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821A -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821A
KR20180098821A KR1020170025434A KR20170025434A KR20180098821A KR 20180098821 A KR20180098821 A KR 20180098821A KR 1020170025434 A KR1020170025434 A KR 1020170025434A KR 20170025434 A KR20170025434 A KR 20170025434A KR 20180098821 A KR20180098821 A KR 20180098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lactic acid
dermis
d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형우
이승호
Original Assignee
네이트라코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트라코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트라코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8821A/ko
Publication of KR2018009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82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상자, 고삼, 맥문동, 현삼, 황금 및 황련의 한방복합추출물과 항노화 효능이 있는 진피 발효물을 혼합하여 항노화 효능을 더욱 향상시킨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herbal complex extract and a pre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항노화 및 피부주름개선 효과가 우수한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이 저하되고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감퇴되어 외부 스트레스에 취약해지며, 질병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어 만성 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변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노화는 생명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으로, 피부 역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가 진행되며, 피부 주름은 노화된 피부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노화 정도를 가늠하는 가장 일반적인 기준이다. 노화의 원인은 자외선 노출로 인한 피부 손상, 흡연, 음주, 스트레스 등의 외재적 요인과 유전 인자와 같은 내재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 외재적 요인인 자유라디칼 생성에 따른 신체의 산화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은 노화의 주요 기전으로 지목되고 있다.
노화의 주요 요인인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로도 불리며, 체내 세포의 대사과정에서 끊임없이 생성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주도하고 피부를 산화 상태로 만든다. 계속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는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세포간질 성분을 파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활성화하며, 탄력 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히아루론산 사슬의 절단, 멜라닌 생성반응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야기시킨다. 이 외에도 피부에 염증을 유발하고 피부면역기능을 억제시켜 세균 감염증 또는 발암율을 증가시키며, 그 결과 탄력감소, 주름, 기미, 주근깨 등으로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킨다. 따라서 피부세포를 보호하고 결합조직의 손상을 억제하여 피부 노화를 지연 및 예방하기 위해서는 활성산소의 과잉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활성산소의 효율적인 제거가 필요하다.
한편, 항산화 물질은 산화를 방지하는 물질로, 활성산소와 반응하여 이들의 독성을 제거하며 체내의 손상된 세포를 회복시킨다. 항산화 물질로는 카로테노이드류(베타카로틴, 라이코펜, 루테인), 플라보노이드류(안토시아닌, 카테킨, 레스베라트롤, 프로안토시아니딘), 이소플라본류(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비타민, 미네랄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항산화 물질은 외부에서 체내로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노화 방지를 위한 항산화 물질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항산화 물질의 경우 피부에 안전하며 외부 조건에 안정성이 확보되고 화장품 원료들과의 상용성 또한 우수하여야 한다. 그러나 천연 항산화 물질의 경우 자체안정성이 떨어져 제형 이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합성 항산화 물질의 경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제형내 안정성이 우수하나 최근 변이원성 및 독성이 부각되면서 보다 안전하고 활성이 강한 천연물 유래 항산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한방식물인 사상자, 고삼, 맥문동, 현삼, 황금 및 황련의 한방복합추출물과 진피 발효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KR 1020130079146 A
