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522A - 슈트용 스커트장치 - Google Patents

슈트용 스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522A
KR20180094522A KR1020170020298A KR20170020298A KR20180094522A KR 20180094522 A KR20180094522 A KR 20180094522A KR 1020170020298 A KR1020170020298 A KR 1020170020298A KR 20170020298 A KR20170020298 A KR 20170020298A KR 20180094522 A KR20180094522 A KR 20180094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plate body
unit
movement control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8379B1 (ko
Inventor
황원관
도종구
송재준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0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379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65G69/185Preventing escape of dust by means of non-seal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B65G2812/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슈트용 스커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슈트용 스커트장치는: 제1벨트컨베이어 상의 이송물이 제2벨트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슈트부와, 슈트부에 설치되고, 안내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와, 플레이트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와, 가압부에 장착되고, 자체의 하중에 의해 안내부를 따라 하강되어 가압부를 하방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슈트용 스커트장치{SKIRT DEVICE FOR CHUTE}
본 발명은 슈트용 스커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물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며, 가압부의 마모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슈트용 스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광석 등의 원료와, 고로 작업 시 광석을 용융시키기 위한 연료로 사용되는 석탄은 대부분 선박으로 이송되어 인접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제철공장으로 운반된다.
선박에 적재된 연료와 원료 등의 운송물을 지상의 벨트컨베이어로 이송하기 위하여 연속식 하역기를 사용하며, 벨트컨베이어에 이송되는 과정에서 슈트 등의 장치를 적용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9199호(발명의 명칭:벨트컨베이어용 슈트, 등록일:2015.06.10.)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송물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되며, 가압부의 마모정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슈트용 스커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슈트용 스커트장치는: 제1벨트컨베이어 상의 이송물이 제2벨트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고, 안내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몸체를 갖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장착되고, 자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안내부를 따라 하강되어 상기 가압부를 하방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조절부가 삽입되는 안내홀부; 및 상기 안내홀부와 연결되며,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조절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조절부는, 상기 안내홀부에 삽입되는 제1이동조절바; 상기 제1이동조절바에서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안내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이동조절바; 및 상기 제2이동조절바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너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3이동조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이동조절바와 상기 제3이동조절바는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제2이동조절바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이동조절바의 이동을 멈추는 스토퍼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플레이트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홀부를 개폐하는 빠짐방지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몸체는 측부에 상기 가압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플레이트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몸체에는 상기 이동조절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눈금선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는 제2벨트컨베이어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통해 이송물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가압부에 장착되고, 자체의 하중에 의해 안내부를 따라 하강되어 가압부를 하방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를 통해 가압부가 자체적으로 이동되어 제2벨트컨베이어에 밀착됨으로써, 작업자가 가압부를 제2벨트컨베이어에 밀착시키기 위해 가압부에 압력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서 이동조절부의 제2이동조절바와 제3이동조절바가 플레이트부의 외측으로 노출됨으로써, 제2벨트컨베이어와의 마찰로 마모되어 길이가 줄어든 가압부가 이동조절부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면, 이동조절부를 통해 작업자는 가압부의 마모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마모된 가압부를 빠르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안내홈부는 제2이동조절바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2이동조절바의 이동을 멈추는 스토퍼면을 구비하므로, 제2이동조절바에 의해 가압부가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멈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부의 안내홀부를 개폐하는 빠짐방지도어를 통해 작업시 흔들림 등으로 인해 이동조절부가 안내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부의 삽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통해 작업자는 가압부를 플레이트부에 장착시킬 때, 개폐부를 개방하여 삽입구를 통해 플레이트부의 내부로 가압부를 용이하게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트부의 안내홈부를 따라 형성되는 눈금선을 통해 가압부의 마모정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의 가압부의 상측에 이동조절부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의 이동조절부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가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의 가압부의 상측에 이동조절부가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의 이동조절부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가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1)는 슈트부(100), 플레이트부(200), 가압부(300) 및 이동조절부(400)를 포함한다. 슈트부(100)는 제1벨트컨베이어(10) 상의 이송물(M)이 제2벨트컨베이어(20)로 낙하되도록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슈트부(100)는 제1벨트컨베이어(10)의 이송물(M)을 제2벨트컨베이어(20)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이송물(M)이 통과하는 공간(미도시)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간을 통하여 이송물(M)은 제1벨트컨베이어(10)에서 제2벨트컨베이어(20)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슈트부(100)는 이송물(M)이 통과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부(200)는 슈트부(100)에 설치되고, 안내부(211)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몸체(210)를 갖는다. 플레이트몸체(210)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제2벨트컨베이어(20) 측으로 향하는 면이 개방된다.
