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590A - 물 분배용 혼합 수전 - Google Patents

물 분배용 혼합 수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590A
KR20180100590A KR1020187021412A KR20187021412A KR20180100590A KR 20180100590 A KR20180100590 A KR 20180100590A KR 1020187021412 A KR1020187021412 A KR 1020187021412A KR 20187021412 A KR20187021412 A KR 20187021412A KR 20180100590 A KR20180100590 A KR 20180100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se
mixing
nozzle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1628B1 (ko
Inventor
니엘스 테오도어 페테리
Original Assignee
쿠커 인터내셔널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커 인터내셔널 비.브이. filed Critical 쿠커 인터내셔널 비.브이.
Priority to KR102023702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7391A/ko
Publication of KR2018010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1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1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8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 F16K11/08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 F16K11/085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taps or cocks with cylindrical plug having all the connecting conduits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lu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 E03C1/0405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enabling multiple spray patter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11Taps specially designed for dispensing boiling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2001/0415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n extendable water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571Multiple inlet with single outlet
    • Y10T137/87579Faucet attach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9464Faucets and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 분배를 위한 혼합 수전(mixing tap)에 관한 것으로서, 장착용 개구부 내에 또는 그 위에 수전 몸체를 끼워 맞추어 장착하기 위한 장착 단부를 갖는 수전 몸체(tap body); 상기 수전 몸체에 또는 그 위에 장착되고 분배 단부가 제공되는 주둥이(spout); 상기 수전 몸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냉수용 제1 유입구, 온수용 제2 유입구 및 혼합수용 배출구를 포함하는 혼합 장치(mixing device); 및 유입 단부와 배출 단부를 갖는 제1 수관을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가요성의 호스를 포함하되, 상기 유입 단부는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 단부는 상기 혼합수를 분배하기 위한 주둥이의 분배 단부 근방에 제공되는 노즐에서 종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혼합 수전은 상기 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장착 단부로부터 상기 분배 단부로 연장되는 수용 덕트를 가지며, 상기 노즐을 갖는 호스는, 상기 호스가 상기 분배 단부에 대해 돌출하는 인출 위치(pulled-out position)와, 상기 호스가 상기 분배 단부에 대해 돌출하지 않거나 더 작게 돌출하는 정상 위치(normal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주둥이에 대해 위치 이동 가능하며, 상기 호스는 제2 유입 단부와 제2 배출 단부를 갖는 제2 수관을 구비하되, 상기 제2 유입 단부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출 단부는 상기 노즐에서 종결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물 분배용 혼합 수전
본 발명은 물 분배를 위한 혼합 수전(혼합형 수도꼭지)(mixing tap)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출형 노즐(pull-out nozzle)을 갖는 혼합 수전에 관한 것이다.
혼합 수전은 혼합된 물(혼합수)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혼합 수전은 혼합수를 분배하기 위한 혼합 장치를 포함한다. 이 혼합 장치는 냉수용의 제1 유입구(inlet) 및 온수용의 제2 유입구와, 하나의 배출구(outlet)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장치를 작동시켜서 온수와 냉수의 원하는 비율이 설정될 수 있고, 원하는 양의 혼합수가 배출구로 분배될 수 있다. 혼합 장치의 설정에 따라서, 혼합수는 냉수 및 온수의 혼합물일 수도 있지만, 모두 냉수 또는 모두 온수일 수도 있다.
상기 혼합 장치는 혼합수의 유량 및 온수와 냉수 간의 혼합비를 설정하기 위한 하나의 작동 부재(operating element)를 가질 수도 있다. 혼합 장치는 또한 2개 또는 다수의 작동 부재들, 예를 들어, 냉수의 유량을 설정하는 하나의 장치 및 온수의 유량을 설정하는 다른 하나의 장치를 가질 수도 있어, 이로써 혼합수의 혼합비 및 양을 정의할 수도 있다.
