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908A - 장신구 - Google Patents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908A
KR20180095908A KR1020187020770A KR20187020770A KR20180095908A KR 20180095908 A KR20180095908 A KR 20180095908A KR 1020187020770 A KR1020187020770 A KR 1020187020770A KR 20187020770 A KR20187020770 A KR 20187020770A KR 20180095908 A KR20180095908 A KR 20180095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side
magnet
ornamental
tube
magn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274B1 (ko
Inventor
카즈오 오카무라
Original Assignee
상샤레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샤레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샤레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95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DINDEXING SCHEME RELATING TO BUTTONS, PINS, BUCKLES OR SLIDE FASTENERS, AND TO JEWELLERY, BRACELETS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D2203/00Fastening by use of magnet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루프로 된 링 형으로 간단하고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도난 등에 대한 안전성을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장착이 쉽고, 그에 더해 사용자 자신에 의한 장착 및 풀기 조작이 양호한 장착구를 제공한다. 유연성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 튜브12와, 튜브12의 내부에 삽입된 자석과, 튜브12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캡16, 17과, 튜브12가 삽입되는 유연성이 있는 외피25와, 외피25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외캡26, 27을 갖추고 있다.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서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흡착되는 것에 의해 전체가 링 형을 이루게 된다.

Description

장신구
본 고안은 신체에 둘러 감아서 사용하는 목걸이 등의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걸이 등의 장신구는 끈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단에는 서로 짝을 이루어 착탈 가능하게 계지할 수 있는 1쌍의 후크 등으로 이루어지는 멈춤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신구를 신체의 목 등에 장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장신구의 양단을 손에 들고, 장신구의 중간 부분을 목의 후방에 배치한 후, 양단을 목의 전방으로 돌려서 두르고, 그 후에 장신구의 양단에 마련된 후크 등의 멈춤구를 계지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가 목 주변에 링형으로 감겨 닫힌 상태가 된다.
장신구의 멈춤구에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있어, 예를 들어 장신구의 일단측에 출몰할 수 있는 핀을 마련하는 한편, 타단측에 고리를 마련하고, 이 고리에 핀을 통과시켜 양자를 계지시키는 구조의 것, 혹은 장신구의 일단측에 개폐할 수 있는 고리를 마련하고, 이 고리에 장신구의 타단측을 삽입 통과시켜 임의의 지름인 링형으로 해서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한 것 등이 있다.
통상, 이들 멈춤구는 장신구 장식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소형 구성,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겨우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작은 구성으로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멈춤구의 경우, 젊은 사람이나 고시력자, 손가락의 감각이 양호한 사람 등에 대해서는 장신구를 장착하거나 떼는 조작 등에 지장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고령자나 저시력자, 손가락 감각이 좋지 않은 사람 등에 대해서는 장신구를 장착하거나 떼는 등의 조작에 어려움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에는 장신구의 장착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목걸이 등의 잠금 수단으로 자석을 채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끈 형태의 재료에 자석 분말을 혼입하고, 사출 성형이나 삽출 성형으로 플라스틱 마그넷, 혹은 고무 자석으로 구성한 것이 제안되었다(예, 특허 문헌 1, 2 등 참조).
특허문헌1: 특개 2002-119313호 공보 특허문헌2: 특개평 10-165211호 공보
특허 문헌 1,2 등에 기재된 플라스틱 마그넷이나 고무 자석은 자석 재료를 함유하는 양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흡자력이 300가우스 정도로 약하다. 이 때문에, 장신구의 잠금 수단에 적용했을 경우에 강력하게 고정할 수가 없으며, 인력에 의한 인장 작용으로 쉽게 풀린다. 따라서, 이렇게 풀리기 쉬운 장신구를 예를 들면 노인 등이 장착하고 있을 경우, 다른 사람이 장착자에게서 장신구를 떼어내는 도난의 피해가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한편, 장신구의 잠금 수단으로 흡자력이 높은 금속 자석을 사용한 잠금 도구를 장신구의 본체 부분과 별도로 만들어, 이 금속 자석을 사용한 잠금 도구를 외부에서 본체 부분에 포함하는 구성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자석의 흡자력이 과도하게 강해져, 이용자 자신이 장신구를 풀기 어려워지는 등 사용 상 불편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루프로 된 링형으로 간단하고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고, 도난 등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 장착성이 좋고, 나아가 사용자 자신에 의한 장착 및 풀기가 양호한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장신구는 유연성 재료로 형성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내부에 삽입된 자석과 상기 튜브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캡과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유연성 외피와 상기 외피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외캡을 구비하고, 상기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흡착되는 것에 의해 전체가 링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신구에 있어서는, 상기 복수의 자석은 상기 튜브 길이 방향의 전체 범위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에 더해서 비자성 재료 또는 자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가 상기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자석은 적어도 상기 튜브 내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석은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신구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평행하게 하는 잠금 도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신구는 심선이 링형의 무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선이 복수의 장식 부재를 삽입 연통하여 장식 부재가 연주형으로 되어 있는 장신구이며, 상기 심선은 30도 전후 이상에서 링형으로 복원하는 형상 기억 합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유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튜브에 삽입된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흡착되어 전체가 링형이 되기 때문에, 간단하고 확실하게 링형으로 할 수 있고, 도난 등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 장착성이 좋고, 나아가 사용자 자신에 의한 장착 및 풀기가 양호한 장신구라고 할 수 있다.
(도1)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본체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3)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전체 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4)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 도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6) 도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7) 본 고안의 제1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8) 도7의 C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9)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장착 상태의 별도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 도9의 D부를 확대하여, 장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11)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잠금 도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 도11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3) 도11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 도이다.
(도14) 도11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과정의 별도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5) 도11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상태의 별도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16)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잠금 도구의 다른 예를 나타낸는 사시도이다.
(도17) 도16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과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8) 도16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19) 도16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과정의 별도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0) 도16에 나타낸 잠금 도구를 채용한 장착 상태의 별도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21)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2) 제2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23) 본 고안의 제3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4) 제3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25) 본 고안의 제4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6) 제4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본체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27) 본 고안의 제5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를 가리키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28) 본 고안에서 적용하는 자석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29) 도28에 나타낸 복수 개의 자석을 직렬로 배치했을 경우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0) 본 고안에서 적용하는 자석의 흡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1) 도29에 나타낸 자석의 흡착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32) 제1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3) 제1 예의 잠금 도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4) 제1 예의 잠금 도구의 잠금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35) 제1 예의 잠금 도구의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인 (도36) 제1 예의 잠금 도구의 잠금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37) 제2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8) 제3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9) 제3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40) 제4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1) 제5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2) 제5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43) 제6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4) 제6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45) 제7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6) 제7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47) 제8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8) 제8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49) 제9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0) 제9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51) 제10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2) 제10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53) 제11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4) 제11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5) 제12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6) 제12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7) 제13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8) 제13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내부 사시도이다.
(도59) 제14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0) 제14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61) 제15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2) (a), (b)는 제16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부품 설명도이다.
(도63) 제16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64) 제17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5) 제17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66) 제18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7) 제18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68) 제19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9) 제19 예의 잠금 도구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70) 본 고안의 제6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관련된 장신구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대응시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고안의 장신구를 목걸이에 적용했을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목걸이 외의 장신구, 예를 들면 팔찌, 벨트, 그 밖의 각종의 장신구로서 적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의 기본 구성 부분인 장신구 본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장신구 본체(11)는 양단이 개구하는 1개의 끈형 튜브(12)와 이 튜브(12) 내에 삽입되는 여러 개의 자석(13‥, 14‥, 15‥)과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를 가로막는 일단측 캡(166)과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를 막는 타단측 캡(17)로 구성되어 있다.
튜브(12)는 장신구 본체(11)를 장착하는 사용자의 목 주변에 장착할 수 있는 소정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유연성이 있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질 등의 유연성 재료로 원관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튜브(12)는 길이 방향으로 따른 양단부 사이에서 축심 주변에 상대적으로 180° 이상, 용이하게 비틀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의 목 주변을 따라 둘러 용이하게 만곡할 수 있고, 링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튜브(12)의 인장 강도는 인력에 의해 용이하게 파탄되지 않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튜브(12)는 예를 들면 투명체, 반투명체 또는 착색체 등 다양한 장식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석(13‥)은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일단측 자석이다. 일단측 자석(13‥)은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 삽입될 경우에는, 튜브(12)의 원관 중심부와 일단측 자석(13‥)의 중심부가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각 일단측 자석(13‥)은 튜브(12)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보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이들 일단측 자석(13‥)은 강력한 흡자력(예를 들면 2000가우스)이 있는 금속 자석, 예를 들어 페라이트 자석이 사용된다.
자석(14‥)은 튜브(12)에 있어서의 일단측 자석(13‥)이 삽입된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 즉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 내에 삽입되는 복수의 타단측 자석이다. 타단측 자석(14‥)도 일단측 자석(13‥)과 같이,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의 것이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배치로 삽입된다. 이들 타단측 자석(14‥)도 일단측 자석(13‥)과 같이, 강력한 흡자력(예를 들면 2000가우스)이 있는 금속 자석, 예를 들어 페라이트 자석이 사용된다.
일단측 자석(13‥) 및 타단측 자석(14‥)은 튜브(12)를 사용자의 목 주변에 두른 상태에 있어서,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가 중합 또는 교차하는 부분에서 서로 흡자력을 발생한다.
자석(15‥)은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일단측 자석(13‥) 및 타단측 자석(14‥)이 삽입되는 부분 외의 부분, 즉 튜브(12) 내의 중간 부분에 삽입되는 복수의 중간측 자석이다. 이들 중간측 자석(15‥)도 일단측 자석(13‥) 및 타단측 자석(14‥)과 같이,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이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중간측 자석(15‥)이 사용자의 목 주변에 단순히 배치되어, 튜브(12)가 잠금 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부분일 경우에는, 반드시 강력한 흡자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단, 사용 상태에 따라 튜브(12)가 잠금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부분이 될 경우에는, 일단측 자석(13‥) 및 타단측 자석(14‥)과 같이, 페라이트 자석 등의 강력한 흡자력(예를 들면 2000가우스)이 있는 금속 자석을 채용할 수 있다.
일단측 캡(16)은 튜브(12)의 외경과 동일한 지름의 반구형 캡 본체부(20)와 튜브(12)의 구멍 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캡 본체부(20)의 평탄면에서 돌출하는 원주형의 삽입부(21)로 구성되어 있다. 일단측 캡(16)의 원주형 삽입부(21)를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에 삽입하여, 이 일단측 개구부(18)를 캡 본체부(20)에 의해 폐쇄한다. 타단측 캡(17)은 튜브(12)의 외경과 동일 지름의 반구형 캡 본체부(22)와 튜브(12)의 구멍 지름과 동일 지름으로 캡 본체부(22)의 평탄면에서 돌출하는 원주형의 삽입부(23)로 구성되어 있다. 타단측 캡(17)의 원주형의 삽입부(23)를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에 삽입하여, 이 타단측 개구부(19)를 캡 본체부(22)에 의해 폐쇄한다.
도2는 도1에 나타낸 부품을 장신구 본체(11)로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단면도이다. 도2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는 여러 개의 일단측 자석(13)이 직렬 배치로 삽입되는 동시에,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 내에는 여러 개의 타단측 자석(14)이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13,14)이 삽입된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 와의 부분, 즉 중간 부분에는 여러 개의 중간측 자석(15)이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이 튜브(12)의 길이 방향 전체 범위에 배치된다.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의 축 방향 단면이 서로 밀접 상태로 삽입되면, 이들 단면이 기우는 공간적 여유가 없고, 나아가서는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없다. 그래서 각 일단측 자석(13) 상호 사이, 각각 타단측 자석(14) 상호 사이 및 이들과 중간측 자석(15) 사이 및 중간측 자석(15) 상호 사이에는 각각 소정의 틈이 확보되어, 이것에 의해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이 서로 기울어질 수 있고, 나아가서는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있게 된다.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는 일단측 캡(16)과 타단측 캡(17)에 의해 각각 막아져, 접착 또는 나사 구조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튜브(12)의 일단측 캡(16) 및 타단측 캡(17)으로부터 일단측 자석(13) 및 타단측 자석(14) 등이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3은 장신구 본체(11)의 외주면에 외피(25)를 마련한 장신구(24)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외피(25)는 예를 들면 금, 은, 플라티나, 그 밖의 귀금속, 또는 장식 효과를 한 가소성의 각종 선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편조해서 구성한 원통형의 메쉬 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외피(25)는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의 거의 전체를 피복하는 크기로 구성되어 있고, 축 방향 일단측에 일단측 개구부(29)가 형성되는 동시에, 타단측에는 타단측 개구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외피(25)의 일단측 개구부(29) 및 타단측 개구부(30)에 대하여, 이것들을 폐쇄하는 수단으로서, 일단측 개구부(29)를 막는 일단측 외캡(26)과 타단측 개구부(30)를 막는 타단측 외캡(27)이 구비되어 있다. 일단측 외캡(26)은 외피(25)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는 일단 폐쇄의 단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타단의 개구부(31)를 외피(25) 일단측 개구부(29)의 외주측에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타단측 외캡(27)도 외피(25)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는 내경을 가지는 일단 폐쇄의 단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타단에 있는 개구부(32)를 외피(25)의 타단측 개구부(30)의 외주측에 감합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장신구 본체(11)와 외피(25)를 조합시킬 경우에는, 도3에 화살표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 본체(11)의 일단측을 외피(25) 내에 타단측 개구부(30)측에서 삽입한 후,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장신구 본체(11)의 일단측을 외피(25)의 일단측 개구부(29)의 단부 위치에 일치시킨다. 그 후, 외피(25)의 일단측 개구부(29)에 일단측 외캡(26)을 씌워서 접착 등으로 고정하는 동시에, 외피(25)의 타단측에도 타단측 외캡(27)을 씌워서 접착 등으로 고정한다.
