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486A -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 Google Patents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486A
KR20180098486A KR1020180096788A KR20180096788A KR20180098486A KR 20180098486 A KR20180098486 A KR 20180098486A KR 1020180096788 A KR1020180096788 A KR 1020180096788A KR 20180096788 A KR20180096788 A KR 20180096788A KR 20180098486 A KR20180098486 A KR 20180098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upper electrode
semiconductor layer
interlayer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9718B1 (ko
Inventor
장종민
노원영
서대웅
이준섭
채종현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9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40Materials therefor
    • H01L33/405Refle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Abstract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개시된다. 이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는, 성장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정렬되며, 각각 제1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상에 정렬되며, 서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각각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1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개의 상부 전극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은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상부 전극들 중 다른 하나는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으로부터 절연된다. 이에 따라, 고전압하에서 동작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LIGHT EMITTING DIODE ARRAY ON WAFER LEVEL}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배선을 통해 연결하고, 이를 플립칩 타입으로 형성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애노드 단자와 캐소드 단자를 통해 턴온 전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발광 동작을 수행하는 소자이다. 일반적으로,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동작을 유도하는 턴온 전압은 사용되는 상용 전원에 비해 매우 낮은 값을 가진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는 110V 또는 220V의 상용 교류전원하에서 직접 사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상용 교류전원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공급되는 교류전압을 강하하기 위한 전압변환기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회로가 구비되어야 하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일 요인이 된다. 또한, 별도의 구동회로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조명장치의 부피가 증가하고 불필요한 열이 발생되며, 인가되는 전력에 대한 역률개선 등의 과제가 상존한다.
상용 교류전원을 별도의 전압변환수단을 배제한 상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칩들을 서로 직렬로 연결하여 어레이를 구성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발광 다이오드들을 어레이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발광 다이오드 칩을 개별 패키지로 형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기판 분리 공정, 분리된 발광 다이오드 칩에 대한 패키징 공정 등이 요구되며, 각각의 패키지들을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하는 실장공정 및 패키지가 가지는 전극들 사이의 배선 공정이 별도로 요구된다. 따라서, 어레이를 구성하기 위한 공정시간이 증가하며,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어레이를 구성하는 배선공정에서 와이어 본딩이 이용되며, 어레이 전면에 본딩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몰딩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몰딩층을 형성하기 위한 몰딩형성 공정이 추가로 요구되어 공정의 복잡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수평(lateral) 구조의 칩 타입을 적용하는 경우, 발광성능의 저하 및 발열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품질의 저하가 상존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칩으로 구성된 어레이를 단일의 패키지로 제조하는 발광 다이오드 칩 어레이가 제안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35745호에는 단일 기판 상에 복수개의 수평형 발광 다이오드 칩들이 에어브리지 공정으로 형성된 금속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공개 특허에 따르면, 개별 칩 단위로 별도의 패키징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웨이퍼 레벨에서 어레이를 형성하는 장점이 있다. 다만, 에어브리지 연결구조를 가지므로 내구성이 취약하며, 수평형 칩 타입으로 인해 발광성능 또는 발열성능의 저하가 문제된다.
이외에 미합중국 등록특허 제6,573,537호에서는 단일 기판 상에 복수의 플립칩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구비된다. 다만,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의 n전극과 p전극은 외부로 분리된 채로 노출된다. 따라서, 단일전원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전극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배선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서브마운트 기판을 이용하고 있다. 즉, 전극들 사이의 배선을 위한 별도의 서브마운트 기판에 플립칩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실장하여야 한다. 서브 마운트 기판의 배면에는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적어도 2개의 전극들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등록특허는 플립칩 타입을 사용하므로 발광성능 및 발열성능이 개선되는 장점을 가진다. 반면, 서브마운트 기판의 사용으로 인해 제조비용이 증가하고, 최종 제품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외에 서브 마운트 기판에 대한 추가적인 배선공정과 서브 마운트 기판을 새로운 기판에 장착하여야 하는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002161호에서는 플립칩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를 상호간에 직렬로 연결하는 구성이 나타난다. 상기 공개특허에 따르면, 칩 단위의 패키징 공정이 요구되지 않으며, 플립칩 타입의 사용으로 인해 발광 특성 및 발열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다만, n형 반도체층과 p형 반도체층 사이의 배선 이외에 별도의 반사층이 사용되며, n형 전극 상에 인터커넥션 배선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다수의 패터화된 금속층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마스크가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n전극 및 인터커넥션 전극간의 열팽창계수 등의 차이로 인해 박리 또는 균열이 발생되어 전기적 접촉이 개방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선된 구조를 갖는 플립칩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서브마운트 없이 사용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연결하는 배선 이외에 별도의 반사 금속층 없이도 광 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플립칩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명확해질 것이며 또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알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는, 성장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정렬되며, 각각 제1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및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상에 정렬되며, 서로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고, 각각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1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개의 상부 전극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은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상부 전극들 중 다른 하나는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으로부터 절연된다.
