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102B1 -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102B1
KR101710102B1 KR1020150142961A KR20150142961A KR101710102B1 KR 101710102 B1 KR101710102 B1 KR 101710102B1 KR 1020150142961 A KR1020150142961 A KR 1020150142961A KR 20150142961 A KR20150142961 A KR 20150142961A KR 101710102 B1 KR101710102 B1 KR 101710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server
pag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만진
Original Assignee
허만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만진 filed Critical 허만진
Priority to KR1020150142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06Q50/30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으로서,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해당 상품 또는 판매자 페이지와 MCN(Multi Channel Network) 서버의 해당 상품 또는 판매자 채널을 상호 연계시키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를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nteractive internet shopping service}
본 발명은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해당 상품 또는 판매자 페이지와 MCN(Multi Channel Network) 서버의 해당 상품 또는 판매자 채널을 상호 연계시키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를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안에 관한 것이다.
ICT 기술 발달 따라 온라인 상의 전자상거래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있는데, 온라인 전자상거래 서비스의 대표적인 예가 인터넷 쇼핑몰 서비스이다.
인터넷 쇼핑몰 서비스의 경우, 판매자는 여러 지역에 영업 네트워크를 구축하지 않고도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여러 지역의 다양한 소비자들에게 자신의 상품을 홍보하고 판매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되었으며, 이와 같은 ICT 기술과 영업 방식이 접목되어 인터넷 쇼핑몰은 소호(SOHO) 형태의 운영 체제로까지 진화됨으로써 판매자들은 보다 적은 사업 비용으로 자신의 사업 운영이 가능해지게 되었다.
또한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소비자는 직접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고도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시간과 공간적 제약 없이 인터넷 쇼핑몰에서 검색하여 구매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특히 영업마진이나 유통마진이 제거됨으로써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여러 이점으로 인해 온라인 상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데, 판매자의 경우 단순히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페이지 상에서 일방향적인 상품 홍보로는 상품을 알리는데 한계가 있다.
나아가서 시장 성장에 따라 경쟁은 더욱 치열해져 판매자들은 자신의 상품이나 인터넷 쇼핑몰의 홍보가 쉽지 않기에 보다 효과적인 상품 홍보를 위해 대형 토탈 인터넷 쇼핑몰에 자신의 상품을 올리는데, 이를 위해서는 그만큼 영업비용이 증가되고 대형 토탈 인터넷 쇼핑몰 사업자의 요구를 맞추기 위한 상품 단가나 상품 물량 등의 조절로 인해 영업 이익이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소비자의 경우, 인터넷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상품 화면 상으로만 상품을 확인하고 구매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상품 화면의 보정 등으로 인해 상품 화면 상의 상품과 구매한 상품이 상이하거나 실제 자신이 원하던 상품의 형태나 품질과는 상이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비자가 상품에 대해 좀더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품 관련 게시판이나 구매 평가에 올려진 글들을 참고하는데, 이들 게시판이나 구매 평가 글들은 주로 광고성 글이 난무하고 판매자의 조작이 가능하기에 신뢰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기에 소비자가 직접 해당 상품이나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넷 검색을 하기도 하나 짧은 시간내에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쉽지 않으며 정보의 정확성을 위해 인터넷 검색에 보다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판매자의 측면에서 단순한 일방향적인 상품 홍보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홍보 방안이 필요하며, 소비자의 측면에서도 단순히 화면 상으로 제공된 상품 홍보 정보에 그치지 않고 상품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많은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상품과 일치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방안 강구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페이지 상으로 제공되는 일방향적인 정보만으로는 판매자의 상품 홍보나 소비자의 상품 정보 획득에 한계가 있는 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인터넷 쇼핑몰에서 제공하는 상품 화면 상으로만 상품을 확인하고 구매하는 경우, 상품 화면의 보정 등으로 인해 상품 화면 상의 상품과 구매한 상품이 상이하거나 실제 자신이 원하던 상품의 형태나 품질과는 상이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며, 나아가서 소비자가 직접 해당 상품이나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인터넷을 검색하는 경우, 짧은 시간내에 상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쉽지 않으며 정보의 정확성을 위해 인터넷 검색에 보다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해소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판매자의 측면에서 단순한 일방향적인 상품 홍보에 그치지 않고 소비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홍보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며, 소비자의 측면에서도 단순히 화면 상으로 제공된 상품 홍보 정보에 그치지 않고 상품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많은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상품과 일치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는, MCN 서버의 상품 방송 채널과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상품 판매 페이지를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로 상호 연계시키고, 소비자 단말에 대하여 상호 연계된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 간에 선택적으로 접속을 안내하여 소비자와 판매자 간에 양방향 쇼핑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판매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판매자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을 위한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MCN 서버의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획득하는 회원 등록부;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로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매칭시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채널 