본 발명의 목적은 한방복합추출물과 진피 발효물의 유효성분을 함유함으로써 항노화 및 피부주름개선 효과를 향상시키며 미백 효과가 있는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a) 사상자, 고삼, 맥문동, 현삼, 황금 및 황련을 각각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사상자, 고삼, 맥문동, 현삼, 황금 및 황련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혼합하여 한방복합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d) 진피를 유산균 발효시키는 단계; (e) 상기 한방복합추출물에 상기 진피 발효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은 40℃ 내지 60℃에서 4일 내지 7일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피 발효물은 15℃ 내지 45℃에서 3일 내지 20일 동안 발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산균은 무우 분말에 소금, 설탕 및 물을 혼합하고 이를 자연 상태에서 배양하여 얻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커스 속 유산균(Streptococcus sp.), 페디오코커스 속 유산균(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 유산균(Leuconostoc sp.) 및 비피도박테리움 속 유산균(Bifidobacterium s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d) 단계의 발효 단계에서 pH는 4 내지 4.5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산균의 접총 초기 농도는 105 내지 108 cfu/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방복합추출물은 상기 사상자 추출물, 고삼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현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1: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상자는 사상자의 과실, 상기 고삼은 고삼의 뿌리, 상기 맥문동은 맥문동의 뿌리 팽대부, 상기 현삼은 현삼의 뿌리, 상기 황금은 황금의 뿌리, 상기 황련은 황련의 뿌리줄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미백 또는 주름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은 한방복합추출물 및 진피 발효물을 혼합함으로써 항노화 효능을 보다 향상시키며, 항산화, 미백,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물성장촉진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a) 사상자, 고삼, 맥문동, 현삼, 황금 및 황련을 각각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사상자, 고삼, 맥문동, 현삼, 황금 및 황련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혼합하여 한방복합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d) 진피를 유산균 발효시키는 단계; (e) 상기 한방복합추출물에 상기 진피 발효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상자(蛇床子, Fructus Cnidii)는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하는 벌사상자(Cnidium monieri (L). Cuss) 또는 사상자(Torilis japonica Decandolle)의 과실로, 항알러지, 항소양, 면역억제, 항균작용의 효능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외음부소양증, 트리코모나스(trichomonas) 질염, 자궁경부미란, 화농성감염, 습진 등 외용으로도 사용한다. 성분으로는 쿠마린(coumarin) 계열의 화합물인 오스톨(osthol), 임페라토린(imperatorin), 이소핌피넬린(isopimpinellin), 베르갑텐(bergapten), 잔토톡신(xanthotoxin) 등을 포함하며, 이 중에서 오스톨은 약 0.1-0.3% 정도로 함유되어 있다. 이 외에도 피넨(l-pinene), 캄펜(l-camphene), 이소발레르산보르닐(bornyl isovalerate) 등과 같은 정유성분이 약 1.3% 정도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고삼(苦蔘, Sophora flavescens Aiton)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초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특이한 냄새가 있고 잔류성이며, 맛이 매우 쓰다. 한방에서는 이뇨, 이질, 해열, 습진, 위출혈 등에 쓰이며, 뿌리에는 알칼로이드류의 d-matrine, d-oxymatrine, d-sophoranol, l-anagyrine, l-methyl cytisine, l-baptifoline, l-sophocarpine, quinolizidine과 플라보노이드류의 xanthohumol, isoxanthohumol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줄기와 잎에는 luteoline-7-glucoside가 함유되어 있다. 이 외에도 saponin 등 수종의 항산화활성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맥문동(麥門冬, Liriopis Tuber)은 백합과(Liliaceae)에 속하는 맥문동(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또는 소엽맥문동(Ophiopogon japonicus Ker-Gawler)의 뿌리 팽대부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수재되어 있으며, 한방에서는 양음윤폐(養陰潤肺), 청심제번(淸心除煩), 익위생진(益胃生津), 윤장통변(潤腸通便) 등의 효능이 있다. 또한 항균작용, 면역력증강 등의 약리작용이 있으며, 피부건조증 완화에 좋다. 성분으로는 스테롤(sterol), 스테로이드 사포닌(steroid saponin), homoisoflavone 등이 있으며, 스테롤로는 β-sitosterol, stigmasterol, campesterolsterol 등이 있고, 스테로이드 사포닌으로는 ruscogenin 배당체인 ophiopogonin A, B, C, D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현삼(玄蔘, Scrophularia Root)은 현삼과(Scrophulariaceae)에 속하는 현삼(Scrophularia buergeriana Miquel)의 뿌리로, 청열양혈(淸熱養血), 자음해독(滋陰解毒), 활장(滑腸), 연견윤조(軟堅潤燥) 등의 효능이 있으며, 고혈압, 혈전증, 만성전립선염, 홍반, 갑상선종양 등에도 응용한다. 성분으로는 알칼로이드, 당류, 스테롤, 아미노산, 지방산, 정유, 카로틴, 이리도이드(iridoid) 화합물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황금(黃芩, Scutellaria root)은 꿀풀과(Labiatae)의 다년생 초본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의 뿌리로, 청열조습(淸熱燥濕), 사화해독(瀉火解毒), 청열량혈(淸熱凉血), 안태(安胎) 등의 효능이 있으며, 항균, 항바이러스, 소염, 항알러지, 항산화, 진정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있다. 