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288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288A
KR20180098288A KR1020187019432A KR20187019432A KR20180098288A KR 20180098288 A KR20180098288 A KR 20180098288A KR 1020187019432 A KR1020187019432 A KR 1020187019432A KR 20187019432 A KR20187019432 A KR 20187019432A KR 20180098288 A KR20180098288 A KR 20180098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ist region
transverse direction
region
front waist
rear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743B1 (ko
Inventor
교타 사이토
지라파 창짜른
사리니 피차드킷트자왓트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9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61F13/565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adjustable pants typ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61F13/496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characterized by the s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5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pants type diap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13/581Tab fastener elements combining adhesive and mechanical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62Mechanical fastening means, ; 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2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 A61F13/625Fabric strip fastener elements, e.g. hook and loop characterised by the hoo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 A61F2013/58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on waist pa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앞몸통 둘레부와, 뒷몸통 둘레부와, 가랑이 아래부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앞몸통 둘레부(30) 및 뒷몸통 둘레부(20)는, 가로 방향을 따른 탄성 영역(X, Y)을 가지며, 가로 방향에서의 뒷몸통 둘레부(20)의 일방측의 단부와, 가로 방향에서의 앞몸통 둘레부(30)의 일방측의 단부는 제 1 접합부(1b)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가로 방향에서의 뒷몸통 둘레부(20)의 타방측의 단부(200)는, 착용 시에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41)를 갖는 걸림 부재(40)와 제 2 접합부(2b)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며, 앞몸통 둘레부(30) 및 뒷몸통 둘레부(20)를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중심(AC)의 위치에서부터 타방측의 가로 단(30er)까지의 거리(L6)는,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중심(AC)의 위치에서부터 타방측의 가로 단(20er)까지의 거리(L8)보다도 짧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배설물 등의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가로 방향의 일방측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앞웨이스트부)의 측부와 뒷몸통 둘레부(뒷웨이스트부)의 측부가 접합되고, 폭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와 뒷몸통 둘레부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이른바 반 오픈 팬티형의 기저귀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반 오픈 팬티형의 기저귀는, 앞몸통 둘레부와 뒷몸통 둘레부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타방측(오픈측)에 있어서, 뒷몸통 둘레부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로부터 돌출한 걸림부(테이프 파스너)를 앞몸통 둘레부에 걸어서 사용한다.
일본국 실개평4-582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반 오픈 팬티형의 기저귀와 같이, 앞몸통 둘레부의 가로 방향에서의, 흡수체가 배치된 가랑이 아래부(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배치되는 부분)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타방측의 단(端)까지의 거리와, 뒷몸통 둘레부의 가로 방향에서의, 가랑이 아래부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타방측의 단까지의 거리를 동일하게 설정한 경우, 걸림부를 앞몸통 둘레부에 걸었을 때에, 앞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에 있어서, 뒷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와 겹쳐져 고정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영역이 커져, 착용자인 아기가 버둥거리거나, 몸을 뒤척이거나 한 경우에, 앞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와 뒷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의 겹침 부분에 있어서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또, 위치 어긋남을 일으켰을 때의 어긋남 폭이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반 오픈 팬티형의 기저귀에 있어서, 오픈측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여 피트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된 발명은, 세로 방향과, 상기 세로 방향과 교차하는 가로 방향과,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가로 방향을 따른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가로 방향을 따른 뒷몸통 둘레부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사이에 설치된 가랑이 아래부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 및 상기 뒷몸통 둘레부는, 상기 가로 방향을 따른 탄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일방측의 단부와,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일방측의 단부는 제 1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는, 착용 시에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를 갖는 걸림 부재와 제 2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앞몸통 둘레부 및 상기 뒷몸통 둘레부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타방측의 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타방측의 단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분명히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 오픈 팬티형의 기저귀에 있어서, 오픈측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여 피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기저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한 상태의 기저귀를 착용자의 피부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 중, 도 3A는 앞몸통 둘레부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3B는 뒷몸통 둘레부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3C는 걸림 부재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탄성 영역(X) 및 탄성 영역(Y)에 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 중, 도 5A는 기저귀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5C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에 관련되는 기저귀를 착용한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 중, 도 7A는 타겟 영역의 범위 및 착용 시의 걸림부의 위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8은 타겟 영역의 범위 및 착용 시의 걸림부의 위치에 대한 변형예 1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9 중, 도 9A는 타겟 영역의 범위 및 착용 시의 걸림부의 위치에 대한 변형예 2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기저귀를 전개하여, 착용자의 피부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기저귀의 탄성 영역(X) 및 탄성 영역(Y)에 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의 기재에 의해, 적어도 이하의 사항이 분명해진다.
세로 방향과, 상기 세로 방향과 교차하는 가로 방향과,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가로 방향을 따른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가로 방향을 따른 뒷몸통 둘레부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사이에 설치된 가랑이 아래부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 및 상기 뒷몸통 둘레부는, 상기 가로 방향을 따른 탄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일방측의 단부와,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일방측의 단부는 제 1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는, 착용 시에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를 갖는 걸림 부재와 제 2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앞몸통 둘레부 및 상기 뒷몸통 둘레부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타방측의 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타방측의 단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흡수성 물품이 분명해진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앞몸통 둘레부의 가로 방향에서의 가랑이 아래부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타방측의 단까지의 거리가, 뒷몸통 둘레부의 가로 방향에서의 가랑이 아래부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타방측의 단(제 2 접합부측의 단)까지의 거리보다도 짧기 때문에, 착용 시에 앞몸통 둘레부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와 뒷몸통 둘레부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과의 겹침 부분의 영역이 작아져, 당해 겹침 부분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렵고, 위치 어긋남이 일어난 경우라도 어긋남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저귀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피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 및 상기 뒷몸통 둘레부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타방측의 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걸림 부재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걸림 부재의 가로 방향의 선단(제 2 접합부와는 반대측의 단)이 가랑이 아래부의 가로 방향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앞몸통 둘레부에 걸림부를 건 상태에 있어서, 제 2 접합부가 앞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와 겹쳐져, 강성이 높은 제 2 접합부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기 때문에 촉감이 양호해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상기 탄성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 2 접합부측의 단이,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상기 제 1 접합부와는 반대측의 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상기 걸림부를 건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탄성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의 비(非)피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와 겹침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 시에 있어서, 가로 방향에서의 뒷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에 설치된 탄성 영역이 가로 방향에서의 앞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보다 비피부측에 위치하고, 탄성 영역과 앞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가(두께 방향으로) 겹쳐져 있기 때문에, 앞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 눌려져, 앞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여 착용 시에 있어서의 피트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앞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가 신축성을 갖지 않는 점 때문에, 당해 단부가 뒷몸통 둘레부의 탄성 영역의 탄성력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 눌려졌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에 대하여 면으로 댈 수 있으므로, 촉감이 좋아져 피트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 2 접합부측의 단이,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상기 제 1 접합부와는 반대측의 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상기 걸림부를 건 상태에 있어서,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는,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에 설치된 탄성 영역이 앞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를 덮기 때문에, 앞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 전체에 탄성력이 작용하여, 앞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 2 접합부측의 단이,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상기 제 1 접합부와는 반대측의 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상기 걸림부를 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합부는, 상기 제 1 접합부의 위치보다도 전측(前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 시에, 제 2 접합부가 제 1 접합부의 위치보다도 전측(복측(腹側))에 위치하고 있는 점 때문에, 강성을 갖는 제 2 접합부가, 아래쪽으로의 위치 어긋남에 대한 지지가 되므로, 착용자의 배의 불룩함에 의한 아래쪽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어 피트성이 양호해진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2 접합부에 있어서의 강성은,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있어서의 강성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제 2 접합부에 있어서의 강성을 앞몸통 둘레부에 있어서의 강성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앞몸통 둘레부의 아래쪽으로의 위치 어긋남에 대한 지지가 보다 확실해져, 착용자의 배의 불룩함에 의한 하부에의 위치 어긋남이 보다 억제된다.
