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74172A -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이용한 화장용품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이용한 화장용품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74172A
KR20130074172A KR1020110142085A KR20110142085A KR20130074172A KR 20130074172 A KR20130074172 A KR 20130074172A KR 1020110142085 A KR1020110142085 A KR 1020110142085A KR 20110142085 A KR20110142085 A KR 20110142085A KR 20130074172 A KR20130074172 A KR 20130074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smetic
fermentation
ski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태관
이면재
박영교
장미자
고영민
장민제
Original Assignee
장미자
고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미자, 고영민 filed Critical 장미자
Priority to KR1020110142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74172A/ko
Publication of KR20130074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41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5Microorganisms
    • Y10S435/911Microorganisms using fungi
    • Y10S435/913Aspergillus
    • Y10S435/918Aspergillus oryzae

Abstract

세척하여 건조시킨 미선나무를 분쇄 후 300메시 시브를 이용하여 미세하게 만든다. 쌀겨와 대두 발효제 50ml씩을 미선나무 분말을 50g/L 비율로 첨가한 다음 120℃에서 멸균시킨 후 황국균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를 25~38℃ 조건에서 약 1~3일간 1차 발효물을 만든다. 여기에 정제수 1L를 붓고 침지 후, 침지 결과물을 살균한다. 다음 유산균류의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와 효모균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 (Saccharomyces carlsbergensis)를 접종하여 10~38℃ 조건에서 혐기 및 호기적으로 발효과정을 1~4일간 진행시켜 혼합 발효물을 만든다. 발효균을 원심분리하여 1차 제거한 후 여과한다. 이렇게 얻은 여과물을 본 발명의 화장용품 조성물로 이용한다.

Description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이용한 화장용품용 조성물{A composite for cosmetics materals using fermented mater of Abelliophyllum distichum}
본 발명은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포함하는 화장용품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황국균 및 유산균 , 효모균에서 선택되어진 1종 이상을 접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선나무(Abelliophyllum distichum)는 우리 나라에서만 자라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상기한 미선나무를 이용하는 종래기술로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를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706,131호 및 미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를 개시하고 있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656,287호 및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54,695호 등이 있고, 이들은 모두 추출물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미선나무 천연 발효물질을 유효성분으로 이용한 화장용품 조성물 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천연 원료가 천연 발효물질로 진일보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그 효능이 입증되어 이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는 더욱 강화되고 있다.
천연물질은 발효의 과정을 거치면서 미생물 분해에 의해 자연 성분 특유의 독소가 제거될 뿐 아니라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항생ㅇ항균 물질이 방부력을 향상시켜 저장 기간을 늘릴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 중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954695호에서는, 미선나무는 항산화 효과, 피부노화 방지 효과, 피부주름 개선 효과, 미백 효과 및 보습 효과를 갖고 피부 내에서 일어나는 산화현상을 억제해 주며, 피부 세포 활성 효과, 피부 잔주름 개선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해당 물질을 이용하여 각종 기능성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미선나무 또는 이의 추출물을 발효시켜 사용하는 본 발명과는 상이하다. 또 다른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12328호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카와치 (Aspergillus kawachii) 등의 국균을 접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독성이 제거된 옻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는 발효 화장료로서의 기능을 극대화시키는 본 발명과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추출물이 아닌 미선나무 천연 발효물질을 직접 적용, 천연물이 갖고 있는 본연의 효능, 피부트러블 완화, 미백 효과, 피부 보습을 증대시킨다.
종래의 미선나무 추출물이 지닌 미진함을 발효 기술로 향상시킨 화장용품용 조성물의 제공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 상기의 필요성과 고려사항을 참고하여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발효화장품은 발효 과정 가운데 효소가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기능을 화장품에 도입, 미생물을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발효균을 제거하는 동시에 효소 외에 유효성분들을 함께 추출함으로써 피부에 좋은 각종 아미노산, 유기산, 항산화 물질들을 피부에 빠르게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미선나무는 1917년 발견되어 한의학 고 문헌에는 드러나지 않고 있으나 성미는 쓰고 떫다.
탄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붓기를 빼주고 보습 효과를 주는 일반적인 화장료로서의 가치가 높다. 여기서 미지 요소를 유기 물질의 발효라는 메카니즘적 방법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천연 식물에는 종족 번식 수단인 방어기제가 존재하는데 이것이 인간과 동물에게는 알레르기라는 반응으로 나타난다. 미선나무도 예외적이지 않아 발효의 디톡스(Detox) 효과를 기대해야 한다.