도4는 이상의 조작으로 조립이 완성된 장신구(24)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장신구(24)는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의 외주측에 통형의 메쉬 부재인 외피(25)를 피복한 구조로 되고, 외피(25)의 메쉬 부분의 틈으로부터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의 외주면이 보이게 되어 있다. 장신구 본체(11) 및 외피(25)의 일단측은 일단측 외캡(26)의 개구부(31) 내에 삽입되어 외측에서 덮어진 상태가 되고, 장신구 본체(11) 및 외피(25)의 타단측은 타단측 외캡(27)의 개구부(32) 내에 삽입되어 외측에서 덮어진 상태가 된다.
도5는 도4의 A-A선 단면도(장신구(24)의 축 방향 임의 위치에서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이 도5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지름 방향 중심 위치에는 장신구 본체(11)의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의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의 외주측에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가 배치되고, 튜브(12)의 외주측에는 외피(25)가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최외주에 배치된 외피(25)의 메쉬 부분의 틈 또는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의 외주면이 보여, 나아가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 일단측 자석(13), 타단측 자석(14) 및 중간측 자석(15)을 포함하는 장신구(24)가 일체적으로 만곡할 수 있다.
도6은 도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6에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축 방향일단측에 있어서는, 지름 방향 중심 위치에 장신구 본체(11)의 일단측 자석(13)이 배치되어, 이것들의 일단측 자석(13)의 외주측에, 튜브(12), 외피(25) 및 일단측 외캡(26)이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24)의 축 방향 일단측에서는 일단측 외캡(26)에 의해 일단측 자석(13), 튜브(12), 외피(25) 및 일단측 외캡(26)이 일체적으로 고정된다.
한편,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장신구(24)의 축 방향 타단측의 구성에 있어서도 도6과 같이, 지름 방향 중심 위치에 장신구 본체(11)의 타단측 자석(14)이 배치되고, 이 타단측 자석(14)의 외주측에 외피(25) 및 타단측 외캡(27)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축 방향 타단측에서도 타단측 외캡(27)에 의해 타단측 자석(14), 외피(25) 및 타단측 외캡(27)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7은 장신구(24)의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에서는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주변에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목(34)의 후방에서 중합시켜서 자력으로 계지하는 장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장착자(33)가 한쪽 손(오른손)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파지하고, 다른쪽 손(왼손)으로 장신구(24)의 타단측(37)을 파지한다. 그리고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앞측 아래 방향(턱 밑)에서부터 위쪽으로 서서히 들어 올려,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35)의 위쪽을 통해 목(34)의 후방으로 돌린다. 이 다음,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중합시키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은 서로 일정 거리 접근한 위치로 이동되자마자, 흡자력에 의해 즉시 흡착 상태가 된다. 즉, 장착자(33)가 목(34)의 후방에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가까이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또한 강력한 자력에 의해 흡착된다.
도8은 이 흡자력에 의한 흡착을 나타낸다. 도8은 도7의 C부, 즉,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목(34)의 뒤측에 있어서의 중합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며,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에 있어서의 장신구본체(11) 내의 자석 구조 및 흡착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도8에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일단측(36)의 장신구 본체(11) 내에는, 일단측 외캡(26) 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일단측 자석(13(13a, 13b, 13c, 13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3(13a, 13b, 13c, 13d))은 상술한 것처럼,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의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신구(24)의 일단측 외캡(26) 측에 가장 접근한 단부측 배치의 일단측 자석(13a)의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이 일단측 자석(13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에 배치된 일단측 자석(13b)의 N극(N)은 상향, S극(S)은 하향으로 되어 있다. 이 일단측 자석(13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은 또한 2번째의 일단측 자석(13b)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일단측 자석(13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에 배치된 일단측 자석(13d)은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과 반대로,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도 상기한 것과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타단측(37)의 장신구 본체(11) 내에는, 타단측 외캡(27) 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타단측 자석(14(14a, 14b, 14c, 14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4(14a, 14b, 14c, 14d))도 상술한 것과 같이,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는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신구(24)의 타단측 외캡(27) 측에 가장 접근해서 배치된 단부측 배치의 타단측 자석(14a)의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그 다음에, 이 타단측 자석(14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b)은 상기한 것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타단측 자석(14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c)은 2번째의 타단측 자석(14b)과 반대로,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타단측 자석(14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d)은 3번째의 타단측 자석(14c)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에 대해서도, 상기한 것과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상의 내용에 따르면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서는 4개의 일단측 자석(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이 4개의 타단측 자석(14(14a, 14b, 14c, 14d))의 S극(S)과 N극(N)이 각각 대향하는 배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자기 흡착한다. 여기에서 각 자석은 금속 자석이므로 강력하게 자기 흡착하고, 용이하게 풀릴 일이 없다.
또한,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는 상술한 것과 같이, 길이 방향으로 따르는 양단부 사이에 있어서 축 중심 주변에 상대적으로 180° 이상 용이하게 비틀 수 있기 때문에, 장착자의 목에 두른 직후에 N극(N)끼리, 또는 S극히(S)끼리가 대향하는 상태였다고 하더라도, 각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N극(N)과 S극(S)이 마주 향하는 도8의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장착자가 인위적으로 장신구 본체(11)를 회전 조작할 필요가 없고, 목 주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9는 장신구(24)의 장착 상태의 별도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9에서는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주변에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목(34)의 전방에서 하향으로 평행 상태로서 좌우 방향의 자력에 의해 계지하는 장착을 실시한다.
우선 장착자(33)가 한 쪽 손(왼손)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파지하고, 다른 쪽 손(오른손)으로 장신구(24)의 타단측(37)을 파지한다. 그리고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의 후방에서 양 옆으로 내려서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35)의 전방에서 평행하게 가지런히 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중합시킨다. 그러면,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은 서로 일정 거리 접근한 위치에 이동되자마자, 흡자력에 의해 즉시 흡착 상태가 된다. 즉, 장착자(33)가 목(34)의 전방에서 아래로 향하여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가까이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나아가 강력한 자력에 의해 흡착된다.
이 흡자력에 의한 흡착 작용을 도10으로 설명한다. 도10은 도9의 D부, 즉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목(34) 전방 아래 쪽에 있어서의 중합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에 있어서의 장신구 본체(11) 내의 자석 구조 및 흡착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도10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일단측(36)의 장신구 본체(11) 내에는 일단측 외캡(26)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일단측 자석(13(13a, 13b, 13c, 13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3(13a, 13b, 13c, 13d))은 상술한 것처럼,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의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10의 오른쪽에 나와 있는 장신구(24)의 일단측 외캡(26)측에 가장 접근한 단부측 배치의 일단측 자석(13a)의 N극(N)이 좌향, S극(S)이 우향으로 되어 있다. 이 일단측 자석(13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에 배치된 일단측 자석(13b)의 N극(N)은 우향, S극(S)은 좌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일단측 자석(13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은 2번째의 일단측 자석(13b)과 반대로 N극(N)이 좌향, S극(S)이 우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일단측 자석(13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에 배치된 일단측 자석(13d)은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과 반대로, N극(N)이 우향, S극(S)이 좌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도 상기 내용과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타단측(37)의 장신구 본체(11) 내에는 타단측 외캡(27)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타단측 자석(14(14a, 14b, 14c, 14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4(14a, 14b, 14c, 14d))도 상술한 것처럼,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는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신구(24)의 타단측 외캡(27)측에 가장 접근해서 배치된 단부측 배치의 타단측 자석(14a)의 N극(N)이 좌향, S극(S)이 우향으로 되어 있다. 이 타단측 자석(14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b)은 상기 내용과 반대로, N극(N)이 우향, S극(S)이 좌향으로 되어 있다. 이 타단측 자석(14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c)은 2번째의 타단측 자석(14b)과 반대로, N극(N)이 좌향, S극(S)이 우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타단측 자석(14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에 배치된 타단측 자석(14d)은 3번째의 타단측 자석(14c)과 반대로, N극(N)이 우향, S극(S)이 좌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에 대해서도, 상기 내용과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과의 중합부에서는 4개의 일단측 자석(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이 4개의 타단측 자석(14(14a, 14b, 14c, 14d))의 S극(S)과 N극(N)이 각각 대향하는 배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자기 흡착한다. 그리고 각 자석은 금속 자석이므로 강력하게 자기 흡착하여, 용이하게 풀릴 일이 없다.
또한,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는 상술한 것처럼, 길이 방향으로 따르는 양단부 사이에 있어서 축 중심 주변에 대향적으로 180° 이상 용이하게 비틀 수 있기 때문에, 장착자의 목에 두른 직후에 N극(N)끼리, 또는 S극(S)끼리 대향하는 상태였다고 하더라도, 각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N극(N)과 S극(S)이 마주 향하는 도10의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장착자가 인위적으로 장신구 본체(11)를 회전 조작할 필요 없이, 목 주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11은 본 실시 형태에서 채용하는 잠금 도구(41)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4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서 형성형 또는 굽힘 가공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 잠금 도구(41)의 중앙부(42)는 거의 직선형이며, 일단부(43)가 상술한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조금 큰 내경으로 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일단부(43)의 선단 사이에는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작은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41)의 만곡된 일단부(43) 내의 원 형상 공간 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할 수 있는 한 쪽의 통과부(45)가 된다.
또한, 잠금 도구(41)의 타단부(44)는 일단부(43)와 반대의 방향으로 원형상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 만곡 부분의 내경도 상술한 장신구(24)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으로 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타단부(43)의 선단 사이에도,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작은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41)의 만곡된 타단부(44) 내의 원 형상 공간 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할 수 있는 다른 쪽의 통과부(46)가 된다.
도12는 도11에서 나타내는 잠금 도구(41)를 채용한 장착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술한 도7의 장착, 즉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주변에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목(34)의 후방에서 중합시켜서 자력에 의해 계지하는 장착에 대하여, 잠금 도구(41)를 사용하여 장신구(24)를 목 주변에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2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착자는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파지하고, 장신구(24)를 목 앞쪽 아래 방향에서 위쪽으로 들어 올리고,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의 위쪽을 통해서 목의 후방으로 돌려 잠근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좌향 화살표로 가리키는 것처럼, S자형을 한 잠금 도구(41)의 한 쪽 통과부(45)에 통과시킨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36)을 우향 화살표로 가리키는 것처럼, S자형을 한 잠금 도구(41)의 다른 쪽의 통과부(46)에 통과시킨다.
도13은 도12에 이어서 잠금 도구(41)를 채용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S자형을 한 잠금 도구(41)의 한 쪽 통과부(45)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일단부(43)의 선단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S자형을 한 잠금 도구(41)의 다른 쪽의 통과부(46)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타단측(37)은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타단부(44)의 선단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타단측(37)도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이렇게 S자형의 잠금 도구(41)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장신구(24)는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되어 있는 것에 더해, 잠금 도구(41)의 유지력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의 이탈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 외부로부터 벗겨지는 등의 일로 풀리는 일이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로부터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41)의 통과부(45,46)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36) 또는 타단측(36)을 축 방향으로 뽑는 것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도14는 도11에서 나타낸 잠금 도구(41)를 채용한 장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장착은 상술한 도9의 장착 방법, 즉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의 후방에서 앞쪽 아래 방향으로 늘어지도록 해서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목(34)의 전방에서 세로 상태로 해서 좌우 방향에서 중합시켜 자력에 의해 계지하는 장착에 대하여, 잠금 도구(41)를 사용하여 장신구(24)를 목 주변에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4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착자는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파지하고, 장신구(24)를 목의 후방에서 양쪽으로 돌려 감고,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의 위쪽을 통해서 목의 전방으로 돌려 잠근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하향 화살표로 가리킨 것처럼, 가로방향을 한 S자형의 잠금 도구(41)의 한쪽 통과부(45)에 통과시킨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37)을 하향 화살표로 가리킨 것처럼, 가로방향을 한 S자형의 잠금 도구(41)의 다른 쪽의 통과부(46)에 통과시킨다.