성분으로는 플라보노이드류의 baicalein, baicalin, wogonin, wogonin glucuronide, neobaicalein, oroxylin A, koganebananin, 5,7,2',6'-tetrahydroxyflavone, 스테롤류의 β-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당류의 sucrose, D-glucos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황련(黃連, Coptis Rhizome)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황련(Coptis japonica Makino)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를 거의 제거한 뿌리줄기로, 청열조습(淸熱燥濕), 사화해독(瀉火解毒), 청심제번(淸心除煩), 청열명목(淸熱明目), 후장지리(厚腸止痢) 등의 효능이 있으며, 항균, 항바이러스, 해독, 해열, 소염, 면역증강, 항암 등의 약리작용이 있다. 성분으로는 알칼로이드류의 berberine, palmatine, coptisine, jatrorrhizine, worenine, magnoflori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산성물질인 ferulic acid가 함유되어 있다. 또한 isolariciresinol, lariciresinol glycoside, pinoresinol, pinoresinol glucoside, syringaresinol glucoside 등의 리그난(lignan)류 화합물도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진피는 제주 자생귤인 진귤(Citrus sunki)의 과피를 말하며, 생리활성으로서 항산화, 항미생물, 항염증, 혈압 강하 등이 보고되어 있다(Jeong WS, Park SW, Chung SK. Food Sci. Biotechnol. 6:292~296(1997); Kim YC, Koh KS, Koh JS. Food Sci. Biotechnol. 10:483~487(2001); Cho C, Park BJ, Chung SH, Kim CB, Cha BS, Byun MW. Food Sci. Biotechnol. 13:384~386(2004); Murakami A, et al. Carcinogenesis 21:1843~1850(2000)).
상기 추출은 상기 사상자, 고삼, 맥문동, 현삼, 황금 및 황련을 각각 추출 용매와 1:10(w:v)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40℃ 내지 60℃에서 4일 내지 7일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추출 용매는 30% 주정에탄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유효성분이 추출되지 않거나 유효성분이 적은 양으로 추출될 수 있고, 추출물이 변질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추출 시 여과 필터는 200 mesh 내지 600 mesh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 mesh, 400 mesh 및 200 mesh 필터 순으로 각각 2회씩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방복합추출물은 상기 사상자 추출물, 고삼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현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1: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e) 단계에서 한방복합추출물과 진피 발효물은 1:1 내지 1:0.5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산균은 특별한 제한 없이 모든 유산균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커스 속 유산균(Streptococcus sp.), 페디오코커스 속 유산균(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 유산균(Leuconostoc sp.) 및 비피도박테리움 속 유산균(Bifidobacterium sp.)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산균은 염장된 채소류에 자연 접종되어 이를 발효시키는 소위 김치 유산균인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인 것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종균 배양한 유산균 제제, 즉 무우 분말에 소금, 설탕 및 물을 혼합하고 이를 자연 상태에서 배양하여 얻은 유산균 제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자연 상태는 온도, 습도, CO2의 농도, 접종되는 미생물, 산소의 유무 등의 배양 조건에 있어서 아무런 인위적인 조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진피 발효물은 15℃ 내지 45℃에서 3일 내지 20일 동안 발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5℃ 내지 40℃에서 발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발효 온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효 미생물의 사멸에 의해 발효 속도가 느려지거나 원하지 않는 발효 산물이 생성될 수 있으며, 발효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효의 효율성이 저하되거나 원료가 부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발효는 혐기적 조건 및 호기적 조건에서 모두 배양이 가능하므로 혐기적발효와 호기적발효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진피의 발효 단계에서 pH는 유산균의 생육을 보다 좋게 하기 위하여 4 내지 4.5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유산균의 접종 초기 농도는 105 내지 108 cfu/g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H 및 상기 유산균의 접종 초기 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발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발효 후 숙성 단계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숙성 단계는 접종된 미생물의 생장이 정지된 후에도 미생물에 의한 발효 산물을 안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3일 내지 12개월 정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피 발효물의 제조시, 유산균에 의한 발효를 촉진하기 위하여 진피에 유산균을 접종 및 발효시키기 전에 유산균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탄소원과 