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808A - 회전 숟가락 꽂이 - Google Patents

회전 숟가락 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808A
KR20180098808A KR1020170025403A KR20170025403A KR20180098808A KR 20180098808 A KR20180098808 A KR 20180098808A KR 1020170025403 A KR1020170025403 A KR 1020170025403A KR 20170025403 A KR20170025403 A KR 20170025403A KR 20180098808 A KR20180098808 A KR 20180098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main body
cover
inl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429B1 (ko
Inventor
박정욱
Original Assignee
박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욱 filed Critical 박정욱
Priority to KR102017002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4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를 제공한다. 상기 숟가락이 인입되는 인입구 및 상기 인입구와 대향하는 인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인입구를 개폐하는 제1 커버, 상기 인출구을 개폐하는 제2 커버, 상기 본체부가 공중에 떠있으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회전 숟가락 꽂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회전 숟가락 꽂이{rotating spoon holder}
본 발명은 회전 숟가락 꽂이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 꽂이는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수납하는 곳으로, 소정의 크기의 수납공간을 갖는 몸체와 이 몸체의 개구된 부위를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다.
일반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쓰이는 종래 숟가락 꽂이는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고르고 꺼내기 위해서 다수의 숟가락을 손으로 만지는 것이 보통이다. 특히, 다수의 사람이 이용하는 식당에서, 숟가락 꽂이에 수용된 다수의 숟가락 중 어느 하나의 숟가락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음식물을 뜨는 숟가락 수용부를 직접 손으로 만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수많은 세균이나 이물질 등이 숟가락 수용부에 묻게 된다. 이 경우, 다른 사용자가 상기 숟가락을 사용하면, 각종 질병이 옮겨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문제는 연필 꽂이처럼 세워서 숟가락을 꽂아두는 숟가락 꽂이에서 더 심각하다. 숟가락을 꽂아두는 숟가락 꽂이의 경우, 숟가락 수용부가 숟가락 꽂이의 상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숟가락을 선택하는 사람들이나, 숟가락을 정리하는 종업원들이 상기 숟가락 수용부를 빈번하게 만지게 되어 숟가락의 위생 상태가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숟가락 손잡이부터 숟가락 꽂이에 삽입되더라도, 자동으로 회전하여 숟가락 손잡이가 숟가락 꽂이의 상단에 노출되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숟가락을 꺼낼 수 있는 회전 숟가락 꽂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는, 상기 숟가락이 인입되는 인입구 및 상기 인입구와 대향하는 인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인입구를 개폐하는 제1 커버, 상기 인출구을 개폐하는 제2 커버, 상기 본체부가 공중에 떠있으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체결부를 포함한다.
회전 숟가락 꽂이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무게 중심보다 제1 커버에 편향된 회전축을 제공한다.
회전 숟가락 꽂이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숟가락이 수용되면 상기 무게 중심이 상기 회전축보다 상기 제2 커버쪽으로 편향되어,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 숟가락 꽂이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입구와 상기 인출구의 위치가 서로 뒤바뀌는 상태에서 회전이 완료된다.
회전 숟가락 꽂이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체결되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한다.
회전 숟가락 꽂이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 상기 돌기에 체결되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회전 숟가락 꽂이의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입구가 상기 인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는 숟가락 손잡이부터 숟가락 꽂이에 삽입되더라도, 자동으로 회전하여 숟가락 손잡이가 숟가락 꽂이의 상단에 노출시켜 숟가락의 청결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에 숟가락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가 숟가락의 인입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가 회전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본체부(110), 제1 커버(111), 제2 커버(114), 체결부(130) 및 지지부(120)를 포함한다.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연필 꽂이처럼 숟가락(20)을 꽂아 정리할 수 있는 장치이다.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복수의 숟가락(20)을 중력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용이하게 적어도 하나의 숟가락(20)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숟가락(20)은 음식물을 뜰 수 있는 숟가락(20) 자루 끝부분의 움푹한 부분인 숟가락 수용부(21)와 숟가락(20)을 잡고 다루기 위해 사용되는 부분인 숟가락 손잡이(23)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숟가락(20)이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인입구(115) 및 인출구(117)가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0)는 내부가 빈 공간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체부(110)는 인입구(115) 및 인출구(117)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커버(111) 및 제2 커버(11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폐쇄하여 숟가락(20)을 수용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가 사각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원, 원, 타원형 등의 단면을 갖는 통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제한 되지 않는다.