도15는 도14에 이어서 잠금 도구(41)를 채용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가로 방향으로 한 S자형의 잠금 도구(41)의 한 쪽 통과부(45)에 위쪽에서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일단부(43)의 선단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가로 방향으로 한 S자형의 잠금 도구(41)의 다른 쪽의 통과부(46)에 위쪽에서 통과시킨 장신구(24)의 타단측(37)은 잠금 도구(41)의 직선형의 중앙부(42)와 타단부(44)의 선단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타단측(37)도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이 예에 있어서도, S자형의 잠금 도구(41)를 사용하여 고정된 장신구(24)는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되어 있는 것에 더해, 잠금 도구(41)의 유지력에 의해 주위 방향으로의 이탈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 외부로부터 벗겨지는 등의 일로 풀리는 일이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에서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41)의 통과부(45, 46)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36) 또는 타단측(37)을 위쪽 방향으로 뽑는 것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도16은 본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24)의 잠금 도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6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이 잠금 도구(5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서 형성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 잠금 도구(51)의 틀체(52)는 「8」자형이며, 일단측 틀부(53)가 상술한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조금 큰 내경으로 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51)의 일단측 틀부(53) 내의 원 형상 공간 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과할 수 있는 한 쪽의 통과부(55)로 되어 있다.
잠금 도구(51)의 타단측 틀부(54)에는 일단측 테두리부(53)와 같은 원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의 내경도 상술한 장신구(24)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51)의 만곡된 타단측 틀부(54) 내의 원 형상 공간 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과할 수 있는 다른 쪽의 통과부(56)로 되어 있다.
도17은 도16에서 나타낸 잠금 도구(51)를 채용한 장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장착은, 상술한 도7의 장착에 대하여, 잠금 도구(51)를 사용하여 장신구(24)를 목 주변에 더욱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7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착자는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파지하고, 장신구(24)를 목 앞 아래에서 위쪽으로 들어 올리고,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의 위쪽을 통해서 목의 후방으로 돌린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좌향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한 쪽 통과부(55)에 통과시킨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36)을 우향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통과시킨다.
도18은 도17에 이어서 잠금 도구(51)를 채용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한 쪽 통과부(55)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일단측 틀부(53)의 통과부(55)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타단측(37)은 잠금 도구(51)의 틀체(52)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타단측(37)도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이와 같이 안경형의 잠금 도구(51)를 사용하여 고정된 장신구(24)는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유지력에 의해, 도11에 나타낸 잠금 도구(41)보다도 더욱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 외부로부터 벗겨지는 등의 일로 풀리는 일이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에서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51)의 통과부(55,56)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36) 또는 타단측(37)을 축 방향으로 뽑는 것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도19는 도16에 나타낸 안경형의 잠금 도구(51)를 채용한 장착을 나타내는 설명 도이다. 이 장착 과정은 상술한 도9의 장착에 대하여, 안경형의 잠금 도구(51)를 사용하여 장신구(24)를 목 주변에 더욱 확실하게 잠글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19에 가리키는 것 같이, 장착자는 장신구(24)의 일단측(36)과 타단측(37)을 파지하고, 장신구(24)를 목의 후방에서 양측으로 감고,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의 위쪽을 통해서 목의 전방으로 돌린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일단측(36)을 하향 화살표로 가리키는 것처럼, 가로 방향으로 한 안경형의 잠금 도구(51)의 한 쪽 통과부(55)에 통과시킨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36)을 하향 화살표로 가리키는 것처럼, 가로 방향으로 한 안경형의 잠금 도구(51)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통과시킨다.
도20은 도19에 이어서 안경형의 잠금 도구(51)를 채용한 장착을 나타내는 확대 도이다. 가로 방향을 한 안경형의 잠금 도구(51)의 한 쪽 통과부(55)에 위쪽에서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51)의 한 쪽 통과부(55)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36)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가로 방향으로 한 안경형의 잠금 도구(51)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위쪽에서 통과시킨 장신구(24)의 타단측(37)은 잠금 도구(51)의 다른 쪽의 통과부(56)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타단측(37)도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이 예에 있어서도, 안경형의 잠금 도구(51)를 채용해서 고정된 장신구(24)는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되어 있는 것에 더해, 안경형의 잠금 도구(51)의 유지력에 의해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한층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 외부로부터 벗겨지는 등의 일로 풀리는 일이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에서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51)의 통과부(55,56)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36) 또는 타단측(36)을 위쪽 방향으로 뽑는 것 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피(25)를 튜브(12)와 별개의 독립된 구성으로 했으나, 외피(25)는 튜브(12)의 표면 부분 자체를 가공하거나, 튜브(12)의 표면 부분에 매설하거나, 접착하는 것 등을 통해 일체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자석(13,14,15)은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자석(13,14,15)의 외경에 대하여, 튜브(12)의 내경을 얼마 정도 크게 하는 것으로 가능해진다. 이렇게 자석(13,14,15)이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에서는 튜브(12)의 양단부를 포갰을 때에 마주 보는 자석이 N극과 N극의 동극이 되어 있어도, 동극 사이에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자석이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여 대향하고 있는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되어서 흡자력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본체(11)이 링형이 되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장착이 가능해 진다.
(제2 실시 형태) 도21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본체의 부품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장신구 본체(11)는 양단이 개구하는 1개의 끈형 튜브(12)와 튜브(12) 내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자석(63‥)과 튜브(12) 내에 자석(63‥)과 교대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65‥)와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68)를 막는 일단측 캡(16)과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를 막는 타단측 캡(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석(63‥)은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삽입된다. 자석(63‥)이 튜브(12) 내에 삽입될 경우에는 튜브(12)의 원통의 중심부와 일단측 자석(63‥)의 중심부가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각 일단측 자석(63‥)은 튜브(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자석(63‥)은 강력한 흡자력(예를 들면 2000가우스)이 있는 금속 자석, 예를 들면 페라이트 자석이 사용된다. 이들 자석(63‥)은 튜브(12)를 사용자의 목 주변에 두른 상태에서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68)와 타단측 개구부(69)가 중합 또는 교차하는 부분에서 서로 흡인력을 발생하는 것이 된다.
한편, 튜브(12)의 중간 부분으로, 자석(63‥)이 사용자의 목 주변에 단순 배치되어, 튜브(12)가 잠금 수단으로서 기능하지 않는 부분일 경우에는, 반드시 강력한 흡자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스페이서(65‥)는 예를 들면 자석(63‥)과 1개씩 교대로 튜브12에 삽입되고, 이들 스페이서(65‥)도 자석(63‥)과 같이,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이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스페이서(65‥)에는 자성 재료 및 비자성 재료 등의 다양한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65‥)의 재질로는, 철, 스테인레스강 등 기타 철계 금속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자석(63‥)의 길이 방향으로의 자력선 통과가 좋아진다. 또한, 스페이서(65‥)의 재질로는, 철계 금속 외의 비철금속, 예를 들면 티탄늄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스페이서(65‥)에는 금, 은 등의 귀금속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귀금속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호화성, 중량감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헤마타이트 등의 귀석류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귀석류를 적용했을 경우에는,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도22는 도21에 나타낸 부품을 장신구 본체(61)로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22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는 복수 개의 일단측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로 삽입되는 동시에,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 내에도 복수 개의 타단측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삽입된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 이외의 부분, 즉 중간 부분에도 복수 개의 중간측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이렇게,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튜브(12)의 길이 방향 전체 범위에 걸쳐서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되어 있다. 단, 자석(63‥)과 스페이서(65‥)는 반드시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자석(63‥)을 2개, 스페이서(65‥)를 1개씩 교대로 배치하거나, 그 밖의 임의 수마다 배열할 수도 있다.
한편, 일단측의 자석(63‥), 타단측의 자석(63‥) 및 중간측의 자석(63‥)의 축 방향 단면이 서로 밀접 상태로 삽입되면, 이들 단면이 기우는 공간적 여유가 없고, 나아가서는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없다. 그래서 각 일단측의 자석(63‥) 상호 사이, 각각 타단측의 자석(63‥) 상호 사이 및 이들과 중간측의 자석(63‥)과의 사이 및 중간측의 자석(63‥) 상호 사이에는 각각 소정의 틈이 확보되어, 이것으로 의해 일단측의 자석(63‥), 타단측의 자석(63‥) 및 중간측의 자석(63‥)이 서로 기울 수 있고, 나아가서는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는 일단측 캡(16)과 타단측 캡(17)에 의해 각각 막아져, 접착 또는 나사 구조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튜브(12)의 일단측 캡(16) 및 타단측 캡(17)으로부터 일단측의 자석(63‥) 및 타단측의 자석(63‥) 등이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페이서(65‥)를 자석(63‥)과 교대로 튜브(12)에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여, 다양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 한 바와 같이, 스페이서(65‥)에 철, 스테인레스강 등 기타 철계 금속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자석(63‥)의 길이 방향으로의 자력선 통과가 좋아 질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65‥)의 재질로 철계 금속 외의 비철금속, 예를 들면 티탄늄 등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고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65‥)에 금, 은 등의 귀금속을 적용했을 경우에는, 호화성, 중량감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헤마타이트 등의 귀석류를 적용했을 경우에는, 사용감을 높일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자석(63)을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자석(63)이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에서는, 튜(12)의 양단부를 포갰을 때에 대향한 자석이 N극과 N극의 동극이 되어 있어도, 동극 간에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자석이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여 대향하고 있는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되어서 흡자력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본체(11)가 링형이 되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장착이 가능해 진다. 이 경우, 스페이서(65)를 튜브(1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 도2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본체의 부품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장신구 본체(11)는 양단이 개구하는 1개의 끈형의 튜브(12)와 이 튜브(12) 내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자석(63‥)과 튜브(12) 내의 단부 외의 중간 부분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65‥)와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를 막는 일단측 캡(16)과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를 막는 타단측 캡(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석(63‥)은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소정 수 인접해서 배치되는 것이라고 하고 있다. 이들 자석(63)이 ‥튜브(12) 내에 삽입될 경우에는, 튜브(12)의 원관의 중심부와 자석(63‥)의 중심부가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자석(63‥)은 튜브(12)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스페이서(65‥)는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63‥)이 배치된 부분 이외, 즉 일단측과 타단측을 제외하는 중간 부분에 배치되게 되어 있다. 이들 스페이서(65‥)도 자석(63‥)과 같이,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의 것이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스페이서(65‥)에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자성 재료 및 비자성 재료 등 각종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65‥)의 재질로는 철, 스테인레스강 등 기타 철계 금속, 티탄늄 등의 비철금속, 금, 은 등의 귀금속, 나아가 헤마타이트 등의 귀석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24는 도21에 나타낸 부품을 장신구 본체(81)로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도24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는 복수 개의 일단측의 자석(63‥)이 직렬 배치로 삽입되는 동시에,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 내에도 복수 개의 자석(63‥)이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63)이 삽입된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 외의 부분, 즉 중간 부분에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65‥)가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한편, 일단측의 자석(63‥), 타단측의 자석(63‥) 및 중간측의 스페이서(65‥)의 축 방향 단면이 서로 밀접 상태로 삽입되면, 이것들의 단면이 기우는 공간적 여유가 없어,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없다. 그래서 각 일단측의 자석(63‥) 상호 사이, 각각 타단측의 자석(63‥) 상호 사이 및 이들과 중간측의 스페이서(65‥)와의 사이 및 중간측의 스페이서(65‥) 상호 사이에는 각각 소정의 틈이 확보되어, 이것으로 의해 일단측의 자석(63‥), 타단측의 자석(63‥) 및 중간측의 스페이서(65‥)가 서로 기울 수 있고, 나아가서는 튜브(12)를 만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튜브(12)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소정 수의 자석(63‥)을 배치했으므로, 튜브(12)의 각 단부끼리를 서로 자기 흡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자석(63)을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자석(63)이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에서는, 튜(12)의 양단부를 포갰을 때에 대향한 자석이 N극과 N극의 동극이 되어 있어도, 동극 간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자석이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여, 대향하고 있는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되어서 흡자력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본체(11)가 링형이 되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장착이 가능해 진다. 한편, 자석(63)에 더해서 스페이서(65)도 튜브(11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2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 본체의 부품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장신구 본체(11)는 양단이 개구하는 1개의 끈형의 튜브(12)와 이 튜브(12) 내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자석(63‥)과 이들 자석(63) 사이에 교대로 배치되는 스페이(65‥)와 튜브(12) 내의 단부 외의 중간 부분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65‥)와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를 막는 일단측 캡(16)과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를 막는 타단측 캡(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석(63‥)은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에 소정 수 배치되는 것이라 하고 있다. 이들 각 자석(63‥)의 상호 간에는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자석(63‥) 및 스페이서(65‥)가 튜브(12) 내에 삽입될 경우에는, 튜브(12)의 원관의 중심부와 자석(63‥) 및 스페이서(65‥)의 중심부가 일치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자석(63‥) 및 스페이서(65‥)는 튜브(12)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각 자석(63‥)은 강력한 흡자력(예를 들면 2000가우스)이 있는 금속 자석, 예를 들면 페라이트 자석이 사용된다. 그리고 이들 자석(63‥)은 튜브(12)를 사용자의 목 주변에 두른 상태에서,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와 타단측 개구부(19)가 중합 또는 교차하는 부분에서 서로 흡인력을 발생하는 것이 된다. 스페이서(65‥)는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63‥)이 배치된 부분 외, 즉 일단측과 타단측을 제외한 중간 부분에도 배치된다. 이들 스페이서(65‥)도 자석(63‥)과 같이, 지름 및 길이가 동일한 원주형의 것이고, 튜브(12) 내의 길이 방향에 따라, 축 방향 단부가 각각 마주하는 직렬 배치로 삽입된다.