에너지원은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은 올리고당, 유당, 포도당, 과당, 설탕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원과 에너지원은 의도한 발효 시간, 발효 정도 등을 고려하여 임의의 범위로 첨가할 수 있으며, 진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피 발효물은 감압저온건조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식으로 발효물을 농축시켜 얻어지는 액상 또는 분말상의 형태일 수 있으며, 발효물을 여과하여 얻어지는 여액과 여과 잔사로 분리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여액과 여과 잔사를 농축 및 건조하여 얻은 액상 또는 분말상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피 발효물을 적절한 추출 용매(예컨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일 예로 화장수, 에센스, 에멀전, 겔 및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진피 발효물
무우 분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금 1 중량부, 물 400 중량부 및 미생물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설탕 2 중량부를 첨가하여 35℃ 내지 50℃에서 15분 동안 배양하여 유산균을 얻었다.
물 100 중량부에 진피 분말 3 중량부 및 미생물의 탄소원과 에너지원으로 설탕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상기 진피 혼합물에 상기 종균 배양한 유산균 배양액을 2%(v/v)로 접종하여 상온 및 호기성의 자연 상태에서 약 15일 정도 배양하여 액상의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액상의 발효물을 멸균 온도 121℃에서 20분 동안 멸균하고 감압 농축하여 고형상의 진피 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2: 한방복합추출물
사상자, 고삼, 맥문동, 현삼, 황금 및 황련을 각각 물로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건조된 사상자 100 g을 30% 주정에탄올 1 L와 혼합한 후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 넣어 45℃에서 120 rpm의 회전 속도로 교반하면서 5일간 숙성하였으며, 이때 교반 과정에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밀봉한 상태에서 숙성하였다. 숙성 후 잔여물을 제거하기 위해 600 mesh 필터, 300 mesh 필터, 200 mesh 필터 순으로 각각 2회씩 여과하여 사상자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사상자 추출물의 추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고삼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현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사상자 추출물, 고삼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현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1: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한방복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한방복합추출물 및 진피 발효물 혼합물
상기 실시예 1의 진피발효물과 상기 실시예 2의 한방복합추출물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한방복합추출물 및 진피 발효물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한방복합추출물 및 진피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 3의 한방복합추출물 및 진피 발효물 혼합물 10 중량부, 글리세린 3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5 중량부, 세테아릴알코올 0.5 중량부,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7 중량부, 폴리아클리아마이드 0.6 중량부, C13-14이소파라핀 0.6 중량부, 라우레스-7 0.6 중량부 및 방부제 미량을 혼합하여 에멀전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항산화 활성 시험
본 발명의 한방복합추출물 및 진피 발효물 혼합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전자공여능, 수렴효과, 미백효과, 주름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22.0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차 검증은 분산분석(ANOVA)을 한 후 p=0.05 수준에서 Duncan의 다중검증법(DMRT,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따라 분석하였다.
1) 전자공여능 측정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측정을 위해 Blois의 방법(Blois M.S. et al., Nature. 1958, 181, 1199-1200)에 준하여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에 대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수소 공여 효과를 측정하였다. DPPH를 이용한 전자공여능 측정법은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측정에 많이 이용되는 분석법으로, 비교적 안정한 자유라디칼인 DPPH는 비공유전자로 인해 517 nm 부근에서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며, 전자 또는 수소를 받게 되면 517 nm 부근에서 흡광도가 감소한다. 이러한 라디칼을 환원 또는 상쇄시키는 능력이 크면 높은 항산화 활성 및 활성산소를 비롯한 다른 라디칼에 대한 높은 소거 활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인체 내의 활성 라디칼에 의한 노화를 억제하는 척도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각각 50 ppm, 100 ppm, 500 ppm 및 1000 ppm으로 희석한 후, 희석한 각 시료 0.1 mL에 0.2 mM DPPH 용액 0.5 mL를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시료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식은 전자공여능의 계산식이다.
