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572A -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572A
KR20180090572A KR1020170015582A KR20170015582A KR20180090572A KR 20180090572 A KR20180090572 A KR 20180090572A KR 1020170015582 A KR1020170015582 A KR 1020170015582A KR 20170015582 A KR20170015582 A KR 20170015582A KR 20180090572 A KR20180090572 A KR 20180090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ircuit board
battery module
battery cell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헌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5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0572A/ko
Priority to JP2019538625A priority patent/JP6848072B2/ja
Priority to CN201780085039.XA priority patent/CN110235279B/zh
Priority to EP17894771.9A priority patent/EP3579306A4/en
Priority to PCT/KR2017/014502 priority patent/WO2018143556A1/ko
Publication of KR20180090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572A/ko
Priority to US16/529,566 priority patent/US11145941B2/en
Priority to JP2021033471A priority patent/JP697861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3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1M2/1016
    • H01M2/1022
    • H01M2/1072
    • H01M2/204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1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2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casings or racks
    • H01M50/222Inorganic material
    • H01M50/224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1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5Grounding of printed circuits by connection to external groun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037Printed or non-printed batte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9Non-printed conne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272Busbars, i.e. thick metal bars mounted on the PCB as high-current 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상부에 안착된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버스바; 및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 중 대향되는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의 일 끝단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엔드 플레이트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둘러싸는 커넥터 접지부 및 상기 커넥터 접지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배터리 셀은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그 형태를 변화시켜 사용한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배터리 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 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 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을 높일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대용량의 배터리 모듈을 구성한다. 배터리 모듈은 내장된 배터리 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 전류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전기적으로 다수 개 연결하여 배터리 팩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모듈의 경우 EMC 또는 ESD가 회로 보드에 유입되어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LV(저 전압) 커넥터로 유입되는 정전기(ESD) 에너지를 처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의 저 전압 커넥터로 연결되는 유입되는 정전기를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상부에 안착된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버스바; 및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 중 대향되는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의 일 끝단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엔드 플레이트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둘러싸는 커넥터 접지부 및 상기 커넥터 접지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접지부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금속성 재질로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성 재질로 형성된 엔드 플레이튼 접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단측면을 덮도록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 및 회로 기판을 보호하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부 커버 외부로 노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접지부는 상기 커넥터의 외부 끝단 입구 쪽의 테두리 형상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고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며, 접지된다.
한편, 상기 상부 커버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상부에 안착된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버스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단측면을 덮도록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 중 대향되는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상기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 및 회로 기판을 보호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회로 기판의 일 끝단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입구 외측에 형성된 금속성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의 연결 핀 중 접지를 위한 접지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핀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접지 핀 연결부에 연결된 커넥터의 접지 핀은 상기 회로 기판의 패턴을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의 금속성 재질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엔드 플레이트는,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며,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며, 배터리 모듈의 일 측면에 크기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메인 플레이트;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의 커넥터를 둘러싸는 커넥터 접지부; 및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접지부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저 전압 커넥터로 유입되는 정전기를 커넥터 외부의 금속성 테두리를 통해 외부 금속 케이스를 통해 접지시켜 정전기를 외부로 흘려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저 전압 커넥터로 유입되는 정전기를 커넥터 외부의 금속 하우징을 통해 커넥터 내부의 여러 라인들 중 접지 라인과 연결시켜 접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부 커버가 분해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 또는 특징은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상부 커버가 분해된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0)은, 다수개의 배터리 셀, 이너 커버, 회로 기판(110), 버스바(120), 엔드 플레이트(130), 사이드 플레이트(140), 상부 커버(150)를 포함한다.
배터리 셀(미도시)은 에너지를 발생하는 장치로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복수 개로 구성되어 제1 방향(x)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배터리 셀은 상면이 개구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에 수납된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의 개구부는 캡 조립체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셀의 상면인 캡 조립체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전극 단자, 즉,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너 커버(미도시)는 복수의 배터리 셀의 상부에 위치하고 이너 커버에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버스바(120)가 상부에 장착된다. 이너 커버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상부 전체를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너 커버는 복수의 배터리셀들의 전극 단자들을 상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커버는 절연물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 기판(110)은 이너 커버의 상부에 체결되며,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충방전 상태를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전자 소자들을 구비한다. 상기 회로기판(110)은 이너 커버의 상부에서, 양측으로 배열된 버스바(120)와 이격되도록 중심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이너 커버의 상부에는 제1 방향(x) 중심에 회로 기판(110)이 장착되고, 회로기판(1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제1 방향(x)으로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다수의 버스바(120)가 장착된다. 또한, 회로기판(110)은 상기 버스바(1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버스바(120)는 회로 기판(110)의 하면에 구비된 입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즉 버스바(120)의 회로 기판 접속부는 회로기판(110)의 하면에 구비된 입출력 단자에 접속될 수 있다. 아울러 회로기판(110)에는 배터리 모듈(100)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110a)를 포함한다. 이 커넥터(110a)는 저 전압(LV) 커넥터 일 수 있다.
