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757A -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757A
KR20180088757A KR1020187021967A KR20187021967A KR20180088757A KR 20180088757 A KR20180088757 A KR 20180088757A KR 1020187021967 A KR1020187021967 A KR 1020187021967A KR 20187021967 A KR20187021967 A KR 20187021967A KR 20180088757 A KR20180088757 A KR 20180088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growth
liquid
cultivation
necess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즈미 마츠노
야스시 나와
쿠니스케 타나카
다이스케 스즈무라
료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화이토칼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화이토칼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8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15Leaf crops, e.g. lettuce or spina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20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40Fabaceae, e.g. beans or pea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3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 A01G24/35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synthetic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water-absorbing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 A01G24/46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Hydroponic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보액성, 액이행성, 및 최적의 호흡 환경용의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용 소재는, 천연 펄프 및/또는 폴리올레핀 펄프 등의 합성 펄프를 포함한다. 이 식물 재배용 소재에 의해, 식물 생육에 필요로 하는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할 수 있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PLANT CULTIVATION MATERIAL AND PLANT CULTIVATION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방법은, 지금까지 수많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교 폴리아크릴소다겔로 대표되는 고흡수성 폴리머(특허 문헌 1), 폴리비닐 알코올이나 폴리우레탄 및 폴리스티렌으로 대표되는 발포성 수지(특허 문헌 2), 부직포나 멀티 필름으로 대표되는 통기성 필름 및 다공질 필름(특허 문헌 3 및 특허 문헌 4)을 이용한 재배 방법이 있다.
그러나, 고흡수성 폴리머를 이용한 재배 방법은, 식물의 생육에 맞게 식물이 필요로 하는 물이나 양액(養液)을 필요량 공급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발포성 수지를 이용한 재배 방법에서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공기를 충분히 공급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통기성 필름이나 다공질 필름을 이용한 재배 방법에서는,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이나 양액을 확보할 수 없고, 식물에 대해 물이나 양액의 안정공급을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라믹을 이용한 재배 방법(특허 문헌 5)이 발견되었지만,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이나 양액의 공급 능력이 아직 불충분하여,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할 수 있는 식물 재배 환경의 제공이 되어 있지 않다.
특허 문헌 1: WO97/008938A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45895호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217874호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153398호 특허 문헌 5: 일본국 특허공보 제3044006호
발명의 개요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식물의 생육 촉진을 목적으로 하고, 식물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할 수 있는 식물 재배 환경에 적합한 식물 재배용 소재와 그 소재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에 관하여 예의검토한 결과, 보액성(保液性)과 액이행성(液移行性)을 가지고, 식물에 적합한 호흡 환경의 제공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소재를 식물 재배에 이용함으로써, 식물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하는 것이다.
(1) 식물이 생육에 필요로 하는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식물 재배용 소재.
(2) 보액성과 액이행성을 가져, 식물이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식물 재배용 소재.
(3) 물이나 양액, 농약 등의 액체(본 명세서에서는, 「본 액체」라고 기재.)를 유지하고, 본 액체를 원활히 이행시키기 위한 공공(空孔)을 가져, 식물이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식물 재배용 소재.
(4) 물이나 양액, 농약 등의 액체를 유지하고, 본 액체를 원활히 이행시키기 위한 공공을 가져, 뿌리가 생장하는 쪽을 컨트롤 가능한 층상 구조를 취해, 식물이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식물 재배용 소재.
(5) 물이나 양액, 농약 등의 액체를 유지하고, 본 액체를 원활히 이행시키기 위한 공공을 가져, 뿌리가 윤택한 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뿌리가 생장하는 쪽을 컨트롤 가능한 층상 구조를 취해, 식물이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식물 재배용 소재.