전자공여능(%) = {1-(시료첨가군 흡광도/무첨가군 흡광도)}×100(%)
전자공여능(%)
50 ppm 100 ppm 500 ppm 1000 ppm
실시예 1 16.25±3.26 37.32±2.14 76.28±2.87 84.91±1.22
실시예 2 16.98±1.51 36.41±1.10 80.09±2.08 86.72±2.01
실시예 3 21.61±4.28 45.68±3.48 85.12±3.26 91.45±2.17
측정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같은 조건하에서 상기 실시예 3이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보다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방추출물과 진피 발효물을 융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수렴효과 측정
수렴효과 측정을 위해 피부 단백질과 유사한 혈액 단백질인 헤모글로빈을 사용하였다. 수렴작용(astringent)은 피부 단백질이 플라보노이드와 가교 결합을 형성하여 피부가 수축되는 현상을 말하며, 헤모글로빈의 단백질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과 결합하는 정도에 따라 수렴효과 정도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각각 50 ppm, 100 ppm, 500 ppm 및 1000 ppm으로 희석한 후, 원심분리관 용기에 각각의 희석한 시료와 500 ppm 헤모글로빈 용액을 1:1 중량비로 넣고 진탕 혼합한 후 1500 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한 뒤 576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수렴효과는 시료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식은 수렴효과의 계산식이다.
수렴효과(%) = {1-(시료첨가군 흡광도/무첨가군 흡광도)}×100(%)

수렴효과(%)
50 ppm 100 ppm 500 ppm 1000 ppm
실시예 1 2.12±1.17 4.98±1.02 14.18±1.45 30.76±1.13
실시예 2 2.00±0.99 5.19±1.10 15.23±1.26 32.07±0.98
실시예 3 4.23±0.78 7.16±0.98 19.24±2.17 35.42±1.41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렴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같은 조건하에서 상기 실시예 3이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보다 높은 수렴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한방추출물과 진피 발효물이 융합됨으로써 보다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3) 미백효과 측정
미백효과 측정을 위해 티로시나제(tyrosin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피부색을 결정함과 동시에 기미, 주근깨 등 색소침착의 원인이 되는 멜라닌은 멜라닌세포(melanocyte)에서 티로시나제 효소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는 피부 내에서 멜라닌의 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으므로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은 미백효과를 측정하는 유용한 평가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각각 50 ppm, 100 ppm, 500 ppm 및 1000 ppm으로 희석한 후, 0.175 M sodium phosphate buffer(pH 6.8) 0.5 mL, 10 mM L-DOPA 0.2 mL 및 각 희석한 시료 0.1 mL를 혼합한 혼합액에 110 U/mL mushroom tyrosinase 0.2 mL를 첨가하여 37℃에서 3분간 반응시킨 후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chrome의 흡광도를 475 nm 파장에서 측정하였으며,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티로시나제 저해율은 시료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식은 티로시나제 저해율의 계산식이다.
티로시나제 저해율(%) = {1-(시료첨가군 흡광도/무첨가군 흡광도)}×100(%)

티로시나제 저해율(%)
50 ppm 100 ppm 500 ppm 1000 ppm
실시예 1 24.67±1.02 43.87±0.98 56.89±3.01 74.21±1.98
실시예 2 26.10±0.98 45.07±1.11 56.77±2.74 75.54±2.01
실시예 3 31.24±1.55 50.08±1.20 62.17±2.75 81.24±3.42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3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같은 조건하에서 상기 실시예 3이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보다 티로시나제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한방복합추출물에 진피 발효물을 첨가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보다 상승된 것을 확인하였다.