이러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제 2 접합부에 있어서 겹쳐져 있는 부재의 점수(點數)는,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있어서 겹쳐져 있는 부재의 점수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제 2 접합부에 있어서 겹쳐져 있는 부재의 점수가 앞몸통 둘레부에 있어서 겹쳐져 있는 부재의 점수보다도 많음으로써, 앞몸통 둘레부의 강성보다도 제 2 접합부의 강성이 커져, 두께가 있는 부재로 변경하는 등의 방법을 취하지 않고, 아래쪽으로의 위치 어긋남에 대한 지지를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 실시형태 ===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반 오픈 팬티형의 일회용 기저귀(1)(이하에서는 단지 기저귀(1)라고 한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저귀(1)의 구성>
기저귀(1)의 구성에 대해서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기저귀(1)의 일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개한 상태의 기저귀(1)를 착용자의 피부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A는 앞몸통 둘레부(30)의 단면 모식도이고, 도 3B는 뒷몸통 둘레부(20)의 단면 모식도이며, 도 3C는 걸림 부재(40)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4는 탄성 영역(X) 및 탄성 영역(Y)에 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 기저귀(1)는, 주로 신생아나 영유아 등을 착용 대상으로 한 일회용 기저귀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 방향」과, 세로 방향과 교차하는 「가로 방향」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갖는다. 세로 방향 중 착용자의 몸통측을 「상측」이라고 하고,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측을 「하측」이라고 한다. 전후 방향 중 착용자의 복측이 되는 측을 「전측」이라고 하고, 착용자의 등측(背側)이 되는 측을 「후측」이라고 한다. 또, 착용자가 기저귀(1)를 착용한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측을 「피부측」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비피부측」이라고 한다. 또, 이하에서는, 도면의 가로 방향의 좌측을 「일방측」이라고 하고, 우측을 「타방측」이라고 하여 설명을 행한다(도 2 및 도 4 참조).
기저귀(1)는, 착용자의 가랑이 아래에 배치하여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성 본체(10)(「가랑이 아래부」라고도 한다.)와, 착용자의 등측을 덮는 뒷몸통 둘레부(20)와, 착용자의 복측을 덮는 앞몸통 둘레부(30)를 갖는다. 뒷몸통 둘레부(20)의 타방측의 단부에는,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41)를 갖는 걸림 부재(40)가 가로 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전개 상태의 기저귀(1)가, 세로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를 접는 위치로 하여 반으로 접혀,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에 있어서 뒷몸통 둘레부(20)와 앞몸통 둘레부(30)가 제 1 접합부(1b)에서 접합됨으로써, 일방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HL)가 형성된다.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에 있어서는, 뒷몸통 둘레부(20)와 앞몸통 둘레부(30)가 접합되어 있지 않고, 걸림부(41)가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림으로써, 타방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HL) 및 몸통 둘레 개구부(1HB)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1)는, 가로 방향의 일방측에서는 뒷몸통 둘레부(20)와 앞몸통 둘레부(30)가 접합되어 닫혀 있고, 타방측에서는 양자가 접합되지 않고 열려 있는, 소위 「반 오픈형의 기저귀」이다. 또, 이하에서는, 뒷몸통 둘레부(20)와 앞몸통 둘레부(30)가 접합되지 않고 열려 있는 측(가로 방향의 타방측)을 「오픈측」이라고도 부른다.
뒷몸통 둘레부(20) 및 앞몸통 둘레부(30)는, 그 평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며,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10a)에 뒷몸통 둘레부(20)가 고정되고,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10b)에 앞몸통 둘레부(30)가 고정되어 있다. 즉, 뒷몸통 둘레부(20)와 앞몸통 둘레부(30)의 사이에 흡수성 본체(10)가 건너질러져 있고, 뒷몸통 둘레부(20) 및 앞몸통 둘레부(30)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띄우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10a)의 영역은, 흡수성 본체(10)와 뒷몸통 둘레부(20)가 겹쳐진 영역(제 1 영역)이고, 도 2에 나타내는 A-B-C-D로 둘러싸인 직사각형상의 영역이다. 또,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10b)의 영역은, 흡수성 본체(10)와 앞몸통 둘레부(30)가 겹쳐진 영역(제 2 영역)이고, 도 2에 나타내는 F-G-H-I로 둘러싸인 직사각형상의 영역이다.
(흡수성 본체(10))
흡수성 본체(10)(가랑이 아래부)는, 평면도로 보아(平面視) 대략 장방형을 이루고, 그 길이 방향을 기저귀(1)의 세로 방향을 따르게 하면서 가로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4에 있어서, 중심선(AC)(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은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이다.
흡수성 본체(10)는, 액체를 흡수하여 홀딩하는 흡수체(11)와, 흡수체(11)를 착용자의 피부측에서부터 덮으면서 소변 등의 배설물을 투과시키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12)와, 흡수체(11)를 비피부측에서부터 덮으면서 비피부측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설을 막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13)를 갖는다. 흡수체(11)는, 펄프 섬유 등의 액체 흡수성 섬유를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평면도로 보아 대략 모래시계 형상 등의 소정 형상으로 성형한 것이고, 그 내부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혼입되어 있다.
또, 옆으로의 누설 방지나 다리 둘레의 피트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당해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축하는 레그 개더(LG)(다리 둘레 신축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지만, 편의상, 도 2 등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뒷몸통 둘레부(20))
뒷몸통 둘레부(20)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부재(21)와,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부재(22)와, 피부측 부재(21)와 비피부측 부재(22)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실고무(23)를 갖는다. 비피부측 부재(22)는, 상단부가 피부측을 향하여 되접혀 있고, 피부측 부재(21)의 상 단부 및 흡수성 본체(10)의 상단부를 덮고 있다.
피부측 부재(21)와 비피부측 부재(22)는, 각각 부직포 등의 유연한 시트 부재이다. 실고무(23)는, 뒷몸통 둘레부(20)에 대하여 가로 방향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실고무(23)가, 가로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접착제 등에 의해 피부측 부재(21)와 비피부측 부재(22)의 사이에 접합되어 있다.
뒷몸통 둘레부(20)의 일방측의 단부에는 제 1 접합 영역(20j)이 설치되고, 열 용착이나 초음파 용착 등의 소정의 접합 수단을 이용하여 앞몸통 둘레부(30)의 접합 영역(30j)(후술)과 접합됨으로써, 기저귀(1)의 제 1 접합부(1b)가 형성된다. 또, 뒷몸통 둘레부(20)의 타방측의 단부에는, 걸림 부재(40)가 접합되는 제 2 접합 영역(40j)이 설치되어 있다.
뒷몸통 둘레부(20)의 하단부에 있어서, 가로 방향의 일방측에,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가로 단(20el)으로부터 가로 방향의 내측(흡수성 본체(10)가 배치된 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0bl)를 갖고 있다. 또, 뒷몸통 둘레부(20)의 하단부에 있어서, 가로 방향의 타방측에,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가로 단(20er)으로부터 가로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앞몸통 둘레부(30)의 하단(30b)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직선부(20bs)와, 직선부(20bs)로부터 가로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경사지는 경사부(20br)를 갖고 있다. 가로 방향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경사부(20bl)와 가로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의 경사부(20br)는,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중심선(AC)을 중심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뒷몸통 둘레부(20)가 앞몸통 둘레부(30)의 하단(30b)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직선부(20bs)를 가짐으로써, 걸림부(41)를 앞몸통 둘레부(30)에 건 경우, 즉 기저귀(1)를 착용한 상태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0)의 하단(30b)과 뒷몸통 둘레부(20)의 직선부(20bs)를 가지런히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저귀(1)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볼품이 좋아진다. 또, 가로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의 경사부(20br)의 가로 방향의 길이(L2)를, 가로 방향의 일방측에 있어서의 경사부(20bl)의 가로 방향의 길이(L1)보다 길게 설정하여(L2>L1), 당해 타방측의 경사부(20br)의 경사 각도를 당해 일방측의 경사부(20bl)의 경사 각도보다도 완만하게 해도 된다.