본 발명은 황국균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번식을 통하여 분해 효율을 높인다. 여기에서 효모균인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 (Saccharomyces carlsbergensis)를 기용하여 유산균과 함께 식물 본성의 저항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피부자극 극복, 피부보습, 항산화, 트러블 해소, 경시안정성까지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장용품용 조성물로서, 미선나무를 미생물로 발효하여 만든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미생물은 황국균, 유산균, 효모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황국균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호모균은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 (Saccharomyces carlsbergensis)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미선나무는 줄기, 껍질, 뿌리, 가지, 씨앗, 꽃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범위로 1종 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의 화장용품용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전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0001∼38%(w/w)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미네랄수, 비누, 샴푸, 린스,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향수,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오일성 용액, 수중유 또는 유증수 또는 연고 또는 다중 에멀전, 수성 또는 오일성 겔, 액체, 페이스트성 또는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오일분산물의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형태의 지질 소포체의 형태일 수도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여 피부 항산화 효과, 미백 효과, 보습성, 윤택성, 피부 트러블 완화의 효과를 낼 수 있는 제품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미선나무의 발효 후 여과 과정에서 여과막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통과시키지 않은 미선나무 발효물이, 화장료 전조성물 중량 기준 0.01∼80%(w/w)로 함유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용품용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화장료에 비해, 항산화 효과, 피부 수분 보유 능력이 우수하고 사용감 개선 및 미백효과, 피부트러블 해소 및 완화, 제품의 경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피부에 자극 등의 부작용을 약화시키는 화장용품을 제공하게 된다.
미선나무(Abelliophyllum distichum) 잎의 직경은 2~9cm 내외이고 부드러운 편이나 줄기와 가지는 속이 빈 특이 형태고 건조하면 단단하여 분쇄 뒤 분말 상태에서도 입자는 견고한 편이다. 따라서 미선나무의 성분을 효율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분말화한 상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황국균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는 분해력이 강하다.
전분을 단당류 및 소당류로 분해하는 능력이 있으므로 미선나무의 분해율을 높일 수 있다.
황국균이 유기물을 분해하고, 유산균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가 정착 조건을 만들어 놓으면 효모균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 (Saccharomyces carlsbergensis)는 양질의 아미노산, 핵산, 지방산, 호르몬, 비타민 각종 미네랄 등으로 합성하는 역할을 한다.
효모균은 당과 식물의 분비물, 유해 가스를 먹이로 하며 생리활성화 물질로 생합성하는 것으로 추리된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 및 실시예는 가능한 시료나 측정기구보다는 실제 소비자의 선택을 파악할 수 있도록 인체 피부를 통하여 실행하였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발효추출물은 미선나무 씨앗, 잎, 가지, 뿌리, 껍질, 꽃 및 이들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20 내지 500메쉬의 크기로 분말화하여 제조한다.
분말 입도가 크면 발효균의 분해율이 저하되고 미세할수록 화장용품 조성물질에 분말 발효물 상태로 직접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미선나무 분말 중량은 정제수 1L를 기준으로 30-80g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g을 사용한다.
분말이 100g을 초과하면 원료의 손실 부담이 있고 30g 이하이면 조성물의 효능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분말에 쌀겨와 대두 발효제를 각각 50ml씩 상기 분말과 교합 후 멸균시킨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120℃에서 12분간 살균하는데 이는 발효의 순도를 유지하기 위한 살균 온도로 충분하며 온도와 시간을 늘리게 되면 유기물의 변성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쌀겨와 대두 발효제는 정제수 1L를 기준으로 각각 50ml씩을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두는 20g을, 쌀겨 발효제는 쌀겨 20g을 정제수에 희석하여 사용한 것이다.
대두 분말과 쌀겨는 미생물 활착에 도움을 줄 뿐 아니라 본 발명의 화장용품 조성물로서의 시너지 효과를 상승시키는데 일조한다.
대두와 쌀겨의 양은 10g~50g을 사용할 수 있으며 10g 이하는 당화 작용이 부족하고 50g 이상이면 주재료인 미선나무의 발효물질의 우위 효과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정 목표에 도달한다.
그러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으며 효소처리 및 탄소원을 단독 또는 추가 공정하여 발효 물질을 수득할 수도 있다.