4) 주름저해 활성 측정
주름저해 활성 측정을 위해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체내 중성백혈구의 과립구내에 존재하는 엘라스타아제는 진피 내 피부탄력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기질 단백질인 엘라스틴을 분해하는 효소이며, 다른 중요한 기질 단백질인 콜라겐을 분해할 수 있는 비특이적 가수분해 효소이다. 따라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는 피부 주름을 개선하여 피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각각 50 ppm, 100 ppm, 500 ppm 및 1000 ppm으로 희석한 후, 0.2 M Tris-HCl buffer(pH 8.6) 200 μL에 각각의 희석한 시료 20 μL를 가한 후, 기질인 1.0 mM N-succinyl-(Ala)3-p-nitroanilide 20 μL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배양한 뒤, 1 unit 엘라스타아제를 20 μL씩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혼합물을 다시 25℃에서 20분간 배양한 후, 냉침으로 반응을 정지시키고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3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저해율은 시료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하기 식은 엘라스타아제 저해율의 계산식이다.
엘라스타아제 저해율(%)={1-(시료첨가군 흡광도/무첨가군 흡광도)}×100(%)

엘라스타아제 저해율(%)
50 ppm 100 ppm 500 ppm 1000 ppm
실시예 1 17.21±1.54 31.22±1.46 60.01±1.08 75.98±3.10
실시예 2 18.80±1.70 33.34±2.03 61.11±0.99 76.98±2.01
실시예 3 22.97±2.31 38.32±3.01 65.99±2.87 81.23±4.21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농도가 증가함과 동시에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을 비교한 결과, 상기 실시예 3이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2에 비해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진피 발효물이 첨가됨으로써 항산화 효과가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한방복합추출물 및 진피 발효물을 함유한 에멀전의 안정성 시험
본 발명의 한방복합추출물 및 진피 발효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pH, 점도, 온도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고, 광안정성 및 온도순환에 따른 보존 시험을 실시하였다.
1) pH 측정
상기 실시예 4를 25℃에 보관하고, 상기 실시예 4에 대한 시간(1일, 3일, 1주, 2주, 3주, 4주)에 따른 pH 변화를 pH meter(Metrohm,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pH에 유의적 변화없이 안정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오랜 기간 동안 보관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1일 3일 1주 2주 3주 4주
pH 7.12 7.11 7.09 7.10 7.07 7.08
2) 점도 측정
온도 및 시간에 따른 점도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4를 0℃, 25℃, 40℃의 온도에서 보관하였으며, 점도계(Brookfield LVDV-II+, Brookfield Co., USA)를 이용하여 시간(1일, 3일, 1주, 2주, 3주, 4주)에 따른 점도 변화를 각 온도별로 측정하였다. Spindle의 종류와 회전수를 spindle No.4, 6 rpm으로 하여 1분 간격으로 3회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4는 각 온도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도에 큰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온도 및 시간에 대해 안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일 3일 1주 2주 3주 4주
0℃ 4800 4800 4700 4800 4700 4700
25℃ 4800 4800 4700 4700 4600 4700
40℃ 4800 4800 4700 4700 4700 4600
3) 온도에 따른 안정성 시험
온도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예 4를 0℃, 25℃, 40℃의 온도에서 보관하였으며, 1일, 3일, 1주, 2주, 3주, 4주 차에 경시적 변화에 따른 층분리, 응집 여부, 변색, 이취 발생 등의 상태 변화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0℃, 25℃, 40℃의 온도 모두 28일 동안 크리밍, 응집과 같은 분리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변색 및 산화에 의한 특이취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로써 본 발명인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광안정성 시험
일광조사에 따른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4를 투명 용기에 담아 인공광 노출 시험과 자연광 노출 시험을 진행하여 변색, 변취, 응집, 산패 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인공광 노출 시험은 상기 실시예 4를 sun lamp에 넣은 후 온도를 40℃로 조절하고, 광원과의 거리를 조절하여 인공 UV를 조사한 뒤 3시간 동안 실시하였으며, 자연광 노출 시험은 상기 실시예 4를 햇빛이 잘 드는 실외에 방치하여 2주 동안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4는 인공광 및 자연광에 노출된 것 모두 크리밍, 응집과 같은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변색 및 변취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상기 실시예 4의 보존 안정성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온도순환에 따른 특수·가혹 보존 시험
연간 또는 일간의 온도 변화를 고려하여 다양한 온도를 반복하는 온도순환 시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4를 -15℃, -10℃, -5℃, 0℃, 5℃, 10℃, 15℃, 20℃, 37.5℃, 40℃의 온도로 각각 24시간 보관한 후, 이를 1 cycle로 하여 10회 반복 시행하여 크리밍 또는 오일 분리 등의 발생 여부에 따른 안정도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모든 온도 조건에서 분리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높은 안정성을 확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a) 사상자, 고삼, 맥문동, 현삼, 황금 및 황련을 각각 세척하고 건조하는 단계;
    (b) 상기 건조된 사상자, 고삼, 맥문동, 현삼, 황금 및 황련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추출물을 혼합하여 한방복합추출물을 준비하는 단계;
    (d) 진피를 유산균 발효시키는 단계;
