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161A -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161A
KR20180099161A KR1020170026234A KR20170026234A KR20180099161A KR 20180099161 A KR20180099161 A KR 20180099161A KR 1020170026234 A KR1020170026234 A KR 1020170026234A KR 20170026234 A KR20170026234 A KR 20170026234A KR 20180099161 A KR20180099161 A KR 2018009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urrent
voltage
value
battery
photo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6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782B1 (ko
Inventor
조성현
허진석
김덕수
이종국
김호수
임근욱
박종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026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7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7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reverse polarity correcting or pro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02H3/08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for d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전 스위치의 게이트단과 소스단에 포토 릴레이를 연결시켜 역접속 시 과전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SYSTEM FOR PREVENTING OVER CURRENT FLOW}
본 발명은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전 스위치의 게이트단과 소스단에 포토 릴레이를 연결시켜 역접속 시 과전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전력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며 주야 간, 계절 간, 일별 간의 전력 사용량의 격차가 점차 심화되고 있다. 최근에 이러한 이유로 계통의 잉여 전력을 활용하여 피크 부하를 삭감하기 위한 많은 기술들이 빠르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들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계통의 잉여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하거나 계통의 부족 전력을 배터리에서 공급해주는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이다.
상기 ESS는 에너지 발생장치, 인버터, 배터리 및 부하를 포함한다.
정상적인 에너지 공급 시에는 에너지 발생장치에서 생성된 전기에너지를 부하에 공급한다. 동시에 에너지 발생장치의 잉여 전력은 전력 변환 장치인 인버터를 통해 변환되어 배터리에 충전된다.
그 후, 피크 전력이거나 정전 시에는 상기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인버터를 통해 변환하여 부하에 공급한다.
한편, 이러한 ESS 구성 시 인버터와 배터리를 체결하는 경우, (+)와 (-)단자를 잘못 연결하여 큰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르는 위험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과전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내에는 배터리의 전류를 온/오프 하여 보호하는 보호회로 및 보호퓨즈가 구성되어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보호퓨즈를 융단시키거나 보호회로 내의 스위치를 오프 시켜 배터리를 보호한다.
그러나 이러한 보호회로 구성은 BMS를 통해 제어되므로 상기 보호퓨즈보다 응답속도가 느리고, 보호퓨즈는 한번 융단되면 교체해야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역접속은 단순히 (+)와 (-) 단자의 모양을 현재의 O-ring 형식과는 다른 각각의 모양을 형성하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지만, 접속단자는 사용자에 따라 변경되므로 접속단자를 변경하는 경우, 생산단가가 높아지고 생산된 제품을 범용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단자형태를 다르게 형성하거나 BMS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시스템상에 별도의 구성을 형성하여 제품의 범용성을 향상시키며 역접속 시 생성되는 과전류의 유입을 빠르게 방지하는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KR 2012-0096217 A
본 발명은 단자 역접속 시 생성되는 과전류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은 전원 역접속 시 과전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에 있어서, 방전 스위치부 및 제1 측은 상기 방전 스위치부 내 게이트단에 연결되고, 제2 측은 방전 스위치부 내 소스단에 연결되고, 제3 측은 전원 역접속 시 과전류 유입경로를 형성하는 배터리 (-)측과 연결되며 제4 측은 배터리 (+)측에 연결되는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의 제3 측을 통해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의 제1 측과 제2 측이 도통되어 상기 방전 스위치부가 단락된다.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의 제3측의 과전류 유입경로 상에 과전류 보호저항부가 배치된다.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는, 포토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포토 릴레이는,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의 제3 측에서 제4 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순방향 연결되는 다이오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포토 릴레이는,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 내 제 1측 및 제 2측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소정의 전압 값 이상이 인가되면 온 되어 제 1측 및 제 2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스위칭부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는, 상기 포토 릴레이가 온 되는 경우, 상기 방전 스위치부를 온/오프 제어하는 BMS에 역접속 신호를 전송하는 알림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알림부로부터 역접속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BMS는, 배터리 외부에 장착된 별도의 표시장치로 역접속 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 구성방법은 전원 역접속 시 과전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원 역접속 시 유입되는 과전류의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단계, 상기 전압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보호저항부의 최소 값을 산출하는 저항부 최소 값 산출단계, 방전 시 배터리 내의 전압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유입 시 포토 릴레이를 온 시키는 소정의 전압 값을 설정하는 전압 값 설정단계 및 상기 저항 최소 값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과전류 저항부의 최소 값 및 상기 전압 값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소정의 전압 값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보호저항부의 선정 기준 값을 설정하는 저항부 기준 값 설정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압측정단계는, 소정 횟수 반복 수행한다.
