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4244A - 도장 장치 - Google Patents

도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4244A
KR20180094244A KR1020170020322A KR20170020322A KR20180094244A KR 20180094244 A KR20180094244 A KR 20180094244A KR 1020170020322 A KR1020170020322 A KR 1020170020322A KR 20170020322 A KR20170020322 A KR 20170020322A KR 20180094244 A KR20180094244 A KR 20180094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winch
extended travel
extended
trav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026B1 (ko
Inventor
송건영
백상훈
이재창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0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05B13/04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 B05B13/041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with spray heads reciprocating along a straight line the angular position of the spray heads relative to the straight line being modified during the reciprocat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Landscapes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대상물의 저면을 도장하기 위한 도장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는 대상물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리지; 캐리지에 마련되고, 캐리지를 대상물의 저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 캐리지에 설치되어 대상물의 저면에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 모듈; 및 대상물의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캐리지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캐리지를 구동하는 윈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장 장치{SPRA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도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상물의 저면을 도장하기 위한 도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도장 작업은 방청 및 방오 성능뿐만 아니라 운항시 연비의 효율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선박 도장은 선박 제품의 미관을 결정짓는 요인도 되는 등 여려 측면에서 중요한 작업이다. 선박 건조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수절감 등의 효율화가 필요하지만, 도장 작업은 전량 수작업에 의존하기 때문에 작업 자체의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도료 적중률 또한 작업자의 기량에 의존하므로 관리가 매우 어렵다. 또한, 선체의 저면을 도장해야 하는 경우, 도료 일부가 낙하하여 작업자의 호흡기로 유입될 수 있어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대상물의 저면을 효율적으로 도장할 수 있는 도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의 저면을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도장할 수 있는 도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도장 장치는 대상물의 저면을 도장하기 위한 도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에 마련되고, 상기 캐리지를 상기 대상물의 저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 상기 캐리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저면에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 모듈; 및 상기 대상물의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상기 캐리지를 직선 구동하는 윈치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부는 상기 캐리지의 상면에 마련되는 전자석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는 상기 캐리지가 주행할 수 있도록, 상기 대상물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는 확장 주행판; 및 상기 분사 모듈의 분사 폭을 벗어난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 주행판을 상기 대상물의 측방에 고정시키는 고정지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는 상기 고정지그를 상기 대상물의 모서리부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확장 주행판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 주행판은 상기 대상물의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확장 주행판 및 제2 확장 주행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치부는, 상기 제1 확장 주행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제1 윈치부; 및 상기 제2 확장 주행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제2 윈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확장 주행판을 상기 대상물의 일측 모서리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2 확장 주행판을 상기 대상물의 타측 모서리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치부 및 상기 이동부는 상기 캐리지를 지그재그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대상물의 저면을 연속적으로 도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는 상기 분사 모듈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1 윈치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상기 분사 모듈을 상기 제2 윈치부 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2 윈치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상기 분사 모듈을 상기 제1 윈치부 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물의 저면을 효율적으로 도장할 수 있는 도장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물의 저면을 지그재그 형태로 연속적으로 도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는 대상물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리지; 캐리지를 상기 대상물의 저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 캐리지에 설치되어 대상물의 저면에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 모듈; 및 대상물의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캐리지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캐리지를 