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296B1 -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 - Google Patents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296B1
KR101998296B1 KR1020180121144A KR20180121144A KR101998296B1 KR 101998296 B1 KR101998296 B1 KR 101998296B1 KR 1020180121144 A KR1020180121144 A KR 1020180121144A KR 20180121144 A KR20180121144 A KR 20180121144A KR 101998296 B1 KR101998296 B1 KR 101998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ion
proposal
consumer
coordinator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우
박한얼
Original Assignee
한동우
박한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우, 박한얼 filed Critical 한동우
Priority to KR1020180121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은 구매하고자 하는 의류상품의 코디요청서를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통해 작성하여 제공하는 소비자 단말; 의류상품 및 액세서리를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는 코디네이터 단말; 및 상기 코디요청서에 부합하는 코디제안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디네이터 단말들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선택한 코디제안서의 코디 상품이 구매계약 및 체결되도록 조율하는 코디네이션 중개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COORDINATION SYSTEM OF CONSUMER CUSTOMIZED-TYPE AND MEHTOD FOR ELECTRONIC COMMER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제품을 구매하려는 다수의 소비자들과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다수의 판매자(판매 코디네이터 및 디자인 코디네이터)들을 온라인상에서 중개해줄 수 있는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온라인 패션시장에서 소비자는 제품의 구매를 위해 다수의 판매자 사이트에 일일이 접속하여 판매자가 사이트에 게시한 제품을 확인하고 판매자가 제시한 가격에 제품을 구매하였다.
소비자는 하나의 제품(ex. 상의)을 구매한 후 상기 제품에 어울리는 제품(ex. 하의)을 추가적으로 구매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였으며, 특히 패션에 관심은 있지만 쇼핑에 관심이 없는 소비자는 패션 코디를 하는데 늘 어려움을 겪는다.
기존 시장에서 판매자는 소비자가 제품의 구매를 결정해야만 거래가 이루어지는 수동적인 입장에 있으며, 특히 소규모 판매자의 경우 사이트 및 어플리케이션 개설 및 관리, 광고비 등의 부족으로 적극적인 영업에 어려움을 겪는다. 기존 시장에서 이들은 단순 의류 판매자로서 업에 종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매자(판매 코디네이터 및 디자인 코디네이터)로 하여금 소비자가 원하는 스타일의 맞춤형 패션 코디를 추천할 수 있고, 소비자는 추천된 패션코디를 통해 보다 나은 스타일로 자신을 꾸밀 수 있는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4779호 (발명의 명칭: 웹기반 가상 패션코디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은 구매하고자 하는 의류상품의 코디요청서를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통해 작성하여 제공하는 소비자 단말; 의류상품 및 액세서리를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는 코디네이터 단말; 및 상기 코디요청서에 부합하는 코디제안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디네이터 단말들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선택한 코디제안서의 코디 상품이 구매계약 및 체결되도록 조율하는 코디네이션 중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는 상기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상기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로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상기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코디요청서 및 구매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소비자 관리부; 상기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이용하는 코디네이터의 코디제안서, 프로필정보 및 판매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코디네이터 관리부; 상기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에 등록된 코디제안서의 코디 상품의 구매계약을 처리하는 전자계약 처리부; 상기 전자계약이 완료되면, 구매계약에 대한 공증서를 발급하는 공증서 발급부; 구매계약에 대한 비용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디요청서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과정으로 선별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한 코디네이터 단말에 상기 코디요청서에 부합되는 코디제안서를 의뢰 요청하는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코디요청서의 필수요건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코디 요청서 선별부 및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 단말에서 제공된 코디 제안서 중 코디 요청서와 가장 부합하는 코디 제안서를 선별하는 코디 제안서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요청서 선별부는 소비자의 주소, 연락처,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필수정보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 코디 품목, 금액, 소비자 성별, 소비자의 거래횟수, 소비자의 반품 횟수를 오름 또는 내림차순하여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 선별부는 상기 코디제안서의 자기소개, 경력, 전문분야, 포트폴리오, 이전계약 내역과 계약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정보, 이전 계약 체결 횟수에 관한 필요항목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 1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이전 계약 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부; 2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상기 코디요청서의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을 반영한 코디제안정보(이미지 포함) 개수를 점수화한 후, 가장 높은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를 선정하는 코디 제안서 선정부; 및 점수화된 코디제안정보와 기준 점수를 비교한 후, 기준 점수 미만일 경우, 필터링하는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는 소비자의 신체 정보, 코디 예산 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정보, 소비자의 신체적 특징 및 요청사항에 기재된 코디 요청서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 코디네이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코디네이터의 코디네이터 단말에서 제공하고, 상기 판매 코디네이터는 자체적으로 판매 및 홍보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고, 디자인 코디네이터는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와 제휴된 제휴업체의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 