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423A -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 실행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 실행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423A
KR20180099423A KR1020170081506A KR20170081506A KR20180099423A KR 20180099423 A KR20180099423 A KR 20180099423A KR 1020170081506 A KR1020170081506 A KR 1020170081506A KR 20170081506 A KR20170081506 A KR 20170081506A KR 20180099423 A KR20180099423 A KR 20180099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tate
function
processor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964B1 (ko
Inventor
이인종
강상기
박성파
서장석
이지수
최국태
구한준
이다솜
장동호
전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906,14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314898B2/en
Priority to CN201810164602.9A priority patent/CN108509119B/zh
Priority to PCT/KR2018/002361 priority patent/WO2018159971A1/en
Priority to EP18159281.7A priority patent/EP3382530B1/en
Publication of KR20180099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운용 방법은 사용자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전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또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 출력과 관련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전체를 접근할 수 있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접근할 수 있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 실행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function execution based on speech command in Locked st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 기능을 음성 명령으로 기능을 실행하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다.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한 전통적인 입력 방식에 부가하여, 최근의 전자 장치들은 사용자의 음성(speech)을 이용한 입력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전자 장치들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예: S-Voice, 또는 Siri 등)을 기반으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그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거나, 음성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전자 장치들은 음성 인식 기능이 항상 활성화되어 있어(always-on), 언제든지 사용자의 음성에 따라 깨어나거나(awake), 인터넷 검색이나 통화, SMS/이메일 읽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 단말 잠금 상태(Screen Lock 상태)에서 Voice command service (예: S-voice 서비스) 동작은 단순히 음성 명령에 따른 기능 실행 결과를 잠금 상태 해제 시에 출력하는 형태로 동작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기능 실행을 수행하는 음성 실행 기능을 적용할 때마다 잠금 상태를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음성 실행 기능의 종류에 따라 잠금 상태를 유지하거나 선택적으로 해제하여 잠금 상태 제어에 대한 불편함을 해소하면서도 음성 실행 기능의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실행 기능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기타,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 기반 기능 실행 결과를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과, 제1면과 마주보는 제2 면, 측면들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측면들 중 하나 또는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입력 버튼, 상기 하우징을 통해 노출되는 마이크로폰,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통신 회로, 상기 버튼, 상기 마이크로폰 및 디스플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 동작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락 스크린이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의 락 상태를 유지하고, 락 상태에서 생체 센서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락 스크린을 출력하는 동안 언락 상태의 장치 상태를 변경하고, 버튼이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장치가 언락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입력 수신 이후,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고, 통신 회로를 통해 서버에 사용자 요청과 관련한 제1 데이터를 전송하고, 통신 회로를 통해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와 관련한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액션은 장치의 락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제1 타입 기능,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잠금 설정이 해제되고 락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제2 타입 기능,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을 지시할 수 있으며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이 필요한 제3 타입 기능, 홈 스크린을 변경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제4 타입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을 기반으로 지정된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실행 신호와 사용자 음성 입력 수신 시,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또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 출력과 관련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전체를 접근할 수 있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접근할 수 있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능 실행 운용 방법은 사용자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전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또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 출력과 관련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전체를 접근할 수 있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접근할 수 있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기능의 결과를 기능의 종류에 따라 적응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기타 다양한 효과는 다양한 실시 예 별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지능형 서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종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해제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와 위치 기반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와 사용자 확인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와 음성 명령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힌트 제공에 관한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변경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여부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종류에 따라 음성 명령 기능의 상태가 달라지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완료 여부에 따라 다양한 기능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여부에 따른 기능 실행 결과의 다양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 기반 기능 실행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수행에 따라 기능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락 스크린 처리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에 따라 다양한 기능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온 상태에 따라 다양한 기능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형 서비스 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기능 운용과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의 세팅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기능에서의 인증 정보 확인과 관련한 화면의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기능 설정과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적용된 음성 락 해제 기능 운용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a 및 도 2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적용된 얼굴 인식 및 음성 락 해제 기능 운용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락 해제 기능 실행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합 지능화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지능형 서버(200), 개인화 정보 서버(300) 및 제안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합 지능화 시스템(10)의 사용자 단말(100)은 락 스크린 상태(또는 락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 또는 잠금 상태)에서 음성 인식 기능을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통합 지능화 시스템(10)의 사용자 단말(100)은 락 스크린을 해제하는 제2의 수단으로 생체신호(홍체, 지문)를 이용하여 락 스크린 상태에서 제한된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려고 할 때,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는 잠금 해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인터페이스 일관성을 제공하며, 개인정보의 보안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 내부에 저장된 앱(app)(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어플리케이션)(예: 알람, 메시지, 사진(갤러리)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 내부에 저장된 음성 인식 앱을 통해 다른 앱을 실행하고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상기 음성 인식 앱을 통해 상기 다른 앱의 실행하고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물리적 버튼, 터치 패드, 음성 입력 등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노트북 컴퓨터 등 인터넷에 연결 가능한 각종 단말 장치(또는, 전자 장치)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발화를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발화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발화에 기초하여 앱을 동작시키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앱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앱을 동작시키는 명령에 따른 앱 실행 동작을 락 스크린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음성 입력(voice input)을 수신하여 텍스트 데이터(text data)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지능형 서버(200)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또는,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은 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action)(또는, 오퍼레이션(operation))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동작을 실행(또는,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스 룰은 상기 앱의 상기 동작의 순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패스 룰을 수신하고,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패스 룰에 포함된 동작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패스 룰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락 스크린 상태(예: 잠금 상태, 잠금 해제 상태, 단순 입력(예: 터치 제스처)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사이런트 락 상태 등)에 따라 부분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전체적으로 수행되고, 그에 따른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락 스크린 화면에 출력하거나, 락 스크린이 해제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동작을 실행하고, 동작을 실행한 결과(또는, 실행 상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동작을 실행하고, 동작을 수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복수의 동작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동작의 일부 결과 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마지막 순서의 동작을 실행한 결과만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의 입력(예: 사용자의 음성, 터치 등)을 수신하여 상기 동작을 실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개인화 정보 서버(300)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화 정보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 정보(예: 컨텍스트 정보, 앱 실행 등)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한 패스 룰을 생성하는 경우에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제안 서버(400)는 단말 내에 기능 혹은 어플리케이션의 소개 또는 제공될 기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안 서버(400)는 개인화 정보 서버(300)로부터 사용자 단말기(100)의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사용 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통신망을 통해 제안 서버(400)로부터 상기 제공될 기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합 지능화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 발화를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하고, 지능형 서버(2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패스 룰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패스 룰에 따라 앱을 동작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지능형 서버(200), 개인화 정보 서버(300) 및 제안 서버(400)의 기능을 일부 혹은 전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패스 룰을 생성하여 앱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능형 서버(200), 개인화 정보 서버(300) 및 제안 서버(400)는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에서 구성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통합 지능화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지능형 서버(200), 개인화 정보 서버(300) 및 제안 서버(4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입력 모듈(110), 디스플레이(120), 스피커(130), 메모리(140), 센서(191) 및 프로세서(1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들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거나 하우징 상에(on the housing)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제1 면과,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 및 측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20)(또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1 면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연결된 외부 장치(예: 키보드, 헤드셋)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디스플레이(120)와 결합된 터치 스크린(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 단말(100)(또는, 사용자 단말(100)의 하우징)에 위치한 하드웨어 키(또는, 물리적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측면들 중 하나 또는 상기 제1 면을 통해 상기 입력 모듈(110)에 포함된 입력 버튼이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 모듈(110)은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수신할 수 있는 마이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모듈(110)은 발화 입력 시스템(speech input system)을 포함하고, 상기 발화 입력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의 발화를 음성 신호로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111)(또는 마이크로폰)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이미지나 비디오,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앱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는 터치 스크린과 결합된 형태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스피커(13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30)는 사용자 단말(100) 내부에서 생성된 음성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복수의 앱(141, 143)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 저장된 복수의 앱(141, 143)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어 실행되고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비휘발성 메모리(예: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등) 및 휘발성 메모리(예: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앱(141, 143)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휘발성 메모리로 로드되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프로세서(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예: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적어도 일부가 기능이 수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또는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는 프로세서(150)의 동작 실행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40)는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은 로그(log)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로그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14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페르소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입력 모듈(110)을 제어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스피커(130)를 제어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를 제어하여 필요한 정보를 불러오거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사용자 단말(100)의 통신 회로(또는 무선 통신 회로)와, 입력 버튼, 마이크 및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지능형 에이전트(151),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지능형 서비스 모듈(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여 지능형 에이전트(151),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지능형 서비스 모듈(155)을 구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되는 여러 모듈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지능형 에이전트(151), 실행 매니저 모듈(153) 및 지능형 서비스 모듈(155)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세서(15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능형 에이전트(151)는 사용자 입력으로 수신된 음성 신호에 기초하여 앱을 동작시키는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실행 매니저 모듈(153)은 지능형 에이전트(151)로부터 상기 생성된 명령을 수신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된 앱(141, 143)을 선택하여 실행시키고 동작시킬 수 있다. 