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415B1 -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415B1
KR102370415B1 KR1020190106242A KR20190106242A KR102370415B1 KR 102370415 B1 KR102370415 B1 KR 102370415B1 KR 1020190106242 A KR1020190106242 A KR 1020190106242A KR 20190106242 A KR20190106242 A KR 20190106242A KR 102370415 B1 KR102370415 B1 KR 102370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ed
miseon tree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6037A (ko
Inventor
김회기
이은자
Original Assignee
(주)화니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니핀코리아 filed Critical (주)화니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106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415B1/ko
Publication of KR20210026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6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6Alumi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광노화에 대응하여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증 등에 효과가 았으면서도 사용에 안전성이 확보된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정제수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0.3 내지 3 중량부, 기능성 천연추출물 0.3 내지 3중량부 및 카올린 1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페이스트(paste) 상태의 크림타입으로 제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Mask Pack Comprising the Abeliophyllum Extract Fermented by Lactobacter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특히 미선나무 추출액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크게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hypodermis)의 세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표피의 가장 외층인 각질층은 피부장벽의 역할을 함으로서 피부로부터 수분과 전해질 손실되는 것을 억제하는 한편, 진피층은 콜라겐과 엘라스틴 합성을 통하여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고 구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피부노화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자외선 등 누적된 외부환경에 대한 노출에 기인해 발생하는 광노화(photoaging)로 나타난다.
반복적인 자외선 노출은 콜라겐 분해효소를 증가시키고 콜라겐 섬유의 변성 및 파괴를 유발하여 피부의 탄력을 감소시키고 주름의 생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손상이 일어나는 한편, 피부는 자외선에 의한 광노화가 진행되면서 피부 세포손상에 대한 방어작용으로 멜라닌색소를 생성하는데, 멜라닌은 피부 표피층으로 이동하고 축적되어 피부의 색소 침착에 원인이 되며, 이러한 멜라닌의 과다생성 및 축적은 주근깨, 기미, 홍반, 노화와 피부암을 유발에 관여한다.
따라서, 천연소재를 이용하여 이러한 광노화에 의한 피부손상 등을 개선할 수 있는 화장료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54346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는, 야관문LPC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광노화 개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539688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는, 고추캡시컴레진을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에 유효한 화장료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한편, 미선나무(Abeliophylli distichi Folium)는 열매의 모양이 부채를 닮아 미선(尾扇)나무로 불리는 관목이며, 세계에서 단 1속 1종 밖에 없는 우리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인데, 최근 이러한 미선나무를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694707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함)에서 노네랄 소취 개선을 위한 천연 탈취제로 이용할 수 있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데오도란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729209호(이하, "특허문헌 4"이라 함)에서는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활용한 스킨케어 제품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4172호(이하, "특허문헌 5"라 함),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93427호(이하, "특허문헌 6"이라 함)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848881호(이하, "특허문헌 7"이라 함)는 발효된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543461호 공보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539688호 공보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0-1694707호 공보 특허문헌 4: 한국등록특허 제10-1729209호 공보 특허문헌 5: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74172호 공보 특허문헌 6: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93427호 공보 특허문헌 7: 한국등록특허 제10-184888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을 감안한 것으로,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광노화에 대응하여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증 등에 효과가 았으면서도 사용에 안전성이 확보된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0.3 내지 3 중량부, 기능성 천연추출물 0.3 내지 3중량부 및 카올린 1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페이스트(paste) 상태의 크림타입으로 제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은 미선나무 추출액에 L. plantarum 및 L. brevis를 각각 2%(v/v)씩을 동시에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선나무 잎과 줄기로부터 미선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추출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을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로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정제수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0.3 내지 3 중량부, 기능성 천연추출물 0.3 내지 3중량부 및 카올린 1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페이스트(paste) 상태의 크림타입으로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하는 제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추출단계에서 미선나무 추출물은, 분쇄한 미선나무잎과 줄기에 10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90 ~ 95℃에서 10시간 환류추출한 후, 여과 및 감압농축하여 고형물 함량이 1 또는 2브릭스(Brix)가 되도록 조절한 후, 121℃에서 15분간 살균한 것이고, 상기 발효단계에서 상기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은,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 3%(w/v), 글루코스 0.4%(v/v) 및 효모추출물 0.2%(w/v)를 첨가하여 멸균시킨 배지를 제조한 후, 상기 L. plantarum과 L. brevis를 각각 2%(v/v)씩을 동시에 접종한 배양액을 37oC, 120 rpm에서 배양하면서 24시간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광노화에 대응하여 항산화, 주름개선, 미백, 항염증 등에 효과가 았으면서도 안전성이 확보된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성 천연추출물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한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활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피부진정이나 보습 등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미선나무 추출물의 첨가비에 따른 복합 유산균의 생육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당 및 효모의 첨가에 따른 복합 유산균의 생육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미선나무 추출물의 HaCaT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HaCaT에 대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된 마스크팩의 단면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이하, "화장료 조성물"이라 한다.)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기능성 천연추출물 및 카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페이스트(paste) 상태의 크림타입으로 제형된다.