상기 저항부 최소 값 산출단계는, 상기 전압측정단계에서 소정 횟수 반복 수행 후 측정된 전압 값 중 최고 값을 사용한다.
상기 저항부 최소 값 산출단계에서의 과전류 보호저항부의 최소 값은 포토 릴레이의 내압 크기를 근거로 하여 설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은 기존의 방전 스위치에 포토 릴레이를 추가하여 역접속 시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포토 릴레이를 이용하여 방전 스위치를 물리적으로 단락시킴에 따라 배터리를 과전류로부터 빠르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 구성방법의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지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식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실시 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은 방전 스위치의 게이트단과 소스단에 포토 릴레이를 포함한 과전류 유입방지 회로부를 연결하여 전원 역접속 시 과전류가 배터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100)은 방전 스위치부(110) 및 제1 측은 상기 방전 스위치부 내 게이트단에 연결되고, 제2 측은 방전 스위치부 내 소스단에 연결되고, 제3 측은 전원 역접속 시 과전류 유입경로를 형성하는 배터리 (-)측과 연결되며 제4 측은 배터리 (+)측에 연결되는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원이 역접속되어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3 측을 통해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1 측과 제2 측이 도통되어 상기 방전 스위치부(110)가 단락됨에 따라 배터리로 과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은 ESS 구성 시 인버터와 배터리를 체결하는 과정에 (+)와 (-)단자를 잘못 연결하여 큰 전류 및 전압이 순간적으로 흐르는 위험한 상황을 방지하고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100)은 과전류 방지제어가 BMS를 거치지 않으므로 보다 빠른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상기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의 각 구성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방전 스위치부(110)는 FET로 구성되어 배터리에서 부하공급 시 흐르는 방전전류를 온/오프 한다.
또한, 상기 방전 스위치부(110)의 드레인단은 충전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있고, 방전 스위치부(110)의 온/오프를 담당하는 게이트단은 배터리의 BMS와 상기 과전류 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1 측과 연결되어 있으며, 소스단은 과전류 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2 측과 연결되어 전원 역접속으로 인하여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제1 측과 제2 측은 도통되어 물리적으로 단락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전 스위치부(110)가 단락되는 경우, 방전 스위치부(110)의 상태는 계속 오프 상태이며 온 제어가 불가하다.
그러므로 배터리와의 역접속으로 인해 생성된 과전류는 배터리에 역접속된 인버터가 제거될 때까지 배터리로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전원이 역접속되는 경우, 배터리의 (+)전압은 (-)로 변환되고, (-) 전압은 (+) 전압으로 변환되어 마치 방전을 수행하는 것과 같은 구조로 전환된다.
