저장부(203), 쇼핑몰 정보 저장부(204), 구매자 신용정보 저장부(205), 공공기관 구매정보 저장부(206), 구매 담당부서(담당자) 정보 저장부(207), 금융정보 저장부(208), 구매자 체크리스트 저장부(209), 구매자 회원 코드 분류부(210), 발주/입찰 접수부(211), 발주/입찰 전송부(212), 발주/입찰 분류부(213), 대출/보증 요청부(214), 제품 만족도 요청/분류부(215), 공공기관 구매 포인트 계산부(216) 및 공공기관 구매 포인트 (담당자) 전송부(217)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쇼핑몰과 발주/입찰이 공존하면서 판매자와 구매자 간 발주공급계약 체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쇼핑몰에서 상품을 검색하여 상품의 상세페이지 중 주문란에서 대량주문 아이콘 실시예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대량주문을 클릭하여 들어갔을 때 대량주문 시스템에서 구매자가 견적을 요청하기 위해 구매내용을 입력하는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대량구매자가 판매자에게 요청한 견적에 대해 판매자가 단가 및 공급가능 수량을 기재하여 보내는 견적의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쇼핑몰과 발주/입찰이 공존하면서 판매자와 구매자 간 발주공급계약 체결의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매자가 단말기를 통해 쇼핑몰 서버에 상품 및 서비스를 등록하면(SO 1), 구매자가 단말기를 통해 상품을 일정 수량 한도(소량)에서 구매한다(SO 2).
구매자가 단말기를 통해 쇼핑몰 서버에 게재된 상품 및 서비스를 선택하여 구매하고자 하나 판매자가 설정한 수량 이상 대량으로 구매하고자 할 때는 ‘대량구매’를 클릭한다(SO 3).
그러면 별도로 대량구매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클릭한 상품에 대해 구매수량, 납기일, 납기장소 등을 제시하며 구매자가 판매자에게 견적을 요청한다(SO 4).
그러면 대량구매 시스템에 만들어진 SNS, 이메일, 문자 등으로 보내지면 판매자(공급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대량판매 수량에 따른 별도의 가격으로 제시하고 공급 가능 수량을 제시하여(SO 5), 구매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구매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가격과 수량 등 조건에 쌍방이 합의한 가격 및 수량 등으로 쇼핑몰 내 전자계약서로 발주공급 계약체결 한다(SO 6).
구매자가 쇼핑몰 서버에서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찾지 못하거나 맞춤형 상품 및 서비스를 발주하고자 할 경우에 발주/입찰 창을 클릭하여 구매할 상품 및 서비스를 발주한다(SO 7).
그러면 공급자들이 단말기를 통해 해당 발주 품목을 클릭하여 들어가서 가격 및 공급량(분할수량 공급 허용인 경우) 입찰을 제시한다(SO 8).
그러면 발주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입찰받은 업체들 중 하나를 선택한다(SO 9). 이런 과정을 거쳐 쌍방이 합의한 가격 및 수량 등으로 발주/입찰시스템에서 공급계약을 체결한다(SO 10).
한편 도 4는 쇼핑몰에서 상품을 검색하는 것으로써 쇼핑몰(S 1)을 클릭하면 쇼핑몰 화면으로 들어가서 상품검색을 하면 검색한 상품이 보인다.
또한 상품의 상세페이지로서 주문화면에 “대량주문”(S 4)이 있어서 상품을 선택한 후 상품게재자가 일정한 수량 이상으로 대량주문하고자 할 경우 “대량주문”(S 4)를 클릭한다.
그러면 도 5에서와 같이 주문내용 입력란(S 5)에 수량, 납품기간, 납품장소, 특이사항 등을 기재하여 주문자 인증(S 6)을 한 후 견적 요청서 발송(S 7)하면 상품게시자 즉 판매자에게 전달된다.
