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7140B1 -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 및 광채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 및 광채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7140B1
KR102537140B1 KR1020220170353A KR20220170353A KR102537140B1 KR 102537140 B1 KR102537140 B1 KR 102537140B1 KR 1020220170353 A KR1020220170353 A KR 1020220170353A KR 20220170353 A KR20220170353 A KR 20220170353A KR 102537140 B1 KR102537140 B1 KR 102537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parts
water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주
Original Assignee
엘르로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르로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르로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0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71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7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7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 아카시아 콜라젠, 동백나무꽃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 실크, 흰목이 버섯 추출물, 마돈나 백합꽃 추출물, 및 토마토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특유의 추출 방법과 배합을 통해 미백효과 및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이를 토대로 제조된 처방예는 제제 안정성이 높으며, 임상적으로 적용되어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 및 광채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having improved anti-aging effects and luster}
아래 실시예들은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노화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로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이 저하되고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이 감퇴되어 외부 스트레스에 취약해지며, 질병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되어 만성 질환에 이환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변화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노화는 생명의 필수불가결한 부분으로, 피부 역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가 진행되며, 피부 주름은 노화된 피부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노화 정도를 가늠하는 가장 일반적인 기준이다. 노화의 원인은 자외선 노출로 인한 피부 손상, 흡연, 음주, 스트레스 등의 외재적 요인과 유전 인자와 같은 내재적 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 외재적 요인인 자유라디칼 생성에 따른 신체의 산화 또는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은 노화의 주요 기전으로 지목되고 있다.
노화의 주요 요인인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로도 불리며, 체내 세포의 대사과정에서 끊임없이 생성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 손상을 주도하고 피부를 산화 상태로 만든다. 계속되는 산화적 스트레스는 지질 과산화, 단백질 산화, 세포간질 성분을 파괴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를 활성화하며, 탄력 섬유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의 사슬절단 및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히아루론산 사슬의 절단, 멜라닌 생성반응 촉진, DNA 산화와 같은 생체 구성 성분들의 손상을 야기시킨다. 이 외에도 피부에 염증을 유발하고 피부면역기능을 억제시켜 세균 감염증 또는 발암율을 증가시키며, 그 결과 탄력감소, 주름, 기미, 주근깨 등으로 피부 노화를 가속화시킨다. 따라서 피부세포를 보호하고 결합조직의 손상을 억제하여 피부 노화를 지연 및 예방하기 위해서는 활성산소의 과잉 생성을 억제하고 생성된 활성산소의 효율적인 제거가 필요하다.
한편, 항산화 물질은 산화를 방지하는 물질로, 활성산소와 반응하여 이들의 독성을 제거하며 체내의 손상된 세포를 회복시킨다. 항산화 물질로는 카로테노이드류(베타카로틴, 라이코펜, 루테인), 플라보노이드류(안토시아닌, 카테킨, 레스베라트롤, 프로안토시아니딘), 이소플라본류(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비타민, 미네랄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항산화 물질은 외부에서 체내로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노화 방지를 위한 항산화 물질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항산화 물질의 경우 피부에 안전하며 외부 조건에 안정성이 확보되고 화장품 원료들과의 상용성 또한 우수하여야 한다. 그러나 천연 항산화 물질의 경우 자체안정성이 떨어져 제형 이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합성 항산화 물질의 경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고 제형내 안정성이 우수하나 최근 변이원성 및 독성이 부각되면서 보다 안전하고 활성이 강한 천연물 유래 항산화 물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천연유래 물질들의 추출물을 조합하여 항산화, 미백, 탄력 개선 등 노화를 방지 하기 위한 효과를 나타내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다.