어떤 종류의 혼합 수전에는 인출형(pull-out) 노즐이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혼합 수전은 유입 단부와 배출 단부를 갖는 수관(water conduit)을 포함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가요성 호스(flexible hose)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유입 단부는 혼합 장치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 단부는 주둥이(spout)의 분배 단부 근방에 제공되는 혼합수를 분배하기 위한 노즐에서 종결된다. 이 경우, 혼합 수전에는 수전 몸체(tap body)의 끼워 맞춤을 위한 장착 단부로부터 주둥이의 분배 단부까지 연장되는 상기 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덕트(accommodation duct)가 제공된다. 노즐을 구비하는 상기 호스는, 호스가 분배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인출 위치(pulled-out position)와, 호스가 분배 단부로부터 돌출하지 않거나 더 작은 정도로 돌출하는 정상 위치(normal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주둥이에 대해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혼합 수전으로써, 노즐을 구비하는 호스가 정상 위치에서 호스가 주둥이로부터 돌출하는 인출 위치로 이동 가능하다. 호스의 유연성으로 인해, 노즐은 인출 위치에서 주둥이에 대해 흔들릴(스윙) 수도 있는데, 이것은, 예를 들어, 싱크대(sink)의 구석구석에 도달하도록, 노즐로부터 유출하는 물 분사(워터 제트)의 도달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혼합 수전들은 또한 인출형 에어레이터(pull-out aerator)를 갖춘 혼합 수전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을 분배하기 위한 향상된 성능의 혼합 수전(mixing tap)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물을 분배하기 위한 혼합 수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출형 노즐을 갖는 공지의 혼합 수전의 기능은 그러한 인출형 노즐을 갖는 하나의 주둥이로부터 추가적인 종류의 물, 예컨대, 매우 고온의 온수 또는 끓는 물을 공급하도록 이러한 유형의 수전들을 설계함으로써 현저히 증가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2 수관에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물을 공급하고 분배하기 위한 노즐이 변위 가능한 호스에 제공된다. 상기 물 공급원은, 예를 들어, 매우 고온의 온수 또는 끓는 물, 예컨대, 섭씨 95도를 넘는 온도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 또는 냉수 및/또는 냉각된 물, 바람직하게는, 여과된 냉수 및/또는 냉각된 물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물 공급원은 또한 탄산수(carbonated water)를 분배하기 위한 물 공급원일 수도 있다.
호스에 제2 수관을 제공함으로써, 노즐을 통해 분배되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물은 이러한 구성에 있어 제1 수관에 있는 물과는 접촉하지 않거나, 아니면 대체로 더 작은 정도로만 접촉하게 된다. 이것은 매우 고온의 또는 끓는 물 및/또는 여과된 냉수 또는 여과된 냉각수와 같은 소비용의 물로써 특히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새로운 물이 다른 물과, 특히, 보일러에 존재하는 고온의 물이나 상승한 고온의 물 등과는 서로 혼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더욱이,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물의 공급이 개방될 때, 혼합수와 물 공급원으로부터 혼합 수전의 노즐로 공급되는 물의 양자에 대해 공통의 수관을 사용한 결과, 어떤 혼합수도 초기에 노즐을 통해 먼저 분배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수전 몸체는 장착용 개구부(fitting opening) 내에 또는 그 위에 그 수전 몸체를 끼워 맞추기 위한 장착 단부(fitting end)를 갖는다. 상기 장착용 개구부는, 예를 들어, 조리대에 제공되는 하나의 개구부인데, 이러한 구성에서 냉수 및 온수용 급수관과 상기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은 조리대 하부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수전 몸체가 설치된 후, 주둥이의 분배 단부는 보통 조리대 위에, 특히 조리대에 배치된 싱크대(sink) 상부에 직접 배치된다. 상기 주둥이는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주둥이는 조리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할 수도 있어, 상기 분배 단부, 따라서 노즐이 조리대/싱크대에 대해 위치 변화 가능하다.
상기 혼합 장치는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여 그것을 분배하기 위한 수전 몸체에 제공된 임의의 장치일 수도 있다. 상기 혼합 장치는 그 혼합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 밸브들을 갖는 하나 또는 다수의 작동 부재(operating element)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하나 또는 다수의 작동 부재들에 의하여, 혼합수의 유량과 냉수 및 온수 간의 혼합비 양자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혼합 장치는 혼합수의 유량과 분배될 냉수 및 온수의 양 사이의 비율 양자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작동 부재들은 본질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혼합 수전은 혼합수를 혼합 장치의 배출구로부터 주둥이의 분배 단부 근처에 제공되는 노즐로 통과시키는 제1 수관을 갖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가요성의 호스를 포함한다. 노즐은 주둥이에 대해 호스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호스에 부착된다. 수전 몸체 및 주둥이에는, 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덕트가 제공된다. 호스는, 그 호스가 분배 단부에 대해 돌출되어 있는 인출 위치와, 호스가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더 작은 정도로 돌출하는 정상 위치 사이에서, 상기 주둥이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호스의 인출 위치에서 분배 단부에 대해 돌출하는 호스 또는 호스의 적어도 일부의 유연성의 결과로, 호스의 일단에 부착된 노즐은 주둥이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호스는 다양한 호스 부부들, 예를 들어, 제1 호스 부분, 및 상기 제1 호스 부분과 정렬 상태로 배치되는 제2 호스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호스 부분은 제1 수관만을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제2 호스 부분은, 제1 호스 부분과 제2 호스 부분 사이에 제공되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을 연결하는 연결부와 함께, 제1 수관 및 제2 수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노즐은 제1 수관으로부터의 혼합수 및 제2 수관으로부터 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분배하기에 모두 적합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노즐에는 2개의 배출 개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호스는 정상 위치로 노즐을 갖는 호스를 당기거나 그리고/또는 정상 위치에 노즐을 갖는 호스를 유지하기 위한 밸러스트 부재(ballast element)가 제공된다. 혼합 수전이 사용 중이지 않을 때에는 호스와 노즐을 정상 위치에 놓거나 유지하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이것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적어도 호스 및 노즐을 정상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밸러스트 부재가 호스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밸러스트 부재, 예를 들어, 호스에 부착된 상대적으로 무거운 질량은, 호스, 따라서 노즐을 정상 위치 방향으로 잡아당기거나, 또는 호스와 노즐이 이미 정상 위치에 있을 경우 그 호스와 노즐을 정상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있어,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는 밸러스트 부재 내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된다. 밸러스트 부재는 호스가 인출된 후 그 호스를 정상 위치로 가져가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예컨대, 조리대 아래의 공간에 자유롭게 매달려 있도록 한다. 밸러스트 부재 내에 또는 그 근처에 상기 연결부를 제공함으로써, 그것은 수전 몸체에 제공될 필요가 없게 된다. 이것은 수전 몸체를 덜 복잡하게 하며, 연결부가 용이하게 접속 가능하게끔 만든다.
