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765A - 정보 입력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입력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765A
KR20180099765A KR1020187021391A KR20187021391A KR20180099765A KR 20180099765 A KR20180099765 A KR 20180099765A KR 1020187021391 A KR1020187021391 A KR 1020187021391A KR 20187021391 A KR20187021391 A KR 20187021391A KR 20180099765 A KR20180099765 A KR 20180099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formation
input terminal
main
re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666B1 (ko
Inventor
시 왕
디안 판
다오쿠안 리우
쩡시앙 뤼
시아오인 리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80099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2Brokering proxy services
    • H04L67/2809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06F9/543User-generated data transfer, e.g. clipboards, dynamic data exchange [DDE], object linking and embedding [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컴퓨터 응용 기술 분야에 속한다. 당해 방법은, 메인 입력 단말과 중계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고, 메인 입력 단말로 하여금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여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유저로 하여금, 메인 입력 단말의 스크린의 크기 또는 입력 방식에 따라 빠르게 입력할 수 없는 경우, 기타의 빠른 입력이 편리한 보조 입력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하여,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한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자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메인 입력 단말에 대한 입력을 간소화하여 정보 입력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었다.

Description

정보 입력 방법 및 장치
본원 발명은, 출원 번호가 CN201510992593.9이고, 출원일자가 2015 년 12 월 24 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초로 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당해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응용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 및 전자 기술의 발전에 더불어, 휴대하기 편리한 모바일 단말은 이미 사람들의 생활에서 필수적인 도구의 하나가 되었다. 모바일 단말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자주 정보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관련 기술에서, 유저는 모바일 단말에 입력할 필요가 있으면 모바일 단말의 스크린 상에서 입력하려고 하는 위치를 클릭한다. 그러면, 모바일 단말은 입력 접수 상태에 진입되는 동시에, 버추얼 키보드를 포함하는 입력 화면을 표시시킨다. 유저는 상기 버추얼 키보드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모바일 단말의 스크린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작으므로, 버추얼 키보드의 사이즈가 한정되어 유저의 입력 효율이 낮아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보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 1 양태에 따르면, 정보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중계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는 단계;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는,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 것이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방법은,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에 보존하는 단계;
그 후에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보존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에 보존하는 단계는,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클립보드 내에 보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그 후에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보존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는,
그 후에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클립보드내에 입력 대기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프롬프트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프롬프트 정보에 따라 수행한 클립보드 내의 정보를 붙여 넣는 조작을 수신하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방법은,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하기 전에 제1 계정을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제1 계정은 제2 계정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2 계정과 바인딩되어 있으며, 제2 계정은 보조 입력 단말이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 계정이다.
옵션으로서,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
중계 디바이스가 답장한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입력 지시는, 보조 입력 단말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 화면에서 입력한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 2 양태에 따르면,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중계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는 접속 구축 모듈;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 모듈;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입력 모듈
을 구비한다.
옵션으로서,
입력 모듈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서브 모듈;
판단 서브 모듈의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 것이면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제1 입력 서브 모듈;
을 구비한다.
옵션으로서,
입력 모듈은,
판단 서브 모듈의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에 보존하는 보존 서브 모듈;
그 후에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보존 서브 모듈이 보존한 입력 대기 정보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제2 입력 서브 모듈
을 더 구비한다.
옵션으로서,
보존 서브 모듈은,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클립보드 내에 보존하고,
제2 입력 서브 모듈은, 그후에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클립보드내에 입력 대기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프롬프트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고, 프롬프트 정보에 따라 수행한 클립보드 내의 정보를 붙여 넣는 조작을 수신하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한다.
옵션으로서,
장치는,
정보 취득 모듈이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하기 전에 제1 계정을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모듈을
더 구비하고,
제1 계정은 제2 계정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2 계정과 바인딩되어 있으며, 제2 계정은 보조 입력 단말이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 계정이다.
옵션으로서,
정보 취득 모듈은,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 지시를 송신하는 지시 송신 서브 모듈;
중계 디바이스가 답장한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서브 모듈;
을 구비하며,
입력 지시는, 보조 입력 단말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 화면에서 입력한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제 3 양태에 따르면,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
을 구비하며,
프로세서는,
중계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고,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하고,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구성의 유익한 효과는 아래와 같다.