본체부(110)는 인입구(115)에 탈착이 가능한 제1 커버(111) 및 인출구(117)에 탈착 가능한 제2 커버(113)가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인입구(115)를 개폐하는 제1 커버(111) 및 인출구(117)를 개폐하는 제2 커버(113)에 의해 인입구(115) 및 인출구(117)가 폐쇄된다. 본체부(110)는 제1 커버(111) 및 제2 커버(113) 중 어느 하나가 분리되어 숟가락(20)이 꽂아지거나 꺼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부(110)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2 커버(113)로 인출구(117)를 폐쇄하고, 제1 커버(111)가 상부에 위치하는 인입구(115)와 분리된 상태에서 인입구(115)를 통해 숟가락(20)이 꽂아질 수 있고, 숟가락(20)이 꽂아진 후 제1 커버(111)가 인입구(115)를 폐쇄되면 중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부에 인출구(117)가 위치한다. 이때, 사용자는 인출구(117)를 폐쇄하는 제2 커버(113)를 분리하여 인출구(117)로부터 숟가락(20)을 꺼낼 수 있다.
지지부(120)는 지면(B)과 한변이 접하는 삼각형의 형상의 두 개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및 본체부(110)에 형성된 체결부(130)를 통해 본체부(110)를 지지한다. 즉, 지지부(120)는 본체부(110)가 지면(B)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한편, 지지부(120)는 본체부(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은 도면에 도시된 지지부(120)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체결부(130)는 본체부(110)와 지지부(120)를 연결시키면서, 본체부(110)가 인입구(115) 및 인출구(117)를 중력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회전축(B)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체결부(130)는 본체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원형의 돌기 및 지지부(120)에 형성된 원형의 홈을 포함한다. 지지부(120)와 본체부(110)는 체결부(130)의 상기 돌기가 상기 홈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 상태로 서로 연결된다. 이때, 본체부(110)는 지지부(120)에 지지되면서 체결부(130)의 돌기의 길이 방향을 회전축(B)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숟가락 꽂이는 숟가락 손잡이(23)가 상기 숟가락 꽂이의 하부를 향하도록 숟가락 꽂이에 꽂는다. 이는, 숟가락 수용부(21)부터 상기 숟가락 꽂이의 개구된 곳에 인입하는 것보다 숟가락 손잡이(23)부터 인입하는 것이 용이하고, 숟가락 손잡이(23)부터 꽂는 것이 숟가락 수용부(21)부터 인입되는 경우보다 많은 양의 숟가락(20)을 상기 숟가락 꽂이에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숟가락(2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숟가락(20) 중 적어도 하나의 숟가락(20)을 꺼내기 위해 다수의 숟가락 수용부(21)를 만지게 된다. 숟가락 수용부(21)는 다수의 사람들의 접촉에 노출되어 수많은 세균이나 이물질들이 묻게 된다. 즉, 숟가락 손잡이(23)부터 숟가락 꽂이에 꽂는 것이 상술한 바와 같이 숟가락(20)을 정리하는 면에서 편리할 수 있으나, 상술한 문제에 의해 숟가락(20)의 위생 상태를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숟가락(20)의 인입에 따른 무게 중심(A)의 변화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숟가락 손잡이(23)가 지면(B)을 향하여 인입되더라도, 무게 중심(A)의 변경에 따른 회전으로, 숟가락 손잡이(23)가 상공을 향한 상태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숟가락(20)을 정리하는데 편리함 및 숟가락(20)의 청결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으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숟가락(20)이 인입됨에 따라 자동으로 회전하는 회전 숟가락 꽂이(1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숟가락(20)이 인출입하는 인출구(117) 및 인입구(115)가 형성된 통 모양의 용기로, 다양한 단면을 갖는 통 형상을 갖는다. 본체부(110)는 인입구(115)를 개폐할 수 제1 커버(111)와 연결되고, 인출구(115)를 개폐할 수 있는 제2 커버(113)와 연결되어 있다. 본체부(110)는 측면에 체결부(130)가 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10)는 상대적으로 넓게 개구된 인입구(115)와 좁게 개구된 인출구(117)가 형성되어 있다. 숟가락(20)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숟가락 수용부(21)와 상대적으로 적은 면적을 차지하는 숟가락 손잡이(23)를 포함하는바, 이에 대응하여, 본체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입구(115)가 상대적으로 인출구(117)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본체부(110)는 많은 양의 숟가락(20)들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는 인입구(115)에 숟가락(20)을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다.
