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778A - 조작 시스템, 조작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 및 조작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조작 시스템, 조작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 및 조작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778A
KR20180095778A KR1020180016817A KR20180016817A KR20180095778A KR 20180095778 A KR20180095778 A KR 20180095778A KR 1020180016817 A KR1020180016817 A KR 1020180016817A KR 20180016817 A KR20180016817 A KR 20180016817A KR 20180095778 A KR20180095778 A KR 20180095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preview
display surface
display
displa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120B1 (ko
Inventor
홀거 모라
클라우스 아놀드
마틴 자데마흐
요하네스 귈리히
토마스 오취스
Original Assignee
만 트럭 운트 버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 트럭 운트 버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만 트럭 운트 버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80095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B60K2350/352
    • B60K2350/9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3Scrolling through menu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5Selection of menu i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60K2360/117Cur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조작 시스템을 제안하고, 상기 조작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리스트 요소 및 상기 리스트 요소에 쌍으로 할당되는 프리뷰 요소 및 메인 요소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와, 사용자에 의해 리스트 요소를 마킹 및/또는 선택하기 위한 입력 요소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입력 요소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면 상에서 재생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면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 상에 상기 리스트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리스트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입력 요소에 의해 리스트 요소가 마킹될 때 상기 메인 요소의 전체 콘텐츠에 대한 프리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마킹된 리스트 요소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프리뷰 요소가 상기 리스트에 추가하여 정보 창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정보 창는 상기 디스플레이 면에서 상기 마킹된 리스트 요소보다 더 큰 면 부분을 차지하도록,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하다.

Description

조작 시스템, 조작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 및 조작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OPERATING SYSTEM, METHOD FOR OPERATING AN OPERATING SYSTEM AND A VEHICLE HAVING AN OPERATING SYSTEM}
본 발명은 조작 시스템, 조작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 및 조작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작 시스템은 차량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인간-기계-인터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차량-통합 기능에 영향을 주거나 또는 특정 차량 기능에 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조작 시스템의 필수 구성 요소는 입력 요소,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장치이고, 상기 입력 요소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어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장치는 특히 상기 입력 요소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상의 디스플레이를 제어 또는 컨트롤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조작 시스템을 사용하여 라디오 방송국을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개별 라디오 방송국은 리스트 요소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사용자는 리스트 요소 중 하나를 선택함에 의해 라디오 방송국을 변환시키거나 또는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리스트 요소에 기초하여, 현재 프로그램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특히 현재의 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사용자는 선택을 통해서만 자신이 올바른 선택을 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는 경우에 따라 리스트 요소들이 표현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와, 리스트 요소에 할당되어 있는 메인 요소, 예를 들어 특정 라디오 방송국이 표현되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 사이에서 빈번한 변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특히 운전자에게 많은 시간이 걸리게 할 뿐만 아니라, 현재의 교통에서 환자를 혼란시켜, 이를 통해 사고 위험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시스템 상에서 리스트 요소를 실수로 선택하게 되는 확률을 감소시키는 조작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조작 시스템, 조작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 및 조작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 및 적용예는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을 부분적으로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리스트로 정렬된 개별 리스트 요소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시스템이 제공되며, 상기 조작 시스템의 필수 구성 요소는 디스플레이 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장치 및 입력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개별 음악 채널 또는 음악 앨범일 수 있는 선택 가능한 리스트 요소는 상기 리스트 요소에 쌍으로 할당되는 프리뷰 요소 및 메인 요소와 함께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다. 쌍으로라는 표현은 특히 프리뷰 요소와 메인 요소가 콘텐츠 또는 논리와 관련하여 서로 또는 리스트 요소와 관련되어 있는 것을 본질적으로 특징으로 하는 리스트 요소에 대한 공통 할당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입력 요소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결합되어, 이를 통해 특히 한편으로는 제어 장치와 입력 요소 사이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통신 연결이 구현된다.
원칙적으로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면 상에서 재생되는 디스플레이가 제어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입력 요소로부터 오는 명령이 제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면 상에 시각화될 수 있다. 제어라는 표현은 여기서 기본적으로 디스플레이의 트리거링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상에 표현되는 것의 수정으로도 이해된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 면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면 상에 리스트 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리스트로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된다.