가압부(300)는 고무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플레이트부(200)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과 같이, 가압부(300)는 제2벨트컨베이어(20) 측으로 돌출되도록 플레이트부(200)에 설치된다. 즉, 가압부(300)는 제2벨트컨베이어(20)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2벨트컨베이어(20)를 가압하도록 플레이트부(200)에 설치된다. 이때, 제2벨트컨베이어(20)는 밀착된 가압부(300)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가압부(300)가 제2벨트컨베이어(20)에 밀착되어 제2벨트컨베이어(20)를 가압함으로써, 제1벨트컨베이어(10) 상의 이송물(M)이 제2벨트컨베이어(20)로 낙하될 때, 이송물(M)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동조절부(400)는 가압부(300)에 장착되고, 자체의 하중에 의해 안내부(211)를 따라 하강되어 가압부(300)를 하방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이동조절부(400)는 가압부(300)의 상측에 배치되며, 가압부(300)에 압력을 가해 가압부(300)가 플레이트몸체(210)를 따라 제2벨트컨베이어(2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2벨트컨베이어(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제2벨트컨베이어(20)에 가압부(300)가 밀착되도록 가압부(300)에 임의로 압력을 가하지 않아도 가압부(300)가 자체적으로 이동되어 제2벨트컨베이어(20)에 밀착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안내부(211)는 안내홀부(211a)와 안내홈부(211b)를 포함한다. 안내홀부(211a)는 플레이트몸체(2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이동조절부(400)가 삽입된다.
안내홈부(211b)는 안내홀부(211a)와 연결되며, 플레이트몸체(210)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동조절부(40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이동조절부(400)는 제1이동조절바(410), 제2이동조절바(420) 및 제3이동조절바(430)를 포함한다. 제1이동조절바(410)는 안내홀부(211a)에 삽입된다. 제2이동조절바(420)는 제1이동조절바(410)에서 제2벨트컨베이어(20)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안내홈부(211b)를 따라 이동된다.
제3이동조절바(430)는 제2이동조절바(420)의 하부에 연결되고, 플레이트몸체(210)의 너비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3이동조절바(430)는 두께(t3)가 제1이동조절바(420)의 두께(t1) 및 제2이동조절바(430)의 두께(t2)보다 두껍다. 이로써, 제1이동조절바(410)가 가압부(300)의 상부에 배치되면, 제3이동조절바(430)의 하중에 의해 가압부(300)는 제2벨트컨베이어(2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2이동조절바(420)와 제3이동조절바(430)는 플레이트몸체(2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도 4와 도 5와 같이, 제2이동조절바(420)와 제3이동조절바(430)가 플레이트몸체(210)의 외측으로 노출됨에 따라, 제2벨트컨베이어(20)와의 마찰로 마모되어 길이가 줄어든 가압부(300)가 이동조절부(400)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면, 이동조절부(400)를 통해 작업자는 가압부(300)의 마모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마모된 가압부(300)를 빠르게 교체할 수 있다.
안내홈부(211b)는 제2이동조절바(420)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제2이동조절바(420)의 이동을 멈추는 스토퍼면(211c)을 구비한다(도 3 참조). 도 5와 같이, 제2이동조절바(420)는 안내홈부(211b)의 스토퍼면(211c)에 닿으면, 가압부(300)가 제2이동조절바(420)에 하중을 가하는 것이 방지되어 제2이동조절바(420)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멈출 수 있다.
