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252A -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252A
KR20180095252A KR1020170021500A KR20170021500A KR20180095252A KR 20180095252 A KR20180095252 A KR 20180095252A KR 1020170021500 A KR1020170021500 A KR 1020170021500A KR 20170021500 A KR20170021500 A KR 20170021500A KR 20180095252 A KR20180095252 A KR 20180095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ex
air conditioning
parameter
cal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4435B1 (ko
Inventor
이원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1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44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4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4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vehicle position or surrounding, e.g. GPS-based position or tu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83Filtering the quality of the filter or the air being check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10Weather information or forec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은 차량의 시동을 거는 단계; 공조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공조 파라미터가 일정 수치 이상일 경우, 내부 순환 모드로 전환하고, 공조 파라미터가 일정 수치 이하일 경우, 내부 순환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먼지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먼지 파라미터에 따라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하거나, 창문 개방 허용하는 단계; 및 공조 작동 원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interior air}
본 발명은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날씨 데이터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공조장치, 창문 등을 제어하여 쾌적한 자동차 내부 환경을 제공하는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텔레매틱스, 컨넥티비티 기능을 이용하여 날씨를 확인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자동차 관련 기술이 있다. 그러나, 날씨 정보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직접 자동차 내부 장치를 조정하여야 하므로, 운전 중 사고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고, 운전 중 날씨를 확인하는 것도 안전 운전을 저해하는 문제가 된다.
인체에 유해한 외부 공기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만으로는 사용자가 용이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외부 공기가 인간에게 유해한 경우, 건강에 해로운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날씨, 미세먼지 농도, 습도 등의 정보를 활용하여 공조 장치, 창문 등을 제어하여 쾌적한 자동차 내부 환경을 제어하는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차량 내부 공기 및 외부 환경 정보를 알려서 사용자로 하여금 자동차 내부 공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은 차량의 시동을 거는 단계; 공조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공조 파라미터가 일정 수치 이상일 경우, 내부 순환 모드로 전환하고, 공조 파라미터가 일정 수치 이하일 경우, 내부 순환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먼지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먼지 파라미터에 따라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하거나, 창문 개방 허용하는 단계; 및 공조 작동 원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장치는 기상청 서버로부터 제1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단말로부터 제2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워셔액 센서로부터 워셔액 사용횟수 정보를 수신하고, 필터 교체 감지 센서로부터 에어컨 필터의 교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연산부에 전송하는 통신부; 통신부로부터 상기 정보들을 수신하고,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주행 거리 감지부로부터 에어컨 교체 후 주행거리를 수신하여, 공조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산출된 공조 파라미터로부터 공조 장치 및 창문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공조 장치 및 창문의 작동을 제어하고, 터치 디스플레이에 작동 정보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의식하는 못하는 사이에 공조 장치 및 창문을 작동시켜 차량 내부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외부 환경의 미세먼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장치의 블록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의 절차 흐름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이 구현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0)와, 메모리(120)와, 사용자 입력 장치(150)와, 데이터 통신 버스(130)와, 사용자 출력 장치(160)와, 저장소(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구성 요소는 데이터 통신 버스(130)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한다.
컴퓨터 시스템은 네트워크(180)에 연결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10)는 중앙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이거나, 혹은 메모리(130) 및/또는 저장소(140)에 저장된 명령어를 처리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120) 및 상기 저장소(140)는 다양한 형태의 휘발성 혹은 비휘발성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모리(120)는 ROM(123) 및 RAM(12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 가능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이 컴퓨터 장치에서 수행될 때,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운영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OOOOOOOOOOO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장치의 블록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장치는 기상청 서버로부터 제1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단말로부터 제2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워셔액 센서로부터 워셔액 사용횟수 정보를 수신하고, 필터 교체 감지 센서로부터 에어컨 필터의 교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연산부에 전송하는 통신부; 통신부로부터 상기 정보들을 수신하고,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주행 거리 감지부로부터 에어컨 교체 후 주행거리를 수신하여, 공조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산출된 공조 파라미터로부터 공조 장치 및 창문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공조 장치 및 창문의 작동을 제어하고, 터치 디스플레이에 작동 정보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매년 봄이 되면, 황사가 발생하고, 미세 먼지 농도가 높아지지만,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미세 먼지 농도가 나쁜 날도, 외부 공기가 차량 내에 유입되도록 설정하거나, 창문을 열어두는 경우가 많다. 또한, 대부분의 에어컨 필터는 미세 먼지를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 주로 사용되는 워셔액은 인체에 해로운 메탄올을 사용하여, 창문을 닦은 후 흘러내린 워셔액의 성분인 메탄올이 공조 장치를 통하여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포장 도로에서 차량이 운행되는 경우, 창문을 통하여 흙과 먼지가 유입되고, 차량에 장착된 각종 필터에 이물이 적재되는 문제가 있다.
