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837A -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837A
KR20180097837A KR1020170024498A KR20170024498A KR20180097837A KR 20180097837 A KR20180097837 A KR 20180097837A KR 1020170024498 A KR1020170024498 A KR 1020170024498A KR 20170024498 A KR20170024498 A KR 20170024498A KR 20180097837 A KR20180097837 A KR 20180097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rack bar
support member
housing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24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837A/ko
Publication of KR20180097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8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3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pressure yo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16H55/2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랙하우징 내측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며, 전방에 피니언샤프트가 치합되는 랙바, 내측에 지지홀이 형성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랙하우징 내측에 결합되며 지지홀을 랙바가 관통하여 랙하우징과 랙바 사이를 지지하되, 랙바와 피니언샤프트가 안정적으로 치합되도록 랙바를 피니언샤프트 쪽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랙바를 피니언샤프트 쪽으로 지지해주며 랙바가 벤딩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Rack 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랙하우징과 랙바 사이에 랙바를 전방으로 지지해주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유격이 감소되며 기어의 마모에 의한 백래쉬의 증대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종래 랙바와 피니언샤프트의 유격을 보상하던 서포트요크, 탄성부재, 요크플러그 등의 별도 부품들을 삭제할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차량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임의로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차량을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종래 랙과 피니언 방식의 기어 하우징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조향장치(100)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조향휠(102)과 이에 연결된 조향축(104), 그리고 조향축(104)이 차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 조향 컬럼(106), 조향축(104)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랙 기어(108)와 피니언 기어(110)가 포함된 기어 하우징(120), 양단부에 이너 볼 조인트(130)가 구비된 랙바(140), 기어 하우징(120)의 양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랙바(14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작동 실린더(150), 이너 볼 조인트(130)의 볼과 일체로 형성된 타이로드(160) 및 타이로드(160)의 끝단에 구비된 아우터 볼 조인트(170), 아우터 볼 조인트(170)는 타이어(180)의 너클(Knuckle, 1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랙 피니언 방식의 기어 하우징(120)은 조향 축(104)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피니언 기어(110)를 통해서 랙바(140)에 전달하도록 구비된 피니언축(210), 피니언 기어(110)와 이물림되는 랙 기어(108)가 형성되어 피니언 기어(110)를 통해 전달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비된 랙바(140), 랙바(140)와 피니언축(210)의 유격을 감소시켜 원활하게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비된 서포트 요크(220), 서포트 요크(220)의 후방에 구비된 탄성부재(230) 및 탄성부재(230)을 지지하며 서포트 요크(220)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비된 요크 플러그(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랙과 피니언 기어 방식의 기어 하우징(1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조향축(104)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피니언축(210)은 조향축(104)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랙바(140)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피니언축(210)은 조향축과 연결되어 있으며, 피니언축(210)의 종단부에는 랙 기어(108)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110)가 형성되어 있다.
랙바(140)는 피니언축(210)과 치합되어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도록 구비된다.
랙바(140)는 자동차의 전륜 사이를 가로지르는 봉 형태로, 양 끝단에 이너 볼 조인트(130)가 구비되며, 양측의 이너 볼 조인트(130)사이에는 피니언 기어(110)와 치합되는 랙 기어(108)가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 요크(220)는 랙바(140)와 피니언축(210)의 유격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원활하게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서포트 요크(220)는 랙바(140)의 후방면인 랙 기어(108)가 형성된 면과 반대 측에 위치하며, 원통형 실린더(170)가 형성된 기어 하우징(120)에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서포트 요크(220)의 형상은 기어 하우징(120)의 실린더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원통형이며, 랙바(140)와 접하는 전방부는 랙바(140)의 후방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랙바(140)와 피니언축(210)이 밀착되어 동력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서포트 요크(220)의 후방에 탄성부재(230)를 배치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서포트 요크(220)를 밀어주어 랙바(140)와 피니언축(210)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보상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서포트 요크(220)는 랙바(140)의 후방면과 슬라이딩 마찰을 하게 되며, 마찰로 인해 랙바(140)가 마모되거나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랙바(140)보다 연성 재질인 플라스틱 재질의 서포트 요크(220)를 사용하게 된다.
탄성부재(230)는 랙바(140)와 피니언축(210)의 유격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원활하게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서포트 요크(220)에 압력을 가하는 기능을 하는 데 일반적으로 코일 스프링이 사용된다.