(6)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물 재배용 소재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본 발명의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식물은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식물의 생육이 촉진되고, 식물의 증수(增收) 및 품질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요소의 공급량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식물 재배용 소재에서의 식물 재배의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해,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할 수 있도록 보액성 및 액이행성을 가져, 식물에 적합한 호흡 환경의 제공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식물 재배용 소재(본 명세서에서는, 「본 소재」라고 기재.)와 본 소재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소재란, 상기 (1)~(6) 중 어느 한 항에 해당하는 소재,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등으로부터 제조되는 합성 펄프나 천연 펄프, 폴리에스테르 등을 단독으로, 혹은 복수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한 것으로 구성되는 소재의 것을 가리키고, 합성 펄프에 관해서는, 특허 제3913421호 명세서나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77519호 등에 기재의 것으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소53-1260호 등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들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합성 펄프나 천연 펄프, 폴리에스테르 등을 단독, 혹은 복수를 임의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포함한 슬러리를 조정하고, 정법(定法)을 이용하여 단층 혹은 복수층의 시트상 등으로 성형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 형태 중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식물)
목화 등의 아욱과 식물, 사탕수수 등의 명아주과 식물, 유채의 씨나 양배추 등의 유채과 식물, 옥수수나 소맥, 쌀 등의 벼과 식물, 오이나 호박 등의 박과 식물, 양상추나 홍화 등의 국화과 식물, 당근 등의 미나리과 식물, 피마자나 카사버 등의 피마자나 카사버 식물, 가지나 토마토 등의 가지과 식물, 딸기나 사과 등의 장미과 식물, 대두 등의 대두과 식물, 오렌지나 레몬 등의 귤과 식물 등 여러 가지의 식물을 가르키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종자)
종자 식물의 유성(有性) 생식에 의해 만들어지는 살포체로, 내부에 수정란으로부터 발육한 어린 식물체인 배(胚)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조직배양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부정배(不定胚)를, 젤라틴이나 수지 등에 포매(包埋)시킨 인공적인 것도 가리킨다.
(종묘)
뿌리(根), 줄기, 잎을 가지는 식물체나, 그 중 1개 내지 2개가 없는 상태에서, 양생(養生)함으로써 완전한 식물체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의 식물체편을 가리킨다.
(재배)
식물의 파종으로부터 성숙기까지의 임의의 스테이지에서 식물을 인공적으로 생육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파종으로부터 성숙기까지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간에 걸쳐서 식물을 인공적으로 생육시키는 것이고, 이하의 각 단계 및 그 2개 이상의 조합에 의한 재배를 들 수 있다.
(1) 파종으로부터 성숙기까지
(2) 모종으로부터 성숙기까지
(3) 종자로부터 모종까지
(4) 모종의 단계를 거쳐 목적으로 하는 성숙기 전까지 다른 장소에서 재배하고, 그 단계로부터 성숙기까지
(5) 모종으로부터 목적으로 하는 성숙기 전의 단계까지(성숙기까지는 다른 장소에서 재배한다).
성숙기까지의 재배에는, 목적으로 하는 식물체 또는 그 식물체의 과실, 꽃, 잎, 싹(芽), 가지, 줄기, 뿌리, 구근 등의 그 일부의 적어도 1종이 수확 가능한 상태가 되는 성숙기, 혹은 그 식물체로부터 종자나 종묘가 채취가능한 상태가 될 때까지 생육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발아)
종자나 주아(珠芽), 구근 등의 내부나 표면으로부터, 잎, 줄기 및/또는 뿌리등이 성장해 나오는 것을 가리킨다.
(촉진)
선행 기술에 비해, 생육이 빠른, 발아율이 높은, 생존률이 높은, 식물체량 혹은 수확량이 많은, 및 품질(당도 등)이 높은 등, 식물이 우위에 생육하는 것을 가리킨다.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요소)
물이나 비료 및 공기 등 식물의 생육에 필요 불가결한 것이나, 농약 등 식물의 생육의 장해가 되는 해충이나 병 등의 방제에 필요한 것을 가리키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본 명세서에서는, 「본 요소」라고 기재.).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한다)
식물의 생육의 과정에 있어서, 본 요소를 식물이 흡수하고 싶을 때에 흡수하고 싶은 양을 흡수하는 것. 즉, 본 요소의 흡수를 식물에 의존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보액성)
본 소재 중에, 본 요소를 포함하는 액체를 유지하는 성질을 가리키고, 그 유지율은 액체를 포함하는 본 소재 중의 액체 함유율(중량 기준)이, 30% 이상 9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80% 이하이다.
