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027A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027A
KR20180097027A KR1020170023585A KR20170023585A KR20180097027A KR 20180097027 A KR20180097027 A KR 20180097027A KR 1020170023585 A KR1020170023585 A KR 1020170023585A KR 20170023585 A KR20170023585 A KR 20170023585A KR 20180097027 A KR20180097027 A KR 20180097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hotographing
switching
photographing mode
sho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어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어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어스랩
Priority to KR1020170023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027A/ko
Publication of KR20180097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04N5/2324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04N5/23216
    • H04N5/2329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은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은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 또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리 결정된 특정 영역에 제1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제2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과 제3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3 그래픽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모드 전환 기능을 이용한 상기 촬영 모드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촬영 모드, 상기 제2 촬영 모드와 상기 제3 촬영 모드 간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IMAGE PHOTOGRAPHING MODES USING USER INTERFACE}
본 발명은 영상 촬영 모드 전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촬영 셔터에 대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모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이 카메라를 탑재한 기기는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 저장된 사진 또는 동영상의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영상 촬영 예를 들어, 사진 촬영, 동영상 촬영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사진 촬영 선택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은 사진 촬영 기능, 동영상 촬영 기능을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촬영 모드를 가지고 있고,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촬영 모드 간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며, 기존 촬영 모드 전환 방법은 두 개의 촬영 모드들 간 모드를 전환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영상 촬영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세 개 이상의 촬영 모드를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 영상을 촬영하는 일반 촬영 모드, GIF 사진을 촬영하는 GIF 촬영 모드 및 분할 사진을 촬영하는 분할 촬영 모드의 촬영 모드 전환을 촬영 셔터의 스와이프(swipe) 또는 슬라이드(slide)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은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 또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리 결정된 특정 영역에 제1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제2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과 제3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3 그래픽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모드 전환 기능을 이용한 상기 촬영 모드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촬영 모드, 상기 제2 촬영 모드와 상기 제3 촬영 모드 간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2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3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일정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 또는 슬라이드(slide)되면 상기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그래픽의 터치 시간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와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2 그래픽의 터치 시간에 따라 사진 촬영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와 동영상 기능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촬영 모드는 사진 촬영을 통해 분할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분할 사진에 포함되는 사진의 개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사진의 개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3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모드 전환 장치는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 또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리 결정된 특정 영역에 제1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제2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과 제3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3 그래픽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미리 정해진 모드 전환 기능을 이용한 상기 촬영 모드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촬영 모드, 상기 제2 촬영 모드와 상기 제3 촬영 모드 간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전환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1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2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3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환부는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일정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 또는 슬라이드(slide)되면 상기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그래픽의 터치 시간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와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2 그래픽의 터치 시간에 따라 사진 촬영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와 동영상 기능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촬영 모드는 사진 촬영을 통해 분할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3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분할 사진에 포함되는 사진의 개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사진의 개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3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반 영상을 촬영하는 일반 촬영 모드, GIF 사진을 촬영하는 GIF 촬영 모드 및 분할 사진을 촬영하는 분할 촬영 모드의 촬영 모드 전환을 영상 촬영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촬영 셔터의 스와이프(swipe) 또는 슬라이드(slide)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드에서 영상을 촬영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영상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분할 촬영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모드 전환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일반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일반 촬영 모드, 사진 촬영과 동영상 촬영 기능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기 위한 움직이는 사진 촬영 모드(또는 GIF 촬영 모드)와 사진 촬영 기능을 이용하여 분할 사진을 생성하기 위한 분할 촬영 모드 간의 촬영 모드 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현재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리 결정된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현재 촬영 모드를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촬영 모드에서의 사진 촬영과 동영상 촬영이 선택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동일한 그래픽 또는 상이한 그래픽을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카메라를 구비한 기기(100) 예를 들어,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 등에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는 복수의 영상 촬영 모드 간의 촬영 모드 전환을 감지하여 해당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리 결정된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해당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되는 특정 영역은 사진 촬영 명령 또는 동영상 촬영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셔터 영역일 수 있으며, 셔터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은 해당 촬영 모드에 대응하여 사업자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물론, 특정 영역이 셔터 영역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촬영 모드의 전환이 용이한 영역이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촬영 모드는 일반 사진을 촬영하는 모드와 동영상을 촬영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일반 촬영 모드, 사진 촬영 기능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와 동영상 촬영 기능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움직이는 사진 촬영 모드(또는 GIF 촬영 모드) 그리고 사진 촬영 기능을 통해 복수의 사진들을 포함하는 분할 사진을 생성하는 분할 촬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반 촬영 모드, GIF 촬영 모드 및 분할 촬영 모드의 세 촬영 모드로 설명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를 구비한 스마트폰에서 본 발명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물론, 본 발명이 스마트폰에 적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탑재될 수 있는 모든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은 본 발명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기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피사체 예를 들어, 자동차, 풍경, 사람 등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피사체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210).
