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147A -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147A
KR20180090147A KR1020170015184A KR20170015184A KR20180090147A KR 20180090147 A KR20180090147 A KR 20180090147A KR 1020170015184 A KR1020170015184 A KR 1020170015184A KR 20170015184 A KR20170015184 A KR 20170015184A KR 20180090147 A KR20180090147 A KR 20180090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lift
seat
lift ba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5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양수
Original Assignee
이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양수 filed Critical 이양수
Priority to KR102017001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0147A/ko
Publication of KR20180090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head or torso, e.g. special back-rest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은, 2개의 리프트 바를 포함하고 2개의 리프트 바 각각에 위로 들어올리는 힘을 제어할 수 있는 리프트; 양쪽에 리프트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는 시트 연결부를 형성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리프트 바는 상기 리프트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시트 연결부 각각에 위쪽 방향으로 드는 힘을 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LIFT SYSTEM FOR TURNING A PATIENT}
본 발명은 환자를 누워있는 자세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체마비환자 등 자력 거동이 불가능한 중환자는 하루의 대부분을 누워서 지내거나 또는 휠체어에 앉아 보내며, 간병인의 도움으로 생활하고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노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환이나 치매 등의 질병으로 인해 누워 지내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장시간 누워있거나 앉아있다 보면, 등이나 엉덩이 부위 등 바닥과 닿는 부분에 국부적으로 과도한 압력이 지속적으로 또는 반복적으로 작용되어 모세혈관의 폐색상태가 지속됨으로써 피부조직에 피가 통하지 않게 되어 욕창이 발생하게 된다.
욕창의 형성에는 병변 부위에 작용하는 압력과 이러한 압력이 작용하는 시간이 영향을 미치는데, 초기엔 피부표피에 손상은 없으나 변색되며, 진행될수록 피부표피조직에 상처가 생기기 시작해 하부조직인 진피가 손상될 수도 있고, 심한 경우 피하지방층이나 심지어는 근육과 골조직까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자세로 계속 누워 있으면 폐렴 등의 질병에 걸릴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간호사들이 환자가 누워 있는 자세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바꾸어 준다.
예를 들어, 오른쪽으로 돌아누워 있는 상태로 2시간 동안 있은 후에는 왼쪽으로 돌아누운 상태로 바꿀 수도 있다. 또는 바로 누운 자세로 바꿀 수도 있다.
그런데 간호사들이 환자를 돌려눕힐 때(뒤집을 때) 많은 힘이 들고 손목 등에 무리가 갈 수 있다.
현재 여자 간호사들이 3명이 1명의 환자를 돌아눕힐 경우에도, 여자 간호사들은 손목 등의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사들이 환자를 쉽게 돌려 눕힐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특허문헌 1은 이러한 장치의 예이다.
도 1은 특허문헌 1의 부분 사시도이다.
환자(13)가 자세변경 시트(turn sheet, 10) 위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 환자 리프트(patient lift, 12)가 리프팅 바(bar, 66)를 들어올리면, 자세 변경 시트(turn sheet, 10)의 한쪽 끝이 들어올려지게 되고, 환자(13)는 그 힘에 의해 한쪽으로 돌아눕게 된다.
자세 변경 시트(turn sheet, 10)의 한쪽 끝이 들어올려질 때, 자세 변경 시트(turn sheet, 10)의 한쪽 끝이 구겨지지 않도록, 자세 변경 시트(turn sheet, 10)의 양쪽 끝에는 보강 막대(rigid bar or rod, 46)가 삽입되어 있다.
도 1의 환자 리프트(patient lift, 12)에서 들어올리는 힘은 잭(jack,74)를 수동으로 돌려서 발생시킬 수도 있지만, 모터 등에 의해 발생시킬 수도 있다.
특허문헌 1과 같은 방법에 의해, 환자를 돌려눕힌다면, 간호사는 비교적 적은 힘으로 환자를 돌려눕힐 수 있다.