(액이행성)
본 소재 중을, 본 요소를 포함하는 액체를 용이하게 이행시키는 성질을 가리키고, 그 이행 속도는, 본 소재 1㎤ 당 매시 0.01mL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소재 1㎤ 당 매시 0.1mL 이상이다.
(비료)
식물의 생육에 필요 불가결한 영양이 되는 것. 비료의 삼요소라고 하는 질소나 인산 및 칼륨 등을 적어도 1종류 이상 포함하고, 액상 혹은 고형물을 물에 용해하여 액상(유화상, 현탁상 등을 포함한다)으로 한 것을 가리킨다(본 명세서에서는, 「양액」이라고 기재.).
양액의 종류로서는,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硫安), 염화암모늄, 질산암모늄(硝安), 요소, 석회질소 및 질산 칼륨 등의 질소 비료, 과인산 석회, 중과인산 석회 및 용성(熔成) 인비 등의 인산 비료, 염화 칼륨이나 황산 칼륨 등의 칼륨비료, 및 단비(單肥)나 화성 비료 및 배합 비료 등의 화학 비료, 생석회나 소석회 및 탄산칼슘 비료 등의 석회질비료, 광재 규산 비료 등의 규산 비료, 황산 망간 비료나 광재 망간 비료 등의 망간 비료, 붕산염 비료 등의 붕산 비료, 용성 미량 요소 복합비료 등의 미량 요소 복합비료 등, 및 이것들 혹은 이하에 기재하는 농약 등과의 혼합 비료가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의 용액의 성분은 필요에 따라 선택한 1종을, 혹은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농약)
식물의 생육의 장해가 되는 해충이나 병 등의 방제에 필요한 약제로, 액상 혹은 고형물을 물에 용해하여 액상(유화상, 현탁상 등을 포함한다)으로 한 것을 가리킨다.
농약에는,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살균제, 제초제 및 식물 성장 조정제가 있고, 각각 단제 및 혼합제가 있다. 단제란 단일의 유효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농약의 것이고, 혼합제란 하기 살충제, 살진드기제, 살선충제, 살균제, 제초제의 유효 성분의 2종 이상을 각각 임의로 혼합한 것 및 하기 살충제와 살균제를 임의로 혼합한 것을 가르키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살충제나 살진드기제, 살선충제의 유효 성분으로서는, 아세페이트나 페니트로치온 등의 유기 인계, 메소밀이나 벤프라카브 등의 카바메이트계, 피프로닐 등의 피라졸계, 이미다클로프리드나 디노테프란 등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밀베메크틴이나 스피노사드의 천연물계, 그 외, 클로란트라닐리프롤이나 시안트라닐리프롤 등의 침투 이행성 혹은 수용성을 가지는 물질을 가르키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살균제의 유효 성분으로서는, 티우람(thiuram)이나 만제브(mancozeb) 등의 카바메이트계, 아족시스트로빈이나 쿠레속심·메틸 등의 스트로빌루린계, 트리플루미졸이나 테부코나졸, 시메코나졸 등의 아졸계, 카수가마이신이나 스트렙토마이신 등의 천연물계, 그 외, 침투 이행성 혹은 수용성을 가지는 물질을 가르키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초제나 식물 성장 조정제의 유효 성분으로서는, 글리포세이트나 글루포시네이트 등의 인산계, 티펜설푸론·메틸 등의 설포닐우레아계, 질산암모늄이나 황산암모늄 등의 무기계, 설코트리온(sulcotrione)이나 메소트리온 등의 트리케톤계, 피라졸레이트나 피라설포톨 등의 피라졸레이트계, 설펜트라존이나 아미카르바존 등의 트리아졸론계, 이속사클로르톨 등의 이속사졸계, 사이토카이닌이나 지베렐린 등의 천연물계, 그 외, 침투 이행성 혹은 수용성을 가지는 물질을 가르키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침투 이행성이란, 식물의 뿌리·줄기·잎으로부터 흡수되어 식물체 내를 이행하는 특성을 가리킨다.
