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464A -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464A
KR20180102464A KR1020170029135A KR20170029135A KR20180102464A KR 20180102464 A KR20180102464 A KR 20180102464A KR 1020170029135 A KR1020170029135 A KR 1020170029135A KR 20170029135 A KR20170029135 A KR 20170029135A KR 20180102464 A KR20180102464 A KR 20180102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gear
cover
mirr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170B1 (ko
Inventor
박재찬
김형민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1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2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comprising means for cleaning or de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결합되고 AVM 및 CMS 카메라가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 상기 CMS 카메라가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에 장착되는 카메라 커버; 및 상기 고정 하우징과 카메라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커버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카메라 커버를 이용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CMS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MS 카메라의 렌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깨끗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Vehicle Side CMS Camera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CMS 카메라를 보호하면서 주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사이드미러는 도시된 도 1과 같이 후측방시계를 확보하기 위해 차량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디자인이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사이드미러는 돌출되는 형상 때문에 공기저항으로 차량의 연비를 저감시키고, 이명(이상한 소리) 또는 풍절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이드미러의 디자인을 획기적으로 축소하는 기술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를 CMS(CAMERA MONITOR SYSTEM)이라 한다.
통상의 CMS는 후측방 시계확보를 위해 50~80° 정도의 화각을 갖는 카메라를 시계가 확보되는 위치에 고정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그리고 CMS는 운전자의 키나 운전자의 운전습관 등에 따른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미러 내부의 모터가 있는데 이를 삭제하여 복잡한 내부 디자인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데, 이는 미러가 내부의 모터를 이용하여 조절하여 엊는 FOV 대비하여 카메라 렌즈의 FOV가 그 영역을 모두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한편, CMS가 고정된 위치인 경우에는, 비작동시에도 돌출되어 있어 파손에 대한 위험이 항시 노출되어 있어 파손에 대한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들이 필요로 하는데, 통상적으로 카메라가 작동할 때만 카메라가 돌출되는 무빙 메커니즘을 활용하는 기술들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카메라의 무빙 메커니즘이 이동할 때마다 카메라의 위치가 조금씩 틀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142661호(2016.12.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카메라 커버를 이용하여 사이드미러를 대체하는 CMS 카메라를 보호하면서 주변에 위치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카메라 커버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의 고장시 비상 미러를 통해 종래의 사이드 미러 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는 차체에 결합되고 AVM 및 CMS 카메라가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 상기 CMS 카메라가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에 장착되는 카메라 커버; 및 상기 고정 하우징과 카메라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커버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 하우징의 상부에는 양측에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미러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 장착공에는 비상 미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미러 장착공의 하부에는 회전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감기는 구동벨트, 상기 비상 미러의 일 측 끝단이 고정되는 미러 고정구,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하우징의 상부에는 미러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 장착공에는 일 측 끝단에 구동기어가 구비된 비상 미러가 장착되며, 상기 미러 장착공의 하부에는 회전기어가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회전모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커버는 고정 하우징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고정 하우징에 장착되는 하우징 기어; 상기 커버에 장착되는 커버 기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겟;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 장착되고, 커버 기어와 구동 기어가 치합되며, 상기 구동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기어는 피니언이고, 커버 기어는 래크이며, 구동부는 구동모터 또는 액추에이터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카메라 커버의 상부에는 작동구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기어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구 장착공에는 키 홈에 결합되는 조작키의 회전작동에 따라 승·하강 작동하면서 하부 끝단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기어 작동구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카메라 커버를 이용하여 외부 충격에 의한 CMS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MS 카메라의 렌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깨끗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 커버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의 고장시 비상 미러를 통해 종래의 사이드 미러 구조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운전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사이드미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구동수단의 작동시 카메라 커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구동수단을 나타내내 사시도.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구동수단의 고정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비상 미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순차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비상 미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비상 미러의 작동상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긴급상황시 AVM을 이용한 것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 및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구동수단의 작동시 카메라 커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구동수단을 나타내내 사시도이며, 도 7 및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를 구성하는 구동수단의 고정시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비상 미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순차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비상 미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비상 미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비상 미러의 작동상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발명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100)는 고정 하우징(200), 카메라 커버(300), 구동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 하우징(200)은 차체(10)에 결합되고 AVM(Arround View Monitor)(220)와 CMS 카메라(240)가 장착된다.