리스트 관리부; 및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소비자 단말에 대하여 상호 연계된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 간에 선택적으로 접속을 안내하는 소비자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회원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상품 정보 또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보유한 부가 서비스 서버의 부가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소비자 안내부가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 부가 서비스 페이지로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접속을 안내하도록 지원하는 부가 서비스 연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비자 안내부는,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호 연계된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를 결합하여 화면 상에 동시 시현시키는 통합 플랫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리스트 관리부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채널 리스트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은, 회원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MCN 서버의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로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매칭시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채널 리스트 생성 단계;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소비자 단말에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를 상호 연계시킨 양방향 쇼핑 서비스를 안내하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안내 단계; 및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품 방송 채널 또는 상품 판매 페이지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하여 다른 하나로 접속을 안내하는 접속 안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채널 리스트 생성 단계는, 판매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판매자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을 위한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회원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MCN 서버의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로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매칭시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채널 리스트 생성 단계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채널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안내 단계는,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소비자 단말로 MCN 서버 또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로의 접속을 안내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속 안내 단계는, 상기 소비자 단말이 접속된 상품 방송 채널 또는 상품 판매 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어느 하나에 매칭된 다른 하나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다른 하나로의 접속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서 상기 접속 안내 단계는,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호 연계된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를 결합한 화면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채널 리스트 생성 단계는, 회원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상품 정보 또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보유한 부가 서비스 서버의 부가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로 상기 부가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안내 단계는,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부가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더 안내하며, 상기 접속 안내 단계는,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페이지로 접속을 안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가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소비자 단말을 MCN 서버, 인터넷 쇼핑몰 서버, 부가 서비스 서버 등으로 연계시킴으로써, 판매자는 보다 효과적으로 자신의 상품을 다양한 소비자들에게 홍보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소비자는 MCN을 통한 쌍방향 소통으로 상품에 대한 보다 다양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기에 정확한 구매 의사를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 간에 신뢰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소비자가 판매자나 다양한 다른 소비자들과 1차적 교류가 아닌 상호 양방향적인 소통을 통해 상품의 실제 사용 용도뿐만 아니라 새로운 정보까지도 획득할 수 있게 되어 판매자는 상품에 대한 강한 신뢰를 갖는 소비 계층을 확보할 수 있고 소비자는 유사 소비자들과의 협력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 인터넷 쇼핑과 관련한 발전된 커뮤니티의 구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상품 판매 페이지와 상품 방송 채널을 매칭시킨 채널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을 상품 방송 채널로부터 상품 판매 페이지로 안내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을 상품 판매 페이지로부터 상품 방송 채널로 안내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상품에 대한 추가 정보 제공으로서 소비자 단말을 상품 커뮤니티로 안내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을 상품 결제 페이지 또는 배송 추적 페이지로 안내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을 위한 메인 페이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을 위해 제공되는 플랫폼 화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해당 상품 또는 판매자 페이지와 MCN(Multi Channel Network) 서버의 해당 상품 또는 판매자 채널을 상호 연계시키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를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안을 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시스템은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를 중심으로 MCN 서버(200)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가 연계되며,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 서버(400)로서, 커뮤니티 서버, 컨텐츠 서버, 결제 서버, 배송 서버 등의 다양한 서버(400a, 400b,...400n)가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를 통해 연계될 수 있다.