구동하는 윈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대상물의 저면을 효율적으로 도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00)는 캐리지(110), 부착부(120), 분사 모듈(130), 윈치부(140) 및 고정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캐리지(110)는 대상물(1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대상물(10)은 예를 들어,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블록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캐리지(110)는 대상물(10)의 저면에 배치되는 몸체(112)와, 몸체(112)에 마련되어 대상물(10)의 저면에 접촉하는 주행휠(1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착부(120)는 캐리지(110)에 마련되고, 캐리지(110)를 대상물(10)의 저면에 부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부착부(120)는 캐리지(110)를 구성하는 몸체(112)의 상면에 마련되는 전자석 부재 또는 영구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선박 블록과 같은 대상물(10)은 철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캐리지(110)는 전자석 부재의 작동시 자력에 의해 대상물(1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분사 모듈(130)은 브래킷(116)을 매개로 캐리지(110)에 설치되어 캐리지(110)와 함께 대상물(10)의 저면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분사 모듈(130)은 상부를 향하여 대상물(10)의 저면으로 도료를 분사하여 도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 캐리지(110)로부터 윈치부(140)를 향하는 방향을 제1 방향(X)이라 하고, 대상물(10)의 저면과 평행하고 제1 방향(X)에 수직인 방향을 제2 방향(Y)이라 하고,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에 모두 수직인 대상물(10)의 법선 방향을 제3 방향(Z)이라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분사 모듈(130)은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32)과, 분사노즐(132)을 제2 방향(Y)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구동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분사 모듈(130)은 사람의 도장 동작을 모사하는 위빙(weaving) 모션을 구현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캐리지(110)가 이동된 이후에 대상물(10)의 저면에 도료가 분사되도록, 분사 모듈(130)은 캐리지(11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캐리지(110)의 후방 측으로 도료를 분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윈치부(140)는 대상물(10)의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캐리지(110)에 일단이 연결된 와이어(142)의 타단을 감아 캐리지(110)를 제1 방향(X)으로 직선 구동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윈치부(140)와 캐리지(110) 사이에 하나의 와이어(142)가 연결되어 있으나, 두개 이상의 와이어(142)를 연결하여 캐리지(110)와 분사 모듈(130)의 이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윈치부(140)는 와이어가 감기는 직경에 따라, 와이어 권취 속도를 조절하여 캐리지(110)의 이동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고정부(150)는 윈치부(140)를 대상물(10)의 모서리부에 고정시킨다. 도 4는 도 2의 'B'부 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150)는 대상물(10)의 모서리부가 삽입되는 고정판(152)과, 고정판(152)을 대상물(10)의 모서리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4)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고정부재(154)는 고정볼트 등의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를 복수개의 세트로 운영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대상물(10)의 저면을 도장할 수 있다. 이때, 도장 장치들의 위치는 분사 모듈에 의해 정해지는 도장폭 만큼 이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100)는 캐리지(110)의 주행 범위를 연장시키기 위한 확장 주행판(160)이 대상물(10)의 모서리부와 나란하게 고정 설치되고, 확장 주행판(160)을 대상물(10)의 모서리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지그(170)가 구비되어 있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또한, 윈치부(140)는 확장 주행판(160)의 저면에 고정된다.
확장 주행판(160)은 이의 저면으로 캐리지(110)가 주행할 수 있도록, 대상물(10)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된다. 확장 주행판(160)의 저면은 대상물(10)의 저면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대상물(1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고정지그(170)는 확장 주행판(160)을 대상물(10)의 측방에 고정시킨다. 고정지그(170)는 도 4의 고정부(150)와 유사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지그(170)는 확장 주행판(160)의 양측면에 마련된 고정브래킷(162)에 고정되어 분사 모듈(130)의 분사 폭(W)을 벗어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지그(170)에 의해 대상물(10)의 모서리부 일부에 도장이 수행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의 도시와 같이, 캐리지(110)는 대상물(10)의 저면을 이동하면서 도장을 수행하며, 대상물(10)의 저면 모서리부를 지나 확장 주행판(160)의 저면까지 주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분사 모듈(130)에 의해 대상물(10)의 모서리부(10a)에 대해 도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10)의 모서리부를 별도로 수작업으로 도장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도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도장 작업 효율성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는 대상물(10)의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확장 주행판(160a,160b)이 고정지그(180a,180b)에 의해 고정되고, 각 확장 주행판(160a,160b)의 저면에 윈치부(140a,140b)가 마련되며, 제1 윈치부(140a)와 캐리지(110)의 전면부 간에 제1 와이어(142a)가 연결되고, 제2 윈치부(140b)와 캐리지(110)의 후면부 간에 제2 와이어(142b)가 연결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윈치부들(140a,140b) 중 어느 하나가 와이어를 감는 동안, 다른 하나는 와이어를 풀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윈치부(140a)에서 제1 와이어(142a)를 감는 동안 제2 윈치부(140b)에서는 제2 와이어(142b)를 풀게 되고, 이에 따라 캐리지(110)는 제1 윈치부(140a)를 향하여 이동된다.