메인 입력 단말과 중계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고, 메인 입력 단말로 하여금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여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유저가, 메인 입력 단말의 스크린의 크기 또는 입력 방식으로 인해 빠르게 입력할 수 없는 경우, 다른 빠른 입력이 편리한 보조 입력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한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자동적으로 추가할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메인 입력 단말에 대한 입력을 간소화하여 정보 입력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었다.
이상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세부사항은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의 도면은, 명세서에 합병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바,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당해 도면들은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분석하는데 이용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실시 환경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는, 예시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 도면에는 설명중의 예를 나타낸다. 다음의 설명 중에서, 도면을 설명할 때 특별한 설명이 없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 중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의미한다.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실시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든 실시 방법을 대표하지 않는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상세하게 기술된 본 발명의 여러 양태와 매칭한 장치 및 방법의 예에 불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실시 환경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 실시 환경은, 메인 입력 단말 (101), 보조 입력 단말 (102) 및 중계 디바이스 (103)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입력 단말(101)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TV, 차재 단말 등과 같은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101)에는, 문자 입력 기능과 같은 정보 입력 기능을 가지는 APP가 인스톨되어 있다.
보조 입력 단말(102)은,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PC 및 태블렛 PC 등과 같은 디바이스일 수 있다.
메인 입력 단말(101)은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중계 디바이스(103)에 접속되고 있다. 보조 입력 단말(102)은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중계 디바이스(103)에 접속되고 있다.
중계 디바이스(103)는 서버, LAN의 호스트 컴퓨터, 복수개의 서버로 구성된 서버 클러스터 등일 수 있다.
이하, 도 1에 나타낸 실시 환경을 예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기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실시 환경의 메인 입력 단말 (101)에 이용된다. 상기 정보 입력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수 있다.
단계 201에 있어서, 중계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한다.
단계 202에 있어서,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한다.
단계 203에 있어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제공하는 정보 입력 방법에 의하면 메인 입력 단말과 중계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고, 메인 입력 단말로 하여금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여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유저가, 메인 입력 단말의 스크린의 크기 또는 입력 방식으로 인해 빠르게 입력할 수 없는 경우, 다른 빠른 입력이 편리한 보조 입력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한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자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메인 입력 단말에 대한 입력을 간소화하여 정보 입력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었다.
도 3은,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기 방법을 도 1에 나타낸 실시 환경 중에 응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301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 및 보조 입력 단말이 각각 중계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한다.
메인 입력 단말 및 보조 입력 단말은 각각 유선 네트워크,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중계 디바이스와 접속을 구축할 수 있다.
단계 302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제1 계정을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다.
단계 303에 있어서, 보조 입력 단말이 제2 계정을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다.
여기서, 제1 계정과 제2 계정은 동일한 계정이거나, 또는, 사전에 서로 바인딩된 계정일 수 있다.
옵션으로서, 제1 계정 및 제2 계정은 유저명, E-mail 주소 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사전에, 메인 입력 단말 및 보조 입력 단말에 각각 대응되는 특정의 APP(Application)를 다운로드하여 인스톨할 수 있다.
일 예에 있어서, 유저는 메인 입력 단말 및 보조 입력 단말의 특정의 APP를 각각 기동시켜, 동일한 계정을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다. 중계 디바이스는 메인 입력 단말과 보조 입력 단말의 로그인 계정이 동일한 것을 검출한 후, 메인 입력 단말과 보조 입력 단말 사이의 대응 관계를 구축한다.
혹은, 다른 일 예에 있어서, 유저는 사전에 메인 입력 단말, 또는, 보조 입력 단말을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하여, 서로 다른 두 계정을 바인딩할 수 있다. 계속하여, 유저는 메인 입력 단말 및 보조 입력 단말 내의 특정의 APP를 기동시켜, 계정 Adam1 및 계정 Adam2를 각각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다. 중계 디바이스는 Adam1 및 Adam2가 서로 바인딩된 두 계정인 것을 확정한 후, 메인 입력 단말과 보조 입력 단말 사이의 대응 관계를 구축한다.
단계 304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한다.
