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625A -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625A
KR20180090625A KR1020170015719A KR20170015719A KR20180090625A KR 20180090625 A KR20180090625 A KR 20180090625A KR 1020170015719 A KR1020170015719 A KR 1020170015719A KR 20170015719 A KR20170015719 A KR 20170015719A KR 20180090625 A KR20180090625 A KR 20180090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ircular
cups
cup
lid
semicircular c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0626B1 (ko
Inventor
김홍렬
Original Assignee
김홍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렬 filed Critical 김홍렬
Priority to KR1020170015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062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0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2Straw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3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of stacka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2019/12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for holding and dispensing a plurality of different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은 제1 반원형 컵과 내측 상단이 일체로 형성된 제2 반원형 컵 및 상기 제1,2 반원형 컵의 상부를 덮으며 제1,2 반원형 컵에 각기 빨대를 꽂을 수 있도록 빨대구멍이 천공된 원판부를 포함하는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원판부의 가장자리에 상기 원판부와 교차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제1,2 반원형 컵의 외측 상단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원판부와 교차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원판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2 반원형 컵의 내측 상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원판부와 교차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원판부에 배열 형성된 제3,4 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2 반원형 컵과 뚜껑을 다중 결합함으로써, 뚜껑의 분리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어 반반컵의 사용편의성 측면에서 향상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DUAL CUP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로 갈라져서 서로 다른 음용수를 담기 위한 반반컵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커피나 음료수 등을 포함하는 음용수를 담기 위한 컵은 하나의 내부공간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반컵은 내부공간을 둘로 나눠 서로 다른 음용수를 각각 분리하여 담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이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일회용 반반컵에 관한 것으로서, 공통적인 사항으로 하나의 컵을 가지고 2가지 음료를 먹을 수 있도록 음료가 담겨 지는 내부공간을 반반으로 나누고, 빨대를 각각 꽂을 수 있는 한 쌍의 빨대구멍을 뚜껑에 천공하고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반반컵의 위에 뚜껑을 씌우고 빨대를 각각 곶아 사용하는 방법으로 2가지 음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를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반반컵은 는 뚜껑의 둘레 안쪽을 컵의 둘레 가장자리에 결합한 일반적인 구조로서, 어느 한쪽의 빨대를 잡아당기는 정도로도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반반컵에 씌워서 사용하는 뚜껑은 전술한 바와 같이, 빨대구멍이 한 쌍으로 천공되어 있고, 이는 상기 뚜껑의 중심부를 벗어난 편심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반반컵에 담긴 음용수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어느 한쪽의 빨대를 잡아당기는 동작이 발생할 경우 반대쪽 빨대와 인접한 뚜껑의 둘레가 반반컵에서 분리될 수 있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반반컵은 컵과 뚜껑이 하나의 결합관계만을 구성하고 있고, 이는 뚜껑의 일부가 컵에서 분리되면, 뚜껑 전체가 반반컵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결과로 이어져 음용수가 쏟아지거나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는 문제는 차치하고서라도 사용 측면에서 볼 때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0071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06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과 컵을 다중 결합할 수 있는 결합관계를 구성함으로써, 컵에서 뚜껑이 분리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반반컵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트레치 블로우 성형으로 반반컵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반반컵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은 제1 반원형 컵;
상기 제1 반원형 컵과 내측 상단이 일체로 형성된 제2 반원형 컵; 및
상기 제1,2 반원형 컵의 상부를 덮으며, 제1,2 반원형 컵에 각기 빨대를 꽂을 수 있도록 빨대구멍이 천공된 원판부를 포함하는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원판부의 가장자리에 상기 원판부와 교차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제1,2 반원형 컵의 외측 상단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원판부와 교차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원판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2 반원형 컵의 내측 상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원판부와 교차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원판부에 배열 형성된 제3,4 고정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에 있어서, 상기 제1,2 반원형 컵은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에 적치용 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에 있어서, 상기 제1,2 반원형 컵은 외측 상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리브(Rib);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제1 고정부의 하단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확장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원판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빨대구멍의 상부를 덮는 구멍커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에 있어서, 상기 제1,2 반원형 컵의 하부에 체결된 종이재질의 환형체결밴드;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 제조방법은 (a) 회전테이블에 구비된 지그(Jig)에 사출금형을 결합하여 내측 상단이 일체로 형성된 예비성형품(Preform)을 사출성형하는 단계;
(b) 상기 회전테이블을 회전시킨 후 예비성형품을 스트레치 블로우(Stretch Blow) 성형하여 제1,2 반원형 컵을 성형하는 단계; 및