도26은 도25에 나타낸 부품을 장신구 본체(101)로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전체 단면도이다. 튜브(12)의 일단측 개구부(18) 내에는 복수 개의 일단측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로 삽입되는 동시에, 튜브(12)의 타단측 개구부(19) 내에도 복수 개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1개씩 교대로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튜브(12) 내에 있어서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가 삽입된 일단측(18)과 타단측 개구부(19) 외의 부분, 즉 중간부분에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65‥)가 직렬 배치로 삽입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튜브(12)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소정 수의 자석(63‥)과 스페이서(65‥)를 교대로 배치했으므로, 튜브(12)의 각 단부끼리를 서로 자기 접착할 수 있는 동시에, 스페이서(65‥)에 의한 여러 가지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자석(63)을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자석(63)이 튜브(1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에서는 튜브(12)의 양단부를 포갰을 때 대향한 자석이 N극과 N극의 동극이 되어 있어도, 동극 간에 작용하는 척력에 의해 자석이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여 대향하고 있는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되어서 흡자력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본체(11)가 링형이 되기 때문에, 신체에 대한 장착이 가능해 진다. 한편, 자석(63)에 더해서 스페이서(65)도 튜브(112)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27은 본 고안의 제5 실시 형태를 통한 장신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27에 나타낸 것처럼, 본 실시 형태의 장신구 본체(11)에서는 튜브(12)의 일단측(18)과 타단측(19)과의 중합부에서 튜브(12) 내에 복수의 자석(63a, 63b)이 배치되어 있다.
튜브(12)의 일단측(18) 내에는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복수의 자석(63b)과 이들 자석(63b) 보다도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a)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튜브(12)의 일단측 외캡(16)으로부터 3개째까지는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자석(63b)이 배치되고, 일단측 외캡(16)으로부터 4개째에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b)이 배치되어 있다. 일단측 외캡(16)으로부터 5개째 등에는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자석(63b)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복수 개의 자석(63b) 중에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a)이 끼워져 있는 배치로 튜브(12) 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튜브(12)의 타단측(19) 내에 있어서도,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복수의 자석(63b)과 이들 자석(63b) 보다도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a)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튜브(12)의 타단측 외캡(17)으로부터 1개째는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자석(63b)이 배치되고, 타단측 외캡(17)으로부터 2개째에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a)가 배치되어 있다. 타단측 외캡(17)로부터 3개째 등에는 일정한 흡자력이 있는 자석(64b)이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복수 개의 자석(64b) 중에 흡자력이 강한 1개의 자석(63a)이 끼워져 있는 배치로 튜브(12) 내에 형성되어 있다. 단, 그림에 나와 있는 구성은 하나의 예이며, 흡자력이 강한 자석(113)의 수, 배치 등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흡자력을 몇 단계로 나누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장신구 본체(11)의 특정 개소를 강한 흡자력으로 접착 고정할 수 있으며, 목적 및 용도 등에 따라서 임의의 접착 강도의 장신구로 할 수 있다.
도28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 적용하는 자석의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28에 나타낸 자석(74)은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도29는 도28에 나타낸 자석(74)을 복수 개 직렬로 배치했을 경우의 배열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복수의 원주형의 자석(74), 즉 제1의 자석(74a), 제2의 자석(74b), 제3의 자석(74c) 및 제4의 자석(74d)이 축 방향 단면을 서로 대향하는 배치로 수평 방향으로 1열로 직렬 배치되어 있다. 제1의 자석(74a)에서는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제1의 자석(74a)에 인접하는 제2의 자석(74b)의 N극(N)은 상향, S극(S)은 하향으로 되어 있다. 이 제2의 자석(74b)에 인접하는 제3의 자석(74c)에서는 제2의 자석(74c)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제3의 자석(74c)에 인접하는 제4의 자석(74d)은 제3자석(74c)과 반대로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도30은 도29에 나타낸 배열의 자석(74a∼74d)을 튜브(12)의 일단측에 삽입하는 동시에, 타단측에도 동일한 배열로 자석(74e∼74h)을 삽입한 장신구의 흡착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튜브(12)의 일단측을 상측에 배치하고, 튜브의 타단측을 하측에 배치하고, 자석(74a∼74d)과 자석(74e∼74h)을 주면이 마주하도록 해서 접근했을 경우, 자석(74a∼74d)의 N극(N) 및 S극(S)과 자석(74e∼74h)의 N극(N) 및 S극(S)과는 각각 다른 자극끼리가 마주 향해서 흡자력이 발휘된다. 이것에 의해,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작용이 이루어져 양단이 접착된다.
이것에 대하여, 1개의 튜브 내에 상기 동일한 자석을 삽입해서 링형으로 만곡시켰을 경우, 반드시 도30에 나타낸 것과 같은 튜브 양단의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직접 마주하는 상태가 된다고는 할 수 없다. 도31은 이렇게 튜브 양단의 자석이 다른 극끼리가 직접 마주하는 상태가 되지 않고, 동극이 대향하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 도31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예를 들면 튜브(12)를 만곡시켜서 링형으로 하고, 양단을 중합 상태로 했을 경우, 튜브(12)의 일단측에 상기 동일한 배열로 삽입한 자석(74i, 74j, 74k, 74l)의 N극(N) 및 S극(S)과 튜브(12)의 타단측에 상기 동일한 배열로 삽입한 자석(74m, 74n, 74o, 74p)의 N극(N) 및 S극(S)이 각각 동극끼리 대향하는 상태가 될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상술한 각 실시 형태의 구성에 있어서는, 자석을 금속 자석으로 하는 동시에, 튜브가 유연성이 있는 합성 수지 또는 고무질 등의 유연성 재료에 의해 원관형으로 구성하고, 이 구성에 의해, 튜브가 길이 방향에 따르는 양단부 간에 있어서 축 중심 주변에 상대적으로 180° 이상 용이하게 비틀 수 있으므로, 튜브(12)의 일단측의 자석(74i, 74j, 74k, 74l)의 N극(N) 및 S극(S)과 튜브(12)의 타단측의 자석(74m, 74n, 74o, 74p)의 N극(N) 및 S극(S)이 다른 극끼리 끌어 당겨, 도31에 회전 화살표로 가리킨 것처럼 튜브(12)가 회전한다. 이 결과, 도30에서 가리킨 것처럼 각 자석의 다른 극끼리가 대향하고, 튜브(12)의 양단측끼리가 강력하게 접착되어, 확실하게 링형이 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70은 본 고안의 제6실시 형태의 장신구(7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장신구(700)는 심선(720)이 링형의 무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심선(720)이 복수의 장식 부재(710)를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연주형으로 되어 있다. 장식 부재(710)는 심미성을 갖는 재료, 형상, 외관, 상태 등을 갖추고 있는데, 예를 들면 원형의 펄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석이 사용된다.
복수의 장식 부재(710)를 삽입 통과하는 심선(720)은 형상 기억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심선(720)의 선 지름(굵기)은 장식 부재(710)의 크기에 맞춰서 변경되는 것이며, 예를 들면, 0.3∼2.0mm의 범위에서 선정된다. 심선(720)에 사용되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는 Ni-Ti계 합금, Cu-Zn-Al계 합금, Cu-Zn-Si계 합금, 그 밖의 합금이 선택된다.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심선(720)은 장착자의 체온(약 35도)을 변태점의 기준으로 하여 초탄성을 발휘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심선(720)은 30도 온도 이상이 되는 것에 의해 링형으로 복원될 수 있도록 열처리가 되어 있다. 다시 말해, 30도 미만의 환경에서는, 심선(720)은 초탄성을 발휘하지 않고, 외력에 맞춰서 임의의 형태로 랜덤으로 변형하나, 30도 이상이 되면, 심선(720)은 둥근 링형으로 복원되고, 이 형상을 유지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700)의 전체가 도70에 나타낸 것처럼 루프로 된 무단 링형이 되고, 장착자의 목 등의 신체 부위에 대한 장착 상태가 된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0도를 초과함으로써 루프로 된 링형이 되는 심선(720)을 장식 부재(710)에 삽입 통과하였기 때문에, 장착자의 신체에 장착하고, 장착자의 체온이 전달되어 30도가 넘으면 장신구(700) 전체가 자동적으로 루프로 된 링형이 된다. 이 때문에, 루프로 된 링형으로 간단하고 확실하게 잠글 수 있어, 도난 등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용자에 대한 장착성이 좋고, 나아가 사용자 자신에 의한 탈장착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잠금 도구가 없어도 일정한 온도 환경 하에서는, 장착자의 신체 부위에 대한 장착 상태가 되므로, 잠금 도구에 대한 번거로운 조작이 불필요해지는 동시에, 사용자에 대한 장착성이 향상된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본 고안의 장신구는 더욱 잠금 도구를 갖추는 것이며, 이하, 잠금 도구의 각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잠금 도구의 제1예) 도32는 본 고안의 장신구(24)에 사용될 수 있는 제1예의 잠금 도구(540)를 나타낸다. 잠금 도구(540)는 금구 클립형을 이루는 것으로, 한 쌍의 끼움편(541) 및 끼움편(542)을 힌지 축(543)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쪽 끼움편(541)은 일정 폭의 만곡편으로 되어 있고, 이 한 쪽의 끼움편(541)은 장신구(24)(장신구 본체(11)도 동일)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일단측 잠금부(539)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타단측 잠금부(544)가 인접하는 일체의 만곡판으로 되어 있다. 일단측 잠금부(539)의 외측 단부의 일측부에는 판폭 방향에 따르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힌지 통(54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측 잠금부(539)의 외측 단부의 타측부에는 판폭 방향에 따르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른 힌지 통(547)이 힌지 통(546)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 축 상에 연설되어 있다. 일단측 잠금부(539)의 요면측과 타단측 잠금부(544)의 요면측 사이에는 평탄면형의 중간 개폐부(548)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측 잠금부(544)의 외측 단부에는 평판형의 개폐측 단부(54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폐측 단부(545)에는 핀 축(550)이 돌설되어 있고, 핀 축(550)의 선단에는 대경두부(551)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쪽의 끼움편(542)은 한 쪽 끼움편(541)과 거의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일정 폭의 만곡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다른 쪽의 끼움편(542)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일단측 잠금부(552)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타단측 잠금부(553)가 인접하는 일체의 만곡판으로 되어 있다. 일단측 잠금부(552)의 외측 단부의 일측부에는 판폭 방향에 따르는 관통공이 형성된 힌지 통(55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힌지 통(555)은 한 쪽 끼움편(541)의 힌지 통(546)과 힌지 통(547) 사이에 동일한 축에서 배치되어 있다. 이들 힌지 통(546), 힌지 통(555) 및 힌지 통(547)에는 1개의 힌지 축(546)이 통과되어 있고, 이 힌지 축(546)을 중심으로 하여, 한 쪽 끼움편(541)과 다른 쪽의 끼움편(542)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른 쪽의 끼움편(542)에 있어서도 한 쪽 끼움편(541)과 같이, 일단측 잠금부(552)의 요면측과 타단측 잠금부(553)의 요면측 사이에 평탄면형 중간 개폐부(556)가 형성되어 있다. 타단측 잠금부(553)의 외측 단부에는 평판형의 개폐측 단부(55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개폐측 단부(554)에는 핀 축(550)과 계합할 수 있는 핀받이(557)가 돌설되어 있다. 이 핀받이(557)는 서로 대향하는 원호형의 한쪽 핀 축 유지편(558)과 다른 쪽의 핀 축 유지편(559)이 있고, 이들 한 쪽 핀 축 유지편(558)과 다른 쪽의 핀 축 유지편(559)의 선단부 사이에는 개구부(560)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쪽 핀 축 유지편(558)과 다른 쪽의 핀 축 유지편(559)은 탄성을 가지고 있고, 힌지 축(543)을 중심으로 해서 한 쪽 끼움편(541)과 다른 쪽의 끼움편(542)을 닫듯이 회전시켰을 경우에 핀 축(550)의 선단의 대경두부(551)가 삽입 통과되어 감합할 수 있고, 이 끼움편(541, 542)과 핀 축(550)의 감합에 의해, 일정 이상의 인장력이 부여되지 않는 한, 양 끼움편(541, 542)이 감착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33은 장신구(24)를 잠금 도구(540)로 잠글 경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 도33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를 U자형으로 만곡시켜, 잠금 도구(540)에 대하여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서로 접근시킨다. 한편,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선단에는 외캡(27)이 있고, 타단측의 선단에는 외캡(26)이 있다.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은 잠금 도구(540)의 끼움편(541)의 요면측에 통과된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 및 외캡(26)은 잠금 도구(540)의 타단측 잠금부(544)의 요면측에 통과된다. 그리고 힌지 축(543)을 중심으로 하고, 개폐부(554) 측을 개폐측 단부(545)를 향해서 회전하고, 잠금 핀(549)에 핀받이(557)를 감합시킨다.