제1 커버(111) 및 제2 커버(113)는 본체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일 예로, 제1 커버(111) 및 제2 커버(113)는 외력에 의해 회동하여 본체부(110)의 인입구(115)나 인출구(117)를 개폐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커버(111) 및 제2 커버(113)는 용수철, 고무 등 탄성체를 더 포함하여, 상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본체부(110)의 인입구(115)나 인출구(117)가 다시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120)는 한변이 지면(B)과 접하는 두 개의 삼각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삼각형의 어느 한 꼭지점에 본체부(110)가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한편, 지지부(120)는 본체부(1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삼각형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삼각 형 프레임의 상측 꼭지점에 체결부(130)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체결부(130)는 본체부(110)가 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되도록 지지부(120)와 본체부(110)를 체결시키면서, 본체부(110)의 인입구(115) 및 인출구(117)가 중력 방향을 향해 회전할 수 있는 회전축(B)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체결부(130)는 본체부(110)의 외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제1 홈 및 상기 제1 홈에 대향하는 외측면에 제2 홈(130a)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홈 및 제2 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돌기 및 제2 돌기(130b)가 지지부(120)에 형성된다. 다른 예로, 체결부(130)는 본체부(110)의 외측면의 소정의 위치에 제3 돌기(미도시) 및 상기 제3 돌기에 대향하는 외측면에 제4 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돌기 및 상기 제4 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제3 홈 및 제4홈(미도시)이 지지부(120)에 형성된다. 또 다른 예로, 체결부(130)는 본체부(110)를 관통하는 막대 형상으로 지지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체결부(130)는 본체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홈(130a)과 지지부(120)에 형성된 제1 돌기 및 제2 돌기(130b)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한편, 상기 소정의 위치는 제1 커버(111) 및 제2 커버(113)가 연결된 본체부(110)의 무게 중심(A)과 숟가락(20)의 수용에 따라 변화되는 무게 중심(A') 사이에 위치한다. 이 경우, 상기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체결부(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무게 중심(A)의 위치보다 인입구(115)에 편향되고, 숟가락 손잡이(23)가 지면(B)을 향하도록 숟가락(20)이 인입구(115)로 인입될 때에 숟가락 수용부(21) 및 숟가락 손잡이(23) 간의 무게 차이에 의해 이동된 무게 중심(A')보다 인출구(117) 쪽으로 편향된 회전축(B)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10)는, 내부가 빈 상태에서 상기 무게 중심(A)이 상기 회전축(B)보다 인출구(117) 및 제2 커버(113)에 치우져 있으므로, 인입구(115) 및 제1 커버(111)가 상공을 향하고 인출구(117) 및 제2 커버(113)가 지면(B)이 향한 상태로 지지부(120)에 지지된다. 