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6474A -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 Google Patents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6474A
KR20110136474A KR1020100056518A KR20100056518A KR20110136474A KR 20110136474 A KR20110136474 A KR 20110136474A KR 1020100056518 A KR1020100056518 A KR 1020100056518A KR 20100056518 A KR20100056518 A KR 20100056518A KR 20110136474 A KR20110136474 A KR 20110136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yoke
rack
support
support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0005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36474A/ko
Priority to US13/109,362 priority patent/US8887590B2/en
Priority to CN 201110131112 priority patent/CN102285371B/zh
Publication of KR2011013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3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pressure yo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26Racks
    • F16H55/28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 F16H55/283Special devices for taking up backlash using pressure yo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23Backlash take-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642Directly cooperating gears
    • Y10T74/1967Rack and pin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랙바에 형성된 랙기어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랙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중공의 요크실린더, 요크실린더의 내부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측에 랙바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홈이 형성된 서포트요크, 요크실린더의 내부에서 서포트요크의 타측에 접하여 설치되고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스페이서 조립체, 및 스페이서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요크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는 요크플러그를 포함하여서, 랙바와 서포트요크 사이의 마모로 인해 발행하는 유격을 자동으로 보상함과 동시에 랙바를 통해 충격이 역입력되더라도 서포트요크와 요크플러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Description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Automatic clearance compensator of support york in rack-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내구에 의해 서포트요크에서 발생하는 유격을 별도의 조정 작업 없이 자동으로 보상하도록 된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향장치는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운전자의 의지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동차의 앞바퀴가 선회하는 회전 중심을 변경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차를 진행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에 구비된 기어박스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용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는 운전석에 배치되는 조향휠(100)과 이에 연결된 조향축(105), 그리고 조향축(105)을 차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컬럼(103), 조향축(105)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랙기어(110)와 피니언기어(120)를 포함하는 기어박스(130), 양단부에 이너볼조인트(145)를 구비한 랙바(140), 이너볼조인트(145)의 볼과 일체로 형성된 타이로드(150), 및 타이로드(150)의 끝단에 구비된 아우터볼조인트(1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타이로드(150)는 아우터볼조인트(155)를 매개로 타이어(160)의 너클(165)과 연결된다. 미설명된 부호 170은 랙바(140)를 수용하는 랙하우징이다.
도 2에서처럼 종래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에 구비된 기어박스(130)는 피니언샤프트(220), 랙바(140), 서포트요크(230), 스프링(235), 요크플러그(240), 및 랙하우징(170)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기어박스(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향축(105: 도 1 참조)으로부터 입력받은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피니언샤프트(220)는 조향축(105)과 연결된 입력축(21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랙바(140)에 전달한다. 피니언샤프트(220)는 토션바(215)를 통하여 입력축(210)과 연결되어 있으며, 피니언샤프트(220)의 종단부에는 랙바(140)의 랙기어(110: 도 1 참조)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20)가 형성되어 있다.
랙바(140)는 피니언샤프트(220)와 상호작용하여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전환한다. 랙바(140)는 자동차의 전륜 사이를 가로지르는 봉 형태로, 양단부에 이너볼조인트(145)를 포함하고 있으며, 양쪽 이너볼조인트(145) 사이의 일측에는 피니언샤프트(220)의 피니언기어(120)와 치합되는 랙기어(110)가 형성되어 있다.
서포트요크(230)는 랙바(140)와 피니언샤프트(220)의 유격을 감소시켜 원활하게 동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서포트요크(230)는 랙바(140)의 후방면 즉 랙기어(110)가 형성된 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원통형 실린더로 형성된 랙하우징(170) 내에 삽입되어 앞뒤로 이동 가능한 구조이다.
서포트요크(230)의 형상은 랙하우징(170)의 실린더에서 앞뒤로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원통형이며, 랙바(140)와 접하는 전방부는 랙바(140)의 후방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서포트요크(230)의 전방부는 랙바(140)의 후방면과 미끄럼마찰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마찰로 인해 랙바(140)가 마모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랙바(140)보다 연성 재질인 플라스틱으로 된 서포트요크(230)를 사용한다.