반대로, 제2 윈치부(140b)에서 제2 와이어(142b)를 감는 동안 제1 윈치부(140a)에서는 제1 와이어(142a)를 풀게 되고, 이에 따라 캐리지(110)는 제2 윈치부(140b)를 향하여 이동된다. 따라서, 윈치부들(140a,140b)의 구동에 의해, 캐리지(110)를 양방향으로 주행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C'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장 장치에는 각 고정지그(180a,180b)에 이동부(18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이동부(184)는 제1 고정지그(180a)를 대상물(10)의 모서리부를 따라 이동시켜 제1 확장 주행판(160a)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지그(180b) 역시 이동부(184)에 의해 대상물(10)의 모서리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2 확장 주행판(160b)도 대상물(10)의 모서리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일 실시예로, 이동부(184)는 구동모터(185)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휠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지그(180a)는 대상물(10)의 모서리부가 삽입되는 고정판(181)으로 구성된다.
고정판(181)의 내면부에는 탄성부재(183)가 마련된다. 이동부(184)에 결합된 가이드부재(182)는 탄성부재(183)에 삽입되어, 이동부(184)를 제3 방향(Z)으로 완충 지지한다. 이에 따라, 이동부(184)는 압축 상태로 개재된 탄성부재(183)에 의해 대상물(10)의 상면에 탄성 접촉되며, 구동모터(185)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어 대상물(10)과의 마찰력에 따라 대상물(10)의 모서리부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도 10은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일부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는 회전 구동부(1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90)는 분사 모듈(130)을 180° 회전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190)는 예를 들어, 회전모터나 유압실린더 등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1 내지 도 13은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따른 도장 장치의 동작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캐리지(110)를 제1 윈치부(140a)를 향하는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대상물(10)의 저면 중 제1 영역(A1)에 대한 도장이 완료되면, 이동부(184)에 의해 확장 주행판들(160a,160b)과 윈치부들(140a,140b)이 도장이 되지 않은 상태인 제2 영역(A2)의 양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캐리지(110)는 제1 확장 주행판(160b)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캐리지(110)와 분사 모듈(130)도 제2 영역(A2)의 측방으로 이동된다.
이후, 제2 영역(A2)에 대한 도장 작업은 캐리지(110)가 제2 윈치부(140b)를 향하여 이동하면서 수행되며, 이러한 동작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의 도시와 같이, 캐리지(110)가 지나간 이후에 도료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분사 모듈(130)은 캐리지(110)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 측으로 180° 회전된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캐리지(110)는 도 13의 도시와 같이, 대상물(10)의 모서리부(10b)를 지나 제2 확장 주행판(160b)의 저면으로 이동되며, 이때 분사 모듈(130)에 의해 대상물(10)의 모서리부(10b)에 대해 도장 작업을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과정을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하면서, 하나의 도장 장치만으로 넓은 선체면에 대해 연속적으로 도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대상물 10a,10b: 모서리부
100: 도장 장치 110: 캐리지
112: 몸체 114: 주행휠
120: 부착부 130: 분사 모듈
132: 분사노즐 134: 구동부
140: 윈치부 140a: 제1 윈치부
140b: 제2 윈치부 142: 와이어
142a: 제1 와이어 142b: 제2 와이어
150: 고정부 152: 고정판
154: 고정부재 160: 확장 주행판
160a: 제1 확장 주행판 160b: 제2 확장 주행판
170: 고정지그 180a: 제1 고정지그
180b: 제2 고정지그 181: 고정판
182: 가이드부재 183: 탄성부재
184: 이동부 185: 구동모터
190: 회전 구동부

Claims (6)

  1. 대상물의 저면을 도장하기 위한 도장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에 마련되고, 상기 캐리지를 상기 대상물의 저면에 부착시키는 부착부;
    상기 캐리지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물의 저면에 도료를 분사하는 분사 모듈; 및
    상기 대상물의 모서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에 연결된 와이어를 감아 상기 캐리지를 구동하는 윈치부;를 포함하는 도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캐리지의 상면에 마련되는 전자석 부재를 포함하는 도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가 주행할 수 있도록, 상기 대상물의 모서리부로부터 연장하여 설치되는 확장 주행판; 및