요크 플러그(240)는 탄성부재(230)를 지지하여 서포트 요크(220)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비된다.
요크 플러그(240)는 통상 수나사형 나사산이 형성되어 암나사형 나사산이 형성된 기어 하우징(120)에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요크 플러그(240)의 후면에는 렌치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요크 플러그(240)를 결합할 때 또는 랙바(140)와 피니언축(210)의 유격이 발생하였을 때에 요크 플러그(240)를 렌치로 조임으로써 탄성부재(23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서포트 요크(220)에 탄성부재(230)로 압력을 가하여 랙바(140)와 피니언축(210)의 유격을 보상하던 구조는 서포트 요크(220) 탄성부재(230) 요크 플러그(240) 등 개별적으로 된 부품을 기어 하우징(120)에 결합해야 하므로, 다량의 부품 사용에 따른 원가 상승과, 작업공정 증가로 인한 생산성 저하 등이 그 문제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랙하우징과 랙바 사이에 랙바를 전방으로 지지해주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유격이 감소되며 기어의 마모에 의한 백래쉬의 증대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종래 랙바와 피니언샤프트의 유격을 보상하던 서포트요크, 탄성부재, 요크플러그 등의 별도 부품들을 삭제할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작업공정 단축으로 인해 경쟁력이 높은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지부재로 인해 랙바를 전방으로 지지해주는 동시에 지지부재 내측을 랙바가 관통하여 좌우 슬라이딩되어 랙바가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랙하우징 내측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며, 전방에 피니언샤프트가 치합되는 랙바, 내측에 지지홀이 형성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랙하우징 내측에 결합되며 지지홀을 랙바가 관통하여 랙하우징과 랙바 사이를 지지하되, 랙바와 피니언샤프트가 안정적으로 치합되도록 랙바를 피니언샤프트 쪽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랙하우징과 랙바 사이에 랙바를 전방으로 지지해주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유격이 감소되며 기어의 마모에 의한 백래쉬의 증대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종래 랙바와 피니언샤프트의 유격을 보상하던 서포트요크, 탄성부재, 요크플러그 등의 별도 부품들을 삭제할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작업공정 단축으로 인해 경쟁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로 인해 랙바를 전방으로 지지해주는 동시에 랙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는 랙바를 지지해주어 랙바가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자동차 조향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랙과 피니언 방식의 기어 하우징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랙바의 반경방향으로 잘린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랙바의 축방향으로 잘린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랙바의 반경방향으로 잘린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랙바의 반경방향으로 잘린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랙바의 축방향으로 잘린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랙바의 반경방향으로 잘린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는 랙하우징(630) 내측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며, 전방에 피니언샤프트(301)가 치합되는 랙바(305), 내측에 지지홀(311)이 형성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랙하우징(630) 내측에 결합되며 지지홀(311)을 랙바(305)가 관통하여 랙하우징(630)과 랙바(305) 사이를 지지하되, 랙바(305)와 피니언샤프트(301)가 안정적으로 치합되도록 랙바(305)를 피니언샤프트(301) 쪽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310)를 포함한다.
피니언샤프트(301)는 일측이 조향축과 연결되고, 피니언기어(303)가 형성되어 랙기어(307)와 치합되며, 조향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랙바(305)에 전달하여 랙바(305)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킨다.
랙바(305)는 자동차의 전륜 사이를 가로지르는 봉 형태로, 양 끝단에 이너 볼 조인트가 구비되고, 양측 이너 볼 조인트사이에는 피니언기어(303)와 치합되는 랙기어(307)가 형성되어 피니언샤프트(301)의 회전 운동을 전달받아 좌우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러한 랙바(305)는 랙하우징(630) 내측에 후술할 지지부재(310)를 매개로 결합되어 구비되며, 지지부재(310)는 랙바(305)를 피니언샤프트(301) 쪽으로 탄성지지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랙바(305)의 피니언샤프트(301)와 치합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그 반대방향을 후방으로 지정하여 설명하며, 랙바(305)의 랙기어(307)가 형성된 면을 전방면, 그 반대쪽 면을 후방면으로 지정하여 설명한다.
지지부재(310)는 랙바(305)가 관통하도록 지지홀(311)이 형성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며, 랙하우징(630) 내측에 결합되어 랙바(305)가 벤딩되지 않도록 지지해주고 랙바(305)를 전방으로 지지해주며 아래에 자세하게 후술한다.