소비자는 자신이 보유한 소비자 단말(10)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에 접속하여 연계되는 MCN 서버(200),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부가 서비스 서버(400) 등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10)로 MCN 서버(200),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부가 서비스 서버(400) 등 중에 어느 하나의 서버에 직접 접속한 후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를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다른 서버로 연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비자 단말(10)은, 인터넷 통신을 지원하면서 각종 프로그램 등을 구동시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나 다양한 서버 등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 단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PC, 노트북, 테블릿, 스마트폰 등 일반적으로 보급되는 통신 단말들(10a, 10b,...10n)이 적용될 수도 있고,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최적화된 개별적인 단말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도 1에서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를 중심으로 MCN 서버(200),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부가 서비스 서버(400) 등이 개별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가 MCN 서버(200),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부가 서비스 서버(400) 등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MCN 서버(200),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부가 서비스 서버(400) 등을 상호 연계시킬 수 있는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시스템을 통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가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소비자 단말(10)을 MCN 서버(200),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부가 서비스 서버(400) 등으로 연계시킴으로써 판매자는 보다 효과적으로 자신의 상품을 다양한 소비자들에게 홍보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개략적으로 회원 등록부(110), 채널 리스트 관리부(130), 소비자 안내부(150), 부가 서비스 연계부(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원 등록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쇼핑 서비스를 지원받고자 하는 판매자 또는 상품을 등록하여 관리하는데, 판매자로부터 자신의 상품을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상품 판매 페이지, 자신의 상품에 대한 방송을 진행하는 MCN 서버(200)의 상품 방송 채널, 자신의 상품에 대한 정보 교류가 이루어지는 커뮤니터 서버의 커뮤니티 페이지 등의 정보를 전송받아 등록하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상품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여 관리한다.
채널 리스트 관리부(130)는 회원 등록부(110)에 등록되는 판매자 또는 상품에 대한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상품 판매 페이지와 MCN 서버(200)의 상품 방송 채널을 상호 매칭시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고, 실시간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상품 관련 정보를 기초로 채널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나아가서 상기 채널 리스트에는 상품 판매 페이지와 상품 방송 채널 외에도 해당 상품에 대한 커뮤니티 페이지 등이 매칭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소비자 안내부(150)는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가 있는 장소로 소비자 단말(10)를 안내하는데, 소비자 단말(10)이 접속되면 소비자 단말(10)로 MCN 서버(200),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각종 부가 서비스 서버(400)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소비자 단말(10)을 해당 서버로 안내하며, 또한 특정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소비자 단말(10)을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서버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안내한다. 나아가서 소비자 안내부(150)는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호 연계된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를 결합하여 화면 상에 동시 시현시키는 통합 플랫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 서비스 연계부(170)는 MCN 서버(200)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외에 판매자나 상품에 대한 각종 정보를 보유한 부가 서비스 서버(400)의 해당 페이지 정보를 보유하고, 소비자 안내부(150)로 해당 판매자나 상품에 대한 부가 정보로 접근 가능한 페이지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 단말(10)이 추가적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의 각 구성은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선택적으로 여러 구성이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를 일종의 서버로 적용하여 상기 도 2를 통해 살펴본 구성들이 서버 상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를 통해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해당 상품 또는 판매자 페이지와 MCN 서버(200)의 해당 상품 또는 판매자 채널을 상호 연계시켜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부가 서비스 서버(400)의 각종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시스템의 각 구성들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을 제시하는데,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은, 개략적으로 채널 리스트 생성과 업데이트 과정, 소비자 단말(10)에 양방향 쇼핑 서비스 안내 과정 및 소비자 단말(10)의 MCN 서버(200)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간의 연계 접속 안내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리스트 생성과 업데이트 과정에서는, 판매자 또는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 또는 상품 방송 채널 정보를 수집하고 해당 상품별 또는 해당 판매자별로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와 상품 방송 채널 정보를 매칭시켜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되는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와 상품 방송 채널 정보를 기초로 채널 리스트를 업데이트한다.
소비자 단말(10)에 양방향 쇼핑 서비스 안내 과정에서는, 소비자 단말(10)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에 접속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보유된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소비자 단말(10)에게 양방향 쇼핑 서비스를 안내하는데, MCN 서버(200)에 현재 방송중인 채널 정보들 해당 상품이나 판매자에 매칭시켜서 제공하거나 회원 등록된 판매자가 등록한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상의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를 해당 상품 방송 채널에 매칭시켜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 단말(10)의 MCN 서버(200)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간의 연계 접속 안내 과정에서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가 소비자가 선택하는 사항에 따라 소비자 단말(10)을 MCN 서버(200) 상의 상품 방송 채널이나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상의 상품 판매 페이지로 안내하는데, 이때 MCN 서버(200) 상의 상품 방송 채널에 연결된 소비자 단말(10)을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가 해당 상품 방송 채널과 연계된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상의 상품 판매 페이지로 안내하거나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상의 상품 판매 페이지에 연결된 소비자 단말(10)을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가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와 연계된 MCN 서버(200) 상의 상품 방송 채널로 안내한다.