도 6은 주문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판매자 단말기로 견적요청서를 보내오면 공급가능수량, 납품단가 및 특이사항 등(S 8)을 같이 기재하여(S 9). 공급자 인증(S 10)을 하여 견적서를 발송(S 11)한다. 그러면 발주자와 해당 상품 판매자 간 발주공급 계약이 체결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쇼핑몰에서 대량구매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쇼핑몰에서 대량구매 방법의 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쇼핑플랫폼에 게재된 상품/서비스 선택구매에서 구매한 상품/서비스 종류를 선택하고(S 21), 크기 및 용량 등의 사양을 선택한다(S 22).
그리고 미리 설정된 일정규모 이상의 대량구매인가를 판단하여(S 23), 소량구매라면(S 24), 쇼핑몰에서 바로 구매를 체결한다(S 25).
그러나 대량구매인 경우에는 설정한 일정 규모 수량이상 대량구매일 경우에 “대량구매”를 클릭하게 되고, 그에 따라 대량구매 시스템으로 들어가서 구매자가 구매수량, 납품기간, 납품장소를 기재하여 견적요청을 보낸다(S 26). 그러면 상품 게재한 판매자 단말기로 SNS, 이메일, Application 등의 방법으로 전달되어 가격과 공급가능 수량을 기재하여 구매자 단말기에게 견적서가 보낸다.
이때 구매수량만큼 공급이 가능한가를 판단하여(S 27), 구매수량만큼 공급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공급가능수량 및 단가를 제출하고(S 28), 상품/서비스 구매선택 및 발주를 하게 되고(S 30), 모두 공급할 수 있으면 단가만 기재하고, 단가를 제출한다(S 29). 그리고 상품/서비스 구매선택 및 발주를 하게 된다(S 31). 그에 따라 쇼핑 플랫폼에서 상품/서비스 구매가 종료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발주/입찰 화면에서 발주자들이 등록한 리스트의 실시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발주/입찰에서 입찰에 응찰하는 화면의 실시예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입찰에 발주 수량을 공급자가 일괄 공급할 때 응찰한 것을 발주자에게 보이는 화면의 실시예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입찰에 발주 수량을 공급자가 분할 공급 허용할 때 응찰한 화면의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발주/입찰 화면에서 발주자들이 등록한 리스트의 실시예로, 발주/입찰 화면을 클릭하면(O 1), 발주/입찰 화면으로 전환되고 발주자들이 발주한 리스트들을 보게 된다. 이들 리스트들 중 공급가능한 품목 및 발주내용을 클릭하여 들어가게 된다(O 2). 이때 발주자가 공급수량을 공급업자들이 분할 공급을 허용하지 않고 단일공급자 조건이면, 도 9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서 단가만 기재하고(O 8) 인증하여 제출한다. 공급수량을 분할 공급을 허용하면 공급가능수량까지 기재하여(O 9) 제출한다. 이때, 로그인(O 5)을 한 후 My Page(O 6)을 클릭하면 공급자 품질평판 등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O 7).
한편 도 10에서와 같이 발주자가 로그인(O 10)하면 공급업체 일괄 수량공급조건일 경우 수량은 발주 수량(O 14)이 같지만 입찰가(O 13) 순위에 따라 표시되도록 하였다.
도 11은 수량을 분할공급 허용발주일 때 발주자 화면의 실시예로써 가격순위별(단가별)(O 15)로 보이지만 수량도 공급가능 수량(O 16)이 각각 다르게 같이 표시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발주/입찰 시스템에서 발주자가 가격우선 또는 품질등급우선에 따른 발주/입찰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의 발주/입찰 시스템에서 발주자가 가격우선 또는 품질등급우선에 따른 발주/입찰 방법의 실시예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매품목 스펙, 조건, 납품일 등을 입력후(O 21), 가격우선 또는 품질등급우선인지를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O 22).