이때,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은 쇠비름 추출물, 락토바실러스발효물, 황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 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을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유동성을 제한하기 위하여 점증제로서 벤토나이트를 바람직하게 포함할 수 있다.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1) 미선나무 추출물의 추출
미선나무 잎과 줄기를 세척하고, 수분함량 10% 내외로 건조한 후 줄기는 1~2㎜, 잎은 2~3㎝로 파쇄, 절단하여 분쇄물을 얻은 후, 분쇄한 미선나무잎과 줄기에 10배 중량의 물을 가하여 90 ~ 95℃에서 10시간 환류추출한 후, 여과, 감압농축(60℃ 이하)하여 고형물 함량이 1 또는 2브릭스(Brix)가 되도록 조절한 후, 121℃에서 15분간 살균하였다.
(2) 미선나무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
① 복합 발효를 위한 유산균의 선정
미생물 균주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2종류 이상의 균주를 동시에 사용하여 발효할 경우 균주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발효능과 기호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식물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이하, "L. plantarum"이라 함), Lactobacillus brevis(이하, "L. brevis"이라 함), Lactobacillus sakei(이하, "L. sakei"라 함) 등 유산균 3종에 대해, 미선나무 추출물 발효에 가장 적합한 유산균을 선별하기 위해 상기 3종의 후보 유산균을 대상으로 미선나무를 주원료로 하는 액체 배지 및 동일 발효 조건하에서 12시간 배양한 후 얻을 수 있는 O.D값 변화와 항산화 활성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88857190-pat00001
위의 <표 1>에서와 같이, 성장속도, DPPH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에서 상대적 우수한 L. plantarum와 L. brevis를 미선나무 발효에 가장 적합한 유산균으로 선별하였다.
② 미선나무의 복합 유산균 발효를 위한 발효공정 최적화
최적 미선나무 추출물 원료비를 도출하기 위하여, 증류수를 100㎖로 고정시키고 건조시킨 미선나무 추출물(원료)을 1%, 2%, 3%, 4%, 5%(w/v)으로 달리 첨가하여 멸균시킨 배지를 제조한 후, L. plantarum과 L. brevis를 각각 2%씩, 총 4%(v/v)을 접종하여 37oC, 120 rpm에서 배양하면서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배양액을 채취하여 배양액의 탁도를 흡광도(A600nm)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선나무 추출물의 함량비가 1∼3%(w/v)까지는 미선나무 추출물의 함량이 증가될수록 균체생육도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나, 미선나무 추출물의 함량비가 4%(w/v)부터는 오히려 미선나무 함량이 증가될수록 균체 생육속도가 느려지는 양상을 나타났다.