나아가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소비자 단말(10)을 MCN 서버(200)나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외에 해당 상품이나 판매자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 서버(400)로 안내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를 통해 MCN 서버(200)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간을 연계시켜서 소비자 단말(10)의 연결을 안내함으로써, 소비자와 판매자 간에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를 지원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의 각 단계에 대하여 그 실시예를 통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채널 리스트의 생성 및 업데이트 과정과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상품 판매 페이지와 상품 방송 채널을 매칭시킨 채널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판매자 단말(50)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 등을 기초로 판매자를 회원 등록(S110)시키는데, 이때 판매자 단말(50)로부터 제공되는 판매자에 대한 상호, 전화번호, 주소, 상품 등의 기본적인 정보를 토대로 판매자를 회원으로 등록한다.
그리고 회원 등록된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50)로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에 자신의 상품을 등록(S120)하여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가 판매자의 상품 판매 페이지를 생성(S130)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전송(S140)받는데, 이때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연계된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고 또는 판매자 단말(50)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다.
또한 판매자가 판매자 단말(50)을 통해 MCN 서버(200)에 자신의 상품과 관련된 방송 채널을 등록(S150)하여 MCN 서버(200)가 판매자의 상품 방송 채널을 생성(S160)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해당 상품 방송 채널 정보를 전송(S170)받는데, 이때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해당 상품 방송 채널 정보를 연계된 MCN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고 또는 판매자 단말(50)로부터 전송받을 수도 있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수집된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와 상품 방송 채널 정보를 판매자별 또는 상품별로 매칭시켜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며, 추가적으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와 해당 상품 방송 채널 정보를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와 해당 상품 방송 채널 정보의 변동 사항을 파악하여 채널 리스트를 업데이트(S190)한다.
한걸음 더 나아가서 상기 도 3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나 해당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관련된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 서버(400)들에 대한 추가 페이지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해당 상품이나 채널에 매칭시켜 채널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도 있는데, 이때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해당 상품이나 채널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 서버(400)의 추가 페이지 정보를 판매자 단말(5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소비자 단말(10)에 양방향 쇼핑 서비스 안내 과정 및 소비자 단말(10)의 MCN 서버(200)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간의 연계 접속 안내 과정과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을 상품 방송 채널로부터 상품 판매 페이지로 안내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소비자 단말(10)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에 접속(S210)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보유된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소비자 단말(10)에 양방향 쇼핑 서비스를 안내(S215)한다. 가령,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소비자 단말(10)이 MCN 서버(200),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부가 서비스 서버(400) 등으로 접속가능하도록 안내하는데, 이때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소비자 단말(10)로 MCN 서버(200)에서 운영 중인 상품 방송 채널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상품 방송 채널이나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창을 제공할 수도 있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상품 또는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10)을 통해 특정 상품 방송 채널을 선택(S220)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MCN 서버(200)의 해당 상품 방송 채널로 소비자 단말(10)이 접속 가능하도록 채널 접속을 안내(S230)하는데, 가령, 해당 상품 방송 채널의 링크 정보 등으로 소비자 단말(10)의 채널 접속을 안내할 수 있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의 채널 접속 안내를 통해 소비자 단말(10)은 MCN 서버(200) 상의 해당 상품 방송 채널로 연결되어 소비자 단말(10)과 MCN 서버(200) 상의 해당 상품 방송 채널 간에 양방향 채널이 형성(S235)된다.
소비자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의 안내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상품 또는 판매자와 관련된 상품 방송 채널에 연결되어 해당 상품에 대하여 양방향 소통을 이룰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직접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해당 상품 방송 채널을 통해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소비자가 해당 상품 방송 채널을 통해 상품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상품의 구매를 원하는 경우, 별도로 인터넷 쇼핑몰 서버에서 해당 상품을 검색할 필요없이 MCN 서버(200)의 해당 상품 방송 채널 상에서 상품 구매의 요청(S241)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MCN 서버(200)에 해당 상품 방송 채널과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상품 판매 페이지를 통합하여 소비자 단말(10)로 제공하는 플랫폼을 지원할 수도 있고 또는 MCN 서버(200)의 해당 상품 방송 채널에서 바로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상품 판매 페이지로 링크될 수 있는 연결 아이콘을 제공할 수도 있다.