즉, 상기 고정 하우징(200)은 사이드미러가 장착되는 부분에 차체(10)에 결합되고, 일 측에는 운행보조시스템인 AVM(220)을 장착하며, 후방에는 후방 시야의 확보를 위하여 CMS 카메라(240)를 장착한 것이다.
상기 카메라 커버(300)는 내부에 수용공간(320)이 형성되고 고정 하우징(200)에 장착된다.
즉, 상기 카메라 커버(300)는 CMS 카메라(240)가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200)의 외면에 장착되어 구동수단(400)의 작동시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좀 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카메라 커버(300)는 주차나 정지시 구동수단(400)의 작동을 통해 CMS 카메라(240)의 노출을 차단하고, 주행시에는 CMS 카메라(24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 것이다.
이때, 상기 카메라 커버(300)는 고정 하우징(20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카메라 커버(300)가 고정 하우징(200)의 크기보다 클 경우 풍절음 및 연비를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구동수단(400)은 고정 하우징(200)과 카메라 커버(300)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커버(300)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400)은 고정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하우징 기어(410)와, 상기 카메라 커버(300)에 장착되는 커버 기어(420)와, 차체(10)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겟(430)과, 상기 고정 브라켓(430)의 상부에 장착되고, 커버 기어(420)와 구동 기어(442)가 치합되며, 상기 구동 기어(44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4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수단(400)은 구동부(440)의 작동시 회전력이 구동 기어(442)를 통해 커버 기어(420)에 전달되고, 상기 커버 기어(420)는 구동 기어(44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치합된 하우징 기어(410)를 통해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기어(410)는 피니언, 커버 기어(420)는 래크, 구동부(440)는 구동모터 또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상기 카메라 커버(300)와 구동수단(400)에는 구동수단(400)의 고장시 운전자가 수동으로 구동수단(400)을 제어할 수 있도록 보상 작동부(5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상 작동부(500)는 카메라 커버(300)의 상부에 작동구 장착공(340)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수단(400)의 커버 기어(420)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홈(422)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구 장착공(340)에는 키 홈(540)에 결합되는 조작키(600)의 회전작동에 따라 승·하강 작동하면서 하부 끝단에 형성된 고정돌기(560)가 고정홈(422)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기어 작동구(52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작동구 장착공(340)에는 승·하강 작동하는 기어 작동구(520)의 결합 및 지지를 위하여 작동구 너트(580)가 장착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즉, 상기 보상 작동부(500)는 구동수단(400)의 고장시 카메라 커버(300)와 구동수단(400)을 연결하는 기어부분을 운전자가 기어 작동구(520)의 회전작동을 통해 강제로 카메라 커버(300)를 이동시켜 CAM 카메라(240)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양측에 슬라이딩 레일(262)이 형성된 미러 장착공(260)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 장착공(260)에는 비상 미러(6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미러 장착공(260)의 하부에는 회전수단(700)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상 미러(600)와 회전수단(700)을 통해 후측방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700)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구동롤러(710), 상기 구동롤러(710)에 감기는 구동벨트(720), 상기 비상 미러(600)의 일 측 끝단을 고정시키는 미러 고정구(730), 상기 구동롤러(710)를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모터(74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수단(700)은 구동벨트(720)의 외면에 비상 미러(600)의 일 측 끝단을 고정한 후, 상기 구동모터(7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킨 다음, 상기 비상 미러(600)가 구동벨트(720)의 