하나의 리스트 요소와 다른 리스트 요소 사이의 마킹 변환은 입력 요소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리스트 요소가 마킹될 때 마킹된 리스트 요소에 할당되어 있는 프리뷰 요소가 메인 요소의 전체 콘텐츠에 대한 프리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리스트에 추가하여 정보 창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경우, 정보 창은 디스플레이 면에서 상기 마킹된 리스트 요소보다 더 큰 면 부분을 차지하여, 예를 들어 마킹된 리스트 요소의 현재 프로그램에 관한 키워드형 요약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액세스 가능한 방식으로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또한, 마킹 변환 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다른 리스트 요소에 할당되어 있는 다른 프리뷰 요소에 대한 다른 정보 창이 이전 정보 창의 위치를 대체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는 이미 마킹 변환 시, 사용자가 선택을 수행할 필요 없이, 사전 정보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제공된다.
원칙적으로, 마킹된 리스트 요소의 선택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변환이 구현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요소 대신에, 특히 상기 프리뷰 요소 및 상기 리스트 요소 대신에, 특히 예를 들어 악곡의 현재 타이틀, 연주 지속 시간 또는 선택된 라디오 방송국의 라디오 프로그램과 같은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메인 요소가 상기 디스플레이 면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선택에 의해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변환이 트리거링되는 동안, 디스플레이 면은 마킹 시에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 유지된다. 여기서 마킹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사전 선택이 이루어지고, 선택에 의해 상기 사전 선택이 확인되고 해당 마킹된 리스트 요소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리뷰 요소는 메인 요소의 콘텐츠에 대한 이해를 사용자에게 허용하여, 이미 마킹 시에 예를 들어 키워드형 요약의 형태로 사전 정보를 획득하고 따라서 선택 이후에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발견되는 리스트 요소가 실수로 선택될 확률이 감소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면 상에 리스트형으로 디스플레이된 리스트 요소에 추가하여 정보 창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한눈에 선택을 위해 중요한 또는 의사 결정을 위해 결정적으로 기여하는 사전 정보를 제공하는 충분한 크기의 표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또한, 메인 요소의 선택은 이미 차량 통합 기능의 상태 변환에 결합되는데, 즉 예를 들어 이미 선택 시에 라디오 방송국 변경이 수행되는 것이 제안될 수도 있다. 선택이 이루어지고 사전 정보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는 즉시, 메인 요소가 프리뷰 요소 대신에 디스플레이되어, 프리뷰 요소의 사전 정보의 표시를 대체하는 것이 더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에 상응하게, 특히,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메인 요소의 디스플레이 면에서의 면 부분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프리뷰 요소의 면 부분보다 큰 것이 제안된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메인 요소와 관련된 세부 정보는 디스플레이 면 상의 충분히 큰 면 상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조작 시스템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 장치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세서로서 설계되는 것이 특히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력 요소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 장치가 제어 장치에 통합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시보드에 내장되어 있다. 또한, 조작 시스템은 프리뷰 요소의 사전 정보와 메인 요소의 세부 정보가 일정하게 또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리스트 요소 및 각각의 리스트 요소에 관련되는 프리뷰 요소는 별도로 나란히 표현되는데, 즉, 나란히 배치된 리스트 요소와 프리뷰 요소 사이에는 자유 영역이 디스플레이 면 상에서 인식될 수 있는 것이 제안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리스트 이동 방향으로 특히 이미지 스크롤링 방향으로 상기 리스트 요소와 하나 이상의 다른 리스트 요소 사이에 마킹 변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프리뷰 요소의 상기 정보 창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리스트 요소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상기 프리뷰 요소의 상기 다른 정보 창에 대해 동일한 리스트 이동 방향, 특히 동일한 이미지 스크롤링 방향으로의 상응하는 스크롤링이 구현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를 통해, 유리하게는, 리스트 요소로부터 인접하는 리스트 요소로 마킹 변환이 이루어지면, 이전에 선택된 리스트 요소에 인접하는 리스트 요소와 다른 프리뷰 요소의 직관적인 링크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리스트 이동이 실행되는데, 즉 입력 요소의 트리거링에 대한 또는 입력 요소의 작동 프로세스에 의한 스크롤링 동작이 수행된다. 