MCN 서버(200)가 소비자 단말(10)로부터의 해당 상품 방송 채널과 관련된 상품에 대한 구매 요청에 따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로 상품 판매 페이지 안내를 요청(S243)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보유된 채널 리스트를 검색(S245)하여 해당 상품 방송 채널과 매칭된 상품 판매 페이지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품 판매 페이지로 소비자 단말(10)의 접속을 안내(S247)한다. 이때 상품 판매 페이지에 대한 접속 안내는 해당 URL 정보나 링크 정보의 제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아가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가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를 결합한 통합 플랫폼을 지원하는 경우,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 상에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가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로부터의 상품 판매 페이지 접속 안내에 따라 소비자 단말(10)은 해당 상품 방송 채널과 매칭된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상품 판매 페이지로 바로 연결(S249)될 수 있다.
소비자 단말(10)에 양방향 쇼핑 서비스 안내 과정 및 소비자 단말(10)의 MCN 서버(200)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간의 연계 접속 안내 과정과 관련된 또 다른 실시얘로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을 상품 판매 페이지로부터 상품 방송 채널로 안내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도 5의 실시예에서도, 상기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소비자 단말(10)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에 접속(S210)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보유된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소비자 단말(10)에 양방향 쇼핑 서비스를 안내(S215)한다.
그리고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상품 또는 판매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10)을 통해 특정 상품에 대한 상품 판매 페이지를 선택(S225)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로 소비자 단말(10)이 접속 가능하도록 상품 판매 페이지 접속을 안내(S250)한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의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로의 안내에 따라 소비자 단말(10)은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로 연결(S255)되며, 소비자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상품 판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만약 소비자가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 이외에 더 추가적인 상품 정보로서 해당 상품에 대한 상품 방송 채널로 접근하고자 하는 경우, 별도로 MCN 서버에서 해당 상품 방송 채널을 검색할 필요없이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 상에서 상품 방송 채널로의 접속 요청(S261)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상품 판매 페이지와 MCN 서버(200)에 해당 상품 방송 채널을 통합하여 소비자 단말(10)로 제공하는 플랫폼을 지원할 수도 있고 또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에서 바로 MCN 서버(200)의 해당 상품 방송 채널로 링크될 수 있는 연결 아이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가 소비자 단말(10)로부터의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과 관련된 상품에 대한 상품 방송 채널의 접속 요청에 따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로 상품 방송 채널로 안내를 요청(S263)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보유된 채널 리스트를 검색(S265)하여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와 매칭된 상품 방송 채널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품 방송 채널로 소비자 단말(10)의 접속을 안내(S267)한다. 이때 상품 방송 채널에 대한 접속 안내는 해당 URL 정보나 링크 정보의 제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아가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가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를 결합한 통합 플랫폼을 지원하는 경우,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 상에 상품 판매 페이지와 상품 방송 채널이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로부터 상품 방송 채널로의 접속 안내에 따라 소비자 단말(10)은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와 매칭된 MCN 서버(200)의 상품 방송 채널로 바로 연결되어 소비자 단말(10)가 MCN 서버(200)의 상품 방송 채널 간에 양방향 채널이 형성(S269)될 수 있다.