1. KR20180098821A 2. KR20180112284A
실시예들은 천연유래 물질들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미백, 항산화, 및 탄력 개선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유래 물질의 조합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이를 토대로 제제 안정성을 갖춘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예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 아카시아 콜라젠, 동백나무꽃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 실크, 흰목이 버섯 추출물, 마돈나 백합꽃 추출물, 및 토마토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 55 내지 65 중량부, 아카시아 콜라젠 4 내지 6 중량부, 동백나무꽃 추출물 4 내지 6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실크 4 내지 6 중량부, 흰목이 버섯 추출물 4 내지 6 중량부, 마돈나 백합꽃 추출물 9 내지 11 중량부, 및 토마토 추출물 9 내지 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이고, 상기 동백나무꽃 추출물은 수 추출물이고, 상기 흰목이 버섯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이고, 상기 마돈나 백합꽃 추출물은 수추출물이고, 상기 토마토 추출물은 수추출물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은 건조된 다마스크 장미 100 중량부가 70 내지 90%(v/v) 에탄올 수용액 600 내지 1,000 중량부에 의해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되고 감압 농축하여 2 내지 4 중량부로 획득되는 것이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백나무 꽃 추출물은 건조된 동백나무꽃 100 중량부가 80 내지 100℃의 물 800 내지 1,200 중량부에 의해 7 내지 9시간 추출되고 감압 농축하여 2 내지 4 중량부로 획득되는 것이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건조된 흰목이 버섯100 중량부가 70 내지 90%(v/v) 에탄올 수용액 600 내지 1,000 중량부에 의해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되고 감압 농축하여 2 내지 4 중량부로 획득되는 것이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마돈나 백합꽃 추출물은 건조된 마돈나 백합꽃 100 중량부가 20 내지 40℃의 물 800 내지 1,200 중량부에 의해 7 내지 9시간 추출되고 감압 농축하여 40 내지 60 중량부로 획득되는 것이고,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마토 추출물은 건조된 토마토 100 중량부가 80 내지 100℃의 물 800 내지 1,200 중량부에 의해 7 내지 9시간 추출되고 감압 농축하여 30 내지 50 중량부로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 아카시아 콜라젠, 동백나무꽃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 실크, 흰목이 버섯 추출물, 마돈나 백합꽃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기린혈 (Draconis Sanguis) 추출물, 차나무 (Camellia sinensis) 추출물, 화이트토마토 추출물, 자색당근 추출물, 자색 양배추 추출물, 가지 추출물, 비트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아보카도열매추출물*말토덱스트린, 푸른연꽃 추출물, 달맞이꽃 추출물, 갈근 추출물, 솔잎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1,2-헥산다이올, 알파-비사보롤, 3-O-에틸아스코빅애씨드, 및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은 특유의 추출 방법과 배합을 통해 미백효과 및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이를 토대로 제조된 처방예는 제제 안정성이 높으며, 임상적으로 적용되어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 천연물 유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1)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다마스크 장미 100g을 80%(v/v) 에탄올 1L에 담지하고 4시간 동안 3회에 걸쳐 환류 추출하였다. 이후, 건더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3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다마스크 장미 에탄올 추출물로 명명하였다.
또한, 건조된 다마스크 장미 100g을 90℃의 물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건더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3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다마스크 장미 수추출물로 명명하였다.
(2) 아카시아 콜라겐의 준비
식물성 콜라겐으로 알려진 아카시아 콜라겐의 원료를 구입하였다.
(3) 동백나무꽃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동백나무꽃 100g을 80% (v/v) 에탄올 1L에 담지하고 4시간 동안 3회에 걸쳐 환류 추출하였다. 이후, 건더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3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동백나무꽃 에탄올 추출물로 명명하였다.
또한, 건조된 동백나무꽃 100g을 90℃의 물 1L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건더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3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동백나무꽃 수추출물로 명명하였다.
(4) 하이드롤라이즈드 실크의 준비
실크 단백질의 가수분해물로서 피부컨디셔닝제로 사용되는 하이드롤라이즈드 실크를 입수하였다.
(5) 흰목이 버섯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흰목이버섯 100g을 80%(v/v) 에탄올 1L에 담지하고 4시간 동안 3회에 걸쳐 환류 추출하였다. 이후, 건더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3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흰목이버섯에탄올 추출물로 명명하였다.
또한, 건조된 흰목이버섯 100g을 90℃의 물1L 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건더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3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흰목이버섯 수추출물로 명명하였다.
(6) 마돈나백합꽃수의 준비
건조된 마돈나 백합꽃100g을 30℃의 물1L 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건더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5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마돈나백합꽃수로 명명하였다.
(7) 토마토 수추출물의 준비
또한, 건조된 토마토100g을 90℃의 물1L 에서 8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후, 건더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40g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토마토 수추출물로 명명하였다.