(공공)
본 요소를 포함하는 액체가 본 소재 중을 이행하기 위한 공간이며, 식물의 종자가 비집고 들어가지 않고, 또한, 공공내부의 표면장력 및 모세관 현상에 의한 액이행성을 가지는 크기의 것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10㎛φ 이하의 공공이 본 소재 중에 존재하는 공공의 50% 이상(용적기준)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φ 이하의 공공이 본 소재 중에 존재하는 공공의 90% 이상(용적기준)을 차지하는 것이다.
(뿌리가 생장하는 쪽의 컨트롤)
식물의 뿌리를 본 소재의 내측 및/또는 외측에서 식물의 생육에 적합한 상태로 신장시켜, 본 요소를 식물이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할 수 있는 뿌리의 환경을 만들어내는 방법을 설명하고, 본 소재가 가지는 층 상태 구조에 기인한다.
(층상 구조)
본 소재를 구성하는 물질이, 이차원적으로 연속 혹은 불연속으로 뒤얽히어 생성된 평면 구조가, 이 평면 구조의 층 두께 방향(각층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구조로 교차하는 방향)과 겹쳐져서 이루어진 삼차원 구조를 말한다. 각층의 두께는 0.01mm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m 이상이며, 층의 수는 2층 이상이 바람직하다. 본 소재 전체로서의 두께는, 5,000m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m 이하이다.
(재배 방법)
본 소재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에 의하면, 식물이 필요로 하는 요소를 식물에 공급 가능한 상태에 있는 본 소재를 이용하여 식물을 파종으로부터 성숙기까지의 임의의 스테이지에 걸쳐 식물을 재배할 수 있다. 이 파종으로부터 성숙기까지의 임의의 스테이지에 대해서는 먼저 「재배」의 항으로 설명했던 바와 같다.
본 소재의 형상이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재배 대상인 식물의 성숙기까지에 있어서, 식물체의 양호한 성장 방향이나 뿌리 팽창 상태 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식물체의 생육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파종 가능한 표면과, 뿌리가 성장 가능한 부분을 가지도록, 본 소재를 시트상, 매트상, 입방체 및/또는 직방체상, 원주상 등의 여러 가지의 형상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소재를 배치하는 장소는, 식물의 재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목적에 따른 용기 중에 본 소재를 배치하고, 본 소재를 통하여 식물이 필요로 하는 요소를 식물에 공급 가능한 상태로서, 본 소재에 파종을 실시하여 성숙기까지 성장시킬 수 있다.
용기 중에 배치한 본 소재에 대한 식물이 필요로 하는 요소의 공급은, 용기 중에 충전한 요소를 본 소재에 이행시키는 방법, 본 소재 중에 미리 충전해 둔 요소에 의해 실시하는 방법, 이들을 병용한 방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소재 중을 침투 가능한 본 액체를 용기 내에 충전하고, 본 액체에 본 소재를 접촉시켜 본 소재 중에 침투시켜 요소를 식물에 공급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용기 내에 본 액체를 보충해도 된다. 이 본 액체의 용기 내에 대한 보충은, 연속적으로, 혹은, 간격을 두어 실시할 수 있다.