설치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은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을 입력 및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에 설치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은 자기소개, 경력, 전문분야, 포트폴리오 및 이전 계약 내역과 계약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History), 상기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에 부합하는 품목별 패션상품 정보로 조합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품목별 패션상품 정보의 상세정보가 표시된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코디제안서 작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 선정부는 동일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가 복수 개일 경우, 이전 계약 체결 횟수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의 코디제안서를 선정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은 소비자 단말에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통해 작성된 코디요청서를 수신 및 등록하는 제1 단계;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에서 상기 코디요청서의 품목별 분류기준에 부합하는 코디요청서의 작성을 복수의 코디네이터 단말로 요청하는 제2 단계;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코디네이터 단말로부터 제공된 코디제안서를 등록한 후, 상기 코디요청서에 부합하는 코디제안서를 선별하는 제3 단계;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에서 선별된 코디제안서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선택한 코디제안서의 코디네이터와의 전자상거래 계약체결을 조율하는 제4 단계;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에서 상기 전자상거래 계약체결이 완료되면, 1차 결제처리 및 1차 결제처리에 대한 공증 확인서를 상기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에서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에서 공증 확인서를 수신하면, 상기 코디제안서에 제시된 코디 상품을 소비자에게 배송요청하는 제6 단계;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상기 코디 상품 확인 후, 소비자 단말을 통해 2차 결제처리를 최종 승인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디요청서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과정으로 선별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한 코디네이터 단말에 상기 코디요청서에 부합되는 코디제안서를 의뢰 요청하는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코디요청서의 필수요건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코디 요청서 선별부 및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 단말에서 제공된 코디 제안서 중 코디 요청서와 가장 부합하는 코디 제안서를 선별하는 코디 제안서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요청서 선별부는 소비자의 주소, 연락처,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필수정보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 코디 품목, 금액, 소비자 성별, 소비자의 거래횟수, 소비자의 반품 횟수를 오름 또는 내림차순하여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 선별부는 상기 코디제안서의 자기소개, 경력, 전문분야, 포트폴리오, 이전계약 내역과 계약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정보, 이전 계약 체결 횟수에 관한 필요항목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 1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이전 계약 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부; 및 2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상기 코디요청서의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을 반영한 코디제안정보(이미지 포함) 개수를 점수화한 후, 가장 높은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를 선정하는 코디 제안서 선정부; 및 점수화된 코디제안정보와 기준 점수를 비교한 후, 기준 점수 미만일 경우, 필터링하는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는 소비자의 신체 정보, 코디 예산 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정보, 소비자의 신체적 특징 및 요청사항에 기재된 코디 요청서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 코디네이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코디네이터의 코디네이터 단말에서 제공하고, 상기 판매 코디네이터는 자체적으로 판매 및 홍보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고, 디자인 코디네이터는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와 제휴된 제휴업체의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 설치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은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을 입력 및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에 설치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은 자기소개, 경력, 전문분야, 포트폴리오 및 이전 계약 내역과 계약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History), 상기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에 부합하는 품목별 패션상품 정보로 조합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품목별 패션상품 정보의 상세정보가 표시된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코디제안서 작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 선정부는 동일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가 복수 개일 경우, 이전 계약 체결 횟수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의 코디제안서를 선정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을 이용하면, 소비자가 제시한 금액 및 제품 품목에 맞게 판매자(판매 코디네이터 및 디자인 코디네이터)가 맞춤형 패션 코디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는 제품 탐색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가격선정의 주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코디네이터가 제시한 전문적인 코디 서비스를 수락하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소비자는 구매과정에 발생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판매자(판매 코디네이터 및 디자인 코디네이터)는 소비자 각각에 최적의 코디를 추천하는 능동적인 입장을 취함으로써 적극적인 영업활동이 가능해 지며 이를 통해 광고비 등을 절약할 수 있으며, 누적되는 활동정보(판매 기록 및 정보)를 통해 일부는 의류업계에서 전문가(전문 코디네이터)로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구매 및 판매방식과의 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판매 코디네이터 및 디자인 코디네이터) 모두에게 구매 및 판매 루트의 다양성을 제공함으로써 양쪽 모두에게 