또한, 연결부를 제공하기 위한 밸러스트 부재 근처 또는 내부에 더 많은 공간이 존재하는데, 그 이유는 수전 몸체에서보다 접근 가능한 공간이 더 많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연결부는 추가적인 밸러스트를 제공하므로 호스를 정상 위치로 잡아당기거나 정상 위치에 유지하는 데에도 또한 기여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밸러스트 부재는 호스가 인출 위치에 있을 때 수전 몸체의 장착 단부에 근접하게,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한 가깝게, 위치하는 방식으로 호스에 부착된다. 이것은 연결부와 노즐 사이의 거리, 즉 제2 수관의 길이를 짧게 만들어, 물이 물 공급원으로부터 노즐로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호스는 루프 부분 및 주둥이 부분을 가지며, 상기 주둥이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수용 덕트에서 연장되고 노즐에 연결되며, 상기 루프 부분은 혼합 장치의 배출구에 연결된다.
수전 몸체를 개구부, 예를 들어, 조리대에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장착용 개구부에 끼워 맞춰 장착한 다음, 상기 호스의 루프 부분은 조리대 아래로 연장될 수도 있고, 그 주둥이 부분은 조리대 아래로부터 수용 덕트를 통해 주둥이의 분배 단부만큼 멀리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루프 부분은 정상 위치와 인출 위치 사이에서 주둥이 부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제1 수관은 루프 부분과 주둥이 부분 모두를 통해 연장된다. 제2 수관은 주둥이 부분을 통해 연장되고 부분적으로는 루프 부분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다. 상기 루프 부분과 상기 주둥이 부분과의 사이에는, 그 루프 부분과 주둥이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제1 수관의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는 커플링 장치(coupling device)가 제공된다. 제2 수관이 주둥이 부분을 통해서만 연장되는 경우, 커플링 장치는 물 공급원의 급수관을 위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수관이 부분적으로 루프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경우, 커플링 장치는 루프 부분과 주둥이 부분을 통해 연장되는 제2 수관의 부분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또한 구성된다.
밸러스트 부재를 갖는 장치의 일 실시예에 있어, 상기 루프 부분과 호스의 주둥이 부분 사이에는 밸러스트 부재가 제공된다.
일 실시 예에서,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을 위한 연결부는 호스가 일 방향, 특히,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호스의 위치에 제공되는데,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을 실질적으로 동일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호스가 인출 위치와 정상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때, 밸러스트 부재는 그 밸러스트 부재에 작용하는 중력의 결과로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다.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이 가능한 한 작게 밸러스트 부재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연결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 호스에서의 상기 제1 수관 및 제2 수관은 서로에 대하여 동심원 형태로 이어진다. 이 경우, 상기 제1 수관 또는 제2 수관 중 어느 하나는, 예를 들면,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수관 또는 제2 수관 중 다른 하나는 그 원형 단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링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동심원 형태로 연장되는 제1 수관 및 제2 수관 때문에, 상기 호스는 종축에 대해 대칭인 단면을 갖는다. 그 결과, 호스는 상이한 굴곡 방향에서 대체로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호스는 원형 외주를 갖는데, 여기서 상기 단면의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이 상기 제1 및 제2 수관에 대해 사용된다. 따라서, 호스의 단면적은 각각의 유입 개구부로부터 각각의 배출 개구부로 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효율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노즐은, 바람직하게는, 동심원 형태로 설계되어, 그 노즐이 제1 수관 또는 제2 수관 중 하나를 위한 중앙의 원형 배출 개구부, 및 상기 제1 수관 또는 제2 수관 중의 다른 하나를 위한 상기 원형 배출 개구부 주위에 배치되는 링 형태의 제2 배출 개구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혼합 수전은 주둥이에 대하여 호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센서(position sensor)를 포함한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는, 주둥이에 대한 호스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 공급원이 매우 고온의 또는 끓는 물의 공급일 경우, 호스와 노즐이 정상 위치에 있을 때에만 매우 고온의 물 또는 끓는 물을 분배하는 것을 원할 수도 있다. 이것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해, 주둥이에 대한 호스의 위치를 결정하고 매우 고온의 또는 끓는 물이 그에 따라서 물 공급원으로부터 분배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 센서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치 센서는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또는 접촉 센서(contact sensor)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센서일 수도 있다. 상기 위치 센서는, 바람직하게는, 수전 몸체에 장착된다.