버스바(120)는 배터리 셀들 중 인접하는 배터리 셀 간 인접하는 배터리 셀간 전극 단자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배터리 셀들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한다. 버스바(120)는 이너 커버를 통해 상부로 노출된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전극 단자에 접촉 및 접속되며, 이너 커버에 의해 지지된다. 버스바(120)는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복수의 배터리셀들에서, 같은 열에 배열된 전극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버스바(120)는 이너 커버의 상부에서 제1 방향(x)으로 양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버스바(120)는 회로기판(110) 방향으로 돌출된 회로 기판 접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 접속부는 회로 기판(110)에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130)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배터리 셀 중 대향되는 양측 끝단에 각각 위치된다.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엔드 플레이트(130) 중 적어도 하나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며, 이 금속성 재질로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130)는 커넥터 접지부(130a) 및 연결부(130b)를 추가로 포함한다. 커넥터 접지부(130a)는 회로 기판(110)의 커넥터(110a) 입구에서 커넥터(110a)를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다. 즉, 커넥터 접지부(13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10a)의 외부 끝단 입구 쪽의 테두리 형상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사각형 링 형상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한편, 커넥터 접지부(130a)는 커넥터(110a) 전체를 빙 둘러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커넥터(110a)의 상부면과 측면만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30b)는 엔드 플레이트(130)의 메인 플레이트에서 커넥터 접지부(130a)까지 연장되는 금속성 연결 라인이다. 연결부(130b)는 배터리 모듈(100)의 외형을 따라 외부 표면의 굴곡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접지부(130a) 및 연결부(130b)는 엔드 플레이트(130)과 동일한 금속성 재질로 만들어 진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접지부(130a)와 연결부(130b)가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130)는 외부로 접지되도록 접지 라인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으며, 엔드 플레이트(130) 자체로 정전기(ESD)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는 경우에는, 외부 접지 라인을 구비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110)의 커넥터(110a)를 둘러싸는 커넥터 접지부(130a)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110a), 특히 저 전압 커넥터로 유입되는 정전기는 배터리 모듈 외측으로 노출된 커넥터 접지부(130a)를 타고 연결부(130b)를 통해 금속성 재질의 케이스인 엔드 플레이트(130)로 흘려 보내지고, 최종적으로 접지로 흘려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등에 이용되는 배터리 모듈(100)의 ESD 또는 EMC 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30)는 커넥터 접지부(130a)와 연결부(130b)가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130)뿐만 아니라 반대편 쪽에 있는 엔드 플레이트(130)도 동일한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어 배터리 모듈을 메탈 케이스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사이트 플레이트(140)는 복수의배터리 셀들의 단측면을 덮도록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30)와,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40)에 의해서 구획된 공간 속에,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제1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부 커버(150)는 엔드 플레이트(130) 및 사이드 플레이트(140)에 결합되어, 버스바(120) 및 회로기판(110)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한다. 상기 상부 커버(150)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넥터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모듈(100)과 같이, 다수개의 배터리 셀, 이너 커버, 회로 기판(110), 버스바(120), 엔드 플레이트(130), 사이드 플레이트(140), 상부 커버(150)를 포함한다.