최전방에 위치하면서 수직이나 경사지게 배치될 때, 상기 구동모터(740)를 정지시켜, 운전자가 비상 미러(600)를 통해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미러 장착공(260)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 장착공(260)에는 일 측 끝단에 구동기어(620)가 구비된 비상 미러(600)가 장착되며, 상기 미러 장착공(260)의 하부에는 회전기어(820)가 구동기어(620)에 치합되는 회전모터(80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모터(800)는 비상 미러(600)의 구동기어(620)와 치합된 회전기어(820)를 회전작동시켜, 상기 비상 미러(600)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배치시켜 운전자가 비상 미러(600)를 통해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100)는 CMS 카메라(240)의 고정시 AVM(220)의 FOV를 이용하여 후측방의 시계를 확보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이드미러가 장착되는 부분에 차체(10)에 일 측으로 운행보조시스템인 AVM(220)을 장착되고, 후방에는 후방 시야의 확보를 위하여 CMS 카메라(240)가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200)을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CMS 카메라(240)가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200)의 외면에 카메라 커버(300)를 배치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하우징(200)과 카메라 커버(300)에 고정 하우징(200)에 장착되는 하우징 기어(410)와, 상기 카메라 커버(300)에 장착되는 커버 기어(420)와, 차체(10)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겟(430)과, 상기 고정 브라켓(430)의 상부에 장착되고, 커버 기어(420)와 구동 기어(442)가 치합되며, 상기 구동 기어(442)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440)로 구성되는 구동수단(400)을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 하우징(200)의 상부에 양측에 슬라이딩 레일(262)이 형성된 미러 장착공(260)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 장착공(260)에는 비상 미러(60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미러 장착공(260)의 하부에는 회전수단(700)을 장착하면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10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조립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의 주행에 따른 CMS 카메라(240)를 외부로 노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구동수단(400)을 구성하는 구동부(440)에 전원을 공급하면 된다.
이후, 상기 구동수단(400)은 구동부(440)의 작동시 회전력이 구동 기어(442)를 통해 커버 기어(420)에 전달하고, 상기 커버 기어(420)는 구동 기어(44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치합된 하우징 기어(410)에 전달하여 카메라 커버(300)를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CMS 카메라(240)를 외부로 노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차량의 정지나 주차시에도 구동수단(400)을 구성하는 구동부(440)에 전원을 공급하면 된다.
이후, 상기 구동수단(400)은 구동부(440)의 작동시 회전력이 구동 기어(442)를 통해 커버 기어(420)에 전달하고, 상기 커버 기어(420)는 구동 기어(442)를 통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치합된 하우징 기어(410)에 전달하여, 카메라 커버(300)를 수평방향이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서 CMS 카메라(240)의 노출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CMS 카메라(240)의 고장이 발생하면, 회전수단(700)은 구동모터(7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작동시켜 비상 미러(600)가 구동벨트(720)의 최전방에 위치하면서 수직이나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하여, 운전자가 비상 미러(600)를 통해 후방 시야를 확보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200 : 고정 하우징, 220 : AVM,
240 : CMS 카메라, 260 : 미러 장착공,
262 : 슬라이딩 레일, 300 : 카메라 커버,
320 : 수용공간, 340 : 작동구 장착공,
400 : 구동수단, 410 : 하우징 기어,
420 : 커버 기어, 422 : 고정홈,
430 : 고정 브라켓, 440 : 구동부,
442 : 구동 기어, 500 : 보상 작동부,
520 : 기어 작동구, 540 : 키 홈,
560 : 고정돌기, 600 : 비상 미러,
700 : 회전수단, 710 : 구동롤러,
720 : 구동벨트, 730 : 미러 고정구,
740 : 구동모터.