새로운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은 도 2에 도시된 코디 요청서 선별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코디 제안서 선별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소비자용)에서 작성된 코디요청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코디네이터용)에서 표시된 소비자의 코디요청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코디네이터용)에서 작성된 코디제안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소비자용)에서 표시된 코디네이터의 코디제안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S730 과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a은 도 2에 도시된 코디 요청서 선별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코디 제안서 선별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소비자용)에서 작성된 코디요청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코디네이터용)에서 표시된 소비자의 코디요청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의 예시도이고, 도 6은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코디네이터용)에서 작성된 코디제안서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소비자용)에서 표시된 코디네이터의 코디제안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창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100)은 소비자 단말(200), 코디네이터 단말(300) 및 코디네이션 중개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각 구성요소(200, 300, 400)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들어,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비자 단말(200)과 코디네이션 중개서버(4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코디네이터 단말(300)과 코디네이션 중개서버(400)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5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비자 단말(200)은 패션상품에 대한 코디를 요청하는 소비자의 단말로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통해 코디네이션 중개서버(400)에 접속하고,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통해 작성된 코디요청서를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상품 코디 및 상품 코디네이터와의 거래 중개를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200)은 코디요청서에 부합하는 코디 상품의 코디제안서를 검토하여 코디 상품을 제공한 코디네이터와의 전자상거래 계약을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디요청서는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별 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300)은 코디요청서를 수임하고자 하는 의류판매업 등을 수행하는 코디네이터가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통해 코디네이션 중개서버(400)에 접속하여 소비자가 등록한 코디요청서의 내용을 확인하고, 코디요청서에 부합하는 코디제안서를 제공하는 업체단말 또는 개인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코디네이터는 판매 코디네이터 및 디자인 코디네이터로 분류되고, 판매 코디네이터는 자체적으로 판매 및 홍보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제안서를 제공하는 주체이고, 디자인 코디네이터는 허용된 사이트(제휴 업체의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는 주체일 수 있다.
또한, 코디네이터 단말(300)은 판매 코디네이터 또는 디자인 코디네이터로 선정될 경우, 코디제안서에 제시된 코디 상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300)은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통해 코디제안서를 작성할 수 있고, 코디 제안서 작성시, 자기소개, 경력, 전문분야, 포트폴리오 및 이전 계약 내역과 계약 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History)가 포함되도록 작성할 수 있다.
여기서, 코디제안서는 해당 코디네이터의 코디의뢰 계약건수 및 누적집행 금액, 소비자가 부여하는 평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활동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비자 단말(200) 및 코디네이터 단말(300)은 후술할 코디네이션 중개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랫폼과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 단말(200)은,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400)는 상기 코디요청서에 부합하는 의류상품 및 액세서리가 조합된 패션코디가 포함된 코디제안서를 코디네이터 단말(300)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소비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200)에서 선택한 코디네이터 단말(300)과 상기 소비자 단말(200) 간의 패션코디에 대한 전자상거래의 계약 및 체결을 조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400)는 플랫폼 제공부(410), 소비자 관리부(420), 코디네이터 관리부(430),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440), 전자계약 처리부(450), 공증서 발급부(460), 결제처리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제공부(410)는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은 도 1 참조, 소비자용(10)과 코디네이터용(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소비자용일 경우,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10)은 도 4를 참조, 코디요청서(30)를 작성하기 위한 수단(미도시) 및 작성된 코디요청서를 요청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코디요청서(30)는 소비자의 신체 정보(신장, 체중, 사이즈 등),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소비자의 신체적 특징 및 요청사항을 포함하도록 작성된다.
또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10)은 선정된 판매 코디네이터 또는 디자인 코디네이터로부터 제공된 코디제품에 대한 상품평가, 후기를 기록 및 저장하고, 소비자와 소비자 간의 대화를 기록 및 저장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10)은 도 7를 참조, 코디네이터가 제시한 코디제안서를 수락(승인)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코디네이터용일 경우,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20)은 도 5 및 도 6을 참조, 복수의 소비자들이 제시한 코디요청서(10)를 선택 및 선택한 코디요청서(10)에 부합하는 코디제안서(40)를 작성하기 위한 코디제안서 작성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디제안서 작성수단(미도시)은 자기소개, 경력, 전문분야, 포트폴리오 및 이전 계약 내역과 계약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History), 상기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에 부합하는 품목별 패션상품 정보(정상판매가격 포함 등)로 조합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품목별 패션상품 정보의 상세정보가 표시된 링크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툴일 수 있다.