도 1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의 본 소재(1)를 용기(2) 내의 본 액체에 부분적으로 침지하고, 본 소재(1)의 공기 중에 노출시킨 표면에 있어 파종으로부터 식물을 성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소재의 파종면에는, 이랑(畝) 상의 요철 구조나, 파종용의 구덩이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소재(1)가 층상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층 두께 방향(각층으로 이루어지는 평면 구조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식물을 성장시키는 한편으로, 층상 구조의 층 두께 방향으로 성장하는 뿌리에 가하여, 층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각층의 평면 구조에 따른 방향)으로 성장하는 뿌리에 관해서도 효과적으로 성장시킴으로써, 단단해진 뿌리 팽창 상태를 확보해서 안정된 재배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소재에 있어서의 층상 구조에 있어서의 층 두께 방향과 식물의 성장 방향과의 관계는, 도 1에 나타낸 관계로 한정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재배 상태를 얻을 수 있도록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식물의 버팀목이나 성장 방향을 지지하는 가이드, 혹은 본 소재(1)의 용기 중에서의 위치를 고정하는 지지 구조를 이용해도 된다.
용기를 설치하는 장소는, 예를 들어 토양 중 등의 자연 환경 중, 온도 및/또는 습도 등의 재배 조건을 제어 가능한 재배실, 하우스, 재배 장치 내 등, 재배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설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합성 펄프(미쓰이화학제 SWP(등록상표): E400)를 80mm×100mm×높이 65mm 각의 직방체에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따른 물의 액면에 띄워, 합성 펄프의 표면에 소맥을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2)
합성 펄프(미쓰이화학제 SWP(등록상표): E400)를 80mm×100mm×높이 65mm각의 직방체에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 펄프의 표면에 소맥을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와 양액 소비량을 표 3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실시예 3)
합성 펄프(미쓰이화학제 SWP(등록상표): E400)를 300mm×360mm×높이 100mm각의 직방체에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4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 펄프의 표면에 미니 토마토를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 또한, 이우치하네이도(井內盛宋堂)제 수지 굴절계 IATC-1E(Brix0~32%)를 사용하여 결실한 미니 토마토의 과육의 당도를 측정했다. 생육 결과와 당도 측정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실시예 4~14)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잎양상추, 유채의 씨, 물망초, 개양개비, 산벚나무, 녹나무, 자귀나무, 흑종초, 코리앤더, 대두 및 차조기를 파종하여 각각의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와 양액 소비량을 표 6~16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실시예 15)
합성 펄프(미쓰이화학제 SWP(등록상표): E400)를 65mm×65mm×높이 95mm각의 직방체에 조제하여 배양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 펄프의 표면에 패랭이꽃을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를 표 17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20
(실시예 16)
합성 펄프(미쓰이화학제 SWP(등록상표): E400)를 500mm×340mm×높이 150mm각의 직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18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 펄프의 표면에 종자를 받을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뚫어 옥수수를 파종하여 결실까지의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를 표 19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21
주) 대총 하우스: 대총 어그리테크노로 제조·시판되는 비료의 상품명
Figure pat00022
(실시예 17)
합성 펄프(미쓰이화학제 SWP(등록상표): E400)를 260mm×110mm×높이 150mm각의 직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18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 펄프의 표면에 종자를 받을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뚫어 벼(일본청)를 파종하여 성숙기까지의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를 표 20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23
(실시예 18)
합성 펄프(미쓰이화학제 SWP(등록상표): E400)를 500mm×340mm×높이 150mm각의 직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18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 펄프의 표면에 종자를 받을 수 있는 크기의 구멍을 뚫어 수수를 파종하여 결실까지의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를 표 21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24