지능형 서비스 모듈(155)은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여 사용자 입력을 처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명령어가 실행 되어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서(191)는 예컨대, 홍채 인식 센서, 지문 인식 센서, RGB 카메라 센서, 위치 정보 수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홍채 인식 센서의 경우 지정된 파장대의 광을 출력하는 발광부와, 지정된 파장대의 광을 수광하고 홍채를 인식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센서는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일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문 인식 센서는 사용자 단말(100)의 홈 버튼, 사용자 단말(100)의 사이드 버튼(예: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하여 배치된 물리 버튼 또는 입력부), 디스플레이(120)의 적어도 일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홈 버튼을 누르거나 음성 명령 기능(또는 사용자 상호 어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하여 할당된 사이드 버튼을 누르거나 디스플레이(120)의 일정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지문 인식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RGB 카메라 센서는 가시광 등을 이용하여 지정된 피사체와 관련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RGB 카메라 센서는 사용자가 지정된 입력 버튼(예: 홈 버튼 또는 사이드 버튼 등)을 누르는 동안 활성화되어 사용자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여 프로세서(15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사용자 단말(100)은 잠금 상태(예: 락 상태, 락 스크린이 출력된 상태 등)에서 음성 명령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적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100)은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에 대한 전체 기능 실해 상태(예: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정보에 접근 가능한 상태에서 기능을 실행하는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에 대한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요청 시 음성 명령을 수집하면서 현재 잠금 상태인지를 확인하고, 잠금 상태 여부에 따라 음성 명령에 따른 기능 실행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음성 명령 기능은 사용자 음성 입력을 음성 인식하고, 음성 인식된 내용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액션(예: 음성 인식된 내용들 각각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기능을 실행하는 단위)을 실행하거나, 또는 음성 인식된 내용에 대응하는 결과(예: 답변)를 출력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액션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명령 기능은 사용자로부터 “하와이에서 찍은 사진을 어머님께 보내줘”라는 음성 입력이 수집되면, 사진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갤러리에 저장된 사진들 중 하와이에서 찍은 사진을 검출하는 제1 액션, 폰북 정보 중 어머니와 관련한 주소 정보를 검출하는 제2 액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3 액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받는 주소란에 어머니를 입력하고 해당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파일 첨부를 하와이에서 찍은 사진으로 지정하는 제4 액션,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5 액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액션을 수행하는 중에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액션들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해당 액션을 실행하는 화면)를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상술한 복수의 액션들을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라 수행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잠금 상태 여부, 잠금의 종류, 인증 완료 여부, 인증의 종류, 현재 위치, 액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복수의 액션을 모두 실행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라 실행할 어플리케이션을 상술한 잠금 상태나 잠금의 종류 등에 따라 부분적으로 실행하거나 전체 실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라 출력할 결과(예: 텍스트나 이미지 또는 오디오 정보 등)를 잠금 상태나 잠금의 종류 등에 따라 부분적으로 출력하거나 또는 전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 설명에서 “전체 기능 실행 상태”는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정보에 접근 가능한 상태에서 기능을 실행하는 상태,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행할 적어도 하나의 액션을 모두 실행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전체 실행하거나, 출력할 결과를 모두 출력할 수 있는 기능 실행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부분 기능 실행 상태”는 메모리에 저장된 일부 정보에 대해 접근 가능한 상태에서 기능을 실행하는 상태,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실행할 적어도 하나의 액션 중 일부 액션을 실행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부분 실행하거나, 출력할 결과 중 일부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 실행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의 부분 기능 실행의 경우 예컨대, 보안이 설정된 기능의 실행을 보류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 입력에 의해 갤러리 기능 진입, 스케줄 기능 진입, 이메일 기능 진입 등이 보안이 설정되어 실행이 요청되는 경우 부분 기능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갤러리, 스케줄 또는 이메일 기능을 활성화하되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하지 않고,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해당 기능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지능형 서버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지능형 서버(200)는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210),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NLU) 모듈(220), 패스 플래너(path planner) 모듈(230), 자연어 생성(natural language generator)(NLG) 모듈(240) 및 텍스트 음성 변환(text to speech)(TTS)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00)의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 자연어 이해 모듈(220) 및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 모듈(210)은 발화 인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화 인식 모듈은 음향(acoustic) 모델 및 언어(language) 모델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 모델은 발성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언어 모델은 단위 음소 정보 및 단위 음소 정보의 조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어 모델은 주변 상황(예: 위치, 주변 장치 정보 등), 사용 조건(예: 앱 상태, 이전 질의 히스토리 등) 등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 음소 정보 중 일부를 선택하거나, 일부에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발화 인식 모듈은 발성에 관련된 정보 및 단위 음소 정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발화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음향 모델 및 언어 모델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자동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211)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지능형 서버(200)는 화자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자 인식 모듈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발화를 분석하여 화자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화자 인식 모듈은 사용자가 최초 사용시 입력한 발화를 기초로 화자 인식 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화자 인식 모델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화자 인식 모듈은 화자 인식 모델에 기초하여 모델에 등록된 화자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자 인식 모듈은 등록된 화자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되는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등록되지 않은 화자로 판단한 경우, 사용자 입력의 제한된 기능만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화자 인식 모듈은 음성인식 활성화하기 위한 방법(wakeup recognition)으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된 화자 음성인지 판단하고, 등록된 화자 음성에 대하여 음성인식이나 자연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문법적 분석(syntactic analyze) 및 의미적 분석(semantic analyze)을 수행하여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문법적 분석은 사용자 입력을 문법적 단위(예: 단어, 구, 형태소 등)로 나누고, 상기 나누어진 단위가 어떤 문법적인 요소를 갖는지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의미적 분석은 의미(semantic) 매칭, 룰(rule) 매칭, 포뮬러(formula) 매칭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사용자 입력이 어느 도메인(domain), 의도(intent) 및 상기 의도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파라미터(parameter)(또는, 슬롯(slot))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연어 이해 모듈(220)은 규칙 기반 알고리즘에 포함된 매칭 규칙을 이용하여 도메인, 의도 및 파라미터를 각각의 케이스에 매칭시켜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30)은 자연어 이해 모듈(220)로부터 파악된 사용자의 의도를 이용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패스 플래너 모듈(23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생성 모듈(NLG)(240)은 지정된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형태는 자연어 발화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정보는, 예를 들어, 추가 입력을 위한 정보, 동작 완료를 안내하는 정보 등일 수 있다. 상기 텍스트 형태로 변경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되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거나,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50)로 송신되어 음성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50)은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음성 형태의 정보로 변경할 수 있다. 텍스트 음성 변환 모듈(250)은 자연어 생성 모듈(240)로부터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음성 형태의 정보로 변경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상기 음성 형태의 정보를 스피커(130)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18b를 참조하여 전자 장치(100)의 락 스크린 상태와 관련한 음성 명령 기반의 기능 실행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잠금 상태에 따른 전자 장치(예: 상기 사용자 단말) 운용 방법에 있어서,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상기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및 음성 명령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는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 버튼을 할당하거나,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지정된 사용자 음성 입력(예: Hi Galaxy 또는 Hi Bixby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입력 인식과 관련하여, 프로세서(150)는 마이크를 항상 턴-온 시키는 상태(예: Always on)를 제공하고, 마이크가 수집하는 음성 입력이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지정된 음성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이벤트(예: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을 위해 할당된 물리 버튼의 선택 입력 신호, 또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 입력 등)가 발생하면, 동작 303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 설정이 없는 경우(예: 잠금 설정이 안된 경우이거나 또는 잠금 설정이 해제된 경우), 동작 305에서, 프로세서(150)는 수집된 음성 명령에 따른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20)를 턴-온하고, 수집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결과를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20)를 턴-온하고, 수집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복수의 액션들을 수행하면서, 각 액션 수행 화면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잠금 설정이 있는 경우, 동작 307에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수집된 음성 명령에 따른 결과 중 일부 결과를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수집된 음성 명령에 따른 복수의 액션들 중 일부 액션을 수행한 결과를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수집된 음성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하지 않고 메모리에 저장 관리하되, 잠금 상태 해제 시 기능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음을 안내(예: 잠금 상태 해제를 요청하는 팝업이나 메시지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수행 시, 상기 전자 장치는 저전력 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마이크의 Always-on 기능을 실행하면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이전에 슬립 상태(예: 디스플레이를 턴-오프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입력 이벤트 발생 시, 메인 프로세서를 활성화하고, 턴-온된 디스플레이(181에 잠금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잠금 화면에는 부분 기능 실행에 따른 결과 또는 부분 기능 실행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음성 명령 기능 호출(또는 실행) 이후 사용자 음성 입력 종료 시점에 사용자 인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입력 종료 시점에 전자 장치는 잠금 상태가 해제되었는지 또는 잠금 상태가 유지되어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완료에 따라 잠금 상태가 해제된 경우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라 수행해야 모든 어플리케이션 및 전자 장치에 저장된 정보에 접근하여 전체 기능 실행(또는 Full service)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입력 시점에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지 않아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잠금 상태(예: Lock Screen 출력 상태)에서 제공할 수 있는 제한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사용자에게 명시적으로 잠금 상태 해제를 요청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는 잠금 상태 해제를 요청하는 추가 UI를 제공하고 이후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전자 장치 내 모든 정보에 접근하여 Full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집하는 도중에 잠금 상태가 해제 되는 경우 음성 명령 기능의 실행에 따른 복수의 액션들을 수행하는 화면을 제공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종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잠금 상태 종류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401에서,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는 음성 명령을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마이크를 Always-on 상태를 유지하여 음성 명령 기능 실행 및 지정된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집할 수 있다.
동작 403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50)는 동작 405에서 잠금 상태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 상태의 종류가 제1 종류인 경우, 동작 407에서,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예: 수집된 음성 명령)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되 부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증 완료를 통한 잠금 해제가 필요한 잠금이 설정된 상태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기능 중 일부 기능(또는 부분 기능)만을 실행할 수 있다.
잠금 상태의 종류가 제2 종류인 경우, 동작 409에서,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되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 보호를 위해 지정된 터치 이벤트나 물리 키 입력 이벤트를 요구하는 락 스크린 출력 상태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동작 403에서, 잠금 상태 설정이 아닌 경우, 프로세서(150)는 동작 409에서,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해제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잠금 해제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501에서,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및 음성 명령을 수집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프로세서(150)는 도 3 또는 도 4 등에서 설명한 음성 명령 기능 실행 및 음성 명령 수집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또는 지정된 음성 명령이 수집되면, 동작 503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 동작 505에서,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또는 수집된 음성 명령)에 따른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잠금 상태인 경우, 동작 507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해제를 위한 인증이 완료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의 지문 정보를 수집하고 기 저장된 지문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수집하고 기 저장된 홍채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얼굴 정보, 지정된 패스워드 등을 수집하고,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인증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또는 인증이 실패한 경우, 프로세서(150)는 동작 509에서, 잠금 상태 유지 및 부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부분 기능 실행에 따른 결과 또는 기능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 또는 지정된 화면을 잠금 상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발화에 대응하여 지정된 기능(또는 앱 실행 룰) 중 일부만 수행하는 부분 기능 실행 중에, 잠금 설정이 해제된 경우, 잠금 상태에서 유지된 정보를 잠금 해제 화면을 통해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락 스크린이 출력되고 있고 부분 기능 실행에 따른 정보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락 스크린이 해제되면, 프로세서(150)는 부분 기능 실행에 따른 정보를 락 스크린 해제 화면(예: 대기 화면 또는 홈 화면 또는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50)는 부분 기능 실행에서 전체 기능 실행으로 페이즈(phase)를 전환하고, 전체 기능 실행에 따른 정보(예: 부분 기능 실행에 따른 정보 포함)를 잠금 해제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동작 511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해제 및 액션 실행 또는 결과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지정된 화면(예: 대기 화면 또는 홈 화면 등 잠금 해제 시 출력되도록 설정된 화면) 상에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복수의 액션을 실행하면서, 액션 실행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프로세서(150)는 홍채 인식 기능 또는 지문 인식 기능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인증을 완료하고, 인증 완료 후, 사일런트 언락 상태(예: 지정된 단순 입력(예: 터치 드래그 또는 롱 프레스)에 의해 락 스크린이 해제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자동으로 인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입력 버튼에 지문 센서가 배치되고, 프로세서(150)는 해당 버튼 눌림 시, 지문 센서를 기반으로 기반으로 지문 인식을 자동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자동으로 인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입력(예: 입력 버튼 또는 지정된 단어나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 발화)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50)는 홍채 센서를 자동으로 활성화하고, 사용자의 홍채 추적 및 이미지 획득, 홍채 비교를 통한 인식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락 스크린 설정 화면을 통하여, 사일런트 언락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일런트 언락이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에서 인증이 수행되더라도 사일런트 언락 화면(예: 단순 입력에 의해 잠금 화면 및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일런트 언락 화면에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의 부분 기능 실행 결과 또는 전체 기능 실행 결과 중 적어도 일부가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와 위치 기반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잠금 상태와 위치 기반 전자 장치 운용 방법에 있어서, 동작 601에서, 프로세서(150)는 앞서 설명한 동작 501에서와 같이 음성 명령 기능 실행 및 음성 명령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의 실행이 요청되거나 음성 명령이 수집되면 동작 603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 동작 605에서,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예: 수집된 음성 명령)에 대응하는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잠금 상태인 경우, 동작 607에서, 프로세서(150)는 전자 장치가 지정된 위치에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시, 지정된 사용자 음성 명령이 수집된 경우,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서 잠금 상태인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위치 정보 수집 센서를 활성화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 수집 센서는 예컨대, GPS 센서, WiFi 기반 위치 측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가 지정된 위치이면, 프로세서(150)는 동작 605로 분기하여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가 지정된 위치가 아니면, 프로세서(150)는 동작 609에서 잠금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기능에 대하여 부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전자 장치가 집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 음성 입력이 수집되면, 음성 명령에 따른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50)는 전자 장치가 사무실이나 공공 장소 등에 있는 경우 잠금 상태를 유지(예: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한 상태)하면서,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기능에 대하여 부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와 사용자 확인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잠금 상태와 사용자 확인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701에서,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및 음성 명령 수집을 수행하고, 동작 703에서 잠금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가 아니면, 동작 707로 분기하여 수집된 음성 명령에 따른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703에서, 잠금 상태인 경우, 동작 706에서 프로세서(150)는 지정된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지정된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자동으로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사용자 얼굴 정보를 수집하고, 기 저장된 얼굴 정보와 비교하여 지정된 사용자인지 또는 사용자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얼굴 확인에 따라 지정된 사용자이면, 동작 707에서, 프로세서(150)는 수집된 음성 명령에 따른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지정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동작 709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에 따른 부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얼굴 인식 및 기 저장된 얼굴 정보 비교를 수행하는 동작을 대체하여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성문 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사용자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성문 인식의 경우,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수집 시, 수집된 음성 명령과 기 저장된 음성 패턴을 비교하여 지정된 사용자의 음성인지 확인할 수 있다. 지문 인식의 경우, 전자 장치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하여 할당된 물리 버튼(예: 사이드 버튼)에 지문 센서를 포함하고, 해당 물리 버튼 선택 시 사용자 지문 정보를 수집하여 지정된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와 음성 명령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잠금 상태와 음성 명령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801에서,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및 음성 명령 수집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 상태가 아닌 경우, 동작 805에서, 프로세서(150)는 수집된 음성 명령에 따른 전체 기능 실행을 수행할 수 있다.