메인 입력 단말 및 보조 입력 단말이 함께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되고 있는 상태에서, 메인 입력 단말이 유저가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한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메인 입력 단말은,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할 때 캐릭터를 단위로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보조 입력 단말로 하나의 캐릭터를 입력할 때마다, 보조 입력 단말이 상기 캐릭터를 중계 디바이스로 실시간으로 송신하면, 메인 입력 단말은 상기 캐릭터를 즉시 취득할 수 있다. 이에 대응되게, 이미 입력한 캐릭터를 삭제할 때, 유저가 보조 입력 단말에서 하나의 캐릭터를 삭제할 때마다, 보조 입력 단말이 관련된 삭제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하면, 메인 입력 단말은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삭제 정보를 취득한 후, 이미 취득한 캐릭터를 삭제한다. 여기서, 삭제 정보는, 삭제된 캐릭터를 지시하는 지시 정보일 수 있다. 메인 입력 단말은, 상기 지시 정보에 기반하여 이미 취득한 캐릭터 중에서 상기의 삭제된 캐릭터를 삭제한다. 혹은, 삭제 정보에는 하나의 캐릭터를 삭제한 후의 나머지의 캐릭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입력 단말은 이미 취득한 캐릭터를 삭제 정보에 포함된 하나의 캐릭터를 삭제한 후의 나머지의 캐릭터로 대체할 수 있다.
혹은, 메인 입력 단말은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할 때, 구절을 단위로 취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보조 입력 단말로 일련의 캐릭터를 입력한 후, 특정의 버튼(예를 들면, 보존 버튼)을 클릭했을 경우, 보조 입력 단말이 이러한 일련의 캐릭터를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메인 입력 단말은 이 일련의 캐릭터를 한번에 취득할 수 있다.
단계 305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Yes이면 단계 306을 수행하고, No이면 단계 307 및 단계 308을 수행한다.
단계 306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한다.
입력 위치란 메인 입력 단말로 정보를 추가하는 위치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입력 위치는 메인 입력 단말의 커서가 점멸되고 있는 위치일 수도 있고, 메인 입력 단말에서 활성화 상태에 있는 입력 박스일 수도 있다.
단계 307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에 보존한다.
단계 308에 있어서, 그 후에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메인 입력 단말이 보존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한다.
옵션으로서, 메인 입력 단말은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한 후,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으면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캐쉬하며, 그 후에 입력 접수 상태로 되었을 때 캐쉬한 입력 대기 정보를 해당되는 입력 위치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입력 단말이 스마트 휴대 전화이고, 보조 입력 단말이 PC이며, 중계 디바이스가 서버인 예를 들면, 유저가 스마트 휴대 전화 및 PC에 각각 서로 대응되는 버전이 있는 APP를 인스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PP는 서버에 대응되는 APP이다. 유저가 동일한 계정을 사용하여 스마트 휴대 전화 및 PC 내의 APP의 로그인 화면에서 각각 로그인한다. 이 경우, 서버에 의해 스마트 휴대 전화 및 PC에 각각 대응되는 로그인 계정이 동일한 것이 검출되면, 스마트 휴대 전화와 PC 사이의 대응 관계를 구축한다. 유저가 PC내의 APP에 로그인한 후에, 상기 APP의 화면에 하나의 입력 박스를 표시하여, 유저가 상기 입력 박스 내에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PC는 유저가 하나의 캐릭터를 입력할 때마다 서버로 상기 캐릭터를 송신한다. 스마트 휴대 전화는 상기 캐릭터를 취득한 후, 현재 입력 접수 상태에 있으면, 취득한 캐릭터를 입력 위치에 추가하고, 현재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으면 수신한 캐릭터를 캐쉬하여, 그 후에 입력 접수 상태가 되었을 때 캐쉬한 모든 캐릭터를 입력 위치에 한번에 추가한다. PC는 유저가 하나의 캐릭터를 삭제하면 대응되는 삭제 정보를 서버로 송신한다. 스마트 휴대 전화는, 서버로부터 삭제 정보를 취득한 후, 입력 위치 또는 캐쉬한 캐릭터 중에서 상기 삭제 정보에 대응되는 캐릭터를 삭제한다.