지지부재(310)는 외주면이 랙하우징(630) 내측에 결합되며 지지홀(311)에 랙바(305)가 결합되어 랙하우징(630)과 랙바(305) 사이를 지지하며, 특히 랙바(305)의 좌우 슬라이딩시 랙바(305)를 지지해주어 랙바(305)가 벤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지지부재(310)는 랙하우징(630)에 압축되어 결합되거나 후술할 탄성부재(350)를 매개로 결합되어 축방향 위치가 고정되며, 지지부재(310) 내측에서 랙바(305)가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랙바(305)가 벤딩되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또한, 지지부재(310)가 랙바(305)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도록, 지지부재(310)는 지지홀(311)에서 외주면까지의 반경방향 거리인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며, 지지부재(310)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이 랙바(305)의 후방면을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재(310)는 랙하우징(630)과 랙바(305)의 후방 사이에 결합되는 부분의 두께가 랙하우징(630)과 랙바(305)의 전방 사이에 결합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이로인해 랙바(305)가 랙하우징(630) 내측에서 전방으로 치우쳐 결합되어 랙기어(307)와 피니언기어(303)의 유격이 감소되고 기어의 마모에 의한 백래쉬의 증대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가 감소된다.
다시 말해서, 지지부재(310)는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이 랙바(305)의 후방과 랙하우징(630) 사이에 위치되게 결합되며, 지지부재(310)가 랙하우징(630)에 결합되면서 두꼐가 두꺼운 부분의 외측이 압축되거나 랙바(305)에 피니언샤프트(301)가 치합되면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의 내측이 압축되어 지지부재(310)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이 랙바(305)의 후방면을 전방으로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지지부재(31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며, 랙하우징(630) 및 랙바(305)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지지부재(310)에 지지홀(311)이 편심되어 형성되며 지지부재(310)의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랙바(305)의 후방과 랙하우징(630) 사이에 위치되도록 결합된다.
단면도인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랙하우징(630)의 내주면과 랙바(305)의 외주면이 정원으로 형성되며, 지지부재(310)의 외주면과 지지홀(311)도 정원으로 형성되는데 지지부재(310)에 지지홀(311)이 소정 편심량(a)만큼 편심되어 형성되어 지지부재(310)의 두께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재(310)의 외주면과 지지홀(311)이 정원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310)의 가공 및 제작이 용이하며, 랙하우징(630), 지지부재(310), 랙바(305)의 결합이 용이하고, 랙하우징(630)과 지지부재(310) 사이에 유격이 없어 지지부재(310)가 랙바(305)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재(310)는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310a)이 랙바(305)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결합되어 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게 구비되며 랙바(305)의 후방면에 전방으로 탄성지지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지부재(310)가 후방쪽에 위치될수록 두께가 두껍게 형성됨으로 인해 랙하우징(630)에 조립시 지지부재(310)의 후방이 압축되거나 랙하우징(630)에 지지부재(310)가 결합된 후 랙바(305)가 피니언샤프트(301)와 치합되기 위해 랙하우징(630)의 중심으로 이동하면서 지지부재(310)를 변형시킴에 따라, 지지부재(310)의 후방이 랙바(305)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여 랙기어(307)와 피니언기어(303)의 유격이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지지부재(310)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되 지지홀(311)이 편심지게 형성되며 지지부재(310)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부분(310a)이 랙바(305)의 후방면을 지지하도록 결합됨에 따라, 랙바(305)가 벤딩되지 않도록 지지하며 랙바(305)의 후방면을 전방으로 탄성지지한다.
여기서 도 6은 지지홀(311)이 지지부재(310)에 소정 편심량(a)만큼 편심지게 형성된 것을 보여주기 위해 편심되는 정도를 과장하여 도시하였으나, 랙바(305) 및 피니언샤프트(301)의 조립을 위해 편심량은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랙바(305)와 피니언샤프트(301)의 치합부위 또는 그 주변 부품으로부터 지지부재(310)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지지부재(310)와 랙하우징(630) 사이에는 링형상의 탄성부재(350)가 구비된다.
이러한 탄성부재(35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지지부재(310)의 외주면과 랙하우징(630)의 내주면 중 어느 한쪽면에는 요홈 형상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는 그루브(715)가 구비되며, 탄성부재(350)가 그루브(715)에 삽입되어 축방향 위치가 고정된다.