따라서, 미선나무 추출물의 함량비는 1∼3%(w/v)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w/v)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미선나무 추출물의 함량비를 1%, 2%, 3%(w/v)로 하고, 각각에 대해, 각각에 대해 탄소원으로 글루코스(glucose) 0.4%(v/v)와 질소원으로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0.2%(w/v)를 동시에 첨가하여 영양성분 첨가에 따른 미선나무발효의 증식속도를 살펴 본 결과, [도 2]에서와 같이, 단순 미선나무추출물을 기질로 발효한 것에 비하여 균체의 생장능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3)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유효성 평가
<시료의 제조>
먼저, 상기한 미선나무 추출물의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한 미선나무 추출물을 121℃에서 15 분간 멸균 후 냉각시켜 준비하였으며, 본 발명의 미선나무 추출물의 발효에 사용하는 유산균은, 동결상태의 L. plantarum와 L. brevis를 MRS broth 배지에서 전배양하여 활성을 갖게 한 후 시료 제조에 사용하였다.
또한, 증류수 100㎖에 건조시킨 미선나무 추출물(원료)을 3%(w/v), 글루코스 0.4%(v/v) 및 효모추출물 0.2%(w/v)를 첨가하여 멸균시킨 배지를 제조한 후, 활성화된 L. plantarum과 L. brevis를 각각 2%(v/v)씩을 동시에 접종하는 동시 배양법을 적용하였으며, 배양액을 37oC, 120 rpm에서 배양하면서 24시간 발효시켜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세포독성 평가>
복합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미선나무의 기초 세포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 생존율 분석법(cell viability assay)을 실시하였다. 세포의 생존율은 제조된 미선나무 추출물과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을 희석하여 세포에 처리한 뒤 현미경하에서 세포 수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사람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를 96 well plate에 4 x 103 cell/well 농도로 100㎕씩 접종하였다. 24시간 배양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1회 세척한 뒤 시료를 처리하였다. 미선나무 추출물,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시료를 각각 0, 0.3, 1.5, 10, 40, 200㎍/㎖의 농도로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 후 WST-1 solution을 well ekd 100㎕씩 첨가하여 37oC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ma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미선나무와 열수 추출한 미선나무 시료를 200㎍/㎖ 농도까지 처리한 후 24시간 배양 후 세포수를 측정한 결과,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열수추출한 미선나무 추출물의 경우 0.3㎍/㎖ 농도 구간까지는 20% 미만의 독성을 보이나 1.5㎍/㎖ 이상의 농도 구간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40% 이상의 독성이 나타나 세포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경우 1.5㎍/㎖ 농도 구간까지 15% 미만의 독성을 보이고 10㎍/㎖ 이상의 농도부터 농도 의존적으로 독성이 나타나 세포수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열수추출한 미선나무 추출물에 비해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경우 세포 독성 측면에서는 다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능>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발효물에 대한 전자 공여능은 Bondet(1997)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여러 농도의 발효물을 300μM DPPH/EtOH 760㎕에 첨가한 후 30분간 37℃에서 방치한 후 UV/Visible spectrophotometer(Berkman, USA)을 이용하여 515㎚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Roberty 등(1999)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ABTS 농도는 734㎚에서 1.500이 되도록 조제하였고, 농도를 달리한 발효물과 실온에서 10분간 반응 후 대조구와의 흡광도 차이에 의하여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 대해, 대조구로서 아스코르빈산(L-ascorbicacid)의 활성과 비교한 결과 아래의 <표 2>와 같이 나타났다.
<표 2>
Figure 112019088857190-pat00002
위의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동일농도(200㎍/㎖)에서 대조구인 아스코르빈산(L-ascorbicacid)에 대해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96.7%,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99.2%의 활성효과가 나타났다.
<미백효능>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시료의 미백효능은 tyrosinase 저해활성에 의해 평가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Yagi 등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반응구는 1/15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 0.5mL에 10mM L-DOPA을 녹인 기질액 0.2mL 및 시료용액 0.1mL의 혼합액에 mushroom tyrosinase (110U/mL) 0.2mL 첨가하여 25℃에서 2분간 반응시켜 반응액 중에 생성된 DOPA chrome을 475㎚에서 측정하였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낸다.