상기 도 4 및 도 5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를 통해 해당 상품 방송 채널과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를 연계시킴으로써 소비자는 해당 상품 방송 채널을 통해 충분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 후 곧바로 해당 상품의 구매가 가능해진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는 MCN 서버(200)의 상품 방송 채널과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상품 판매 페이지의 연계 이외에도 해당 상품이나 판매자와 관련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연계시켜서 제공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상품에 대한 추가 정보 제공으로서 소비자 단말을 상품 커뮤니티로 안내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를 통해 소비자 단말(10)과 MCN 서버(200)의 해당 상품 방송 채널 간에 양방향 채널이 형성(S310)되어 소비자가 상품 방송 채널을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하여 양방향 정보를 획득하면서, 추가적으로 상품에 대한 다양한 평가나 조언을 얻고자 하는 경우, 소비자는 소비자 단말(10)을 통해 MCN 서버(200)로 상품에 대한 추가 정보를 요청(S321)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MCN 서버(200)에 해당 상품 방송 채널과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상품 판매 페이지뿐만 아니라 판매자가 제공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위치된 부가 서비스(400)의 해당 페이지를 통합하여 소비자 단말(10)로 제공하는 플랫폼을 지원할 수도 있고 또는 MCN 서버(200)의 해당 상품 방송 채널에서 바로 부가 서비스 서버(400)의 상품에 대한 정보 페이지로 링크될 수 있는 연결 아이콘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도 6에서는 부가 서비스 서버(400) 중 커뮤니티 서버(400a)로 연계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MCN 서버(200)가 소비자 단말(10)로부터의 해당 상품 방송 채널과 관련된 상품에 대한 추가 정보 요청에 따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로 상품 추가 정보 안내를 요청(S322)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해당 상품과 관련하여 보유된 부가 서비스를 파악(S323)한다. 이때 해당 상품과 관련된 부가 서비스는 사전에 해당 상품 방송 채널과 매칭되어 채널 리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해당 상품 방송 채널과 관련되어 파악된 부가 서비스를 파악(S245)하여 이를 소비자 단말(10)로 제공(S324)하며, 소비자는 제공된 다양한 부가 서비스 중 자신이 원하는 부가 서비스를 선택하는데, 가령 상기 도 6의 경우에서와 같이 소비자가 상품 커뮤니티를 선택(S325)하는 경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해당 상품 커뮤니티 페이지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상품 커뮤니티 페이지로 소비자 단말(10)의 접속을 안내(S236)한다. 이때 상품 커뮤니티 페이지에 대한 접속 안내는 해당 URL 정보나 링크 정보의 제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나아가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가 상품 방송 채널에 추가적으로 소비자가 선택하는 추가 정보 페이지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을 통해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커뮤니티 페이지가 한 화면으로 동시에 제공될 수도 있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의 상품 커뮤니티 페이지 접속 안내에 따라 소비자 단말(10)은 커뮤니티 서버(400a)의 해당 상품 커뮤니티 페이지로 연결(S249)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해당 상품이나 판매자와 관련된 다양한 추가 정보를 연계시켜서 제공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에서 소비자 단말을 상품 결제 페이지 또는 배송 추적 페이지로 안내하는 과정에 대한 실시예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를 통해 소비자 단말(10)이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에 연결(S330)되어,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가 소비자 단말(10)로부터의 해당 상품의 구매 결정에 따른 상품 결제를 요청(S341)받으면,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는 소비자에 대한 결제 인증 안내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로 요청(S342)한다.
,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결제 인증 안내 요청에 따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소비자 단말(10)이 결제 인증 페이지로 접속할 수 있도록 안내(S343)하여, 소비자 단말(10)이 결제 서버(400b)에 연결되어 상품 결제 과정을 수행하고 그에 따라 상품 결제 승인(S344)이 이루어진다.
소비자에 대한 상품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결제 서버(400b)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로 소비자의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 완료 정보(S345)를 전송하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소비자의 상품 구매에 대한 결제 완료 정보를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로 전달(S346)한다. 이와 같은 결제 인증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결제 서버(400b)와 연동하여 일련의 결제 승인 과정을 수행하기 위핸 통합 플랫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서 소비자가 소비자 단말(10)을 통해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로 자신이 구매한 상품에 대한 배송 상황 정보를 요청(S351)하는 경우,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는 해당 상품의 배송 상황 안내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로 요청(S353)한다.
그러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소비자 단말(10)에 대해 해당 상품에 대한 배송 검색 페이지의 접속을 안내(S355)하여, 소비자 단말(10)이 배송 서버(400c)에 접속하여 해당 상품의 배송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배송 검색 페이지에 연결(S357)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를 통해 해당 상품 방송 채널과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가 서비스 페이지까지 연계시킴으로써 소비자는 별도의 인터넷 검색을 거치지 않고도 상품에 대한 정확하고 다양한 부가 정보의 획득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안의 구현예와 관련하여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을 위한 메인 페이지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MCN 서버(200),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 부가 서비스 서버(400) 등 다양한 서버들의 각각의 페이지나 채널을 상품이나 판매자별로 결합한 통합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으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가 이와 같은 통합 플랫폼으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도 8과 같은 화면을 소비자 단말(10)로 제공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10)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에 접속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연계된 다양한 서버들을 통한 양방향 쇼핑 서비스를 소비자 단말(10)에 안내하는데,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로의 안내 아이콘(511), MCN 서버(200)로의 안내 아니콘(513), 각종 부가 서비스 서버(400)로의 안내 아이콘(515) 등을 소비자 단말(10)로 제공한다.