판단결과(O 22) 가격우선(O 23)일 경우 구매수량에 따라 단일공급자 또는 복수공급자 허용에 따라 구분된다(O 27). 그런 후 단일 공급자만 공급조건인 경우 구매수량 공급가능여부(O 29)에 따라 가능하면 제안단가만 넣고(O 33), 공급업체 단수선정 및 납품공급계약하고(0 36), 단일공급 수량이 안되면 공급자격 부적합하여 종료된다(O 35). 그러나 복수공급자인 경우 복수공급 업체와 서로 다른 제안단가로 남품공급계약을 체결한다(O 31)(0 37).
그리고 판단결과(O 22) 품질우선(O 24)일 경우 구매자가 구매요청 수량(O 26)을 단수 공급자 및 분할 복수 공급자 허용 여부(O 28)에 따라 단일공급자 공급조건일 경우 공급가능수량(O 30)에 따라 가능하면 응찰만 하면 품질평가가 외부(구매자 및 이용자 또는 플랫폼 운영사에서 평가받은 등급이 발주자에게 보이도록 한다(O 34). 그리고 공급업체 단수로 선정하고 납품공급계약을 체결한다(O 39). 이때, 복수 공급허용 조건(O 32)일 경우에는 공급수량을 기재해서 응찰하면 발주자에게는 평가등급과 공급가능수량이 표시되는데 품질평판 순위(O 32)로 표시된다. 복수공급 허용조건일 때 복수업체들과 공급계약(O 38)을 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의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에게 은행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보증을 해줘서 이들이 직접대출을 받도록 하는 구성 흐름도(보증방식 (M 1))와, 이들의 계약 건을 근거로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아서 생산 공급사에게 자금을 제공하는 구성 흐름도(직접 대출 방식 (M 2))이다.
보증방식과 대출방식을 설명하는 도 13에서 보증방식(M 1)일 때는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플랫폼을 통해 주문계약을 받은 생산공급자가 보증이나 대출을 요청할 경우 이들 생산 공급자들에게 은행으로부터 대출받도록 보증(M 4)을 해줘서 생산공급자에게 직접 대출(M 5)를 해주는 방법이다.
직접대출방식(M 2)일 때는 은행(금융사)이 쇼핑플랫폼을 통해 생산 공급자가 대량주문을 계약을 체결한 경우 이를 근거로 은행이 쇼핑플랫폼 운영사에게 대출해줘서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직접 생산 공급자에게 대출(M 6)해 주는 방식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구매기관(자)가 구매 결제하는데 있어서 구매회원에 따라서 예산의 성격에 따른 결제능력, 신용도를 회원가입 시 회원번호 앞에 코드로 구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회원분류 코드 부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쇼핑플랫폼에서 계약이 체결되면 시스템적으로 자동으로 우량고객들로부터 체결한 계약인지 구분하기 위해서 구매자가 회원가입 시 예산의 성격, 지불능력 및 신용도에 따라 회원번호 앞에 구분기호를 부여(M 7, M 8)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구매자가 회원가입 시 구분해 놓으면 쇼핑몰에서 대량으로 구매계약(M 9)를 하거나 발주/입찰시스템에서 대량 구매계약(M 10)을 하여 생산 공급자가 보증/대출을 요청(M 14)할 경우 도 14의 (M 15)로 이어진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회원번호 앞에 부여된 코드를 통해 기본승인 대상 우량고객(공공기관, 대기업 등)과 선별승인 대상 고객을 구분하여 시스템적으로 자동적으로 보증 및 대출해주는 흐름도이다.
도 15의 구매자의 회원번호 앞에 부여된 기관의 성격에 따른 부여된 코드에 따라 정부 중앙부처, 정부중앙부처의 산하기관, 광역 및 기초지자체, 광역 및 기초지자체의 산하기관, 정부 중앙부처 및 광역 및 기초지자체들의 예산을 위탁받아 집행하는 협회 및 단체들, 대기업들과 같은 우량 구매기관(자)로부터 계약한 구매계약 건은 기본적으로 승인대상(M 16)으로 분류한다. 그래서 과거에 계약취소나 결제거부(M 21)가 없으면 바로 은행에 시스템적으로 자동으로 생산 운영자금 대출이나 보증을 승인(M 27)한다.