따라서 상기 과전류 유입경로는 충전 스위치부가 아닌 방전 스위치부(110)에 연결하여 방전 시와 유사하게 방전 스위치부(110)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는 제1 측이 상기 방전 스위치부 내 게이트단과 연결되고, 제2 측이 방전 스위치부 내 소스단과 연결되고, 제3 측이 전원 역접속 시 과전류 유입경로를 형성하는 배터리 (-)측과 연결되며 제4 측이 배터리 (+)측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3 측의 과전류 유입경로 상에는 과전류 보호저항부(122)가 배치된다.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면,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는 포토 릴레이(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포토 릴레이(121)는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3 측에서 제4 측으로 전류가 유입되는 경우에만 구동될 수 있는 다이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마디로 말해 상기 다이오드는 상기 과전류 유입 방지회로부의 제3 측에서 제4 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순방향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포토 릴레이(121) 내 다이오드로 인하여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4 측에서 제3 측으로 전류가 유입되는 경우에는 과전류 유입 방지 시스템(100)이 구동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포토 릴레이(121) 내에는 상기 방전 스위치부(110)의 게이트단과 소스단에 연결된 한 쌍의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소정의 전압 값 이상이 인가되면 온 되어 제1 측 및 제2 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방전 스위치부(110)의 게이트단과 소스단을 도통시킨다.
만약,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인가된 전압의 값이 소정의 전압 값 미만인 경우에는 과전류가 유입되지 않은 걸로 판단하여 상기 과전류 유입 방지회로부(120)를 구동하지 않고 단지 전류가 배터리 (-)측에서 (+)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소정의 전압 값은 배터리 방전 시 배터리 내부에 흐르는 전압 값의 1.5~2.5배 이내의 값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토 릴레이(121)는 포토 모스 릴레이, 포토 커플러 중 하나로 구성할 수 있는데, 포토 모스 릴레이는 무극성이므로 교류, 직류 모두 제어가 가능하고, 일반 기계식 릴레이보다 응답속도가 빠르며, 고감도이고,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토 커플러는 포토모스 릴레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여 경제성이 있으므로, 빠른 과전류 방지제어를 수행하고 싶으면 포토 모스 릴레이로 구성하고, 생산단가를 감소시키고 싶으면 포토 커플러를 사용하는 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과전류 보호저항부(122)는 상기 과전류 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3 측의 과전류 유입경로 상에 배치되어 과전류 유입경로를 통해 유입되는 과전류의 전압을 감소시킨다.
여기서 상기 과전류 보호저항부(122)에는 상기 포토 릴레이(121)에 포토릴레이(121)가 버틸 수 있는 내압 크기 미만의 전압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과전류 보호 저항 값이 설정된다.
또한, 과전류 보호저항부(122)는 하나의 큰 저항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저항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전류 유입 방지회로부(120)는 상기 포토 릴레이(121)가 온 되는 경우, 상기 방전 스위치부(110)를 온/오프 제어하는 BMS에 역접속 신호를 전송하는 알림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알림부는 상기 과전류 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1 측에 연결되어 상기 포토 릴레이(121)가 온 되는 즉시 상기 BMS에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알림부로부터 역접속 신호를 전송받은 BMS는 배터리 외부에 장착된 별도의 표시장치로 역접속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전원이 역접속된 것을 알아차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별도의 표시장치는 알림음, 표시등 또는 ESS를 관리하는 서버의 모니터 등을 의미한다.
배터리와 인버터 체결 시 인버터의 극이 배터리에 역접속되는 경우, 배터리의 (+)극은 (-)극이 되고, (-)극은 (+)극이 되어 상기 전원 유입경로를 통해 과전류가 유입되고, 유입되는 과전류는 상기 과전류 보호저항부(122)를 통과한다.
상기 과전류 보호저항부(122)를 통과하여 감소된 전압을 가지는 과전류는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3측으로 들어간다.
상기 과전류는 상기 포토 릴레이(121) 내 한 쌍의 스위칭부를 온 시켜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1 측에서 제2 측으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의 제1 측에서 제2 측으로 흐르는 전류는 상기 방전 스위치부(110)의 게이트단 및 소스단으로 흘러 자동으로 방전 스위치부(110)가 단락되는 형태를 띄게 한다.