그리고 소비자 단말(10)이 어느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서버에 소비자 단말(10)이 접속 가능하도록 접속을 안내한다.
다음으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을 위해 제공되는 플랫폼 화면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가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상품 판매 페이지와 MCN 서버(200)의 상품 방송 채널을 통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소비자 단말(10)에 제공하는데, 통합 플랫폼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520) 상에는 해당 상품과 관련하여 MCN 서버(200)의 상품 방송 채널에서 시현되는 화면(521)과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의 상품 판매 페이지에서 시현되는 화면(525)을 결합되어 제공된다.
이를 위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300)로부터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를 전송받고 또한 MCN 서버(200)로부터 해당 상품 방송 채널을 전송받아 이를 결합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소비자 단말(1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도 9의 실시예에서는 해당 상품 판매 페이지와 해당 상품 방송 채널을 결합하였으나, 소비자가 요청하는 정보에 따라 부가 서비스 서버(400)의 부가 정보 페이지도 결합될 수 있다.
나아가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통합 플랫폼에 따른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받기 위해서 이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소비자 단말(1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의 통합 플랫폼은 소비자 단말(10)에 구비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양방향 쇼핑 서비스를 지원할 수도 있다.
상기 도 9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가 통합 플랫폼을 하나의 화면으로 지원하는 실시예로서, 이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100)는 하나의 화면으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소비자 단말(10)을 소비자가 원하는 정보가 보유된 해당 서버로 단순히 연결을 안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가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소비자 단말을 MCN 서버, 인터넷 쇼핑몰 서버, 부가 서비스 서버 등으로 연계시킴으로써, 판매자는 보다 효과적으로 자신의 상품을 다양한 소비자들에게 홍보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정보를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소비자 단말,
50 : 판매자 단말,
100 :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110 : 회원 등록부, 130 : 채널 리스트 관리부,
150 : 소비자 안내부, 170 : 부가 서비스 연계부,
200 : MCN 서버,
300 : 인터넷 쇼핑몰 서버,
400 : 부가 서비스 서버.

Claims (12)

  1. 판매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판매자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을 위한 회원으로 등록하고, 회원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MCN 서버의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획득하는 회원 등록부;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로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매칭시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채널 리스트 관리부;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소비자 단말에 대하여 상호 연계된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 간에 선택적으로 접속을 안내하는 소비자 안내부; 및
    회원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상품 정보 또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보유한 부가 서비스 서버의 부가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소비자 안내부가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 부가 서비스 페이지로 상기 소비자 단말의 접속을 안내하도록 지원하는 부가 서비스 연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MCN 서버의 상품 방송 채널과 상기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상품 판매 페이지를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로 상호 연계시키고, 소비자 단말에 대하여 상호 연계된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 간에 선택적으로 접속을 안내하여 소비자와 판매자 간에 양방향 쇼핑 서비스를 지원하고,
    상기 소비자 안내부는,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호 연계된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를 결합하여 화면 상에 동시 시현시키는 통합 플랫폼을 포함하며, 특정 서버에 접속되어 있는 소비자 단말을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서버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안내하고,
    상기 채널 리스트에는 상품에 대한 커뮤니티 페이지가 매칭되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기재된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를 이용한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이고,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가, 회원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MCN 서버의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로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매칭시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채널 리스트 생성 단계;
    상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가,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소비자 단말에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를 상호 연계시킨 양방향 쇼핑 서비스를 안내하는 양방향 쇼핑 서비스 안내 단계; 및
    상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가,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품 방송 채널 또는 상품 판매 페이지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하여 다른 하나로 접속을 안내하는 접속 안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리스트 생성 단계는,
    판매자 정보를 기초로 상기 판매자를 양방향 쇼핑 서비스 지원을 위한 회원으로 등록하는 단계;
    회원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MCN 서버의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인터넷 쇼핑몰 서버의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로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매칭시켜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리스트 생성 단계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상품 방송 채널 정보와 상품 판매 페이지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채널 리스트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안내 단계는,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소비자 단말로 MCN 서버 또는 인터넷 쇼핑몰 서버로의 접속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안내 단계는,
    상기 소비자 단말이 접속된 상품 방송 채널 또는 상품 판매 페이지 중 어느 하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소비자 단말이 접속된 상기 어느 하나에 매칭된 다른 하나를 파악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다른 하나로의 접속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안내 단계는,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호 연계된 상품 방송 채널과 상품 판매 페이지를 결합한 화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리스트 생성 단계는,
    회원 등록된 판매자에 대한 상품 정보 또는 부가 서비스 정보를 보유한 부가 서비스 서버의 부가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수집하고, 상품별 또는 판매자별로 상기 부가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매칭시켜 상기 채널 리스트를 생성하며,
    상기 양방향 쇼핑 서비스 안내 단계는,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부가 서비스 페이지 정보를 더 안내하며,
    상기 접속 안내 단계는,
    상기 채널 리스트를 기초로 상기 소비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부가 서비스 페이지로 접속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방법.