플레이트부(200)는 빠짐방지도어(230)를 더 포함한다. 빠짐방지도어(230)는 플레이트몸체(210)와 연결되고, 안내홀부(211a)를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빠짐방지도어(230)는 이동조절부(400)를 안내홀부(211a)에 삽입할 때만 개방되며, 작업시 안내홀부(211a)를 폐쇄한다. 이로써, 흔들림 등으로 인해 이동조절부(400)가 안내홀부(211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빠짐방지도어(230)에는 손잡이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작업자는 손잡이부(231)를 이용하여 빠짐방지도어(230)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빠짐방지도어(230)에 손잡이부(231)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되지만, 이는 한정된 것이 아니라 손으로 빠짐방지도어(230)를 개폐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돌기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가능하다.
플레이트몸체(210)에는 측부에 가압부(300)가 삽입되는 삽입구(212)가 형성되고, 플레이트부(200)는 플레이트몸체(210)와 연결되고, 삽입구(212)를 개폐하는 개폐부(220)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가압부(300)를 플레이트부(200)에 장착시킬 때, 개폐부(220)를 개방하여 삽입구(212)를 통해 플레이트부(200)의 내부로 가압부(300)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220)에는 결합돌기(221)가 돌출형성되며, 플레이트몸체(210)에는 결합돌기(221)와 결합되는 결합홈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부(220)가 삽입구(212)를 폐쇄하면, 결합돌기(221)와 결합홈부(213)가 결합되어 개폐부(220)가 플레이트몸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220)에 특별한 외력을 가하지 않는 한 개폐부(220)는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개폐부(220)에 손잡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개폐부(220)를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다.
플레이트몸체(210)에는 이동조절부(400)의 위치를 나타내는 눈금선(500)이 있다. 도 5와 같이, 제2이동조절바(420)는 안내홈부(211b)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며, 플레이트몸체(210)에는 안내홈부(211b)를 따라 눈금선(500)이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제2이동조절바(420)가 가리키는 눈금선(500)을 통해 작업자는 가압부(300)의 마모정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하,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작업자는 먼저 개폐부(220)를 개방하여 플레이트부(200)에 가압부(300)를 삽입하여, 플레이트부(200)에 가압부(300)를 장착시킨다. 이때, 가압부(300)가 제2벨트컨베이어(20)에 밀착되어 제2벨트컨베이어(20)를 가압하도록 플레이트부(200)에 가압부(300)를 장착한다. 이로써, 제1벨트컨베이어(10)의 이송물(M)이 제2벨트컨베이어(20)로 낙하되어 이송물(M)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빠짐방지도어(230)를 개방하여 안내홀부(211a)로 이동조절부(400)를 삽입하여, 가압부(300)의 상부에 배치한다. 이후에, 가압부(300)가 제2벨트컨베이어(20)와의 마찰로 인해 마모되어 크기가 줄어들고, 가압부(300)는 이동조절부(400)의 하중에 의해 제2벨트컨베이어(2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때, 이동조절부(400) 역시 안내부(211)를 따라 제2벨트컨베이어(2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이동조절부(400)의 하중이 가압부(300)에 전달되고, 이동조절부(400)의 하중을 전달받은 가압부(300)는 제2벨트컨베이어(2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렇게 가압부(300)가 슬라이드 이동되면, 플레이트몸체(210)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이동조절바(420)가 안내홈부(211b)를 따라 이동되어 플레이트몸체(210)에 있는 눈금선(500)를 가리킨다. 이로써, 작업자는 가압부(300)의 마모정도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따른 슈트용 스커트장치(1)는 이송물(M)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가압부(300)가 이동조절부(400)의 하중에 의해 자체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작업자가 가압부(300)를 제2벨트컨베이어(20)에 밀착시키기 위해 가압부(300)에 압력을 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플레이트몸체(21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제2이동조절바(420)와 제3이동조절바(430)를 통해 가압부(300)의 마모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빠른 시간 내에 마모된 가압부(300)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슈트용 스커트장치 10 : 제1벨트컨베이어
20 : 제2벨트컨베이어 100 : 슈트부
200 : 플레이트부 210 : 플레이트몸체
211 : 안내부 211a : 안내홀부
211b : 안내홈부 211c : 스토퍼면
212 : 삽입구 213 : 결합홈부
220 : 개폐부 221 : 결합돌기
230 : 빠짐방지도어 231 : 손잡이부
300 : 가압부 400 : 이동조절부
410 : 제1이동조절바 420 : 제2이동조절바
430 : 제3이동조절바 500 : 눈금선

Claims (8)

  1. 제1벨트컨베이어 상의 이송물이 제2벨트컨베이어로 낙하되도록 안내하는 슈트부;
    상기 슈트부에 설치되고, 안내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몸체를 갖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에 장착되고, 자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안내부를 따라 하강되어 상기 가압부를 하방 이동시키는 이동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스커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조절부가 삽입되는 안내홀부; 및