단계 S2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피사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필터 기능이 적용될 수도 있고,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의 다양한 기능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기본적으로 설정된 촬영 모드 본 발명에서는 일반 촬영 모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S220).
즉, 단계 S220은 단계 S210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시점에 디스플레이되며, 일반 촬영 모드에 대해 미리 설정된 그래픽을 미리 설정된 특정 영역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셔터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
일반 촬영 모드 상태에서 촬영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촬영 모드 전환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 모드를 일반 촬영 모드에서 GIF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GIF 촬영 모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S230, S250).
반면, 단계 S230 판단 결과, 촬영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라면 일반 촬영 모드 상태에서 사진 촬영 또는 비디오(또는 동영상) 촬영에 대한 촬영 명령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에 대한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며,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기기에 저장한다(S240).
예컨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일반 촬영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일반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된 셔터(320)가 사용자에 의해 짧은 시간 터치되면 피사체에 대한 사진 촬영을 수행하고, 셔터(320)가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면 동영상 촬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모드 전환 기능(또는 버튼)(310)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일정 방향 예를 들어, 아래 방향으로 스와이프 또는 슬라이드되면 영상 촬영 모드가 일반 촬영 모드에서 GIF 촬영 모드로 전환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촬영 모드가 GIF 촬영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촬영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고, 촬영 모드 전환 기능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촬영 모드를 GIF 촬영 모드에서 분할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 분할 촬영 모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다(S260, S280).
반면, 단계 S260 판단 결과, 촬영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상태라면 GIF 촬영 모드 상태에서 사진 촬영 또는 비디오(또는 동영상) 촬영에 대한 촬영 명령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에 대한 사진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수행함으로써, 사진 촬영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사진들을 이용한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거나 동영상 촬영 기능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과 같은 형식의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며, 이렇게 생성된 움직이는 사진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기기에 저장한다(S270).
예컨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GIF 촬영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GIF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된 셔터(330)가 사용자에 의해 짧은 시간 터치되면 사진 촬영 기능에 의해 복수의 사진들이 촬영되고 이렇게 촬영된 사진들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진이 생성되며 셔터(330)가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어 동영상 촬영 기능이 수행되면 동영상 촬영 기능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사진이 생성된다. 물론, 이렇게 생성된 움직이는 사진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기에 저장되거나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도 3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모드 전환 기능(310)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스와이프 또는 슬라이드되면 영상 촬영 모드가 GIF 촬영 모드에서 분할 촬영 모드로 전환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80에 의해 분할 촬영 모드에 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분할 사진 촬영 명령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에 대한 미리 결정된 수의 사진들을 촬영하며, 촬영된 사진들을 이용하여 분할 사진을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분할 사진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기기에 저장한다(S290).
예컨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분할 촬영 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분할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이 디스플레이된 셔터(340)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에 대해 미리 결정된 수의 사진들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들을 이용하여 분할 사진을 생성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도 3c에 도시된 분할 촬영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구비된 모드 전환 기능(310)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일정 방향으로 스와이프 또는 슬라이드되면 분할 촬영 모드가 다시 일반 촬영 모드에서 전환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촬영 모드 전환은 모드 전환 기능의 스와이프 또는 슬라이드에 의하여 일반 촬영 모드, GIF 촬영 모드와 분할 촬영 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되며, 분할 촬영 모드에서는 일반 촬영 모드로 전환된다.