또한, 탄성부재(350)는 랙바(305)의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어 지지부재(310)의 진동을 저감시키며 지지부재(310)가 랙하우징(6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이어서 지지부재(310)에는 랙바(305)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도록 일측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간섭방지홈(313)이 구비되며 지지부재(310)가 피니언샤프트(301)와 치합되는 부분의 반대편에 가깝게 위치하여도 피니언샤프트(301)가 간섭방지홈(313)에 일부 삽입되어 지지부재(310)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310)에 간섭방지홈(313)이 형성되어 지지부재(310)가 피니언샤프트(30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310)가 랙바(305)의 피니언샤프트(301)와 치합되는 위치와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되어 랙바(305)를 전방으로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310)는 랙바(305)의 피니언샤프트(301)와 치합되는 부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랙바(305)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재(310)의 각각에는 간섭방지홈(313)이 형성되어 피니언샤프트(301)와 충돌을 방지하면서 랙바(305)의 피니언샤프트(301)와 치합되는 위치와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지지부재(310)는 랙하우징(630) 내측에 삽입되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부재(310)의 후방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17)가 형성되며, 랙하우징(630)의 내주면에서 함몰되어 돌출부(817)가 결합되는 삽입홈(831)이 형성된다.
또한, 도면에는 지지부재(310)의 후방면에 돌출부(817)가 형성되며 랙하우징(630)의 내주면에 삽입홈(831)이 형성되는 예로 도시되어 있으나, 랙하우징(630)의 내주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817)가 형성되며 지지부재(310)의 후방면에서 함몰되어 돌출부(817)가 결합되는 삽입홈(8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랙하우징과 랙바 사이에 랙바를 전방으로 지지해주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랙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유격이 감소되며 기어의 마모에 의한 백래쉬의 증대로 발생되는 래틀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고, 종래 랙바와 피니언샤프트의 유격을 보상하던 서포트요크, 탄성부재, 요크플러그 등의 별도 부품들을 삭제할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작업공정 단축으로 인해 경쟁력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지지부재로 인해 랙바를 전방으로 지지해주는 동시에 랙하우징 내측에 구비되는 랙바를 지지해주어 랙바가 벤딩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1: 피니언샤프트 303: 피니언기어
305: 랙바 307: 랙기어
310: 지지부재 313: 간섭방지홈
350: 탄성부재 311: 지지홀
630: 랙하우징 715: 그루브
817: 돌출부 831: 삽입홈

Claims (6)

  1. 랙하우징 내측에서 좌우로 슬라이딩하며, 전방에 피니언샤프트가 치합되는 랙바; 및
    내측에 지지홀이 형성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랙하우징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홀을 상기 랙바가 관통하여 상기 랙하우징과 랙바 사이를 지지하되, 상기 랙바와 피니언샤프트가 안정적으로 치합되도록 상기 랙바를 상기 피니언샤프트 쪽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랙바를 전방으로 탄성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랙하우징과 랙바의 후방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의 두께가 상기 랙하우징과 랙바의 전방 사이에 위치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지지홀이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랙하우징 사이에는 링형상의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랙바의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후방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랙하우징의 내주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돌출부가 결합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랙과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KR1020170024498A 2017-02-24 2017-02-24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KR201800978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98A KR20180097837A (ko) 2017-02-24 2017-02-24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498A KR20180097837A (ko) 2017-02-24 2017-02-24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837A true KR20180097837A (ko) 2018-09-03

Family

ID=6360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498A KR20180097837A (ko) 2017-02-24 2017-02-24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8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65420B2 (ja) ラックピニオン方式操向装置のサポートヨーク自動間隙補償装置
US20120318086A1 (en) Rack bar supporting device of vehicle steering apparatus
KR20110136474A (ko)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JP2007255546A (ja) 伸縮軸及び伸縮軸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装置
WO2016002912A1 (ja) 伸縮式回転伝達軸
KR100861544B1 (ko)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JP200807421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8984978B2 (en) Elastic support module and rack bar supporting device for vehicle steer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7255639A (ja) 伸縮軸及びこれを使用した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944715B1 (ko) 리드 스크류 조립체, 그리고 이를 이용한 후륜 조향 장치
KR101921575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80097837A (ko)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KR101858391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189304B1 (ko) 랙바 지지장치
KR101764934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827589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786399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 서포트 장치
JP2009275897A (ja) 伸縮軸及び伸縮軸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788966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60094022A (ko)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JP2009113730A (ja) 車両の後輪操舵装置
KR20130053180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251213B1 (ko)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어셈블리
KR101759757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1415434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동차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