그러나 도 1(특허문헌 1)에서는 환자가 자세 변경 시트(turn sheet, 10)에서 미끄러질 수도 있고, 환자가 너무 많이 움직여서 침대 밑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만일 환자가 침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침대의 양 옆에 안전 바가 형성되어 있다면, 환자가 너무 많이 움직일 때 침대의 안전 바에 부딪칠 수 있다.
또한, 도 1(특허문헌 1)에서는, 자세 변경 후 환자가 침대의 중앙이 아니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게 된다. 따라서 자세 변경 후 환자를 다시 중앙으로 옮기는데 많은 힘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자의 누워있는 자세를 보다 쉽고 정확하고 안전하게 바꿀 수 있는 다른 수단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2도 환자의 누워있는 자세를 바꿔주는 장치의 예이다.
도 2는 특허문헌 2의 사시도이다.
도 2의 침대 위에는 시트(sheet)가 있고, 환자가 시트(sheet) 위에 눕게 된다. 시트의 양쪽에는 바(bar)가 설치되어 있고 그 2개의 바를 위쪽으로 들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환자를 돌아눕힐 때는 2개의 바를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한쪽 바는 위쪽으로 올리고 다른 쪽 바는 아래쪽으로 내리는 방법으로 환자를 돌아눕힐 수 있다.
그러나 도 2의 장치는 침대마다 리프팅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매우 많이 든다.
특허문헌 1: 미국 등록특허 US 5210887호(등록일:1993.05.18.) 특허문헌 2: 미국 등록특허 US 5544371호(등록일:1996.08.13.)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환자의 누워있는 자세를 보다 쉽고 정확하고 안전하게 바꿀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은, 위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프트 연결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양쪽에 리프트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는 시트 연결부를 형성된 시트;를 포함하고, 시트의 중앙에는 환자의 몸통을 고정할 수 있는 몸통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은 침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에는 평판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 설치부에는 평판이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은, 2개의 리프트 바를 포함하고 2개의 리프트 바 각각에 위로 들어올리는 힘을 제어할 수 있는 리프트; 양쪽에 리프트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는 시트 연결부를 형성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리프트 바는 상기 리프트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시트 연결부 각각에 위쪽 방향으로 드는 힘을 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은, 환자 회전 장치부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을 제어할 수 있는 리프트; 양쪽에 시트 연결부를 형성된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회전 장치부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 환자 회전 수평 몸체, 좌측 리프트 바, 우측 리프트 바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는 리프트에 연결되어 리프트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는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를 관통하면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의 양 끝에는 좌측 리프트 바와 우측 리프트 바가 각각 연결되고, 좌측 리프트 바와 우측 리프트 바는 각각 시트 양쪽의 시트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가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를 관통하면서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시트가 시트 위의 환자 몸통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은, 환자 회전 장치부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을 제어할 수 있는 리프트; 양쪽에 시트 연결부를 형성된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회전 장치부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 환자 회전 수평 몸체, 좌측 리프트 바, 우측 리프트 바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는 리프트에 연결되어 리프트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는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의 양 끝에는 좌측 리프트 바와 우측 리프트 바가 각각 연결되고, 좌측 리프트 바와 우측 리프트 바는 각각 시트 양쪽의 시트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가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시트가 시트 위의 환자 몸통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은, 비교적 적은 비용으로 환자의 누워있는 자세를 보다 쉽고 정확하고 안전하게 바꿀 수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특허문헌 2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사용상태도
도 5는 1개의 리프트 바가 있는 종래의 리프트의 예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 회전 장치부 제1 실시예의 개념도
도 7은 도 6의 환자 회전 장치부가 회전한 모습
도 8은 도 3의 실시예에 평판 설치부가 형성된 예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 회전 장치부의 제2 실시예의 개념도
도 10은 도 9의 환자 회전 장치부가 회전한 모습
도 11은 좌측 리프트 바와 연결줄의 예
도 12는 좌측 리프트 바가 슬라이딩 구조로 된 예
도 13은 좌측 리프트 바에 연결줄보다 많은 수의 좌측 리프트 바 연결부가 형성된 예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실시예이다.