여러 농도의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시료에 대해 측정한 Tyrosinase 저해활성 을 대조구로서 알부틴의 활성과 비교한 결과 아래의 <표 3>과 같이 나타났다.
<표 3>
Figure 112019088857190-pat00003
위의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동일농도(200㎍/㎖)에서 대조구인 알부틴에 대해 86.7%의 Tyrosinase 저해활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름개선 효능>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시료의 주름개선 효능은 Elastase 저해활성으로 평가하였다. Elastase 저해활성은 여러 농도의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시료를 0.1㎖ + elastase(0.6 units/㎖) in 50mM Tris-HCl buffer (pH 8.6) 용액 0.05㎖를 가한 후 N-succinyl-(L-Ala)3-p-nitroanilide(1mg/㎖) in 50mM Tris-HCl buffer (pH 8.6) 0.1㎖를 첨가하여 30분간 반응 후 41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대조구로서 레티놀산의 활성과 비교한 결과 아래의 <표 4>와 같이 나타났다.
<표 4>
Figure 112019088857190-pat00004
위의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Elastase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동일농도(200㎍/㎖)에서 대조구인 레티놀산에 대해 84.5%의 Elastase 저해활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염증 효능>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은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LPS(Lipopolysaccharide) 처리에 의한 NO 생성량에 의해 평가하였다. 즉, NO 생성량의 측정은 Raw 264.7 세포를 96-well plate에 1.0×104 cells/well의 밀도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후 농도 별로 시료를 처리하였으며, 시료 처리 1시간 후 LPS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상등액을 NO 생성량 측정에 사용하였다. 세포 상등액에 Griess reagent(1% sulfanilamide, 0.1% N-1-naph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and 2.5% phosphoric acid)를 처리하여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NO생성량 억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와 같다. <도 5>에서 DX는 대조물질로서 덱사메타손를 나타낸다.
Raw 264.7세포에 LPS 처리에 의한 NO생성량에 의한 항염증효과를 확인한 결과,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농도의존적으로 NO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대조물질인 덱사메타손의 동일농도 대비 추출물은 약 56%의 항염증 활성이 나타났다.
(3)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증에 효능이 있으며, 화장품의 원료로서 안전성이 확인이 되었다.
[기능성 천연추출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확립된 발효공정에 의해 발효된 미선나무 추출물은 발효전 미선나무 추출물에 비하여 세포 독성의 측면에서 안전하고, 대조구 대비 항산화 효능는 98%이상, 미백효능은 87%이상, 주름개선 효능은 84%이상, 항염증 효능은 55%이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피부 광노화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에 있어서 부족한 기능(예를 들면, 피부진정, 보습 등)을 보완하기 위한 기능성 천연추출물을 더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은, 쇠비름 추출물, 락토바실러스발효물, 황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 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이 바람직하게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쇠비름 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은, 한해살이풀인 쇠비름을 여름부터 가을사이에 전초를 채취하여 추출한 추출물로, 인체 유지에 꼭 필요한 필수 지방산인 오메가3 지방산, 타닌과 사포닌, 베타카로닌 글루틴, 비타민 C, D, E 등이 함유되어 있고, 천연보습인자까지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피부보습 및 진정에 효과적이다.
상기 락토바실러스발효물(Lactobacillus Ferment)은, 당류를 발효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혐기성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에 의해 발효된 발효물로서, 항균 및 방부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황금추출물(Scutellaria Baicalensis Root Extract)은, 꿀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의 뿌리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활성 성분인 바이카린(baicaline)이 피부의 보습과 산화 방지를 도와 피부에 활력 부여하며, 멜라닌 색소 생선효소인 티로시나아제라는 성분을 억제해 미백에 효과적이며, 상기 황금추출물의 주요 성분으로는 baicalin, baicalein, wogonin 등이 있는데, 특히 baicalin의 높은 항균력이 알려져 있다.