특히, 당업자에게는 이미지 스크롤링이라 함은 리스트 요소가 차례대로 마킹되고 필요한 경우 디스플레이 면으로 이동되는 리스트 이동으로서 이해된다. 이러한 경우, 리스트 요소와 인접 리스트 요소 사이에 이미지 스크롤링 방향으로 마킹 변경 시 이미지 스크롤링이 아니라 순수한 리스트 이동이 트리거링되는데, 즉 정보 창에 대해 스크롤링을 하면서 리스트 요소가 정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리스트 요소의 마킹에 의해 상기 프리뷰 요소는 상기 마킹을 트리거링하는 작동 프로세스에 대해 동시에 또는 약간 시간-오프셋되어 제공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유리하게는 프리뷰 요소에 관한 사전 정보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획득하고, 사용자에게는 또한 마킹 변환을 빠르게 수행하고 이러한 경우 프리뷰 요소에 의해 매번 사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주어진다. 바람직하게는 프리뷰 요소들 간의 변환은 애니메이션 이동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프리뷰 요소 간에 변환될 수 있는 속도를 조정 가능한 것이 제안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유형 및/또는 애니메이션 효과가 조정 가능한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자는 바람직하게는 프리뷰 요소에 대해 상이한, 바람직하게는 저장된 이동 형태 및/또는 애니메이션 효과의 사전 선택에 액세스한다. 이를 통해, 유리하게는, 사용자가 프리뷰 요소를 가능한 한 신속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프리뷰 요소의 표현을 조정하거나 또는 맞춤화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요소의 정보량은 상기 각각의 상응하는 프리뷰 요소의 정보량보다 큰 것이 제안된다. 이에 상응하게, 메인 요소에 할당된 메모리 공간은 프리뷰 요소에 할당된 메모리 공간보다 크다. 이는 비교적 빠른 마킹 변환 시 메인 요소의 비교적 광범위한 세부 정보가 정보 창에 로딩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특히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사용자는 너무 많은 양의 세부 정보에 의해 혼란스럽게 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정보 창에 감소된 양의 정보가 로딩된다. 이러한 경우, 사전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량은 예를 들어 특정 주제 카테고리의 키워드형 요약이다. 또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면에 어떤 카테고리 또는 그 키워드형 요약을 표현할지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유리하게는 프리뷰 요소 또는 정보 창을 맞춤화할 수 있어서, 가능한 한 가장 적절한 선택을 위해 최상의 사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스트 요소는 집합 명칭을 제공하고, 상기 정보 창 내의 상기 프리뷰 요소는 예를 들어 키워드형 요약 형태로 상기 메인 요소의 전체 콘텐츠에 대한 요약형 개요를 제공하고, 상기 메인 요소는 예를 들어 현재 차량 정보의 전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된다. 또한, 프리뷰 요소의 정보량은 메인 요소의 전체 정보의 서브 세트이거나 또는 키워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메인 요소에 대한 참조가 제공되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면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 상에 실질적으로 배타적으로 상기 메인 요소만이 표현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이 제안된다. 이를 통해, 메인 요소에는 그 표현을 위해 가능한 한 더 큰 면 영역이 제공된다. 실질적으로 배타적으로라는 표현은 당업자에게는 특히 디스플레이 면에서의 가득 채워진 표현으로 이해되고, 메인 요소 이외의 구성 요소로서 장식 요소 또는 메뉴 바가 또한 디스플레이 면 상에 나타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메인 요소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리스트의 표현된 리스트 요소 및 상기 정보 창에 의해 점유된 면 영역을 차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에 인접하는 상기 다른 리스트 요소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다른 프리뷰 요소를 위한 상기 정보 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경우, 다른 프리뷰 요소가 현재 프리뷰 요소 후방에 약간 오프셋되어 배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사전 정보의 일부가 인식될 수 있는 것이 제안될 수 있다. 또한, 프리뷰 요소 및 다른 프리뷰 요소가 중첩되고, 프리뷰 요소의 부분적으로 투명한 디자인으로 인해 다른 프리뷰 요소의 개별 사전 정보가 이미 인식 가능한 것이 고려될 수도 있다. 프리뷰 요소와 다른 프리뷰 요소를 동시에 표현함으로써 사용자는 마킹되지 않은 리스트 요소의 사전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이해를 이미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에 인접하는 상기 다른 리스트 요소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다른 프리뷰 요소를 위한 상기 다른 정보 창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면 에지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이 제안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면 에지는 디스플레이 면을 일 측면에 대해 제한한다.