도 3의 시트(100)는 천, 나일론, 인공섬유, 천연섬유 등으로 이루어져서 쉽게 휠 수 있다.
시트(100)의 한쪽 표면에는 2개의 몸통 고정부(110, 120)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 고정부(110, 120)도 천, 나일론, 인공섬유, 천연섬유 등으로 이루어져서 쉽게 휠 수 있다.
시트(100)와 2개의 몸통 고정부(110, 120)는 바느질, 접착제 등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시트(100)와 몸통 고정부 110 이 연결된 지점이 몸통 고정부의 시트 연결부 111 이고, 시트(100)와 몸통 고정부 120 이 연결된 지점이 몸통 고정부의 시트 연결부 121 이다.
몸통 고정부(110) 중에서 몸통 고정부의 시트 연결부 111 의 반대쪽 부분이 몸통 고정부의 결합부 112 이고, 몸통 고정부(120) 중에서 몸통 고정부의 시트 연결부 121 의 반대쪽 부분이 몸통 고정부의 결합부 122 이다.
몸통 고정부(110, 120)를 이용하여 환자의 몸통을 시트(100)에 고정할 수 있다.
2개의 몸통 고정부의 결합부(112, 122)를 매듭으로 묶는 방법에 의해 환자의 몸통을 시트(100)에 고정할 수도 있으나, 2개의 몸통 고정부의 결합부(112, 122)에 밸크로(velcro), 고리, 단추 등을 설치하여 연결한 후 고정할 수 있다.
2개의 몸통 고정부의 결합부(112, 122)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그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2개의 몸통 고정부의 결합부(112, 122)를 밸크로(velcro)를 이용하여 연결 및 고정하는 경우, 환자의 몸통의 크기 변하는 경우에도 환자의 몸통을 타이트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만, 환자의 몸통의 크기가 변하는 경우에는 2개의 밸크로가 접촉하는 면적이 달라지게 된다.
시트(100)의 양쪽 끝에는 좌측 시트 연결부(130)와 우측 시트 연결부(140)가 형성되어 있다.{환자의 입장에서 보면, 우측 시트 연결부(130)와 좌측 시트 연결부(140)라고 불러야 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간호사 입장에서 이름을 붙여서, 좌측 시트 연결부(130)와 우측 시트 연결부(140)라고 부르기로 한다}. 시트(100)는 시트 연결부(130, 140)를 통해 리프트가 시트(100)를 들어올리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3의 시트 연결부(130, 140)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에 줄, 끈, 체인 등을 연결하여 리프트가 시트(100)를 들어올리는 힘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3의 시트 연결부(130, 140)의 옆에는 보강 막대 삽입부(150, 160)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막대 삽입부(150, 160)에는 보강 막대를 삽입할 수 있다. 보강 막대는 단단한 재질의 긴 막대이다. 시트(100)가 들어올리는 힘을 전달받을 때 들어올려지는 힘에 의해 시트가 접힐 수 있는데, 보강 막대 삽입부(150, 160)에 보강 막대가 삽입되어 있으면 시트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시트의 사용상태도이다.
침대(220)의 위에 베개(210)와 시트(100)가 위치하고, 환자는 베개(210)를 베면서 시트(100)위에 눕는다.
간호사가 환자를 뒤집어 눕힐 때에는, 간호사가 몸통 고정부의 결합부(112, 122)를 결합하여 환자의 몸통을 시트에 고정시킨다.
그 후 좌측 시트 연결부(130) 및 우측 시트 연결부(140)를 위로 들어올려서 환자의 몸을 위로 들어올린 후, 좌측 시트 연결부(130)와 우측 시트 연결부(140) 중 한 쪽은 위로 올리고 한 쪽은 내리면 환자의 몸이 한 쪽으로 돌아눕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의 실시예이다.