일 실시 예에 있어, 혼합 수전은 그 혼합 수전에 의해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는 물의 분배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희망할 경우, 제2 수관을 통해 물을 분배할 수 있도록 물을 분배하기 위한 물 공급원을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혼합 수전에는, 바람직하게는, 수전 몸체에 끼워 맞춰지는 작동 부재가 제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 상기 작동 부재는 전기적 동작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작동 부재에 의해 전송될 전기 작동 신호는 전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밸브를 동작시키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 공급원에 가까운 거리에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작동 부재는 제2 수관에 그리고/또는 상기 연결부에 대한 물 공급원의 급수관에 있는 밸브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작동 부재에 의해 상기 밸브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물 공급원으로부터의 물의 분배가 직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작동 부재는 수전 몸체의 주위로 연장되는 작동 링이다. 수전 몸체의 주위로 연장되는 작동 링은 사용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작 가능한 형태의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하나의 작동 부재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물 분배용 시스템을 또한 제공하는바, 상기 시스템은:
특허청구범위 제1-1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혼합 수전(mixing tap);
추가적인 종류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물 공급원(water source);
상기 물 공급원으로부터 연결되며, 상기 혼합 수전의 연결부에 연결되거나 또는 연결되도록 의도되는 급수관(water supply conduit)을 포함하는 물 분배용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한 추가적인 종류의 물은, 예컨대, 매우 고온의 물 또는 끓는 물, 또는 냉수 및/또는 냉각수, 바람직하게는, 여과된 냉수 및/또는 냉각수이다. 상기한 추가적인 종류의 물은 또한 탄산수(carbonated water)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과 기타 세부 사항들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기술하는 것에 의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호스와 노즐이 정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의 전체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도 2는 호스와 노즐이 인출된 위치에 있는 상태의 도 1의 실시 예의 전체적인 도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실시 예로부터 수전 몸체와 주둥이를 통해 취한 종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밸러스트 부재에서 도 1의 실시 예의 호스 및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수전 몸체의 세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은 참조 기호 1로 총괄적으로 표시되는 물 분배용 혼합 수전(mixing tab)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혼합 수전(1)은 조리대(101)의 장착용 개구부부(100)에 수전 몸체(2)를 끼워 맞추기 위한 장착 단부(3)를 갖는 수전 몸체(tap body)(2), 주둥이(spout)(32), 및 물을 분배하기 위한 분배 단부(4)를 포함한다. 도 3은 수전 몸체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장착 단부(3)는 장착용 개구부부(100)에 배치되어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마운팅 부시(mounting bush)(30)를 갖는다. 조리대(101)의 하부에는 상응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마운팅 링(31)이 마운팅 부시(30) 상에 장착되어 수전 몸체(2)를 조리대(101)에 고정한다.
상기 주둥이(32)는 상기 분배 단부(4)가 조리대(101)에 배치되어 있는 싱크대(102) 위에 위치하도록 곡선 형태를 갖는다.
수전 몸체(2)에는 혼합 장치(5)가 배치된다. 상기 혼합 장치(5)는 냉수용의 제1 유입구(6), 온수용의 제2 유입구(7), 및 혼합수를 분배하기 위한 배출구(8)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 장치(5)는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 메커니즘(5a)(도 3 참조)을 포함한다. 배출구(8)에서 혼합 장치(5)에 의해 분배되는 수류의 유량 및 냉수와 온수 사이의 비율은 작동 부재(9)에 의해 조절 가능하다. 이 작동 부재(9)를 사용하여, 냉수와 온수 사이의 임의의 희망하는 비율이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혼합수가 냉수만 또는 온수만 함유하도록 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상기 혼합 장치의 제1 유입구(6)는 냉수 도관(110)에 연결되고, 제2 유입구(7)는 온수 도관(120)에 연결된다.
배출구(8)는 루프 부분(11), 밸러스트 부재(15) 및 주둥이 부분(12)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가요성(flexible)의 호스(10)에 연결된다(도 3 참조). 루프 부분(11)과 주둥이 부분(12)은 호스를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유연하게 만들기 위하여, 예컨대, 가요성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루프 부분(11)의 단부는 배출구(8)에 연결된다. 주둥이 부분(12)은 수전 몸체(2)에 끼워 맞추기 위한 장착 단부(3)로부터 주둥이(32)의 분배 단부(4)로 연장되는 수용 덕트(13)를 통해 이어진다. 노즐(14)이 주둥이(32)의 분배 단부(4)에 제공되어 호스(10)에 고정되도록 연결된다.
호스(10)의 주둥이 부분(12)과 그것에 연결된 노즐(14)은 정상 위치(normal position)와 인출 위치(pulled-out position) 사이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특히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 덕트(13) 내에 수용된다. 도 1은 정상 위치에 있는 주둥이 부분(12)과 노즐(14)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 위치에서 노즐(14)은 대부분 주둥이(32) 안으로 인입되어 있다.