(실시예 19~20)
실시예 18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화 및 유채의 씨를 파종하여 각각의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를 각각 표 22~23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실시예 21)
합성 펄프(미쓰이화학제 SWP(등록상표): E400)를 400mm×200mm×높이 5mm각의 직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18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 펄프의 표면에 켄터키 블루 그래스를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를 표 24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27
(실시예 22)
천연 펄프와 합성 펄프를 혼합하여 제작된 합성지를 80mm×100mm×높이 65mm각의 직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지의 표면에 소맥을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와 양액 소비량을 표 25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28
(실시예 23)
천연 펄프를 가공하여 제작된 천연 펄프지를 80mm×100mm×높이 65mm각의 직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지의 표면에 소맥을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와 양액 소비량을 표 26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29
(실시예 24)
폴리에스테르와 천연 펄프를 배합한 폴리에스테르지를 80mm×100mm×높이 65mm각의 직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지의 표면에 소맥을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 생육 결과와 양액 소비량을 표 27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30
실시예 1, 2 및 16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재배할 수 있는 식물을 표 28에 나타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실시예 25)
합성 펄프(미쓰이화학제 SWP(등록상표): E400)를 100mm×100mm×높이 100mm각의 입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18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 펄프의 상부 표면에 20mm×20mm×깊이 10mm각이 구멍을 뚫어 잠두를 파종했다(파종일: 2012년 5월 31일). 파종 22일 후, 식물체장이 약 200mm로 성장한 시점에서 잠두에 아까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를 방충하고, 방충 7일 후, 10mg의 디노테프란(미쓰이화학아그로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을 1,000mL의 양액에 용해한 수용액을 조정하여 실린지로 합성 펄프에 주입했다. 수용액 주입전과 수용액 주입 4일 후의 아까시아진딧물의 생존충수를 비교하여, 디노테프란의 아까시아진딧물에 대한 살충 효과를 확인했다. 결과를 표 29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35
(실시예 26)
합성 펄프(미쓰이화학제 SWP(등록상표): E400)를 100mm×100mm×높이 100mm각의 입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18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 펄프의 상부 표면에 20mm×20mm×깊이 10mm각이 구멍을 뚫어 잠두를 파종했다(파종일: 2012년 5월 31일). 파종 22일 후, 식물체장이 약 200mm로 성장한 시점에서 잠두에 아까시아진딧물을 방충하고, 방충 7일 후, 1.5mg의 디노테프란(미쓰이화학아그로제,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을 500mL의 양액에 용해한 수용액을 조정하여 재배 케이스 내에 잔존하는 양액과 혼합했다. 수용액 혼합전과 수용액 혼합 4일 후의 아까시아진딧물의 생존충수를 비교하여, 디노테프란의 아까시아진딧물에 대한 살충 효과를 확인했다. 결과를 표 30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36
(참고예 1)
하이트컬쳐(주)제 세라믹(내경: 20mmφ×외경: 28mmφ×높이 80mm의 중공원주상 세라믹)을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중에 침지하고, 세라믹의 내부 표면에 소맥을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파종일: 2012년 1월 6일). 또한, 생육 중에 소비된 양액량도 측정했다. 생육 결과와 양액 소비량을 실시예 2의 결과와 대비하여 표 31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37
(참고예 2)
메비올(주)제 스카이젤(0.64g)에 중량비 100배의 양액(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을 흡수 유지시킨 것을 40mm각의 입방체로 조제하여 스카이젤의 표면에 소맥을 파종한 후, 스카이젤이 건조하여 체적이 반정도가 될 때 마다 양액을 보충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파종일: 2011년 11월 29일). 생육 결과를 실시예 2의 결과와 대비하여 표 32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38
(참고예 3)