혹은, PC는 유저가 PC로 일련의 캐릭터를 입력하여 보존 버튼을 클릭한 후, 이 일련의 캐릭터를 서버로 송신한다. 스마트 휴대 전화는 서버로부터 일련의 캐릭터를 취득한 후, 상기의 일련의 캐릭터를 입력 위치에 추가하거나 캐쉬한다. PC는 유저가 이미 보존한 일련의 캐릭터를 변경(예를 들면, 캐릭터의 추가, 또는, 캐릭터의 삭제)한 후에 보존 버튼을 클릭하면 변경 후의 일련의 캐릭터를 서버로 송신한다. 스마트 휴대 전화는, 서버로부터 변경 후의 일련의 캐릭터를 취득한 후, 상기의 변경 후의 일련의 캐릭터를 사용하고, 입력 위치 또는 캐쉬된 캐릭터를 대체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제공하는 정보 입력 방법에 의하면 메인 입력 단말과 중계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고, 메인 입력 단말로 하여금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여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유저가, 메인 입력 단말의 스크린의 크기 또는 입력 방식으로 인해 빠르게 입력할 수 없는 경우, 다른 빠른 입력이 편리한 보조 입력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한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자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메인 입력 단말에 대한 입력을 간소화하여 정보 입력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었다.
도 4는, 예시적인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상기 방법을 도 1에 나타낸 실시 환경에 응용하는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01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 및 보조 입력 단말이 각각 중계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한다.
단계 402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제1 계정을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다.
단계 403에 있어서, 보조 입력 단말이 제2 계정을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다. 여기서, 제1 계정은 제2 계정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2 계정과 바인딩되어 있다.
메인 입력 단말 및 보조 입력 단말의 로그인 과정은, 상기의 도 3의 실시 예의 단계 301 내지 단계 303을 참조하면 되는 바, 여기에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404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 지시를 송신한다.
이에 대해, 보조 입력 단말은 메인 입력 단말이 중계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송신한 입력 지시를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메인 입력 단말은 입력 접수 상태로 될 때, 상기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 지시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메인 입력 단말에서 입력 박스 등의 입력 위치를 클릭할 때, 메인 입력 단말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은 입력 초점 요구를 수신하게 되며, 그 후 메인 입력 단말은 입력 접수 상태에 진입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메인 입력 단말은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 지시를 송신한다.
단계 405에 있어서, 보조 입력 단말이 상기 입력 지시에 따라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상기 입력 화면은, 보조 입력 단말에 인스톨된 특정의 APP에 표시된 입력 가능한 화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특정 APP의 어느 화면 내에 표시된 입력 박스일 수 있다.
단계 406에 있어서, 보조 입력 단말이 입력 화면에서 입력한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407에 있어서, 보조 입력 단말이 입력 화면에서 입력한 정보를 입력 대기 정보로서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다.
단계 408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중계 디바이스가 답장한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406 내지 단계 408에서 메인 입력 단말이 보조 입력 단말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하는 과정은, 상기의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단계 304의 기재를 참조할 수 있는 바, 여기에서는 반복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
단계 409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Yes이면 단계 410을 수행하고, No이면 단계 411 내지 단계 413을 수행한다.
단계 410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한다.
단계 411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대기 정보를 클립보드 내에 보존한다.
여기서, 클립보드의 정보 용량 및 정보 수량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클립보드는 최근에 취득한 하나의 입력 대기 정보만을 보존할 수도 있고, 복수의 입력 대기 정보를 보존할 수도 있다.
옵션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낸 구성에서, 실제의 응용의 필요에 따라, 메인 입력 단말의 클립보드가 취득하여 보존하는 입력 대기 정보의 수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입력 단말의 클립보드가 취득하여 캐쉬하는 입력 대기 정보의 수량을 10개로 한정할 수 있다. 본 단계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실현될 수 있는 케이스를 해석하기 위한 것인 바, 보호하려고 하는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단계 412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그후에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클립보드내에 입력 대기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프롬프트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드롭 다운 박스를 표시하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입력 단말에서, 단계 411에서 클립보드 내에 보존한 모든 입력 대기 정보가 포함된 드롭 다운 박스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클립보드에 세 개의 입력 대기 정보가 보존되고 있으며, 각각 M1, M2 및 M3일 경우, 드롭 다운 박스 내에 M1, M2 및 M3과 같은 세 개의 정보의 내용을 표시한다. 여기서, 드롭 다운 박스에는, 클립보드 내에 보존한 각 입력 대기 정보의 모든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고, 입력 대기 정보의 내용이 너무 많으면 상기의 입력 대기 정보의 일부의 내용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의 10개의 캐릭터만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은, 윈도우 표시 등과 같은 기타의 방법을 포함할 수도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 클립보드 내에 보존하는 입력 대기 정보를, 필요에 따라 1회 사용한 후 클립보드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입력 대기 정보를 유지하려고 할 경우, 입력 대기 정보를 록킹할 수 있다. 록킹한 후의 입력 대기 정보는 여러 차례 사용될 수 있다. 이 후에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면, 상기의 록킹된 입력 대기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단계 413에 있어서, 메인 입력 단말이 프롬프트 정보에 따라 수행한 클립보드 내의 정보를 붙여 넣는 조작을 수신하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제공하는 정보 입력 방법에 의하면 메인 입력 단말과 중계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고, 메인 입력 단말로 하여금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여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유저가, 메인 입력 단말의 스크린의 크기 또는 입력 방식으로 인해 빠르게 입력할 수 없는 경우, 다른 빠른 입력이 편리한 보조 입력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한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자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메인 입력 단말에 대한 입력을 간소화하여 정보 입력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었다.