복수의 실고무(23)는, 탄성 영역(X)을 형성하여 기저귀(1)의 피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뒷몸통 둘레부(20)의 상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실고무(23)는,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가로 단(20el)에서부터 타방측의 가로 단(20er)에 걸쳐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고,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늘어서 배치되어 있다. 뒷몸통 둘레부(20) 중 흡수체(11)와 겹치는 영역, 즉 뒷몸통 둘레부(20)의 세로 방향의 중앙부 및 하단부에 있어서는, 흡수체(11)가 배치된 영역에 대응하는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중앙부에 복수의 실고무(23)가 배치되지 않고, 흡수체(11)보다도 가로 방향의 좌측(일방측)의 영역 및 흡수체(11)보다도 가로 방향의 우측(타방측)의 영역에 각각, 대략 평행하게 복수의 실고무(2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에 설치된 제 1 접합 영역(20j)의 가로 방향의 내측(타방측)의 단에서부터, 가로 방향의 타방측에 설치된 제 2 접합 영역(40j)의 가로 방향의 내측(일방측)의 단까지의 영역 중, 복수의 실고무(23)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탄성 영역(X)이라고 한다. 도 4에서는, 탄성 영역(X)은 해칭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도 4에서는, 편의상, 제 1 접합 영역(20j) 및 제 2 접합 영역(40j)의 해칭은 생략하고 있다.
또, 도 2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실고무(23)는,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양측의 가로 단(20er, 20el)까지 배치되어 있지만,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단부에는 각각, 제 1 접합 영역(20j) 및 제 2 접합 영역(40j)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접합 영역(20j) 및 당해 제 1 접합 영역(20j)보다도 가로 방향의 외측, 그리고 제 2 접합 영역(40j) 및 당해 제 2 접합 영역(40j)보다도 가로 방향의 외측의 부분에서는, 신축력이 실질적으로 발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탄성 영역(X)의 가로 방향을 따른 영역의 범위는, 제 1 접합 영역(20j)의 가로 방향의 내측의 단에서부터 제 2 접합 영역(40j)의 가로 방향의 내측의 단까지로 되어 있다.
이 탄성 영역(X)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단(Xe1)은, 제 1 접합 영역(20j)의 가로 방향의 내측의 가로 단과 동일 위치이며, 탄성 영역(X)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Xe2)은, 제 2 접합 영역(40j)의 가로 방향의 내측의 가로 단과 동일 위치이다. 또, 도 4의 해칭으로 나타나는 탄성 영역(X) 이외의 영역(비탄성 영역)에도 복수의 실고무(23)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지만, 당해 비탄성 영역에 있어서는, 복수의 실고무(23)가 절단됨으로서 신축성을 발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의 위치(중심선(AC))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의 위치는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영역(X)에 있어서,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단(Xe1)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거리(L3)는,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Xe2)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거리(L4)와 동일하다(L3=L4). 또, 반드시,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단(Xe1)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거리(L3)와,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Xe2)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거리(L4)가 동일할 필요는 없고, 다른 일례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걸림 부재(40))
걸림 부재(40)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부재(401)와,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부재(402)와, 피부측 부재(401) 및 비피부측 부재(402)보다도 피부측에 위치하는 걸림부(41)를 갖는다. 비피부측 부재(402)는, 상단부가 피부측을 향하여 되접혀 있고, 피부측 부재(401)의 상단부를 덮고 있다. 걸림 부재(40)는, 열 용착이나 초음파 용착 등의 소정의 접합 수단을 이용하여 뒷몸통 둘레부(20)의 제 2 접합 영역(40j)에 접합되고, 이것에 의해, 기저귀(1)의 제 2 접합부(2b)가 형성된다.
피부측 부재(401)와 비피부측 부재(402)는, 각각 부직포 등의 유연한 시트 부재이다. 걸림부(41)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등으로 형성되고, 피부측의 면에 복수의 걸림용 돌기(도시 생략)를 구비한 면 파스너이다. 걸림부(41)의 걸림용 돌기를, 앞몸통 둘레부(30)에 설치된 타겟 영역(34)(후술)에 걺으로써, 걸림 부재(40)가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린다.
제 2 접합부(2b)(제 2 접합 영역(40j))는, 세로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어 있고, 세로 방향의 길이(H2)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가로 단(20er)의 세로 방향의 길이(H1)의 절반보다도 길다(H2>H1/2).
(앞몸통 둘레부(30))
앞몸통 둘레부(30)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피부측 부재(31)와, 비피부측에 위치하는 비피부측 부재(32)와, 피부측 부재(31)와 비피부측 부재(32)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실고무(33)를 갖는다. 비피부측 부재(32)는, 상단부가 피부측을 향하여 되접혀 있고, 피부측 부재(31)의 상단부 및 흡수성 본체(10)의 상단부를 덮고 있다. 또,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좌측)의 단부에는, 접합 영역(30j)을 갖고, 뒷몸통 둘레부(20)의 제 1 접합 영역(20j)과 접합됨으로써 제 1 접합부(1b)가 형성된다.
피부측 부재(31)와 비피부측 부재(32)는, 각각 부직포 등의 유연한 시트 부재이다. 실고무(33)는, 앞몸통 둘레부(30)에 대하여 가로 방향의 신축성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늘어서는 복수의 실고무(33)가, 가로 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로 접착제 등에 의해 피부측 부재(31)와 비피부측 부재(32)의 사이에 접합되어 있다.
앞몸통 둘레부(30)의 비피부측의 면에는, 걸림부(41)와 걸어맞춤 가능한 타겟 영역(34)이 설치되어 있다. 당해 타겟 영역(34)은, 예를 들면, 부직포의 표면의 섬유를 루프상으로 가공하여, 걸림부(41)의 걸림용 돌기(후크)를 걸어맞춤시키기 쉽게 한 부재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 타겟 영역(34)과 앞몸통 둘레부(30)를 다른 부재로 하지 않고, 앞몸통 둘레부(30)의 비피부측 부재(32)의 일부의 영역을 가공함으로써 타겟 영역(34)이 형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복수의 실고무(33)는, 탄성 영역(Y)을 형성하여 기저귀(1)의 피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복수의 실고무(33)는, 앞몸통 둘레부(30) 중, 가로 방향의 일방측(좌측)의 가로 단(30el)에서부터 중심선(AC)보다도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소정의 위치까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우측)의 가로 단(30er)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사이에는 복수의 실고무(33)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도 4의 해칭 부분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접합 영역(30j)의 가로 방향의 내측의 가로 단에서부터, 타겟 영역(34)의 가로 방향 일방측의 단(34el)보다도 가로 방향의 일방측(좌측)의 사이에서 복수의 실고무(33)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을 탄성 영역(Y)이라고 한다.
또, 도 4의 해칭으로 나타나는 탄성 영역(Y) 이외의 영역(비탄성 영역)에도 복수의 실고무(33)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지만, 당해 비탄성 영역에 있어서는, 복수의 실고무(33)가 절단됨으로써 신축성을 발현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선(AC)(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가로 단(30er)까지의 거리(L6)는, 중심선(AC)에서부터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가로 단(30el)까지의 거리(L5)보다도 짧다(L6<L5).