상기 소비자 관리부(420)는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소비자가 작성한 코디요청서 및 서비스 이용내역을 등록, 기록,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코디네이터 관리부(430)는 상기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20)을 이용하는 판매 코디네이터 및 디자인 코디네이터를 등록관리한다.
여기서, 판매 코디네이터는 자체적으로 판매 및 홍보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제안서를 제공하는 업체이고, 디자인 코디네이터는 허용된 사이트(제휴 업체의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는 객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440)는 소비자 단말(200)로부터 코디요청서(30)를 제공받은 후, 필수정보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한 후, 필터링된 코디요청서(30)를 접수(등록)한다. 이후,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 단말(300)에 등록된 코디요청서(30)에 부합되는 코디제안서(40) 작성을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 단말(300)에 의뢰요청하고, 코디요청서(30)에 부합되어 작성된 코디제안서(40)를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 단말(300)들로부터 접수받은 후, 코디요청서(30)에서 요구 또는 요청한 사항을 가장 많이 반영한 코디 제안서를 선별한다.
한편, 상기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440)는 코디 요청서 선별부(441) 및 코디 제안서 선별부(4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디 요청서 선별부(441)는 소비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코디요청서(10)의 필수요건 등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a를 참조, 상기 코디 요청서 선별부(441)는 제1 필터링부(441a) 및 제2 필터링부(44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필터링부(441a)는 소비자의 필수정보(예를 들어, 주소, 연락처, 신체정보 등) 누락여부를 필터링한다.
상기 제2 필터링부(441b)는 코디 품목, 금액, 소비자 성별, 소비자의 거래횟수, 소비자의 반품 횟수 등을 오름/내림차순하여 필터링한다.
다음으로, 상기 코디 제안서 선별부(442)는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 단말(300)들에서 제공된 코디제안서(40)들 중 코디 요청서와 가장 부합하는 코디제안서를 선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b를 참조, 상기 코디 제안서 선별부(442)는 제1 필터링부(442a), 제2 필터링부(442b) 및 코디 제안서 선정부(442c)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필터링부(442a)는 상기 코디제안서의 필수항목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한다.
여기서, 필요항목은 ①자기소개, ②경력, ③전문분야, ④포트폴리오 ⑤ 이전 계약 내역과 계약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정보 ⑥이전 계약 체결 횟수에 관한 항목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필터링부(442b)는 1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이전 계약 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필터링한다.
다음으로, 코디 제안서 선정부(442c)는 2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상기 코디요청서의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을 반영한 코디제안정보(이미지 포함) 개수를 점수화한 후, 가장 높은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를 선정한다.
참고로, 상기 코디 제안서 선정부(442c)는 동일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가 복수 개일 경우, 이전 계약 체결 횟수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의 코디제안서를 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디 제안서 선별부(442)는 비교부(442d)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비교부(442d)는 점수화된 코디제안정보와 기준 점수를 비교한 후, 기준 점수 미만일 경우, 필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440)는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 단말(300)들에 코디 제안서 작성을 의뢰할 경우, 과거에 의뢰요청에 대한 피드백(응답) 누적 횟수에 기초하여 피드백(응답) 누적 횟수가 높은 코디네이터에게 우선적으로 요청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자계약 처리부(450)는 상기 코디 제안서 선별부(442)에서 선별된 코디제안서(20)를 제공한 코디네이터와 소비자 간의 거래계약이 체결되도록 중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자계약 처리부(450)는 소비자 단말(200) 및 코디네이터 단말(300)의 ID, 시리얼 넘버 또는 소비자와 코디네이터가 설정한 암호키를 키 값으로 하여 표시되는 전자거래계약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자거래계약서는 상대방이 전자 계약 체결을 확인하기 위한 전자 서명란을 포함할 있고, 전자서명은 '부인방지' 기능을 한다.
상기 전자거래계약서는 HTML 포맷으로 이루어지고, 전자거래계약의 당사자의 단말기의 웹브라우저로 연결되는 링크의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전자거래계약서의 형태는 웹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웹 브라우저로 열수 있는 파일포맷이면 어떠한 포맷이든 무관하다.