도34는 장신구의 잠금 상태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캡(27)과 타단측의 외캡(26)은 일단측과 타단측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평행하게 가지런히 정돈한 상태로 접근하여, 중합 상태가 된다. 그리고 잠금 도구(540)는 힌지 축(543)을 중심으로 회전해서 서로 닫고, 잠금 핀(549)과 핀받이(557)가 결합하고, 대경두부(551)에 의해 계지된다.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일단측 잠금부(552)와 타단측 잠금부(553)에 의해 각각 유지된다.
도35는 잠금 도구(54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주변에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목(34)의 후방에서 중합시켜서 자력으로 계지한다.
우선 장착자(33)가 한 쪽 손(오른손)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파지하고, 다른 쪽의 손(왼손)으로 장신구(24)의 타단측을 파지한다. 그리고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앞쪽 하방(턱 아래)에서부터 위쪽으로 서서히 들어 올려,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35)의 위쪽을 통해서 목(34)의 후방으로 두른다. 이 다음,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중합시키도록 한다.
그러면,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서로 일정 거리 접근한 위치에 이동되자마자, 흡자력에 의해 즉시 흡착 상태가 된다. 즉, 장착자(33)가 목(34)의 후방에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가까이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나아가 강력한 자력에 의해 장착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10에서 가리킨 것처럼, 잠금 도구(540)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착탈 가능한 잠금 도구(40)에 의해 장신구(24)를 용이하게 장착 고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장착 상태는 견고해지고, 뜯겨서 풀릴 우려 등은 없다.
도36은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목(34)의 뒤측에 있어서의 중합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일단측의 장신구 본체(11) 내에는, 일단측 외캡(26) 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일단측 자석(13(13a, 13b, 13c, 13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3(13a, 13b, 13c, 13d))은 상술한 것처럼,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석(13(13a, 13b, 13c, 13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의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신구(24)의 일단측 외캡(26)측에 가장 접근한 단부측 배치의 일단측 자석(13a)의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일단측 자석(13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로 배치된 일단측 자석(13b)의 N극(N)은 상향, S극(S)은 하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일단측 자석(13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은 2번째의 일단측 자석(13b)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일단측 자석(13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에 배치된 일단측 자석(13d)은 3번째의 일단측 자석(13c)과 반대로,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도 상기 내용과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중합부에 있어서, 타단측의 장신구 본체(11)내에는, 타단측 외캡(27)측에서 예를 들면 4개의 타단측 자석(14(14a, 14b, 14c, 14d))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자석(14(14a, 14b, 14c, 14d))도 상술한 것처럼, 각각 원주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N극(N)과 S극(S)은 원주의 서로 반대측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자석(14(14a, 14b, 14c, 14d))의 서로 인접하는 것끼리는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신구(24)의 타단측 외캡(27)측에 가장 접근해서 배치된 단부측 배치의 타단측 자석(14a)의 N극(N)이 상향이고,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이타단측 자석(14a)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2번째로 배치된 타단측 자석(14b)은 상기와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타단측 자석(14b)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3번째로 배치된 타단측 자석(14c)은 2번째의 타단측 자석(14b)과 반대로, N극(N)이 상향, S극(S)이 하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타단측 자석(14c)에 인접하는 단부측에서 4번째로 배치된 타단측 자석(14d)은 3번째의 타단측 자석(14c)과 반대로, N극(N)이 하향, S극(S)이 상향으로 되어 있다. 이 다음에 이어지는 중간측 자석(15)에 대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N극(N)과 S극(S)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장신구 24의 일단측과 타단측과의 중합부에서는 4개의 일단측 자석 13(13a, 13b, 13c, 13d)의 N극(N)과 S극(S), 4개의 타단측 자석 14(14a, 14b, 14c, 14d) S극(S)과 N극(N)이 각각 대향하는 배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 자기 흡착하게 된다. 그리고 각 자석은 금속 자석이기 때문에 강력하게 자기 흡착하고, 쉽게 풀릴 일이 없다.
또한, 장신구 본체(11)의 튜브(12)는 상술한 것처럼, 길이 방향에 따르는 양단부 간에 있어서 축심 주변에 대향적으로 180° 이상 용이하게 비틀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장착자의 목에 두른 직후에 N극 (N)끼리, 또는 S극 (S)끼리가 대향하는 상태였다고 하더라도, 각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자연히 N극(N)과 S극(S)이 마주 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장착자가 인위적으로 장신구(24)를 회전 조작할 필요 없이, 목 주변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2예) 도37은 제2예의 잠금 도구(570)이다. 제2예의 잠금 도구(570)은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 또는 굽힘 가공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이 잠금 도구(570)의 중앙부(571)은 거의 직선형이며, 일단부(572)가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조금 큰 내경으로 원 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570)의 직선형의 중앙부(571)와 일단부(572)의 선단과의 사이에는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작은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570)의 만곡된 일단부(572) 내의 원 형상 공간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할 수 있는 한 쪽의 통과부(575)로 되어 있다.
잠금 도구(570)의 타단부(573)는 일단부(572)와 반대 방향으로 원 형상으로 만곡되어, 이 만곡 부분의 내경도 상술한 장신구(24)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으로 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570)의 직선형 중앙부(571)와 타단부(543)의 선단 사이에도,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작은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잠금 도구(570)의 만곡된 타단부(573) 내의 원 형상 공간 부분은 장신구(24)의 선단을 통할 수 있는 다른 쪽의 통과부(546)로 되어 있다.
또한, 잠금 도구(570)의 일단측(572)에는 자석(576)이 형성되어, 이 자석(576)의 자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흡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잠금 도구(570)의 타단측에도 자석(577)이 형성되어, 이 자석(577)의 자력에 의해 장신구(24)의 타단측을 흡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570)에서는 장신구(24)를 장착자(33)의 목(34) 주변에 장착하고,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목(34)의 후방에서 중합시켜 자력으로 계지하는 것에 의해 장신구(24)를 목 주변에 더욱 확실하게 잠글 수 있다.
즉, 장착자는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파지하고, 장신구(24)를 목 앞쪽 아래 방향에서 위쪽 방향으로 들어 올리고, 장신구(24)의 양단을 어깨의 위쪽을 통해서 목의 후방으로 두른다. 그리고 장신구(24)의 일단측을 S자형을 한 잠금 도구(570)의 한쪽 통과부(574)에 통과시킨다. 또한,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우측방향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S자형을 한 잠금 도구(570)의 다른 쪽의 통과부(575)에 통과시킨다. 이렇게 S자형을 한 한 쪽의 통과부(575)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은 잠금 도구(570)의 직선형 중앙부(571)와 일단부(572)의 선단에 의해 주위으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S자형을 한 잠금 도구(570)의 다른 쪽의 통과부(575)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타단측은 잠금 도구(570)의 직선형 중앙부(571)와 타단부(573)의 선단에 의해 주위로부터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타단측도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이렇게 S자형의 잠금 도구(570)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된 뒤, 잠금 도구(570)의 유지력에 의해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지는 등의 이유로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로부터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570)의 통과부(574, 575)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을 축 방향으로 뽑는 것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잠금 도구의 제3예) 도38은 제3예의 잠금 도구(8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3예의 잠금 도구(8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81)는 원통형의 일단부(83)와 타단부(84)를 몸체(82)를 통해서 일체 연결되어, 안경형의 외곽선을 구성하고 있다.
원통형의 일단부(8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6)을 통과하는 한쪽의 공간(통과부)(8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8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원통형의 일단부(8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또한, 원통형의 타단부(84)의 공간(86)도 일단부(83)와 거의 같은 지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 도구(81)의 원통형의 일단부(83)의 내부에는, 내부 링(91)이 삽입되어 있다. 이 내부 링(91)은 원통형의 일단부(83)의 내부에서 장신구(24)끼리 겹쳐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원통형의 일단부(83)에 설치된 나사공(93) 내에 삽입한 누름 나사(92)에 의해, 장신구끼리 겹치는 방향으로 압동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의 타단부(84)의 공간(86)의 내부에도 내부 링(94)이 삽입되어 있다. 이 내부 링(94)도 원통형의 타단부(84)의 내부에서 장신구끼리 겹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원통형의 타단부(84)에 설치된 나사공(96) 내에 삽입한 누름 나사(95)에 의해 압동되어 장신구끼리 겹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내부 링(91, 94)의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97)이 개재되어 있고, 이 압축 코일 스프링(9)에 의해 통상 시에는 내부 링(91, 94)이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이간하게 되어 있다.
내부 링(91, 94)의 내면(98,99)은 장신구 본체(24)의 일단측(61) 및 외캡(26) 등의 누름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내부 링(91, 94)의 내면(98, 99)의 지름도 장신구(24)의 일단측, 타단측 및 외캡(26, 27)보다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내부 링(91, 94)의 내부에 있어서도,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도39는 도38에 표시한 잠금 도구(8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내부 링(91)과 내부 링(94)은 압축 코일 스프링(97)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바깥 방향(도39의 상하 방향)에 부착되어,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내부 링(91)과 내부 링(94)에 의해 내측에서 바깥 방향으로 압압된다. 이 압압되는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외주측의 면은 각각 잠금 도구 본체(81)의 원통형의 일단부(83)과 타단부(84)의 내주면에 압접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잠금 도구(81) 내에 고정된다.
고정을 풀 경우에는, 누름 나사(92)와 누름 나사(95)를 서로 마주 향하는 방향으로 누름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원통형의 일단부(83)와 타단부(84)의 내면으로의 당접력을 약화시키고, 장신구(24)의 일단측과 타단측으로의 압접력을 해제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본체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81)에 삽입하거나 이탈할 수 있다.
이렇게 안경형의 잠금 도구(8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8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등의 이유로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로부터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누름 나사(92, 95)를 느슨하게 하여 장신구(24)를 잠금 도구(81)의 내면에서 장신구(24)의 일단측 또는 타단측을 축 방향으로 뽑는 것만으로, 간단히 장신구(24)를 푸는 것이 가능하다.
(잠금 도구의 제4예) 도40은 제4예의 잠금 도구(1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10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2개의 만곡부를 가지는 만곡판형의 잠금 도구 본체(102)와 이것과 짝을 이루는 염주형 유체 (103)로 구성되어 있다.