(8) 성분의 배합
아래와 같은 배합으로 조합하여 비교예 및 실시예의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1
(1)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60 중량% 수 추출물60 중량% 에탄올 추출물 60 중량% 수 추출물 60 중량% 에탄올 추출물 60 중량%
(2) 아카시아 콜라젠 5 중량% 5 중량% 5 중량% 5 중량% 5 중량%
(3) 동백나무꽃 추출물 수 추출물5 중량% 수추출물5 중량% 에탄올 추출물 5 중량% 수추출물 5 중량% 수추출물 5 중량%
(4) 하이드롤라이즈드 실크 5 중량% 5 중량% 5 중량% 5 중량% 5 중량%
(5) 흰목이 버섯 추출물 수 추출물 5 중량% 에탄올 추출물 5 중량% 에탄올 추출물5 중량% 수추출물 5 중량% 에탄올 추출물 5 중량%
(6) 마돈나 백합꽃수 10중량% 10중량% 10중량% 10중량% 10중량%
(7) 토마토 수추출물 10 중량% 10 중량% 10 중량% 10 중량% 10 중량%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실시예 1
(1)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50 중량% 에탄올 추출물 70 중량% 에탄올 추출물 60 중량% 에탄올 추출물 60 중량% 에탄올 추출물 60 중량%
(2) 아카시아 콜라젠 5 중량% 5 중량% 5 중량% 5 중량% 5 중량%
(3) 동백나무꽃 추출물 수추출물 5 중량% 수추출물 5 중량% - 수추출물 10 중량% 수추출물 5 중량%
(4) 하이드롤라이즈드 실크 5 중량% 5 중량% 5 중량% 5 중량%
(5) 흰목이 버섯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5 중량% 에탄올 추출물 5 중량% 에탄올 추출물 10 중량% - 에탄올 추출물 5 중량%
(6) 마돈나 백합꽃수 15중량% 5중량% 10중량% 10중량% 10중량%
(7) 토마토 수추출물 15 중량% 5 중량% 10 중량% 10 중량% 10 중량%
실험예 1. 원료물질 기초 테스트
본 발명자들은 천연 유래 성분을 이용한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하여, 여러 성분들의 배합에 의한 세포 내 활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예 1-1. 세포 독성 측정
B16-F10 세포주를 24-well plate에 1×105 cells/mL의 농도로 각 well에 500 μL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37℃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 후, 각 시료를 20μl만큼 세포주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PBS 완충액에 녹인 MTT 용액을 20 μL씩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켜 formazan 형성을 확인하고, 배지를 완전히 제거 후 100 μL의 solubilization solution를 첨가하여 formazan을 다 녹인 후, ELISA reader (Synergy HTX Multi-Mode Reader, Bio-tex, USA)로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성분을 처리하지 않고 배양시킨 대조군 세포의 생존율을 100%로 하였을 때의 상대적인 세포생존율을 구하였다.
상대 생존율
실시예 1 98.5%
비교예 1 53.7%
비교예 2 38.2%
비교예 3 59.2%
비교예 4 36.6%
비교예 5 81.5%
비교예 6 58.6%
비교예 7 79.5%
비교예 8 89.0%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한 결과, 다마스크 장미 꽃 추출물을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고, 동백나무꽃 추출물을 수추출물로 사용하고,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에 가장 우수한 세포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다마스크 장미 수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에 세포적합성이 매우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비교예 5 내지 8을 통해 함량이 다른 경우를 비교하였다. 다마스크 에탄올 추출물의 비율이 70 중량%가 넘는 경우에 세포 적합성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백나무꽃 추출물이나 흰목이 버섯 추출물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들이 포함된 조성에서 시너지적 효과가 나타나 우수한 세포 적합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2: 멜라닌 생성능 측정
B16-F10 세포주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주를 6-well plate에 3X105 cells/well이 되도록 2 mL씩 첨가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 표의 배합으로 80μL 처리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 1mM 농도의 알부틴(arbutin)을 80μL 처리하였다. 여기에 100 nM의 α-MSH를 처리하여 72 동안 세포를 자극한 후, 세포 내외 생성된 멜라닌을 측정하였다. 세포 외 분비된 멜라닌 (Extracellular melanin)은 배양액을 100 μL씩 96 well plate에 옮겨 405 nm에 측정하였다. 세포 내 형성된 멜라닌 (Intracellular melanin)은 배양한 세포를 0.25% Trypsin-EDTA 용액을 처리하여 세포를 수확한 후 원심분리(10,000 rpm, 4℃를 5분간 실시한 뒤, cell pellet에 1 N NaOH (10% DMSO)를 넣고, 80℃에서 60분간 세포 내 멜라닌을 녹여 405 nm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멜라닌 생성량을 측정하여 아래의 표 4에 나타내었다.