에어컨 필터의 경우, 통상 주행거리 15,000km마다 교체할 것을 권고하나, 교체된 후 오랜 시간 방치되면, 냉방 성능의 저하뿐만 아니라 곰팡이 또는 세균 등의 미생물이 필터에 존재하여,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내부 공기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원인들을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내부 공기 오염 파라미터(공조 파라미터)를 정의하고, 내부 공기 오염 파라미터를 산출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어 내부 공기 순환 모드로 전환하거나, 창문을 조작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쾌적한 차량 내부 공기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미세 먼지 또는 황사 등의 기상 정보, 위셔액 사용 여부, 내비게이션 지도 정보, 에어컨 필터 교환 시기 등을 정보로부터 차량 내부 공기 오염 파라미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파라미터에 따라 차량 내부 공기를 제어하고자 한다.
통합 대기 오염 농도와 같은 기상 정보는 텔레매틱스를 통하여 기상청 서버로부터 얻거나, 컨넥티비티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날씨앱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위셔액 사용 여부는 센서를 통하여 감지할 수 있고, 워셔액의 종류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입력받을 수 있다. 메탄올 워셔액은 인체에 극히 해로우나, 에탄올 워셔액은 상대적으로 메탄올에 비하여 덜 해로우나, 무해한 것은 아니다.
내비게이션의 지도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도로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비포장 도로의 경우에는 차량 외부로부터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흙과 먼지가 많을 수 있다.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주행거리가 15,000km가 된 경우, 에어컨 필터를 교환할 시기를 알려줄 수 있다. 다만, 주행거리가 아닌 에어컨 이용 시간을 기준으로 에어컨 필터 교환 시기를 알려줄 수도 있다.
에어컨 필터 교체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에어컨 필터를 교체하는 경우, 에어컨 필터 교환 시기를 초기화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기상청 서버로부터 제1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단말로부터 제2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워셔액 센서로부터 워셔액 사용횟수 정보를 수신하고, 필터 교체 감지 센서로부터 에어컨 필터의 교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연산부(220)에 전송한다.
연산부(220)는 상술한 공기 오염 조건을 토대로, 차량 내부 공조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판단부(230)는 산출된 차량 내부 공기 오염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차량 내부 공기의 오염 정도를 판단한다.
제어부(240)는 상기 차량 내부 공기의 오염 정도에 창문 및 공조장치를 제어하거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차량 내부 공기의 오염 정도를 알리거나,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의 절차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은 차량의 시동을 거는 단계; 공조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공조 파라미터가 일정 수치 이상일 경우, 내부 순환 모드로 전환하고, 공조 파라미터가 일정 수치 이하일 경우, 내부 순환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먼지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먼지 파라미터에 따라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하거나, 창문 개방 허용하는 단계; 및 공조 작동 원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조 파라미터는 대기 오염 농도 지수(a), 위셔액 지수(b), 비포장 도로 지수(c) 및 에어컨 필터 지수(d)를 더하여 산출하는 것이고, 상기 먼지 파라미터는 대기 오염 농도 지수(a) 및 비포장 도로 지수(c)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기 오염 농도 지수는 기상청 서버 데이터 및 스마트폰 날씨 앱의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것이고, 상기 워셔액 지수는 워셔액에 메탄올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및 워셔액의 사용횟수에 의해 산출되는 것이고, 상기 비포장 도로 지수는 차량이 비포장 도로를 주행한 거리에 따라 증가되는 것이고, 포장 도로를 주행한 거리에 따라 감소하는 것이고, 상기 에어컨 필터 지수는 차량의 주행거리에 따라 증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은 오염 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1) 통합 대기 오염 농도, 2) 워셔액 사용 여부, 3) 비포장 도로 운행 여부, 4) 에어컨 필터 교환 시기를 토대로 차량 내부 공조 파라미터(공기 오염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각 기준에 대하여 사전에 정의된 수준에 따라 점수화하여 차량 내부 공기 오염 파라미터를 산출한다.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통합 대기 지수가 보통일 경우 2점, 나쁨일 경우 5점, 매우 나쁨일 경우 10점으로 하고, 워셔액이 메탄올인 경우 워셔액을 사용하면 10점, 워셔액이 에탄올인 경우 워셔액을 사용하면 3점, 사용자가 비포장 도로를 1km 주행할 때마다 1점을 가산하고, 에어컨 필터 권장 교체 주기가 15,000km로 가정할 때, 10,000km 이상 11,000km이하 일 때 1점, 11,000km 이상 11,500km 이하 일 때 2점, 11,500km 이상 12,000km이하 일 때 3점, 12,000km 이상 12,500km 이하 일 때 4점, 12,500km 이상 13,000km이하 일 때 5점, 11,000km 이상 13,500km 이하 일 때 6점, 13,500km 이상 14,000km이하 일 때 7점, 11,000km 이상 14,500km 이하 일 때 8점, 14,500km 이상 15,000km이하 일 때 1점, 15,000km 이상 일 때 10점을 가산할 수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수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는 아니한다.