리프트는 액츄에이터의 힘에 의해 리프트 바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을 발생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리프트 바에는 리프트 바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리프트 바 연결부와 시트 연결부(130, 140)는 줄, 끈, 체인 등을 연결될 수 있다.
리프트 바 연결부를 좌측 시트 연결부(130)와 연결하면 좌측 시트 연결부(130)을 들어올릴 수 있고, 리프트 바 연결부를 우측 시트 연결부(140)와 연결하면 우측 시트 연결부(14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좌측 시트 연결부(130)와 우측 시트 연결부(140)를 동시에 들어올린 후, 한쪽은 위로 올리고 다른 쪽은 아래로 내린다면, 환자를 쉽게 뒤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트 바가 2개가 필요하고 액츄에이터도 2개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액츄에이터는 강한 힘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고가의 장치이므로, 2개를 설치하려면 비용이 많이 든다.
만일 액츄에이터를 1개로 줄일 수 있다면,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만일 1개의 액츄에이터에 도 6의 환자 회전 장치부를 연결하면, 액츄에이터 1개만으로 환자를 들어올린 후 뒤집을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이동도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2개의 액츄에이터가 필요없이 1개로 충분하므로,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 회전 장치부의 제1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7은 도 6의 환자 회전 장치부가 회전한 모습이다.
도 6의 환자 회전 장치부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350), 환자 회전 수평 몸체(360), 좌측 리프트 바(375), 우측 리프트 바(385)를 포함한다.
환자 회전 수직 몸체(350)에 형성된 구멍에 환자 회전 수평 몸체(360)가 관통하고, 환자 회전 수평 몸체(360)의 양 끝에는 좌측 회전 몸체 힌지부(371)와 우측 회전 몸체 힌지부(381)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회전 몸체 힌지부(371)에는 좌측 회전 몸체 연결부(370)가 연결되어 있고, 좌측 회전 몸체 연결부(370)의 하부에는 좌측 리프트 바(375)가 연결된다. 우측 회전 몸체 힌지부(381)에는 우측 회전 몸체 연결부(380)가 연결되어 있고, 우측 회전 몸체 연결부(380)의 하부에는 우측 리프트 바(385)가 연결된다. 환자 회전 수직 몸체(350)의 상부에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 힌지부(351)가 형성되어 있고, 환자 회전 수직 몸체(350)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 힌지부(351)를 통해 리프트에 연결되어, 리프트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환자 회전 수평 몸체(360)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350)에 형성된 구멍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고, 환자 회전 수직 몸체(350)가 설치된 동력 장치에 의해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는 수동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자동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수동으로 구현할 때는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공기 펌프를 수동으로 동작시켜 그 공기의 압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환자 회전 수평 몸체(360)가 환자 회전 수직 몸체(350)에 형성된 구멍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은 통상의 전문가가 다양한 방법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동력 장치는 도 5의 액츄에이터보다 힘이 약한 동력 장치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환자 회전 수평 몸체(360)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350)에 형성된 구멍을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때, 환자 회전 수평 몸체(360)와 환자 회전 수직 몸체(350)는 수직 방향을 유지한다.
좌측 리프트 바(375)에는 좌측 시트 연결부(130)가 연결되고, 우측 리프트 바(385)에는 우측 시트 연결부(140)가 연결된다.