이 후, 내부에 숟가락(20)이 수용되면, 상술한 무게 차이에 의해 상기 무게 중심(A')이 회전축(B)보다 인입구(115) 및 제1 커버(111)에 치우치게 되므로, 본체부(110)는 안정적 상태가 되기 위해 인출구(117) 및 제2 커버(113)가 상공을 향하고 인입구(115) 및 제1 커버(111)가 지면(B)을 향한 상태가 되도록 자동으로 회전을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는 빈 용기일 때의 무게 중심(A)이 체결부(130)가 제공하는 회전축(B)보다 인출구(117)에 편향되어 있다. 이 경우, 중력에 의해 인입구(115) 및 제1 커버(111)는 인출구(117) 및 제2 커버(113)의 위쪽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체부(110)에 숟가락(20)이 삽입되지 않으면, 인입구(115) 및 제1 커버(111)는 회전 숟가락 꽂이(100)의 상부에 위치하고, 인출구(117) 및 제2 커버(113)는 회전 숟가락 꽂이(1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 후,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제1 커버(111)가 분리된 인입구(115) 쪽으로 숟가락(20)이 수용될 수 있다. 숟가락(20)이 수용되면, 본체부(110)의 무게 중심(A')은 수용된 숟가락(20)의 무게에 의해 상기 회전축(B)보다 제1 커버(111)에 편향되어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숟가락 손잡이(23)부터 인입구(115)로 인입된 경우에, 숟가락 손잡이(23)보다 숟가락 수용부(21)가 더 무거우므로, 본체부(110)의 무게 중심(A)은 제1 커버(111)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된 무게 중심(A')이 상기 회전축(B)보다 제1 커버(111) 쪽으로 편향되면, 본체부(110)는 중력에 의해 인입구(115)가 지면(B)을 향하도록, 인출구(117)가 상공을 향하도록 회전된다. 이때,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최종적으로 본체부(110)의 인출구(117)가 상부에 인입구(115)가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을 멈추게 된다.
예를 들면,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상부에 위치한 본체부(110)의 인입구(115)를 통해 숟가락(20)이 꽂아질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110)는 인출구(117)가 회전 숟가락 꽂이(10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회전하며, 사용자는 인출구(117)의 제2 커버(113)를 분리하여 숟가락 손잡이(23)를 잡고 숟가락(20)을 꺼낼 수 있다. 즉, 인입구(115)로 숟가락 손잡이(23)가 지면(B)을 향해 인입되더라도, 무게 중심의 변화에 따른 본체부(110)의 회전에 따라 숟가락 손잡이(23)가 회전 숟가락 꽂이(100)의 상부인 상공을 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에 숟가락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가 숟가락의 인입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숟가락 꽂이가 회전을 완료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인입구(115) 및 제1 커버(111)가 상부에 위치하고, 인출구(117) 및 제2 커버(113)가 하부에 위치한다.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제1 커버(111)가 인입구(115)와 분리되어 있고, 제2 커버(113)는 인출구(117)를 폐쇄하고 있다. 숟가락(20)은 인입구(115)를 통해 인입되어 본체부(110)에 수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인입구(115)로 적어도 하나의 숟가락(20)이 인입되고 인입구(115)가 제1 커버(111)로 폐쇄된 상태이다. 이때, 숟가락(20)은 숟가락 손잡이(23)부터 인입구(115)로 꽂아진 상태로 숟가락 수용부(21)가 인입구(115) 쪽으로 위치한다.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숟가락 손잡이(23)와 숟가락 수용부(21)의 무게 차이로 인해 본체부(110)의 무게 중심이 회전축(B)보다 인입구(115)에 편향된 위치로 이동(A->A')한다. 상기 이동된 무게 중심(A')이 회전축(B)보다 위에 있는바, 중력에 의해 회전축(B)에 회전력이 가해지고,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본체부(110)가 회전을 시작한다.