상기 포토 릴레이(121)에서 온 되는 경우,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120) 내 알림부는 상기 방전 스위치부(110)와 연결된 BMS에 역접속 신호를 전송한다.
역접속 신호를 전송받은 BMS는 별도의 표시장치에 다시 역접속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상기 인버터의 역접속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실시 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 구성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 구성방법은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의 각 부분의 기준 값을 산출하고 설정하여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방법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 구성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 구성방법은 우선 전원 역접속 시 유입되는 과전류의 전압 값을 측정하고(전압측정단계: S210), 측정된 전압 값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보호저항부(122)의 기준 최소 값을 산출한다(저항부 최소 값 산출단계: S220).
또한, 방전 시 배터리 내의 전압을 근거로 하여 포토 릴레이(121)를 온 시키는 소정의 전압 값을 설정하고(전압 값 설정단계: S230), 상기 저항 최소 값 산출단계(S220)에서 산출된 과전류 보호저항부(122)의 최소 값 및 전압 값 설정단계(S230)에서 설정된 소정의 전압 값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보호저항부(122)의 선정 기준 값을 설정한다(저항부 기준 값 설정단계: S240).
이와 같이 각 단계에서 설정된 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100)의 각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 구성방법의 각 단계는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전압측정단계(S210)는 전원 역접속 시 유입되는 과전류의 전압 값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소정 횟수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소정 횟수는 일 실시 예로서, 7로 설정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소정 횟수 반복 수행 후 측정된 전압 값 중 최고 값을 상기 저항 최소 값 산출단계(S220)에서 사용하는 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과전류의 전압 값을 측정하는 동시에 전류 값도 측정한다.
또한, 상기 저항 최소 값 산출단계(S220)는 상기 전압측정단계(S210)에서 측정된 전압 값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보호저항부(122)의 최소 값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포토 릴레이(121)는 온/오프 응답속도가 빠르며 높은 내압 크기를 가진 부품으로 기 선정되었다.
과전류 보호 저항부(122)의 최소 값은 기 설정된 포토 릴레이(121)의 내압 크기 미만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도록 상기 전압측정단계(S210)에서 측정된 전압을 근거로 하여 산출된다.
이는 상기 전압측정단계(S210)에서 측정된 전압 최대 값을 상기 포토 릴레이(121)의 내압 크기로 빼고 남은 전압 값을 전류 값과 나누는 방법으로 과전류 보호 저항부(122)의 최소 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압측정단계(S210)에서의 전압 최대 값이 10V로 측정되었고, 상기 포토 릴레이(121)의 내압크기는 6V이며 과전류가 2A로 흐르는 경우, 상기 과전류 보호 저항부(122)의 최소 값은 2Ω으로 산출된다. 이는 포토 릴레이(121)가 보호되기 위해서는 과전류 보호 저항부(122)가 2Ω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전압 값 설정단계(S230)는 포토 릴레이(121)를 온 시키는 소정의 전압 값을 설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포토 릴레이(121) 내에는 한 쌍의 스위칭부가 존재하여 소정의 전압 값 이상이 인가된 경우에만 온 된다.