도 6의 환자 회전 수직 몸체(350)에 설치된 동력 장치에 의해 환자 회전 수평 몸체(360)가 B 방향으로 이동하면, 오른쪽이 더 무거워져서 도 7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좌측 리프트 바(375)에 연결된 좌측 시트 연결부(130)는 위로 올라가고, 우측 리프트 바(385)에 연결된 우측 시트 연결부(140)는 아래로 내려간다. 따라서 시트 위에 눕혀져 있는 환자의 몸통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4의 좌측 시트 연결부(130) 또는 우측 시트 연결부(140)를 들어올릴 때, 몸통 고정부(110, 120)가 연결 및 고정되어 있지 않다면, 환자가 시트(100)의 윗면에서 미끄러지면서 제대로 뒤집어지지 않을 수가 있다. 또한 환자가 너무 많이 움직여서 침대 밑으로 떨어거나 침대의 안전 바에 부딪칠 수 있다.
그러나 몸통 고정부(110, 120)를 통해 환자의 몸통이 시트(100)에 고정되어 있으면, 환자가 시트(100)의 윗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환자가 너무 많이 움직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환자가 침대 위에 누울 때 침대 시트를 깔고 그 위에 환자가 눕는다.
만일 본 발명의 시트(100)를 침대에 깔고 그 위에 침대 시트를 깐 상태에서 환자가 누운 상태라면, 몸통 고정부의 결합부(112, 122)를 결합할 때 환자의 몸통에 침대 시트가 감긴 채로 몸통 고정부(110, 120)가 환자의 몸통과 침대시트를 감쌀 수 있다.
본 발명의 시트(100)의 상하 길이는 환자의 키 정도로 할 수도 있지만, 도 4와 같이 어깨부터 엉덩이 정도까지의 길이 정도로도 할 수 있고, 허리 주변을 들 수 있는 30 cm 정도의 길이일 수도 있다.
몸통 고정부(110, 120)를 통해 환자의 몸통을 시트(100)에 고정한 상태에서 환자의 몸을 뒤집을 때, 몸통 고정부(110, 120) 중 환자의 몸통과 접촉하는 면이 환자의 몸통 위를 미끄러질 수 있다.
이때 시트(100)에 평판을 설치하면, 그러한 현상을 막을 수 있다.
환자의 몸통 중 등쪽 부분은 원호가 아니라 직선에 가깝다. 따라서 시트(100) 중 환자의 등이 접촉하는 부분에 평판을 설치하면, 몸통 고정부(110, 120) 중 환자의 몸통과 접촉하는 면이 환자의 몸통 위를 미끄러지기 어렵게 된다.
도 8은 도 3의 실시예에 평판 설치부가 형성된 예이다.
도 8의 평판 설치부에 평판을 위치시키면, 몸통 고정부(110, 120) 중 환자의 몸통과 접촉하는 면이 환자의 몸통 위를 미끄러지기 어렵게 된다.
평판은 단단한 재질로서 평평한 판 형상에 가깝지만, 완전한 평면일 필요는 없고 환자의 등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약간의 곡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평판 설치부에 평판을 위치시킬 때, 평판 설치부에 평판이 고정되어야 하는데, 고정시키는 방법은 접착제나 바느질에 의해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고, 평판이 평판 설치부에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평판이 평판 설치부에 꽉 끼는 크기로 만들어서 평판이 평판 설치부에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환자 회전 장치부의 제2 실시예의 개념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환자 회전 장치부가 회전한 모습이다.
도 9의 환자 회전 장치부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450), 환자 회전 수평 몸체(460), 좌측 리프트 바(75), 우측 리프트 바(485)를 포함한다.