(c) 상기 회전테이블을 회전시킨 후 지그에서 제1,2 반원형 컵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을 120°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a) 단계, (b) 단계 및 (c)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1,2 반원형 컵에 제1,2,3,4 고정부를 통해 뚜껑을 다중 결합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고정부가 분리되더라도 나머지 고정부를 통해 결합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반반컵의 사용편의성 측면에서 향상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르면, 예비성형품의 사출성형, 제1,2 반원형 컵의 스트레치 블로우 성형 및 상기 제1,2 반원형 컵의 배출까지 하나의 회전테이블에서 이루어지는 1단계 스트레치 블로우가 가능하므로, 반반컵의 제조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을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반원형 컵의 적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2 반원형 컵을 포장용 상자에 적치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의 결합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의 사용상태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 제조방법을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 제조방법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1)은 서로 다른 음용수를 각기 담을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상단(10a)(20a)이 일체로 형성된 제1,2 반원형 컵(10)(20), 상기 제1,2 반원형 컵(10)(20)의 상부를 덮으며, 제1,2 반원형 컵(10)(20)에 각기 빨대(2)를 꽂을 수 있는 빨대구멍(31a)이 천공된 원판부(31)를 포함하는 뚜껑(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2 반원형 컵(10)(20)은 각각 반원형의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수용공간(11)(21)을 형성하는 측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의 면적을 줄여 표면장력에 의한 미끄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부(10d)(20d)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2 반원형 컵(10)(20)은 사출성형이 용이하고, 예컨대 스트레치 블로우(Stretch Blow)를 통해 성형이 용이한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게 되나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여기서 상기 제1,2 반원형 컵(10)(20)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에 적치용 턱(10c)(20c)이 형성됨으로써, 상부방향으로 용이하게 적치 가능하다.
즉 제1,2 반원형 컵(10)(20)의 적치시 적치용 턱(10c)(20c)에 상기 제1,2 반원형 컵(10)(20)의 외측 상단(10b)(20b)이 걸려 단속됨으로써, 상부방향을 향해 적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적치된 제1,2 반원형 컵(10)(20)을 하나씩 꺼내기에도 용이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예컨대 포장용 상자(3)에 대용량으로 적치 가능하고, 이에 따라 물류비, 이송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장소의 선정에도 유리함이 있다.
한편, 상기 제1,2 반원형 컵(10)(20)은 외측 상단(10b)(20b)의 둘레를 따라 리브(12)(22)가 형성되며, 상기 리브(12)(22)를 통해 외측 상단(10b)(20b)의 강성을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게 된다.
도 1, 4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30)은 원판부(31)의 가장자리에 상기 원판부(31)와 교차방향으로 제1 고정부(32)가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32)와 제1,2 반원형 컵(10)(20)의 외측 상단(10b)(20b)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원판부(31)와 교차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2 고정부(33)가 상기 원판부(31)에 방사상으로 배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 반원형 컵(10)(20)의 내측 상단(10a)(20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원판부(31)와 교차방향으로 제3,4 고정부(34)(35)가 절곡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고정부(32)는 도면상 원판부(31)에서 하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1,2 반원형 컵(10)(20)의 상부 둘레를 감싸게 된다. 여기서 제1 고정부(32)의 하단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확장부(36)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확장부(36)를 통해 제1,2 반원형 컵(10)(20)에서 뚜껑(30)을 분리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제2 고정부(33)와 제1,2 반원형 컵(10)(20)의 외측 상단(10b)(20b)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2 고정부(33)는 원판부(31)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됨으로써, 뚜껑(30)을 상기 제1,2 반원형 컵(10)(20)에 결합시 외측 상단(10b)(20b)과 다중 결합하는 결합관계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3,4 고정부(34)(35)는 원판부(31)의 중심부에 나란히 배열됨으로써, 그 사이에 제1,2 반원형 컵(10)(20)의 내측 상단(10a)(20a)을 개재토록 하는 결합관계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예컨대 제1,2 반원형 컵(10)(20)의 이동이나 빨대(2)를 통해 음용수를 섭취하는 과정에서 뚜껑(30)의 일부가 분리될 수는 있으나 상기 뚜껑(30)이 제1,2 반원형 컵(10)(2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은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뚜껑(30)은 원판부(31)에 일체로 형성되어 빨대구멍(31a)의 상부를 덮는 구멍커버(31b)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멍커버(31b)는 도면상 빨대구멍(31a)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원판부(31)를 수직방향으로 절곡하여 힌지부(31c)를 형성한 후 상기 힌지부(31c)를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절곡시켜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평상시에는 구멍커버(31b)를 통해 빨대구멍(31a)을 덮고 있다가 음용수의 섭취시에는 힌지부(31c)를 중심으로 일 방향 회동 가능함으로써, 빨대구멍(31a)에 빨대(2)를 용이하게 꽂을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1)은 제1,2 반원형 컵(10)(20)에 체결하여 사용하는 환형체결밴드(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환형체결밴드(40)는 예컨대, 제1,2 반원형 컵(10)(20)의 하부가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예컨대 이를 들고 이동하거나 빨대(2)를 통해 수용공간(11)(21)에 담겨 있는 음용수를 섭취하는데 따른 용이함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환형체결밴드(40)는 예컨대 제1,2 반원형 컵(10)(20)의 표면에 맺히는 수분의 흡수가 용이하고, 판매자를 식별할 수 있는 상표나 광고문구 등을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는 종이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반원형 컵(10)(20)과 마찬가지로 하부로 갈수록 횡단면이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반반컵 제조방법은 먼저, 예컨대 원형으로 형성된 회전테이블(50)의 도면상 하부에 구비된 지그(Jig)에 사출금형(60)을 결합하여 내측 상단(10a)(20a)이 일체로 형성된 예비성형품(61)을 사출성형하게 된다. 상기 예비성형품(61)은 프리폼(Preform)으로도 지칭할 수 있다.