또, 앞몸통 둘레부(30)의 당해 타방측의 거리(L6)는,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가로 단(20er)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거리(L8)보다도 짧다(L6<L8). 뒷몸통 둘레부(20)에 있어서, 중심선(AC)에서부터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가로 단(20el)까지의 거리(L7)와, 중심선(AC)에서부터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가로 단(20er)까지의 거리(L8)가 동일하다(L7=L8). 그리고, 가로 방향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가로 단(30el)의 위치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가로 단(20el)의 위치는, 거의 동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가로 단(30el)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거리(L5)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가로 단(20el)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거리(L7)는 동일하다(L5=L7). 거리(L5, L6, L7, L8)의 관계로부터,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길이는,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도 짧다. 가로 방향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0)의 타방측의 가로 단(30er)은, 뒷몸통 둘레부(20)의 타방측의 가로 단(20er)보다도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가로 단(30er)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거리(L6)는, 걸림 부재(40)의 가로 방향의 길이(L9)보다도 길다(L6>L9). 또,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길이)(L5, L6, L7, L8, L9)의 대소 관계는, 뒷몸통 둘레부(20) 및 앞몸통 둘레부(30)를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것이다. 여기에서, 「신장시킨 상태」란, 뒷몸통 둘레부(20) 및 앞몸통 둘레부(30)를 가로 방향으로 주름 없이 신장시킨 상태를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치수가, 피부측 부재(21)의 가로 방향의 치수 및 비피부측 부재(22)의 가로 방향의 치수와 동일 또는 이들 치수에 가까운 길이가 될 때까지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 그리고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치수가, 피부측 부재(31)의 가로 방향의 치수 및 비피부측 부재(32)의 가로 방향의 치수와 동일 또는 이들 치수에 가까운 길이가 될 때까지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를 말한다.
<기저귀(1)의 사용 양태 및 착용 상태에 대해서>
다음으로, 기저귀(1)의 사용 양태 및 기저귀(1)의 착용 상태에 대해서, 도 5∼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기저귀(1)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1)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5C는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기저귀(1)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에 관련되는 기저귀를 착용한 경우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림부(41)를 건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는 타겟 영역(34)의 범위 및 착용 시에 있어서의 걸림부(41)의 위치에 대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상태의 기저귀(1)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8은 타겟 영역(34)의 범위 및 착용 시에 있어서의 걸림부(41)의 위치에 대한 변형예 1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9A는 타겟 영역(34)의 범위 및 착용 시에 있어서의 걸림부(41)의 위치에 대한 변형예 2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상태의 기저귀(1)를 위에서 보았을 때의 모식도이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저귀(1)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는, 앞몸통 둘레부(30)와 뒷몸통 둘레부(20)가 제 1 접합부(1b)에 의해 접합되어, 다리 둘레 개구부(1HL)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는, 앞몸통 둘레부(30)와 뒷몸통 둘레부(20)가 접합되어 있지 않고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기저귀(1)는, 가로 방향의 한쪽 편이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저귀(1)를 착용자(영유아 등)에게 착용시킬 때에는, 우선, 기저귀(1)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에 형성된 다리 둘레 개구부(1HL)에 착용자의 한쪽 다리(오른쪽 다리)를 넣고, 당해 한쪽 다리를 착용 상태와 동일 위치, 즉, 일방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HL)를 착용자의 오른쪽 가랑이에 배치한다. 그 후, 착용시키려고 하는 사람이, 한쪽 손으로 앞몸통 둘레부(30)의 타방측의 단부를 가로 방향의 타방측으로 끌어당긴 상태로 누른다. 그리고, 다른 한쪽 손으로 걸림 부재(40)( 뒷몸통 둘레부(20)의 타방측 단부)를 가로 방향의 타방측으로 끌어당기면서(도 5A에서 화살표로 나타낸다) 앞몸통 둘레부(30)의 앞쪽으로 둘러서, 걸림부(41)를 앞몸통 둘레부(30)의 타겟 영역(34)에 건다. 이것에 의해, 타방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HL)가 형성되는 동시에, 몸통 둘레 개구부(1HB)가 형성되어, 기저귀(1)를 착용 상태로 한다(도 5C 참조).
이와 같은 착용 방법이면, 일방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HL)에 착용자의 한쪽 다리를 통과시킨 상태에서, 타겟 영역(34)에 걸림부(41)를 걺으로써, 타방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HL) 및 몸통 둘레 개구부(1HB)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인 신생아나 영유아가 다리를 버둥거리고 있는 것과 같은 경우라도, 기저귀(1)를 용이하게 착용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앞몸통 둘레부(30) 중,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단부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영역은, 가로 방향을 따른 탄성 영역(Y)을 갖고 있고, 타방측의 단부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영역은, 탄성 영역을 갖고 있지 않음(신축성을 갖지 않음)으로써, 기저귀(1)의 피트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앞몸통 둘레부(30)의 타방측의 단부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영역은, 걸림 부재(40)의 걸림부(41)가 걸리는 영역이기 때문에, 이 영역에 실고무(33) 등의 탄성 부재를 배치하면, 탄성 부재의 신축에 의해, 걸림이 벗겨지기 쉽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문제를 경감하기 위해, 타방측의 단부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영역, 즉 걸림부(41)가 걸리는 영역은 탄성 영역을 갖고 있지 않는 것이다. 이때, 타겟 영역(34)은, 앞몸통 둘레부(30) 중 탄성 영역을 설치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0)의 세로 방향의 상단의 일방측의 단과 중심선(AC)과의 거리(L5)가, 앞몸통 둘레부(30)의 세로 방향의 상단의 타방측의 단과 중심선(AC)과의 거리(L6)보다도 길기 때문에(L5>L6), 타방측의 걸림부(41)로 앞몸통 둘레부(30)에 걸었을 때에, 뒷몸통 둘레부(20)가 전후 방향으로 겹쳐지는 앞몸통 둘레부(30)의 영역을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착용 중의, 뒷몸통 둘레부(20)와 앞몸통 둘레부(30)가 겹쳐짐으로써 발생하는 위화감이나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다.
기저귀(1)는, 앞몸통 둘레부(30) 중, 중심선(AC)보다 타방측은, 걸림부(41)에 의해 걸리기 때문에 실고무(33)를 갖고 있지 않다. 또, 이 영역에 실고무(33)를 갖고 있어도, 걸림부(41)의 걸림에 의해 신축성이 저하해 버려, 착용 중에, 일방측에 비해 타방측의 신축성이 약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그래서, 뒷몸통 둘레부(20)에 있어서의 복수의 실고무(33)가 배치된 영역인 탄성 영역(X)에 있어서, 일방측의 단(Xe1)과 중심선(AC)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 영역(X)의 실고무(33)의 수보다, 타방측의 단(Xe2)과 중심선(AC)의 사이에 설치된 탄성 영역(X)의 실고무(33)의 수 쪽을 많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기저귀(1)의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뒷몸통 둘레부(20)는, 걸림부(41)를 구비한 걸림 부재(40)를 갖고 있고, 걸림 부재(40)는, 뒷몸통 둘레부(20)의 제 2 접합 영역(40j)에서, 뒷몸통 둘레부(20)의 타방측의 단부에 고착되어 있고, 제 2 접합 영역(40j)의 세로 방향의 길이(H2)를, 뒷몸통 둘레부(20)의 타방측의 가로 단(20er)의 길이(H1)의 절반 이상의 길이로 함으로써(H2>H1/2), 도 5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걸림 부재(40)를 끌어당겨 앞몸통 둘레부(30)에 걸 때에, 걸림 부재(40)를 끌어당긴 힘을, 뒷몸통 둘레부(20)의 타방측의 가로 단(20er)의 절반 이상의 부분에 부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앞몸통 둘레부(30)에 의해 균등한 힘을 가할 수 있어, 앞몸통 둘레부(30)의 일부분에 과잉한 힘이 가해지는 것에 의한 앞몸통 둘레부(30)의 파손이나 변형의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뒷몸통 둘레부(20), 앞몸통 둘레부(30) 및 흡수성 본체(10)는 각각 별체이고, 뒷몸통 둘레부(20)의 하단부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에는 경사부(20bl)를 갖고, 뒷몸통 둘레부(20)의 하단부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에는 경사부(20br)를 가지며, 경사부(20bl)의 가로 방향의 길이(L1)보다 경사부(20br)의 가로 방향의 길이(L2) 쪽을 길게 해도 된다(L2>L1). 일방측의 경사부(20bl)의 가로 방향의 길이(L1)를, 착용자의 다리 둘레의 크기에 따른 길이로 설정하여, 일방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HL)는, 착용자의 다리에 의해 피트시킨다. 타방측의 경사부(20br)는, 타방측의 경사부(20br)의 가로 방향의 길이(L2)를, 일방측의 경사부(20bl)의 가로 방향의 길이(L1)보다 길게 하여, 착용 시에 걸림부(41)에 의한 걸림에 의해 타방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HB)의 크기를 조정해도 된다.