잠금 상태인 경우, 동작 807에서,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에 따라 실행할 기능의 종류 또는 결과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50)는 수집된 음성 명령에 대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수행할 기능(예: 어플리케이션 또는 액션)의 종류 또는 출력할 결과의 분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는 출력할 결과에 대한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 데이터베이스는 예컨대, 어떠한 결과가 잠금 해제 상태에서 출력될 수 있는지 또는 어떠한 결과가 잠금 상태에서는 부분적으로 출력될 수 있는지(또는 부분 기능으로 실행할 수 있는지) 등을 분류한 분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50)는 수집된 음성 명령을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기능의 종류 또는 결과의 분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음성 명령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 수행할 액션의 종류나 결과의 분류 정보들을 사전 저장하고, 전자 장치가 제공한 음성 명령에 따른 기능의 종류 또는 결과의 분류 정보를 전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동작 809에서,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에 따른 기능의 종류 또는 결과의 분류가 부분 기능 실행으로 처리가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50)는 기능의 종류 또는 결과 값과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비교하거나, 서버가 제공한 정보 중 처리 가능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부분 기능 실행으로 처리 가능한 경우, 동작 811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에서 액션 실행하거나 또는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잠금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면서 디스플레이(120)의 일부 영역에 결과를 출력하거나 액션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거나, 액션 실행에 따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부분 기능 실행으로 처리 불가능한 경우, 동작 813에서, 프로세서(150)는 액션 또는 출력 결과를 버퍼링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면서, 잠금 상태 해제가 필요함을 안내하는 UI를 출력할 수 있다. 동작 815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 해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동작 813 이전으로 분기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면서, 액션 또는 출력 결과를 버퍼링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50)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버퍼링된 출력 결과 또는 액션 결과나 액션 실행 화면들을 제거할 수 있다. 버퍼링에서 제거된 경우, 상기 결과 또는 액션 결과 등은 잠금이 해제되더라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지정된 시간 이내에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동작 817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액션 실행 및 결과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잠금 해제 상태에서 버퍼링된 결과를 출력하거나 버퍼링된 액션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힌트 제공에 관한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힌트 제공에 관한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901에서,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 이벤트 발생에 따라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매핑된 사용자 음성 입력 수신에 따라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정된 물리 버튼 선택에 따라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디스플레이(120)는 턴-오프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요청에 따라 턴-온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잠금 상태이면, 동작 905에서, 프로세서(150)는 제1 종류의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잠금 상태가 아니면, 동작 907에서, 프로세서(150)는 제2 종류의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종류의 힌트는 잠금 상태에서 출력될 수 있는 힌트로서, 보안 설정 등이 없거나 공공의 성격이 있는 정보 제공과 관련한 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종류의 힌트는 보안 설정이 있거나 개인 정보의 성격이 있는 정보 제공과 관련한 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트는 음성 명령 기능이 호출된 경우 사용자가 요청할 법한 명령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힌트는 소개 힌트, 구문 힌트, 재사용 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소개 힌트(Introduction Hint)는 사용자에게 전자 장치의 신규 기능을 소개하거나, 다른 사람들이 많이 쓰는 기능을 소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개 힌트는 사용자가 단말 내 기능 중 사용하지 않던 기능 중 사용할법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문 힌트(Contextual Hint)는 특정 상황에서 노출되는 힌트로 사용자의 TPO(time, position, occurrence)를 고려하여 TPO기반으로 미리 정의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추천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사전에 정의된 현재 힌트 풀(preset hint pool)에서 TPO조건에 맞는 힌트를 구문 힌트로 선정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재사용 힌트(Reuse Hint)는 사용자 발화, Text input을 통해 수행된 utterance를 기반으로 많이 사용하는 기능을 Personal TPO기반으로 사용 빈도에 따라 추천하는 hint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소개 힌트를 잠금 상태에서 제공하는 제1 종류의 힌트로 분류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상기 구문 힌트 또는 상기 재사용 힌트 중 적어도 하나를 잠금 해제 상태에서 제공하는 제2 종류의 힌트로 분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50)는 잠금의 종류에 따라 힌트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락 스크린(Lock Screen)이 없는 Unlock 상태에서는 재사용 힌트를 제공(예: 디스플레이(120)에 출력 또는 오디오 정보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락 스크린이 디스플레이(120)에 띄워져 있으나 암호화되지 않은 Un-Secured Lock 상태이면 구문 힌트를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예: 지문 인증, 패스워드 입력 등)이 필요한 잠금 상태이면, 프로세서(150)는 소개 힌트를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힌트의 종류 및 락 스크린 상태에 따라 차등하게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변경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잠금 상태 변경에 따른 전자 장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1001에서,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및 음성 명령을 수집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 진입이 지정된 시간 이내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전원 키 입력을 통하여 디스플레이(120)가 턴-오프됨에 따라 자동으로 잠금 상태에 진입한 경우, 전원 키 입력 이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 천이를 위한 시간 경과(예: 디스플레이(120)의 슬립 상태 천이와 관련한 시간 설정)에 따라 잠금 상태가 실행된 경우, 실행 시점 이후 시간을 카운트하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시점과 잠금 상태 진입 시점을 비교하여, 잠금 상태 진입이 지정된 시간 이내인지 비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에 진입하면, 시간을 카운트하면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프로세서(150)는 시간 카운트를 종료할 수 있다.
잠금 상태 진입이 지정된 시간 이내(또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요청이 잠금 상태 진입 후 지정된 시간 이내에 발생한 경우)이면, 동작 1005에서, 프로세서(150)는 수집된 음성 명령에 따른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에 따른 전체 기능을 실행하면서,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전체 기능 실행 이후, 자동으로 잠금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잠금 상태 진입이 지정된 시간을 경과한 경우(또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요청이 잠금 상태 진입 후 지정된 시간을 경과한 이후에 발생한 경우), 동작 1007에서, 프로세서(150)는 수집된 음성 명령에 따른 부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에 따른 부분 기능을 실행하면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에 따른 결과를 잠금 화면에 출력하거나 또는 음성 명령에 따른 복수의 액션 실행 화면 중 적어도 일부를 잠금 화면의 적어도 일부에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운용 방법은 사용자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전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또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 출력과 관련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전체를 접근할 수 있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접근할 수 있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하여 할당된 물리 버튼의 눌림을 검출하는 동작, 활성화된 마이크를 기반으로 지정된 단어에 대응하는 음성 수집이 확인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잠금 해제 상태이거나 잠금 설정이 없으면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여부에 따른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가 설정된 경우,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하고,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음성 명령 기능의 실행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의 실행을 요청하는 입력 이벤트가 발생하면, 잠금 상태 해제를 먼저 요구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하고,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수 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에 따른 잠금 화면이 디스플레이(120)에 출력된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물리 버튼이 눌린 경우,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요청에 해당하는 음성 입력(예: Hi Bixby에 대응하는 발화 입력)을 받으면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에 따라 잠금을 해제(락 스크린 제거)하거나, 잠금 화면을 백그라운드로 배치하고 음성 명령 기능 실행 화면을 최상위 레이어에 배치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이 종료되면, 프로세서(150)는 다시 잠금 화면을 최상위 레이어에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부분 기능 실행에 따른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부분 기능 실행 상태는 전자 장치가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되, 부분적으로 실행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라 실행된 기능과 관련한 결과의 일부,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또는 액션들 중 일부에 해당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이전에 현재 전자 장치의 잠금 상태 설정에 따라 부분 기능 실행 또는 전체 기능 실행을 지원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되기 전에 잠금 화면이 디스플레이(120)에 출력된 상태이면, 1101 상태에서와 같이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지원할 수 있다. 부분 기능 실행 상태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라 실행될 수 있는 기능들 중 일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부분 기능 실행 상태에 따른 화면은 예컨대, 잠금 상태 지시 영역(1110) 및 부분 기능 실행 지시 영역(1111)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상태 지시 영역(1110)은 예컨대, 잠금 화면의 적어도 일부가 표시되는 영역 또는, 잠금 화면임을 지시하는 객체를 포함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부분 기능 실행 상태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라 실행해야 할 기능들이나 출력해야 할 결과가 상대적으로 보안 레벨이 낮은 기능들 또는 결과를 제공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부분 기능 실행 지시 영역(1111)은 힌트로서, 공공성을 띠는 정보에 대한 힌트(예: 날씨, 스포츠, 정치 등의 검색과 관련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부분 기능 실행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120) 화면 상태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에서의 디스플레이(120) 화면 상태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부분 기능 실행 상태와 전체 기능 실행 상태의 배경색이 다르거나, 지정된 객체 표시(예: 부분 기능 실행 상태의 화면에 잠금쇠 icon 표시)가 다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에서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결과를 출력한 후(또는 액션들 중 일부 액션을 출력한 후) 전체 기능 실행에 따른 결과를 희망하는 경우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전체 기능 실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되기 전에 잠금이 해제된 상태이면, 1103 상태에서와 같이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지원할 수 있다. 전체 기능 실행 상태에 따라, 프로세서(150)는 잠금 해제에 따른 홈 화면 영역(1120)과 음성 명령 기능에 대한 전체 기능 실행 지시 영역(1121)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전체 기능 실행 상태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라 실행해야 할 기능들이나 출력해야 할 결과가 상대적으로 보안 레벨이 높은 기능들 또는 결과를 제공하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 전체 기능 실행 지시 영역(1121)은 힌트로서, 개인성(privacy)을 띠는 정보에 대한 힌트(예: 일정이나 개인이 촬영한 사진 검색과 관련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50)는 전자 장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한 경우, 실행되는 기능의 상태(예: 부분 기능 실행 상태 또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다르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가 지정된 제1 장소(예: 집)에 있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자동으로 잠금을 해제하고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지정된 제1 장소(예: 집)에 있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요청과 사용자 음성 입력이 수집되면,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전체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지정된 제2 장소(예: 사무실)에 있고,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지정된 제2 장소에 있고,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요청과 사용자 음성 입력이 수집되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부분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장소 또는 제2 장소는 사용자 설정을 통하여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장소 지정과 관련한 지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종류에 따라 음성 명령 기능의 상태가 달라지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설정에 따라 1201 상태에서와 같이 제1 잠금 화면(1210)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잠금 화면(1210)은 예컨대, 지문 인증 등에 의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잠금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 화면(1210)이 설정된 전자 장치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프로세서(150)는 부분 기능 실행과 관련한 부분 기능 실행 지시 영역(121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부분 기능 실행 지시 영역(1211)은 예컨대, 상대적으로 공공의 성격을 띠는 힌트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부분 기능 실행 지시 영역(1211)이 디스플레이(120)에 출력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띠는 정보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집되면, 잠금 해제를 먼저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여 공공성을 띠는 질문인지 개인성을 띠는 질문인지를 구분할 수 있는 분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설정에 따라 1203 상태에서와 같이 제2 잠금 화면(1220)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잠금 화면(1220)은 예컨대, 터치 드래그 등의 지정된 제스처 동작에 의하여 해제될 수 있는 잠금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잠금 화면(1220)이 설정된 전자 장치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프로세서(150)는 전체 기능 실행과 관련한 전체 기능 실행 지시 영역(1221)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지시 영역(1221)은 예컨대,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띠는 힌트가 표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50)는 제1 잠금 화면(1210)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띠는 힌트를 출력하고, 개인성을 띠는 힌트에 대응하는 사용자 음성 입력이 수집되면, 잠금 해제를 요청한 후, 잠금이 해제되면,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처리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50)는 제2 잠금 화면(1220)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공공성 및 개인성을 띠는 힌트들을 출력하고, 사용자 음성 입력이 수집되면,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처리 결과를 잠금 상태 화면 상에 출력하거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출력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완료 여부에 따라 다양한 기능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1301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물리 버튼(1390)이 선택되면,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120)가 턴-오프 상태이면, 디스플레이(120)를 턴-온하고 음성 명령 기능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잠금 화면이 설정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한 상태에서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390) 선택에 대응하여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사용자 확인 또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프로세서(150)는 전자 장치 일측에 배치된 카메라(예: 전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을 촬영하고, 촬영된 얼굴과 기 저장된 얼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390)이 선택되고 사용자 음성 입력이 입력되면, 카메라를 활성화하여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홍채 인식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증 또는 사용자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또는 확인을 수행하여 인증이 완료되면, 1303 상태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을 처리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수집하거나, 서버에 음성 입력을 제공하고 서버로부터 결과를 수집할 수도 있다. 