또한, 랙바(140)와 피니언샤프트(220)가 밀착하여 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서포트요크(230)의 후방부에 스프링(235)이 배치된다. 이 스프링(235)이 일정한 압력으로 서포트요크(230)를 밀어주게 됨으로써 서포트요크(230)가 랙바(140)와 밀착되게 되고 랙바(140)와 피니언샤프트(220)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격을 보상해 줄 수 있게 된다. 스프링(235)은 통상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며, 요크플러그(240)에 의해 지지된다.
요크플러그(240)는 스프링(235)을 지지하여 서포트요크(230)에 압력을 가하게 한다. 요크플러그(240)에는 통상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암나사산이 형성된 랙하우징(170)에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요크플러그(240)의 후면에는 렌치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갖추고 있어, 요크플러그(240)를 랙하우징(170)에 결합할 때 또는 랙바(140)와 피니언샤프트(220) 사이에 심한 유격이 발생할 때, 요크플러그(240)를 렌치로 조임으로써 스프링(235)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서포트요크(230)가 랙바(140) 쪽으로 점차 위치가 이동하게 되면서 요크플러그(240)와 서포트요크(230) 사이의 유격이 증가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 진동으로 인한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유격이 증가하지 않더라도 불규칙한 노면을 지나는 것 등에 의해 타이어(160: 도 1 참조)로부터 랙바(140)로 역입력되는 충격에 의해 랙바(140)가 순간적으로 움직이게 되면서 서포트요크(230)가 요크플러그(240)와 충돌하여 소음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에 구비된 서포트요크의 마모로 인해 발생하는 유격을, 축방향 탄성부재와 경방향 탄성부재 및 이들 탄성부재에 연동되는 복수의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스페이서 조립체에 의해 별도의 조정 작업 없이 자동으로 보상하도록 된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는, 랙바에 형성된 랙기어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랙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중공의 요크실린더, 요크실린더의 내부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측에 랙바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홈이 형성된 서포트요크, 요크실린더의 내부에서 서포트요크의 타측에 접하여 설치되고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스페이서 조립체, 및 스페이서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요크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는 요크플러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에서, 상기 스페이서 조립체는, 일측면 중심에서 직각으로 뻗은 돌출부와 돌출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적어도 2 이상의 안내홈을 구비한 제1스페이서, 일측면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과 관통공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적어도 2 이상의 안내홈을 구비한 제2스페이서, 제1스페이서 및 제2스페이서가 각각의 안내홈이 쌍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면서 대응되게 위치할 때 쌍을 이루는 안내홈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쐐기부재, 제1스페이서 및 제2스페이서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탄성부재, 및 쐐기부재들이 제1스페이서 및 제2스페이서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될 때 이들 쐐기부재의 방사상 외측면을 둘러싸서 연결하는 경방향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랙바와 서포트요크 사이의 마모로 인해 발행하는 유격을 자동으로 보상함과 동시에 랙바를 통해 충격이 역입력되더라도 서포트요크와 요크플러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에 구비된 기어박스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페이서 조립체의 분해도 및 조립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스페이서 조립체의 분해도 및 조립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300)는, 랙바(140)에 형성된 랙기어(110: 도 1 참조)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랙하우징(170)과 일체로 형성되는 중공의 요크실린더(310), 이 요크실린더(310)의 내부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측에 랙바(140)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접하도록 반원형의 홈(325)이 형성된 서포트요크(320), 요크실린더(310)의 내부에서 서포트요크(320)의 타측에 접하여 서포트요크(320)를 랙바(140) 쪽으로 밀어주도록 설치되고 서포트요크(320)의 반대측으로 뻗은 돌출부(331)를 구비하며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스페이서 조립체(330), 및 이 스페이서 조립체(330)를 지지하도록 요크실린더(310)의 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스페이서 조립체(330)의 돌출부(331)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공(345)이 형성된 