Claims (8)

  1. 차체에 결합되고 AVM 및 CMS 카메라가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
    상기 CMS 카메라가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에 장착되는 카메라 커버; 및
    상기 고정 하우징과 카메라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카메라 커버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의 상부에는 양측에 슬라이딩 레일이 형성된 미러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 장착공에는 비상 미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미러 장착공의 하부에는 회전수단이 장착되는 것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양측에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감기는 구동벨트;
    상기 비상 미러의 일 측 끝단이 고정되는 미러 고정구;
    상기 구동롤러를 회전작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의 상부에는 미러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미러 장착공에는 일 측 끝단에 구동기어가 구비된 비상 미러가 장착되며, 상기 미러 장착공의 하부에는 회전기어가 구동기어에 치합되는 회전모터가 장착되는 것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커버는 고정 하우징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고정 하우징에 장착되는 하우징 기어;
    상기 커버에 장착되는 커버 기어;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겟; 및
    상기 고정 브라켓의 상부에 장착되고, 커버 기어와 구동 기어가 치합되며, 상기 구동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기어는 피니언이고, 커버 기어는 래크이며, 구동부는 구동모터 또는 액추에이터로 구성되는 것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커버의 상부에는 작동구 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 기어에는 간격을 두고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작동구 장착공에는 키 홈에 결합되는 조작키의 회전작동에 따라 승·하강 작동하면서 하부 끝단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고정홈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기어 작동구가 장착되는 것인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KR1020170029135A 2017-03-07 2017-03-07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KR102253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135A KR102253170B1 (ko) 2017-03-07 2017-03-07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135A KR102253170B1 (ko) 2017-03-07 2017-03-07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464A true KR20180102464A (ko) 2018-09-17
KR102253170B1 KR102253170B1 (ko) 2021-05-18

Family

ID=6372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9135A KR102253170B1 (ko) 2017-03-07 2017-03-07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1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72753A1 (en) * 2019-09-05 2021-03-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Obstacle avoidance system for a camera arm for observing traffic to the rear of a vehicle
KR102643855B1 (ko) * 2022-11-24 2024-03-08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Rgb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수집 기능을 활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793U (ko) * 1996-12-26 1998-09-25 양재신 사이드미러의 보조미러
KR20120134570A (ko) * 2011-06-02 2012-12-1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장치
KR20140039831A (ko) * 2012-09-25 2014-04-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사이드미러 시스템 및 이의 차량 측후방 영상 표시 방법
KR20160142661A (ko) 2015-06-03 2016-12-1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793U (ko) * 1996-12-26 1998-09-25 양재신 사이드미러의 보조미러
KR20120134570A (ko) * 2011-06-02 2012-12-12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장치
KR20140039831A (ko) * 2012-09-25 2014-04-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사이드미러 시스템 및 이의 차량 측후방 영상 표시 방법
KR20160142661A (ko) 2015-06-03 2016-12-13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72753A1 (en) * 2019-09-05 2021-03-1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Obstacle avoidance system for a camera arm for observing traffic to the rear of a vehicle
US11797008B2 (en) * 2019-09-05 2023-10-2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Obstacle avoidance system for a camera arm for observing traffic to the rear of a vehicle
KR102643855B1 (ko) * 2022-11-24 2024-03-08 주식회사 대호이엔지 Rgb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수집 기능을 활용한 통합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170B1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8083B2 (en) Head-up display combiner positioning and locking system
EP2769258B1 (en) Combiner positioning system
CN110997408B (zh) 电动收藏式车辆用周边视觉确认装置
WO2018061680A1 (ja) 車両用視認装置
JP6421827B2 (ja) 自動車両用の表示装置、自動車両、及び、表示装置を動作させるための方法
KR20180102464A (ko) 차량용 사이드 cms 카메라 보호장치
US9981606B2 (en) Vehicle visual recognition device
JP2007261503A (ja) 車載カメラの取付ブラケット
US9957746B2 (en) Motor unit, motor with speed reduction mechanism, and sliding door automatic opening/closing device
US8840259B2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JP2017061824A (ja) ゲート装置
JP2009113569A (ja) ワイパ装置
KR20120134570A (ko) 차량용 카메라장치
JP2012116321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CN101712300A (zh) 车辆用后视镜装置
CN106973256B (zh) 光学信息采集装置以及光学信息采集系统
KR101997063B1 (ko) 차량의 주변 감시 장치
KR200270710Y1 (ko) 자동차용 모니터 조립체
JP4701107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1820325B1 (ko) 후방 미러를 갖는 쿼드런트 인너커버
CN215513610U (zh) 车载视觉采集模组及其离心式清洁装置、无人车
KR20180102461A (ko) 차량용 사이드 카메라 시스템
US20230421880A1 (en) Camera monitoring system disposed on a panel of a vehicle body
JP2005231533A (ja) キャビンのワイパー装置
JPH08337141A (ja) 自動車の後部窓ガラス用の広角レン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