결과가 수집되면, 1305 상태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오디오 정보를 출력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증 또는 확인 실패한 경우, 1307 상태에서와 같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 인식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면서,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결과를 출력하지 않고, 지정된 가이드 정보(예: 인증 완료를 요청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오디오 또는 텍스트나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을 요청하기 위하여 물리 버튼(1390)을 누르는 동안, 프로세서(150)는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물리 버튼(1390)에는 지문 인식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390)을 누르는 동안 지문 인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 인증 결과에 대응하여 1303 상태 및 1305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하거나, 또는 1307 상태에서와 같이 인증 완료를 요청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지문 인식이 완료되면,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 입력이 완료되기 이전에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50)는 잠금 화면과 함께 제공되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하거나 인증 완료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의 완료 여부는 일정 길이의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후, 지정된 시간 동안 음성 입력이 멈추는 상태를 기반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여부에 따른 기능 실행 결과의 다양성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물리 버튼(1490) 및 상기 물리 버튼(1490)의 인접 영역 또는 물리 버튼(1490) 내에 지문 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지문 인식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490)을 누르는 동작에 대응하여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하면서, 물리 버튼(1490)에 접촉된 손가락에 대한 지문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490)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음성 명령 기능에 대해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490) 선택에 대응하여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하고 수집된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전체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전체 기능은 예컨대, 프로세서(150)가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기능 실행 시, 메모리(141)에 대한 접근 제한 없이 메모리(141)에 저장된 모든 정보에 접근하고, 그에 따른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490)의 입력 형태에 따라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부분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부분 기능은 예컨대, 프로세서(150)가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기능 실행 시, 메모리(141)에 저장된 일부 정보에 대한 접근을 기반으로 결과를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490)을 짧게 누르는 동작(예: Short press)에 의해 음성 명령 기능이 실행되면,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기능 실행 시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부분 기능 실행 상태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화면을 유지하고 부분 기능 실행에 따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1401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할당된 물리 버튼(1490)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하고,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490) 선택이 지정된 제1 패턴(예: short press)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 입력되거나, 사용자 인증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 또는 사용자 인증이 실패한 상태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하여 1403 상태에서와 같이 제1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과는 예컨대,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기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본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 개인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정보로서 예컨대, 계산 값(예: 거리, 위치, 소요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1405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할당된 물리 버튼(1490)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하고, 사용자 음성 입력을 수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490) 선택이 지정된 제2 패턴(예: long press)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 입력되거나, 사용자 인증이 수행된 상태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하여 1407 상태에서와 같이 제2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과는 예컨대,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추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정보는 예컨대, 사용자 개인 정보로서 예컨대, 계산 값과 관련한 사용자 정보(예: 위치와 관련한 스케줄 정보, 위치와 관련한 전자 장치 이용 이력 정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잠금 상태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 기반 기능 실행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1501 상태에서와 같이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잠금 화면 상에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음성 명령 기능 지시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잠금 화면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 음성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음성 입력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의해 실행해야 할 기능이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가지는 것인지 또는 상대적으로 공공성을 가지는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의해 전자 장치의 기능을 실행하는 동안 지정된 메모리 영역을 접근해야 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지정된 메모리 영역은 예컨대, 사용자 정보 또는 개인 정보가 저장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메모리 영역은 스케줄러, 개인 사진 저장 영역, 이메일 저장 영역, 폰북 저장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예: 잠금 화면이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이 실행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에 부분적으로 접근 가능한 상태)에서,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기능 실행을 위해 전체 기능 실행(예: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정보의 접근이 필요한 기능들의 실행) 상태가 필요한 경우, 1503 상태에서와 같이,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화면은 예컨대, 지금 잠금을 해제하고 음성 입력에 따른 기능을 실행할 것인지 또는 나중에 잠금 해제될 경우 음성 입력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 것인지를 선택하는 항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에서, 사용자 음성 입력이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요구하는 경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액션 리스트(예: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되어야 할 어플리케이션 및 각 어플리케이션 단계들)를 버퍼링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1505 상태에서와 같이 잠금이 해제되면, 버퍼링된 액션들을 수행할지를 묻는 팝업창을 출력하고,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여 버퍼링된 액션을 수행하거나 또는 버퍼링된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상기 버퍼링 동작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는 액션 리스트를 저장하는 버퍼 모듈 또는 버퍼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버퍼링 동작과 관련하여,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여 수행되어야 할 액션들에 대한 룰 셋(rule set)(또는 액션들의 실행 순서 리스트)을 수집하고, 해당 룰 셋이 부분 기능 실행 상태에서 동작 할 수 있는지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 장치는 각 룰 셋들이 수행될 수 있는 상태(예: 부분 기능 실행 상태 또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잠금 해제 이후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도록 요청되면, 상기 룰 셋을 버퍼에 저장한 후, 잠금 해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버퍼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와이에서 찍은 사진을 엄마에게 보내줘”라는 사용자 음성 입력이 부분 기능 실행 상태에서 수집되면, 프로세서(150)는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해 수행해야 할 액션 리스트들을 버퍼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잠금이 해제되면, 버퍼에 저장된 액션 리스트들에 따라, 하와이에서 찍은 사진 검색 및 검색 화면 출력, 폰북 리스트에서 엄마 정보를 수집 및 수집하는 화면 출력, 메시지 실행 및 메시지 화면 출력, 메시지에 하와이에서 찍은 사진 첨부 및 첨부 화면 출력, 상기 메시지를 엄마에게 전송 및 전송 화면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버퍼링된 액션들을 수행할지를 확인하는 확인창을 출력하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액션들을 수행하거나 또는 액션 수행을 취소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증 수행에 따라 기능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잠금 설정을 확인하고, 잠금 설정 값에 따라 음성 명령 기능의 실행 범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1601 상태에서와 같이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물리 버튼(1690)이 눌려지면, 프로세서(150)는 1603 상태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를 턴-온하고 지정된 화면(예: 잠금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잠금 설정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잠금 설정 값은 잠금 여부, 잠금의 종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예컨대, 잠금 화면 지시 영역(1610) 및 음성 명령 기능 지시 영역(1611)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잠금 설정 값이 제1 잠금 설정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물리 버튼(1690)이 눌려지면,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기반의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결과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홍채 인식, 지문 인식, 얼굴 인식 등을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690)에 배치된 지문 센서를 기반으로, 물리 버튼(1690)이 눌려지는 동안 자동으로 지문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690)이 눌려지면 자동으로 홍채 인식 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의 홍채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기반으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690)이 눌려지면 자동으로 RGB 카메라 센서를 활성화하여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 얼굴 정보와 기 저장된 얼굴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한 성문 인증(예: 현재 입력된 음성의 패턴과 기 저장된 음성 패턴 비교)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지문 센싱, 홍채 센싱, 얼굴 인식 및 성문 인증 등은 백그라운드 프로세싱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지문 인증, 홍채 인증, 성문 인증 및 얼굴 인식 등과 관련하여 사전에 지문, 홍채, 음성 및 얼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생체 정보는 전자 장치 내 보안 모듈에서 암호화되어 안전하게 저장 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잠금 설정이 제1 잠금 상태(예: 제스처 입력을 통해 잠금 화면을 해제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50)는 별도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지 않고, 잠금 화면을 디스플레이 출력한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따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1605 상태에서와 같이, 별도의 인증 동작 수행 없이 지정된 제스처 동작(예: 터치 드래그)을 통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잠금 상태(예: Silent Unlocked)를 지시하는 잠금 상태 지시 영역(1620)과 음성 명령 기능을 지시하는 음성 명령 기능 지시 영역(1621)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인증이 필요하지 않은 잠금 화면이 설정된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이 요청되면, 상대적으로 공공성을 띠는 힌트(예: 뉴스나 날씨 등을 지시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기반의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1607 상태에서와 같이, 인증 완료를 지시하는 정보(예: Unlocked)를 출력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인증 완료 및 제스처 입력에 따른 잠금 해제가 가능한 잠금 화면 영역(1620)과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을 지시하는 영역(1622)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상기 프로세서(150)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기반의 잠금 해제에 따라, 지정된 정보(예: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띠는 일정이나 갤러리 기능을 지시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150)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 과정에서 수집된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기능의 실행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기능 실행 결과를 출력한 이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프로세서(150)는 제1 잠금 상태(예: 제스처 입력을 통해 잠금 화면을 해제할 수 있는 상태)로 천이되거나 지정된 화면 상태(예: 홈 화면 출력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제1 잠금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공공성을 띠는 힌트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띠는 힌트를 제공하는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프로세서(150)는 제1 잠금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띠는 힌트를 제공하고,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공공성을 띠는 힌트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띠는 힌트와 상대적으로 공공성을 띠는 힌트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1609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배경 화면을 지정된 홈 화면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1609 상태에서 힌트 제공 시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띠는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잠금 해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 실행 영역(1630)(예: 홈 화면 영역)과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을 지시하는 영역(1631)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지시 영역(1631)에는 예컨대,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띠는 힌트를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1611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배경 화면을 홈 화면으로 변경하되, 힌트 제공 시, 상대적으로 공공성을 띠는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잠금 해제에 따라 지정된 기능 실행 영역(1630)(예: 홈 화면 영역)과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을 지시하는 영역(1632)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지시 영역(1632)에는 예컨대, 상대적으로 공공성을 띠는 힌트를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인증이 명시적으로 수행된 경우(예: 비밀 번호 입력, 비밀 패턴 입력 등)에는 1609 상태 또는 1611 상태에서와 같이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홈 화면을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배경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백그라운 프로세싱 기반의 사용자 인증(예: 물리 버튼(1690)을 이용한 지문 인증, 홍채, 성문 및 얼굴 인식)의 경우 잠금 화면을 제거하고, 홈 화면을 배경으로 음성 명령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50)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싱 기반의 사용자 인증이 실패하거나 Pattern Lock, Password Lock으로 설정되어 사용자의 명시적인 인증 정보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잠금 화면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홍채 인식을 이용한 잠금 상태 해제 및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하여, 프로세서(150)는 전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홍채 인식용 카메라를 통해 수집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홍채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홍채 데이터와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가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물리 버튼(1690)을 누르고 발화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발화를 인식함과 동시에 홍채 인식을 통해 인가된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발화가 완료되기 전 홍채 인식을 통해 사용자 확인이 완료 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메모리(141)에 저장된 모든 정보에 접근하여 사용자 발화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발화가 완료되기 전 인증이 수행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50)는 잠금 상태에서 지원할 수 있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예: 제한된 서비스 제공 상태)를 제공하고, 정상 인증이 완료 된 후에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함을 안내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얼굴 인식(Face Recognition)을 이용한 잠금 상태 해제 및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하여, 프로세서(150)는 전자 장치의 전면에 배치된 RGB 카메라를 통해 들어온 이미지 데이터에서 얼굴 내 마디점의 비교를 통해 저장된 