요크플러그(3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서포트요크(320)는 그 전방부(도면상 요크플러그(340)의 반대측)에 형성된 홈(325)이 랙바(140)의 후방면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서포트요크(320)의 홈(325)과 랙바(140)의 사이에는 이들이 탄성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얇은 박판으로 형성된 요크시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어서, 랙바(140)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함과 동시에 서포트요크(320)의 홈(325)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이물질 등의 유입을 방지하고 부재들이 서로 부딪혀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없애기 위해 추가적으로 서포트요크(32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O링(35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서포트요크(320)의 후방부에는 스페이서 조립체(330)가 배치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서포트요크(320)를 밀어주게 되며, 이에 따라 서포트요크(320)가 랙바(140)와 피니언샤프트(220)를 밀착되게 하여 동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더욱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조립체(330)는, 일측면 중심에서 직각으로 뻗은 가늘고 긴 돌출부(331)와 이 돌출부(331)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적어도 2 이상의 안내홈(332)을 구비한 제1스페이서(333), 일측면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334)과 이 관통공(334)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적어도 2 이상의 안내홈(335)을 구비한 제2스페이서(336), 제1스페이서(333) 및 제2스페이서(336)가 각각의 안내홈(332, 335)이 쌍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면서 대응되게 위치할 때 쌍을 이루는 안내홈(332, 335)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쐐기부재(337), 제1스페이서(333) 및 제2스페이서(336)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탄성부재(338), 및 쐐기부재(337)들이 제1스페이서(333) 및 제2스페이서(336)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될 때 이들 쐐기부재(337)의 방사상 외측면을 둘러싸서 연결하는 경방향 탄성부재(339)를 포함한다.
제1스페이서(333) 및 제2스페이서(336)는 대략 판 형상의 부재로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홈(332, 335)들은 거울상 대칭되게 그리고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스페이서는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내구성을 고려하면 스틸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각 안내홈(332, 335)은 각 스페이서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뻗어 있으며, 그 깊이가 변경되도록 경사져 있다.
제1스페이서(333)는 안내홈(332)들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중심에서 직각으로 형성되어 뻗은 돌출부(331)를 구비하는데, 이 돌출부(331)는 후술하는 제2스페이서(336)의 관통공(334)을 관통하여 요크플러그(340)의 삽입공(345) 내로 삽입되게 된다. 또, 돌출부(331)의 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부(331a)가 형성되어 있어 조향장치의 조립시 임시로 너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스페이서(333)의 안내홈(332)들이 있는 면의 반대쪽 면은 서포트요크(320)와 면접촉하여 이를 지지한다.
제2스페이서(336)는 안내홈(335)들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334)을 구비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스페이서(333)의 돌출부(331)가 이 관통공(334)을 관통하여 요크플러그(340)를 관통하게 된다. 제2스페이서(336)의 안내홈(335)들이 있는 면의 반대쪽 면은 요크플러그(340)와 면접촉하여 지지된다.
각 쐐기부재(337)는, 제1스페이서(333) 및 제2스페이서(336)가 서로 마주보면서 위치할 때 쌍을 이루는 안내홈(332, 335)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플라스틱이나 금속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과 크기는 안내홈(332, 335)의 형상과 크기에 상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각 쐐기부재(337)는, 이들 쐐기부재(337)가 제1스페이서(333) 및 제2스페이서(336)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될 때 쐐기부재(337)의 방사상 외측면을 둘러싸는 경방향 탄성부재(339)가 장착될 수 있게 걸림홈(337b)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탄성부재(338)가 제1스페이서(333) 및 제2스페이서(336)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데, 바람직하기로 축방향 탄성부재(338)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져서 제1스페이서(333)의 돌출부(331)에 끼워진다. 이때, 축방향 탄성부재(338)의 외경은 제2스페이서(336)에 형성된 관통공(334)의 내경보다는 크게 되어야 한다. 물론, 다수의 축방향 탄성부재(338)가 제1스페이서(333)에서 안내홈(332)들의 사이 또는 제2스페이서(336)에서 안내홈(335)들의 사이에 각각 배열되는 구성으로 되어도 무방하다.