우량한 고객일지라도 그동안 계약취소나 결제거부 기록이 있으면 대출 및 보증 승인을 검토(M 24)한 후 대출 및 보증을 바로 거부(M 26)하든지 신용평가위원회(M 25)로 보내져서 정밀심사를 하도록 한다. 대출 및 보증 승인을 검토(M 24)하면서 구매계약 건에 대해서 계약취소나 결제거부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될 경우 바로 대출 및 보증 승인(M 27)로 보내진다.
중소기업이나 기타단체, 개인들은 선별승인 대상(M 17)으로 구분하기 위해 구매기관(자)들의 회원번호 앞에 부여된 고유의 코드를 통해 구분 선별되어 과거에 구매취소 및 결제거부 건(M 22)이 있으면 구매기관 신용 재평가를 간단히 하여 정밀심사를 위해 신용평가위원회(M 25)로 보내지든지 바로 대출/보증 승인(M 27)으로 보내진다. 그동안 계약취소 및 결제거부 건이 없으면 신용평가위원회(M 25)로 보내져 처음 거래한 고객일 경우 정밀심사를 하거나 과거 거래기록이 있을 경우 최근 신용변동사항 등만 확인 후 바로 대출 및 보증 승인(M 27)로 보내진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에서 생산 공급자가 쇼핑몰에서 대량구매를 통해 계약한 건이나 발주/입찰 시스템을 통해 대량 구매계약 건을 통해 생산 운영자금을 필요하여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은행에 보증을 해줘서 생산 공급사에 직접대출, 은행에서 쇼핑플랫폼운영사로 대출해줘서 제조 공급사로 대출, 플랫폼 운영사의 자체자금으로 대출해주고 집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에서는 플랫폼 운영사가 생산 공급자에게 은행에서 대출받도록 보증(M 34)을 해주던지 은행에서 대출받은 자금을 생산 공급자에게 재대출(M 35)해주든지 플랫폼 운영사의 자체 여유자금으로 대출(M 36)해주든지 한다. 그래서 은행에서 대출자금이 직접 생산 공급자에게 전해져서 직접 집행하거나 생산 공급자가 영세하거나 자금운영능력이 의심되면 자금 집행을 쇼핑운영사가 건건히 승인(M 37)하는 구조로 설정한 후 건건히 집행을 승인할 경우 제조 공급사가 자금사용을 승인 요청하면 플랫폼 운영사에서 건건히 승인(M 39)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그에 따라 발주자에게 안정적으로 물품을 납품하고(M 38), 대출금을 상환하게 된다(M 40).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판매자 단말기 200 :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
201 : 통신부 202 : 판매자 정보 저장부
203 : 구매자 정보 저장부 204 : 쇼핑몰 정보 저장부
205 : 구매자 신용정보 저장부 206 : 공공기관 구매정보 저장부
207 : 구매 담당부서 정보 저장부 208 : 금융정보 저장부
209 : 구매자 체크리스트 저장부 210 : 구매자 회원 코드 분류부
211 : 발주/입찰 접수부 212 : 발주/입찰 전송부
213 : 발주/입찰 분류부 214 : 대출/보증 요청부
215 : 제품 만족도 요청/분류부 216 : 공공기관 구매 포인트 계산부
217 : 공공기관 구매 포인트 전송부 218 : 제어부
300 : 구매자 단말기 400 : 금융사 서버
500 : 통신망

Claims (9)

  1.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회적 기업의 판매자 단말기(100);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구매자 단말기(300); 및
    상기 판매자 단말기(100)를 통해 사회적 기업에서 판매하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게재되는 쇼핑몰 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로 상기 판매자 단말기(100)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안내하며, 상기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발주 및 입찰 시스템이 한 서버에 같이 공존하여 클릭 한 번으로 쇼핑몰에서 발주/입찰 화면으로 발주/입찰 화면에서 쇼핑몰 화면으로 이동하여 상품 검색하여 구매 및 발주 및 입찰 참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구매자의 예산 성격 및 지불능력을 포함하는 신용을 바탕으로 하는 구매계약서를 근거로 생산 및 공급할 운영자금을 상기 판매자에게 금융사와 연계하여 제공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단말기(100)와 구매자 단말기(300)는 PC, 스마트폰, 서버, 스마트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회적 기업의 판매자 단말기(100)에서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 게재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구매자 단말기(300)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량주문이 요청되는 단계(S0 3);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의 쇼핑플랫폼을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가 구매할 상품이나 서비스가 발주되면(S0 7), 상기 판매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통해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로 