얼굴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물리 버튼(1690)을 누르고 사용자가 발화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발화를 인식함과 동시에 얼굴 인식을 통해 인가된 사용자인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발화가 완료되기 전 얼굴 인식을 통해 사용자 확인이 완료 된 경우 프로세서(150)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하고, 사용자 발화가 완료되기 전 인증이 수행되지 않으면, 잠금 상태에서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부분 기능 실행 상태에서, 프로세서(150)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의 제공과 관련하여 인증이 필요함을 안내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얼굴 인식은 어두운 곳을 포함하여 환경적인 요소의 영향을 많이 받는 인증 방법이므로 얼굴 인식이 원활히 진행될 수 없는 상황을 대비하여 보조 인증 방법을 함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발화가 완료 된 상황에서 얼굴 인식을 통한 인증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다른 인증 방법(예: 지문 인증, 성문 인증 등)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의 종류에 따른 다양한 락 스크린 처리와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1701 상태에서와 같이 턴-오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물리 버튼(17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리 버튼(1790)이 눌려지면, 프로세서(150)는 1703 상태에서와 같이,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 실행 후,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을 분석하고, 분석된 음성 입력 결과에 따른 기능 실행 또는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프로세서(150)는 현재 전자 장치가 잠금 상태이고 수행할 기능 또는 출력할 결과가 전체 기능 실행 상태가 필요한 경우, 1705 상태에서와 같이 현재 상태에서 해당 기능 실행 또는 결과 출력이 불가능함을 안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프로세서(150)는 1707 상태에서와 같이, 인증 요청 화면(예: 패턴 락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인증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50)는 1708 상태에서와 같이,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기능 실행 또는 결과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잠금 상태 해제에 대응하여, 프로세서(150)는 홈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잠금 상태에서 프로세서(150)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따른 기능 실행을 위해 잠금 해제가 필요한 경우 1709에서와 같이, 잠금 해제가 필요한 기능임을 지시하는 팝업창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팝업창 출력 이후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지금 잠금 해제를 요청하는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프로세서(150)는 1711 상태에서와 같이 지정된 방식의 인증을 위한 화면(예: 패턴 락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가 턴-오프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물리 버튼(1790)이 눌리면, 프로세서(150)는 자동으로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오프 상태에 따라 다양한 기능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온 상태에 따라 다양한 기능 실행 결과를 출력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50)는 1801 상태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전원 버튼이나 홈 버튼 눌림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턴-온할 수 있다. 이후,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물리 버튼(1890)이 눌려지면 프로세서(150)는 1803 상태에서와 같이, 잠금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을 지시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잠금 설정이 지정된 제스처 입력에 따라 해제되는 잠금 화면 설정인 경우, 프로세서(150)는 물리 버튼(1890) 입력 시, 1805 상태에서와 같이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지정된 화면(예: 홈 화면)에서 음성 명령 기능을 지시하는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디스플레이가 턴-오프된 상태에서 물리 버튼(1890) 눌림에 따라 1803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명령 기능을 지시하는 영역을 포함하며 제스처 입력에 따라 해제되는 잠금 화면을 출력하거나, 또는 1805 상태에서와 같이,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지정된 화면을 배경으로 음성 명령 기능을 지시하는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150)는 1807 상태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턴-온된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물리 버튼(1890)이 눌려지면 프로세서(150)는 1809 상태에서와 같이, 잠금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을 지시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50)는 1811 상태에서와 같이 잠금 화면을 해제하고, 지정된 화면(예: 홈 화면)에서 음성 명령 기능을 지시하는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면과, 제1면과 마주보는 제2 면, 측면들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측면들 중 하나 또는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입력 버튼, 상기 하우징을 통해 노출되는 마이크로폰,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통신 회로, 상기 버튼, 상기 마이크로폰 및 디스플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 동작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락 스크린이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의 락 상태를 유지하고, 락 상태에서 생체 센서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락 스크린을 출력하는 동안 언락 상태의 장치 상태를 변경하고, 버튼이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장치가 언락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입력 수신 이후,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고, 통신 회로를 통해 서버에 사용자 요청과 관련한 제1 데이터를 전송하고, 통신 회로를 통해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와 관련한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액션은 장치의 락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제1 타입 기능,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잠금 설정이 해제되고 락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제2 타입 기능,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을 지시할 수 있으며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이 필요한 제3 타입 기능, 홈 스크린을 변경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제4 타입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을 기반으로 지정된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실행 신호와 사용자 음성 입력 수신 시,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또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 출력과 관련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전체를 접근할 수 있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접근할 수 있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해제 상태이거나 잠금 설정이 없는 경우,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스처 입력에 의하여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잠금 설정 상태이면,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스처 입력에 의하여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잠금 설정 상태이면, 상기 실행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 중 적어도 일부를 버퍼링하고, 상기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버퍼링된 적어도 일부의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분 기능 실행 상태에서 지정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다시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가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수행되어야 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서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자동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부분 기능 실행 상태 또는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실행 신호 입력과 관련한 버튼, 상기 버튼 내에 또는 상기 버튼에 인접된 영역에 배치된 지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신호 입력 시 자동으로 검출된 지문 정보를 기반으로 지문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지문 인증 완료 시,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 홍채 또는 얼굴 인식용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신호 입력 시 자동으로 사용자 홍채 또는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완료 시,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공공성을 띠는 힌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해제 상태이거나 잠금 설정이 없으면,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띠는 힌트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잠금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명령 기능의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에서 지정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잠금 설정을 해제하고 지정된 화면을 배경으로 상기 음성 명령 기능의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900) 내의 전자 장치(19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901)는 버스(1910), 프로세서(1920), 메모리(1930), 입출력 인터페이스(1950), 디스플레이(19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9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19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910)는 구성요소들(1910-19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9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9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93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9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9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93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9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940)은, 예를 들면, 커널(1941), 미들웨어(19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9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9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941), 미들웨어(1943), 또는 API(19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9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943), API(19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9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910), 프로세서(1920), 또는 메모리(19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941)은 미들웨어(1943), API(19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947)에서 전자 장치(19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943)는, 예를 들면, API(19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947)이 커널(19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9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9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9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9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9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910), 프로세서(1920), 또는 메모리(19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945)는 어플리케이션(1947)이 커널(1941) 또는 미들웨어(19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9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9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9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9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9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및/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9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9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9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9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4), 또는 서버(19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97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9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4) 또는 서버(19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도 20의 element 2020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9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902,1904) 각각은 전자 장치(19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9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902,1904), 또는 서버(19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9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9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902,1904), 또는 서버(19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902,1904), 또는 서버(19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9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9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전자 장치(1901)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1906) 등에 접속하고,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1906)로부터 콘텐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1)는 도 19에 도시된 전자 장치(19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1)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2010), 통신 모듈(2020), (가입자 식별 모듈(2024), 메모리(2030), 센서 모듈(2040), 입력 장치(2050), 디스플레이(2060), 인터페이스(2070), 오디오 모듈(2080), 카메라 모듈(2091), 전력 관리 모듈(2095), 배터리(2096), 인디케이터(2097), 및 모터(2098) 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1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0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01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 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01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010)는 도 20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20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010) 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2020)(예: 통신 인터페이스(19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20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2021), WiFi 모듈(2023), 블루투스 모듈(2025), GNSS 모듈(2027), NFC 모듈(2028) 및 RF 모듈(20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2021)은, 예를 들면,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0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 카드)(2024)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20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021)은 프로세서(2010)가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0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021), WiFi 모듈(2023), 블루투스 모듈(2025), GNSS 모듈(2027) 또는 NFC 모듈(20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2029)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2029)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2021), WiFi 모듈(2023), 블루투스 모듈(2025), GNSS 모듈(2027) 또는 NFC 모듈(20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2024)은,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또는 임베디드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30)(예: 메모리(1930))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2032) 또는 외장 메모리(20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20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0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20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20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0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20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2040A), 자이로 센서(2040B), 기압 센서(2040C), 마그네틱 센서(2040D), 가속도 센서(2040E), 그립 센서(2040F), 근접 센서(2040G), 컬러(color) 센서(20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2040I), 온/습도 센서(2040J), 조도 센서(20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20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센서 모듈(2040)은, 예를 들면, 후각(e-nose) 센서, 일렉트로마이오그라피(EMG) 센서, 일렉트로엔씨팔로그램(EEG) 센서, 일렉트로카디오그램(ECG) 센서,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모듈(2040)은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001)는 프로세서(2010)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 모듈(20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여, 프로세서(2010)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 모듈(2040)을 제어할 수 있다.