경방향 탄성부재(339)는 탄성재질의 링형상 부재로서, 그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경방향 탄성부재(33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쐐기부재(337)들의 방사상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337b)에 장착되어서, 쐐기부재(337)들이 중심 방향으로 모이도록 하는 압력을 가하게 된다.
요크플러그(340)의 외주면에는 요크실린더(310)의 암나사산과 치합하는 수나사산이 가공되어 있고, 후면에는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구홈을 갖추고 있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요크플러그(340)를 요크실린더(310)에 나사결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요크플러그(340)의 중심에는 삽입공(345)이 형성되어 있어서, 스페이서 조립체(330) 즉 제1스페이서(333)의 돌출부(331)가 삽입 관통하여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300)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서포트요크(320)가 랙하우징(170)과 일체로 형성되는 중공의 요크실린더(310)에 삽입된다. 서포트요크(320)는 요크실린더(310)의 암나사산이 형성된 단부 쪽에서 삽입되어 랙바(140)의 후방면을 지지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서포트요크(320)의 홈(325)에는 미리 요크시트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서포트요크(320)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O링(350)이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스페이서 조립체(330)를 조립한다. 제1스페이서(333)의 돌출부(331)에 축방향 탄성부재(338)가 끼워지고, 각 안내홈(332)에는 쐐기부재(337)가 각각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스페이서(333)의 돌출부(331)가 제2스페이서(336)의 관통공(334)을 관통함으로써 제2스페이서(336)가 제1스페이서(333)에 결합되는데, 제2스페이서(336)의 안내홈(335)들이 제1스페이서(333)의 안내홈(332)들과 쌍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게 정렬된다.
이어서, 제1스페이서(333) 및 제2스페이서(336)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쐐기부재(337)들의 각 걸림홈(337b)에 경방향 탄성부재(339)가 장착되어 쐐기부재(337)들을 연결한다.
이렇게 조립된 스페이서 조립체(330)의 돌출부(331)가 요크플러그(340)의 삽입공(345)에 삽입 관통된 후 요크플러그(340)를 관통한 돌출부(331)의 단부 외주면에 있는 나사산부(331a)에다 너트를 결합함으로써 스페이서 조립체(330)와 요크플러그(340)의 결합체를 임시로 구성한다.
이 스페이서 조립체(330)와 요크플러그(340)의 결합체는 스페이서 조립체(330)를 안쪽으로 하여 요크실린더(310)에 삽입되고, 별도의 공구에 의해 요크플러그(340)가 요크실린더(310)에 나사결합되게 된다.
그 후에, 스페이서 조립체(330)와 요크플러그(340)의 결합체를 위한 너트를 해제함으로써, 스페이서 조립체(330)가 서포트요크(320) 및 요크플러그(340) 사이에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3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 조립체(330)는 요크플러그(340)와 서포트요크(320)에 대해 그리고 요크플러그(340)와 서포트요크(320)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의 힘을 주고 받게 되므로, 초기에는 각 부재들이 서로 맞닿게 되어 유격이 없다. 따라서, 랙바(140)로 역입력되는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도 없게 된다.
내구가 상당히 진행된 후에는, 서포트요크(320)의 전방부에 있는 홈(325)이 점차 마모됨에 따라 축방향 탄성부재(338)에 의해 제1스페이서(333)가 서포트요크(320)를 랙바(140) 쪽으로 밀게 됨과 동시에, 제1스페이서(333) 및 제2스페이서(336) 사이가 벌어지게 되면서 경방향 탄성부재(339)에 의해 각 쐐기부재(337)가 스페이서들의 안내홈(332, 335)을 따라 중심 쪽으로 모이게 된다.