이에 따라, 서브마운트를 사용할 필요없이, 고전압에서 구동될 수 있으며,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플립칩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들은 제1 반도체층에 오믹 콘택하는 오믹 콘택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들이 오믹 콘택층을 포함하므로, 오믹 콘택층과 상부 전극을 별개의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제조 공정을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
상기 오믹 콘택층은 Cr, Ni, Ti, Rh 또는 Al의 금속 물질 또는 ITO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들은 상기 오믹 콘택층 상에 위치하는 반사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사층은 Al, Ag, Rh 또는 Pt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상부 전극들은 상기 반사층을 보호하기 위한 장벽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벽층은 단일층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300nm 내지 500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과 상기 상부 전극들 사이에 정렬된 제1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들을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에 의해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의 측면으로부터 절연된다. 제1 층간 절연막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의 측면뿐만 아니라 발광 다이오드들 사이의 영역을 덮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들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위치하며, 발광 다이오드들 사이의 영역을 대부분 덮을 수 있다. 종래, 선형의 배선을 이용하는 경우, 배선은 발광 다이오드들 사이의 영역을 거의 덮지 않는다. 이에 반해, 상기 상부 전극들은 발광 다이오드들 사이의 영역의 30% 이상을 덮으며, 나아가 50% 이상, 또는 90% 이상을 덮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상부 전극들이 서로 이격되므로, 상기 상부 전극들은 발광 다이오들 사이의 영역의 100% 미만을 덮는다.
상부 전극을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상부 전극에 의한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전류 분산을 쉽게 함과 아울러,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순방향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는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 상에 정렬된 하부 전극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은 각 발광 다이오드 상의 하부 전극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또한, 상기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상부 전극(들)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을 통해 상기 노출된 하부 전극에 접속한다. 나아가, 상기 하부 전극들은 각각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는, 상기 상부 전극들을 덮는 제2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은 상기 하부 전극들 중 하나와 상기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으로부터 절연된 상부 전극을 노출시킨다.
나아가,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상기 상부 전극들에 의해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은 상기 직렬 연결된 발광 다이오드들 중 양측 단부의 발광 다이오드들에 대응하는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을 노출시킨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는,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상에 위치하는 제1 패드 및 제2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을 통해 노출된 하부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을 통해 노출된 상부 전극에 접속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패드 및 제2 패드를 이용하여 인쇄회로보드 등에 실장할 수 있는 플립형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각각 제2 반도체층 및 활성층을 통해 상기 제1 반도체층을 노출하는 비아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들은 각각 상기 비아홀을 통해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1 반도체층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전극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전체 면적의 30% 이상 및 100% 미만의 면적을 점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은 너비와 폭의 비가 1:3 내지 3:1의 범위 내에 있는 플레이트 또는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전극을 종래의 선형 배선과 달리 플레이트 또는 시트 형상으로 함으로써 전류 분산을 돕고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순방향 전압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너비 또는 폭에 비해 더 큰 너비 또는 폭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상부 전극은 발광 다이오드들 사이의 영역을 덮으며, 활성층에서 생성된 광을 기판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제조 방법은, 성장 기판 상에 각각 제1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은 각각 상기 제2 반도체층 및 활성층이 제거되어 노출된 제1 반도체층을 갖는다. 그 후, 상기 발광 다이오드들을 덮는 제1 층간 절연막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은 상기 노출된 제1 반도체층들을 노출함과 아울러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 상부에 위치하는 개구부들을 갖는다. 한편,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상에 동일 재료로 복수의 상부 전극들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전극들은 각각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1 반도체층에 접속한다. 나아가, 상기 상부 전극들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의 개구부를 통해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상기 상부 전극들 중 다른 하나는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으로부터 절연된다.
이에 따르면, 상부 전극들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플립칩형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서브마운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은 오믹 콘택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제1 반도체층 상에 오믹 콘택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기 전에 각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 상에 하부 전극들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전극들은 제1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패터닝하여 서로 이격된 발광 다이오드들을 형성한 후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발광 다이오드들을 형성하기 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상부 전극 상에 제2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은 상기 하부 전극들 중 하나와 상기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으로부터 절연된 다른 하나의 상부 전극을 노출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상에 제1 패드 및 제2 패드를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하부 전극에 접속하고,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상부 전극에 접속한다.
한편, 상기 방법은, 상기 성장 기판을 개별 단위로 절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전극은 절단된 개별 단위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면적의 30% 이상 100% 미만의 면적을 점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전압 구동이 가능한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는 서브마운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상부 전극이 오믹 콘택층을 포함할 수 있어, 오믹 콘택층을 별도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나아가, 제1 패드 및 제2 패드가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을 점유하므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를 인쇄회로보드 등에 쉽고 견고하게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전극이 발광 다이오드들의 측면 및 발광 다이오드들 사이의 영역의 대부분을 덮을 수 있어, 상부 전극을 이용하여 광을 반사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들 사이의 영역에서 발생되는 광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전극 이외에 광을 반사시키기 위한 별도의 반사 금속층을 추가로 형성할 수 필요가 없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적층 구조에 비아홀들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제2 반도체층 상에 하부 전극들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구조물에 대해 셀 영역들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평면도를 A1-A2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 내지 도 7의 구조물 전면에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각각의 셀 영역에서 제1 반도체층 및 하부전극의 일부를 노출한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의 평면도를 특정의 라인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들이다.
도 13은 도 8 내지 도 12에 개시된 구조물 상에 상부 전극들을 형성한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3의 평면도를 특정의 라인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들이다.
도 18은 도 13의 평면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3 내지 도 18의 구조물을 모델링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20은 도 13의 평면도에서 구조물의 전면에 제2 층간 절연막을 도포하고, 제1 셀 영역의 제1 하부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고, 제4 셀 영역의 제4 하부 전극의 일부를 노출한 평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4는 도 20의 평면도를 특정 라인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들이다.
도 25는 도 20의 구조물에 제1 패드 및 제2 패드를 형성한 평면도이다.
도 26 내지 도 29는 도 25의 평면도를 특정 라인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들이다.