상대 멜라닌 생성량
비교군 100%
실시예 1 25.5%
비교예 1 76.4%
비교예 2 62.1%
비교예 3 69.5%
비교예 4 85.2%
비교예 5 65.6%
비교예 6 36.7%
비교예 7 59.0%
비교예 8 51.2%
Arbutin처리군 44.6%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한 결과, 다마스크 장미 꽃 추출물을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고, 동백나무꽃 추출물을 수추출물로 사용하고,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에 가장 멜라닌 억제 효과가 높았다.
한편, 비교예 5 내지 8을 통해 함량이 다른 경우를 비교하였다. 다마스크 에탄올 추출물의 비율이 5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경우에 멜라닌 억제 효과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백나무꽃 추출물이나 흰목이 버섯 추출물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들이 포함된 조성에서 시너지적 효과가 나타나 우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1-3: DCF-DA 항산화 실험
99.9%의 에탄올에 용해한 1 mM DCFDA와 3차 증류수에 용해한 600 U/mL Esterase를 -20℃에 stock solution으로 저장하였으며, 1mM DCFDA와 600 U/mL Esterase를 혼합하여 37℃에서 20분간 배양하여 조제된 2',7'-dichlorodihydrofluorescein(DCFH)는 사용 전까지 암소에서 냉동보관 한 뒤 100배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DCFDA assay는 활성산소의 세포성 생성과 postmitochondria에서의 생성에 대한 probe로써 사용된다. 이는 지용성의 DCFDA가 esterase 또는 산화적 가수분해를 받아 비형광성인 DCFH로 탈아세틸화되며, DCFH는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강한 형광을 나타내는 2',7'-Dichlorofluorescein(DCF)이 되므로, excitation wavelength 485 nm 및 emission wavelength 530 nm에서 Fluorescence Microplate reader로 측정하였다.
O2-생성량은 130 uL의 5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7.4)에 표 1의 시료 또는 아스코르브산 (5.0mg/mL) 10 uL와 10uL의 20 mM menadion을 넣어 37℃에서 5분간 shaking 한 후 100배 희석한 DCFH용액 50 uL를 첨가하여 O2-와의 반응하여 20분간 생성된 형광의 변화를 excition wavelength 485 nm 및 emission wavelength 530 nm에서 측정하였다.
산소 소거능
실시예 1 42.5%
비교예 1 25.4%
비교예 2 26.1%
비교예 3 29.5%
비교예 4 21.2%
비교예 5 30.6%
비교예 6 31.7%
비교예 7 29.0%
비교예 8 28.2%
아소코르브산 처리군 44.6%
비교예 1 내지 4와 비교한 결과, 다마스크 장미 꽃 추출물을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하고, 동백나무꽃 추출물을 수추출물로 사용하고,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에탄올 추출물을 사용한 경우에 가장 항산화 효과가 높았다.
한편, 비교예 5 내지 8을 통해 함량이 다른 경우를 비교하였다. 다마스크 에탄올 추출물의 비율이 50 중량% 이하나 70 % 이상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항산화 효과가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동백나무꽃 추출물이나 흰목이 버섯 추출물이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들이 포함된 조성에서 시너지적 효과가 나타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졌다.