결국, 내구에 의한 마모시 스페이서 조립체(330)에서 경방향 탄성부재(339)의 경방향 작용력에 의해 쐐기부재(337)가 스페이서들의 안내홈(332, 335)을 따라 중심으로 조여지면서 축방향 작용력이 더 발생되어 서포트요크(320)가 랙바(140)를 일정한 힘으로 밀어주게 됨으로써 유격을 자동으로 보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랙바와 서포트요크 사이의 마모로 인해 발행하는 유격을 자동으로 보상함과 동시에 랙바를 통해 충격이 역입력되더라도 서포트요크와 요크플러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00 :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310 : 요크실린더
320 : 서포트요크 325 : 홈
330 : 스페이서 조립체 331 : 돌출부
340 : 요크플러그 345 : 삽입공
350 : O링

Claims (8)

  1. 랙바에 형성된 랙기어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랙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중공의 요크실린더;
    상기 요크실린더의 내부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일측에 상기 랙바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홈이 형성된 서포트요크;
    상기 요크실린더의 내부에서 상기 서포트요크의 타측에 접하여 설치되고 축방향 및 경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스페이서 조립체; 및
    상기 스페이서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상기 요크실린더의 단부에 결합되는 요크플러그;
    를 포함하는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조립체는,
    일측면 중심에서 직각으로 뻗은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적어도 2 이상의 안내홈을 구비한 제1스페이서;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도록 일측면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에 대해 방사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적어도 2 이상의 안내홈을 구비한 제2스페이서;
    상기 제1스페이서 및 상기 제2스페이서가 각각의 안내홈이 쌍을 이루도록 서로 마주보면서 대응되게 위치할 때 쌍을 이루는 상기 안내홈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적어도 2 이상의 쐐기부재;
    상기 제1스페이서 및 상기 제2스페이서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탄성부재; 및
    상기 쐐기부재들이 상기 제1스페이서 및 상기 제2스페이서 사이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될 때 상기 쐐기부재의 방사상 외측면을 둘러싸서 연결하는 경방향 탄성부재를 포함함과 더불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서포트요크의 반대측으로 뻗도록 상기 스페이서 조립체가 상기 요크실린더 내에서 배치되고,
    상기 요크플러그에는 상기 스페이서 조립체의 돌출부가 삽입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단부 외주면에는 나사산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조립시 상기 요크플러그를 관통한 돌출부의 상기 나사산부에 임시로 너트가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부재에는, 상기 쐐기부재의 방사상 외측면을 둘러싸는 상기 경방향 탄성부재가 장착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탄성부재는 상기 제1스페이서의 돌출부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방향 탄성부재는 탄성재질의 링형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요크의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O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KR1020100056518A 2010-06-15 2010-06-15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KR20110136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18A KR20110136474A (ko) 2010-06-15 2010-06-15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US13/109,362 US8887590B2 (en) 2010-06-15 2011-05-17 Automatic clearance compensation device for support yoke of rack-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CN 201110131112 CN102285371B (zh) 2010-06-15 2011-05-20 齿条齿轮式转向装置的支撑轭自动间隙补偿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518A KR20110136474A (ko) 2010-06-15 2010-06-15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474A true KR20110136474A (ko) 2011-12-21

Family

ID=45095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518A KR20110136474A (ko) 2010-06-15 2010-06-15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887590B2 (ko)
KR (1) KR20110136474A (ko)
CN (1) CN1022853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83B1 (ko) 2014-12-29 2016-04-29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이동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6474A (ko) * 2010-06-15 2011-12-21 주식회사 만도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KR101206836B1 (ko) * 2012-03-14 2012-11-30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스티어링 기어의 랙 바 지지 장치
DE102012013970B4 (de) * 2012-07-13 2021-02-25 Zf Automotive Germany Gmbh Vorrichtung zum Andrücken einer Zahnstange an ein Ritzel
CN102777571A (zh) * 2012-07-13 2012-11-14 上海采埃孚转向系统有限公司 一种能够自动补偿齿轮齿条啮合间隙的压块装置
DE102012013964B4 (de) * 2012-07-13 2021-04-15 Zf Automotive Germany Gmbh Vorrichtung zum Andrücken einer Zahnstange an ein Ritzel