도 30은 도 25의 평면도를 C2-C3 라인을 따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10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직렬로 연결하도록 모델링한 회로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직/병렬 형태로 발광 다이오드들이 어레이를 구성한 것을 모델링한 회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형적인(exemplary)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또는 "제3"은 구성요소들에 어떠한 한정을 가하려는 것은 아니며, 다만 구성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적층 구조에 비아홀들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특히, 도 2는 도 1의 평면도를 A1-A2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제1 반도체층(110), 활성층(120) 및 제2 반도체층(130)이 형성되고, 제1 반도체층(110)의 표면을 노출하는 비아홀들(140)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100)은 사파이어, 실리콘 카바이드 또는 GaN의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형성되는 박막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할 것이다. 제1 반도체층(110)은 n형의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활성층(120)은 다중 양자 우물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활성층(120) 상에는 제2 반도체층(130)이 형성된다. 제1 반도체층(110)이 n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경우, 제2 반도체층(130)은 p형의 도전형을 갖는다. 또한, 기판(100)과 제1 반도체층(110) 사이에는 제1 반도체층(110)의 단결정 성장을 용이하게 하도록 버퍼층(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반도체층(130)까지 형성된 구조물에 대한 선택적 식각이 수행되고, 다수의 비아홀들(140)이 형성된다. 비아홀(140)을 통해 하부의 제1 반도체층(110)의 일부는 노출된다. 상기 비아홀(140)은 통상의 식각공정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후, 통상의 패터닝 공정을 통해 형성하고자 하는 영역의 포토레지스트가 제거된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이후에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을 식각 마스크로 하여 식각공정을 수행한다. 식각공정은 제1 반도체층(110)의 일부가 노출될 때까지 진행된다. 이후에 잔류하는 포토레지스트 패턴은 제거된다.
상기 비아홀(140)의 형상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제2 반도체층 상에 하부 전극들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평면도 및 단면도이며, 특히, 도 4는 도 3의 평면도를 A1-A2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전극들(151, 152, 153, 154)은 비아홀(140)을 제외한 영역에 형성되며, 하부 전극들(151, 152, 153, 154)의 형성을 통해 다수개의 셀 영역들(161, 162, 163, 164)이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은 금속 전극의 형성시 사용되는 리프트 오프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가상의 셀 영역(161, 162, 163, 164)을 제외한 분리 영역 및 비아홀(140)이 형성된 영역에 포토레지스트를 형성하고, 통상의 열증착 등을 통해 금속층을 형성한다. 이후에는 포토레지스트를 제거하여 제2 반도체층(130) 상부에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은 제2 반도체층(130)과 오믹 컨택을 수행하는 금속물이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가능할 것이다. 상기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은 Ni, Cr, 또는 Ti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Ti/Al/Ni/Au의 복합 금속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4개의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이 형성된 영역은 4개의 셀 영역들(161, 162, 163, 164)을 정의한다. 셀 영역들(161, 162, 163, 164)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제2 반도체층(130)이 노출된다. 상기 셀 영역(161, 162, 163, 164)의 개수는 형성하고자 하는 어레이에 포함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개수에 상응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셀 영역(161, 162, 163, 164)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또한, 도 4에서 동일한 셀 영역(161, 162, 163, 164) 내에서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은 분리된 것으로 묘사되나, 이는 절개선 A1-A2가 비아홀(140)을 가로지르는데 따라 나타나는 현상이다.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동일한 셀 영역(161, 162, 163, 164) 상에 형성된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은 물리적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동일한 셀 영역(161, 162, 163, 164) 상에 형성된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은 비아홀(140)의 형성에도 불구하고, 전기적으로 단락된 상태이다.
도 5는 도 3의 구조물에 대해 셀 영역들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평면도를 A1-A2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의 사시도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4개의 셀 영역들(161, 162, 163, 164) 사이의 이격공간에 대한 메사 식각을 통해 메사 식각 영역이 형성된다. 메사 식각을 통해 메사 식각 영역에는 기판(100)이 노출된다. 따라서, 4개의 셀 영역(161, 162, 163, 164)은 각각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된다. 만일, 도 1 내지 도 4에서 기판(100)과 제1 반도체층(110) 사이에 버퍼층이 개입되는 경우, 상기 버퍼층은 셀 영역(161, 162, 163, 164)의 분리공정에도 잔류할 수 있다. 다만, 셀 영역(161, 162, 163, 164)의 완전한 분리를 위해서는 메사 식각을 통해 셀 영역(161, 162, 163, 164) 사이의 버퍼층은 제거될 수도 있다.
각각의 셀 영역들(161, 162, 163, 164) 사이의 분리 공정을 통해 셀 영역들(161, 162, 163, 164)마다 독립된 제1 반도체층(111, 112, 113, 114), 활성층(121, 122, 123, 124), 제2 반도체층(131, 132, 133, 134) 및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셀 영역(161) 상에는 제1 하부전극(151)이 노출되고, 비아홀(140)을 통해 제1 반도체층(111)이 노출된다. 또한, 제2 셀 영역(162) 상에는 제2 하부전극(152)이 노출되고, 비아홀(140)을 통해 제1 반도체층(112)이 노출된다. 마찬가지로 제3 셀 영역(163) 상에는 제3 하부전극(153) 및 제1 반도체층(113)이 노출되고, 제4 셀 영역(164) 상에는 제4 하부 전극(154) 및 제1 반도체층(114)이 노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발광 다이오드는 제1 반도체층(111, 112, 113, 114), 활성층(121, 122, 123, 124) 및 제2 반도체층(131, 132, 133, 134)이 적층된 구조를 지칭한다. 따라서, 하나의 셀 영역에는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반도체층(111, 112, 113, 114)이 n형의 도전형을 가지고, 제2 반도체층(131, 132, 133, 134)이 p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것으로 모델링되는 경우, 제2 반도체층(131, 132, 133, 134) 상에 형성된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은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8은 도 5 내지 도 7의 구조물 전면에 제1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각각의 셀 영역에서 제1 반도체층 및 하부전극의 일부를 노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9 내지 도 12는 도 8의 평면도를 특정의 라인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들이다. 특히, 도 9는 도 8의 평면도를 B1-B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평면도를 C1-C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도 8의 평면도를 D1-D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8의 평면도를 E1-E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의 구조물에 대해 제1 층간 절연막(170)을 형성한다. 또한, 패터닝을 통해 비아홀 하부의 제1 반도체층(111, 112, 113, 114) 및 하부 전극들(151, 152, 153, 154)의 일부를 노출한다.