시판의 폴리비닐 알코올(PVA)을 70mm×70mm×높이 35mm각의 직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중에 침지하고, PVA의 표면에 소맥을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파종일: 2011년 11월 29일). 생육 결과를 실시예 2의 결과와 대비하여 표 33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39
(참고예 4)
아킬레스(주) 제 무맥(폴리우레탄)을 100mm×100mm×높이 25mm각의 직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중에 침지하고, 폴리우레탄의 표면에 소맥을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파종일: 2011년 11월 29일). 생육 결과를 실시예 2의 결과와 대비하여 표 34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40
(참고예 5)
시판의 부직포를 80mm×10mm×높이 0.1mm사방의 장방형으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에 띄워, 부직포의 표면에 소맥을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파종일: 2011년 12월 20일). 또한, 생육 중에 소비된 양액량도 측정했다. 생육 결과와 양액 소비량을 실시예 2의 결과와 대비하여 표 35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41
(참고예 6)
그로단사제 그로톱마스타(록울; rock wool)를 80mm×100mm×높이 75mm각의 직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2에 나타냈다) 중에 침지하고, 록울의 표면에 소맥을 파종하여 그 생육을 관찰했다(파종일: 2011년 12월 20일). 또한, 생육 중에 소비된 양액량도 측정했다. 생육 결과와 양액 소비량을 실시예 2의 결과와 대비하여 표 36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42
(참고예 7)
하이트컬쳐(주)제 세라믹을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4에 나타냈다) 중에 침지하고, 세라믹의 표면에 미니 토마토를 파종했다. 미니 토마토 결실 후, 수지 굴절계 IATC-1E(Brix0~32%)를 사용하여 미니 토마토의 과육의 당도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를 실시예 3의 결과와 대비하여 표 37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43
(참고예 8) 합성 펄프(미쓰이화학제 SWP(등록상표): E400)를 100mm×100mm×높이 100mm각의 입방체로 조제하여 재배 케이스에 주입한 양액(조성을 표 18에 나타냈다)의 액면에 띄워, 합성 펄프의 상부 표면에, 20mm×20mm×깊이 10mm각이 구멍을 뚫어 잠두를 파종했다(파종일: 2012년 5월 31일). 파종 22일 후, 식물체장이 약 200mm로 성장한 시점에서 잠두에 아까시아진딧물을 방충하고, 아까시아진딧물의 생존충수의 추이를 관찰했다. 결과를 실시예 25~26의 생존충수로 대비해 표 38에 나타냈다.
Figure pat00044
1. 본 소재
2. 물, 양액, 농약 등의 액체
3. 식물(예)

Claims (6)

  1. 식물이 생육에 필요로 하는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식물 재배용 소재.
  2. 보액성(保液性)과 액이행성(液移行性)을 가져, 식물이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식물 재배용 소재.
  3. 물이나 양액(養液), 농약 등의 액체를 유지하고, 본 액체를 원활히 이행시키기 위한 공공(空孔)을 가져, 식물이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식물 재배용 소재.
  4. 물이나 양액, 농약 등의 액체를 유지하고, 본 액체를 원활히 이행시키기 위한 공공을 가져, 뿌리가 생장하는 쪽을 컨트롤 가능한 층상 구조를 취해, 식물이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식물 재배용 소재.
  5. 물이나 양액, 농약 등의 액체를 유지하고, 본 액체를 원활히 이행시키기 위한 공공을 가져, 뿌리가 윤택한 공기를 흡수할 수 있도록 뿌리가 생장하는 쪽을 컨트롤 가능한 층상 구조를 취해, 식물이 생육에 필요한 요소를 필요시에 필요량 흡수하고, 식물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재배 환경을 제공하는 식물 재배용 소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식물 재배용 소재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1020187021967A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20180088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88696 2012-04-09
PCT/JP2013/060503 WO2013154053A1 (ja) 2012-04-09 2013-04-05 植物栽培用素材及びそれを利用した植物栽培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655A Division KR20160113731A (ko)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798A Division KR20190139879A (ko)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757A true KR20180088757A (ko) 2018-08-06

Family

ID=49327618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967A KR20180088757A (ko)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1020147028826A KR20140145156A (ko)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1020207032188A KR20200128764A (ko)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1020167025655A KR20160113731A (ko)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1020197030798A KR20190139879A (ko)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8826A KR20140145156A (ko)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1020207032188A KR20200128764A (ko)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1020167025655A KR20160113731A (ko)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KR1020197030798A KR20190139879A (ko) 2012-04-09 2013-04-05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9615519B2 (ko)