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면의 상부 또는 하부 가장자리에서의 디스플레이 면 에지이며, 바람직하게는 프리뷰 요소의 위 또는 아래에 배치된다.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에 대해 프리뷰 요소 바로 위 또는 아래에 다른 프리뷰 영역을 배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방식으로 다른 프리뷰 요소를 선택된 리스트 요소에 각각 인접하는 리스트 요소에 할당하는 것이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은, 상기 리스트 요소의 영역에서의 상기 마킹 변환의 현재 상태가 네비게이션 보조 수단을 통해, 예를 들어 화살표 또는 검지를 포함하는 손의 표현의 형태로 시각화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의 경우에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고 있는 물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를 통해 결정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이 제안된다. 이를 통해, 리스트 요소와 다른 리스트 요소 사이에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마킹 변환이 유리한 방식으로 시각화되거나 또는 결정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리스트 요소에 대해 흐름식 마킹 변환이 수행될 수 있고, 프리뷰 요소 또는 다른 프리뷰 요소는 흐름식 마킹 변환 동안 현재 선택된 리스트 요소에 상응하게 변환되거나 또는 교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가 시각적 표현으로, 예를 들어 크기 또는 배경 색상과 관련하여, 마킹되지 않은 다른 리스트 요소와 구별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이 제안된다. 이를 통해,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와 현재 표현된 프리뷰 요소의 관련성이 강조된다. 예를 들어,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는 밝기 측면에서 마킹되지 않은 리스트 요소와 다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면은, 상기 프리뷰 요소에 대해 제공되는 정보 창의 면 부분과 상기 다른 프리뷰 요소에 대해 제공되는 정보 창의 면 부분 사이의 비가 상기 마킹 변환의 현재 상태에 의존하도록,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이 제안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유리하게는 마킹 변환이 완전히 수행되기 전에 다른 프리뷰 요소에서 이미 복수의 사전 정보를 인식할 수 있고, 특히 다른 프리뷰 요소가 이전의 프리뷰 요소의 위치를 대체하여 이를 그에 상응하게 바꾸는 그것이 완전한 마킹 변환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요소는 로크-다운 스위치, 롤러, 터치스크린, 제스처를 검출하는 수단 및/또는 다기능 스티어링 휠 상의 또는 피트먼 아암 상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로크-다운 스위치는 유리하게는 직관적인 입력 요소로서 입증되었고, 여기서 마킹 변환 시 발생하는 이미지 스크롤링 또는 리스트 이동의 트리거링을 위한 회전 이동이 링크되고 가압이 이루어지면 이미지 스크롤링 시 또는 리스트 이동 시 마킹된 리스트 요소가 선택된다. 입력 요소를 스티어링 휠에 통합하는 것은 운전자가 운전할 때 예를 들어 센터 콘솔에 내장된 입력 요소를 먼저 탐색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카메라 시스템의 형태의 제스처를 검출하는 수단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자의 특정 신체 움직임에 의해 선택이 간단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면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리스트 요소 및 상기 정보 창에 추가하여 상기 리스트 요소 및 상기 정보 창과 독립적인 예를 들어 태코미터 또는 연료 게이지와 같은 정보 디스플레이가 표현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를 통해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하나의 리스트 요소로부터 다른 리스트 요소로 마킹 변환이 수행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리스트 요소의 리스트에 추가하여 프리뷰 요소가 상기 마킹된 리스트 요소에 대한 정보 창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마킹 변환 시 상기 다른 리스트 요소에 할당되어 있는 다른 프리뷰 요소의 다른 정보 창이 이전의 정보 창의 위치를 대체하고, 리스트 요소의 선택을 통해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변환이 트리거링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면 상에는 상기 프리뷰 요소 대신에 메인 요소가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조작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특히 상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특징은 임의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작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작 시스템(1)을 도시한다. 특히, 예를 들어 대시보드에 내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6)를 갖는 조작 시스템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6)는 현재의 차량 상태 또는 특정 차량 기능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 예를 들어 운전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면(7)을 포함한다. 