예컨대, 제1 셀 영역(161)에서는 기형성된 2개의 비아홀이 개방되어 제1 반도체층(111)이 노출되고, 기형성된 제2 반도체층(131) 상부에 형성된 제1 하부전극(151)의 일부가 노출된다. 또한, 제2 셀 영역(162)에서는 기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층(112)이 노출되며, 제1 층간 절연막(170)의 일부에 대한 식각을 통해 제2 하부 전극(152)의 일부가 노출된다. 또한, 제3 셀 영역(163)에서도 비아홀을 통해 제1 반도체층(113)이 노출되며, 제1 층간 절연막(170)의 일부에 대한 식각을 통해 제3 하부 전극(153)의 일부가 노출된다. 제4 셀 영역(164)에서는 비아홀을 통해 제1 반도체층(114)이 노출되며, 제1 층간 절연막(170)의 일부에 대한 식각을 통해 제4 하부 전극(154)의 일부가 노출된다.
결국, 도 8 내지 도 12에서 기판의 전면에 제1 층간 절연막(170)이 형성되고, 선택적 식각을 통해 각각의 셀 영역(161, 162, 163, 164)마다, 비아홀 내의 제1 반도체층(111, 112, 113, 114) 및 제2 반도체층(131, 132, 133, 134) 상의 하부 전극들(151, 152, 153, 154)의 일부가 노출된다. 즉, 각각의 셀 영역(161, 162, 163, 164)에서 이전 단계에서 기형성된 비아홀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층(111, 112, 113, 114)은 노출되며, 하부 전극들(151, 152, 153, 154)의 일부도 노출된다. 나머지 영역은 제1 층간 절연막(17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70)은 소정의 광 투과성을 가지는 절연물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170)은 SiO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도 8 내지 도 12에 개시된 구조물 상에 상부 전극들을 형성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3의 평면도를 특정의 라인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들이다. 특히,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를 B1-B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평면도를 C1-C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3의 평면도를 D1-D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3의 평면도를 E1-E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부 전극들(181, 182, 183, 184)이 형성된다. 상부 전극들(181, 182, 183, 184)은 4개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예컨대, 제1 상부 전극(181)은 제1 셀 영역(161) 및 제2 셀 영역(162)의 일부에 걸쳐서 형성된다. 또한, 제2 상부 전극(182)은 제2 셀 영역(162)의 일부 및 제3 셀 영역(163)의 일부에 걸쳐서 형성된다. 제3 상부 전극(183)은 제3 셀 영역(163)의 일부 및 제4 셀 영역(164)의 일부에 걸쳐 형성되고, 제4 상부 전극(184)은 제4 셀 영역(164)의 일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상부 전극(181, 182, 183, 184)은 인접한 셀 영역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며 형성된다. 상부 전극들(181, 182, 183, 184)은 셀 영역 사이의 이격공간의 30% 이상, 나아가 50% 이상, 또는 90% 이상을 덮을 수 있다. 다만, 상기 상부 전극들들(181, 182, 183, 184)이 서로 이격되므로, 상기 상부 전극들들(181, 182, 183, 184)은 발광 다이오들 사이의 영역의 100% 미만을 덮는다.
상기 상부 전극들(181, 182, 183, 184) 전체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전체 면적의 30% 이상, 나아가, 50% 이상, 또는 90% 이상을 점유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들(181, 182, 183, 184)은, 서로 이격되므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전체 면적의 100% 미만의 면적을 점유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들(181, 182, 183, 184) 너비와 폭의 비가 1:3 내지 3:1의 범위 내에 있는 플레이트 또는 시트 형상을 갖는다. 나아가, 상기 상부 전극들(181, 182, 183, 184)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셀 영역)의 너비 또는 폭에 비해 더 큰 너비 또는 폭을 가진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상부 전극(181)은 제1 셀 영역(161)의 제1 층간 절연막(170) 상에 형성되고, 비아홀을 통해 개방된 제1 반도체층(111)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1 상부 전극(181)은 제1 셀 영역(161)의 제1 하부 전극(151)의 일부를 개방하며, 제2 셀 영역(162)의 노출된 제2 하부 전극(152)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2 상부 전극(182)은 제1 상부 전극(181)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제2 셀 영역(162)의 비아홀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층(112) 상에 형성되며, 나머지 영역에서는 제1 층간 절연막(170) 상에 형성된다.
상술한 도 14에서 제1 상부 전극(181)은 제1 셀 영역(161)의 제1 반도체층(111)과 제2 셀 영역(162)의 제2 반도체층(1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 셀 영역(162) 상의 제2 하부 전극(152)은 비아홀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셀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상태이다. 따라서, 제1 셀 영역(161)의 제1 반도체층(111)은 제2 하부 전극(152)을 통해 제2 셀 영역(162)의 제2 반도체층(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도 15에서 제2 상부 전극(182)은 제2 셀 영역(162)의 비아홀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층(112) 상에 형성되고, 제3 셀 영역(163)의 제3 하부 전극(153)까지 신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 상부 전극(182)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3 상부 전극(183)은 제3 셀 영역(163)의 비아홀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층(113) 상에 형성된다.