도 5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상기의 도 1에 나타낸 실시 환경 중의 메인 입력 단말을 실현할 수도 있고,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임의의 실시예의 메인 입력 단말이 수행하는 전부 혹은 일부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접속 구축 모듈(501), 정보 취득 모듈(502) 및 입력 모듈(503)을 구비한다.
접속 구축 모듈(501)은, 중계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한다.
정보 취득 모듈(502)은,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한다.
입력 모듈(503)은, 정보 취득 모듈(502)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제공하는 정보 입력 장치, 메인 입력 단말과 중계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고, 메인 입력 단말로 하여금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여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유저가, 메인 입력 단말의 스크린의 크기 또는 입력 방식으로 인해 빠르게 입력할 수 없는 경우, 다른 빠른 입력이 편리한 보조 입력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한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자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메인 입력 단말에 대한 입력을 간소화하여 정보 입력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었다.
도 6은, 예시적인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상기 정보 입력 장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상기의 도 1에 나타낸 실시 환경 중의 메인 입력 단말을 실현할 수도 있고, 또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임의의 실시예의 메인 입력 단말이 수행하는 전부 혹은 일부의 단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접속 구축 모듈(601), 로그인 모듈(602), 정보 취득 모듈(603) 및 입력 모듈(604)을 구비한다.
접속 구축 모듈(601)은, 중계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한다.
로그인 모듈(602)은, 정보 취득 모듈이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하기 전에 제1 계정을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다. 여기서, 제1 계정은 제2 계정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2 계정과 바인딩되어 있으며, 제2 계정은 보조 입력 단말이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 계정이다.
정보 취득 모듈(603)은,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한다.
여기서, 정보 취득 모듈(603)은,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 지시를 송신하는 지시 송신 서브 모듈(603a) ;
중계 디바이스가 답장한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서브 모듈(603 b)
을 구비하며,
여기서, 입력 지시는, 보조 입력 단말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 화면에서 입력한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이다.
입력 모듈(604)은,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한다.
여기서, 입력 모듈(604)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서브 모듈(604a);
판단 서브 모듈의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 것이면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제1 입력 서브 모듈(604b);
판단 서브 모듈의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에 보존하는 보존 서브 모듈(604c);
그 후에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보존 서브 모듈이 보존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제2 입력 서브 모듈(604d)
을 구비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보존 서브 모듈(604c)은, 또한, 판단 결과가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상기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클립보드 내에 보존한다.
상기 제 2 입력 서브 모듈(604d)은, 또한, 그 후에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클립보드 내에 상기 입력 대기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프롬프트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프롬프트 정보에 따라 수행한 상기 클립보드 내의 정보를 붙여 넣는 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제공하는 정보 입력 장치, 메인 입력 단말과 중계 디바이스 사이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고, 메인 입력 단말로 하여금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여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유저가, 메인 입력 단말의 스크린의 크기 또는 입력 방식으로 인해 빠르게 입력할 수 없는 경우, 다른 빠른 입력이 편리한 보조 입력 단말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한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자동적으로 추가할 수 있도록 하여, 유저의 메인 입력 단말에 대한 입력을 간소화하여 정보 입력 효율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는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서 제공하는 정보 입력 방법을 실현할 수 있는 정보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
을 구비하며,
프로세서는,
중계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고,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상기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것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 것이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것
을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에 보존하고,
그 후에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보존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도록
구성된다.