이러한 경우 조작 시스템(1)은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는 예를 들어 특정 라디오 방송국과 같은 차량 통합 기능을 의도한 바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선택을 위해, 사용자에게는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는 리스트로 디스플레이되는 리스트 요소(10, 10')가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입력 요소(3) 상에서의 작동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리스트 요소를 선택하거나 또는 마킹하여 최종적으로 다른 작동 프로세스에 의해 마킹된 리스트 요소(1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한편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6)에 결합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입력 요소(3)에 결합되는 제어 장치(2)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는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갖는 프로세서로서 설계된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입력 요소(3)는 로크-다운 스위치로서 설계되고, 목표된 마킹 변환(8)을 위해, 즉, 개별 리스트 요소(10, 10') 간의 마킹 상태의 변환을 위해 제어 장치(2)에 의한 상기 입력 요소의 회전 운동이 사용되고, 가압에 의해 이전에 마킹된 리스트 요소(10)의 선택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특히, 리스트 요소(10, 10')가 리스트로 표현되고 마킹 변환(8)이 특히 입력 요소(3)에 의해 설정된 리스트 이동 방향 또는 이미지 스크롤링 방향(4)으로 리스트 이동 또는 이미지 스크롤링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이미지 스크롤링은 예를 들어 표현되지 않은 리스트 요소(10, 10')가 디스플레이 면(7) 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한다. 사용자가 리스트 요소(10)를 선택하고 그 선택 후에 잘못된 선택을 했다는 것을 확인해야 하는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특히 리스트에 추가하여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10)에 대해 각각 프리뷰 요소(11)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 경우, 특히 프리뷰 요소(11)는 사용자가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10)를 선택하는 즉시 사용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메인 요소(12)에 대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정보가 요약되어 있는 정보 창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경우, 정보 창이 차지하는 면 부분은 개개의 리스트 요소(10, 10')가 차지하는 부분보다 크므로, 이를 통해 프리뷰 요소(11)에 할당된 정보량이 정보 창 상에 제어 장치(2)에 의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어, 사용자는 프리뷰 요소(11)에 의해 제공된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10)에 인접하는 다른 리스트 요소(10')에 할당되는 다른 프리뷰 요소(11')가 이미 디스플레이 면(7) 상에서, 특히 디스플레이 면 에지(20)의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유리하게는 인접하는 다른 리스트 요소(10')에 할당되어 있는 정보에 대해 프리뷰할 수 있는 가능성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조작 시스템(1)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에서, 디스플레이 면(7)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3개의 상이한 연속 시간에서의 마킹 변환(8)의 경우에 대해 도시되고, 우측에서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의 디스플레이 면(7)이 도시된다.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리스트 요소(10)는 선택되고, 메인 요소(12)에 할당되어 있는 정보량이 디스플레이 면(7)에 표현되며, 상기 메인 요소에 할당되어 있는 정보량은 프리뷰 요소(11)의 정보량보다 크다. 특히, 메인 요소(12)를 표현하기 위해 정보 창이 제공되는데, 상기 정보 창은 디스플레이 면(7) 상에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표현된 리스트 요소(10, 10')로 이루어진 리스트 및 프리뷰 요소(11)를 대체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요소(12)는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면(7)을 거의 완전하게 차지하므로, 사용자가 상세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이 제공된다. 좌측에 표현되는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검지 손가락을 포함하는 손으로서 구성된 네비게이션 보조 수단(5)이 표현되어 있으며, 이미지 스크롤링 방향 또는 리스트 이동 방향을 따라 개개의 리스트 요소(10, 10')에 대한 상기 네비게이션 보조 수단의 이동에 의해 개개의 리스트 요소(10, 10')는 각각 마킹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2의 좌측에 3개의 스냅 샷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보조 수단(5)의 이동에 의해 마킹 변환(8)이 리스트 이동 방향을 따라 수행된다. 