(앞몸통 둘레부(30)와 뒷몸통 둘레부(20)의 겹침 부분의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
다음으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200)의 겹침 부분의 위치 어긋남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비교예에 관련되는 기저귀를 착용한 경우의 모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기저귀에서는, 앞몸통 둘레부(30) 및 뒷몸통 둘레부(20)를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중심의 위치(중심선(AC))에서부터 타방측의 가로 단(30er)까지의 거리(L6)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중심의 위치(중심선(AC))에서부터 타방측의 가로 단(20er)까지의 거리(L8)(도 2 참조)와 같거나, 당해 거리(L8)보다도 길다(L6≥L8). 이 경우, 기저귀를 착용했을 때,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과의 겹침 부분의 영역이 커진다.
반 오픈 팬티형의 기저귀에서는, 가로 방향의 타방측(오픈측)에 있어서는, 걸림부(41)가 앞몸통 둘레부(30)의 타겟 영역(34)에 걸려 있을 뿐이기 때문에, 앞몸통 둘레부(30)에 있어서 걸림 부분보다도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부분(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단부와 겹치는 부분)에서는, 뒷몸통 둘레부(20)와 고정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자고 있는 아기(착용자)가 다리를 버둥거리는 것과 같은 경우, 아기의 다리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피부측에 위치하는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200)와 겹치는 부분(단부(300)를 포함하는 영역)이 비틀려 세로 방향으로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쉬워진다(도 6 참조). 또, 자고 있는 아기가 몸을 뒤척이는 등 하여 가로 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가 가로 방향의 일방측을 향하여 둥글게 말리기 쉬워진다. 그리고,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에 있어서,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와 겹치는 부분의 영역이 클수록, 당해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쉬워지고, 또한 위치 어긋남을 일으켰을 때의 어긋남 폭이 커져 버린다. 또, 도 6에서는,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전의 앞몸통 둘레부(30)의 상태(위치)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기저귀(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앞몸통 둘레부(30) 및 뒷몸통 둘레부(20)를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중심의 위치(중심선(AC))에서부터 타방측의 가로 단(30er)까지의 거리(L6)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중심의 위치(중심선(AC))에서부터 타방측의 가로 단(20er)까지의 거리(L8)보다도 짧기(L6<L8) 때문에(도 2 참조),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과의 겹침 부분의 영역이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위치 어긋남이 일어난 경우라도, 어긋남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피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걸림부(41)의 걸림 위치, 걸림 상태(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탄성 영역(X)의 위치, 및 걸림 상태(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접합부(2b)의 위치에 대해서, 도 5∼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걸림부(41)의 걸림 위치)
우선, 걸림부(41)의 걸림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기저귀(1)를 착용자에게 입혔을 때, 걸림부(41)의 가로 방향의 중심(41C)이 타겟 영역(34)의 가로 방향의 중심(34C)에 위치하도록, 걸림부(41)가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린다.
도 8은,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경우와 비교하여, 몸통 둘레 개구부(1HB)가 좁아지도록 걸림부(41)를 건 상태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타겟 영역(34)이 중심선(AC)보다도 일방측의 영역에도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걸림부(41)를 중심선(AC)보다도 일방측으로 어긋난 위치에 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뒷몸통 둘레부(20)와 앞몸통 둘레부(30)의 겹침 부분이 커지고, 그만큼, 몸통 둘레 개구부(1HB)를 작게 형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몸통 둘레 사이즈가 작은 착용자(영유아 등)에게 양호한 피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도 7∼도 9에서는, 걸림부(41)의 전체 영역이 타겟 영역(34)과 겹치도록 위치하고 있지만, 걸림을 행할 때에는 반드시 걸림부(41)의 전체 영역이 타겟 영역(34)과 겹칠 필요는 없고, 적어도 일부의 영역이 서로 중복하고 있으면 된다. 단, 걸림부(41)와 타겟 영역(34)의 중복 부분의 면적이 클수록 양자의 걸어맞춤이 강해지기 때문에, 걸림부(41)의 전체 영역이 타겟 영역(34)과 중복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A 및 도 9B는, 도 8과는 반대로, 몸통 둘레 개구부(1HB)가 넓어지도록 걸림부(41)를 건 상태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9A 및 도 9B에서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걸림부(41)의 제 2 접합부(2b)측의 단(41er)이,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제 1 접합부(1b)측과는 반대측)의 가로 단(10er)에 위치하도록, 걸림부(41)가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뒷몸통 둘레부(20)와 앞몸통 둘레부(30)의 겹침 부분이 작아지고, 그만큼, 몸통 둘레 개구부(1HB)를 크게 형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몸통 둘레 사이즈가 큰 착용자(영유아 등)에게 양호한 피트감을 부여할 수 있다.
단,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걸림 위치를 기준의 걸림 위치로 하여, 걸림부(41)의 제 2 접합부(2b)측의 단(41er)이 당해 걸림 위치, 또는 당해 걸림 위치보다도 가로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걸림부(41)가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앞몸통 둘레부(30)의 하단으로부터 걸림부(41)가 돌출한 상태에서, 걸림부(41)가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리는 것과 같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가령, 걸림부(41)의 제 2 접합부(2b)측의 단(41er)이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가로 단(10er)보다도 가로 방향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우, 강성을 갖는 걸림부(41)의 돌출 부분이 착용자의 다리에 닿아 착용자의 피부를 손상시켜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걸림부(41)의 제 2 접합부(2b)측의 단(41er)이 전술한 기준의 걸림 위치, 또는 기준의 걸림 위치보다도 가로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걸림부(41)의 돌출 부분은 흡수성 본체(10)에 겹치기 때문에, 당해 돌출 부분이 착용자의 다리에 닿아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8이나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41)의 가로 방향의 중심(41C)이 타겟 영역(34)의 가로 방향의 중심(34C)에 위치하도록, 반드시 걸림부(41)를 앞몸통 둘레부(30)에 걸 필요는 없다.