도 2는 인출 위치에서의 호스(10)와 노즐(14)을 나타내고 있다. 호스(10)와 노즐(14)은 그 노즐(14) 상에서 수동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정상 위치에서 인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노즐(14)에는 돌출된 부분(14a)이 제공되며, 이것에 의하여 그 노즐(14)은 주둥이(32)의 바깥으로 손쉽게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가 있다.
루프 부분(11)과 주둥이 부분(12) 사이에는 밸러스트 부재(ballast element)(15)가 제공된다. 상기 밸러스트 부재(15)는 주둥이 부분(12)에 하향하는 힘을을 가하기 위해 제공되는 비교적 무거운 요소이다. 이러한 하향하는 힘의 인가에 의해 호스(10)와 노즐(14)이 정상 위치로 인입된다. 이러한 하향하는 힘은 노즐(14)과 함께 호스(10)를 정상 위치로 자동으로 잡아당기기에 충분할 수도 있거나, 아니면 노즐(14)을 주둥이(32) 안으로 상향으로 밀어줄 때 그 호스(10)와 노즐(14)을 정상 위치로 이동시키는 데에 도움을 준다.
상기 혼합 수전(1)은 물을 분배하는 시스템의 일부이다. 상기 시스템은 매우 뜨거운 또는 끓는 물, 즉 95℃ 이상의 온도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끓는 물 공급장치(50)를 더 구비하고 있다. 끓는 물을 분배하기 위한 이러한 끓는 물 공급장치(50)는 본질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끓는 물 공급장치(50)는 100℃를 넘는 온도에서 가압 상태로 물을 유지하기 위한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는 배출구(51)를 포함하는데, 이것을 통해 물은 필요 시 급수관(52)에 분배될 수도 있다. 상기 용기는 끓는 물이 분배될 때 새로운 물로 그 용기를 채우도록 냉수 도관(110)에 연결되어 있다.
혼합 수전(1)은 노즐(14)을 통해 끓는 물을 분배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밸러스트 부재(15)에는 연결부(16)가 제공되며, 이것에 의해 급수관(52)이 호스(10)에 연결될 수 있다.
루프 부분(11) 및 주둥이 부분(12)은 혼합 장치(5)의 배출구(8)에 연결된 유입 단부와, 노즐(14)에 연결되는 배출 단부를 갖는 제1 수관(17)을 형성하여(도 3 참조), 상기 루프 부분(11) 및 주둥이 부분(12)을 통해 혼합 장치(5)로부터 노즐(14)로 혼합수를 통과시키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주둥이 부분(12)은 밸러스트 부재(15)를 통해 연결부(16)에 연결되는 유입 단부와, 노즐(14)에 연결되는 배출 단부를 갖는 제2 수관(18)을 더 포함하여, 급수관(52)으로부터 노즐(14)로 매우 고온의 또는 끓는 물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수관(17)은 루프 부분(11)과 주둥이 부분(12)을 관통해 연장되고, 제2 수관(18)은 주둥이 부분(12)만을 관통해 연장된다. 주둥이 부분(12)에서는, 제1 수관(17) 및 제2 수관(18)은 서로에 대해 동심원 형태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관(18)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수관(17)은 그 원형 단면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노즐(14)에는 공통의 에어레이터(aerator)가 제공되는바, 여기서 제2 수관(18)은 원형의 배출 개구부(19b)에서 종결되고, 제1 수관(17)은 그것을 에워싸는 링 형상의 배출 개구부(19a)에서 종결된다. 상기한 제1 및 제2 수관 및 관련되는 배출 개구부들에 대하여 임의의 다른 적절한 구성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끓는 물을 분배하기 위한 끓는 물 공급장치(5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전기 작동 부재(20)가 수전 몸체(2) 상에 제공된다. 상기 작동 부재(20)는 전기 작동 연결부(53)에 의하여 끓는 물 공급장치(50)의 밸브(미 도시)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작동 부재(20)를 아래쪽으로 밀어서 그리고/또는 그것을 돌림으로써, 끓는 물 공급장치(50)가 작동되어 급수관(52)을 통해 끓는 물을 분배할 수가 있다.
도 4는 밸러스트 부재(15)의 단면을 도시한다. 예를 들어, 금속으로 제조되는 밸러스트 덩어리(22)가 밸러스트 부재(15)의 하우징(21) 내에 제공됨으로써 호스(10)에 대해 하향의 힘을 가하기 위하여 원하는 질량을 밸러스트 부재(15)에 제공한다.
도 4는 루프 부분(11) 및 주둥이 부분(12)이 밸러스트 부재(15)에서 연장되는 것과 동일한 수직 방향으로 급수관(52)이 연결부(16)에 어떻게 부착되는지를 보여준다. 이것은 연결부(16) 및 그것에 부착된 급수관(52)의 존재로 인하여 루프 부분(11) 및 밸러스트 부재(15)의 움직임을 저지할 위험성을 현저하게 줄여준다.