환자 회전 수직 몸체(450)와 환자 회전 수평 몸체(460)는 환자 회전 수평 몸체 회전축(461)을 통해 결합되어 있어서, 환자 회전 수평 몸체(460)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45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환자 회전 수평 몸체(460)의 양 끝에는 좌측 회전 몸체 힌지부(471)와 우측 회전 몸체 힌지부(481)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 회전 몸체 힌지부(471)에는 좌측 회전 몸체 연결부(470)가 연결되어 있고, 좌측 회전 몸체 연결부(470)의 하부에는 좌측 리프트 바(475)가 연결된다. 우측 회전 몸체 힌지부(481)에는 우측 회전 몸체 연결부(480)가 연결되어 있고, 우측 회전 몸체 연결부(480)의 하부에는 우측 리프트 바(485)가 연결된다. 환자 회전 수직 몸체(450)의 상부에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 힌지부(451)가 형성되어 있고, 환자 회전 수직 몸체(450)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 힌지부(451)를 통해 리프트에 연결되어, 리프트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환자 회전 수직 몸체(450)는 환자 회전 수평 몸체 회전축(461)을 중심으로 환자 회전 수평 몸체(46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은 환자 회전 수직 몸체(450) 또는 환자 회전 수평 몸체(460)에 설치된 동력 장치에 의해 A 방향 또는 B 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력 장치는 수동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모터와 기어를 이용하여 자동 장치로 구현할 수도 있다. 수동으로 구현할 때는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도 있지만, 공기 펌프를 수동으로 동작시켜 그 공기의 압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도 있다.
환자 회전 수직 몸체(450)는 환자 회전 수평 몸체 회전축(46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것은 통상의 전문가가 다양한 방법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동력 장치는 도 5의 액츄에이터보다 힘이 약한 동력 장치라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적은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좌측 리프트 바(475)에는 좌측 시트 연결부(130)가 연결되고, 우측 리프트 바(485)에는 우측 시트 연결부(140)가 연결된다.
도 9의 환자 회전 수평 몸체(460)가 A 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0과 같이 된다. 이때 좌측 리프트 바(475)에 연결된 좌측 시트 연결부(130)는 위로 올라가고, 우측 리프트 바(485)에 연결된 우측 시트 연결부(140)는 아래로 내려간다. 따라서 시트 위에 눕혀져 있는 환자의 몸통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환자 회전 장치부의 제1 실시예(도 6)와 제2 실시예(도 9)는 리프트와 힌지 결합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지만, 고리에 의해 연결하여 리프트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리프트에 대해 영구히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환자 회전 장치부는 상기 리프트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좌측 리프트 바와 연결줄의 예이다.
도 11의 좌측 리프트 바(475)에는 3개의 좌측 리프트 바 연결부(475_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 리프트 바 연결부(475_1)에는 3개의 연결줄이 걸쳐지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3개의 연결줄은 좌측 시트 연결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좌측 리프트 바(475)가 위로 들려지면, 좌측 시트 연결부(130)가 위로 들려진다.
좌측 리프트 바 연결부에 연결줄을 연결하는 방식은 도 11의 방식 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환자가 시트(100) 위의 정확한 위치에 누워있다면, 좌측 리프트 바(475)와 우측 리프트 바(485)가 위로 들려질 때, 환자의 머리 방향이나 환자의 다리 방향으로 환자가 기울여지지 않으면서 들려질 수 있다. 그러나 환자가 정확한 위치에서 약간 머리쪽으로 이동하여 누워있거나 다리쪽으로 이동하여 누워있다면, 환자의 머리 방향이나 환자의 다리 방향으로 환자가 기울여지면서 들려질 수 있다.
이때 간호사가 환자를 시트(100) 위에서 머리 방향이나 다리 방향으로 이동시키려면, 많은 힘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좌측 리프트 바와 우측 리프트 바를 슬라이딩 구조로 만들 수 있다.
도 12는 좌측 리프트 바가 슬라이딩 구조로 된 예이다.
도 12에서 좌측 리프트 바는 2개의 몸체(475_A, 475_B)로 되어 있고, 아래쪽에 있는 몸체 475_B는 위쪽에 있는 몸체 475_B 에 대해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아래쪽에 있는 몸체 475_B 를 A방향 또는 B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우측 리프트 바도 도 12와 같이 슬라이딩 구조로 만들 수 있다.