여기서, 분할 촬영 모드는 촬영되는 사진들의 수와 생성되는 분할 사진의 형태를 결정하기 위한 선택창 또는 템플릿들(350)을 제공할 수 있으며, 셔터(340) 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분할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그래픽은 미리 설정된 기본 그래픽이 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제공되는 템플릿들(35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템플릿에 대응하는 그래픽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 촬영 모드에서 제공하는 템플릿들 중 4개의 사진들로 이루어진 분할 사진을 만들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4개의 사진들로 이루어진 템플릿(410)이 선택되면 선택된 템플릿(410)에 대응하는 그래픽이 셔터(340) 상에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에 의해 촬영 명령이 수신되면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피사체에 대해 4개의 사진들을 일정 시간 단위로 순차적으로 촬영한 후 촬영된 4개의 사진을 이용하여 해당 템플릿(410) 모양의 분할 사진을 생성한다.
분할 사진이 생성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상에 생성된 분할 사진을 디스플레이하고, 분할 사진의 일부 영역에 미리 설정된 워터마크(420)를 생성하고, 화면 상의 일부 영역에 분할 사진을 저장하기 위한 버튼(430)과 분할 사진을 공유할 수 있도록 공유 기능을 가지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440)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4b와 같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저장 버튼(430)이 입력되면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분할 사진을 일정 포맷의 사진 파일 예를 들어, JPG 파일로 저장한다.
그리고, 공유 버튼(440)의 선택을 통해 분할 사진을 공유할 수 있는 공유 어플리케이션들 중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라인, 카카오톡 등의 메신저 서비스, 밴드, SNS 등을 통해 분할 사진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분할 사진 뿐만 아니라 일반 촬영 모드에 의해 생성되는 사진, 동영상 그리고 GIF 촬영 모드에 의해 생성되는 움직이는 사진 또한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사람과 공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은 영상을 촬영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복수의 촬영 모드들 예를 들어, 일반 촬영 모드(사진 촬영과 동영상 촬영), GIF 촬영 모드(사진 촬영과 동영상 촬영) 및 분할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촬영 모드들 간 전환을 영상 촬영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촬영 셔터의 스와이프 또는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세 개 이상의 촬영 모드들 간의 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모드 전환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술한 도 2 내지 도 4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영상 촬영 모드 전환 장치는 카메라를 구비한 기기에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촬영 모드 전환 장치(500)는 디스플레이부(510), 전환부(520), 촬영부(530), 생성부(540) 및 저장부(55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510)는 본 발명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 또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리 결정된 특정 영역에 제1 촬영 모드 예를 들어, 일반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제2 촬영 모드 예를 들어, GIF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과 제3 촬영 모드 예를 들어, 분할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3 그래픽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510)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수단으로,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510)는 분할 촬영 모드에서 분할 사진에 포함될 사진의 개수에 따라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을 상이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510)는 분할 사진에 포함되는 사진의 개수가 2개이고 상하로 분할된 분할 사진을 생성하는 경우에는 상하로 분할된 형태의 그래픽을 특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전환부(5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리 결정된 위치 또는 영역에 형성된 모드 전환 기능에 의한 촬영 모드의 선택에 기초하여 제1 촬영 모드, 제2 촬영 모드와 제3 촬영 모드 간 촬영 모드 전환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환부(520)는 제1 촬영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모드 전환 기능이 스와이프 또는 슬라이드되면 제2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제21 촬영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모드 전환 기능이 스와이프 또는 슬라이드되면 제3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며, 제31 촬영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모드 전환 기능이 스와이프 또는 슬라이드되면 다시 제1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촬영부(530)는 본 발명의 영상 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 움직이는 사진 또는 분할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 모드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촬영한다.
생성부(54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촬영 명령에 따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피사체에 대한 사진, 동영상, 움직이는 사진 또는 분할 사진을 생성한다.
저장부(5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영상의 저장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촬영 모드 각각에서 촬영/생성된 사진 또는 동영상을 저장한다.