또한, 밸러스트 부재(15)는, 주둥이 부분(12)에서는 끓는 물이 제2 수관(18)에서 중심으로 흐르고 또한 혼합수는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동심원의 제1 수관(17)에서 흐르도록 하는 방식으로, 루프 부분(11)에서 제1 수관(17)으로부터 혼합수가 그리고 급수관(52)으로부터 끓는 물이 흐르게 하도록 구성된다.
도 5는 수전 몸체(2)의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전성 재료로 제조된 링(23)이 호스(10)의 주둥이 부분(12) 주위에 장착된다. 이 링(23)은 제어장치(25)에 장착되는 센서(24)에 의하여 검출 가능하다. 상기 센서(24)는 전자기장을 통해 도전성 링(23)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25)는, 끓는 물이 분배되게 하기 위해 작동 부재(20)가 동작 중일 때, 작동 연결부(53)를 통해 끓는 물 공급장치(50)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어장치(25)는 센서(24)로부터 끓는 물 공급장치(50)로 상기 신호를 전송한다.
도 5에서, 호스(10), 특히 그것의 주둥이 부분(12)은 정상 위치에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주둥이 부분(12)이 인출 위치로 이동될 때, 링(23) 및 주둥이 부분(12)은 수용 덕트(13)를 통해 위쪽으로 이동할 것이고, 또는 다른 방식으로는, 센서(24)에 의해 검출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센서(24)에 의하여, 호스(10)가 정상 위치 또는 인출 위치에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즐(14)은 손으로 주둥이(32) 바깥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노즐이 정상 위치에 있지 않을 때 끓는 물이 분배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센서(24)에 의한 호스(10)의 위치 결정이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장치(25)는, 센서(24)가 링(23)이 도 5에 도시된 위치, 즉 정상 위치에 있다는 것을 검출하였을 경우, 예를 들어, 작동 부재(20)가 동작 중일 때, 작동 연결부(53)를 통해 끓는 물 공급장치(50)에 동작 신호를 단지 전송할 것이다.
주둥이(32)에 대한 호스(10)의 위치를 결정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위치 센서를 활용하여 상기 호스(10) 및 노즐(14)이 정상 위치에 존재할 경우에만 끓는 물을 분배하도록 할 수도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시된 실시 예에서, 인출형 노즐을 갖는 혼합 수전은 끓는 물을 분배하기 위한 끓는 물 공급장치(50)와 결합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인출형 노즐을 갖는 혼합 수전은, 바람직하게는, 여과된 냉각수 또는 냉수 및/또는 탄산수를 갖는 물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 상기한 물 공급원은 끓는 물 공급장치(50)가 연결부(16)에 연결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혼합 수전에 연결될 수도 있다.

Claims (16)

  1. 장착용 개구부 내에 또는 그 위에 수전 몸체를 끼워 맞추어 장착하기 위한 장착 단부를 갖는 수전 몸체,
    상기 수전 몸체 내에 또는 그 위에 장착되고 분배 단부가 제공되는 주둥이(spout),
    상기 수전 몸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냉수용의 제1 유입구, 온수용의 제2 유입구 및 혼합수용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혼합 장치(mixing device),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가요성의 호스(hose)로서, 유입 단부와 배출 단부를 갖는 제1 수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 단부는 배출구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배출 단부는 상기 혼합수를 분배하기 위한 상기 주둥이의 분배 단부 근방에 제공되는 노즐에서 종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상기 호스를 포함하되,
    상기 혼합 수전은 상기 호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장착 단부로부터 분배 단부로 연장되는 수용 덕트(accommodation duct)를 구비하며,
    상기 노즐을 갖는 호스는, 상기 호스가 상기 분배 단부에 대해 돌출하는 인출 위치(pulled-out position)와, 상기 호스가 상기 분배 단부에 대해 돌출하지 않거나 더 작은 정도로 돌출하는 정상 위치(normal position) 사이에서 상기 주둥이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인 물 분배용 혼합 수전(mixing tap)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제2 유입 단부와 제2 배출 단부를 갖는 제2 수관을 가지되, 상기 제2 유입 단부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배출 단부는 상기 노즐에서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수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에는 노즐과 함께 호스를 정상 위치로 잡아당기고 그리고/또는 노즐과 함께 호스를 정상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밸러스트 부재가 제공되는 것인 혼합 수전.
  3. 제2항에 있어서,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가 상기 밸러스트 부재에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되는 것인 혼합 수전.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루프 부분과 주둥이 부분을 갖되, 상기 주둥이 부분은 상기 수용 덕트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연장되고 상기 노즐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루프 부분은 상기 혼합 장치의 배출구에 연결되는 것인 혼합 수전.
  5. 제2항 및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러스트 부재는 상기 루프 부분과 상기 호스의 주둥이 부분 사이에 제공되는 것인 혼합 수전.