이때, 전자서명은 비밀키와 공개키로 이루어진 비대칭 암호화 키 중 비밀키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전자서명은 해당 전자계약의 체결인증을 위해 각 사용자의 음성, 사진, 사인, 실명인증, 공인인증서, 전화번호 인증방식, 지문, 홍체인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거래계약서는 소비자와 코디네이터 간의 패션 코디 상품의 수령일, 배송일, 수량, 금액, 계약체결일, 최종 결제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계약 처리부(450)는 전자계약을 체결하고자 하는 사용자(소비자, 코디네이터)의 선택에 따라 해당 전자거래계약서 체결 전에 서버에 등록된 단말을 전화번호 인증방식을 거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전자공증서 발급부(460)는 상기 전자계약 처리부(450)에서 거래계약이 완료되면, 코디네이터와 소비자 간의 거래계약에 대한 전자 공증서를 발급하는 기능을 한다.
참고로, 상기 전자공증서는 소비자로 하여금 제안발명의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와 연계된 판매 코디네이터 및 디자인 코디네이터의 신뢰성을 제고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전자공증서는 소비자가 코디 상품의 불만족에 따른 환불요청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결제비용에 대한 환수를 책임지기 위한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공증서는 전자상거래 시에 구매자와 공급자 간의 구매내역/판매내역에 관한 정보를 받아 비교한 후, 구매내역/판매내역이 일치함을 확인하고, 이를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다음으로, 결제처리부(470)는 전자거래계약에 대한 비용결제를 수행한다.
상기 결제처리부(470)는 전자거래계약 완료 및 코디 집행에 있어 발생하는 비용결제를 처리하는 구성으로, 소비자와 코디네이터 간의 계약 체결 완료 시, 소비자의 결제 대금을 보호하기 위해, 소비자가 상품 확인 이후 소비자 단말의 최종승인에 따라 그 비용을 해당 코디네이터에게 지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결제처리부(470)는 디자인 코디네이터에서 제안한 코디 제안서의 코디 상품을 소비자가 확인 후, 소비자 단말(200)에서 구매를 최종 승인하면, 해당 디자인 코디네이터에게 소정의 리워드(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결제처리부(470)는 디자인 코디네이터에서 제안한 코디 제안서의 코디 상품을 소비자가 확인 후, 소비자 단말(200)에서 구매를 최종 승인하면, 해당 디자인 코디네이터가 제시한 코디 상품을 판매 운영하는 제휴 업체에 소정의 수수료(해당 코디 상품의 판매액의 일부)를 청구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9은 도 8의 S730 과정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S700)은 먼저, 소비자 단말(200)에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통해 작성된 코디요청서를 코디네이션 중개서버(400)가 수신 및 등록(S710)한다.
여기서, 상기 S710 과정은 소비자 단말(200)로부터 코디요청서(30)를 제공받은 후, 필수정보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코디요청서의 품목별 분류기준에 부합하는 코디요청서의 작성을 복수의 코디네이터 단말로 요청(S720)하고, 코디요청서(30)에 부합되어 작성된 코디제안서(40)를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 단말(300)들로부터 접수받은 후, 코디요청서(30)에서 요구 또는 요청한 사항을 가장 많이 반영한 코디 제안서를 선별 (S730)한다.
여기서, 상기 S730 과정은 도 9를 참조, 상기 코디제안서의 필요 형식요건의 누락여부를 1차 필터링(S731)하고, 상기 1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이전 계약 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2차 필터링(S732)하고, 2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상기 코디요청서의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을 반영한 코디제안정보 개수를 점수화한 후, 가장 높은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를 선정(S733)하는 단계로 진행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S733 과정은 동일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가 복수 개일 경우, 이전 계약 체결 횟수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의 코디제안서를 선정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730 과정은 S733 과정에서 산출된 코디제안서의 점수와 기준점수를 비교한 후, 기준 점수를 초과하는 코디제안서 만을 출력하는 단계(S73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 S733 단계는 동일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가 복수 개일 경우, 이전 계약 체결 횟수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의 코디제안서를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 S730 과정이 완료되면, 선별된 코디제안서(40)를 소비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200)에서 선택한 코디제안서의 코디 상품의 구매계약에 대한 전자상거래 계약체결을 조율(S740)한다.