액체배지에 황국균을 배양하는 공정으로서, 배지에 25~38℃, 140~180rpm의 진탕배양기를 이용하여 24~72시간 동안 배양한다. 배지에 접종된 접종 초기 균수는 1x106~1x108cfu/m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 유산균과 효모를 배양하는 공정으로서, 배지에 유산균과 효모를 상기의 공정 방법으로 배양하며 이 때, 액체배지에 접종된 접종 초기 균수가 균 별로 1x106~1x108cfu/ml이며 유산균과 효모는 중량대비 1:1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 발효공정으로서, 상기의 발효제와 교합한 미선나무분말에 황국균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며 25~38℃ 조건에서 약 1~3일간 1차 발효한다.
발효시간이 1일 이하면 발효 분해가 완전하지 못하고, 3일 이상이면 유효성분들이 황국균의 발효 사이클에 의한 자손실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황국균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아스퍼질러스 카와치(Aspergillus kawachii) 중에서 선택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다음 효모, 유산균의 발효 공정으로서, 상기의 1차 발효물에 정제수 1L를 붓고 침지 후, 발효물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 침지 결과물을 120℃에서 12분간 열처리하여 살균한다.
이때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kimc(Leuconostoc hii)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호모균은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비지아(Saccharomyces cerevisae),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 (Saccharomyces carlsbergensis)중에서 선택된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 (Saccharomyces carlsbergensis)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유산균, 효모균은 10~38℃에서 혐기 및 호기성으로 약 1~4일 진행시킨다.
발효 온도가 5℃ 이하이거나 발효 시간이 1일 이내이면 유산균이 독성성분을 제거하거나 유효성분의 용출이 완전하지 못하고, 너무 길거나 고온이면 효모가 가지고 있는 기능성 활성이 저하될 수 있다.
유산균과 효모균 비율은 1:1로 함이 바람직하나, 온도, ph, 첨가제의 조건에 따라 생성과 잠복이 수시로 변화를 거듭하는 미생물의 특성상 이에 한정할 필요는 없다.
다음, 상기 발효물을 0.25μM로 여과하고 바람직하게는 여과물을 재여과 한다.
그 후, 여과물을 농축하여 화장용품 조성물로 이용하는데, 농축물은 정제수 1L를 기준 5g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여과막을 통과하지 못한 또는 통과시키지 않은 농축액의 부산물이 천연 발효팩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화장용품 제형에 따라 화장료 전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01~ 88%(w/w)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발효 부산물 화장료 전체 기준 대비 중량이 큰 것은 고형물질의 비중이 큰 화장용품 제형에서의 사용이 요긴하기 때문이다.
또한, 부산물은 건조, 분쇄하여 발효팩 등의 화장용품 제형에 따라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을 높이므로 본 발명의 사상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해당하는 내용의 처방예는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의 미선나무 발효 물질 농축액은 화장용품 전체중량의 0.0001~38%(w/w)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이용한 화장용품은 일반적인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고형비누, 물비누, 샴푸, 린스, 용액, 현탁액, 유탁액, 미네랄화장료, 분말향수,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염모제,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팩, 팩 베이스, 아이 크림, 클렌징 워터, 향료,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수성, 수성-알콜성 또는 오일성 용액, 수중유 또는 유증수 또는 연고 또는 다중 에멀전, 수성 또는 오일성 겔, 액체, 페이스트성 또는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오일분산물의 형태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형태의 지질 소포체의 형태일 수 있는 화장용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에서 팩이라 함은 모델링, 마스크, 석고, 수면, 미네랄, 마스크시트이고 내용물 형태에 따라서는 클레이타입, 젤타입, 파우더타입, 크림타입, 왁스타입이며, 이 외에도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미용에 적용되는 팩들을 말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의 화장용품은 화학성분, 파라벤, 인공향, 유기색소, 벤조페논, 동물성 원료의 무첨가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된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발효물질은 미선나무를 추출하여 발효할 수도 있으며 건조, 분쇄, 추출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고 사료되므로 건조와 분쇄, 추출, 농축 방법의 세밀한 내용은 생략한다.
[실시예 1] 황국균, 바실러스균, 유산균, 호모균을 이용한 미선나무 발효물질 제조
쌀겨, 대두 발효제 50ml씩을 미선나무 분말 50g과 교합한다.