따라서 과전류 보호저항부(122)를 통과한 전압은 소정의 전압 값 이상이 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전압 값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보호저항부(122)의 최대 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소정의 전압 값은 배터리 방전 시 배터리 내부에 흐르는 전압 값의 1.5~2.5배 이내의 값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전류 보호저항부(122)의 최대 값 산출 방법은 상기 전압측정단계(S210)에서 측정된 전압 최대 값을 상기 소정의 전압 값으로 나누어 남은 소수점은 내리는 방법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 방전 시 배터리 내부에 흐르는 전압 값이 2V로 측정된 경우, 상기 포토 릴레이(121)를 온 시키는 소정의 전압 값은 3V로 설정하고, 상기 전압측정단계(S210)에서 측정된 전압 최대 값이 10V인 경우, 포토 릴레이(121)가 온 될 수 있도록 상기 과전류 보호 저항부(122)의 최대 값은 3Ω으로 산출된다. 이는 포토 릴레이(121) 내 한 쌍의 스위칭부가 온 되기 위해서는 과전류 보호 저항부(122)가 3Ω이하로 설정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저항 기준 값 설정단계(S240)는 상기 저항 최소 값 산출단계(S220)에서 산출된 저항의 최소 값 및 전압 값 설정단계(S230)에서 설정된 소정의 전압 값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보호저항부(122)의 선정 기준 값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좀 더 엄밀하게 말하자면, 상기 전압 값 설정단계(S230)의 소정의 전압 값을 근거로 하여 산출된 과전류 보호저항부(122)의 최대 값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보호저항부(122)의 선정 기준 값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저항 최소 값 산출단계(S220)에서 산출된 과전류 보호저항부의 최소 값이 2Ω이고, 상기 전압 값 설정단계(S230)에서 산출된 과전류 보호저항부의 최대 값이 3Ω인 경우, 3Ω으로 설정하여 상기 포트 모스 릴레이가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서술한 특허청구범위 기술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110: 방전 스위치부
120: 과전류 유입 방지회로부
121: 포토 릴레이
122: 과전류 보호저항부

Claims (11)

  1. 전원 역접속 시 과전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에 있어서,
    방전 스위치부; 및
    제1 측은 상기 방전 스위치부 내 게이트단에 연결되고, 제2 측은 방전 스위치부 내 소스단에 연결되고, 제3 측은 전원 역접속 시 과전류 유입경로를 형성하는 배터리 (-)측과 연결되며 제4 측은 배터리 (+)측에 연결되는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의 제3 측을 통해 과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의 제1 측과 제2 측이 도통되어 상기 방전 스위치부가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의 제3 측의 과전류 유입경로 상에 과전류 보호저항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는, 포토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토 릴레이는,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의 제3 측에서 제4 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순방향 연결되는 다이오드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포토 릴레이는,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 내 제1 측 및 제2 측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오드를 통해 소정의 전압 값 이상이 인가되면 온 되어 제1 측 및 제2 측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스위칭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과전류유입 방지회로부는, 상기 포토 릴레이가 온 되는 경우, 상기 방전 스위치부를 온/오프 제어하는 BMS에 역접속 신호를 전송하는 알림부; 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로부터 역접속 신호를 전송받은 상기 BMS는 배터리 외부에 장착된 별도의 표시장치로 역접속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8. 전원 역접속 시 과전류 유입을 방지하는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원 역접속 시 유입되는 과전류의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측정단계;
    상기 전압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보호저항부의 최소 값을 산출하는 저항부 최소 값 산출단계;
    방전 시 배터리 내의 전압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유입 시 포토 릴레이를 온 시키는 소정의 전압 값을 설정하는 전압 값 설정단계; 및
    상기 저항 최소 값 산출단계에서 산출된 과전류 저항부의 최소 값 및 상기 전압 값 설정단계에서 설정된 소정의 전압 값을 근거로 하여 과전류 보호저항부의 선정 기준 값을 설정하는 저항부 기준 값 설정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 구성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압측정단계는, 소정 횟수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 구성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 최소 값 산출단계는,
    상기 전압측정단계에서 소정 횟수 반복 수행 후 측정된 전압 값 중 최고 값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 구성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항부 최소 값 산출단계에서의 과전류 보호저항부의 최소 값은 포토 릴레이의 내압 크기를 근거로 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유입 방지시스템 구성방법.