배터리 모듈(200)의 다수개의 배터리 셀, 이너 커버, 회로 기판(110), 버스바(120), 사이드 플레이트(140), 상부 커버(150)는 배터리 모듈(100)의 엔드 플레이트(130)를 제외한 다수개의 배터리 셀, 이너 커버, 회로 기판(110), 버스바(120), 사이드 플레이트(140), 상부 커버(150)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배터리 모듈(200)의 엔드 플레이트(130)는 도 1의 배터리 모듈(100)의 엔드 플레이트(130)와 달리 커넥터 접지부와 연결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배터리 모듈(200)의 회로 기판(110)에는 도 1의 커넥터(110a)와 다른 형태의 커넥터(210)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210)는 커넥터(210)의 외측에 형성된 금속성 재질의 커넥터 하우징(220)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20)은 절연 재질의 내부 하우징(미도시)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내부 하우징 없이 다수의 커넥터 핀들을 외곽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 하우징(220)은 절연 재질의 하우징의 상부면 또는 상부면과 측면 외부만을 둘러싸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또는 커넥터 하우징(220)는 커넥터(210)의 입구쪽 상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커넥터 하우징(220)은 커넥터(210)에 있는 다수개의 연결 핀 중 접지 라인과 이어지는 접지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핀 연결부(220a)를 포함한다. 접지 핀 연결부(220a)는 커넥터 하우징(220) 내부면에서 돌출 연장되어 접지 핀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접지 핀 연결부(220a)은 커넥터 하우징(220) 내부면에서 연장되어 접지 핀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접지 핀의 외곽을 둘러싸 접속하는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도 4에서는 접지 핀 연결부(220a)이 커넥터(210)의 접지 핀과 일체로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내며, 도 5에서는 접지 핀 연결부(220a)가 커넥터(210)의 접지 핀의 둘레를 감싸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220)의 접지 핀 연결부(220a)에 연결된 커넥터의 접지 핀은 회로 기판(110)의 패턴을 통해 배터리 모듈(200)의 금속성 재질과 연결된다. 상기 금속성 재질은 엔드 플레이트(130)나 사이드 플레이트(140) 일 수도 있으며, 외부 접지 라인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은 커넥터(210) 주변에서 발생되는 정전기가 커넥터 하우징(220)을 통해 접지 핀 연결부(220a)와 접지 핀으로 흘러 나가게 된다. 접지 핀으로 흘러간 정전기는 회로 기판의 패턴을 통해 배터리 모듈의 금속성 재질로 접지되거나 외부 접지 라인을 통해 접지될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 등에 이용되는 배터리 모듈(200)의 ESD 또는 EMC 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200 ; 배터리 모듈 110 ; 회로 기판
110a, 210 ; 커넥터 120 ; 버스바
130 ; 엔드 플레이트 130a ; 커넥터 접지부
130b ; 연결부 140 ; 사이드 플레이트
150 ; 상부 커버 220 ; 커넥터 하우징
220a ; 접지 핀 연결부

Claims (9)

  1.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상부에 안착된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버스바; 및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 중 대향되는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의 일 끝단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의 엔드 플레이트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를 둘러싸는 커넥터 접지부 및 상기 커넥터 접지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접지부 및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금속성 재질로 형성된 엔드 플레이트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성 재질로 형성된 엔드 플레이튼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단측면을 덮도록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 및 회로 기판을 보호하는 상부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상부 커버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접지부는 상기 커넥터의 외부 끝단 입구 쪽의 테두리 형상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갖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는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며,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7. 배터리 모듈에 있어서,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상부에 안착된 회로 기판;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버스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단측면을 덮도록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들 중 대향되는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상기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버스바 및 회로 기판을 보호하는 상부 커버; 및
    상기 회로 기판의 일 끝단에는 상기 배터리 모듈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장치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입구 외측에 형성된 금속성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의 연결 핀 중 접지를 위한 접지 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핀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접지 핀 연결부에 연결된 커넥터의 접지 핀은 상기 회로 기판의 패턴을 통해 상기 배터리 모듈의 금속성 재질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9. 일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의 양측 끝단에 위치하는 배터리 모듈의 엔드 플레이트에 있어서,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며, 배터리 모듈의 일 측면에 크기에 대응하는 면적을 갖는 메인 플레이트;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 모듈의 커넥터를 둘러싸는 커넥터 접지부; 및
    금속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접지부와 상기 메인 플레이트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의 엔드 플레이트.