KR1020150142961A 2015-10-13 2015-10-13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KR101710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961A KR101710102B1 (ko) 2015-10-13 2015-10-13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961A KR101710102B1 (ko) 2015-10-13 2015-10-13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102B1 true KR101710102B1 (ko) 2017-03-08

Family

ID=5840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961A KR101710102B1 (ko) 2015-10-13 2015-10-13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1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732A (ko) 2022-04-29 2023-11-07 나도진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931A (ko) * 2000-09-18 2002-03-23 구자홍 인터넷 티브이를 이용한 광고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50005987A (ko) * 2003-07-08 2005-01-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쇼핑 상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86058B1 (ko) * 2000-10-13 2007-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몰 운영방법
KR20150059665A (ko) * 2013-11-22 2015-06-02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1931A (ko) * 2000-09-18 2002-03-23 구자홍 인터넷 티브이를 이용한 광고 방송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86058B1 (ko) * 2000-10-13 2007-1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몰 운영방법
KR20050005987A (ko) * 2003-07-08 2005-01-15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홈쇼핑 상품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59665A (ko) * 2013-11-22 2015-06-02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쇼핑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사용자 단말기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3732A (ko) 2022-04-29 2023-11-07 나도진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품 서비스 쌍방향 거래 플랫폼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54404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bsite synchronization
EP335525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using integrating shopping cart
US20020184096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providing and obtain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advertisement obtaining method, advertisement distributing method and program therefor
JP6123040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765415B1 (ko) 판매자와 판매대행자 간의 연결 및 수익공유를 제공하는 판매대행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장치
US20230169563A1 (en) Data linkage system, method and program
KR20100007694A (ko) 위시 리스트를 이용한 쇼핑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2789A (ko) 수요 예측에 기반한 상품 가격 설정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88125A (ko) 인터넷 상에서의 매스미디어의 광고필드 판매방법
KR101560743B1 (ko) 온라인 상품정보 확산시스템 및 확산방법
KR101710102B1 (ko) 양방향 인터넷 쇼핑 서비스 지원 장치 및 방법
US81507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et sale using sale contents
WO2017126707A1 (ja) 商品購入支援システム
JP2010224989A (ja) 販売支援システム、販売支援方法、及び販売支援プログラム
CN106687947B (zh) 利用多连接图标的移动信息输出控制系统及其方法
KR102264139B1 (ko) 지역 거점을 이용한 배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27503A (ja) 物件情報処理装置及び物件情報処理方法、物件情報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物件情報処理システム
KR20000063373A (ko) 단일상품에 대한 전세계의 구매력을 집중시키는공동구매방법
US20230274337A1 (en) Method for supporting online purchase of product displayed at offline location, and management server used therefor
KR101912047B1 (ko) 통합 쇼핑몰 분양 시스템
KR20140136564A (ko) 공동 구매 지원 단말 및 방법
KR20120086382A (ko) 트래픽 양방향 거래 중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16722A (ko) 해외 온라인 유통을 위한 쇼핑몰 운영 시스템
KR20050109007A (ko) 휴대형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포인트 적립 카드의관리와 제휴매장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서비스 시스템
KR100857263B1 (ko) 기업간 원스탑 쇼핑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