상기 흰버드나무껍질 추출물(Salix Alba (Willow) Bark Extract)은, 흰버드나무의 껍질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탄닌과 살리실산(바하,BHA)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각질 부드럽게 연화시켜 문제성 피부 진정를 진정시키며, 피부 속 수분 증발을 막아 피부의 보습력을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감초뿌리추출물(Glycyrrhiza Uralensis (Licorice) Root Extract)은, 콩과식물에 속하는 감초 뿌리의 추출물이다. 감초는 한국, 중국 및 일본에서 한약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약용식물이며, 감초의 가장 주요한 활성성분은 triterpenoid계 saponin인 glycyrrhizin으로 감초 뿌리에 3-5% 정도 함유되어 있고, 항알레르기성, 항산화성, 항궤양성 및 항암성과 같은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미량성분인 liquiritigenin, liquiritin 등의 flavonoids는 항균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병풀추출물(Centella Asiatica Extract)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인 병풀(Centella Asjatica)의 추출물이다. 병풀은 한국, 일본, 중국, 인도,남아프리카 및 남태평양 등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잎과 줄기에 마데카소사이드,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애시드, 마데카식애씨드 등의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어, 면역력 증진 효능, 항균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보습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호장근뿌리추출물(Polygonum Cuspidatum Root Extract)은, 한국, 일본, 타이완 및 중국에 분포하고 있고, 산지에서 자라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인 호장근의 뿌리의 추출물이다. 호장근의 뿌리에는 배당체인 폴리고닌, 폴리고닌, 안스론, 크리소파놀, 레스베라트롤, 하이페란 등의 성분이 등이 있으며, 특히 레스베라트롤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로즈마리잎추출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Extract)은, 꿀풀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식물인 로즈마리 잎의 추출물로서, 화장품에는 산화방지제, 향료, 피부컨디셔닝제, 수분증발차단제 등의 목적으로 배합된다.
상기 녹차추출물(Camellia Sinensis Leaf Extract)은 산화방지제, 수렴제, 착향제, 유연제, 보습제, 피부보호제, 변색방지제, 광안정화제 등의 목적으로 화장품에 배합된다.
즉,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는, 쇠비름 추출물, 락토바실러스발효물, 황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 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이 바람직하게 포함될 수 있다.과 같은 기능성 천연추출물을 더 포함함으로써, 피부진정 및 보습 등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기능성 천연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더 포함된 기능성 천연추출물에 의해서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DPPH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tyrosinase억제활성이 저해되는지 여부를 검토하였다.
이때, 상기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은, 본 발명의 발효공정에 의해 발효된 미선나무 추출물이고,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은 시판되는 쇠비름 추출물, 락토바실러스발효물, 황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 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을 같은 비율로 혼합하였다.
또한, 상기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양을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의 양 대비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의 양을 달리하여 혼합하였으며, 상기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과 기능성 천연추출물이 혼합된 시료의 농도를 200㎍/㎖로 하여, 기능성 천연추출물의 추가비율에 따른 DPPH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tyrosinase억제활성에 대해 측정하였다,
<표 5>
Figure 112019088857190-pat00005
위의 <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쇠비름 추출물, 락토바실러스발효물, 황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 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이 혼합된 기능성 천연추출물에 의해 상기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의 DPPH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tyrosinase 억제활성이 저해되지 않고, 오히려 상기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는 경우보다 DPPH 소거활성,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tyrosinase 억제활성이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기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에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을 더 포함하더라도, 상기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 및 주름개선효과를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에 의한 피부진정이나 보습 등 추가 기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상기 카올린(kaolin)은 천연으로 생산되는 함수알루미늄실리케이트로, 백색 또는 유백색의 분말 형태로 존재하는 점토와 유사한 천연 광물질로 다량의 미네랄 성분을 포함하며, 다공성 판상 분말로 다량의 물과 오일을 흡수할 수 있으며, 피지흡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벤토나이트(bentonite)는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물을 흡착하고 팽윤하며 양이온 교환성이 크므로 피지를 강력하게 흡착하여 청정한 피부로 가꾸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벤토나이트는, 에멀젼의 점도를 증가시켜주는 점도 조절제로서 역할을 하며, 서로 섞이지 않는 유상과 수상의 경계면에서 격자 구조를 구성하여 안정화시켜 분산 안정제로서의 기능을 하여 계면활성제의 양을 감소시키고, 고분자 물질의 끈적임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한다.