도 15에서 제2 상부 전극(182)은 제2 셀 영역(162)의 비아홀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층(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 셀 영역(163)의 제3 하부 전극(1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셀 영역(162)의 제1 반도체층(112)은 제3 셀 영역(163)의 제2 반도체층(133)과 등전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3 상부 전극(183)은 제3 셀 영역(163)의 비아홀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층(113) 상에 형성되고, 제4 셀 영역(164)의 제4 하부 전극(154)까지 신장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제3 셀 영역(163)의 제1 반도체층(113)과 제4 셀 영역(164)의 제2 반도체층(134)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3 상부 전극(183)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4 상부 전극(184)은 제4 셀 영역(164)의 비아홀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층(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4 상부 전극(184)은 제4 셀 영역(164)의 비아홀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층(114)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4 상부 전극(184)과 물리적으로 분리된 제1 상부 전극(181)은 제1 셀 영역(161) 상의 비아홀을 통해 노출된 제1 반도체층(111) 상에 형성되고, 제1 셀 영역(161)의 제1 하부 전극(151)의 일부를 노출시킨다.
도 13 내지 도 17에 개시된 내용을 정리하면, 제1 셀 영역(161)의 제1 반도체층(111)과 제2 셀 영역(162)의 제2 반도체층(132)은 제1 상부 전극(181)을 통해 등전위를 형성한다. 또한, 제2 셀 영역(162)의 제1 반도체층(112)과 제3 셀 영역(163)의 제2 반도체층(133)은 제2 상부 전극(182)을 통해 등전위를 형성한다. 제3 셀 영역(163)의 제1 반도체층(113)은 제3 상부 전극(183)을 통해 제4 셀 영역(164)의 제2 반도체층(134)과 등전위를 형성한다. 제1 셀 영역(161)에서 제2 반도체층(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하부 전극(151)은 노출된다.
물론, 등전위의 형성은 상부 전극들(181, 182, 183, 184)의 저항 및 상부 전극들(181, 182, 183, 184)과 하부 전극들(151, 152, 153, 154)의 접촉 저항들을 무시한 상태에서 이상적인 전기적 연결을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실제 소자의 동작에서는 금속 배선의 일종인 상부 전극(181, 182, 183, 184) 및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의 저항 성분에 의한 전압의 강하는 일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들(181, 182, 183, 184)은 제1 반도체층(111, 112, 113, 114)과 오믹 접촉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나 가능할 것이다. 이외에 금속재질의 하부 전극(151, 152, 153, 154)과도 오믹 접촉을 형성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상부 전극(181, 182, 183, 184)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전극(181, 182, 183, 184)은 Ni, Cr, Ti, Rh 또는 Al을 포함하는 금속층 또는 ITO와 같은 도전성 산화물층을 오믹 콘택층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셀 영역(161, 162, 163, 164)의 활성층들(121, 122, 123, 124)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기판(100)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해 상기 상부 전극(181, 182, 183, 184)은 Al, Ag, Rh 또는 Pt와 같은 반사층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셀 영역(161, 162, 163, 164)의 활성층(121, 122, 123, 124)에서 발생되는 광은 하부 전극(151, 152, 153, 154)에서 기판(100)을 향하여 반사된다. 이외에 셀 영역들(161, 162, 163, 164)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전송되는 광은 셀 영역들(161, 162, 163, 164)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는 상부 전극들(181, 182, 183, 184)에 의해 반사된다.
또한, 제1 반도체층(111, 112, 113, 114)이 n형 도전형을 가지고, 제2 반도체층(131, 132, 133, 134)이 p형의 도전형을 가지는 경우, 각각의 상부전극은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전극으로 모델링될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이 인접한 셀 영역에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인 하부 전극과 연결되는 배선으로 동시에 모델링될 수 있다. 즉, 셀 영역 상에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에서 상부 전극은 캐소드 전극을 형성함과 동시에 인접한 셀 영역의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선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도 18은 도 13의 평면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상부 전극(181) 내지 제3 상부 전극(183)은 적어도 2개의 셀 영역들에 걸쳐 형성된다. 따라서, 인접한 셀 영역 사이의 이격공간은 차폐된다. 상부 전극들의 경우, 인접한 셀 영역 사이에서 누설될 수 있는 광을 기판을 통해 반사하며, 각각의 셀 영역의 제1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인접한 셀 영역의 제2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3 내지 도 18의 구조물을 모델링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4개의 발광 다이오드 D1, D2, D3, D4와 이들 사이의 배선 관계가 개시된다.
제1 발광 다이오드 D1는 제1 셀 영역(161)에 형성되고, 제2 발광 다이오드 D2는 제2 셀 영역(162)에, 제3 발광 다이오드 D3은 제3 셀 영역(163)에, 제4 발광 다이오드 D4는 제4 셀 영역(164)에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셀 영역(161, 162, 163, 164)의 제1 반도체층(111, 112, 113, 114)은 n형 반도체로 모델링하고, 제2 반도체층(131, 132, 133, 134)은 p형 반도체로 모델링한다.
제1 상부 전극(181)은 제1 셀 영역(161)의 제1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셀 영역(162)까지 신장되고, 제2 셀 영역(162)의 제2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상부 전극(181)은 제1 발광 다이오드 D1의 캐소드 단자 및 제2 발광 다이오드 D2의 애노드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으로 모델링된다.