본 제조예의 미선나무 분말은 꽃0.5 %, 종자0.5%, 잎1%, 줄기88%, 뿌리10%로 구성된다.
이어 120℃에서 멸균시킨 후 본 발명의 황국균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를 접종하여 25~38℃ 조건에서 약 35시간 1차 발효물을 만든다.
여기서 정제수 1L를 붓고 침지 후, 침지 결과물을 120℃에서 12분간 열처리 살균한다. 다음 유산균류의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와 효모균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 (Saccharomyces carlsbergensis)를 접종하여 10~38℃조건에서 혐기 및 호기성으로 발효과정을 48시간 진행시켜 혼합 발효물을 만든다.
이렇게 얻어진 것을 2차 여과하여 본 발명의 화장용품 조성물로 이용한다.
미선나무 발효물질의 최종농도는 정제수 기준 5g/1L이다.
[실시예 2] 미선나무 추출액 제조
세척하고 건조시킨 미선나무를 200메시로 분말(꽃0.5 %, 종자0.5%, 잎1%, 줄기88%, 뿌리10%)화 한다.
미선나무 분말을 50g에 건조 중량의 10배의 물을 가하여 60℃에서 20시간 가열하고 추출하여 농축한다.
추출한 후 건조 감량이 정제수 기준 5g/1L 이다.
이 미선나무 추출물은 완전 멸균 후 이용한다.
[실험예 1]
미선나무 발효물을 미백 화장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세포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96 웰 플래이트에 세포를 접종하고 실시예 1, 실시예 2와 알부틴을 각각 200ug/ml로 처리하고 이틀 후 배지를 제거하고 MTT solution을 100ul 첨가하여 30℃에서 4시간 반응 후 용액을 제거하고 DMSO 100ul를 첨가하여 염색된 세포를 녹인 후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하기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 세포 생존율(%) = (1-처리구 흡광도/미처리구 흡광도) × 100
Figure pat00001
미처리구는 알부틴과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가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이다.
실시예 1의 미선나무 발효물질은, 200ug/ml에서 세포독성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황산화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한다.
[미선나무 추출물과 발효물의 항산화 특성에 관한 실험설계]
Figure pat00002
본 실험의 항산화 활성측정은 1.1-diphemyl-2-picrylhydrazyl(DPPH) 16mg을 100ml 에탄올에 용해한 후, 증류수 100ml를 혼합하여 여과지(Whatman filter paper No.2)로 여과하여, 여과액 5ml에 미선나무 추출물, 발효액, 1ml를 가하여 혼합한 후, UVVis Spectrophotometer(UV-1201 shimadzu, japan)을 이용하여 528nm에서 30분 동안 5분 간격으로 흡광도의 감소치를 측정한다.
*항산화 활성(%) = (1-처리구 흡광도/미처리구 흡광도) × 100
이때 항산화 활성은 시료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하여 표시한다.
[실험예 2]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고, 이를 다음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선나무 발효물이 항산화 효과 81%로 더 높게 나타난다.
농도를 높이며 비교 차이를 보이는 측정표는 생략한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 따르면 미선나무 발효물질이, 팩 베이스인 경우 일례로 000.1∼30%(w/w) 바람직하게는 3%(w/w) 함유한다.
미선나무 발효물질 함량이 0.3%(w/w) 미만인 경우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범위가 이들 처방예의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 조성물이 팩 베이스에 적용될 경우 농글리세린 11%(w/w) 소디움카르복실메칠셀룰로오스 0.6%(w/w), 카올린 22.0%(w/w), 바셀린 4.0%(w/w), 세토스테아릴알콜 1.0 %(w/w), 피오이(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4%(w/w),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0.6%(w/w), 벤토나이트 6.0%(w/w)이다. 미선나무 발효물질은 실시예 3에서는 1.0%(w/w) 실시예 4에서는 3.0%(w/w) 이며, 잔부는 정제수이다.
하기 표 4는 통상적인 팩 베이스 처방이며 제조예 1 및 제조예 2는 통상적인 팩 베이스 처방에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배합하여 제조하고, 비교예 1은 화장품용 팩 베이스만을 제조하고, 비교예 2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배합하여 제조한다.
표 4의 조성에 따라 각기 다른 용기에 A와 C상의 각 원료들을 배합, 75℃까지 가온 용해하고 A상에 B를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잘 분산시킨 후, 75℃에서 A상에 다시 C상을 넣어주고, 호모믹서로 잘 교반하면서 냉각시킨다.