(걸림 상태에 있어서의 탄성 영역(X)의 위치)
다음으로, 걸림부(41)가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려 있는 상태(기저귀(1)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탄성 영역(X)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41)가 기준의 걸림 위치에서 걸려 있는 상태에서는, 탄성 영역(X)이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의 비피부측에 위치하고, 또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와 겹침 부분(도 9B에서 굵은 파선으로 나타낸다)을 갖는다. 또, 걸림부(41)가 기준의 걸림 위치보다도 가로 방향의 내측에서 걸려 있는 상태(도 7A 및 도 7B 그리고 도 8 참조)에 있어서도, 탄성 영역(X)이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의 비피부측에 위치하고, 또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와 겹침 부분(도 7B에서 굵은 파선으로 나타낸다)을 갖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200)가 탄성 영역(X)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인 아기가 다리를 버둥거리거나, 몸을 뒤척이거나 했을 때,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200)가 서로 미끄러져, 겹침 부분에 있어서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쉬워진다. 그러나, 기저귀(1)에서는,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가 탄성 영역(X)의 탄성력에 의해 착용자의 피부에 눌려지기 때문에, 앞몸통 둘레부(30)와 뒷몸통 둘레부(20)의 겹침 부분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여,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의 피트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는 신축성을 갖고 있지 않기(탄성 영역(Y)을 갖고 있지 않음) 때문에, 탄성 영역(X)의 탄성력이 작용했을 때,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하여 평면적으로 눌려지기 때문에, 피부에의 위화감이 억제되어 촉감이 양호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영역(X)의 세로 방향의 길이(H5)는,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200)의 세로 방향의 길이(H4)보다도 길기(H5>H4) 때문에, 세로 방향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200)를 탄성 영역(X)에 의해 덮을 수 있고,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200)의 세로 방향의 영역 전체에 탄성력이 작용함으로써, 앞몸통 둘레부(30)와 뒷몸통 둘레부(20)의 겹침 부분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걸림부(41)가 기준의 걸림 위치에서 걸려 있는 상태(도 9A 참조) 및 기준의 걸림 위치보다도 가로 방향의 내측의 위치에서 걸려 있는 상태(도 7A 및 도 8 참조)에서는, 탄성 영역(X)은,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와 겹치는 부분을 포함하여, 제 1 접합부(1b)보다도 전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저귀(1)의 오픈측에 있어서도, 탄성 영역(X)에 의한 탄성력이 작용하여 피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걸림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접합부(2b)의 위치)
다음으로, 걸림부(41)가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려 있는 상태(기저귀(1)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의 제 2 접합부(2b)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걸림부(41)를 기준의 걸림 위치에 건 상태(도 9A 참조), 및 기준의 걸림 위치보다도 가로 방향의 내측의 위치에서 건 상태(도 7A 및 도 8 참조)에 있어서, 제 2 접합부(2b)는 제 1 접합부(1b)의 위치보다도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도 7B 및 도 9B 참조).
착용자인 아기는,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을 향하여 배가 불룩 나와 있는 경우가 많고, 앞몸통 둘레부(30)는 착용자의 배의 불룩함에 의해 아래쪽 방향의 힘을 받는다(도 5B 및 도 5C에 나타내는 화살표 참조). 앞몸통 둘레부와 뒷몸통 둘레부가 접합되어 강성을 갖는 접합부는, 착용 시에 있어서 착용자의 양 옆구리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앞몸통 둘레부는 부드러운 부직포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 때문에 아래쪽으로 흘러내리기 쉬워,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기 쉽다.
그러나, 기저귀(1)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강성을 갖는 제 2 접합부(2b)가, 착용자의 오른쪽 옆구리에 위치하는 제 1 접합부(1b)보다도 전측(복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 2 접합부(2b)에 의해 착용자의 배의 불룩함을 지지할 수 있다(도 5C 참조). 이것에 의해, 착용자의 배의 불룩함에 의한 앞몸통 둘레부(30)의 아래쪽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어, 기저귀(1)의 장착성이 양호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접합부(2b)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200)에 있어서 세로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보다도 세로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배의 불룩함을 지지하는 「지지봉」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여, 착용자의 배의 불룩함에 의한 앞몸통 둘레부(30)의 아래쪽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접합부(2b)에 있어서 겹쳐져 있는 부재의 점수(4장)가, 앞몸통 둘레부(30)에 있어서 겹쳐져 있는 부재의 점수(2장)보다도 많다(도 3A 및 도 3C 참조). 이와 같이, 제 2 접합부(2b)에 있어서의 강성을 앞몸통 둘레부(30)에 있어서의 강성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제 2 접합부(2b)에 의해 착용자의 배의 불룩함을 보다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제 2 접합부(2b)나 앞몸통 둘레부(30)의 강성치로는, 예를 들면, 거얼리 강연도(Gurley stiffness)에 의해 측정된 값을 샘플 조각의 길이로 나눈 값을 예시할 수 있다. 거얼리 강연도의 측정은, (주)야스다 세이키 세이사쿠쇼 제조의 No 311의 거얼리식 유연도 시험기를 이용하고, JIS-L1096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또, 반드시, 제 2 접합부(2b)에 있어서의 부재의 점수를 앞몸통 둘레부(30)에 있어서의 부재의 점수보다도 많게 함으로써, 제 2 접합부(2b)에 있어서의 강성을 앞몸통 둘레부(30)에 있어서의 강성보다도 크게 할 필요는 없지만, 예를 들면 두께가 있는 부재로 변경하는 등의 방법을 취하지 않고 강성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중심의 위치(중심선(AC))에서부터 타방측의 가로 단(30er)까지의 거리(L6)가, 걸림 부재(40)의 가로 방향의 길이(L9)보다도 긴(L6>L9) 점 때문에(도 2 참조), 걸림 부재(40)의 가로 방향의 선단(제 2 접합부(2b)와는 반대측의 단)이 중심선(AC)에 위치하도록 걸림부(41)를 앞몸통 둘레부(30)에 건 경우에, 제 2 접합부(2b)가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부(300)와 겹치기 때문에, 강성이 높은 제 2 접합부(2b)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아, 촉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부(41)의 가로 방향의 중심(41C)이 타겟 영역(34)의 가로 방향의 중심(34C)에 위치하도록, 걸림부(41)가 앞몸통 둘레부(30)에 걸린 상태에 있어서, 제 2 접합부(2b)가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가로 단(10er)보다도 내측에 위치하고, 착용자의 다리 둘레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강성을 갖는 제 2 접합부(2b)가 착용자의 다리(피부)에 직접 닿기 어려워져, 기저귀(1)의 착용 시에 있어서 촉감이 양호해진다.
(변형예)
다음으로, 기저귀(1)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기저귀(1)는,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의 위치(중심선(AC))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의 위치(중심선(RC))가, 가로 방향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도 10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기저귀(1)를 전개하고, 착용자의 피부측에서 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1은 변형예에 관련되는 기저귀(1)의 탄성 영역(X) 및 탄성 영역(Y)에 대해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관련되는 기저귀(1)는,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의 위치(중심선(RC))가,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을 나타내는 중심선(AC)과는 다른 위치이며, 중심선(AC)보다도 가로 방향의 우측(타방측)에 거리(d) 만큼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가로 방향의 중심선(BC)은, 착용자가 한쪽 다리를 넣은 상태에 있어서의 신체의 대략 중심이 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당해 중심선(BC)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을 나타내는 중심선(RC)과 동일 위치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뒷몸통 둘레부(20)의 중심선(RC)과 흡수성 본체(10)의 중심선(AC) 사이의 거리(d)는, 전술한 탄성 영역(X)에 있어서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거리(L4)와 일방측의 거리(L3)와의 차이보다도 작다(d<L4-L3). 또, 당해 거리(d)의 2배의 길이(2d)가, 당해 타방측의 거리(L4)와 당해 일방측의 거리(L3)와의 차이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2d≤L4-L3), 가장 바람직하게는, 당해 거리(d)의 2배의 길이와, 당해 타방측의 거리(L4)와 당해 일방측의 거리(L3)와의 차이가 같은 경우이다(2d=L4-L3).
또,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가로 단(20er)의 세로 방향의 길이(H1)는, 흡수성 본체(10)의 길이 방향의 일단부(10a)(제 1 영역)의 하단에서부터 타단부(10b)(제 2 영역)의 하단까지의 길이(H3)의 절반보다도 작다(H1<H3/2).