  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호스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호스의 위치에서 제공되며, 상기 연결부는 대체로 동일한 방향으로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급수관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혼합 수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은 상기 혼합 수전의 장착된 위치에서 대체로 직각을 이루는 것인 혼합 수전.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에서의 상기 제1 수관 및 제2 수관은 서로에 대해 동심원 형태로 연장되는 것인 혼합 수전.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전은 상기 주둥이에 대해 호스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혼합 수전.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전은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물의 분배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 부재를 포함하는 것인 혼합 수전.
  1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전기적 동작 신호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혼합 수전.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는 수전 몸체 주위에서 연장되는 작동 링(operating ring)인 것인 혼합 수전.
  13.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수전은 호스가 정상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혼합 수전.
  1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원은 매우 고온의 온수 또는 끓는 물을 분배하기 위한 장치인 것인 혼합 수전.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원은 냉수 및/또는 냉각수를 분배하기 위한 장치로서, 여기서 상기 냉수 및/또는 냉각수는, 바람직하게는, 여과된 냉수 및/또는 냉각수인 것인 혼합 수전.
  1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혼합 수전,
    추가적 종류의 물을 분배하기 위한 물 공급원, 및
    상기 물 공급원으로부터 나오는, 상기 혼합 수전의 연결부에 연결되거나 연결되도록 의도되는 급수관을 포함하는 물 분배 시스템.
KR1020187021412A 2016-01-11 2017-01-11 물 분배용 혼합 수전 KR102551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22219A KR20230107391A (ko) 2016-01-11 2017-01-11 물 분배용 혼합 수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6083A NL2016083B1 (nl) 2016-01-11 2016-01-11 Mengkraan voor het afgeven van water.
NL2016083 2016-01-11
PCT/NL2017/050012 WO2017123087A1 (en) 2016-01-11 2017-01-11 Mixing tap for dispensing wat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219A Division KR20230107391A (ko) 2016-01-11 2017-01-11 물 분배용 혼합 수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590A true KR20180100590A (ko) 2018-09-11
KR102551628B1 KR102551628B1 (ko) 2023-07-06

Family

ID=560843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219A KR20230107391A (ko) 2016-01-11 2017-01-11 물 분배용 혼합 수전
KR1020187021412A KR102551628B1 (ko) 2016-01-11 2017-01-11 물 분배용 혼합 수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2219A KR20230107391A (ko) 2016-01-11 2017-01-11 물 분배용 혼합 수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098809B1 (ko)
EP (2) EP4234823A3 (ko)
JP (2) JP7161759B2 (ko)
KR (2) KR20230107391A (ko)
CN (1) CN108699820A (ko)
AU (2) AU2017206513B2 (ko)
NL (1) NL2016083B1 (ko)
TW (2) TWI829588B (ko)
WO (1) WO2017123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760533A (en) 2017-07-07 2023-01-27 Emerson Electric Co Integrated mixed tap water and conditioned water faucet assembly with pull out sprayer head
CN108730563B (zh) * 2018-07-30 2024-04-19 路达(厦门)工业有限公司 一种抽取式龙头
DE102018007226A1 (de) * 2018-09-13 2020-03-19 Grohe Ag Auslauf für eine Wasserarmatur
CN109139971B (zh) * 2018-10-29 2023-11-21 浙江康意洁具有限公司 一种组合双出水厨房龙头装置
CA3065660C (en) * 2019-09-30 2023-09-26 Delta Faucet Company Faucet handle with angled interface
DE202020105935U1 (de) * 2020-10-16 2022-01-18 Neoperl Gmbh Verwendung eines Schlauchs zur fluidischen Verbindung eines Auslaufstücks mit einem Ventil an einer Sanitärarmatur, fluidische Anordnung und korrespondierende Sanitärarmatur
DE102021106075A1 (de) * 2021-03-12 2022-09-15 Grohe Ag Wasserarmaturanordnung für verschiedene Strahlbilder
DE102021119299A1 (de) * 2021-07-26 2023-01-26 Kwc Group Ag Wasserauslaufarmatur mit Handbrause
USD1026175S1 (en) 2023-02-02 2024-05-07 InSinkErator LLC Faucet bas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956A (ko) * 2002-07-16 2005-04-20 코울러캄파니 풀아웃형 수도꼭지
US20070235091A1 (en) * 2006-04-06 2007-10-11 Yoav Granot Water tap assembly having a pull-out water-discharge head
WO2010130200A1 (en) * 2009-05-12 2010-11-18 Global Dragon Industries Co., Ltd Tap arrangement
JP2012067486A (ja) * 2010-09-22 2012-04-05 Toto Ltd 給水装置
US20140069520A1 (en) * 2012-07-27 2014-03-13 Kohler Co. Magnetic docking faucet
JP2015514891A (ja) * 2012-04-24 2015-05-21 ヘンリ ペテリ ベヘール ベー.フェー. 蛇口、および沸騰水装置とこのような蛇口とを備える組立体
US20150368888A1 (en) * 2014-06-20 2015-12-24 Zai Jun Song Intelligent control faucet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9001631A (nl) * 1990-07-18 1992-02-17 Henri Bernard Peteri En Niels Toestel voor het leveren van kokend water.