제조예 2.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로 제조한 처방예의 제조
아래 표에서 수상부를 75 ℃가 되도록 가열하고, 유상부를 75 ℃가 되도록 가열하였다. 가열된 수상부 및 유상부로 혼합한 후 75 ℃에서 호모믹서기로 5분 동안 유화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에멀젼에 겔화용액을 첨가한 후 75 ℃를 유지하면서 30분 동안 교반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처방예 1 비교처방예 1 비교처방예 2
수상부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 54.0% 54.0% 54.0%
아카시아 콜라젠 4.5% 4.5% 4.5%
동백나무 꽃 추출물 4.5% 4.5% 4.5%
하이드롤라이즈드 실크 4.5% 4.5% 4.5%
흰목이 버섯 추출물 4.5% 4.5% 4.5%
마돈나 백합 꽃수 9.0% 0.0% 9.0%
토마토 수추출물 9.0% 9.0% 0.0%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기린혈 (Draconis Sanguis) 추출물 0.0001% 0.0001% 0.0001%
차나무 (Camellia sinensis) 추출물 0.0001% 0.0001% 0.0001%
화이트토마토 추출물 0.0001% 0.0001% 0.0001%
자색당근 추출물 0.0001% 0.0001% 0.0001%
자색 양배추 추출물 0.0001% 0.0001% 0.0001%
가지 추출물 0.0001% 0.0001% 0.0001%
비트 추출물 0.0001% 0.0001% 0.0001%
블루베리 추출물 0.0001% 0.0001% 0.0001%
아보카도열매추출물*말토덱스트린 0.0001% 0.0001% 0.0001%
푸른연꽃 추출물 0.0001% 0.0001% 0.0001%
달맞이꽃 추출물 0.0001% 0.0001% 0.0001%
갈근 추출물 0.0001% 0.0001% 0.0001%
솔잎 추출물 0.0001% 0.0001% 0.0001%
유근피 추출물 0.0001% 0.0001% 0.0001%
1,2-헥산다이올 0.03% 0.03% 0.03%
알파-비사보롤 0.5% 0.5% 0.5%
3-O-에틸아스코빅애씨드 0.001% 0.001% 0.001%
글루타티온 0.0003% 0.0003% 0.0003%
겔화용액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5% 0.5% 0.5%
폴리글리세릴-10미리스테이트 0.5% 0.5% 0.5%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4% 0.4% 0.4%
글리세린 3.0% 3.0% 3.0%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3% 0.3% 0.3%
판테놀 0.3% 0.3% 0.3%
알란토인 0.3% 0.3% 0.3%
베타인 0.3% 0.3% 0.3%
유상부 로즈마리 오일 3.0% 3.0% 3.0%
글리세릴글루코사이드 0.02% 0.02% 0.02%
부틸렌글라이콜 0.02% 0.02% 0.02%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2% 0.02% 0.02%
비타민나무열매오일 0.001% 0.001% 0.001%
카프릴릭/카프릭트라이글리세라이드 0.5% 0.5% 0.5%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02% 0.02% 0.02%
제조단계에서는 모두 안정적으로 하이드로젤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저장 안정성 측정
상기 제조된 처방예 및 비교처방예들의 저장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제조 후 가속 조건 40℃및 상대습도 75% 조건하에서 4달 이후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처방예 1은 안정성이 유지된 반면, 비교처방예들에서는 상 분리가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3. 탄력 개선 측정
본 발명의 탄력 개선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만 30세~45세의 남녀 90명을 각각 30명씩 4주간에 걸쳐 처방예 1, 비교처방예 1, 및 비교처방예 2를 사용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의견에 따라 개선 정도를 파악하였다.
처방예 1 비교처방예 1 비교처방예 2
매우 효과가 있다. 17 0 0
효과가 있다. 11 0 2
보통이다. 2 5 7
효과가 없다. 0 12 13
전혀 효과가 없다. 0 13 8
이상과 같이 처방예 1에서 피부 흡수가 우수하고 이에 따라 미백 및 탄력 개선 효과가 현저히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정제수 대신 마돈나 백합꽃수나 토마토 수추출물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에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 아카시아 콜라젠, 동백나무꽃 추출물, 하이드롤라이즈드 실크, 흰목이 버섯 추출물, 마돈나 백합꽃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기린혈 (Draconis Sanguis) 추출물, 차나무 (Camellia sinensis) 추출물, 화이트토마토 추출물, 자색당근 추출물, 자색 양배추 추출물, 가지 추출물, 비트 추출물, 블루베리 추출물, 아보카도열매추출물*말토덱스트린, 푸른연꽃 추출물, 달맞이꽃 추출물, 갈근 추출물, 솔잎 추출물, 유근피 추출물, 1,2-헥산다이올, 알파-비사보롤, 3-O-에틸아스코빅애씨드, 및 글루타티온을 포함하는,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 55 내지 65 중량부, 아카시아 콜라젠 4 내지 6 중량부, 동백나무꽃 추출물 4 내지 6 중량부, 하이드롤라이즈드 실크 4 내지 6 중량부, 흰목이 버섯 추출물 4 내지 6 중량부, 마돈나 백합꽃 추출물 9 내지 11 중량부, 및 토마토 추출물 9 내지 11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이고, 상기 동백나무꽃 추출물은 수 추출물이고, 상기 흰목이 버섯 추출물은 에탄올 추출물이고, 상기 마돈나 백합꽃 추출물은 수추출물이고, 상기 토마토 추출물은 수추출물인 것이며,
    상기 다마스크 장미 추출물은 건조된 다마스크 장미 100 중량부가 70 내지 90%(v/v) 에탄올 수용액 600 내지 1,000 중량부에 의해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되고 감압 농축하여 2 내지 4 중량부로 획득되는 것이고,
    상기 동백나무 꽃 추출물은 건조된 동백나무꽃 100 중량부가 80 내지 100℃의 물 800 내지 1,200 중량부에 의해 7 내지 9시간 추출되고 감압 농축하여 2 내지 4 중량부로 획득되는 것이고,
    상기 흰목이버섯 추출물은 건조된 흰목이 버섯100 중량부가 70 내지 90%(v/v) 에탄올 수용액 600 내지 1,000 중량부에 의해 3 내지 5시간 동안 환류 추출되고 감압 농축하여 2 내지 4 중량부로 획득되는 것이고,
    상기 마돈나 백합꽃 추출물은 건조된 마돈나 백합꽃 100 중량부가 20 내지 40℃의 물 800 내지 1,200 중량부에 의해 7 내지 9시간 추출되고 감압 농축하여 40 내지 60 중량부로 획득되는 것이고,