공급가능 품목에 대한 가격 및 공급량견적이 제시되는 단계(S0 8);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와 판매자 단말기(100)간 쌍방이 합의한 가격 및 수량으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통해 발주공급계약이 체결되는 단계(S0 10); 및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서 금융사 서버(400)와 연계하여 상기 발주공급계약이 체결된 구매자에 대한 신용평가와 판매자에 대해 대출한도 또는 보증한도를 설정하고, 대출보증을 수행하여 보증이나(M 1) 직접대출을 통해(M 2) 생산 및 운영자금에 대한 대출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사회적 기업의 판매자 단말기(100)에서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 게재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구매자 단말기(300)로부터 미리 설정된 대량주문이 요청되는 단계(S0 3) 후에,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 판매자 단말기(100)로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가 선택한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하여 구매수량, 납기일, 납기장소를 제시하여 견적을 요청하는 단계(S0 4)와, 판매자 단말기(100)에서 제시한 해당 상품이나 서비스의 공급가격, 공급수량을 상기 구매자 단말기(300)로 제시하는 단계(S0 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에서 금융사 서버(400)와 연계하여 상기 발주공급계약이 체결된 구매자에 대한 신용평가와 판매자에 대해 대출한도 또는 보증한도를 설정하고, 대출보증을 수행하여 보증이나(M 1) 직접대출을 통해(M 2) 생산 및 운영자금에 대한 대출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금융사 서버(400)에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의 운영사로 대출을 한 후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의 운영사가 상기 판매자 단말기(100)의 운영자로 재대출하는 것이거나, 상기 금융사 서버(400)에서 판매자 단말기(100)의 운영자에게 직접대출하는 것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으로,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통해 사회적 기업의 생산/공급자가 공공기관이나 우량기업 회원과 대량주문계약을 체결하는 단계(M 9);
    사회적 기업의 생산/공급자가 사회적 기업의 판매자 단말기(100)를 통해 상기 대량주문계약을 근거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로 생산 및 운영자금 조달을 요청하는 단계(M 14, M 15);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운영하는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에 대하여 금융사에서 대출받도록 보증해주거나(M 34), 상기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의 구매계약을 근거로 금융사에서 대출을 받거나(M 35), 상기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의 구매계약을 근거로 자체 여유자금으로 생산/공급자에게 생산 및 운영자금을 대출해주는 단계(M 36); 및
    상기 사회적 기업의 생산/공급자가 주문자인 상기 공공기관이나 우량기업에게 체결된 대량주문계약에 대한 물품을 생산/공급하는 단계(M 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기관이나 우량기업을 구분하기 위해서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는 회원가입 시,
    회원번호 앞에 중앙부처, 산하기관, 하위 예산집행기관, 정부 및 지자체 등의 공공예산을 위탁받아 집행하는 협·단체를 포함하는 공공기관의 구분코드, 대기업 구분코드, 중소기업 구분코드, 기타단체 및 특수법인 구분코드, 개인사업자 구분코드, 일반개인 구분코드로 구분하여 코드를 부여하여 코드 분류별로 회원가입하는 단계(M 7);
    상기 쇼핑몰 발주/입찰 시스템 서버(200)를 운영하는 쇼핑플랫폼 운영사는 구매자가 회원가입 시 등록한 사업자등록증을 통해 코드분류를 적합하게 선택했는지 확인하여 승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받도록 보증해주거나(M 34), 상기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의 구매계약을 근거로 금융사에서 대출을 받거나(M 35), 상기 쇼핑플랫폼 운영사가 생산/공급자의 구매계약을 근거로 자체 여유자금으로 생산/공급자에게 생산 및 운영자금을 대출해주는 단계(M 36)상기 대출 및 보증해주기 위해서,
    구매자의 회원번호 앞에 공공기관, 공적예산 집행기관, 대기업으로 구분 설정한 기호나 숫자를 인식하여 회원의 신용도나 결제능력을 구분 인식하도록 하고,