도 6를 참조하면,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회전이 완료되어 인입구(115) 및 인출구(117)의 위치가 서로 뒤바뀐 상태이다. 즉, 회전 숟가락 꽂이(100)는 숟가락(20)의 인입으로 회전을 하여 인출구(117) 및 제2 커버(113)가 상부에 위치하고 인입구(115) 및 제2 커버(113)가 하부에 위치한다. 이 경우, 숟가락 손잡이(23)는 상공을 향하게 되며, 사용자는 제2 커버(113)를 인출구(117)로부터 분리하여 숟가락 손잡이(23)를 잡고 숟가락(20)을 꺼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넓은 면적의 인입구(115)를 이용하여 숟가락 손잡이(23)부터 인입시켜 숟가락(20)을 용이하게 회전 숟가락 꽂이(100)에 정리할 수 있으며, 숟가락 수용부(21)가 상공을 향하도록 회전 숟가락 꽂이(100)에 꽂아지더라도, 숟가락(20)이 수용된 후에 무게 중심의 변화(A->A')로 자동으로 인입구(115) 및 인출구(117)의 위치가 서로 뒤바뀌게 된바, 이 후, 사용자는 상부에 위치하는 인출구(117)에 배치된 숟가락 손잡이(23)를 통해 숟가락(20)을 선택하여 꺼낼 수 있어 청결한 상태가 유지된 숟가락(20)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0: 숟가락
21: 숟가락 수용부
23: 숟가락 손잡이
100: 회전 숟가락 꽂이
110: 본체부
111: 제1 커버
113: 제2 커버
115: 인입구
117: 인출구
120: 지지부
130: 체결부

Claims (7)

  1. 숟가락이 수납되는 회전 숟가락 꽂이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이 인입되는 인입구 및 상기 인입구와 대향하는 인출구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인입구를 개폐하는 제1 커버;
    상기 인출구을 개폐하는 제2 커버;
    상기 본체부가 공중에 떠있으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지지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를 체결하고, 상기 본체부의 회전축을 제공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회전 숟가락 꽂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무게 중심보다 제1 커버에 편향된 회전축을 제공하는 회전 숟가락 꽂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숟가락이 수용되면, 상기 무게 중심이 상기 회전축 및 상기 제2 커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숟가락 꽂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입구와 상기 인출구의 위치가 서로 뒤바뀌는 상태에서 회전이 완료되는 숟가락 꽂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에 체결되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를 포함하는 회전 숟가락 꽂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 및 상기 돌기에 체결되는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숟가락 꽂이.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인입구가 상기 인출구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숟가락 꽂이.
KR1020170025403A 2017-02-27 2017-02-27 회전 숟가락 꽂이 KR101928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03A KR101928429B1 (ko) 2017-02-27 2017-02-27 회전 숟가락 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403A KR101928429B1 (ko) 2017-02-27 2017-02-27 회전 숟가락 꽂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808A true KR20180098808A (ko) 2018-09-05
KR101928429B1 KR101928429B1 (ko) 2018-12-13

Family

ID=6359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403A KR101928429B1 (ko) 2017-02-27 2017-02-27 회전 숟가락 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4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429B1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88929A1 (en) Drinking Cup Having Multiple Compartments and Straw Holder
US20060213926A1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KR101928429B1 (ko) 회전 숟가락 꽂이
CN2900408Y (zh) 一种棉签盒
US20160045082A1 (en) Disposable dispensing apparatus for paper towels
US4796779A (en) Combined filter housing and extractor
KR20180064251A (ko) 퍼프 저장부를 구비한 화장품 케이스
CN211483564U (zh) 一种镜面角度可调的化妆桌
KR102018024B1 (ko) 쓰레기통 받침대
US8827077B1 (en) Caddy device with improved capabilities for holding and transporting bathroom cleaning equipment and supplies
ES2266492T3 (es) Maquina para la preparacion de bebidas.
KR200458331Y1 (ko) 음식점 반찬 운반구
US2639959A (en) Dispenser for disks, pads, gaskets, and sheetlike members
KR101071478B1 (ko) 거울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SE517125C2 (sv) Anordning för ögonsköljning
US6427868B1 (en) Dispenser for disposable cups
KR200387598Y1 (ko) 컵 자동 인출장치
JP2021019731A (ja) 容器
CN214567097U (zh) 一次性餐具保存装置
US20040232714A1 (en) Portable device for holding a liquid container and method therefor
CN214104052U (zh) 一种带有手机支架的折叠水杯
KR101594865B1 (ko) 우산 꽂이대
KR101801602B1 (ko) 내용물 수취장치와 개폐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기구
CN109044068A (zh) 一种家用便携式日用品分装盒
JP3144781B2 (ja) 飲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