이러한 경우, 특히, 마킹 변환과 병행하여, 특히 이전에 마킹된 리스트 요소(10)에 인접하는 다른 리스트 요소(10')에 할당되어 있는 다른 프리뷰 요소(11')가 이전의 프리뷰 요소(11)의 위치를 대체하거나 또는 이 위치에 나타나는 것이 제안된다. 특히, 이러한 경우, 마킹 변환(8)이 이루어지는 리스트 이동 방향에 평행한 이미지 스크롤링에 의해 다른 프리뷰 요소(11')로 대체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를 통해 가능한 한 가장 직관적인 방식으로 다른 프리뷰 요소(11')에 대한 관련성이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대체는 연속적이거나 또는 일정하게 이루어지므로, 마킹 변환(8) 시 네비게이션 보조 수단(5)의 각 위치에 대해 프리뷰 요소(11) 및 다른 프리뷰 요소(11')의 정렬이 그들의 교환 시 할당되어 있다. 특히, 다른 프리뷰 요소(11')의 대체는 커버 플로우(Coverflow) 기능 또는 커버 플로우이다. 일 측면 상의 리스트 요소(10, 10')의 리스트형 표현과 다른 측면 상의 프리뷰 요소(11) 또는 다른 프리뷰 요소(11')의 커버 플로우를 조합함으로써, 양쪽의 표현의 장점이 유리한 방식으로 통합될 수 있고, 상이한 형태의 표현의 단점은 서로 상쇄된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고 등가물이 대체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또한 청구된 청구범위와는 독립적으로, 종속항의 주제 및 특징에 대한 보호를 청구한다.
1 조작 시스템 2 제어 장치
3 조작 요소 4 이미지 스크롤링 방향
5 네비게이션 보조 수단 6 디스플레이 장치
7 디스플레이 면 8 마킹 변환
9 변환 10 리스트 요소
10' 다른 리스트 요소 11 프리뷰 요소
11' 다른 프리뷰 요소 12 메인 요소
20 디스플레이 면 에지

Claims (15)

  1. 차량용 조작 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조작 시스템(1)은,
    디스플레이 면(7)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와,
    리스트 요소(10, 10') 및 상기 리스트 요소(10, 10')에 쌍으로 할당되는 프리뷰 요소(11, 11') 및 메인 요소(12)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와,
    사용자에 의해 리스트 요소(10, 10')를 마킹 및/또는 선택하기 위한 입력 요소(3)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7) 및 상기 입력 요소(3)에 결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면(7) 상에서 재생되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2)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면(7)은,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7) 상에 상기 리스트 요소(10, 10')의 적어도 일부가 리스트로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입력 요소(3)에 의해 리스트 요소(10)가 마킹될 때 상기 메인 요소(12)의 전체 콘텐츠에 대한 프리뷰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마킹된 리스트 요소(10)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프리뷰 요소(11)가 상기 리스트에 추가하여 정보 창(7)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정보 창(7)은 상기 디스플레이 면(7)에서 상기 마킹된 리스트 요소(10)보다 더 큰 면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입력 요소(3)에 의해 하나의 리스트 요소(10)로부터 다른 리스트 요소(10')로의 마킹 변환(8)이 수행될 수 있고,
    상기 마킹 변환(8) 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다른 상기 리스트 요소(10')에 할당되어 있는 다른 프리뷰 요소(11')를 위한 다른 정보 창이 이전의 상기 정보 창의 위치를 대체하고,
    상기 마킹된 리스트 요소(10)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로부터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변환(9)이 구현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프리뷰 요소(11) 대신에, 특히 상기 프리뷰 요소(11) 및 상기 리스트 요소(10, 10') 대신에 상기 메인 요소(12)가 상기 디스플레이 면(7)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2)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인, 조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7)은, 리스트 이동 방향으로 상기 리스트 요소(10)와 하나 이상의 다른 리스트 요소(10') 사이에 마킹 변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프리뷰 요소(11)의 상기 정보 창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다른 리스트 요소(10')에 각각 할당되어 있는 상기 프리뷰 요소의 상기 다른 정보 창에 대해 동일한 리스트 이동 방향으로 상응하는 이미지 스크롤링이 구현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2)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인, 조작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7)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리스트 요소(10)의 마킹에 의해 상기 프리뷰 요소(11)는 상기 마킹을 트리거링하는 작동 프로세스에 대해 동시에 또는 약간 시간-오프셋되어 제공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2)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인, 