옵션으로서,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에 보존하는 것은,
판단 결과가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클립보드 내에 보존하는 것
을 포함하고,
그 후에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보존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것은,
그 후에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클립보드내에 입력 대기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프롬프트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는 것;
프롬프트 정보에 따라 수행한 클립보드 내의 정보를 붙여 넣는 조작을 수신하면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것
을 포함한다.
옵션으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하기 전에 제1 계정을 이용하여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제1 계정은 제2 계정과 동일하거나, 또는, 제2 계정과 바인딩되어 있으며, 제2 계정은 보조 입력 단말이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 계정이다.
옵션으로서,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하는 것은,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 지시를 송신하는 것;
중계 디바이스가 답장한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입력 지시는, 보조 입력 단말이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 화면에서 입력한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고,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이다.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장치가 정보 입력 방법을 실현할 때, 상기의 각 기능 모듈에 할당시켜 실현되는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실제로 실현할 때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의 기능을 서로 다른 기능 모듈에 할당시켜 실현할 수도 있다. 즉, 디바이스의 내부의 구성을 서로 다른 기능 모듈에 할당시켜 상기에 기재된 전부 혹은 일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상기의 실시예의 장치에 대하여, 각 모듈이 수행하는 조작의 구체적인 형태는 이미 해당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7 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장치(7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700)는, 스마트 휴대 전화,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 TV, 차재 단말 등일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700)는 프로세스 어셈블리(702), 메모리(704), 전원 어셈블리(7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708), 오디오 어셈블리(7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712), 센서 어셈블리(714) 및 통신 어셈블리(716) 등의 하나 또는 복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702)는 통상적으로 장치(700)의 전체 조작을 제어하며, 예를 들면, 표시,전화 호출,데이터 통신,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스 어셈블리(7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720)를 구비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프로세스 어셈블리(7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프로세스 어셈블리(702)와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인터랙션에 편리하다. 예를 들면, 프로세스 어셈블리(7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708)와 프로세스 어셈블리(702) 사이의 인터랙션이 편리하게 된다.
메모리(704)에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장치(700)의 동작을 서포트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서 장치(700)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혹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인스트럭션,연락처 데이터,전화번호부 데이터,메시지,이미지,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7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메모리 혹은 양자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자기 메모리,플래시 메모리,자기 디스크 혹은 콤팩트 디스크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전원 어셈블리(706)는 장치(700)의 각 어셈블리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전원 어셈블리(706)는 전원 관리 시스템,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7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708)는 상기 장치(7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위에서의 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혹은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혹은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멀티미디어 어셈블리(708)는 하나의 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700)가 예를 들면 촬영 모드 혹은 비디오 모드 등의 조작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프론트 카메라 및/또는 리어 카메라는 외부로부터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론트 카메라와 리어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7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710)는 마이크로폰(MIC)을 포함하며, 장치(700)가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의 조작 모드에 있을 경우, 마이크로폰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메모리(704)에 저장되거나 혹은 통신 어셈블리(7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오디오 어셈블리(710)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I/O 인터페이스(712)는 프로세스 어셈블리(7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휠 키,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714)는 장치(700)에 각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센서 어셈블리(714)는 장치(700)의 온/오프 상태,어셈블리의 상대위치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어셈블리가 장치(7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일 때,센서 어셈블리(714)는 장치(700) 혹은 장치(700)의 일 어셈블리의 위치변경,사용자와 장치(700) 사이의 접촉여부, 장치(700)의 방위 혹은 가감속 및 장치(7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7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어,임의의 물리적 접촉이 없는 상태하에서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714)는 예를 들면 CMOS 혹은 CCD 이미지 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센서 어셈블리(714)는 가속 센서,자이로 센서,자기 센서,압력 센서 혹은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716)는 장치(700)와 기타 설비 사이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 장치(700)는 예를 들면 WiFi,2G 혹은 3G,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통신 어셈블리(7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혹은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어셈블리(716)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어,단거리 통신을 촉진할 수 있다. 예를 들면,NFC 모듈은 RFID 기술,IrDA 기술,UWB 기술,블루투스(BT)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초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7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전용 집적 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설비(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혹은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실현되어, 상기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예를 들면 인스트럭션을 포함하는 메모리(704) 등을 포함하며,상기 인스트럭션은 장치(700)의 프로세서(7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상기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인 기록 매체는, 장치(7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기록 매체 중의 인스트럭션이 수행될 때, 장치(700)에 상기의 방법을 수행시킬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를 검토하여 본 발명을 실현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안을 용이하게 생각해 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을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경은,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에 따르며, 본 발명은 개시되지 않은 당업계의 공지의 지식 또는 통상적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정신은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되고 또 도면에 나타낸 정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13)

  1. 중계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는 단계;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상기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는 단계;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가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 것이면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판단 결과가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에 보존하는 단계;
    그 후에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보존한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판단 결과가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에 보존하는 단계는,
    판단 결과가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클립보드 내에 보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그 후에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보존한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는,
    그 후에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클립보드 내에 상기 입력 대기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프롬프트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프롬프트 정보에 따라 수행한 상기 클립보드 내의 정보를 붙여 넣는 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하기 전에 제1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계정은 제2 계정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계정과 바인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계정은 상기 보조 입력 단말이 상기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 계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는,
    상기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 지시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 디바이스가 답장한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지시는, 상기 보조 입력 단말로 하여금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 화면에서 입력한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방법.