입력 장치(205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2052), (디지털) 펜 센서(2054), 키(2056), 또는 초음파 입력 장치(20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2052)은,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2052)은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널(2052)은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20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키(2056)는,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2058)는 마이크(예: 마이크(20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060)(예: 디스플레이(1960))는 패널(2062), 홀로그램 장치(2064), 프로젝터(2066),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2062)은, 예를 들면, 유연하게, 투명하게, 또는 착용할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패널(2062)은 터치 패널(2052)과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널(2062)은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또는 포스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센서는 터치 패널(2052)과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터치 패널(2052)과는 별도의 하나 이상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홀로그램 장치(20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2066)는 스크린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70)는, 예를 들면, HDMI(2072), USB(20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2076), 또는 D-sub(D-subminiature)(207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070)는,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19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인터페이스(2070)는,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080)은, 예를 들면,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20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9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945)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2080)은, 예를 들면, 스피커(2082), 리시버(2084), 이어폰(2086), 또는 마이크(20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SP), 또는 플래시(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2095)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2095)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 또는 배터리 또는 연료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20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2096)는,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 및/또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2097)는 전자 장치(20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20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2098)는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 또는 햅틱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2001)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바일 TV 지원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2001))는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또는, 구성요소들 중 일부가 결합되어 하나의 개체로 구성되되, 결합 이전의 해당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과 관련하여, 동작 2101에서, 프로세서(150)는 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락 상태는 예컨대 잠금 설정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103에서, 프로세서(150)는 락 상태를 유지하면서, 생체 센서를 기반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105에서, 프로세서(150)는 락 스크린을 디스플레이(120)에 출력하는 중에 잠금 상태를 언락 상태(또는 잠금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동작 2107에서, 프로세서(150)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은 예컨대,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입력 버튼을 누르는 동작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109에서, 프로세서(150)는 언락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입력 수신 후, 디스플레이/마이크 기반 사용자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요청은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하여, 사용자가 발화한 문장이나, 락 스크린이 출력된 상태에서 특정 기능 실행을 요청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20)를 터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2111에서, 프로세서(150)는 서버에 사용자 요청 관련 제1 데이터를 전송하고, 동작 2113에서, 서버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115에서, 프로세서(150)는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50)는 장치의 락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제1 타입 기능,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잠금 설정이 해제되고 락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제2 타입 기능,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을 지시할 수 있으며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이 필요한 제3 타입 기능, 홈 스크린을 변경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제4 타입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화 시스템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지능형 서버(2201)는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2210), 자연어 이해(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NLU) 모듈(2220), 패스 플래너(path planner) 모듈(2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능형 서버(2201)는 앞서 도 1 내지 도 2b에서 설명한 지능형 서버(20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201)의 자동 음성 인식 모듈(2210), 자연어 이해 모듈(2220) 및 패스 플래너 모듈(2230)은 패스 룰(path rule)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ASR) 모듈(2210)은 사용자 단말(220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 모듈(2210)은 사용자 단말(2202)로부터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음성 신호 및 음성 락 해제 (또는 voice unlock) 기능과 관련한 음성 신호 (또는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신호의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자동 음성 인식 모듈(2210)은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의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사용자 단말(2202)(예: 사용자 단말(2202)의 음성 락 해제 기능과 관련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자동 음성 인식 모듈(2210)은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를 사용자 단말(2202)로부터 수신하여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자동 음성 인식 모듈(2210)은 사용자 단말(2202)로부터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를 수신하면, 텍스트 변환을 수행하고, 변환된 텍스트가 기 설정된 인증 정보(예: 인증용 텍스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인증을 할 수 있다. 자동 음성 인식 모듈(2210)은 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2202)에 제공할 수 있다. 자동 음성 인식 모듈(2210)에서 저장 관리되는 인증 정보(예: 음성 락 해제용으로 사전 등록된 인증 발화 정보 또는 음성 락 해제용으로 등록된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인증 텍스트)는 사용자 단말(2202)과의 협업을 통하여 갱신될 수 있다.
상술한 동작 수행과 관련하여, 자동 음성 인식 모듈(2210)은 앞서 도 2b에서 설명한 발화 인식 모듈의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음향 모델 및 언어 모델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자동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자동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예: 도 2b의 211)에는 인증 정보(예: 사용자 단말(2202)로부터 수신된 인증 발화 정보 또는 그에 대응하는 인증 텍스트)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 및 인증 발화 정보는 오디오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능형 서버(2201)는 화자 인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연어 이해 모듈(2220)은 앞서 도 2b에서 설명한 자연어 이해 모듈(220)과 같이, 문법적 분석(syntactic analyze) 및 의미적 분석(semantic analyze)을 수행하여 사용자 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스 플래너 모듈(2230)은 앞서 도 2b에서 설명한 패스 플래너 모듈(230)과 같이, 자연어 이해 모듈(2220)로부터 파악된 사용자의 의도를 이용하여 패스 룰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패스 룰은 사용자 단말(2202)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기능의 운용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입력부(예: 마이크),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발화 정보의 수집과, 음성 락 해제 여부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의 적어도 일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지능형 서비스 운용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 운용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동작 2301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예: Bixby 기능) 실행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202)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통하여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음성 신호(예: wake-up 신호 + 음성 명령과 관련한 발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의 턴-온 상태를 가지는 슬립 상태에서 깨움 음성 신호(예: wake-up)가 수집되면, 복수의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이후 입력되는 지정된 기간 동안 수집되는 음성 신호를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발화 정보로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수집한 음성 신호는 앞서 설명한 자동 음성 인식 모듈(2210)에 전달되고, 자동 음성 인식 모듈(2210)은 수집된 음성 신호의 텍스트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변화된 텍스트는 자연어 이해 모듈(2220)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기능 실행과 관련한 의도(intent) 추출에 이용되고, 추출된 의도는 패스 플래너 모듈(2230)의 패스 룰 생성에 이용될 수 있다. 패스 플래너 모듈(2230)은 생성된 패스 룰을 사용자 단말(2202)에 전달할 수 있다.
지능형 서버(2201)로부터 패스 룰이 수신되면, 동작 2303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락 설정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락 설정이 해제된 상태이거나, 락 설정이 없는 경우, 동작 2305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수집된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발화 정보를 기반으로 앞서 언급한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동작 2303에서 락이 설정된 경우, 동작 2307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202)은 디스플레이에 지정된 표시 정보(예: 음성 락 해제용 발화를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텍스트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지정된 오디오 정보(예: 음성 락 해제용 발화를 수행할 것을 요청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메모리에 저장된 음성 락 해제 요청과 관련한 표시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는 지능형 서버(2201)(예: NLG 모듈)에 음성 락 해제 요청과 관련한 표시 정보나 오디오 정보를 요청하고, 지능형 서버(2201)로부터 음성 락 해제 요청과 관련한 표시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표시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 락 해제 요청에 따라, 지정된 발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2309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202)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활성화하거나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고, 지정된 시간 동안 또는 지정된 이벤트 발생(예: 발화 관련 EPD(end point detection)) 검출 시까지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동작 2311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수집된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수집된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를 지능형 서버(2201)(예: 자동 음성 인식 모듈(2210))에 제공하고, 지능형 서버(2201)로부터 상기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02)은 수신된 텍스트와 기 저장된 인증 정보(예: 음성 락 해제용으로 저장된 인증 텍스트)를 비교하고, 일치 여부에 따라 인증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202)은 수집된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를 자체적으로 음성 인식하여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와 기 저장된 인증 텍스트 비교를 통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수집된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를 기 저장된 음성 신호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예: 특징점들의 일치 또는 음성 신호의 특정 패턴 일치 또는 음성 신호의 주파수 분석의 일치 등)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수집된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가 정상적으로 처리된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동작 2305로 분기하여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인증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하여 지능형 서버(2201)로부터 수신된 패스 룰을 실행할 수 있다.
수집된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않은 경우 동작 2313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지정 조건이 만족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를 위한 인증 절차가 지정된 횟수 동안 반복 실패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 수집 시작 이후 인증 성공을 수행하지 못하고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 처리와 관련한 종료 요청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지정 조건이 만족된 경우, 동작 2315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보안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202)은 사용자 단말(2202)을 지정된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없도록 잠금 설정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슬립 상태(디스플레이 턴-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사용자 단말(2202)은 지정된 전자 장치에 잠금 해제를 위한 시도 실패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지정된 크기 이상의 볼륨을 가지는 오디오 신호(예: 경고음, 알람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슬립 상태로 천이하거나, 락 설정 상태(예: 설정된 패턴 락을 화면에 출력하는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기능 운용과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2401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202)은 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락 해제 기능 설정 항목(2410)을 포함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 기능 설정 항목(2410)이 선택되면, 2403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202)은 단말의 락 설정이 운용되고 있는 상태(Secure lock available, 이하 일반 보안 기능 설정)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202)은 패턴 락(예: 지정된 패턴 입력을 통한 락 해제 설정)이나, 번호 락(예: 지정된 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해제되는 락 설정), 패스워드 락(예: 지정된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해제되는 락 설정) 등이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반 보안 기능이 설정된 상태이면, 사용자 단말(2202)은 2405 상태에서, 스크린 락 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202)은 패턴 락, 번호 락, 패스워드 락 등과 관련한 락 기능(예: 패턴 락 스크린 또는 번호 락 스크린, 또는 패스워드 락 스크린 출력)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락 해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는 이전 등록한 패턴이나, 번호 또는 패스워드 설정 상태 등을 재확인하거나 또는 새로운 패턴이나 새 번호나 새 문자 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반 보안 기능이 설정된 상태로 확인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407 상태에서,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예: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와 비교되는 인증 정보)가 세팅(또는 등록)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가 이미 세팅되어 있는 경우, 2409 상태에서, 음성 락 해제 기능(예: 음성 명령 기능 실행 과정에서 지정된 음성 또는 지정된 텍스트에 대응하는 음성에 의해 락이 해제되는 기능)을 턴-온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가 세팅되어 있지 않은 경우, 2411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 운용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인증과 관련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 인증과 관련한 화면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 운용에서 음성으로 락 설정을 해제할 수 있음을 안내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2411 상태의 화면에서, 계속(continue) 항목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의 등록 과정과 관련한 적어도 하나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일반 보안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2202)은 2413 상태에서,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가 이미 설정되어 있는 경우, 2415 상태에서, 음성 락 해제 기능(예: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하여 음성으로 락을 해제하는 기능)을 턴-오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가 세팅(또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2411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 운용과 관련한 음성 락 해제 기능의 설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2417 상태의 화면에서, 계속(continue) 항목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일반 보안 기능(예: 패턴 락, 번호 락, 패스워드 락 등)을 설정하는 과정 및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 등록 과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정과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의 세팅 방법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기능과 관련하여,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 세팅이 요청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501 상태에서와 같이, 인증 정보와 관련한 발화 세팅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발화 세팅 화면은 예컨대, 발화 시작을 설정할 수 있는 시작 버튼 항목(2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작 버튼 항목(2510)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503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발화를 지시하는 표시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발화하는 발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02)은 발화 정보 수집 중임을 안내하는 제1 표시 항목(2520)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발화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발화 정보를 수집하고, 2505 상태에서와 같이, 수집된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수집된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출력하는 동안, 사용자 단말(2202)은 발화 정보를 계속 수집 중임을 안내하는 제2 표시 항목(2530)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출력과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202)은 사용자가 발화한 발화 정보를 지능형 서버(2201)에 전송하고, 지능형 서버(2201)로부터 상기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로컬 음성 인식 기능을 기반으로 발화 정보를 텍스트로 변환하고, 변환된 텍스트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또는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507 상태에서와 같이, 인증 정보 확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 정보 확인은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 신호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사용자 의도에 맞는지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이벤트는 예컨대, EPD 획득, 지정된 하드웨어 버튼(예: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버튼 또는 홈 버튼, 전원 버튼이나 볼륨 버튼 등)의 누름 상태(예: 숏 프레스, 롱 프레스, 홀드, 탭, 더블 탭) 획득, 터치 스크린 상의 지정된 터치 이벤트 수집(예: 지정된 시간 내 지정된 횟수의 터치, 복수의 포인트 터치, 핀치 줌인 또는 핀치 줌 아웃 등), 스타일러스 팬을 이용하여 지정된 패턴의 입력 신호 획득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202)은 2509 상태에서와 같이, 발화 세팅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발화 세팅 대기 화면은 예컨대, 대기 표시 항목(2540)을 포함할 수 있다. 