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698A - 음료용기용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용기용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698A
KR20180090698A KR1020170015862A KR20170015862A KR20180090698A KR 20180090698 A KR20180090698 A KR 20180090698A KR 1020170015862 A KR1020170015862 A KR 1020170015862A KR 20170015862 A KR20170015862 A KR 20170015862A KR 20180090698 A KR20180090698 A KR 20180090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port
beverage container
cap
port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2454B1 (ko
Inventor
김신
Original Assignee
김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 filed Critical 김신
Priority to KR1020170015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4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the closure being provided with transient audible or visual signaling means, e.g. for indicating dispensing, or other illuminating or acoustic devices, e.g. wh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용기의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음료용기의 캡을 열거나 닫을 때 발생되는 소리에 의해 음료용기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용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삽입하여 압착되는 플라스틱재질의 주입구 본체와 상기 주입구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플라스틱재질의 캡으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의 밀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본체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주입구의 하부에 확장판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판의 하단부에는 좌우에 날개편을 갖는 다수의 돌기편을 형성하여 소리가 발생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료용기용 밀폐장치{Device for closing used in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의 음료용기용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어 있는 캡을 열거나 닫을 때 발생되는 소리에 의해 음료용기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음료용기용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팩이나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되어 있는 음료용기는 내부에 담겨지는 내용물에 따라 주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이 주입구에는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의 유출이나 위조 등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재의 캡이 일체로 밀봉되도록 결합되어 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음료용기의 주입구를 밀봉하기 위한 합성수지재 캡은 캡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이용하여 주입구의 외주면에 형성된 대응 나사부에 대하여 일체로 체결되는 구조인 바, 이러한 구조의 캡은 일반적으로 제품생산 라인에서 음료용기의 주입구에 대해 자동적으로 체결 고정되어지게 되는 것이어서 이때 캡은 기계적 작용 오류에 의해 캡의 잠금력이 불확실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고, 이로 인해 특히 액상의 내용물을 포장하는 경우에는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특히, 포장된 액상의 내용물을 사용한 후 다시 보관하게 되는 리필용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캡을 확실하게 잠금 나사결합 하지 않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변질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어서 캡의 잠금상태를 항상 세심하게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음료용기의 밀폐장치는 사용자가 어두운 곳에서 특히, 야간 군사작전에서 음료용기에 결합된 캡을 열고 닫을 때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으므로 오직 손에 의한 감각에 의해 음료용기에 대한 캡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어서 사용자는 수시로 확인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음료용기의 캡을 열거나 닫을 때 소리가 발생되게 하여 발생된 소리에 의해 음료용기의 개폐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음료용기의 밀폐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7789호(등록일자 2004년11월04일)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4-0105335호(공개일자 2004년12월16일)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음료용기의 캡을 열거나 닫을 때 소리가 발생되게 함으로써 발생되는 소리에 의해 음료용기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용 밀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삽입하여 압착되는 플라스틱재질의 주입구 본체와 상기 주입구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플라스틱재질의 캡으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의 밀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본체는 나사산이 형성된 원형의 주입구의 하부에 확장판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판의 하단부에는 좌우에 날개편을 갖는 다수의 돌기편을 형성하여 소리가 발생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밀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캡의 내면에는 결합편과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캡의 하단부는 탄성을 가짐과 함께 내측으로 걸림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주입구 본체의 확장판의 상단에는 상기 캡의 하단부의 걸림편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를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단부의 좌우 외측에는 돌출부와 스톱퍼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확장판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는 8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음료용기의 주입구의 캡을 열거나 닫을 때 주입구 본체의 확장판 상단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에 의해 캡이 안내되면서 캡의 걸림편이 탄성에 의해 확장편을 넘어가거나 벗어나면서 소리가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이 발생된 소리에 의해 주입구 본체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주입구 