이 때, 저장부(550)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데이터 예를 들어, 알고리즘, 어플리케이션, 템플릿들, 사진, 움직이는 사진, 동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따른 장치가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방법에 기재된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시스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 또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리 결정된 특정 영역에 제1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제2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과 제3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3 그래픽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미리 정해진 모드 전환 기능을 이용한 상기 촬영 모드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촬영 모드, 상기 제2 촬영 모드와 상기 제3 촬영 모드 간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2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3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일정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 또는 슬라이드(slide)되면 상기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그래픽의 터치 시간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와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2 그래픽의 터치 시간에 따라 사진 촬영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와 동영상 기능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촬영 모드는
    사진 촬영을 통해 분할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분할 사진에 포함되는 사진의 개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사진의 개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3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6. 촬영 모드에 기초하여 영상 촬영 또는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미리 결정된 특정 영역에 제1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1 그래픽, 제2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2 그래픽과 제3 촬영 모드에 대응하는 제3 그래픽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미리 정해진 모드 전환 기능을 이용한 상기 촬영 모드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촬영 모드, 상기 제2 촬영 모드와 상기 제3 촬영 모드 간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전환부
    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제1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2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3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3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1 촬영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모드 전환 기능이 일정 방향으로 스와이프(swipe) 또는 슬라이드(slide)되면 상기 촬영 모드의 전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촬영 모드는
    상기 제1 그래픽의 터치 시간에 따라 사진을 촬영하는 사진 촬영 모드와 동영상을 촬영하는 동영상 촬영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촬영 모드는
    상기 제2 그래픽의 터치 시간에 따라 사진 촬영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와 동영상 기능을 통해 움직이는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촬영 모드는
    사진 촬영을 통해 분할 사진을 생성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3 촬영 모드 상태에서 상기 분할 사진에 포함되는 사진의 개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사진의 개수에 대응하는 상기 제3 그래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촬영 모드 전환 장치.
KR1020170023585A 2017-02-22 2017-02-2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180097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85A KR20180097027A (ko) 2017-02-22 2017-02-2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585A KR20180097027A (ko) 2017-02-22 2017-02-2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27A true KR20180097027A (ko) 2018-08-30

Family

ID=6345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585A KR20180097027A (ko) 2017-02-22 2017-02-2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0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2427A (zh) * 2020-04-26 2020-08-1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界面的切换方法、装置、触控终端及存储介质
CN114500835A (zh) * 2022-01-20 2022-05-13 深圳市源德盛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拍摄方法、系统、智能终端和存储介质
WO2024060903A1 (zh) * 2022-09-22 2024-03-28 荣耀终端有限公司 相机功能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2427A (zh) * 2020-04-26 2020-08-18 北京达佳互联信息技术有限公司 界面的切换方法、装置、触控终端及存储介质
CN114500835A (zh) * 2022-01-20 2022-05-13 深圳市源德盛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拍摄方法、系统、智能终端和存储介质
WO2024060903A1 (zh) * 2022-09-22 2024-03-28 荣耀终端有限公司 相机功能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5052B2 (ja) 撮影方法、装置、電子機器および記憶媒体
US10057482B2 (en) Electronic camera, image display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display program
JP6742869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201603235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oving photograph
JP6886939B2 (ja) 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101831516B1 (ko) 멀티 스티커를 이용한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US1004494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program, for enlarging and displaying part of image around focus detection area
KR20160144179A (ko) 카메라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US10466835B2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control apparatus
US10733925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180097027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영상 촬영 모드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1501196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이미지 합성 방법
CN111857505B (zh) 一种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JP2011034512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755129B1 (ko) 영상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7223766A (ja) 表示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21086586A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1444909A (zh) 图像数据的采集方法、终端设备及介质
KR20160128900A (ko) 움직이는 효과 기반의 움직이는 사진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170155823A1 (en) Method for operating camera device using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split screen
KR20150094483A (ko) 3차원 가상 공간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458756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80107910A (ko) 상황에 따른 화면 간 상호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29233A (ko) 아바타 촬영 모드 전환을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214365B2 (ja) 画像再生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