전술한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기저귀(1)와 같이, 탄성 영역(X)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단(Xe1)에서부터 흡수성 본체(10)의 중심선(AC)까지의 거리(L3)와, 타방측의 단(Xe2)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거리(L4)를 동일 길이로 하면, 걸림 부재(40)를 끌어당김으로써 뒷몸통 둘레부(20)가 가로 방향으로 신장하여, 흡수체(10)가 가로 방향의 타방측으로 움직여 버려, 착용자의 신체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흡수성 본체(10)가 어긋나 버려, 배설물이 누설되어 버리거나,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기저귀(1)에서는, 착용자의 신체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이 어긋나 버리는 것을 미리 예측하여, 탄성 영역(X)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단(Xe1)에서부터 흡수성 본체(10)의 중심선(AC)까지의 거리(L3)를,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단(Xe2)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거리(L4)보다도 짧게 했다(L3<L4). 이것에 의해, 걸림 부재(40)를 가로 방향의 타방측으로 끌어당겨, 걸림부(41)를 앞몸통 둘레부(30)에 걸어 착용 상태의 기저귀(1)로 변형시켰을 때, 뒷몸통 둘레부(20)가 가로 방향으로 신장하여 흡수성 본체(10)가 가로 방향의 타방측(왼쪽 다리측)으로 이동하지만, 중심선(AC)이 중심 선(BC)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10)를 착용자의 신체의 중심에 가까이 댈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에 관련되는 기저귀(1)는, 탄성 영역(X)의 가로 방향의 일방측의 단(Xe1)에서부터 흡수성 본체(10)의 중심선(AC)까지의 거리(L3)를, 타방측의 단(Xe2)에서부터 중심선(AC)까지의 거리(L4)와 다른 길이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방측의 거리(L3)를 일방측의 다리(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른쪽 다리)의 크기에 따른 다리 둘레 개구부(1HL)에 적합한 길이로 설정하여 일방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HL)의 피트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걸림부(41)의 걸림에 의해 타방측의 다리(본 실시형태에서는 왼쪽 다리)의 다리 둘레 개구부(1HL)를 조정하여 타방측의 다리 둘레 개구부(1HL)의 피트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가로 방향에 있어서, 뒷몸통 둘레부(20)의 중심선(RC)에서부터 흡수성 본체(10)의 중심선(AC)까지의 거리(d)를, 탄성 영역(X)의 타방측의 단(Xe2)과 중심선(AC)의 거리(L4)와, 탄성 영역(X)의 일방측의 단(Xe1)과 중심선(AC)의 거리(L3)와의 차이보다도 작게 함으로써(d<L4-L3), 걸림부(41)를 앞몸통 둘레부(30)에 걸 때에,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중앙(중심선(AC))과, 사람의 신체의 대략 중심(중심선(BC))이 어긋나 버릴 우려를 보다 경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람의 신체의 대략 중심 위치를 나타내는 중심선(BC)과,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중앙을 나타내는 중심선(RC)을 동위치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람의 신체의 크기나, 각 부재의 치수, 탄성 부재의 신축력 등에 따라 중심선(BC)의 위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중심선(BC)의 위치가 중심선(RC)과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앞몸통 둘레부(30) 중, 뒷몸통 둘레부(20)나 걸림 부재(40)가 겹쳐지는 영역은, 실고무(33)의 신축력이 발휘되지 않기 때문에, 각 실고무(23)와 각 실고무(33)가 동일 신축력을 갖고 있는 경우, 사람의 신체의 대략 중심을 나타내는 중심선(BC)과,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의 중앙을 나타내는 중심선(RC)을 동일 위치에 설치하고, 거리(d)의 2배의 길이와, 거리(L4)와 거리(L3)와의 차이를 동일하게 한 경우(2d=L4-L3)가, 실고무(23, 33)에 의한 몸통 둘레 개구부(1HB)를 알맞게 피트시킬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위치 관계가 될 수 있다.
또한, 뒷몸통 둘레부(20), 앞몸통 둘레부(30) 및 흡수성 본체(10)는 각각 별체이고, 흡수성 본체(10)의 전후 방향의 후측에, 뒷몸통 둘레부(20)에 겹쳐진 일단부(10a)가 설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10)의 전후 방향의 전측에, 앞몸통 둘레부(30)에 겹쳐진 타단부(10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일단부(10a)의 하단에서부터 타단부(10b)의 하단까지의 흡수성 본체(10)의 길이(H3)의 절반보다, 뒷몸통 둘레부(20)의 타방측의 가로 단(20er)의 길이(H1) 쪽이 작다(H3/2>H1). 일단부(10a)의 하단에서부터 타단부(10b)의 하단까지의 흡수성 본체(10)의 길이(H3)를 비교적 길게 하여, 각 다리 둘레 개구부(1HL)를 다리의 크기에 따른 길이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뒷몸통 둘레부(20)의 타방측의 단(20e)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걸림 시에 걸림 부재(40)를 끌어당긴 힘을 뒷몸통 둘레부(20)에 전달하기 쉬워지므로, 보다 장착시키기 쉬워진다.
또한, 가로 방향에 있어서, 뒷몸통 둘레부(20)의 상단부에 있어서의 탄성 영역(X)은, 적어도 흡수성 본체(10)의 일단에서부터 타단에 걸쳐 연속해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부(41)를 앞몸통 둘레부(30)에 걸 때에,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10)의 중앙(중심선(AC))과, 착용자의 고간의 중앙(중심선(BC))이 어긋날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 기타 ===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여 해석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는 동시에, 본 발명에는 그 등가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여러 가지 양태를 설명했지만, 적어도, 앞몸통 둘레부(30) 및 뒷몸통 둘레부(20)를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앞몸통 둘레부(30)의 가로 방향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의 위치(중심선(AC))에서부터 타방측의 가로 단(30er)까지의 거리(L6)가, 뒷몸통 둘레부(20)의 가로 방향에서의,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의 위치(중심선(AC))에서부터 타방측의 가로 단(20er)까지의 거리(L8)보다도 짧은 구성이면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기저귀(1)의 피트성을 확보하기 위한 탄성 영역(X)을 설치했지만, 당해 탄성 영역(X)은, 예를 들면 뒷몸통 둘레부(20)의 상단부에만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어도, 기저귀(1)에 필요한 몸통 둘레 개구부(1HB)의 피트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타겟 영역(34)은, 앞몸통 둘레부(30)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중심의 위치(중심선(AC))에서부터 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가로 단(10er)의 위치까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부(41)의 걸림 위치의 허용 범위(흡수성 본체(10)의 가로 방향의 타방측의 가로 단(10er)의 위치보다도 내측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면 타겟 영역(34)의 크기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복수의 실고무(23, 33)에 의해 탄성 영역(X, Y)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앞몸통 둘레부(30)나 뒷몸통 둘레부(20)를 형성하는 부직포가 가로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신축성의 부직포 등으로 탄성 영역(X, Y)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소위 3피스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1)를 예시했지만, 조금도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뒷몸통 둘레부와 앞몸통 둘레부를 가랑이 아래를 개재하여 일체화한 외장 시트를 제 1 부품, 외장 시트의 피부측 면에 고정되는 흡수성 본체를 제 2 부품으로서 갖는 2피스 타입의 일회용 기저귀여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타겟 영역(34)이 루프를 갖고, 걸림부(41)가 후크를 가지며, 루프에 후크가 걸림으로써 타겟 영역(34)에 걸림부(41)를 거는 예에 대해서 설명되어 있지만, 타겟 영역(34) 및 걸림부(41)의 구성은, 각각 상술의 예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타겟 영역(34) 및 걸림부(41) 중 적어도 한쪽의 표면에 점착성을 갖는 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당해 점착성의 부재를 다른 쪽의 표면에 붙임으로써, 양자가 걸리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착용 시에 있어서, 걸림 부재(40)가 뒷몸통 둘레부(20)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한 상태를 설명했지만, 일회용 기저귀(1)가 제조된 상태에서 걸림 부재(40)가 접혀 있어도 되고, 걸림 부재(40)가 앞몸통 둘레부(30)와 미싱눈 등으로 임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뒷몸통 둘레부(20) 및 앞몸통 둘레부(30)에 대해서, 흡수체(11)와 겹치는 영역은 실고무(23, 33)를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수체(11)와 겹치는 영역에 실고무(23, 33)를 설치해도 된다. 흡수체(11)와 겹치는 영역에 실고무(23, 33)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흡수체(11)가 실고무(23, 33)의 신축에 의해 변형될 우려를 경감할 수 있다. 한편, 흡수체(11)와 겹치는 영역에 실고무(23, 33)를 설치함으로써, 신축력에 의해, 흡수성 본체(10)를 보다 피트시킬 수 있다.