본체의 하단부에 스톱퍼가 형성되어 있어 이 스톱퍼에 의해 음료용기의 주입구의 캡이 정지되게 되므로 캡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료용기용 밀폐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료용기용 밀폐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음료용기용 밀폐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음료용기용 밀폐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용기용 밀폐장치의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료용기(10)에 삽입하여 압착되는 주입구 본체(20)와 이 주입구 본체(20)에 나사 결합되는 캡(3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주입구 본체(20)와 캡(30)은 플라스틱재질로 되어 주입구 본체(20)에 캡(30)을 나사 결합하여 닫혀지게 하거나 반대로 열려지게 할 때 소리가 발생되게 하여 발생된 소리에 의해 사용자가 음료용기(10)에 대한 닫힘 또는 열림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구 본체(20)는 원형의 주입구(21)의 외부에 나사산(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원형의 주입구(21)의 하부에는 확장판(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확장판(23)의 하부에는 연장되어 하단부(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하단부(25)에는 좌우에 날개편(28)을 갖는 다수의 돌기편(29)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날개편(28)을 갖는 돌기편(29)은 각종 음료가 포장되는 음료용기(10)에 삽입되어 압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확장판(23)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가이드(24)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24)는 후술하는 캡(30)의 하단부(33)에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편(34)을 안내하여 걸림편(34)이 주입구 본체(20)의 확장판(23)을 넘어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24)는 캡(30)의 걸림편(34)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8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입구 본체(20)의 하단부(25)의 좌우 양측에는 돌출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부(26)에는 상기 캡(30)의 하단부(33)의 걸림편(34)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정지시키기 위한 스톱퍼(2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캡(30)의 내면에는 결합편(31)과 나사산(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30)의 하단부(33)는 플라스틱재질로서 탄성을 가지도록 함과 함께 내측으로 걸림편(34)이 형성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주입구 본체(20)는 여러 가지 음료를 포장하는 음료용기(10)에 삽입하여 압착되며, 음료용기(10)에 압착된 주입구 본체(20)에는 캡(30)이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32)과 이에 대응되는 주입구 본체(20)의 나사산(22)에 의해 나사 결합된다.
이처럼 나사 결합이 되면, 캡(30)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하단부(33)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편(34)이 주입구 본체(20)의 확장판(23)의 상단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경사진 가이드(24)에 의해 안내되면서 확장판(23)의 가장자리를 넘어가서 걸리게 되어 주입구 본체(20)의 주입구가 밀폐되게 된다.
이때, 캡(30)의 하단부(33)는 플라스틱재질로서 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캡(30)의 걸림편(34)이 주입구 본체(20)의 확장판(23)을 넘어가서 걸려지게 되면서 "딸깍" 하는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발생하는 소리에 의해 캡(30)이 음료용기(10)에 삽입되어 압착된 주입구 본체(20)의 주입구에 완전하게 닫혀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나사 결합된 밀폐용기(10)의 캡(30)을 주입구 본체(20)로부터 열게 되면, 캡(30)은 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캡(30)의 걸림편(34)이 하단부(33)의 탄성에 의해 확장판(23)을 넘어와 벗어나면서 "딸깍" 소리가 발생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발생되는 소리에 의해 캡(30)이 열려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단부(25)의 좌우 외측의 돌출부(26)에는 스톱퍼(27)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스톱퍼(27)는 사용자가 주입구 본체(20)에 캡(30)을 과도한 힘으로 나사 결합하였을 때 더 이상 체결되지 않도록 하여 캡(30)의 손상을 방지하게 한다.
또한, 상기 확장부(23)의 상단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가이드(24)가 8개 돌출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가이드(24)를 8개로 한정하는 것은 사용자가 주입구 본체(20)에 캡(30)을 나사 결합할 경우에 캡(30)의 하단부(33)에 내측으로 형성된 걸림편(34)이 가이드(24)에 하방향으로 부드럽게 안내되어 주입구 본체(20)의 확장편(23)을 넘어가도록 한 것이며, 이와 반대로 캡(30)을 열게 되는 경우에는 주입구 본체(20)의 확장편(23)을 벗어난 캡(30)의 걸림편(34)이 상방향으로 부드럽게 안내되어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음료용기 20 : 주입구 본체
21 : 주입구 22 : 나사산
23 : 확장판 24 : 가이드
25 : 하단부 26 : 돌출부
27 : 스톱퍼 28 : 날개편
29 : 돌기편 30 : 캡
31 : 결합편 32 : 나사산
33 : 걸림편

Claims (4)

  1. 음료용기(10)에 삽입하여 압착되는 플라스틱재질의 주입구 본체(20)와 상기 주입구 본체(20)에 나사 결합되는 플라스틱재질의 캡(30)으로 이루어진 음료용기의 밀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본체(20)는 나사산(22)이 형성된 원형의 주입구(21)의 하부에 확장판(23)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판(23)의 하단부(25)에는 좌우에 날개편(28)을 갖는 다수의 돌기편(29)을 형성하여 소리가 발생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밀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본체(20)의 확장판(23)의 상단에는 상기 캡(30)의 하단부(33)의 걸림편(34)을 안내하는 다수의 가이드(24)가 일정 간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캡(30)의 내면에는 결합편(31)과 나사산(32)이 형성됨과 함께 캡(30)의 하단부(33)에는 플라스틱재질로서 탄성을 갖도록 함과 함께 내측으로 걸림편(34)을 형성하여 소리가 발생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밀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본체(20)의 확장판(23)의 하단부(25) 좌우 외측에는 돌출부(26)와 스톱퍼(27)를 형성하여 소리가 발생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밀폐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본체(20)의 확장판(23)의 상단에 돌출하여 형성된 가이드(24)는 8개를 형성하여 소리가 발생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용 밀폐장치.