좌측 리프트 바와 우측 리프트 바를, 도 12와 같이, 슬라이딩 구조로 만들면, 환자가 정확한 위치에서 누워 있지 않아서 환자의 머리 방향이나 환자의 다리 방향으로 환자가 기울어질 경우에, 기울어지지 않도록(균형이 맞도록) 아래쪽 몸체를 정당한 위치까지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이딩 구조를 만들지 않고, 리프트 바에 연결줄보다 많은 수의 리프트 바 연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3은 좌측 리프트 바에 연결줄보다 많은 수의 좌측 리프트 바 연결부가 형성된 예이다. 즉 연결줄은 3개이지만, 좌측 리프트 바 연결부는 7개(475_1_1, 475_1_2, 475_1_3, 475_1_4, 475_1_5, 475_1_6, 475_1_7)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서 보통 때는 3개의 연결줄을 475_1_2, 475_1_4, 475_1_6 에 걸치는 방식으로 연결하지만, 환자의 머리 방향이나 환자의 다리 방향으로 환자가 기울어지면, 연결줄을 걸치는 위치를 변경하여 균형을 맞출 수 있다.
100 : 시트
110, 120 : 몸통 고정부
111, 121 : 몸통 고정부의 시트 연결부
112, 122 : 몸통 고정부의 결합부
130 : 좌측 시트 연결부
140 : 우측 시트 연결부
150, 160 : 보강 막대 삽입부
170 : 평판 설치부
210 : 침대
220 : 베개
350 : 환자 회전 수직 몸체
351 : 환자 회전 수직 몸체 힌지부
360 : 환자 회전 수평 몸체
370 : 좌측 회전 몸체 연결부
371 : 좌측 회전 몸체 힌지부
375 : 좌측 리프트 바
380 : 우측 회전 몸체 연결부
381 : 우측 회전 몸체 힌지부
385 : 우측 리프트 바
450 : 환자 회전 수직 몸체
451 : 환자 회전 수직 몸체 힌지부
460 : 환자 회전 수평 몸체
461 : 환자 회전 수평 몸체 회전축
470 : 좌측 회전 몸체 연결부
471 : 좌측 회전 몸체 힌지부
475 : 좌측 리프트 바
475_1 : 좌측 리프트 바 연결부
480 : 우측 회전 몸체 연결부
481 : 우측 회전 몸체 힌지부
485 : 우측 리프트 바

Claims (9)

  1. 위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리프트 연결부를 포함하는 리프트;
    양쪽에 리프트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는 시트 연결부를 형성된 시트;
    를 포함하고,
    시트의 중앙에는 환자의 몸통을 고정할 수 있는 몸통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은 침대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는 평판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 설치부에는 평판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4. 2개의 리프트 바를 포함하고 2개의 리프트 바 각각에 위로 들어올리는 힘을 제어할 수 있는 리프트;
    양쪽에 리프트 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는 시트 연결부를 형성된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리프트 바는 상기 리프트 연결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시트 연결부 각각에 위쪽 방향으로 드는 힘을 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5. 환자 회전 장치부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을 제어할 수 있는 리프트;
    양쪽에 시트 연결부를 형성된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회전 장치부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 환자 회전 수평 몸체, 좌측 리프트 바, 우측 리프트 바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는 리프트에 연결되어 리프트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는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를 관통하면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의 양 끝에는 좌측 리프트 바와 우측 리프트 바가 각각 연결되고,
    좌측 리프트 바와 우측 리프트 바는 각각 시트 양쪽의 시트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가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를 관통하면서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시트가 시트 위의 환자 몸통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6. 환자 회전 장치부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을 제어할 수 있는 리프트;
    양쪽에 시트 연결부를 형성된 시트;
    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회전 장치부는 환자 회전 수직 몸체, 환자 회전 수평 몸체, 좌측 리프트 바, 우측 리프트 바를 포함하고,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는 리프트에 연결되어 리프트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는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와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의 양 끝에는 좌측 리프트 바와 우측 리프트 바가 각각 연결되고,