또한, 제2 상부 전극(182)은 제2 발광 다이오드 D2의 캐소드 단자 및 제3 발광 다이오드 D3의 애노드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으로 모델링되며, 제3 상부 전극(183)은 제3 발광 다이오드 D3의 캐소드 단자 및 제4 발광 다이오드 D4의 애노드 단자를 연결하는 배선으로 모델링된다. 또한, 제4 상부 전극(184)은 제4 발광 다이오드 D4의 캐소드 단자를 형성하는 배선으로 모델링된다.
따라서, 제1 발광 다이오드 D1의 애노드 단자 및 제4 발광 다이오드 D4의 캐소드 단자는 외부 전원에 대해 전기적으로 개방된 상태이며, 나머지 발광 다이오드들 D2, D3은 직렬 연결된 구조를 형성한다.
도 20은 도 13의 평면도에서 구조물의 전면에 제2 층간 절연막을 도포하고, 제1 셀 영역의 제1 하부 전극의 일부를 노출하고, 제4 셀 영역의 제4 하부 전극의 일부를 노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21은 도 20의 평면도를 B1-B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2는 도 20의 평면도를 C1-C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23은 도 20의 평면도를 D1-D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0의 평면도를 E1-E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1 셀 영역(161)에서 제2 반도체층(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하부전극(151)은 개방된다. 나머지 영역은 제2 셀 영역(162)에 걸쳐 제2 층간 절연막(190)으로 덮인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2 셀 영역(162) 및 제3 셀 영역(163)은 제2 층간 절연막(190)으로 완전히 덮인다.
또한,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제4 셀 영역(164)의 제4 상부 전극(184)은 노출되며, 제1 셀 영역(161)의 제1 하부 전극(151)은 노출된다.
상기 제2 층간 절연막(190)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하부의 막을 보호할 수 있는 절연물에서 선택된다. 특히, 절연 특성을 가지며 온도나 습도의 변화를 차단할 수 있는 Si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4에서 제2 층간 절연막(190)은 기판 상의 구조물 전체에 도포된다. 또한, 제1 셀 영역(161)의 제1 하부 전극(151)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제4 셀 영역(164)의 제4 상부 전극(184)을 노출시킨다.
도 25는 도 20의 구조물에 제1 패드 및 제2 패드를 형성한 평면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패드(210)는 제1 셀 영역(161) 및 제2 셀 영역(162)에 걸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패드(210)는 도 20에서 노출된 제1 셀 영역(161)의 제1 하부 전극(151)과 전기적 접촉을 달성한다.
또한, 제2 패드(220)는 상기 제1 패드(210)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3 셀 영역(163) 및 제4 셀 영역(164)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드(220)는 상기 도 20에서 노출된 제4 셀 영역(164)의 제4 상부 전극(18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6은 도 25의 평면도를 B1-B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7은 도 25의 평면도를 C1-C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28은 도 25의 평면도를 D1-D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9는 도 25의 평면도를 E1-E2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1 셀 영역(161) 및 제2 셀 영역(162)에 걸쳐 제1 패드(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패드(210)는 제1 셀 영역(161)에서 노출된 제1 하부 전극(151) 상에 형성된다. 나머지 영역에서는 제2 층간 절연막(190)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패드(210)는 제1 하부 전극(151)을 통해 제1 셀 영역(161)의 제2 반도체층(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2 셀 영역(162) 상에는 제1 패드(210)가 형성되고, 제3 셀 영역(163) 상에는 제1 패드(210)와 이격되어 제2 패드(2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셀 영역(162) 및 제3 셀 영역(163)에서 제1 패드(210) 또는 제2 패드(220)는 하부 전극 또는 상부 전극과의 전기적 접촉은 차단된다.
도 28을 참조하면, 제3 셀 영역(163) 및 제4 셀 영역(164)에 걸쳐 제2 패드(220)가 형성된다. 특히, 제4 셀 영역(164)에서 개방된 제4 상부 전극(184)과 제2 패드(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패드(220)는 제4 셀 영역(164)의 제1 반도체층(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29를 참조하면, 제4 셀 영역(164) 상에는 제2 패드(220)가 형성되고, 제1 셀 영역(161) 상에는 제2 패드(220)와 이격되어 제1 패드(2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패드(210)는 제1 셀 영역(161)의 제1 하부 전극(151) 상에 형성되어, 제2 반도체층(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0은 도 25의 평면도를 C2-C3 라인을 따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3 셀 영역(163)의 제1 반도체층(113)은 제3 상부 전극(18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3 상부 전극(183)은 제3 셀 영역(163) 및 제4 셀 영역(164)의 이격 공간을 차폐하며, 제4 셀 영역(164)의 제4 하부 전극(15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1 패드(210) 및 제2 패드(220)는 상호 간에 이격되며, 제2 층간 절연막(190) 상에 형성된다. 물론, 전술한 바대로 제1 패드(210)는 제1 셀 영역(161)의 제2 반도체층(13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패드(220)는 제4 셀 영역(164)의 제1 반도체층(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19의 모델링을 참조할 경우, 각각의 셀 영역의 제1 반도체층(111, 112, 113, 114)은 n형 반도체로 모델링되고, 제2 반도체층(131, 132, 133, 134)은 p형 반도체로 모델링된다. 제1 셀 영역(161)의 제2 반도체층(131) 상에 형성된 제1 하부 전극(151)은 제1 발광 다이오드 D1의 애노드 전극으로 모델링 된다. 따라서, 제1 패드(210)는 제1 발광 다이오드 D1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 배선으로 모델링될 수 있다. 또한, 제4 셀 영역(164)의 제1 반도체층(1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 상부 전극(184)은 제4 발광 다이오드 D4의 캐소드 전극으로 모델링된다. 따라서, 제2 패드(220)는 제4 발광 다이오드 D4의 캐소드 전극에 연결된 배선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4개의 발광 다이오드들 D1 내지 D4가 직렬 연결된 어레이 구조가 형성되며, 외부와의 전기적 연결은 하나의 기판(100) 상에 형성된 2개의 패드들(210, 220)를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4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상호간에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을 통해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단자가 다른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발광 다이오드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10개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직렬로 연결하도록 모델링한 회로도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도 5에 개시된 공정을 이용하여 10개의 셀 영역들(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을 정의한다. 각각의 셀 영역(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내의 제1 반도체층, 활성층, 제2 반도체층 및 하부 전극은 다른 셀 영역들과 분리된다. 각각의 하부전극들은 제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되어 발광 다이오드 D1 내지 D10의 애노드 전극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6 내지 도 17에 도시된 공정을 이용하여 제1 층간 절연막과 상부 전극들을 형성한다. 다만, 형성되는 상부 전극들은 인접한 셀 영역들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며,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달성하는 배선으로 작용한다.