[화장료의 조성]
먼저, 본 발명의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정제수 40 내지 60 중량부,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0.3 내지 3 중량부, 기능성 천연추출물 0.3 내지 3중량부 및 카올린 1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페이스트(paste) 상태의 크림타입으로 제형된다.
이때, 상기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유동성을 제한하기 위하여 점증제를 0.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로는 벤토나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100)의 일면에 제1 이형지(200)가 합지되고, 상기 부직포(100)의 타면에 크림타입의 상기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400)이 도포된 후에 제2 이형지(300)가 합지되어 이루어진다.
100 부직포
200 제1 이형지
300 재2 이형지
400 화장료 조성물

Claims (4)

  1. 정제수 40 내지 60 중량부,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0.3 내지 3 중량부, 기능성 천연추출물 0.3 내지 3중량부 및 카올린 1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과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은 1:1의 질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은 쇠비름 추출물, 락토바실러스발효물, 황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 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미선나무 잎과 줄기로부터 미선나무 추출물을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추출된 상기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로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정제수 40 내지 60 중량부,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 0.3 내지 3 중량부, 기능성 천연추출물 0.3 내지 3중량부 및 카올린 1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페이스트(paste) 상태의 크림타입으로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하는 제형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형단계에서, 상기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물과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은 1:1의 질량비로 포함되며,
    상기 기능성 천연추출물은 쇠비름 추출물, 락토바실러스발효물, 황금추출물, 흰버드나무껍질 추출물, 감초뿌리추출물, 병풀추출물, 호장근뿌리추출물, 로즈마리잎추출물 및 녹차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KR1020190106242A 2019-08-29 2019-08-29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70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42A KR102370415B1 (ko) 2019-08-29 2019-08-29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242A KR102370415B1 (ko) 2019-08-29 2019-08-29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037A KR20210026037A (ko) 2021-03-10
KR102370415B1 true KR102370415B1 (ko) 2022-03-04

Family

ID=7514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242A KR102370415B1 (ko) 2019-08-29 2019-08-29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415B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4172A (ko) 2011-12-26 2013-07-04 장미자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이용한 화장용품용 조성물
KR101543461B1 (ko) 2013-04-12 2015-08-11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야관문lpc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광노화 개선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729209B1 (ko) 2015-01-16 2017-04-24 ㈜엠알이노베이션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활용한 스킨케어 제품 조성물
KR20160093427A (ko) 2015-01-29 2016-08-0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효된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94707B1 (ko) 2015-03-24 2017-01-19 ㈜엠알이노베이션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데오도란트 조성물
KR101539688B1 (ko) 2015-04-30 2015-07-27 주식회사 씨에이팜 고추캡시컴레진을 함유하는 피부 광노화 개선에 유효한 화장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48881B1 (ko) 2016-06-28 2018-04-13 이스트힐(주) 미선나무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3294B1 (ko) * 2017-11-17 2020-03-02 농업회사법인 엔제이바이오피아 주식회사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070613B1 (ko) * 2017-11-27 2020-01-29 박주현 황칠나무와 고구마를 이용한 발효물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6037A (ko)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23681A (zh) 一种多效护肤组合物以及在化妆品中的应用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5412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03872A (ko) 항산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75137B1 (ko) 황금 추출물의 붉은덕다리버섯 균사체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CN115137673A (zh) 一种发酵类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329986B1 (ko)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98821A (ko)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38984A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755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769755B1 (ko)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능이 향상된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gfc 160704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4506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4663A (ko) 천연 비누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70415B1 (ko)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664700B (zh) 组合物及其在制备防治痤疮的产品中的应用
KR102178510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석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00010315A (ko)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가지는 생약 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B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CN108815077B (zh) 一种中药保湿护手霜及其制备方法
KR102068482B1 (ko) 아보카도 및 상백피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0412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