잠금 도구 본체(102)는 2개의 원호판형의 만곡편(102a, 104)이 중간 닫힘부(102b)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형상을 하고 있고, 잠금 도구 본체(102)의 일단부(105)에는 원환상 외측 잠금링(10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잠금 도구 본체(102)의 타단부(106)에도 원환상 외측 잠금링(10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만곡편(102a, 104)의 중간 닫힘부(102b)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내측 잠금링(117, 118)이 형성되어 있다. 외측 잠금링(107, 108) 및 내측 잠금링(117, 118)의 내경은 거의 동일한 지름으로 되어 있다.
염주형 유체(103)는 일단측에 있어서 가요성의 끈(109)의 일단측에 일정 간격으로 옥(110)을 장착하는 동시에, 타단측에 있어서 가요성의 끈(112)의 일단측에 일정 간격으로 옥(113)을 장착한 구조로 되어 있다. 옥(110, 113)은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외측 잠금링(107, 108) 및 내측 잠금링(117, 118)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가지고, 일정 이상의 힘으로 잡아 당겼을 경우 외측 잠금링(107, 108) 및 내측 잠금링(117,118)을 통과할 수 있고, 일체 이하의 힘으로는 외측 잠금링(107, 108) 및 내측 잠금링(117, 118)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염주형 유체(103)의 일단에는 외측 잠금링(107) 및 내측 잠금링(117)의 내경보다도 큰 지름의 단판(111)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에도 외측 잠금링(108) 및 내측 잠금링(118)의 내경보다도 큰 지름의 단판(1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끈(109, 112)의 중간 부분이 외측 잠금링(107, 108) 및 내측 잠금링(117, 118)에 통과되어, 끈(109, 112)의 선단부의 각 단판(111, 114)이 각각 외측 잠금링(107, 108)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염주형 유체(103)는 잠금 도구 본체(102)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장신구(24)에 잠금 도구(101)를 장착할 경우에는, 염주형 유체(103)의 내, 외측 잠금링(107)과 내측 잠금링(117)과의 사이 및 외측 잠금링(108)과 내측 잠금링(118)과의 사이의 부분을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크게 개구하도록 만곡시켜 둔다.
그리고 외측 잠금링(107)과 내측 잠금링(117)과의 사이의 개구 부분에 장신구의 일단측 및 타단측 외캡(26)을 통하는 동시에, 외측 잠금링(108)과 내측 잠금링(118)과의 사이의 개구 부분에 장신구의 타단측 및 타단측 외캡(27)을 통한다. 그 후, 염주형 유체(103)를 양단측에 소정의 힘으로 잡아당겨, 장신구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외주측에서 누르도록 한다.
반대로 잠금 도구 본체(102)로부터 장신구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뗄 경우에는, 염주형 유체(103)의 내, 외측 잠금링(107)과 내측 잠금링(117)과의 사이 및 외측잠금 링(108)과 내측 잠금링(118)과의 사이의 부분을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크게 개구하도록 다시 만곡시켜, 장신구 본체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빼 내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염주형 유체(103)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잠금 도구 본체(102)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잠금 도구(10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가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10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어 풀리는 등의 이유로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5예) 도41은 제5예의 잠금 도구(1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12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121)는 몸체(122)를 통해서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 통형의 일단부(123)와 통형의 타단부(124)를 가진다. 통형의 일단부(123)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는 동시에, 통형의 타단부(124) 내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형의 일단부(12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1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12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12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통형의 타단부(124)의 다른 쪽의 공간(126)은 통형의 일단부(123)의 한쪽 공간(125)과 거의 같은 지름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쪽의 공간(12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통형의 타단부(124) 내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 및 타단측 외캡(27)이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형의 타단부(124)의 다른 쪽의 공간(126)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할 수 있고, 통형의 일단부(123)의 한쪽 공간(125)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 외캡(26)이 삽입하고, 뺄 수 있는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의 일단부(123)의 내부에는, 스프링 부재(131)가 수납되어 있고, 또 통형의 타단부(124)의 내부에도 마찬가지로 스프링 부재(141)가 수납되어 있다.
도41은 도40의 잠금 도구(12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통형의 일단부(123)의 지름과 통형의 타단부(124)의 지름은 서로 거의 동일하다. 이 잠금 도구(121)의 통형의 일단부(123)에 있어서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스프링 부재(131)가 수납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131)는 평판부(132)에 산형의 스프링판(133)을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통형의 타단부(124)에 있어서의 내주면에도 상술한 스프링 부재(141)가 수납되어 있다. 이 스프링 부재(141)는 평판부(142)에 계곡형의 스프링판(143)을 마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스프링 부재(131)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통형의 일단부(123)의 내부에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판(133)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임의의 길이만 통형의 일단부(123)의 내부에 압압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형의 타단부(124)에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판(143)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임의의 길이만 통형의 타단부(124)의 내부에 압압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아무런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신구(24)를 잠금 도구(12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121)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121)을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접착 상태가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12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어 풀리는 등의 이유로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6예) 도43은 제6예의 잠금 도구(151)를 가리키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15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잠금 도구 본체(150)가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 도구 본체(150)는 몸통부(152)를 통해서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 통형의 일단부(153)와 통형의 타단부(154)를 가진다. 통형의 일단부(153)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는 동시에, 통형의 타단부(154) 내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형의 일단부(15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15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15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15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또한, 통형의 타단부(154)의 다른 쪽의 공간(156)은 통형의 일단부(153)의 한쪽 공간(155)과 거의 같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이 다른 쪽의 공간(15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통형의 타단부(154)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다. 즉, 잠금 도구(151)에서는, 통형의 타단부(154)의 다른 쪽의 공간(156)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할 수 있고, 통형의 일단부(153)의 한쪽 공간(155)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외캡(26)이 삽입 및 제거 가능한 상태에서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의 일단부(153)의 측벽에는 나사공(157)이 열려 있고, 통형의 타단부(154)의 측벽에도 나사공(158)이 평행하게 열려 있다.
이 구성에서 통형의 일단부(153)의 나사공(157)에는 조임 나사(171)가 측방에서부터 비틀어 넣어져 있다. 즉, 조임 나사(171)는 큰 지름의 두부(172)와 그 중심에서 돌출하는 나사부(173)를 가지고, 두부(172)를 사람의 손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비틀어 넣거나 뺄 수 있다. 또한, 통형의 타단부(154)의 나사 구멍(158)에도 조임 나사(181)가 측방에서부터 비틀어 넣어져 있다. 다시 말해, 조임 나사(181)는 큰 지름의 두부(182)와 그 중심에서 돌출하는 나사부(183)를 가지고, 두부(182)를 사람의 손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비틀어 넣거나 뺄 수 있다.
도44는 도43에 나타낸 잠금 도구(15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잠금 도구(151)에 있어서의 통형의 일단부(153)의 지름과 통형의 타단부(154)의 지름은 서로 거의 동일하다. 이 잠금 도구(151)의 통형의 일단부(153)에 있어서의 내주면측에는 상술의 조임 나사(171)의 나사부(173)가 돌입되어 있다. 이 조임 나사(171)의 나사부(173)의 선단에는 광폭 누름판(17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판(174)은 장신구 본체(24)를 눌러서 잠금 도구 본체(150)의 내면에 압접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잠금 도구(151)의 통형의 타단부(154)에 있어서의 내주면측에는 상술한 다른 쪽의 조임 나사(181)의 나사부(183)가 돌입되어 있다. 이 조임 나사(171)의 나사부(183) 선단에도 광폭 누름판(184)이 마련되어 있다. 이 누름판(184)은 장신구 본체(24)를 눌러서 잠금 도구 본체(150)의 내면에 압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장신구(24)를 잠금 도구(15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고, 조임 나사(171, 181)를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151)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15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15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어 풀리는 일 등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7예) 도45는 제7예의 잠금 도구(19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19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양측 개구의 거의 구형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191)의 잠금 도구 본체(190)는 도20에 있어서, 위편(192), 측편(좌측편)(193), 하편(194) 및 측편(우측편)(195)을 가진다. 잠금 도구(191)의 내부는 공간(통과부)(196)으로 되어 있고, 이 공간(통과부)(196)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가로로 나란히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 도구 본체(190)의 서로 대향하는 측편(좌측편)(193)과 측편(우측편)(195)에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 경사공(197, 198)이 열려 있다. 그리고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에는 1개의 잠금 핀(201)이 삽통되어 있다. 이 잠금 핀(201)은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에 삽통되는 길이의 축부(202)를 가지고, 이 축부(202)의 각 선단은 각각 측편(좌측편)(193)과 측편(우측편)(195)의 외측에 돌출되어 있다. 이 축부(202)의 각 끝의 돌출 부분에 큰 지름의 두부(203)와 두부(20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은 대상 형상의 장공이며, 이 구멍의 높이, 길이 및 경사각은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46은 도45에 나타낸 잠금 도구(19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의 낮은 쪽의 단부의 높이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정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의 높은 쪽의 단부의 높이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의 정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시에는 도46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의 낮은 쪽에서 높은 쪽(도46의 좌측)을 향해 삽입하면 두부(203)가 밀어 올려져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반대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경사공(197)과 경사공(198)의 높은 쪽에서 낮은 쪽(도46의 우측)을 향해 당기면, 두부(203)가 마찰력으로 낮은 쪽으로 연동되기 ?문에, 두부(203)가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하방으로 압압하게 되어, 장신구(2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19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191)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19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19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8예) 도47은 제8예의 잠금 도구(21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211)는 악어의 입 클립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한 쌍의 끼움편인 잠금 도구 본체(212) 및 닫힘판(221)을 힌지 축(228)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잠금 도구 본체(212)는 일정 폭의 만곡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잠금 도구 본체(212)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만곡편(213)과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의 만곡편(214)이 인접하는 일체의 만곡판으로 되어 있다. 만곡편(213)의 외측 단부의 일측부에는 판폭 방향에 따르는 관통공이형성된 힌지 통(2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만곡편(213)의 외측 단부의 타측부에는 판폭 방향에 따르는 관통공이 형성된 다른 힌지 통(217)이 힌지 통(213)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 축 상에 설치되어 있다.
만곡편(213)의 요면측과 만곡편(214)의 요면측과의 사이에는, 평탄면 형상의 중간 닫힘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만곡편(212)의 일단부(215)는 유지부로 깊은 굽힘이 형성되어 있다.
닫힘판(221)은 평탄한 판형상을 이루고 있고, 잠금 도구 본체(211)와 거의 동일폭을 가지고 있다. 이 닫힘판(221)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해서 일단측에 반원호판형의 계지조(223)를 가지는 동시에, 타단측에는 힌지 통(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힌지 통(224)은 잠금 도구 본체(212)의 힌지 통(216)과 힌지 통(217)과의 사이에 동일 축에서 배치되어 있다. 이들 힌지 통(216), 힌지 통(217) 및 힌지 통(224)에는 1개의 힌지 축(228)이 통과되어, 이 힌지 축(228)을 중심으로 하여, 잠금 도구 본체(212)와 닫힘판(221)이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48은 잠금 도구(21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닫힘판(221)을 잠금 도구 본체(212)에 대하여 힌지 축(228)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키고, 잠금 도구 본체(212)를 닫힌 상태로 하면, 닫힘판(221)의 계지조(223)가 만곡편(212)의 일단부(215)에 탄성적으로 감합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부 및 타단측을 압압 유지할 수 있다.
이 구조에 따르면, 장신구(24)를 잠금 도구(211)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211)에 장착하거나, 푸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211)를 사용하여 잠근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21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에 따라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9예) 도49는 제9예의 잠금 도구(23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23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양측 개구의 거의 구형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231)의 잠금 도구 본체(230)는 위편(232), 측편(좌측편)(233), 하편(234) 및 측편(우측편)(235)을 소유하고 있다. 잠금 도구(231)의 내부는 공간(통과부)(236)으로 되어 있고, 이 공간(통과부)(236)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가로로 나란히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구조에 있어서, 위편(232)에 둔 나사공(237)에 조임 나사(241) 상측 방향에서부터 비틀어 넣어져 있다. 즉, 조임 나사(241)는 큰 지름의 두부(244)와 그 중심에서 돌출하는 나사부(243)이 있고, 두부(244)를 사람의 손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비틀어 넣거나 뺄 수 있다.