KR1020170015582A 2017-02-03 2017-02-03 배터리 모듈 KR20180090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82A KR20180090572A (ko) 2017-02-03 2017-02-03 배터리 모듈
JP2019538625A JP6848072B2 (ja) 2017-02-03 2017-12-12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CN201780085039.XA CN110235279B (zh) 2017-02-03 2017-12-12 电池模块
EP17894771.9A EP3579306A4 (en) 2017-02-03 2017-12-12 BATTERY MODULE
PCT/KR2017/014502 WO2018143556A1 (ko) 2017-02-03 2017-12-12 배터리 모듈
US16/529,566 US11145941B2 (en) 2017-02-03 2019-08-01 Battery module
JP2021033471A JP6978619B2 (ja) 2017-02-03 2021-03-03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582A KR20180090572A (ko) 2017-02-03 2017-02-03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572A true KR20180090572A (ko) 2018-08-13

Family

ID=63040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582A KR20180090572A (ko) 2017-02-03 2017-02-03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45941B2 (ko)
EP (1) EP3579306A4 (ko)
JP (2) JP6848072B2 (ko)
KR (1) KR20180090572A (ko)
CN (1) CN110235279B (ko)
WO (1) WO201814355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054A1 (ko) 2022-03-11 2023-09-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폭주 방지를 위한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WO2023200183A1 (ko) * 2022-04-11 2023-10-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WO2023229421A1 (ko)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0997B1 (ko) * 2017-12-20 2021-07-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EP4319506A1 (en) * 2021-03-31 2024-02-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ircuit board
CN113364904B (zh) * 2021-06-04 2024-04-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DE102022209545A1 (de) 2022-09-13 2024-03-14 Mahle International Gmbh Antriebsbatteri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729B1 (ko) * 2006-09-18 2008-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인터페이스
KR101449753B1 (ko) * 2008-05-08 2014-10-13 타이코에이엠피(유) 배터리 셀 모듈의 전기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셀 모듈
KR100995429B1 (ko) * 2008-10-13 2010-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101329888B1 (ko) 2009-02-05 2013-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의 보호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JP2010287514A (ja) * 2009-06-12 2010-12-24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KR101297176B1 (ko) * 2010-06-03 2013-08-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전지모듈
KR101146492B1 (ko) * 2010-07-01 2012-05-2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234241B1 (ko) * 2011-02-17 2013-02-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 팩
WO2013098982A1 (ja) * 2011-12-28 2013-07-04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電池ブロック、及び、電池パック
JP6087838B2 (ja) 2011-12-28 2017-03-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回路基板、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US9362536B2 (en) * 2012-04-25 2016-06-07 Robert Bosch Gmbh Optimized module restraint system
KR20140130357A (ko) * 2013-04-30 2014-11-10 타이코에이엠피(유) 이차전지 팩
KR101638113B1 (ko) 2013-05-06 2016-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및 이에 적용되는 보호회로모듈
TWI536690B (zh) * 2013-11-13 2016-06-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雜訊抑制組件與具有雜訊抑制組件之電子裝置
JP6183383B2 (ja) 2015-01-13 2017-08-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202024B2 (ja) * 2015-03-10 2017-09-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KR102009443B1 (ko) * 2015-06-19 2019-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2085344B1 (ko) 2016-10-24 2020-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차량용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72054A1 (ko) 2022-03-11 2023-09-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폭주 방지를 위한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KR20230133538A (ko) 2022-03-11 2023-09-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폭주 방지를 위한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WO2023200183A1 (ko) * 2022-04-11 2023-10-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배터리 팩 커넥터
WO2023229421A1 (ko) 2022-05-26 2023-11-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65064A (ko) 2022-05-26 2023-12-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고내열성의 전지팩용 커넥터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35279B (zh) 2022-06-03
JP6848072B2 (ja) 2021-03-24
CN110235279A (zh) 2019-09-13
US20190355959A1 (en) 2019-11-21
WO2018143556A1 (ko) 2018-08-09
EP3579306A4 (en) 2020-11-18
JP2021082608A (ja) 2021-05-27
JP6978619B2 (ja) 2021-12-08
US11145941B2 (en) 2021-10-12
EP3579306A1 (en) 2019-12-11
JP2020506506A (ja) 2020-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0572A (ko) 배터리 모듈
KR20130023059A (ko) 배터리 팩
WO2015160112A1 (ko) 폴리머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150066077A (ko) 배터리 모듈
US20220311062A1 (en) Terminal device and battery assembly
KR101698772B1 (ko) 보호소자가 위치되는 엔드블록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CN109478615B (zh) 电池模块
KR20170099589A (ko) 배터리 모듈
KR102317501B1 (ko) 배터리 팩
KR20180015494A (ko) 배터리 팩
CN211238309U (zh) 电池模块
EP2797138A1 (en) Battery pack
KR20170050092A (ko) 전지팩의 퓨즈 조립 구조
EP4002574B1 (en) High-voltage battery module including external bridge bus bar
CN112673521B (zh) 电池模块
US10069120B2 (en) Battery module
KR20190106161A (ko) 외부 단락 방지 구조가 적용된 배터리 모듈을 이용한 배터리 팩
US20130115482A1 (en) Battery pack
JPWO2020241327A5 (ko)
US20220278426A1 (en) Pouch-type battery pack having fold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83130B1 (ko) 전지 팩
KR20180035598A (ko) 배터리 팩
KR102459620B1 (ko) 배터리 팩
KR20140096611A (ko) 배터리 팩
CN111261823A (zh) 电池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