  7. 중계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는 접속 구축 모듈;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상기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는 정보 취득 모듈;
    상기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입력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서브 모듈;
    상기 판단 서브 모듈의 판단 결과가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는 것이면 상기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제1 입력 서브 모듈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모듈은,
    상기 판단 서브 모듈의 판단 결과가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상기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에 보존하는 보존 서브 모듈
    그 후에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보존 서브 모듈이 보존한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제2 입력 서브 모듈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존 서브 모듈은, 판단 결과가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에 있지 않는 것이면 상기 정보 취득 모듈이 취득한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클립보드 내에 보존하고,
    상기 제 2 입력 서브 모듈은, 또한, 그 후에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이 입력 접수 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클립보드 내에 상기 입력 대기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는 것을 프롬프트하기 위한 프롬프트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프롬프트 정보에 따라 수행한 상기 클립보드 내의 정보를 붙여 넣는 조작을 수신하면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모듈이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대기 정보를 취득하기 전에 제1 계정을 이용하여 상기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하는 로그인 모듈
    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 1 계정은 제2 계정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제 2 계정과 바인딩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계정은 상기 보조 입력 단말이 상기 중계 디바이스에 로그인한 계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 모듈은,
    상기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보조 입력 단말로 입력 지시를 송신하는 지시 송신 서브 모듈;
    상기 중계 디바이스가 답장한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 서브 모듈
    을 구비하며,
    상기 입력 지시는, 상기 보조 입력 단말로 하여금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입력 화면에서 입력한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상기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하도록 지시하기 위한 지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13.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을 기억하는 메모리
    를 구비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중계 디바이스와의 네트워크 접속을 구축하고,
    보조 입력 단말에서 입력하여 상기 중계 디바이스로 송신한 입력 대기 정보를 중계 디바이스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입력 대기 정보를 메인 입력 단말의 입력 위치에 추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입력 장치.
KR1020187021391A 2015-12-24 2016-08-30 정보 입력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KR1020956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992593.9A CN105607958B (zh) 2015-12-24 2015-12-24 信息输入方法及装置
CN201510992593.9 2015-12-24
PCT/CN2016/097253 WO2017107543A1 (zh) 2015-12-24 2016-08-30 信息输入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765A true KR20180099765A (ko) 2018-09-05
KR102095666B1 KR102095666B1 (ko) 2020-03-31

Family

ID=5598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391A KR102095666B1 (ko) 2015-12-24 2016-08-30 정보 입력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185366A1 (ko)
EP (1) EP3185515B1 (ko)
JP (1) JP6441385B2 (ko)
KR (1) KR102095666B1 (ko)
CN (1) CN105607958B (ko)
RU (1) RU2672716C2 (ko)
WO (1) WO2017107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7958B (zh) * 2015-12-24 2021-06-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输入方法及装置
WO2024080659A1 (ko) * 2022-10-13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에 기반하여, 시각적 객체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9666A1 (en) * 2002-06-07 2003-12-11 Nec Corporation Data input method and data input system
US20110273625A1 (en) * 2010-05-10 2011-11-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Intelligent Remote Control
WO2014134963A1 (en) * 2013-03-04 2014-09-12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Input method and device thereof, and auxiliary input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160342449A1 (en) * 2015-05-22 2016-1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ata exchange across multiple computing devices through a proactive intelligent clipboard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47339A (zh) * 1998-09-09 2000-03-15 英业达股份有限公司 电脑系统鼠标输入辅助装置
EP1069500A1 (en) * 1999-07-12 2001-0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wnloadable user-interface