상기 전자상거래 계약체결이 완료(S740)되면, 1차 결제처리 및 1차 결제처리에 대한 공증 확인서를 상기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로 제공(S750)한다.
이후,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300)에서 공증 확인서를 수신하면, 상기 코디제안서에 제시된 코디 상품을 소비자에게 배송(S760)하고, 소비자가 상기 코디 상품 확인 후, 소비자 단말(200)을 통해 2차 결제처리를 최종 승인(S770)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S700)은 상기 S770 과정에서, 상기 소비자가 최종 승인한 코디 상품의 코디제안서 작성자가 디자인 코디네이터일 경우, 상기 디자인 코디네이터에게 소정의 리워드(인센티브)를 지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S700)은 S770과정 이전에 또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통해 소비자가 코디 상품에 대한 평가를 해당 코디네이터의 프로필 정보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을 이용하면, 소비자가 제시한 금액 및 제품 품목에 맞게 코디네이터가 맞춤형 패션 코디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는 제품 탐색을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가격선정의 주체가 될 수 있다.
또한 코디네이터가 제시한 코디 상품을 수락하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소비자는 구매과정에서 발생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다.
코디네이터는 소비자 각각에 최적의 코디 상품을 추천하는 능동적인 입장을 취함으로써 적극적인 영업활동이 가능해 지며 이를 통해 광고비 등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누적되는 활동정보(판매 기록 및 정보)를 통해 일부는 의류업계에서 전문가(전문 코디네이터)로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구매 및 판매방식과의 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와 판매자(판매 코디네이터 및 디자인 코디네이터) 모두에게 구매 및 판매 루트의 다양성을 제공함으로써 양쪽 모두에게 새로운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소비자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200: 소비자 단말
300: 코디네이터 단말
400: 코디네이션 중개서버
410: 플랫폼 제공부
420: 소비자 관리부
430: 코디네이터 관리부
440: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
441: 코디 요청서 선별부
441a: 제1 필터링부
441b: 제2 필터링부
442: 코디 제안서 선별부
442a: 제1 필터링부
442b: 제2 필터링부
442c: 코디제안서 선정부
442d: 비교부
450: 전자계약 처리부
460: 공증서 발급부
470: 결제 처리부
30: 코디요청서
40: 코디제안서
10: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소비자)
20: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코디네이터)

Claims (11)

  1. 구매하고자 하는 의류상품의 코디요청서를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통해 작성하여 제공하는 소비자 단말;
    의류상품 및 액세서리를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는 코디네이터 단말; 및
    상기 코디요청서에 부합하는 코디제안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디네이터 단말들로부터 제공받아, 상기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선택한 코디제안서의 코디 상품이 구매계약 및 체결되도록 조율하는 코디네이션 중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는
    상기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상기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로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
    상기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코디요청서 및 구매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소비자 관리부;
    상기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이용하는 코디네이터의 코디제안서, 프로필정보 및 판매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코디네이터 관리부;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에 등록된 코디제안서의 코디 상품의 구매계약을 처리하는 전자계약 처리부;
    상기 전자계약이 완료되면, 구매계약에 대한 공증서를 발급하는 공증서 발급부;
    구매계약에 대한 비용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부;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디요청서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과정으로 선별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한 코디네이터 단말에 상기 코디요청서에 부합되는 코디제안서를 의뢰 요청하는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코디요청서의 필수요건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코디 요청서 선별부 및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 단말에서 제공된 코디 제안서 중 코디 요청서와 가장 부합하는 코디 제안서를 선별하는 코디 제안서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요청서 선별부는
    소비자의 주소, 연락처,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필수정보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
    코디 품목, 금액, 소비자 성별, 소비자의 거래횟수, 소비자의 반품 횟수를 오름 또는 내림차순하여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 선별부는
    상기 코디제안서의 자기소개, 경력, 전문분야, 포트폴리오, 이전계약 내역과 계약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정보, 이전 계약 체결 횟수에 관한 필요항목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
    1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이전 계약 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부;
    2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상기 코디요청서의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을 반영한 코디제안정보(이미지 포함) 개수를 점수화한 후, 가장 높은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를 선정하는 코디 제안서 선정부; 및