    설정한 공공기관 및 대기업의 코드나 기호를 인식한 후 지난 설정한 일정기간 동안에 구매취소 및 결제거부가 있었는지 확인(M 21, M 22)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기관 및 대기업의 우량 구매고객들로부터 구매계약 건에 대해 자동적 및 시스템적으로 대출/보증을 해주는데 있어서 일정한 향후에 문제 발생가능 구매자를 선별하기 위하여, 설정한 일정 과거기간 내에 구매취소 및 결제거부 건이 있을 경우에,
    대출 및 보증 여부를 심사하는 단계(M 24, M25)와, 심사하여 대출 및 보증을 승인하거나 거부하는 단계(M 26, M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을 이용한 쌍방향 거래 방법.
KR1020220053503A 2022-04-29 2022-04-29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153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503A KR20230153732A (ko) 2022-04-29 2022-04-29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3503A KR20230153732A (ko) 2022-04-29 2022-04-29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3732A true KR20230153732A (ko) 2023-11-07

Family

ID=88747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3503A KR20230153732A (ko) 2022-04-29 2022-04-29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373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541B1 (ko) 2009-02-03 2012-12-24 박경원 요청 응답 방식형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710102B1 (ko) 2015-10-13 2017-03-08 허만진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004252B1 (ko) 2017-03-08 2019-10-17 전천광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541B1 (ko) 2009-02-03 2012-12-24 박경원 요청 응답 방식형 기업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101710102B1 (ko) 2015-10-13 2017-03-08 허만진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2004252B1 (ko) 2017-03-08 2019-10-17 전천광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 Nam Khanh Customer satisfaction at Tiki. vn E-commerce platform
US87752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channel registration in an IP marketplace
US86503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workflow driven channel search results
US85950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urchase of a product or service using a communication network site
KR100727425B1 (ko) 단체 주도 구매 중개형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이에적용되는 쇼핑몰 운영 시스템
US20090192873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donation-coordinating electronic market platform
US201502280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roduct development
US201102463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marketing channels in an ip marketplace
KR20230153732A (ko)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87861A (ko) 보상 처리가 가능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KR102450710B1 (ko) 웹 표준 크로스 브라우징 기반 구매 관리 시스템
Pinto et al. Model of funcionalities for the development of B2B E-Commerce solutions
KR20090114244A (ko) 몰인몰 방식의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결합된 회원제 마켓플레이스 구축 및 운영 시스템
Anyonje et al. Influence of e-procurement practices on procurement efficiency in County Government of Busia
KR100758564B1 (ko) 마진이 포함된 아이디와 역제안을 이용한 이마켓플레이스운영방법
Muturi Regional electronic marketplace framework: case of Kenya electronic commerce
KR20010025371A (ko) 구매자 중심 비투비 전자 상거래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