50℃ 이하에서 D와 E를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제조한다.
Figure pat00004
상기 제조예 1, 2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안전성, 피부보습, 미백 효과, 제품 안정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피부에 대한 1차 자극성 시험, 수분 보유 능력 측정시험, 실사용 테스트 및 경시 안정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3] 피부 자극성 테스트
상기 제조예 1, 2 및 비교예에 따라 하기 표 5은 제조된 제품들의 피부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팔하박부에 각 시료의 일정량(약2.0g)을 첩보시험용 헤이즐챔버에 묻혀 60시간 첩포한 후, 헤이즐챔버를 제거하고 5시간 경과 후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상기 피부 1차 자극성 시험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2는 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 보다 낮은 자극도를 보였으며 비교예 2에 비해서도 조금 낮은 자극도를 보였다.
[실험예 4] 수분 보유 능력 테스트
상기 제조예 1,2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제품들의 수분 보유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표 6은 피시험자 성인 남녀 20명을 30분 이상 항온 항습실에서 휴식을 취하게 한 후, 팔하박부 안쪽에 4x4㎠의 구획을 설정한 후 제품을 2㎍/㎠의 두께로 도포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피부수분 함유량을 수분보유능력 측정장치(corneometer CM 820, Courage + Khazaka electronicGmbh사,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상기 수분보유능력 측정결과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함유한 제조예 1 및 제조예 2는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탁월한 수분 보유 능력을 나타냈으며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비교예 2에 비하여 우수한 보습효과를 나타낸다.
[실험예 5] 실사용 테스트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의 제품에 대하여 18∼45세의 여성패널 30명을 대상으로 사용평가 테스트를 하였다.
사용기간은 3주이며 매일 아침과 저녁에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8
상기 표 7에서 본 바와 같이, 제조예 1 및 제조예 2는 비교예 2에 비하여 피부에 보습성, 윤택성, 미백 효과 및 피부 트러블의 해소에 우수한 팩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6] 제품 경시안정성 시험
상기 제조예 1,2 및 비교예의 제품에 대한 경시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품을 각각 120g씩 투명 유리용기에 담아 실온, 고온(43℃), 저온(4℃), 및 내광 조건에서 보관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09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1과 제조예 2는 비교예 2에 비해 보관 조건하에서 안정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용품은 미선나무 발효물질이 0.0001∼38%(w/w), 샴푸인 경우 일례로 0.3∼18%(w/w) 바람직하게는 5%(w/w) 함유한다. 상기 미선나무 발효물질 함량이 0.5%(w/w) 미만인 경우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품이 샴푸인 경우, 하기한 성분들 중 적어도 일부 및 그 외, 당 업계에서 관용되는 성분들을 임의적으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하기한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범위가 이들 실시예의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4]
하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및 비교예는 통상적인 샴푸 처방으로 배합하여 제조하며, 하기 제조예는 미선나무 발효물질, 비교예는 미선나무 추출물을 배합하여 제조한다.
따라서 각기 다른 용기에 정제수에 글리세린 및 EDTA-4Na을 가하여 80℃에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TEA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라우릴 아미도프로필 베타인 및 라울릴산 디에탄올 아미드를 가하여 교반한다.
여기에 구연산을 넣어 50℃에서 중화시킨 다음, 45 ℃에서 아연(Zinc) 피리티온을 가하고 교반하여 샴푸를 제조한다.
하기 표 9에 각 성분의 함량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10
[실험예 7] 피부 트러블 테스트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의 제품에 대하여 머리피부 가려움이 있는 18∼45세의 여성패널 20명을 대상으로 사용평가 테스트를 한다.
사용기간은 3주이며 매일 저녁에 1회에 걸쳐 실시한다.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11
상기 표 10에서 보여지듯이 실험에서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함유한 제조예는 발효하지 않은 비교예 미선나무 추출물 화장료보다 머리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의 제조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사실이다.
즉,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하여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7)

  1. 미선나무를 미생물로 발효하여 만든 화장용품 조성물로서 황국균, 유산균 및 효모균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황국균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호모균은 사카로마이세스 카를스베르겐시스(Saccharomyces carlsbergensis)를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품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선나무는 줄기, 껍질, 뿌리, 가지, 씨앗 및 꽃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품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품용 조성물은 전체 화장료 전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0.0001∼38%(w/w)의 범위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품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고형비누, 물비누, 샴푸, 린스, 용액, 현탁액, 유탁액, 미네랄화장료, 분말향수,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염모제, 왁스,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팩, 팩 베이스, 아이 크림, 향료, 연고, 클렌징 워터, 파우더,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용품 조성물.