    점수화된 코디제안정보와 기준 점수를 비교한 후, 기준 점수 미만일 경우, 필터링하는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는
    소비자의 신체 정보, 코디 예산 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정보, 소비자의 신체적 특징 및 요청사항에 기재된 코디 요청서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 코디네이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코디네이터의 코디네이터 단말에서 제공하고,
    상기 판매 코디네이터는 자체적으로 판매 및 홍보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고, 디자인 코디네이터는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와 제휴된 제휴업체의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 설치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은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을 입력 및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에 설치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은 자기소개, 경력, 전문분야, 포트폴리오 및 이전 계약 내역과 계약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History), 상기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에 부합하는 품목별 패션상품 정보로 조합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품목별 패션상품 정보의 상세정보가 표시된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코디제안서 작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 선정부는
    동일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가 복수 개일 경우, 이전 계약 체결 횟수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의 코디제안서를 선정하는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소비자 단말에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을 통해 작성된 코디요청서를 수신 및 등록하는 제1 단계;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에서 상기 코디요청서의 품목별 분류기준에 부합하는 코디요청서의 작성을 복수의 코디네이터 단말로 요청하는 제2 단계;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에서 상기 복수의 코디네이터 단말로부터 제공된 코디제안서를 등록한 후, 상기 코디요청서에 부합하는 코디제안서를 선별하는 제3 단계;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에서 선별된 코디제안서를 소비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선택한 코디제안서의 코디네이터와의 전자상거래 계약체결을 조율하는 제4 단계;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에서 상기 전자상거래 계약체결이 완료되면, 1차 결제처리 및 1차 결제처리에 대한 공증 확인서를 상기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로 제공하는 제5 단계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에서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에서 공증 확인서를 수신하면, 상기 코디제안서에 제시된 코디 상품을 소비자에게 배송요청하는 제6 단계;
    상기 소비자 단말에서 상기 코디 상품 확인 후, 소비자 단말을 통해 2차 결제처리를 최종 승인하는 제7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상기 코디요청서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과정으로 선별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한 코디네이터 단말에 상기 코디요청서에 부합되는 코디제안서를 의뢰 요청하는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요청서/제안서 접수부는 상기 소비자 단말로부터 제공된 코디요청서의 필수요건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코디 요청서 선별부 및
    기 등록된 코디네이터 단말에서 제공된 코디 제안서 중 코디 요청서와 가장 부합하는 코디 제안서를 선별하는 코디 제안서 선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요청서 선별부는
    소비자의 주소, 연락처, 신체정보를 포함하는 필수정보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
    코디 품목, 금액, 소비자 성별, 소비자의 거래횟수, 소비자의 반품 횟수를 오름 또는 내림차순하여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 선별부는
    상기 코디제안서의 자기소개, 경력, 전문분야, 포트폴리오, 이전계약 내역과 계약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정보, 이전 계약 체결 횟수에 관한 필요항목의 누락여부를 필터링하는 제1 필터링부;
    1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이전 계약 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필터링하는 제2 필터링부; 및
    2차 필터링된 코디제안서 중 상기 코디요청서의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을 반영한 코디제안정보(이미지 포함) 개수를 점수화한 후, 가장 높은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를 선정하는 코디 제안서 선정부; 및
    점수화된 코디제안정보와 기준 점수를 비교한 후, 기준 점수 미만일 경우, 필터링하는 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는
    소비자의 신체 정보, 코디 예산 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정보, 소비자의 신체적 특징 및 요청사항에 기재된 코디 요청서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 코디네이터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자인 코디네이터의 코디네이터 단말에서 제공하고,
    상기 판매 코디네이터는 자체적으로 판매 및 홍보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고, 디자인 코디네이터는 상기 코디네이션 중개서버와 제휴된 제휴업체의 사이트에서 판매하는 패션상품을 조합한 코디 제안서를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 단말에 설치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은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을 입력 및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코디네이터 단말에 설치된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은 자기소개, 경력, 전문분야, 포트폴리오 및 이전 계약 내역과 계약건에 대한 소비자의 평가정보를 포함하는 히스토리(History), 상기 코디 예산금액, 코디 스타일, 코디 품목상품 정보 및 소비자 요청사항에 부합하는 품목별 패션상품 정보로 조합한 이미지 정보 및 상기 품목별 패션상품 정보의 상세정보가 표시된 링크정보를 포함하는 코디제안서 작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코디 제안서 선정부는