    상기 토마토 추출물은 건조된 토마토 100 중량부가 80 내지 100℃의 물 800 내지 1,200 중량부에 의해 7 내지 9시간 추출되고 감압 농축하여 30 내지 50 중량부로 획득되는 것인,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20170353A 2022-12-08 2022-12-08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 및 광채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71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353A KR102537140B1 (ko) 2022-12-08 2022-12-08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 및 광채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353A KR102537140B1 (ko) 2022-12-08 2022-12-08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 및 광채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7140B1 true KR102537140B1 (ko) 2023-05-26

Family

ID=86536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0353A KR102537140B1 (ko) 2022-12-08 2022-12-08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 및 광채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71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059B1 (ko) *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6108261A (ja) * 2014-12-04 2016-06-20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膚ターンオーバー改善剤
KR20180098821A (ko) 2017-02-27 2018-09-05 네이트라코코 주식회사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2284A (ko) 2017-04-03 2018-10-12 최재춘 다마스크 장미꽃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5492B1 (ko) * 2019-11-01 2020-03-05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흰목이버섯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22167197A (ja) * 2021-04-22 2022-11-04 丸善製薬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表皮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真皮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059B1 (ko) * 2009-06-30 2011-11-07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6108261A (ja) * 2014-12-04 2016-06-20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皮膚ターンオーバー改善剤
KR20180098821A (ko) 2017-02-27 2018-09-05 네이트라코코 주식회사 한방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12284A (ko) 2017-04-03 2018-10-12 최재춘 다마스크 장미꽃 및 블루베리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5492B1 (ko) * 2019-11-01 2020-03-05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흰목이버섯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JP2022167197A (ja) * 2021-04-22 2022-11-04 丸善製薬株式会社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表皮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及び真皮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3712B2 (en) Bioactive botanical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US8277852B2 (en) Bioactive botanical cosmetic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KR20080026663A (ko) 경구 투여용 조성물
CN110859797A (zh) 包含西潘莲提取物和火绒草细胞的化妆品组合物及用途
KR20170132388A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10054154A (ko) 비자나무의 미성숙 열매 또는 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4446B1 (ko) 상동나무 추출물과 미세침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76147A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537140B1 (ko) 개선된 안티에이징 효과 및 광채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49332A (ko) 미백용 합마유 추출물
CN112386627A (zh) 迷迭香愈伤组织汁液的用途以及用以诱导迷迭香愈伤组织的培养基
KR20160011732A (ko)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11654B1 (ko)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295875B1 (ko) 초두구추출물을함유하는화장료
KR100782517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또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KR20210035764A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0309B1 (ko) 미숙 토마토 발효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87425B1 (ko) 갯버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9716B1 (ko) 아이스플랜트 발효물과 캐리어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TWI772986B (zh) 紫花香茅用於調理肌膚之用途
KR101441291B1 (ko) 찔레 및 비수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81576B1 (ko) 강황 추출물과 담팔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5023B1 (ko) 미역추출물 및 콜라겐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12176923A (ja) 抗酸化剤、ハリ・タルミ改善剤、ラジカル消去剤、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並びに抗老化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