도50은 도49에 나타낸 잠금 도구(23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조임 나사(241)의 나사부(243)의 선단에는 광폭 누름판(2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누름판(245)은 장신구 본체(24)를 눌러서 잠금 도구 본체(230)의 내면에 압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장신구(24)를 잠금 도구(231) 내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하고, 조임 나사(241)를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시켜 도구(231)에 장착하거나, 푸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23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23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10예) 도51은 제10예의 잠금 도구(25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25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8」자형)으로 형성된 잠금 도구 본체(250)를 가지고 있다. 이 잠금 도구 본체(250)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하는 통형의 일단부(253)와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하는 통형의 타단부(254)를 몸체(252)를 통해서 서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일체 구성의 안경형의 틀체를 형성하고 있다.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25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편의 공간(25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6)이 삽통할 수 있는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는 장신구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통형의 타단부(254)의 다른 쪽의 공간(256)의 지름도 장신구(24)의 타단측 및 외캡(27)이 삽통할 수 있는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는, 장신구의 타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이 잠금 도구(251)에서는 통형의 타단부(254)의 다른 쪽의 공간(256)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6)이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마찬가지로 통형의 일단부(253)의 한쪽 공간(255)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 및 외캡(27)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에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는 주변 방향에 등간격으로 3개의 볼, 즉, 볼(261, 262, 263)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도, 주변 방향에 등간격으로 3개의 볼, 즉, 볼(264, 265, 266)이 수납되어 있다.
도52는 도51에 나타낸 잠금 도구(25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통형의 일단부(253)의 지름과 통형의 타단부(254)의 지름은 거의 비슷하다. 잠금 도구(251)의 통형의 일단부(253) 내주면에는 주변 방향에 등간격으로 볼(261, 262, 263)이 배치되어 있다. 볼(261)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구멍 내에 수용되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1)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주 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일단부(253) 내에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1)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451)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외주 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7)이 수납되어 볼(261)을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 방향으로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볼(262)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구멍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8)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일단부(253) 내에 있어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2)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262)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외주 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8)이 수납되어 볼(262)을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 방향으로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볼(263)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구멍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9)에 의해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일단부(253) 내에 있어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3)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263)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일단부(253)의 외주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9)이 수납되어 볼(263)을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 방향으로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볼(264)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구멍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7)에 의해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타단부(254) 내에 있어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4)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264)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외주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7)이 수납되어 볼(264)을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볼(265)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구멍 내에 수용되어,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8)에 의해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타단부(254) 내에 있어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5)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265)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외주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8)이 수납되어 볼(265)을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볼(266)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구멍 내에 수용되어,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9)에 의해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통형의 타단부(254) 내에 있어서의 구멍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266)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266)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은 통형의 타단부(254)의 외주측에서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9)이 수납되어 볼(266)을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 상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볼(261, 262, 263)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57, 258, 259)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통형의 일단부(253)의 내부에 삽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볼(264, 265, 266)에 의해, 장신구(24)의 타단측을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267, 268, 269)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통형의 타단부(254)의 내부에 삽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유연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비틀림 및 만곡이 생기는 끈형의 튜브 내에 복수의 원주형의 금속제 자석을 삽입하고, 이들 자석의 N극과 S극을 원주의 외주면에 교대로 배치한 장신구와 이 장신구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고정되어 해당 장신구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평행으로 가지런히 정돈한 상태에서 착탈할 수 있는 잠금 도구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 도구(251)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도구(25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25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11예) 도53은 제11예의 잠금 도구(27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27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S자형으로 형성된 잠금 도구 본체(270)를 소유하고 있다. 잠금 도구 본체(270)는 중앙부(27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반원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274)로 구성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27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의 공간(275)의 곡률 반경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274)의 다른 쪽 공간(276)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한쪽 공간(275)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의 공간(27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고정 통부(274) 내에는 장신구(24)의 타단측(62)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271)에서는 고정 통부(274)의 다른 쪽 공간(276)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한쪽 공간(275)에는 장신구(24)의 외캡(26)이 삽입 및 풀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잠금 도구 271 위쪽 절반은 악어 입 클립 형상을 이루고, 끼움편으로서의 닫힘판(285)을 힌지 축(284)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는 일정 폭의 만곡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반원호판형으로 되어 있다. 한편, 닫힘판(285)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평판형의 닫힘판 본체(28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외측 단부에는 대향하는 힌지 귀(282, 283)가 입설되어 있고, 힌지 축(284)이 지지되어 있다. 한편, 닫힘판(285)의 힌지 단(290)은 힌지 축(284)에 지지되어 있고, 이것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핀축 유지편(287) 및 핀축 유지편(288)이 개구부(289)를 열어서 돌설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선단에는 핀축(277)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축(277)의 선단에는 대경두부(51)이 형성되어 있고, 핀축(277)의 외주에는 나사부(279)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부(279)가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선단의 나사공(280)에 비틀어서 넣어져 있다.
도54는 잠금 도구(27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장신구(24)를 잠금 도구(271)에 통과시키고, 닫힘판 본체(286)를 힌지 축(284)을 지점으로 회동하고, 핀축(277)에 핀 유지편(287, 288)을 계지시킨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 도구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도구(27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27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12예) 도55는 제12예의 잠금 도구(29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29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S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291)는 중앙부(29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반원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294)로 구성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29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298)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293)의 곡률 반경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29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294)의 다른 쪽 공간(298)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293)의 한쪽 공간(297)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298)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고정 통부(294)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291)에서는, 고정 통부(294)의 다른 쪽 공간(298)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273)의 한쪽 공간(297)에는 장신구(24)의 외캡(26)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잠금 도구(291)의 S자형의 위쪽 절반에는 자석 유지공(29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자석 유지공(295)에는 자석(296)이 설치되어 있다.
도56은 도55의 잠금 도구(25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잠금 도구(291) 위편 부분에 자석(29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자석(295)의 자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흡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S자형을 한 잠금 도구(291)의 한쪽 통과부(297)에 통과시킨 장신구(24)의 일단측은 잠금 도구(291) 내에 주위로부터 유지되는 동시에, 자석(296)에 의해 유지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은 측방으로 풀릴 일이 없다. 또한, 장신구(24)의 내부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도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 (291)의 유지력에 의해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더욱 확실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로부터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장신구(24)를 잠금 도구 (291)의 통과부(297)로부터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축 방향으로 빼는 것만으로 간단히 풀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13예)도57은 제13예의 잠금 도구(3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30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301)의 잠금 도구 본체(300)는 중앙부(301a)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반원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303)로 구성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304)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304)의 곡률 반경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61)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303)의 다른 쪽 공간(305)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의 한쪽 공간(304)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30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62)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고정 통부(303)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301)에서는 고정 통부(303)의 다른 쪽 공간(305)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의 한쪽 공간(304)에는 장신구(24)의 외캡(26)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잠금 도구(291)의 통형의 상부에는 나사공(306)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공(306)에는 누름 나사(307)가 장착되어 있다.
도58은 잠금 도구(301)의 내부 사시도이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302) 내에는 내부 링(30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내부 링(308)은 하방으로 배치한 압축 코일 스프링(309)에 의해 상방으로 부세되는 것과 동시에, 상방 배치의 누름 나사(307)에 의해 하방으로 밀어 내려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내부 링(308)은 압축 코일 스프링(309)의 탄성력에 의해 외향(도33의 위쪽)으로 부세되어, 장신구(24)의 일단측은 내부 링(308)에 의해 내측에서 바깥 방향으로 압압된다. 따라서, 장신구(24)의 일단측은 잠금 도구(81) 내에 고정된다.
고정을 풀 경우에는, 누름 나사(307)을 하방으로으로 누르는 조작을 하는 것으로, 장신구(24) 일단측으로의 당접력을 약화시키고, 장신구(24)의 일단측으로의 압접력을 해제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 도구(301)에 삽입하거나 이탈할 수 있다.
이러한 잠금 도구(301)에서는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5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풀릴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장착자가 신체로부터 장신구(24)를 풀 경우에는, 누름 나사(307)를 느슨하게 해서 잠금 도구(300)의 내면에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축 방향으로 빼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풀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14예) 도59는 제14예의 잠금 도구(3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32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321)의 잠금 도구 본체(320)는 중앙부(32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반원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324)로 구성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3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편의 공간(325)의 곡률 반경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324)의 다른 쪽 공간(326)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의 한쪽 공간(325)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32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그리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에는 나사공(327)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 구멍(327)에는 조임 나사(331)가 측방에서 비틀어 넣어져 있다. 즉, 조임 나사(331)는 큰 지름의 두부(332)와 그 중심에서 돌출하는 나사부(333)를 소유하고, 두부(332)를 사람의 손으로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비틀어 넣거나 뺄 수 있다.
도60은 도59에 나타낸 잠금 도구(15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의 지름과 고정 통부(324)의 지름은 서로 거의 동일하다. 이 잠금 도구(321)의 고정 통부(324)의 내주면 측에는 상술한 조임 나사(331)의 나사부(333)가 돌입되어 있다. 이 조임 나사(331)의 나사부(333)의 선단에는 광폭 누름판이 마련되어 있다. 이 누름판(4)은 장신구(24)를 눌러서 장신구 착탈용 통부(323)의 내면에 압접시킬 수 있는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장신구(24)를 잠금 도구(151)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하고, 조임 나사(331)를 회전 조작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 도구(321)에 장착하거나, 푸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32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32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15예) 도67은 제15예의 잠금 도구(36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361)에서는 상술한 장신구 착탈용 통부로 바꿔서 염주형 유체(371)가 적용되어 있다.
잠금 도구 본체(360)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하는 판형 부재를 상술한 고정 통부로서 형성하고, 장신구(24)의 단부에 링 형으로 둘러 감아져 있다. 이 잠금 도구 본체(360)에는 잠금 링(364)을 설치할 수 있고, 이 잠금 링(364)에 염주형 유체(371)가 장착되어 있다. 염주형 유체(371)는 일단측에 있어서 가요성의 끈(373)에 일정 간격으로 옥(372)을 장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옥(372)은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잠금 링(364)의 내경과 거의 동일한 외경을 소유하고, 일정 이상의 힘으로 잡아 당겼을 경우에 잠금 링(364)을 통과할 수 있고, 일체 이하의 힘으로는 잠금 링(364)으로부터 풀리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염주형 유체(371)의 일단에는 잠금 링(364)의 내경보다도 큰 지름의 단판(374)이 형성되어 있고, 타단측은 잠금 링(364)에 고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장신구(24)에 잠금 도구(361)를 장착할 경우에는, 염주형 유체(371)를 장신구(24)의 외경보다도 크게 개구하도록 만곡시켜, 잠금 링(364)과의 사이의 개구 부분에 장신구의 일단측을 통과시키고, 염주형 유체(371)로 외주측에서 누르도록 한다. 장신구(24)의 일단측을 뗄 경우에는, 염주형 유체를 장신구의 외경보다도 크게 개구하도록 만곡시켜, 장신구의 일단측을 끌어 내면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염주형 유체(371)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시켜 도구 본체(360)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361)를 사용하여 잠긴 장신구 본체(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36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16예) 도62 (a)는 제16예의 잠금 도구(381)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62(b)는 부품 설명도이다. 우선, 도62 (a)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잠금 도구(38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8」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잠금 도구(381)의 잠금 도구 본체(380)는 중앙부(383)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원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384)로 구성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38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편의 공간(385)의 곡률 반경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대경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384)의 다른 쪽 공간(356)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한쪽 공간(385)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38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고정 통부(384) 안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있다. 한편,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는 스프링 부재(390)가 마련되어 있다.