DE19527232A1 (de) * 1995-07-26 1997-01-30 Grohe Armaturen Friedrich Auslaufarmatur
IL123348A (en) * 1998-02-18 2003-07-06 Yoav Granot Water tap construction
DE10005946A1 (de) * 2000-02-09 2001-08-16 Grohe Armaturen Friedrich Wasserlauslaufventilanordnung
CN201373575Y (zh) * 2009-02-04 2009-12-30 何堂光 一种可控制水加热器进水的水龙头
CA2844027C (en) * 2011-08-10 2019-08-27 Eran Ben-Dor Multiple axis handle and mechanism
CN103732961B (zh) * 2011-08-24 2018-05-11 As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无工具分体龙头组件、成套用具和方法
GB2499226B (en) * 2012-02-09 2015-05-27 Marco Paini Tap with pull-out shower
EP2636804B1 (en) * 2012-03-05 2015-02-18 Fabrizio Nobili Spray head for kitchen or bathroom
CA2866674C (en) * 2012-03-07 2019-04-30 Moen Incorporated Electronic plumbing fixture fitting
NL2008698C2 (nl) * 2012-04-24 2013-10-28 Henri Peteri Beheer Bv Afgifteinrichting voor water.
US9181685B2 (en) * 2012-07-27 2015-11-10 Kohler Co. Magnetic docking faucet
US20140290775A1 (en) * 2013-04-01 2014-10-02 Emerson Electric Co. Hot water dispenser faucet with thermal barrier
CN203757167U (zh) * 2014-02-12 2014-08-06 宁波奥雷士洁具有限公司 花洒可移动的厨房水龙头
TWM484036U (zh) * 2014-03-21 2014-08-11 ming-xuan Lin 感應式水龍頭
CN204573203U (zh) * 2015-01-27 2015-08-19 厦门天楚工贸有限公司 一种多功能水龙头
CN204704428U (zh) * 2015-04-18 2015-10-14 厦门建霖工业有限公司 一种双出水龙头
DE102015005098A1 (de) * 2015-04-22 2016-10-27 Grohe Ag Sanitärarmatur für zumindest zwei Fluide
AU2016335890A1 (en) * 2015-10-08 2018-05-24 As Ip Holdco, Llc Integrated faucet filtr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956A (ko) * 2002-07-16 2005-04-20 코울러캄파니 풀아웃형 수도꼭지
US20070235091A1 (en) * 2006-04-06 2007-10-11 Yoav Granot Water tap assembly having a pull-out water-discharge head
WO2010130200A1 (en) * 2009-05-12 2010-11-18 Global Dragon Industries Co., Ltd Tap arrangement
JP2012067486A (ja) * 2010-09-22 2012-04-05 Toto Ltd 給水装置
JP2015514891A (ja) * 2012-04-24 2015-05-21 ヘンリ ペテリ ベヘール ベー.フェー. 蛇口、および沸騰水装置とこのような蛇口とを備える組立体
US20140069520A1 (en) * 2012-07-27 2014-03-13 Kohler Co. Magnetic docking faucet
US20150368888A1 (en) * 2014-06-20 2015-12-24 Zai Jun Song Intelligent control fauc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2930A1 (en) 2018-11-21
TW201730464A (zh) 2017-09-01
JP7410591B2 (ja) 2024-01-10
AU2017206513A1 (en) 2018-08-02
JP2022176368A (ja) 2022-11-25
AU2017206513B2 (en) 2022-07-07
AU2022246419A1 (en) 2022-11-03
TWI829588B (zh) 2024-01-11
KR20230107391A (ko) 2023-07-14
EP4234823A2 (en) 2023-08-30
EP4234823A3 (en) 2023-11-29
TWI803453B (zh) 2023-06-01
WO2017123087A1 (en) 2017-07-20
KR102551628B1 (ko) 2023-07-06
JP2019503445A (ja) 2019-02-07
US11098809B1 (en) 2021-08-24
NL2016083B1 (nl) 2017-07-24
JP7161759B2 (ja) 2022-10-27
CN108699820A (zh) 2018-10-23
EP3402930B1 (en) 2023-06-07
TW202338186A (zh) 2023-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0590A (ko) 물 분배용 혼합 수전
US10501915B2 (en) Plumbing fixture with user interface
EP3649298B1 (en) Integrated mixed tap water and conditioned water faucet assembly with pull out sprayer head
US20240158218A1 (en) Fluidic outflow unit and associated uses
JPH10338951A (ja) 水栓装置
US8939175B2 (en) Fluid delivery systems
CN100422609C (zh) 卫生工程用阀门
GB2100841A (en) Water tap
US20230212843A1 (en) A fastener for a sanitary faucet, a sanitary faucet having a fastener and a method for securing a sanitary faucet to a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