    상기 분사 모듈의 분사 폭을 벗어난 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확장 주행판을 상기 대상물의 측방에 고정시키는 고정지그;를 더 포함하는 도장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그를 상기 대상물의 모서리부를 따라 이동시켜 상기 확장 주행판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도장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주행판은 상기 대상물의 양측 모서리부에 각각 설치되는 제1 확장 주행판 및 제2 확장 주행판을 포함하고,
    상기 윈치부는,
    상기 제1 확장 주행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제1 윈치부; 및
    상기 제2 확장 주행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캐리지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제2 윈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확장 주행판을 상기 대상물의 일측 모서리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 및 상기 제2 확장 주행판을 상기 대상물의 타측 모서리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윈치부 및 상기 이동부는 상기 캐리지를 지그재그로 왕복 이동시켜 상기 대상물의 저면을 연속적으로 도장하는 도장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모듈을 회전 구동하는 회전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1 윈치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상기 분사 모듈을 상기 제2 윈치부 측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캐리지가 상기 제2 윈치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동안 상기 분사 모듈을 상기 제1 윈치부 측으로 회전시키는 도장 장치.
KR1020170020322A 2017-02-15 2017-02-15 도장 장치 KR10191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22A KR101915026B1 (ko) 2017-02-15 2017-02-15 도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322A KR101915026B1 (ko) 2017-02-15 2017-02-15 도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244A true KR20180094244A (ko) 2018-08-23
KR101915026B1 KR101915026B1 (ko) 2018-11-06

Family

ID=6345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322A KR101915026B1 (ko) 2017-02-15 2017-02-15 도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3352A (zh) * 2019-12-17 2020-02-11 广东冠能电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轴向可调的导线涂覆机器人用喷涂头
KR20220033132A (ko) * 2020-09-09 2022-03-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고소차 거치형 블록외판 전처리 자동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261B1 (ko) * 2010-01-25 2012-03-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상방향 도장장치
KR101497391B1 (ko) * 2013-03-15 2015-03-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캐리지의 작업범위 확장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73352A (zh) * 2019-12-17 2020-02-11 广东冠能电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轴向可调的导线涂覆机器人用喷涂头
CN110773352B (zh) * 2019-12-17 2020-07-10 广东冠能电力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轴向可调的导线涂覆机器人用喷涂头
KR20220033132A (ko) * 2020-09-09 2022-03-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고소차 거치형 블록외판 전처리 자동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026B1 (ko) 2018-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5054B2 (en) Automated wing painting system
KR101915026B1 (ko) 도장 장치
CN108525889B (zh) 一种喷涂机器人及其喷涂方法
CN108942897B (zh) 一种船体外表面绳牵引并联喷涂机器人
KR100944904B1 (ko) 선체 도장 장치
KR20080089547A (ko) 자석을 이용한 선박용 대차
CN104959258B (zh) 爬壁机器人装置
KR20090111601A (ko) 선체블록 내부 론지용 자율이동 도장장치
KR101995004B1 (ko) 도장장치
CN204107745U (zh) 爬壁涂装机器人
KR101271129B1 (ko) 선체도장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9118875A (ja) 塗装装置および塗装方法
KR101152731B1 (ko) 선체 무인 도장장치
US20220297164A1 (en) Wiping device and machine
CN105344516A (zh) 一种8200t化学成品油船的涂漆装置
CN209379278U (zh) 一种机车表面自动喷涂装置
KR20120008841A (ko) 그리트 분사 장치
CN107930931B (zh) 一种喷漆枪安装架及自动喷漆移动平台
KR101291253B1 (ko) 도장 작업 자동화 장치와 이를 이용한 도장 방법
KR20170041550A (ko) 선체 외판용 도장장치
JP2014012252A (ja) 塗装装置
KR20150108110A (ko) 도장장치
CN213612198U (zh) 一种便于固定喷漆管的喷漆设备
JPS60202762A (ja) 構造体側板用塗装装置
WO2019019462A1 (zh) 一种船坞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