도62(b)은 스프링 부재(390)의 구성을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스프링 부재(390)는 평판(391)의 절발 가공 등에 의해 스프링판(393)을 형성하고 있고, 스프링판(393)을 노치공(392) 내에서 판 두께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63은 잠금 도구(38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주면에는 상술한 스프링 부재(131)가 수납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391)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 삽입했을 경우에, 스프링판(393)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 압압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에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판(393)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타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장신구 착탈용 통부(382)의 내부에 압압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아무런 특별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장신구(24)를 잠금 도구(381)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시켜 도구(381)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잠금 도구(381)를 사용하여 잠근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안경형을 한 잠금 도구(38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17예)도64는 제17예의 잠금 도구(40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잠금 도구(40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된 사각통형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와 미리 장신구 본체(24)의 일단측(62)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407)로 구성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40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406)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407)의 다른 쪽의 공간(408)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한쪽 공간(406)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408)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고정 통부(407)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401)에서는 고정 통부(407)의 다른 쪽 공간(408)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한쪽 공간(406)에는 장신구(24)의 외캡(26)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는 위편(402), 측편(좌측편)(403), 하편(404) 및 측편(우측편)(405)을 소유하고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내부는 공간(통과부)(406)으로 되어 있으며, 이 공간(통과부)(406)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착탈 가능하게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400)의 서로 대향하는 측편(좌측편)(403)과 측편(우측편)(405)에는 소정 각도 기울어진 경사 구멍(409, 410)이 열려 있다. 그리고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에는 1개의 잠금 핀(411)이 삽통되어 있다. 이 잠금 핀(411)은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에 삽통되는 길이의 축부(413)를 가지고, 이 축부(413)의 각 선단은 각각 측편(좌측편)(403)과 측편(우측편)(40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축부(413)의 각 단의 돌출 부분에 큰 지름의 두부(412)와 두부(4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은 대상 형상의 긴 구멍이며, 이 구멍의 높이, 길이 및 경사각은 모두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65는 도64의 잠금 도구(40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8)의 낮은 쪽의 단부의 높이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정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의 높은 쪽의 단부의 높이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정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 시에는 도65에서 가리키는 것처럼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의 낮은 쪽에서부터 높은 쪽(도65의 왼쪽)을 향해 삽입하면 두부(412)가 밀어 올려져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반대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경사 구멍(409)과 경사 구멍(410)의 높은 쪽에서부터 낮은 쪽(도65의 오른쪽)을 향해서 잡아 당기면, 두부(412)가 마찰력으로 낮은 쪽으로 연동되기 때문에, 두부(412)가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아래쪽으로 압압되게 되어, 장신구(24)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장신구(24)를 잠금 도구(401)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하는 것만으로,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 도구(401)에 장착하거나, 떼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잠금 도구(401)를 사용하여 잠근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40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에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빠질 일이 없기 때문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18예) 도66은 제18예의 잠금 도구(42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42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이다. 이 잠금 도구(421)의 잠금 도구 본체(420)는 측면에서 볼 때 거의 활형으로 형성된 장신구 본체 착탈용 통부(423)와 원통형으로 형성된 고정 통부(424)가 몸체(4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요면측에는 한쪽 공간(통과부)(4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426)의 만곡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424)의 공간(425)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공간(426)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이 공간(425)의 지름은 장신구 본체(24)의 일단측(62)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고정 통부(424)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421)에서는 고정 통부(424)의 공간(425)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공간(426)에는 장신구(24)의 외캡(26)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선단부(427)에는 자석(427a)이 장착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 위쪽 절반은 악어의 입 클립 형상을 이루고, 끼움편으로서의 닫힙판(431)을 힌지 축(434)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한 구조로 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는 일정 폭의 만곡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주면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고정하기 위한 반원호판형으로 되어 있다. 한편, 닫힘판(431)은 장신구(24)의 타단측의 약 절반을 외측에서 눌러서 잠그기 위한 평판형의 닫힘판 본체(435)로 구성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외측 단부에는 대향하는 힌지 귀(428, 429)가 설치되어 있고, 힌지 축(428)이 지지되어 있다. 한편, 닫힘판(431)의 힌지 단(434)은 힌지 축(430)에 지지되어 있고, 이것과 반대측의 회전 단부에는 자석(42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신구 착탈용 통부(423)의 선단부(427)에도 자석(427a)이 형성되어 있다.
도67은 장신구(24)를 잠금 도구(421)에 의해 잠글 경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장신구(24)를 잠금 도구(421)에 통과시키고, 닫힘판 본체(435)를 힌지 축(430)을 지점으로서 회전하고, 자석(427a)과 자석(427b)을 흡착시킨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고정 도구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잠금 도구(421)를 사용하여 잠근 장신구(24)는 내부의 자석에 의한 흡자력으로 흡착 상태로 된 뒤, 잠금 도구(421)의 유지력에 의해, 확실하게 주변 방향으로의 이탈이 방지된다. 따라서, 불의의 탈락 등에 의한 분실의 우려가 없고, 또 장착자의 외부에서 잡아떼는 것 등으로는 빠질 일이 없기 때문에 도난 등도 한층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잠금 도구의 제19예) 도68은 제19예의 잠금 도구(44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잠금 도구(441)는 금속 또는 수지 등을 소재로 형 성형한 것으로, 측면에서 볼 때 거의 안경형(「8」자형)으로 형성된 잠금 도구 본체(440)를 소유하고 있다. 이 잠금 도구 본체(440)는 몸체(442)를 통해서 서로 연결된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와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에 고정된 원통형의 고정 통부(444)에 의해, 일체 구성의 안경형 틀체를 형성하고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부에는 한쪽 공간(통과부)(445)이 형성되어 있고, 이 한쪽 공간(445)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일단측 외캡(26)보다도 큰 지름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부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자유롭게 삽입하거나 뺄 수 있다. 한편, 고정 통부(444)의 다른 쪽 공간(446)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한쪽 공간(445)보다도 작은 지름으로 되어 있고, 다른 쪽 공간(446)의 지름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고정 통부(444)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미리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다. 즉, 이 잠금 도구(441)에서는 고정 통부(444)의 다른 쪽 공간(446) 내에 장신구(24)의 일단측 및 외캡(27)이 삽통되어 고정되어 있고,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한쪽 공간(445)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 외캡(26)이 삽입 및 뺄 수 있는 상태로 삽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부에는 주변 방향에 등간격으로 3개의 볼, 즉 볼(451), 볼(452) 및 볼(453)이 수납되어 있다.
도69는 도68에 나타낸 잠금 도구(441)의 축직각 단면도이다.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지름은 고정 통부(444)의 지름보다도 크다. 이 잠금 도구(441)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내주면에는 주변 방향에 등간격으로 볼(451, 452, 453)이 배치되어 있다. 볼(451)은 구멍(448)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1)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내에 있어서의 구멍(448)의 내측 단부의 지름은 볼(451)의 지름보다도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451)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448)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외주측은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1)이 수납되어 볼(451)을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상시 압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볼(452)은 구멍(448)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2)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구멍(447)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내에 있어서의 단부의 지름도 볼(452)의 지름보다 작아져 있고, 이것에 의해 볼(452)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447)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외주측은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2)이 수납되어 볼(452)을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상시 압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볼(453)은 구멍(448) 내에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3)에 의해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주측에 탄성을 통해서 압압되어 있다. 한편, 구멍(449)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내에 있어서의 단부의 지름도 볼(453)의 지름보다 작게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볼(453)은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탈락할 일은 없다. 구멍(449)의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 외주측은 폐쇄되어 있고, 이 폐쇄 공간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3)이 수납되어 볼(453)을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안쪽 방향으로 상시 압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볼(451, 452, 453)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부에 삽입시켰을 경우에, 스프링(압축 코일 스프링)(461, 462, 463)의 탄성력에 의해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의 내부에 삽통하는것이가능하다.
한편,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에 몸체(442)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는 고정 통부(444)는 장신구 착탈용 통부(443)보다도 작은 지름이며, 장신구(24)의 일단측의 외경(65)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 통부(444)의 다른 쪽 공간(통과부)(446) 내에는 장신구(24)의 일단측이 미리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미리 장신구(24)의 일단측을 고정 통부(444) 내에 삽통 고정해 두고, 장신구 사용 시에는, 목 등에 둘러 감은 장신구(24)의 일단측을 임의의 길이만큼 삽통하는 것에 의해, 장신구로서 소정 지름의 링으로 조정하고,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11 : 장신구 본체 12 : 튜브 13,14,15,63,74 : 자석
16,17 : 캡 24 : 장신구 25 : 외피 26,27 : 외캡 65 : 스페이서

Claims (6)

  1. 유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튜브와, 상기 튜브의 내부에 삽입된 자석과, 상기 튜브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캡과, 상기 튜브가 삽입되는 유연성 외피와, 상기 외피의 양단부를 폐쇄하는 외캡을 갖추고, 상기 자석의 흡자력에 의해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서로 흡착되는 것에 의해 전체가 링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석은 상기 튜브의 길이 방향의 전체 범위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에 더해서 비자성재료 또는 자성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가 상기 튜브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자석은 적어도 상기 튜브 내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4. 제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은 상기 튜브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5. 제1항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과 타단측을 평행으로 갖추는 잠금 도구를 더욱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6. 심선이 링형의 무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심선이 복수의 장식 부재를 삽통하는 것에 의해 장식 부재가 연주 형상으로 되어 있는 장신구이며, 상기 심선은 섭씨30도 전후 이상에서 링형으로 복원되는 형상 기억 합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KR1020187020770A 2016-05-02 2016-07-07 장신구 KR1021032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U-2016-002020 2016-05-02
JP2016002020U JP3205260U (ja) 2016-05-02 2016-05-02 装身具
PCT/JP2016/070108 WO2017191692A1 (ja) 2016-05-02 2016-07-07 装身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908A true KR20180095908A (ko) 2018-08-28
KR102103274B1 KR102103274B1 (ko) 2020-04-22

Family

ID=5637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770A KR102103274B1 (ko) 2016-05-02 2016-07-07 장신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3205260U (ko)
KR (1) KR102103274B1 (ko)
CN (1) CN210120936U (ko)
HK (1) HK1231674A2 (ko)
TW (1) TWM549545U (ko)
WO (1) WO20171916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518B1 (ko) * 2019-01-21 2019-03-07 전해 귀금속 미세라인을 이용한 메쉬형 장신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메쉬형 장신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61547A (ja) * 2016-10-11 2018-04-19 株式会社大木工藝 真珠装身具
JP6534696B2 (ja) * 2017-04-14 2019-06-26 有限会社ダンテス 磁気装身具
JP7365978B2 (ja) 2020-07-30 2023-10-20 ピップ株式会社 磁気治療器
JP7289468B1 (ja) 2022-02-15 2023-06-12 株式会社ドリームファクトリー 首掛け型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211B1 (ko) 1995-09-29 1998-12-15 김광호 광섬유의 인출 장치
JP2002119313A (ja) 2000-10-18 2002-04-23 Towarie:Kk ネックレス等の装飾具
KR200424740Y1 (ko) * 2006-06-05 2006-08-25 이묘화 메모리 와이어를 이용한 묵주
JP3162748U (ja) * 2010-07-02 2010-09-16 マグメディカ株式会社 磁気リング
JP4851785B2 (ja) * 2005-11-30 2012-01-11 株式会社トリプル・エー 装身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748B2 (ja) * 1991-08-16 2001-05-08 株式会社リコー ボタン電話装置
JP3662493B2 (ja) * 2000-12-27 2005-06-22 株式会社ペルラ太田 装身具の端部係止構造
JP2011078524A (ja) * 2009-10-06 2011-04-21 Ikuko Uragami 身体装着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5211B1 (ko) 1995-09-29 1998-12-15 김광호 광섬유의 인출 장치
JP2002119313A (ja) 2000-10-18 2002-04-23 Towarie:Kk ネックレス等の装飾具
JP4851785B2 (ja) * 2005-11-30 2012-01-11 株式会社トリプル・エー 装身具
KR200424740Y1 (ko) * 2006-06-05 2006-08-25 이묘화 메모리 와이어를 이용한 묵주
JP3162748U (ja) * 2010-07-02 2010-09-16 マグメディカ株式会社 磁気リン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518B1 (ko) * 2019-01-21 2019-03-07 전해 귀금속 미세라인을 이용한 메쉬형 장신구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메쉬형 장신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1692A1 (ja) 2017-11-09
TWM549545U (zh) 2017-10-01
HK1231674A2 (zh) 2017-12-22
JP3205260U (ja) 2016-07-14
CN210120936U (zh) 2020-03-03
KR102103274B1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0220B2 (en) Personal ornament
KR20180095908A (ko) 장신구
EP1980170B1 (en) Personal ornament
US20130305782A1 (en) Jewelry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7503101B2 (en) Loop/lariat spectacle holder
US20100257898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Interchangeable Pendant System
US3898868A (en) Combined tiara and earrings with detachable earring devices
US20110191991A1 (en) Composite earring backer and method or retaining an earring with composite backer
US20150033795A1 (en) Self-Adjustable Jewelry Clasp
US10973286B2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of use and production for preventing chains of a plurality of necklaces simultaneously worn by a user from entangling
US20160066661A1 (en) Magnetic jewelry connectors for forming a jewelry piece
JP4851785B2 (ja) 装身具
US20170136256A1 (en) Quick detachable magnetized body wear
JP4851780B2 (ja) 装身具
US8848959B1 (en) Invisible retention device for hearing aids
JP3939647B2 (ja) 装身具
US20210105551A1 (en) Ear-fitting headphone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JP2007068584A (ja) 連結部材及び連結部材の製造方法
KR200488793Y1 (ko) 장식용 팬던트 기구
GB2572067A (en) Stud earring
KR200359259Y1 (ko) 장신구 겸용 안경줄
JP3174570U (ja) 磁気眼鏡チェーン
JP2018175469A (ja) 磁気装身具
US20150198282A1 (en) Portable Adjustable Storage Apparatus
WO2017039114A1 (ko) 장신구용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