상기 차량 내부 공기 오염 파라미터가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며,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사용자에게 알리고, 공조 장치는 공기 순환 모드를 내부 공기 순환 모드로 전환한다. 만약, 미세 먼지 또는 흙먼지에 의하여 차량 내부 공기가 오염된 것으로 판단할 경우에는 내부 공기 순환 모드로 전환함과 함께 창문이 닫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디스플레이에 공조 장치가 작동한 것을 알리고, 공기 오염 원인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내부 공기 순환 모드에서 차량 내부 공기 오염 파라미터가 일정 수준 이하가 되면, 외부 공기 유입 모드로 변환할 수 있음을 알린다.
통합 대기 오염 지수가 낮아지거나, 비포장 도로를 주행한 거리가 일정 수준 이하로 감소하면, 외부 공기가 좋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컴퓨터 시스템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23: ROM
126: RAM
130: 데이터 통신 버스
140: 저장소
150: 사용자 입력 장치
160: 사용자 출력 장치
17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80: 네트워크
210: 통신부
220: 연산부
230: 판단부
240: 제어부

Claims (12)

  1. 차량의 시동을 거는 단계;
    공조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공조 파라미터가 일정 수치 이상일 경우, 내부 순환 모드로 전환하고, 공조 파라미터가 일정 수치 이하일 경우, 내부 순환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먼지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단계;
    먼지 파라미터에 따라 창문을 자동으로 폐쇄하거나, 창문 개방 허용하는 단계; 및
    공조 작동 원인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파라미터는 대기 오염 농도 지수(a), 위셔액 지수(b), 비포장 도로 지수(c) 및 에어컨 필터 지수(d)를 더하여 산출하는 것이고,
    상기 먼지 파라미터는 대기 오염 농도 지수(a) 및 비포장 도로 지수(c)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
    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오염 농도 지수는 기상청 서버 데이터 및 스마트폰 날씨 앱의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것
    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지수는 워셔액에 메탄올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및 워셔액의 사용횟수에 의해 산출되는 것
    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포장 도로 지수는 차량이 비포장 도로를 주행한 거리에 따라 증가되는 것이고, 포장 도로를 주행한 거리에 따라 감소하는 것
    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필터 지수는 차량의 주행거리에 따라 증가되는 것
    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
  7. 기상청 서버로부터 제1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외부 단말로부터 제2 기상 정보를 수신하고, 워셔액 센서로부터 워셔액 사용횟수 정보를 수신하고, 필터 교체 감지 센서로부터 에어컨 필터의 교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들을 연산부에 전송하는 통신부;
    통신부로부터 상기 정보들을 수신하고, 내비게이션으로부터 지도 정보를 수신하고, 주행 거리 감지부로부터 에어컨 교체 후 주행거리를 수신하여, 공조 파라미터를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산출된 공조 파라미터로부터 공조 장치 및 창문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여 공조 장치 및 창문의 작동을 제어하고, 터치 디스플레이에 작동 정보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파라미터는 대기 오염 농도 지수(a), 위셔액 지수(b), 비포장 도로 지수(c) 및 에어컨 필터 지수(d)를 더하여 산출하는 것이고,
    상기 먼지 파라미터는 대기 오염 농도 지수(a) 및 비포장 도로 지수(c)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
    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오염 농도 지수는 기상청 서버 데이터 및 스마트폰 날씨 앱의 데이터로부터 산출한 것
    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지수는 워셔액에 메탄올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및 워셔액의 사용횟수에 의해 산출되는 것
    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포장 도로 지수는 차량이 비포장 도로를 주행한 거리에 따라 증가되는 것이고, 포장 도로를 주행한 거리에 따라 감소하는 것
    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컨 필터 지수는 차량의 주행거리에 따라 증가되는 것
    인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방법.