대기 표시 항목(2540)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503 상태로 진입하여, 사용자 발화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사용자 발화 정보를 수집하는 상태 및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거나 EPD 획득이 없는 상태에서, 제1 표시 항목(2520) 또는 제2 표시 항목(2530)이 눌려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509 상태에서와 같이 발화 세팅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발화 세팅 대기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별도의 발화 정보 수집을 중단하고, 음성 락 해제 기능과 관련한 안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안내 정보는 예컨대,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기능의 경우 음성의 고유 패턴 확인 없이 텍스트 변환 값이 동일한 경우 락 해제를 수행함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안내 정보는 음성 락 해제 기능의 특성 변경에 따라 음성 고유 패턴도 확인하는 형태의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기능에서의 인증 정보 확인과 관련한 화면의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601 상태에서와 같이 수집된 발화 정보에 대응하여 텍스트로 변환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텍스트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이 발화한 음성과 동일한지 확인할 수 있다. 텍스트 정보와 발화하고자 한 음성이 다르거나, 또는 다른 발화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전 화면을 요청(예: 재시도(Retry) 버튼 항목 선택을 통해 이전 화면 요청)할 수 있다. 이전 화면 요청 시, 사용자 단말(2202)은 2610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락 해제 기능과 관련한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의 세팅 초기 과정으로 분기(예: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의 세팅 초기 화면을 출력하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2610 상태는 이전 도 25에서 설명한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의 세팅 초기 과정 중 2501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텍스트 정보와 발화하고자 한 음성이 동일한 경우, 사용자는 다음 설정 화면을 요청(예: 계속(continue) 버튼 항목 선택을 통해 다음 화면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2202)은 2603 상태에서와 같이, 수집된 텍스트 정보를 음성 락 해제 기능과 관련한 인증 정보로 등록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등록 화면에서, 등록 완료를 지시하는 입력(예: 완료(Done) 버튼 항목 선택)이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620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인증 기능을 턴-온(또는 활성화)할 수 있다. 2603 상태에서, 이전 기능으로 복귀를 요청하는 입력(예: Back key 버튼 항목 선택)이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605 상태에서와 같이, 이전 기능의 복귀 요청을 확인하는 안내 정보(예: Toast pop-up)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202)은 이전 화면으로 복귀를 희망하는 경우 백키(Back-key)를 한번 더 누르도록 요청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백키가 한번 더 눌려지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607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의 세팅과 관련한 화면을 출력하는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2202)은 도 25에서 설명한 2501 상태에 대응하는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의 세팅 초기 과정으로 분기(2501 상태의 화면 출력)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기능 설정과 관련한 화면 인터페이스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701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락 해제 기능의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202)은 전자 장치의 설정 기능 선택 또는 음성 명령 기능의 환경 설정 또는 음성 락 해제 기능의 환경 설정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한 설정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2202)은 상기 설정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또는 상기 음성 락 해제 기능 설정과 관련한 음성 기반 설정 기능 호출이 발생하는 경우) 음성 락 해제 기능의 설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 기능의 설정 화면은 음성 락 해제 기능은 활성화할 것인지 또는 비활성화할 것인지를 조작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2701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 기능이 활성화(예: On) 상태이면 그에 대응하는 세팅 항목을 턴-온 상태(2710)로 표시할 수 있다. 세팅 항목이 조작되어 음성 락 해제 기능이 비활성화(예: off) 상태로 변경할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703 상태에서와 같이, 세팅 항목을 턴-오프 상태(2720)로 표시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 기능이 비활성화 상태에서, 음성 락 해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705 상태에서와 같이 일반 보안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일반 보안 기능은 앞서 언급한 패턴 락, 번호 락 또는 패스워드 락 등의 락 설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보안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701 상태로 분기하여 음성 락 해제 기능을 활성화 상태로 지시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일반 보안 기능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707 상태로 분기하여 일반 보안 기능 설정과 관련한 화면(또는 팝업)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일반 보안 기능 설정 관련 화면에서, 일반 보안 기능 설정을 취소(Cancel)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일반 보안 기능 설정 없이 2701 상태로 분기할 수 있다. 일반 보안 기능 설정 관련 화면에서 세팅 항목(예: SET LOCK)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709 상태로 분기하여 스크린 락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이전 등록된 패턴 락이나 번호 락, 패스워드 락 등을 활성화 상태로 변환하거나, 새로운 패턴이나 번호 등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일반 보안 기능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701 상태로 분기하여,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음성 락 해제 기능 활성화를 지시하는 2701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변경 항목(예: Change voice password)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변경 항목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711 상태에서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의 세팅 초기 과정(예: 앞서 언급한 2501 상태)으로 분기할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적용된 음성 락 해제 기능 운용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801 상태에서와 같이 AOD(Always on display) 상태(디스플레이를 제한적으로 운용하면서, 프로세서의 적어도 일부가 슬립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대기 상태 또는 슬립 상태(예: 디스플레이가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AOD 상태 또는 슬립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사용자 음성을 기반으로 전자 장치를 깨우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별도의 물리 버튼 또는 홈 버튼 등을 포함하고, 해당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처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를 깨우는 지정된 사용자 음성 입력 또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사용자 음성 입력(예: Hi galaxy 또는 Hi Bixby)이 수집되면, 2803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202)은 디스플레이를 턴-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202)은 2803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지능형 앱(Bixby)이 실행된 상태임을 지시하는 아이콘(예: “B”)을 디스플레이 일측에 출력할 수 있다. 2803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활성화하고,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발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상태(예: Listening)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2803 상태 및 2805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전체 화면 보기 항목(2810, 2820)을 출력하고, 전체 화면 보기 항목이 선택되면, 2830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하여 설정된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전체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출력되고 있다 하더라도, 사용자 단말(2202)은 스크린 락을 유지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전체 화면이 락 기능을 가지면서, 스크린 락 화면을 대체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사용자 발화 정보(예: Voice command)가 수집되면, 2805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수집된 사용자 발화 정보를 지능형 서버(2201)에 전송(Streaming)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지정된 이벤트(예: EPD 획득, 또는 지정된 물리 버튼의 지정된 누름 또는 누름 해제 상태)가 발생하기 이전까지 획득된 사용자 발화 정보를 실시간으로 지능형 서버(2201)에 전송할 수 있다. 지정된 이벤트(예: EPD 획득, 또는 지정된 물리 버튼의 지정된 누름 상태)가 획득되거나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2807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지능형 서버(2201)로부터 패스 룰을 수신(Processing)할 수 있다. 2809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수신된 패스 룰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패스 룰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상술한 2803 상태 내지 2809 상태는 일반 보안 기능 예컨대, 스크린 락이 설정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2811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패스 룰 실행과 관련하여 락 해제가 필요한지 확인할 수 있다. 락 해제가 필요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813 상태에서와 같이 패스 룰 실행에 따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락 해제가 필요하지 않도록 설정된 시계 정보, 날씨 정보, 음성 볼륨 제어, 전자 장치의 밝기 제어 등과 관련된 패스 룰이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락 해제 과정 없이 해당 패스 룰에 따른 기능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패스 룰 실행에 있어서, 락 해제가 필요한 경우, 2815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락 해제 기능이 세팅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 기능이 세팅되어 있으면, 사용자 단말(2202)은 2817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락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앞서 도 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 수집을 요청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성 락 해제용 발화를 수행하면, 발화 정보를 수집하고, 지능형 서버(2201)를 통하여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수집한 후,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인증 성공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 기능이 성공적으로 인증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하여 획득한 패스 룰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2815 상태에서, 음성 락 해제 기능이 세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819 상태로 분기하여, 일반 보안 기능에 따른 락 설정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2821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일반 보안 기능에 따라 설정된 락 해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락 해제에 실패한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819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일반 보안 기능에 따라 설정된 락이 해제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도 28b의 2823 상태로 분기하여 음성 명령 기능 실행 결과가 지정된 타입(예: Widget 또는 text)인지 확인(Result can be provided as Widget or text?)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데이터 타입은 예컨대, 보안성을 가지는 단순 정보 제공(예: 사용자 스케줄 정보 표시, 사용자 약속 표시, 사용자 금융 정보 표시 등)과 관련한 데이터 속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정된 타입은 예컨대, 락 해제가 요구되도록 설정된 정보이되,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정보(예: 단일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타입과 관련한 지정된 조건은 설정이나 설계 방식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정된 조건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정보, 특정 프로그램(예: 이메일, 메시지 등)과 연계된 정보 등의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의 실행 결과가 지정된 타입인 경우, 2825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202)은 보안성을 가지는 단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 실행 결과가 지정된 데이터 타입이 아닌 경우, 2827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파라메터 요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파라메터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따라 사용자 단말(2202) 측에서 사용자가 추가로 입력해야 할 입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파라메터가 추가로 요구되는 경우, 2829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202)은 파라메터 추가 입력과 관련하여 지능형 앱을 계속 실행하고, 사용자 입력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발화를 통해 수집되거나 또는 키 입력이나 터치스크린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추가 파라메터 입력이 필요 없는 경우, 2831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202)은 패스 룰에 따른 기능을 실행하고, 기능 실행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 종료가 요청되면, 2833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예컨대, 2831 상태에서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음성 명령 기능 종료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2833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도 29a 및 도 2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적용된 얼굴 인식 및 음성 락 해제 기능 운용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a 및 도 29b를 참조하면, 2901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AOD 상태를 가질 수 있다. AOD 상태는 예컨대, 제한된 정보(예: 시간 정보)를 적어도 일부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상태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활성화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입력(예: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물리 버튼 눌림 또는 음성 명령 기능을 깨우기 위한 사용자 음성 입력)이 발생하면, 2903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AOD 상태가 디스플레이 턴-온 상태로 변경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설정에 따라 카메라(예: IR(Infra-red) 카메라 또는 RGB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얼굴 인식이 실패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락 스크린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고, 사용자 얼굴 인식이 성공한 경우, 설정 화면(예: AOD 상태로 진입하기 직전 화면 또는 가상 키 입력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2903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2803 상태에서 유사하게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중임을 안내하는 아이콘(“B”)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02)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활성화하여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발화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상태(Listening)를 가질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발화 정보(예: voice command)가 수집되면, 2905 상태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2202)은 수집된 사용자 발화 정보를 지능형 서버(2201)에 전송(Streaming)할 수 있다. 상술한 발화 정보 수집 동안 사용자 단말(2202)은 사용자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2903 상태 및 2905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전체 화면 보기 항목들(예: Full screen)을 출력하고, 전체 화면 보기 항목이 선택되면,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발화 정보 입력이 종료되면(예: EPD 획득, 또는 지정된 물리 버튼의 누름 상태-롱 프레스, 더블탭 등), 사용자 단말(2202)은 2907 상태에서, 지능형 서버(2201)로부터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하여 제공한 사용자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 기능 결과(예: 패스 룰)를 수신(Processing)할 수 있다. 2909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수신된 결과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2911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결과에 따른 장치 운용을 위해 락 설정 해제가 필요한지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 결과가 락 해제 필요 없이 출력되도록 설정된 정보들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202)은 락 해제 필요 없이 출력하도록 설정된 정보 또는 정보 타입들에 대한 리스트를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에 등록되는 정보 또는 정보 타입들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변경되거나 또는 음성 명령 기능의 정책 변경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지능형 서버(2201)는 음성 명령 기능 결과에 대하여 락 해제가 필요한지 또는 락 해제가 필요 없는지에 대한 지시를 함께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202)은 해당 지시에 대응하여 락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락 해제가 필요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913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결과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락 해제가 필요한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915 상태에서, 얼굴 인증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얼굴 인증이 실패한 경우 또는 얼굴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는 설정이 없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917 상태에서, 음성 락 해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2919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 기능 기반의 음성 명령 기능의 결과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2919 상태의 동작은 앞서 설명한 도 28에서의 2817 상태의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2921 상태에서, 락 스크린 화면을 출력하고, 2923 상태에서, 락 해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락이 해제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2925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결과가 지정된 타입(예: 위젯 또는 텍스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 결과가 지정된 타입인 경우, 2927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지정된 타입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202)은 위젯 화면 또는 텍스트 화면을 통하여 음성 명령 기능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 결과가 지정된 타입이 아닌 경우, 2929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파라메터 요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파라메터가 요구되는 경우, 2931 상태에서, 추가 파라메터 입력에 따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202)은 복수의 실행 화면 출력 과정에서 추가 파라메터 입력이 요구되는 화면을 출력한 상태(Partial landing)를 가질 수 있다. 