상기 회전테이블(50)은 회전축(50a)을 통해 회전하면서 예비성형품(61)의 사출성형, 상기 예비성형품(61)을 제1,2 반원형 컵(10)(20)으로의 스트레치 블로우(Stretch Blow) 성형 및 상기 제1,2 반원형 컵(10)(20)을 배출하는 단계를 실시하게 되며, 예컨대 120° 각도로 회전하면서 각 단계를 실시하게 된다.
다만, 상기 회전축(50a)의 회전각도(120°)는 하나의 예로서, 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다양한 각도로 다분할 가능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사출금형(60)은 예컨대, 수지를 이용하여 예비성형품(61)을 사출성형하기 위한 통상의 사출금형(60)을 지그(51)의 하부에 결합 가능하도록 승, 하강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사출금형(60)을 통해 사출성형이 완료된 예비성형품(61)은 회전테이블(50)의 회전을 통해 블로우 머신(70)의 도면상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블로우 머신(70)을 이용한 스트레치 블로우 성형으로 제1,2 반원형 컵(10)(20)으로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블로우 머신(70)은 예비성형품(61)을 스트레치 블로우 성형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으로서, 예컨대 연신봉(72) 및 상기 연신봉(72)을 승, 하강시키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71)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1)를 하강하여 연신봉(72)으로 예비성형품(61)을 연신함으로써, 제1,2 반원형 컵(10)(20)을 성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신봉(72)의 연신과 함께 에어를 일정 압력으로 공급하면서 성형할 수 있다.
한편, 블로우 머신(70)을 통한 제1,2 반원형 컵(10)(20)의 성형이 완료되면, 회전테이블(50)을 회전시켜 지그(51)에서 제1,2 반원형 컵을 분리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제1,2 반원형 컵(10)(20)의 배출은 예컨대, 회전테이블(50)의 상부에서 이젝터 핀(80)을 지그(51)에 삽입하여 제1,2 반원형 컵(10)(20)을 상기 지그(51)에서 분리함으로써,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테이블(50) 내에서 예비성형품(61)의 사출성형, 제1,2 반원형 컵(10)(20)의 제조 및 상기 제1,2 반원형 컵(10)(20)의 배출까지 이루어지는 1단계 스트레치 블로우(One Stage Stretch Blow)가 가능하므로, 제조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반반컵 2 - 빨대
3 - 포장용 상자 10 - 제1 반원형 컵
10a, 20a - 내측 상단 10b, 20b - 외측 상단
10c, 20c - 적치용 턱 10d, 20d - 돌출부
11, 21 - 수용공간 12, 22 - 리브
30 - 뚜껑 31 - 원판부
31a - 빨대구멍 31b - 구멍커버
31c - 힌지부 32 - 제1 고정부
33 - 제2 고정부 34 - 제3 고정부
35 - 제4 고정부 36 - 확장부
40 - 환형체결밴드 50 - 회전테이블
50a - 회전축 51 - 지그
60 - 사출금형 61 - 예비성형품
70 - 블로우 머신 71 - 베이스플레이트
72 - 연신봉 80 - 이젝터 핀

Claims (8)

  1. 제1 반원형 컵;
    상기 제1 반원형 컵과 내측 상단이 일체로 형성된 제2 반원형 컵; 및
    상기 제1,2 반원형 컵의 상부를 덮으며, 제1,2 반원형 컵에 각기 빨대를 꽂을 수 있도록 빨대구멍이 천공된 원판부를 포함하는 뚜껑;
    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원판부의 가장자리에 상기 원판부와 교차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와 제1,2 반원형 컵의 외측 상단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도록 원판부와 교차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원판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2 반원형 컵의 내측 상단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원판부와 교차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원판부에 배열 형성된 제3,4 고정부;
    를 포함하는 반반컵.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반원형 컵은 상부보다 하부의 폭이 좁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와 하부 사이에 적치용 턱이 형성된 반반컵.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반원형 컵은 외측 상단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리브;
    를 더 포함하는 반반컵.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제1 고정부의 하단에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확장부;
    를 더 포함하는 반반컵.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원판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빨대구멍의 상부를 덮는 구멍커버;
    를 더 포함하는 반반컵.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 반원형 컵의 하부에 체결된 종이재질의 환형체결밴드;
    를 더 포함하는 반반컵.