    좌측 리프트 바와 우측 리프트 바는 각각 시트 양쪽의 시트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환자 회전 수평 몸체가 상기 환자 회전 수직 몸체에 대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시트가 시트 위의 환자 몸통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환자 회전 장치부는 상기 리프트로부터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8.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좌측 리프트 바와 상기 우측 리프트 바는 슬라이딩 가능한 2개의 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9.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좌측 리프트 바에 형성된 좌측 리프트 바 연결부의 수와 상기 우측 리프트 바에 형성된 우측 리프트 바 연결부의 수는 시트 연결부에 연결된 연결줄의 수보다 더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KR1020170015184A 2017-02-02 2017-02-02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KR20180090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84A KR20180090147A (ko) 2017-02-02 2017-02-02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5184A KR20180090147A (ko) 2017-02-02 2017-02-02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147A true KR20180090147A (ko) 2018-08-10

Family

ID=63229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5184A KR20180090147A (ko) 2017-02-02 2017-02-02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01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8638A (zh) * 2020-03-23 2020-07-03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偏瘫患者卧坐位互换协助装置
WO2023004137A1 (en) * 2021-07-22 2023-01-26 Infinitus Medical Technologies Llc Combined patient handling and surgical positioning system for use with mechanical lifts in the operating roo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0887A (en) 1991-08-26 1993-05-18 Juanita Kershaw Methods of turning a bedridden invalid
US5544371A (en) 1993-04-13 1996-08-13 Fuller; Carmel U. Bed patient turning,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with mobile, folding and knockdown fr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0887A (en) 1991-08-26 1993-05-18 Juanita Kershaw Methods of turning a bedridden invalid
US5544371A (en) 1993-04-13 1996-08-13 Fuller; Carmel U. Bed patient turning,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with mobile, folding and knockdown fr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8638A (zh) * 2020-03-23 2020-07-03 江苏医药职业学院 一种偏瘫患者卧坐位互换协助装置
WO2023004137A1 (en) * 2021-07-22 2023-01-26 Infinitus Medical Technologies Llc Combined patient handling and surgical positioning system for use with mechanical lifts in the operating roo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4988B1 (ko) 정체용 거꾸로 매달기 베드 장치
US4446587A (en) Patient positioning device
US5210887A (en) Methods of turning a bedridden invalid
EP0932385B1 (en) Devices for moving patients
EP1819308B1 (en) System for turning a patient
JP4849991B2 (ja) 床ずれ防止用ベッド
EP2560526B1 (en) Pocketed bedsheet, system and method
JP2013528100A (ja) 使用者の体型に合わせて回転軸が可変な床ずれ防止用電動ベッドプラットフォームおよびその姿勢変更周期の制御方法
AU2017351746B2 (en) Lifting system with lifting device and cantilievered support platform
US8479326B1 (en) Rehabilitation and physical therapy device
EP3263082A1 (en) Electric wheelchair
KR20180090147A (ko)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US7617553B1 (en) Patient lifting device
KR20180083109A (ko) 환자 자세 변경용 리프트 시스템
CN216754829U (zh) 一种电动控制多功能护理床
KR102063145B1 (ko) 욕창 방지 장치
JP2004089665A (ja) 拘縮を防止するための補助具
ES2300220A1 (es) Dispositivo para bipedestacion y rehabilitacion de marcha, para personas con minusvalidas motoras.
GB2231790A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KR101015387B1 (ko) 욕창방지를 위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자세변환주기가 제어되는 전동침대 플랫폼
KR101033857B1 (ko) 사용자 체형에 따라 회전축을 가변시킬 수 있는 전동침대용 플랫폼
CN209361134U (zh) 一种改进型多功能医疗保健防褥疮康复护理床
WO2011036494A1 (en) Support pad for rotating sleep surface transfer system
JP2987544B2 (ja) 療養用ベッド
KR20190015795A (ko) 욕창 방지 운동 안전 벨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