    (e) 상기 한방복합추출물에 상기 진피 발효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40℃ 내지 60℃에서 4일 내지 7일간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피 발효물은 15℃ 내지 45℃에서 3일 내지 20일 동안 발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무우 분말에 소금, 설탕 및 물을 혼합하고 이를 자연 상태에서 배양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복합추출물은 상기 사상자 추출물, 고삼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현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1:1:1:1:1: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자는 사상자의 과실, 상기 고삼은 고삼의 뿌리, 상기 맥문동은 맥문동의 뿌리 팽대부, 상기 현삼은 현삼의 뿌리, 상기 황금은 황금의 뿌리, 상기 황련은 황련의 뿌리줄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 유산균(Lactobacillus sp.), 스트렙토코커스 속 유산균(Streptococcus sp.), 페디오코커스 속 유산균(Pediococcus sp.), 류코노스톡 속 유산균(Leuconostoc sp.) 및 비피도박테리움 속 유산균(Bifidobacterium sp.)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발효 단계에서 pH는 4 내지 4.5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의 발효 단계에서 상기 유산균의 접종 초기 농도는 105 내지 108 cfu/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 또는 주름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방복합추출물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25434A 2017-02-27 2017-02-27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988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34A KR20180098821A (ko) 2017-02-27 2017-02-27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34A KR20180098821A (ko) 2017-02-27 2017-02-27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821A true KR20180098821A (ko) 2018-09-05

Family

ID=6359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434A KR20180098821A (ko) 2017-02-27 2017-02-27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88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927A (ko) * 2019-06-26 2021-01-06 한국식품연구원 황련해독탕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2419A (ko) * 2019-06-26 2021-01-08 한국식품연구원 황련해독탕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8731A (ko) * 2019-07-15 2021-01-25 (주)월드코스텍 천연 혼합물의 유산균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102537140B1 (ko) 2022-12-08 2023-05-26 엘르로이 주식회사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 및 광채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146A (ko) 2012-01-02 2013-07-10 손정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9146A (ko) 2012-01-02 2013-07-10 손정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0927A (ko) * 2019-06-26 2021-01-06 한국식품연구원 황련해독탕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2419A (ko) * 2019-06-26 2021-01-08 한국식품연구원 황련해독탕의 김치유산균 발효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8731A (ko) * 2019-07-15 2021-01-25 (주)월드코스텍 천연 혼합물의 유산균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기능성 조성물
KR102537140B1 (ko) 2022-12-08 2023-05-26 엘르로이 주식회사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 및 광채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1403B1 (ko)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20180098821A (ko)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25873B1 (ko) 산삼 배양근, 단너삼, 고삼 및 사삼을 포함하는 2단 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ao et al.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nd melanogenesis inhibitory properties of pracparatum mungo (lu-do huang)
KR20180082056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64314A (ko) 애플망고 추출물, 패션후르츠 추출물, 용과 추출물, 레드키위 추출물 및 아떼모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8078A (ko) 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3987B1 (ko) 천연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101819060B1 (ko) 황련해독탕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1411B1 (ko) 딱지꽃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98250B1 (ko) 감탕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29986B1 (ko)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2045A (ko) 항산화 및 항염 활성을 갖는 모링가잎 및 상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99155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외용제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49926B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항산화 및 미백,항균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0415B1 (ko)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7851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석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