KR1020170026234A 2017-02-28 2017-02-28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KR102253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34A KR102253782B1 (ko) 2017-02-28 2017-02-28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6234A KR102253782B1 (ko) 2017-02-28 2017-02-28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161A true KR20180099161A (ko) 2018-09-05
KR102253782B1 KR102253782B1 (ko) 2021-05-20

Family

ID=63594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6234A KR102253782B1 (ko) 2017-02-28 2017-02-28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7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2547A1 (en) * 2020-06-08 2021-12-16 A123 Systems, LLC Protection circuit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2352308B1 (ko) * 2021-07-23 2022-01-17 주식회사유비씨에스 충전 검출에 의한 웨이크업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3612A (ja) * 1995-11-30 1997-06-20 Sanyo Electric Co Ltd 充電回路
JP2000333366A (ja) * 1999-05-18 2000-11-30 Nec Saitama Ltd 逆接続保護回路
JP2006101696A (ja) * 1997-06-09 2006-04-13 Ricoh Co Ltd 充放電保護回路
KR20070076627A (ko) * 2006-01-19 2007-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회로
WO2007110913A1 (ja) * 2006-03-27 2007-10-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JP2010114957A (ja) * 2008-11-04 2010-05-20 Jtekt Corp モータ駆動回路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20096217A (ko) 2011-02-22 2012-08-3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KR20140065951A (ko) * 2012-11-22 2014-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08143A (ko) * 2013-02-28 2014-09-05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3612A (ja) * 1995-11-30 1997-06-20 Sanyo Electric Co Ltd 充電回路
JP2006101696A (ja) * 1997-06-09 2006-04-13 Ricoh Co Ltd 充放電保護回路
JP2000333366A (ja) * 1999-05-18 2000-11-30 Nec Saitama Ltd 逆接続保護回路
KR20070076627A (ko) * 2006-01-19 2007-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회로
WO2007110913A1 (ja) * 2006-03-27 2007-10-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系統連系インバータ装置
JP2010114957A (ja) * 2008-11-04 2010-05-20 Jtekt Corp モータ駆動回路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KR20120096217A (ko) 2011-02-22 2012-08-30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KR20140065951A (ko) * 2012-11-22 2014-05-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140108143A (ko) * 2013-02-28 2014-09-05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충방전 제어 회로 및 배터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2547A1 (en) * 2020-06-08 2021-12-16 A123 Systems, LLC Protection circuit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US11670938B2 (en) 2020-06-08 2023-06-06 A123 Systems, LLC Protection circuit for battery management system
KR102352308B1 (ko) * 2021-07-23 2022-01-17 주식회사유비씨에스 충전 검출에 의한 웨이크업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782B1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73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protection systems for storage batteries
US9941717B2 (en) Battery device
US10910851B2 (en) Overcurrent, overcharge, and overdischarge detection and responsive switch control
JP6088289B2 (ja) 充放電制御回路及びバッテリ装置
KR101537133B1 (ko)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KR102439642B1 (ko) 배터리 장치
JP2016048995A (ja) 保護回路
JP2015173569A (ja) 予備充放電機能を有する電池パック
WO2013108336A1 (ja) 二次電池保護回路、電池パック及び電子機器
CN105765815A (zh) 浪涌电流限制电路
JP2008245400A (ja) 電池パック
JP2022048104A (ja) インテリジェント制御システム、緊急始動電源及びインテリジェントバッテリークリップ
KR20150082369A (ko) 입력 어댑터의 제거 시에 배터리 충전기의 입력 전압의 부스팅 방지
KR20180099161A (ko)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JP2014169933A (ja) バッテリ装置
KR102265843B1 (ko) 과전류 유입 방지시스템
JP6412757B2 (ja) 電源装置
JP2014138531A (ja) 電源装置、電源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068310A (ko) 배터리 상태 감시 회로 및 배터리 장치
JP2015035924A (ja) 過電流保護装置
JP2015173568A (ja) 電池保護回路および電池パック
JP3192305U (ja) 電力供給装置の保護装置
KR102131986B1 (ko) 배터리의 과충전 방지 장치
JP2008054412A (ja) 充放電制御回路及び充電式電源装置
KR20210028356A (ko) 배터리 차단 장치, 배터리 장치 및 전력 차단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