JP5879302B2 (ja) * 2013-05-23 2016-03-08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ステアリング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装置
JP6053703B2 (ja) 2014-02-06 2016-12-27 株式会社ショーワ ステアリング装置およびステアリング装置用ハウジング
KR102187452B1 (ko) * 2015-03-20 2020-1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용 랙 서포트 장치
CN109027188A (zh) * 2018-08-17 2018-12-18 扬州市明和机械有限公司 一种具有距离调节功能的齿条
DE102019109651A1 (de) * 2019-04-11 2020-10-15 Zf Automotive Germany Gmbh Vorrichtung für eine Lenkung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1046A (en) * 1997-03-13 1999-08-03 Techco Corporation Yoke apparatus for rack and pinion
KR100442747B1 (ko) * 2002-03-14 2004-08-0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쿠션 펌핑디바이스
KR100764194B1 (ko) * 2002-09-30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시스템의 랙바 지지장치
KR100754503B1 (ko) * 2003-01-08 2007-09-03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장치의 서포트 요크 유격 방지구조
KR100549199B1 (ko) * 2003-11-26 2006-02-02 주식회사다스 컨티뉴즐리타입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20060053297A (ko) * 2004-11-13 2006-05-22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장치의 서포트 요크 소음방지구조
KR20070092018A (ko) * 2006-03-08 2007-09-12 주식회사 만도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TWM300745U (en) * 2006-05-04 2006-11-11 Jarllytec Co Ltd Durable cam element
US7631571B2 (en) * 2006-07-06 2009-12-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Yoke assembly for a power steering apparatus
US7458291B2 (en) * 2006-07-06 2008-12-02 Ford Motor Company Self-sealing yoke assembly for a steering apparatus
KR100854784B1 (ko) * 2007-02-27 2008-08-27 주식회사 만도 요크 클리어런스 자동 조절장치를 구비한 조향장치
DE102007010078B4 (de) * 2007-02-28 2008-11-20 Johnson Controls Gmbh Verstellbeschlag für eine Kraftfahrzeugkomponente und Verfahren zur Sicherung der Arretierung eines Verstellbeschlags
US7487984B1 (en) * 2007-10-01 2009-02-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teering rack wear compensator
JP2009113732A (ja) * 2007-11-09 2009-05-28 Hitachi Ltd ラック軸の支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ラックピニオン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1215723B1 (ko) * 2008-11-18 2012-12-26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10136474A (ko) * 2010-06-15 2011-12-21 주식회사 만도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83B1 (ko) 2014-12-29 2016-04-29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303044A1 (en) 2011-12-15
US8887590B2 (en) 2014-11-18
CN102285371B (zh) 2013-07-10
CN102285371A (zh)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36474A (ko)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CN107031700B (zh) 转向装置
JP3623922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9302697B2 (en) Steering apparatus
KR20070092018A (ko)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JP2006151352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928217B2 (ja) ラックシャフト支持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備える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61544B1 (ko)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자동 유격보상장치
KR101268245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US20190168800A1 (en) Ball Nut Assembly For A Power Steering Assembly Of A Vehicle
KR100726588B1 (ko) 랙 어시스트 타입 전동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조립 공차유격 제거 구조
KR102098053B1 (ko) 랙구동형 동력 보조 조향장치
US20110192250A1 (en) Rack bar supporting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120118940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자동차 조향장치
KR20090091850A (ko) 길이 자동 조정형 타이로드와 이를 구비한 자동차의조향장치
KR101251213B1 (ko) 조향장치의 서포트 요크 어셈블리
KR101734125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유격 보상 장치
KR101786399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 서포트 장치
KR102246689B1 (ko) 자동차의 랙 피니언 방식 조향장치
KR102153146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장치의 랙 서포트 장치
JP2012107756A (ja) 自在継手の加工方法
KR20200050263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20140016089A (ko) 스티어링 기어의 랙 지지장치
KR20130053180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002669B1 (ko) 유압을 이용한 조향 장치의 랙 바 지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