  6. 제 1항 내지 7항에서, 피부 항산화 효과, 미백 효과, 보습성, 윤택성, 피부트러블 완화 및 이들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적용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품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후 여과 과정에서 여과막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통과시키지 않은 미선나무 발효물이, 화장료 전조성물 중량 기준 0.01∼88%(w/w)로 함유시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품 조성물.
KR1020110142085A 2011-12-26 2011-12-26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이용한 화장용품용 조성물 KR20130074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085A KR20130074172A (ko) 2011-12-26 2011-12-26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이용한 화장용품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085A KR20130074172A (ko) 2011-12-26 2011-12-26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이용한 화장용품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4172A true KR20130074172A (ko) 2013-07-04

Family

ID=48988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085A KR20130074172A (ko) 2011-12-26 2011-12-26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이용한 화장용품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74172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256A (ko) 2015-01-16 2016-07-27 괴산군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아토피 개선제품 조성물
KR20160089257A (ko) 2015-01-16 2016-07-27 괴산군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활용한 스킨케어 제품 조성물
KR20160114801A (ko) 2015-03-24 2016-10-06 괴산군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데오도란트 조성물
WO2019073073A1 (en) 2017-10-13 2019-04-18 Lettus Grow Ltd AEROPONIC DEVICE
KR20190079875A (ko) 2017-12-28 2019-07-08 우리나무영농조합법인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KR20210026037A (ko) 2019-08-29 2021-03-10 (주)화니핀코리아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26036A (ko) 2019-08-29 2021-03-10 (주)화니핀코리아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0376A (ko) * 2020-08-28 2022-03-11 한국식품연구원 신규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01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미선나무 발효 추출물
KR20220030375A (ko) * 2020-08-28 2022-03-11 한국식품연구원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19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미선나무 발효 추출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9256A (ko) 2015-01-16 2016-07-27 괴산군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아토피 개선제품 조성물
KR20160089257A (ko) 2015-01-16 2016-07-27 괴산군 미선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활용한 스킨케어 제품 조성물
KR20160114801A (ko) 2015-03-24 2016-10-06 괴산군 미선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데오도란트 조성물
WO2019073073A1 (en) 2017-10-13 2019-04-18 Lettus Grow Ltd AEROPONIC DEVICE
EP4233527A2 (en) 2017-10-13 2023-08-30 Lettus Grow Ltd Aeroponics apparatus
KR20190079875A (ko) 2017-12-28 2019-07-08 우리나무영농조합법인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KR20210026037A (ko) 2019-08-29 2021-03-10 (주)화니핀코리아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마스크팩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26036A (ko) 2019-08-29 2021-03-10 (주)화니핀코리아 유산균 발효 미선나무 추출액을 포함하는 피부광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30376A (ko) * 2020-08-28 2022-03-11 한국식품연구원 신규의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Wikim01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미선나무 발효 추출물
KR20220030375A (ko) * 2020-08-28 2022-03-11 한국식품연구원 신규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WiKim0119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미선나무 발효 추출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74172A (ko) 미선나무 발효물질을 이용한 화장용품용 조성물
KR101086225B1 (ko) 청미래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321854B1 (ko) 효소 처리 블래더랙 및 꿀풀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및 피부 탄력증진용 화장료조성물
KR101868507B1 (ko) 효소처리 그라비올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항염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KR101677362B1 (ko) 상황버섯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28391A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2092254B1 (ko) 강아지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98872B1 (ko) 미네랄을 이용한 진정 및 재생효과를 갖는 병풀 무균 숙성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6908B1 (ko) 다단발효를 통한 동백 인퓨즈드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36304A (ko) 화산송이를 이용한 식물 추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6798B1 (ko) 피부 진정, 안티에이징 효과가 개선된 율무, 화산 송이 복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5455A (ko) 갈대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41564A (ko) 프로폴리스 및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4556B1 (ko) 청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화장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32715A (ko) 노화방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55716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ami-1103 균주를 이용한 당근 발효물 제조방법
KR20180114578A (ko) 장미숙성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