또한, 도 20 내지 도 29에 소개된 공정을 바탕으로 제2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고, 전류 경로상 양의 전원 전압 V+에 연결되는 제1 발광 다이오드 D1의 하부 전극을 노출시키고, 음의 전원 전압 V-에 연결되는 제10 발광 다이오드 D10의 상부 전극을 오픈한다. 이어서, 제1 패드(320)를 형성하여 제1 발광 다이오드 D1의 애노드 단자를 연결한다. 또한, 제2 패드(330)를 형성하여 제10 발광 다이오드 D10의 캐소드 단자를 연결한다.
이외에 발광 다이오드들의 연결은 직/병렬 형태의 어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직/병렬 형태로 발광 다이오드들이 어레이를 구성한 것을 모델링한 회로도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D1 내지 D8은 직렬 연결을 가지면서,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들과 병렬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들 D1 내지 D8은 셀 영역(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의 정의를 통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대로, 발광 다이오드 D1 내지 D8의 애노드 전극은 하부 전극을 통해 형성된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D1 내지 D8의 캐소드 전극 및 인접한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전극과의 배선은 상부 전극의 형성 및 적절한 배선을 통해 형성된다. 다만, 하부 전극은 제2 반도체층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 전극은 인접한 셀 영역 사이의 이격공간을 차폐하며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양의 전원 전압 V+가 공급되는 제1 패드(410)는 제1 발광 다이오드 D1 또는 제3 발광 다이오드 D3의 제2 반도체층 상에 형성된 하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음의 전원 전압 V-가 공급되는 제2 패드(420)는 제6 발광 다이오드 D6 또는 제8 발광 다이오드 D8의 캐소드 단자인 상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의 활성층에서 발생된 광은 하부 전극 및 상부 전극에서 기판을 향해 반사되고, 플립칩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들은 하나의 기판 상에 상부 전극의 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전극은 제2 층간 절연막을 통해 외부와 차폐된다. 양의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제1 패드는 상기 양의 전원 전압에 가장 가깝게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하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음의 전원 전압이 공급되는 제2 패드는 상기 음의 전원 전압에 가장 근접하여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상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플립칩 타입에서 다수의 칩들을 서브 마운트 기판 상에 실장하고, 서브 마운트 기판에 배열된 배선을 통해 외부의 전원에 대해 2단자를 구현하는 공정상의 번거로움은 해결된다. 이외에, 셀 영역들 사이의 이격공간은 상부 전극을 통해 차폐되어 기판을 향하는 광의 반사는 최대화될 수 있다.
또한, 제2 층간 절연막은 기판과 상기 제2 층간 절연막 사이에 배치된 다수의 적층구조를 외부의 온도 및 습도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따라서, 별도의 패키징 수단의 개입 없이 기판에 직접 실장할 수 있는 구조가 실현된다.
특히, 하나의 기판 상에 플립칩 타입으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구현되므로, 공급되는 상용화 전원에 대한 전압의 강하, 레벨의 변환 또는 파형의 변환을 배제한 상태에서 상용화 전원을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기판
111, 112, 113, 114 : 제1 반도체층
121, 122, 123, 124 : 활성층
131, 132, 133, 134 : 제2 반도체층
140 : 비아홀
151 : 제1 하부 전극
152 : 제2 하부 전극
153 : 제3 하부 전극
154 : 제4 하부 전극
161 : 제1 셀 영역
162 : 제2 셀 영역
163 : 제3 셀 영역
164 : 제4 셀 영역
170 : 제1 층간 절연막
181 : 제1 상부 전극
182 : 제2 상부 전극
183 : 제3 상부 전극
184 : 제4 상부 전극
190 : 제2 층간 절연막
210 : 제1 패드
220 : 제2 패드

Claims (19)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되며, 각각 제1 반도체층, 활성층 및 제2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제1 발광 다이오드 내지 제4 발광 다이오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내지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의 상부에 형성된 제1 상부 전극 내지 제4 상부 전극;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내지 제4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상부 전극 내지 제4 상부 전극 사이에 정렬되어, 상기 제1 상부 전극 내지 제4 상부 전극을 상기 제1 내지 제4 발광 다이오드의 측면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제1 층간 절연막;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상부 영역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 패드; 및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의 상부 영역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패드;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는 일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는 일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 상부 전극은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상부 전극은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제1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3 상부 전극은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의 제1 반도체층과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4 상부 전극은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의 제1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는 서로 이격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전극 내지 상기 제4 상부 전극은 제1 반도체층에 오믹 콘택하는 오믹 콘택층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믹 콘택층은 Cr, Ni, Ti, Rh 및 A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전극은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상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의 측면을 덮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은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내지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 외측에 위치한 상기 기판의 상면을 덮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내지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 상에 정렬된 하부 전극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은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내지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 상의 상기 하부 전극들의 일부를 노출시키고,
    상기 제1 상부 전극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하부 전극에 접속하며,
    상기 제3 상부 전극은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의 하부 전극에 접속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전극 내지 상기 제4 상부 전극을 덮는 제2 층간 절연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은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의 제1 상부 전극 및 상기 제1 층간 절연막에 의해 노출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하부 전극을 노출시키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내지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1 상부 전극 내지 상기 제4 상부 전극에 의해 직렬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하부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제2 층간 절연막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의 제1 상부 전극에 접속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상기 일 방향의 수직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상부 전극은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상부에서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 상부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 전극은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 상부에서 일부가 돌출된 돌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부 전극은 상기 돌출 영역이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에 접속하여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의 제2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 상부 전극은 상기 제2 상부 전극의 돌출 영역에 대응하는 오목한 구조를 갖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내지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는 각각 제2 반도체층 및 활성층을 통해 상기 제1 반도체층을 노출하는 비아홀을 갖고,