조작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요소(12)의 정보량은 상기 프리뷰 요소(11)의 정보량보다 큰 것인, 조작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 요소(10)는 집합 명칭을 제공하고, 상기 정보 창 내의 상기 프리뷰 요소(11)는 예를 들어 키워드형 요약 형태로 상기 메인 요소(12)의 전체 콘텐츠에 대한 요약형 개요를 제공하고, 상기 메인 요소(12)는 예를 들어 현재 차량 정보의 전체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인, 조작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7)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7) 상에 실질적으로 배타적으로 상기 메인 요소(12)만이 표현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2)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인, 조작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7)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10)에 인접하는 상기 다른 리스트 요소(10')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다른 프리뷰 요소(11')를 위한 상기 정보 창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디스플레이 면(7)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2)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인, 조작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7)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10)에 인접하는 상기 다른 리스트 요소(10')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다른 프리뷰 요소(11')를 위한 상기 다른 정보 창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면 에지(20)의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2)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인, 조작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7)은, 상기 리스트 요소(10)의 영역에서의 상기 마킹 변환(8)의 현재 상태가 네비게이션 보조 수단(5)을 통해, 예를 들어 화살표 또는 검지를 포함하는 손의 표현의 형태로 시각화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의 경우에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하고 있는 물체의 위치를 통해 결정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2)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인, 조작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7)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현재 마킹된 리스트 요소(10)가 시각적 표현으로, 예를 들어 크기 또는 배경 색상과 관련하여, 마킹되지 않은 다른 리스트 요소(10')와 구별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2)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인, 조작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7)은, 상기 프리뷰 요소(11)에 대해 제공되는 상기 정보 창(7)의 면 부분과 상기 다른 프리뷰 요소(11')에 대해 제공되는 상기 정보 창의 면 부분 사이의 비가 상기 마킹 변환(8)의 현재 상태에 의존하도록, 상기 제어 장치(2)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인, 조작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요소(3)는 로크-다운 스위치, 롤러, 터치스크린, 제스처를 검출하는 수단 및/또는 다기능 스티어링 휠 상의 또는 피트먼 아암 상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것인, 조작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면(7)은,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리스트 요소(10, 10') 및 상기 정보 창에 추가하여 상기 리스트 요소(10, 10') 및 상기 정보 창과 독립적인 예를 들어 태코미터와 같은 정보 디스플레이가 표현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2)를 통해 제어 가능한 것인, 조작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작 시스템(1)을 조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하나의 리스트 요소(10)로부터 다른 리스트 요소(10')로 마킹 변환(8)이 수행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상기 리스트 요소(10, 10')의 리스트에 추가하여 프리뷰 요소(11)가 상기 마킹된 리스트 요소(10)에 대한 정보 창(7)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마킹 변환(8) 시 상기 다른 리스트 요소(10')에 할당되어 있는 다른 프리뷰 요소(11')의 다른 정보 창이 이전의 상기 정보 창의 위치를 대체하고, 리스트 요소의 선택을 통해 제2 디스플레이 모드로의 변환이 트리거링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면 상에는 상기 프리뷰 요소(10) 대신에 메인 요소(12)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인, 조작 시스템(1)을 조작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작 시스템(1)을 포함하는 차량, 특히 상용 차량.