    동일 점수에 해당하는 코디제안서가 복수 개일 경우, 이전 계약 체결 횟수가 가장 높은 코디네이터의 코디제안서를 선정하는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21144A 2018-10-11 2018-10-11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 KR10199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144A KR101998296B1 (ko) 2018-10-11 2018-10-11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144A KR101998296B1 (ko) 2018-10-11 2018-10-11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296B1 true KR101998296B1 (ko) 2019-10-01

Family

ID=68207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144A KR101998296B1 (ko) 2018-10-11 2018-10-11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2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008B1 (ko) * 2020-11-26 2021-05-07 박한빈 패션코디네이터 매칭 플랫폼 서버
CN114124970A (zh) * 2021-11-29 2022-03-01 深圳腾视科技有限公司 终端通讯协调服务系统及方法
KR20230035760A (ko) 2021-09-06 2023-03-14 정혁진 사용자 맞춤형 패션코디 정보제공 플랫폼
KR20230066730A (ko) 2021-11-08 2023-05-16 김도훈 사용자 맞춤형 패션코디 정보제공 플랫폼
KR20230088952A (ko) 2021-12-13 2023-06-20 한지호 사용자 맞춤형 패션 토탈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78B1 (ko) * 2006-12-14 2008-09-05 주식회사 펄센 코디네이팅을 통한 상품 중개 시스템 및 그 중개방법
KR20090000452A (ko) * 2007-06-28 2009-01-07 전달용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공증을 통한 대금의 지급 시스템과방법
KR20090054779A (ko) 2007-11-27 2009-06-01 백진철 웹기반 가상 패션코디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93232A (ko) * 2008-02-29 2009-09-02 이은미 코디 제안 쇼핑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178B1 (ko) * 2006-12-14 2008-09-05 주식회사 펄센 코디네이팅을 통한 상품 중개 시스템 및 그 중개방법
KR20090000452A (ko) * 2007-06-28 2009-01-07 전달용 전자상거래에 있어서 공증을 통한 대금의 지급 시스템과방법
KR20090054779A (ko) 2007-11-27 2009-06-01 백진철 웹기반 가상 패션코디장치 및 그 방법
KR20090093232A (ko) * 2008-02-29 2009-09-02 이은미 코디 제안 쇼핑몰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9008B1 (ko) * 2020-11-26 2021-05-07 박한빈 패션코디네이터 매칭 플랫폼 서버
KR20230035760A (ko) 2021-09-06 2023-03-14 정혁진 사용자 맞춤형 패션코디 정보제공 플랫폼
KR20230066730A (ko) 2021-11-08 2023-05-16 김도훈 사용자 맞춤형 패션코디 정보제공 플랫폼
CN114124970A (zh) * 2021-11-29 2022-03-01 深圳腾视科技有限公司 终端通讯协调服务系统及方法
KR20230088952A (ko) 2021-12-13 2023-06-20 한지호 사용자 맞춤형 패션 토탈 큐레이션 플랫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296B1 (ko) 소비자 중심 맞춤형 코디네이션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코디네이션 전자상거래방법
US11042883B2 (en)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inventory management
US1181006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orders for returned items
US20150081467A1 (en) User-driven reverse auctions systems and methods
KR20170076099A (ko) 온라인 쇼핑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 서버
EP37579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e-commerce product returns using orders for returned items
KR102403331B1 (ko) 소재/부품 재고관리 및 스마트 거래 시스템, 방법
US20220261848A1 (en) Micro influencer hyperlinking
KR20200141594A (ko) 상점 간 연계 할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00144823A (ko)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KR102211678B1 (ko) 역경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004252B1 (ko) 쌍방향 맞춤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JP2022077199A (ja) 販売支援システム、販売支援装置および販売支援方法並びに販売支援プログラム
KR20170125003A (ko) 온라인 쇼핑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통합 서버
KR20190056075A (ko)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평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151041B1 (ko) 국가간 온라인 거래 시스템
JP2017033164A (ja) 不動産仲介装置、不動産仲介方法、及び不動産仲介プログラム
KR20110008657A (ko) 유무형 가치의 기부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2020505713A (ja) インターネットショッピングモール管理方法
KR101431521B1 (ko) 뷰티정보 포털사이트 운영방법
KR2014002272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에서의 주문옵션 관리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2005196347A (ja) 電子店舗取引システム
US20230325869A1 (en) Automated Product/Service Vending System and Method
JP2003256727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及び電子商取引方法
JP2021157756A (ja) ウォレットプログラム、ウォレットシステムおよび商品提案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