1: 기저귀(흡수성 물품) 1b: 제 1 접합부
2b: 제 2 접합부 10: 흡수성 본체(가랑이 아래부)
20: 뒷몸통 둘레부 30: 앞몸통 둘레부
40: 걸림 부재 41: 걸림부
200, 300: 타방측의 단부 X, Y: 탄성 영역

Claims (8)

  1. 세로 방향과, 상기 세로 방향과 교차하는 가로 방향과, 상기 세로 방향 및 상기 가로 방향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을 갖고,
    상기 가로 방향을 따른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가로 방향을 따른 뒷몸통 둘레부와,
    상기 앞몸통 둘레부와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사이에 설치된 가랑이 아래부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 및 상기 뒷몸통 둘레부는, 상기 가로 방향을 따른 탄성 영역을 가지며,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일방측의 단부와,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일방측의 단부는 제 1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타방측의 단부는, 착용 시에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걸림 가능한 걸림부를 갖는 걸림 부재와 제 2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앞몸통 둘레부 및 상기 뒷몸통 둘레부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타방측의 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타방측의 단까지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 및 상기 뒷몸통 둘레부를 상기 가로 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중심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타방측의 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걸림 부재의 상기 가로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상기 탄성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 2 접합부측의 단이,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상기 제 1 접합부와는 반대측의 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상기 걸림부를 건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에 배치된 상기 탄성 영역은, 상기 가로 방향에서의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의 비피부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와 겹침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는, 신축성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 2 접합부측의 단이,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상기 제 1 접합부와는 반대측의 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상기 걸림부를 건 상태에 있어서,
    상기 뒷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 영역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는, 상기 앞몸통 둘레부의 상기 타방측의 단부의 상기 세로 방향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방향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기 제 2 접합부측의 단이, 상기 가랑이 아래부의 상기 제 1 접합부와는 반대측의 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상기 걸림부를 건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합부는, 상기 제 1 접합부의 위치보다도 전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합부에 있어서의 강성은,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있어서의 강성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합부에 있어서 겹쳐져 있는 부재의 점수는, 상기 앞몸통 둘레부에 있어서 겹쳐져 있는 부재의 점수보다도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87019432A 2015-12-28 2016-10-18 흡수성 물품 KR102639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6837 2015-12-28
JP2015256837A JP6427484B2 (ja) 2015-12-28 2015-12-28 吸収性物品
PCT/JP2016/080800 WO2017115529A1 (ja) 2015-12-28 2016-10-18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288A true KR20180098288A (ko) 2018-09-03
KR102639743B1 KR102639743B1 (ko) 2024-02-23

Family

ID=59224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432A KR102639743B1 (ko) 2015-12-28 2016-10-18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298271B2 (ko)
EP (1) EP3372210B1 (ko)
JP (1) JP6427484B2 (ko)
KR (1) KR102639743B1 (ko)
CN (1) CN108472173B (ko)
AU (1) AU2016381718B2 (ko)
BR (1) BR112018012431B1 (ko)
EA (1) EA037833B1 (ko)
TW (1) TWI738691B (ko)
WO (1) WO20171155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57105A (ja) * 2021-03-31 2022-10-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826U (ko) * 1990-05-01 1992-01-20
JP2000027004A (ja) * 1998-07-06 2000-01-25 Shiseido Co Ltd 吸収性物品
JP2006158472A (ja) * 2004-12-03 2006-06-22 Kikumi Saito 紙おむつ
JP2008104874A (ja) * 2006-09-29 2008-05-08 Daio Paper Corp 紙おむつ及びその製造における外装シート部分の形成方法
WO2014208781A2 (ja) * 2013-10-04 2014-12-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90110A (en) * 1941-05-02 1942-07-14 William F Mcgraw Baby sanitary diaper
MY106077A (en) * 1990-05-09 1995-03-31 Kao Corp Disposable diapers.
US5368585A (en) * 1992-04-07 1994-11-29 Dokken; Glenda K. Reusable diaper and cover combination
JPH0663077A (ja) 1992-08-18 1994-03-08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US5593401A (en) * 1994-08-03 1997-01-14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with bridge flap
US6454752B1 (en) * 2000-03-17 2002-09-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e-fastened adjustable mechanical fastener garment
MY146975A (en) * 2005-04-11 2012-10-15 Oji Nepia Co Ltd Disposable pant-type diaper
DE202006003740U1 (de) * 2006-03-09 2006-06-01 Wiesner, Frank Inkontinenzwäsche
US7857801B2 (en) * 2007-03-23 2010-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aper having deployable chassis ears and stretch waistband
JP5328203B2 (ja) 2008-03-31 2013-10-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吸収性着用物品
DE102009049463A1 (de) * 2009-10-15 2011-04-21 Paul Hartmann Ag Fixier-und Tragevorrichtung für eine wegwerfbare absorbierende Inkontinenzvorlage
EP2359789A3 (en) * 2010-02-16 2014-01-22 Irene Ronström A reusable diaper
JP5658926B2 (ja) 2010-06-30 2015-01-2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75287B2 (ja) * 2015-12-28 2018-08-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12861B2 (ja) * 2015-12-28 2018-10-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02092B2 (ja) * 2015-12-28 2018-10-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102016102684A1 (de) * 2016-02-16 2017-08-17 Paul Hartmann Ag Inkontinenzwegwerfwinde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826U (ko) * 1990-05-01 1992-01-20
JPH0717304Y2 (ja) * 1990-05-01 1995-04-26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0027004A (ja) * 1998-07-06 2000-01-25 Shiseido Co Ltd 吸収性物品
JP2006158472A (ja) * 2004-12-03 2006-06-22 Kikumi Saito 紙おむつ
JP2008104874A (ja) * 2006-09-29 2008-05-08 Daio Paper Corp 紙おむつ及びその製造における外装シート部分の形成方法
WO2014208781A2 (ja) * 2013-10-04 2014-12-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국 실개평4-5826호 공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201891180A1 (ru) 2019-02-28
WO2017115529A1 (ja) 2017-07-06
KR102639743B1 (ko) 2024-02-23
CN108472173A (zh) 2018-08-31
EP3372210A4 (en) 2018-12-26
TWI738691B (zh) 2021-09-11
AU2016381718A1 (en) 2018-06-28
TW201733545A (zh) 2017-10-01
AU2016381718B2 (en) 2021-06-10
BR112018012431B1 (pt) 2023-01-31
JP6427484B2 (ja) 2018-11-21
EA037833B1 (ru) 2021-05-26
BR112018012431A2 (pt) 2018-12-18
US20190008702A1 (en) 2019-01-10
EP3372210A1 (en) 2018-09-12
EP3372210B1 (en) 2020-01-01
JP2017118971A (ja) 2017-07-06
US11298271B2 (en) 2022-04-12
CN108472173B (zh) 202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2211B1 (en) Absorbent article
CN108463199B (zh) 吸收性物品
KR20170039206A (ko) 흡수성 물품
JP6402092B2 (ja) 吸収性物品
KR20180098288A (ko) 흡수성 물품
JP6375287B2 (ja) 吸収性物品
TWI660717B (zh) 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