US7249156B2 (en) * 2000-12-07 2007-07-24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providing a file transfer servic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2005141688A (ja) * 2003-11-10 2005-06-02 Nec Corp 移動体通信端末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JP2008250606A (ja) * 2007-03-30 2008-10-16 Kyocera Corp 入力装置、入力方法および入力プログラム
JP2010015541A (ja) * 2008-06-04 2010-01-21 Fujitsu Ltd 認証システム、端末装置、パスワード発行装置及び認証方法
JP2010081397A (ja) * 2008-09-26 2010-04-08 Ntt Docomo Inc データ受信端末、データ配信サーバ、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配信方法
JP2011150478A (ja) * 2010-01-20 2011-08-04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端末
US8725133B2 (en) * 2011-02-15 2014-05-13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964480B1 (ko) * 2011-05-12 2019-04-01 톰슨 라이센싱 서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통한 디바이스의 제어
CN102801847A (zh) * 2011-05-25 2012-11-2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远端操作共享系统及方法
US20130219323A1 (en) * 2012-02-17 2013-08-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previously-associated application data from a secure electronic device
JP5939847B2 (ja) * 2012-03-13 2016-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55593B2 (ja) * 2012-10-15 2017-07-05 株式会社ニコン 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CN103607654A (zh) * 2013-11-15 2014-02-26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基于多屏协同系统的移动终端辅助输入装置及方法
CN106488810B (zh) * 2014-07-15 2019-10-01 诺维尔里斯公司 自激第三八度轧机振动的处理阻尼
US20160034959A1 (en) * 2014-07-31 2016-02-04 Internet Connectivity Group,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ng content to merchandising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external events
CN104536672A (zh) * 2014-12-01 2015-04-22 西安福宇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智能终端多媒体辅助装置及其辅助输入输出的方法
CN105072246A (zh) * 2015-07-01 2015-11-1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同步方法、装置及终端
CN105607958B (zh) * 2015-12-24 2021-06-08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输入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29666A1 (en) * 2002-06-07 2003-12-11 Nec Corporation Data input method and data input system
US20110273625A1 (en) * 2010-05-10 2011-11-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Intelligent Remote Control
WO2014134963A1 (en) * 2013-03-04 2014-09-12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Input method and device thereof, and auxiliary input method and system thereof
US20160342449A1 (en) * 2015-05-22 2016-11-2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ata exchange across multiple computing devices through a proactive intelligent clip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85366A1 (en) 2017-06-29
CN105607958A (zh) 2016-05-25
EP3185515B1 (en) 2020-05-06
EP3185515A1 (en) 2017-06-28
WO2017107543A1 (zh) 2017-06-29
JP2018503149A (ja) 2018-02-01
RU2672716C2 (ru) 2018-11-19
RU2016152257A3 (ko) 2018-07-02
CN105607958B (zh) 2021-06-08
RU2016152257A (ru) 2018-07-02
KR102095666B1 (ko) 2020-03-31
JP6441385B2 (ja) 201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4812B2 (ja) 振込処理方法および装置
KR101799894B1 (ko) 원격 협조 방법,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CN112947823A (zh) 会话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20351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영상이미지 파일 관리방법
KR101684814B1 (ko) Wi-fi 네트워크 접속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99546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intelligent device
CN108874496B (zh) 应用管理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存储介质
EP30624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mart device
KR20170037868A (ko) 촬영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10514B1 (ko) 클라우드 카드에 기반한 전화 호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 매체
EP3051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network
CN113206781B (zh) 客户端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525652B (zh) 信息分享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5429800A (zh) 网络连接的处理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7612888B (zh) 企业用户空间创建方法及装置
KR20180078104A (ko) 인터페이스의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CN115208873A (zh) 文件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2095666B1 (ko) 정보 입력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저장매체
JP2016534473A (ja) ルータ・プラグ・イン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CN109976872B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50286361A1 (en) Single gesture video capture and share
CN105657002A (zh) 屏幕解锁密码的处理方法及装置
CN103905546A (zh) 一种终端登录远程服务器的方法和装置
CN108173846B (zh) 登录方法及装置
KR20110080689A (ko) 단말기 및 이것의 콘텐츠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