    상기 안내홀부와 연결되며,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조절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스커트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조절부는,
    상기 안내홀부에 삽입되는 제1이동조절바;
    상기 제1이동조절바에서 상기 제2벨트컨베이어 측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안내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제2이동조절바; 및
    상기 제2이동조절바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너비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3이동조절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스커트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조절바와 상기 제3이동조절바는 상기 플레이트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스커트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부는 상기 제2이동조절바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이동조절바의 이동을 멈추는 스토퍼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스커트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플레이트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안내홀부를 개폐하는 빠짐방지도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스커트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몸체는 측부에 상기 가압부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플레이트몸체에 연결되고, 상기 삽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스커트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몸체에는 상기 이동조절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눈금선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트용 스커트장치.
KR1020170020298A 2017-02-15 2017-02-15 슈트용 스커트장치 KR101898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98A KR101898379B1 (ko) 2017-02-15 2017-02-15 슈트용 스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298A KR101898379B1 (ko) 2017-02-15 2017-02-15 슈트용 스커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522A true KR20180094522A (ko) 2018-08-24
KR101898379B1 KR101898379B1 (ko) 2018-09-13

Family

ID=6345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298A KR101898379B1 (ko) 2017-02-15 2017-02-15 슈트용 스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837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5656A (ja) * 1992-10-07 1994-04-26 Murata Shokai:Kk ベルトコンベアの防塵スカート部の構造
KR20120121553A (ko) * 2011-04-27 2012-1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용 스커트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5656A (ja) * 1992-10-07 1994-04-26 Murata Shokai:Kk ベルトコンベアの防塵スカート部の構造
KR20120121553A (ko) * 2011-04-27 2012-1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슈트용 스커트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8379B1 (ko)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8129287A3 (en) Crushing machines
KR101898379B1 (ko) 슈트용 스커트장치
EP1961666A3 (en) Improved strapping machine
KR20200008789A (ko) 벨트컨베이어
US2480415A (en) Machine vise having guide and holddown means for sliding jaws
KR10135551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KR101797362B1 (ko) 슈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석 이송 방법
US20100301535A1 (en) Floating-type clamping device
KR101950586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공급장치
KR20120121553A (ko) 슈트용 스커트개폐장치
KR10141185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477102B1 (ko) 슈트장치
KR101267601B1 (ko) 이송물 비산 방지장치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GB2364261A8 (en) Control of material removing apparatus
KR101887269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 안내장치
JPH09221212A (ja) コンベヤベルトの物品投入シュート
US5593018A (en) Apparatus for shifting work carriers
KR20230115790A (ko) 갭 조절이 가능한 벨트컨베이어용 낙탄 방지장치
CN101347835A (zh) 一种滑动水口机构
KR101159773B1 (ko) 수송물 이송장치
KR102133098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101477101B1 (ko) 낙광 방지장치
CN110293697A (zh) 工矿用胶带纵向连接钉扣机
KR20200043651A (ko) 슈트 막힘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