파라메터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 2933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 결과를 지정된 방식에 따라 출력할 수 있다. 음성 명령 기능 종료를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2935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을 종료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락 해제 기능 실행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을 요청하는 이벤트(예: 물리 버튼 입력, 음성 명령 기능을 깨우도록 설정된 발화 정보 수집)가 발생하면, 사용자 단말(2202)은 3001 상태에서와 같이,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 기능이 설정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락 해제와 관련한 락 스크린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와 관련한 발화를 요청하는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와 관련한 발화를 요청하는 안내 정보를 오디오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음성 락 해제와 관련한 발화 요청 안내 정보 출력 이후, 3003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 수집(Listening)을 위한 대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voice command)가 수집되면, 3005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획득된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202)은 지능형 서버(2201)에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로컬 음성 인식 DB를 기반으로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해당하는 텍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3007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획득된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가 등록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를 사전 저장 관리하고,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 또는 그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획득되면, 상기 인증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수집된 발화 정보가 등록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202)은 3009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발화 정보 수집을 위한 대기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와 함께 입력된 다른 발화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패스 룰을 지능형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패스 룰에 따른 기능(음성 명령 기능) 실행을 처리할 수 있다. 이 동작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락 해제 기능을 수행하면서, 지능형 서버(2201)로부터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패스 룰을 수신하는 상태이거나 또는 수신된 패스 룰을 저장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수집된 발화 정보가 등록된 인증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3011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2202)은 인증 정보와 다른 발화 정보가 수집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출력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사용자 단말(2202)은 3013 상태에서, 락 스크린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3013 상태는 예컨대, 음성 락 해제 기능과 관련한 락 스크린이 출력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3013 상태에서, 음성 락 해제 실패에 따라 사용자 단말(2202)은 음성 명령 기능을 강제 종료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을 수집하는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락 기능이 설정된 상태에서 음성 명령 기능 실행 요청이 수신되면, 발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명령 기능 결과를 지능형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음성 명령 기능 결과의 종류에 따라 음성 락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명령 기능 결과가 음성 락 해제가 필요 없도록 정의된 정보인 경우, 상기 음성 명령 기능 결과를 음성 락 해제 없이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음성 명령 기능 결과가 음성 락 해제가 선행되도록 정의된 정보인 경우, 음성 락 해제를 위한 인증용 발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인증용 발화 정보가 기 저장된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음성 락을 해제하고, 상기 음성 명령 기능 결과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일반 보안 기능(예: 패턴 락, 번호 락, 패스워드 락)과 음성 락 기능이 함께 설정된 경우, 음성 락 기능 해제 시 상기 일반 보안 기능의 락도 함께 해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터치스크린 상에 스윕 이벤트 발생에 따라 보호 화면을 제거하도록 설정된 보호 화면 표시 기능이 설정된 경우, 음성 락 기능 해제 시 상기 보호 화면도 함께 제거하고,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화면 또는 음성 명령 기능의 결과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 화면을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얼굴 인식 기능과 음성 락 기능이 함께 설정된 경우, 음성 락 기능 해제 시 상기 얼굴 인식 기능의 락 설정도 함께 해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을 수집하는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기반으로 실행되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실행 신호와 사용자 음성 입력 중 적어도 하나 수신 시, 음성을 기반으로 락을 해제하는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기 저장된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발화 정보 또는 상기 발화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수집되면, 상기 음성 명령 기능의 실행 결과의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음성 명령 기능과 관련한 사용자 단말(또는 전자 장치, 휴대용 단말) 운용 방법은 사용자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전자 장치의 상기 음성 명령 기능에 적용되는 음성 락 해제 기능 기반의 잠금 상태에 해당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동작, 사용자 발화 정보를 수집하는 동작, 상기 발화 정보의 적어도 일부가 기 저장된 음성 락 해제용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발화 정보 중에 음성 락 해제용 발화 정보를 제외한 나머지 발화 정보에 대하여, 지능형 서버로부터 음성 명령 기능 결과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음성 락 해제에 따라 수신된 음성 명령 기능 결과 중 적어도 일부를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19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9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제1 면과, 제1면과 마주보는 제2 면, 측면들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측면들 중 하나 또는 상기 제1 면을 통해 노출되는 입력 버튼;
    상기 하우징을 통해 노출되는 마이크로폰;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고 상기 통신 회로, 상기 버튼, 상기 마이크로폰 및 디스플레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 동작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락 스크린이 표시되는 동안 전자 장치의 락 상태를 유지하고,
    락 상태에서 생체 센서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락 스크린을 출력하는 동안 언락 상태의 장치 상태를 변경하고,
    버튼이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제1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랙티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장치가 언락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입력 수신 이후,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 요청을 수신하고,
    통신 회로를 통해 서버에 사용자 요청과 관련한 제1 데이터를 전송하고,
    통신 회로를 통해 서버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와 관련한 제2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기반으로 기능을 수행하되,
    상기 액션은
    장치의 락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는 제1 타입 기능;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잠금 설정이 해제되고 락 스크린이 표시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제2 타입 기능;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을 지시할 수 있으며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이 필요한 제3 타입 기능;
    홈 스크린을 변경하고 다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제4 타입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디스플레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음성 입력을 기반으로 지정된 음성 명령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메모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실행 신호와 사용자 음성 입력 수신 시,
    잠금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또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 출력과 관련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전체를 접근할 수 있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접근할 수 있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해제 상태이거나 잠금 설정이 없는 경우,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스처 입력에 의하여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잠금 설정 상태이면,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제스처 입력에 의하여 잠금이 해제될 수 있는 잠금 설정 상태이면, 상기 실행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 중 적어도 일부를 버퍼링하고, 상기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버퍼링된 적어도 일부의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부분 기능 실행 상태에서 지정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다시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가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수행되어야 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서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자동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결과에 따라 상기 부분 기능 실행 상태 또는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실행 신호 입력과 관련한 버튼;
    상기 버튼 내에 또는 상기 버튼에 인접된 영역에 배치된 지문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신호 입력 시 자동으로 검출된 지문 정보를 기반으로 지문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지문 인증 완료 시,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사용자 홍채 또는 얼굴 인식용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실행 신호 입력 시 자동으로 사용자 홍채 또는 얼굴을 인식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인증 완료 시,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공공성을 띠는 힌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해제 상태이거나 잠금 설정이 없으면,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개인성을 띠는 힌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잠금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음성 명령 기능의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에서 지정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잠금 설정을 해제하고 지정된 화면을 배경으로 상기 음성 명령 기능의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를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7. 사용자 음성 인식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한 실행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전자 장치의 잠금 상태를 확인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또는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 출력과 관련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 전체를 접근할 수 있는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의 일부를 접근할 수 있는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 실행 운용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동작은
    상기 음성 명령 기능 실행과 관련하여 할당된 물리 버튼의 눌림을 검출하는 동작;
    활성화된 마이크를 기반으로 지정된 단어에 대응하는 음성 수집이 확인하는 동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 실행 운용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부분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 실행 운용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가 잠금 해제 상태이거나 잠금 설정이 없으면 상기 전체 기능 실행 상태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음성 입력에 대응하는 결과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 실행 운용 방법.
KR1020170081506A 2017-02-28 2017-06-27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 실행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76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06,144 US11314898B2 (en) 2017-02-28 2018-02-27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function execution based on voice command in locked st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201810164602.9A CN108509119B (zh) 2017-02-28 2018-02-27 用于功能执行的电子设备的操作方法和支持其的电子设备
PCT/KR2018/002361 WO2018159971A1 (en) 2017-02-28 2018-02-27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function execution based on voice command in locked st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EP18159281.7A EP3382530B1 (en) 2017-02-28 2018-02-28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function execution based on voice command in locked st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705 2017-02-28
KR20170026705 2017-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423A true KR20180099423A (ko) 2018-09-05
KR102376964B1 KR102376964B1 (ko) 2022-03-22

Family

ID=6359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506A KR102376964B1 (ko) 2017-02-28 2017-06-27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 실행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9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447A1 (en) * 2019-09-02 2021-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assistant service
WO2022010187A1 (ko) * 2020-07-07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인증 동작 수행 방법
US11640451B2 (en) 2019-04-25 2023-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biometric authentication function and intelligent agent function using user input in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9755B1 (ko) * 2023-05-31 2024-02-23 농협은행(주) 전자 장치 제어를 지원하는 서버 및 이의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7503A1 (ko) * 2012-03-16 201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연언어처리를 이용하는 잠금 해제 수행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50033958A (ko) * 2013-09-25 2015-04-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인식 시스템, 하이브리드 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74243B1 (ko) * 2014-09-12 2015-12-03 (주)한국플랫폼서비스기술 심볼을 이용한 보안 상태 해제 방법
KR20160127614A (ko) * 2015-04-27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7503A1 (ko) * 2012-03-16 2013-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연언어처리를 이용하는 잠금 해제 수행 방법 및 그 단말기
KR20150033958A (ko) * 2013-09-25 2015-04-0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인식 시스템, 하이브리드 인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74243B1 (ko) * 2014-09-12 2015-12-03 (주)한국플랫폼서비스기술 심볼을 이용한 보안 상태 해제 방법
KR20160127614A (ko) * 2015-04-27 2016-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0451B2 (en) 2019-04-25 2023-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biometric authentication function and intelligent agent function using user input in electronic device
WO2021045447A1 (en) * 2019-09-02 2021-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assistant service
US11501755B2 (en) 2019-09-02 2022-1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oice assistant service
WO2022010187A1 (ko) * 2020-07-07 2022-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인증 동작 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964B1 (ko) 202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82530B1 (en)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for function execution based on voice command in locked stat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582337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CN108121490B (zh) 用于处理多模式输入的电子装置、方法和服务器
CN109243432B (zh) 话音处理方法以及支持该话音处理方法的电子设备
KR102414122B1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199350B (zh) 用于感测语音结束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电子设备
US20220130388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user speech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0706847B2 (en) Method for operating speech recognition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11042703B2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natural language expression by using framework
KR102356969B1 (ko)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US11537360B2 (en) System for processing user utterance and control method of same
KR20180089200A (ko) 음성 입력 처리 방법,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시스템
KR2018004780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EP3603040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of electronic device
KR102653450B1 (ko) 전자 장치의 입력 음성에 대한 응답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76964B1 (ko) 잠금 상태에서의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하는 기능 실행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80109625A (ko) 음성 인식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S2950974T3 (es) Dispositivo electrónico para realizar una tarea que incluye una llamada en respuesta al pronunciamiento de un usuario y procedimiento de operación del mismo
KR20190032026A (ko) 자연어 표현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004075B2 (en)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payment using utterance
KR2019012737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KR20180121761A (ko) 사용자 발화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20210020177A1 (en) Device for processing user voice input
KR20180121254A (ko) 그래픽 표시를 출력하는 전자 장치
KR20190113130A (ko) 사용자 음성 입력을 처리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