  7. (a) 회전테이블에 구비된 지그에 사출금형을 결합하여 내측 상단이 일체로 형성된 예비성형품을 사출성형하는 단계;
    (b) 상기 회전테이블을 회전시킨 후 예비성형품을 스트레치 블로우 성형하여 제1,2 반원형 컵을 성형하는 단계; 및
    (c) 상기 회전테이블을 회전시킨 후 지그에서 제1,2 반원형 컵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반반컵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을 120° 각도로 회전시키면서 (a) 단계, (b) 단계 및 (c) 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반반컵 제조방법.
KR1020170015719A 2017-02-03 2017-02-03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 KR101910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719A KR101910626B1 (ko) 2017-02-03 2017-02-03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719A KR101910626B1 (ko) 2017-02-03 2017-02-03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625A true KR20180090625A (ko) 2018-08-13
KR101910626B1 KR101910626B1 (ko) 2018-10-24

Family

ID=6325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719A KR101910626B1 (ko) 2017-02-03 2017-02-03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06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25269A (zh) * 2019-04-22 2019-08-16 福建省德化县九鼎陶瓷有限公司 鸳鸯锅冲压机
WO2020135165A1 (zh) * 2018-12-26 2020-07-02 刘文钦 一种具可盖合易撕纸杯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675U (ko) 2010-10-04 2010-10-29 김수진 일회용 반반컵
KR20110110071A (ko) 2011-08-11 2011-10-06 김수진 일회용 반반컵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5022B2 (ja) * 1998-05-07 2001-11-05 有限会社東新 容器の蓋体
JP2001072071A (ja) * 1999-09-02 2001-03-21 Toshiya Nakatani 容 器
DE102005017741A1 (de) * 2005-04-12 2006-10-19 Ptm Packaging Tools Machinery Pte.Ltd. Doppelwandiger Pappbecher
US9718582B2 (en) * 2007-11-15 2017-08-01 Ricardo A. Hylton Multiple chamber fluid contai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675U (ko) 2010-10-04 2010-10-29 김수진 일회용 반반컵
KR20110110071A (ko) 2011-08-11 2011-10-06 김수진 일회용 반반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5165A1 (zh) * 2018-12-26 2020-07-02 刘文钦 一种具可盖合易撕纸杯盖
CN110125269A (zh) * 2019-04-22 2019-08-16 福建省德化县九鼎陶瓷有限公司 鸳鸯锅冲压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0626B1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02057A1 (en) Hot fill container having superior crush resistance
EP2623426B1 (en) Bottle
JP6574001B2 (ja) 射出成形蓋
WO2005120991A1 (en) Plastic container
JP6910735B2 (ja) 合成樹脂製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合成樹脂製容器の製造方法
JP5693847B2 (ja) 高強度を示す成形された軽量化プラスチックの蓋
KR101910626B1 (ko) 반반컵 및 그 제조방법
CN1331711C (zh) 多组件容器
CN103097251A (zh) 用于制造吹塑成型容器的方法以及吹塑成型容器
CN103587822B (zh) 用于保持多个血液收集管的托盘
CN101610954B (zh) 容器和凸边结构以及制造所述容器的方法和模具
JP5631183B2 (ja) プリフォーム
CN102712379A (zh) 塑料瓶
JP5057302B2 (ja) 合成樹脂製壜体
JP5722529B2 (ja) 耐圧用ボトル
JP7279456B2 (ja) 合成樹脂製容器
WO2007030690A2 (en) Simultaneously blow molded container and closure, intermediate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them
JP7278465B1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ブロー成形型及び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
JP5401151B2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CN210213314U (zh) 一种方便加工的瓶盖
CN110337409A (zh) 可堆叠的中空塑料容器
JP7395951B2 (ja) 合成樹脂製容器
JP7480486B2 (ja) 複合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合成樹脂製容器
JP2024018947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ブロー成形型及びプラスチックボトルの製造方法
JP2023148561A (ja) 二重容器、プリフォーム組立体及び二重容器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