    상기 제1 상부 전극 내지 상기 제4 상부 전극은 상기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내지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 중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제1 반도체층에 접속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전극 내지 상기 제4 상부 전극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의 전체 면적의 30% 이상 및 100% 미만의 면적을 점유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전극 내지 상기 제4 상부 전극은 너비와 폭의 비가 1:3 내지 3:1의 범위 내에 있는 플레이트 또는 시트 형상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전극 내지 상기 제4 상부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너비 또는 폭에 비해 더 큰 너비 또는 폭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측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제3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의 측부를 덮도록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일 측부와 상기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일 측부는 서로 마주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3 발광 다이오의 일 측부와 상기 제4 발광 다이오드의 일 측부는 서로 마주하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KR1020180096788A 2012-08-07 2018-08-20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KR101949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329 2012-08-07
KR20120086329 2012-08-07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709A Division KR101892213B1 (ko) 2012-08-07 2013-07-26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658A Division KR102122847B1 (ko) 2019-02-11 2019-02-11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486A true KR20180098486A (ko) 2018-09-04
KR101949718B1 KR101949718B1 (ko) 2019-05-21

Family

ID=502673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709A KR101892213B1 (ko) 2012-08-07 2013-07-26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80096788A KR101949718B1 (ko) 2012-08-07 2018-08-20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8709A KR101892213B1 (ko) 2012-08-07 2013-07-26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8922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994A1 (ko) * 2022-09-06 2024-03-1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260B1 (ko) * 2015-01-08 2022-05-27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 소자 패키지
CN110690249B (zh) 2015-02-13 2024-01-19 首尔伟傲世有限公司 发光元件
KR102424364B1 (ko) * 2015-05-27 2022-07-25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발광소자
US10270008B2 (en) 2015-03-16 2019-04-23 Seoul Viosys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including metal bulk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9202A (ja) * 2003-08-28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発光装置、発光モジュール、照明装置、および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20060284195A1 (en) * 2003-08-28 2006-12-21 Hideo Nagai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module, lighting apparatus, display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20090053435A (ko) * 2007-11-23 2009-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6631A (ko) * 2007-04-26 2010-02-12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광전 소자,및 복수 개의 광전 소자들의 제조 방법
KR20100076083A (ko) * 2008-12-17 2010-07-06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3537B1 (en) 1999-12-22 2003-06-03 Lumileds Lighting, U.S., Llc Highly reflective ohmic contacts to III-nitride flip-chip LEDs
KR101158071B1 (ko) 2005-09-28 2012-06-22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다수의 셀이 결합된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15535B1 (ko) 2006-06-30 2012-03-08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확장된 금속 반사층을 갖는 플립 본딩형 발광다이오드 및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9202A (ja) * 2003-08-28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発光装置、発光モジュール、照明装置、および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20060284195A1 (en) * 2003-08-28 2006-12-21 Hideo Nagai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light emitting module, lighting apparatus, display e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20100016631A (ko) * 2007-04-26 2010-02-12 오스람 옵토 세미컨덕터스 게엠베하 광전 소자,및 복수 개의 광전 소자들의 제조 방법
KR20090053435A (ko) * 2007-11-23 2009-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모놀리식 발광다이오드 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76083A (ko) * 2008-12-17 2010-07-06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복수개의 발광셀들을 갖는 발광 다이오드 및 그것을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53994A1 (ko) * 2022-09-06 2024-03-1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190A (ko) 2014-02-18
KR101892213B1 (ko) 2018-08-28
KR101949718B1 (ko)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530B2 (en) Wafer level light-emitting diode ar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949718B1 (ko)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US9412922B2 (en) Wafer level light-emitting diode array
US9318529B2 (en) Wafer level light-emitting diode array
US11587972B2 (en) Wafer level light-emitting diode array
US11139338B2 (en) Wafer level light-emitting diode array
CN105531834A (zh) 具有esd保护的led芯片
JP3824497B2 (ja) 発光素子アレイ
CN113644177B (zh) 发光二极管及发光装置
US10396248B2 (en)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KR101798134B1 (ko)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22847B1 (ko)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KR101949505B1 (ko)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93578B1 (ko)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TWI599017B (zh) 晶圓等級之發光二極體陣列及其製造方法
CN114050171A (zh) 发光二极管芯片及发光装置
CN114631197A (zh) 发光二极管结构及发光装置
KR101893579B1 (ko)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KR102160072B1 (ko) 웨이퍼 레벨의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