KR1020170015862A 2017-02-03 2017-02-03 음료용기용 밀폐장치 KR101992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862A KR101992454B1 (ko) 2017-02-03 2017-02-03 음료용기용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862A KR101992454B1 (ko) 2017-02-03 2017-02-03 음료용기용 밀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698A true KR20180090698A (ko) 2018-08-13
KR101992454B1 KR101992454B1 (ko) 2019-06-24

Family

ID=6325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862A KR101992454B1 (ko) 2017-02-03 2017-02-03 음료용기용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45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057A (ko) * 2001-08-20 2001-11-09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의 구조
KR200367789Y1 (ko) 2004-08-10 2004-11-17 정규천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KR20040105335A (ko) 2003-06-05 2004-12-16 김경환 착탈형 음료용기 밀봉장치
KR20110007633U (ko) * 2010-01-26 2011-08-03 왈러스 펌프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흡수 펌프 모터의 자동 가압 및 운전 제어 구조체
KR20120002396U (ko) * 2010-09-28 2012-04-05 김상순 사출성형된 일체형 스파우트 및 뚜껑이 구비된 음료팩
JP2015030484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付き容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057A (ko) * 2001-08-20 2001-11-09 이정민 액체충전용기의 구조
KR20040105335A (ko) 2003-06-05 2004-12-16 김경환 착탈형 음료용기 밀봉장치
KR200367789Y1 (ko) 2004-08-10 2004-11-17 정규천 포장용기용 안전 캡 구조
KR20110007633U (ko) * 2010-01-26 2011-08-03 왈러스 펌프 코퍼레이션 리미티드 흡수 펌프 모터의 자동 가압 및 운전 제어 구조체
KR20120002396U (ko) * 2010-09-28 2012-04-05 김상순 사출성형된 일체형 스파우트 및 뚜껑이 구비된 음료팩
JP2015030484A (ja) * 2013-07-31 2015-02-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付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454B1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934B2 (en) Synthetic resin cap
KR101382883B1 (ko) 화장품 용기 뚜껑
EP2750987B1 (en) Tamper-evident closure
US20090314792A1 (en) Closure device for closing a container,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closure device
US10308402B2 (en) Spout stopper and packaging container
KR101825386B1 (ko) 용기의 뚜껑 개폐장치
BRPI0719271B1 (pt) Fecho
KR20180090698A (ko) 음료용기용 밀폐장치
KR101426393B1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GB1032145A (en) Improvements in captive dispensing closure for containers and the like
KR200491060Y1 (ko) 튜브형 용기
JPH0741028A (ja) 容器の蓋体
KR20120082532A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용기
US3843015A (en) Screw cap for containers
KR101811247B1 (ko) 이종물질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용기 마개
KR20140011901A (ko) 밀폐용기 및 밀폐용기용 커버
JP5368336B2 (ja) キャップ付容器
JP2011105336A (ja) 液体収納容器のキャップ
KR20160094670A (ko) 크림 내장형 화장품 용기
US5158385A (en) Sealing cap for elongated roll-on package
KR102598783B1 (ko) 밀폐 용기
KR20140110441A (ko) 공기유입 차단 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2332608B1 (ko) 패치용 화장품 케이스의 속뚜껑
KR20160039814A (ko) 화장품 용기
JP2017074964A (ja) 移送用キャップ、及びそれを挿嵌した移送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