KR1020170021500A 2017-02-17 2017-02-17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664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500A KR102664435B1 (ko) 2017-02-17 2017-02-17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500A KR102664435B1 (ko) 2017-02-17 2017-02-17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252A true KR20180095252A (ko) 2018-08-27
KR102664435B1 KR102664435B1 (ko) 2024-05-08

Family

ID=6345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500A KR102664435B1 (ko) 2017-02-17 2017-02-17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44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753B1 (ko) * 2019-04-22 2019-11-04 설진길 차량용 내부공기 청결 및 환기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내부 환기 방법
KR20200026577A (ko) * 2018-09-03 2020-03-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자동차단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309A (ko) * 1997-03-04 1998-11-05 김영귀 자동차 공조시스템 제어방법
KR20170007003A (ko) * 2015-07-10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능동형 공기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2309A (ko) * 1997-03-04 1998-11-05 김영귀 자동차 공조시스템 제어방법
KR20170007003A (ko) * 2015-07-10 2017-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의 능동형 공기 정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6577A (ko) * 2018-09-03 2020-03-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먼지 자동차단 장치
KR102027753B1 (ko) * 2019-04-22 2019-11-04 설진길 차량용 내부공기 청결 및 환기시스템을 이용한 차량 내부 환기 방법
WO2020218747A1 (ko) * 2019-04-22 2020-10-29 설진길 차량용 내부공기 청결 및 환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64435B1 (ko)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66195B (zh) 一种车内空气品质智能管理系统及其使用方法
US10226982B2 (en) Automatic vehicle climate control based on predicted air quality
EP3024676B1 (en) Adaptive interior air qualit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for vehicle compartment
US20180003116A1 (en) Pollution handling process and system for vehicles
JP6546695B2 (ja) 車両ネットワーキングに基づく空気質検出システム
US76936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fuel status of vehicles
CN104875746A (zh) 车辆操作员监测和操作调节
CN107471970B (zh) 基于计算的车舱过滤性能
CN107532987B (zh) 用于估算壳体的空气中含有的细颗粒的质量浓度的装置
EP3628972A1 (en)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 system for determining a route
JP2006115623A (ja) 走行可能距離推定システム
CN108790630A (zh) 道路水检测
JP2016137818A (ja) 車室内空気向上システム
CN106739979B (zh) 车辆空调过滤器的检测方法和检测装置
KR20180095252A (ko) 자동차 내부 공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818639A (zh) 车载空调控制方法及装置
CN112150856A (zh) 污染管理系统和方法
CN111316068A (zh) 用于车辆导航的方法
KR101469076B1 (ko) 주행 특성 및 환경에 따른 배출 오염량 추정을 통한 차량 실내 환기 시스템 및 방법
CN108281025A (zh) 用于运行车辆的方法
CN111090916A (zh) 车内空调过滤器的内芯寿命的计算方法及其计算系统
CN109785208A (zh) 环境改善系统和环境改善方法以及其中使用的服务器
WO2015181568A2 (en) Predicting attainable locations
KR20120002095A (ko) 위치기반 차량의 운전환경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01558672B1 (ko) 차량의 연비 저하 경고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