KR1020180016817A 2017-02-18 2018-02-12 조작 시스템, 조작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 및 조작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KR102528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001614.3A DE102017001614A1 (de) 2017-02-18 2017-02-18 Bediensystem, Verfahren zum Bedienen eines Bediensystems und ein Fahrzeug mit einem Bediensystem
DE102017001614.3 2017-0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778A true KR20180095778A (ko) 2018-08-28
KR102528120B1 KR102528120B1 (ko) 2023-05-02

Family

ID=61163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817A KR102528120B1 (ko) 2017-02-18 2018-02-12 조작 시스템, 조작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 및 조작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364283B1 (ko)
KR (1) KR102528120B1 (ko)
CN (1) CN108459807A (ko)
BR (1) BR102018002792A2 (ko)
DE (1) DE102017001614A1 (ko)
RU (1) RU2763446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600A (ko) * 2021-12-16 2023-06-23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사용자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357A (ko) * 2010-09-24 2012-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20092036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062118A1 (en) * 2012-01-09 2015-03-05 Audi Ag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3d representation of a user interface in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7746B (en) * 2003-10-28 2008-01-23 Yisia Young Suk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information from an informtion source
JP2005275821A (ja) * 2004-03-25 2005-10-06 Canon Inc 文書管理システムおよび文書管理方法
KR20080099487A (ko) * 2007-05-09 2008-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86669B1 (ko) * 2009-09-13 2016-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리뷰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검색 방법, 장치 및 시스템
RU2504097C1 (ru) * 2012-05-28 2014-01-10 Александр Игоревич Тверезовский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интерфейс для работы с поисковыми системами и базами данных (варианты)
JP2014038560A (ja) * 2012-08-20 2014-02-2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1357A (ko) * 2010-09-24 2012-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디바이스에서 홈스크린 편집 방법 및 장치
KR20120092036A (ko) * 2011-02-10 2012-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062118A1 (en) * 2012-01-09 2015-03-05 Audi Ag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3d representation of a user interface in a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1600A (ko) * 2021-12-16 2023-06-23 태하메카트로닉스 (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사용자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63446C2 (ru) 2021-12-29
RU2018105865A3 (ko) 2021-07-13
EP3364283A1 (de) 2018-08-22
DE102017001614A1 (de) 2018-08-23
CN108459807A (zh) 2018-08-28
KR102528120B1 (ko) 2023-05-02
EP3364283B1 (de) 2022-08-17
BR102018002792A2 (pt) 2018-12-04
RU2018105865A (ru)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5352B2 (en) Displaying vehicle information
US8416219B2 (en) Operating device and operating system
US20110227718A1 (en) Multi-function display and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 system having optimized graphical operating display
JP2006137427A (ja) 近接センサを有する、車両用のヒュー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
US6647338B1 (en) Navigation device
DE102005049514A1 (de) Bedienerschnittstelleneinheit für Fahrzeuge
KR20190069371A (ko) 기능들의 세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들의 세트에 액세스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JP4960127B2 (ja) 操作デバイス
US20080177440A1 (en) Switch control device and switch control method
JP6035828B2 (ja) 表示操作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DE102005049517A1 (de) Bedienerschnittstelleneinheit mit einem Berührungssensor für ein Fahrzeug
JP2011193040A (ja) 車両用入力装置、ポインタ表示方法
JP5456899B2 (ja) 車両用操作装置
US20130201126A1 (en) Input device
KR20180095778A (ko) 조작 시스템, 조작 시스템을 조작하는 방법 및 조작 시스템을 포함하는 차량
JP5954156B2 (ja) 車載情報処理装置
US10752113B2 (en) Vehicle display apparatus and vehicle
JP2018010472A (ja) 車内電子機器操作装置及び車内電子機器操作方法
JP2012027538A (ja) 電子機器
JP2010097332A (ja) 入力支援装置
JP2004243834A (ja) 車両用操作系操作状態表示方法および操作系操作状態表示システム
JP2018132824A (ja) 操作装置
US9600097B2 (en) On-vehicle device operation apparatus and on-vehicle device operation method
JP7255584B2 (ja) 車両用メニュー表示制御装置、車載機器操作システム、及びguiプログラム
CN220009681U (zh) 抬头显示设备的显示调节装置、抬头显示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