EP (1) EP2837282A4 (ko)
JP (2) JPWO2013154053A1 (ko)
KR (5) KR20180088757A (ko)
CN (2) CN107079797A (ko)
AU (2) AU2013247832B2 (ko)
HK (1) HK1206195A1 (ko)
IL (1) IL235009B (ko)
TW (1) TWI576042B (ko)
WO (1) WO2013154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250390B9 (en) * 2013-04-03 2017-05-25 Mitsui Chemicals, Inc. Plant cultivation system, cultivation method utilizing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8190087A1 (ja) * 2017-04-13 2018-10-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水耕栽培装置
CN107969187A (zh) * 2017-12-05 2018-05-01 广州海露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提高迷迭香植物品种快速繁育方法
CN108966741B (zh) * 2018-08-16 2021-06-18 武汉市农业科学院 一种提高日本野漆树种子发芽率以及快速催芽的方法
CN110771508B (zh) * 2019-11-26 2022-07-05 大连大学 一种蓝莓人工种子制备方法
CN113796297B (zh) * 2020-07-30 2022-06-07 佛山市连艺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红火炬郁金水培品质的栽培方法
CN112400682A (zh) * 2020-11-17 2021-02-26 福建省中科生物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凝胶栽培介质的栽培盘及其栽培方法
CN113099941A (zh) * 2021-05-07 2021-07-13 略阳县锦绣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山地杜仲矮化改良方法
KR20230080080A (ko) 2021-11-29 2023-06-07 김주호 식물 재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8938A1 (en) 1995-09-05 1997-03-13 Mukoyama Orchids Ltd. Support for plant culture and method for plant growth
JP3044006B2 (ja) 1996-09-30 2000-05-22 ハイトカルチャ株式会社 栽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45895A (ja) 1999-08-11 2001-02-20 Phytoculture Control Co Ltd 栽培装置
JP2006217874A (ja) 2005-02-10 2006-08-24 Taniguchi Sangyo Kk マルチ栽培用シート
JP2009153398A (ja) 2007-12-25 2009-07-16 Nidaiki Kk 農業用シート、そのシートを使用した農作物の栽培・管理方法及び栽培した農作物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455B2 (ja) 1976-06-25 1983-12-20 三菱油化株式会社 押出発泡成形品の製造法
JPS6124624A (ja) 1984-07-13 1986-02-03 Mitsubishi Electric Corp 定速走行装置
JPS62104528A (ja) * 1985-10-30 1987-05-15 竹原産業開発株式会社 水耕栽培用人工床
JPH0344006A (ja) 1989-07-11 1991-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厚膜抵抗描画方法
JPH07255270A (ja) * 1994-03-22 1995-10-09 Emushiki Suiko Kenkyusho:Kk 植物床
FI104781B (fi) * 1997-05-28 2000-04-14 Kuitumyynti Vaajakoski Oy Kasvualusta
JP3044006U (ja) 1997-06-02 1997-12-12 銘煌 林 Cd保護カバー
JP3913421B2 (ja) 1998-10-27 2007-05-09 三井化学株式会社 変性ポリオレフィン合成パルプ
AU1078400A (en) 1998-11-06 2000-05-29 M & M Laboratory Co., Ltd. Water-holding carriers for plants and water-holding materials for growing plants
JP2000157078A (ja) * 1998-11-24 2000-06-13 Toppan Printing Co Ltd 植物栽培基材
JP2000224934A (ja) * 1999-02-04 2000-08-15 Oji Packaging Systems Co Ltd 水耕栽培用マット
JP2001275503A (ja) * 2000-03-31 2001-10-09 Kanai Hiroaki 人工培地用不織布及び人工培地
CN2613140Y (zh) * 2003-04-03 2004-04-28 顾岩 植物培养基质
WO2004098270A1 (en) * 2003-05-01 2004-11-18 Bki Holding Corporation Improved hydroponic growth medium
JP2004350655A (ja) * 2003-05-30 2004-12-16 Sanwa Norin Kk 植物栽培装置
JP2007077519A (ja) 2005-09-13 2007-03-29 Mitsui Chemicals Inc 抗菌性の繊維の集合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JP2008199899A (ja) * 2007-02-16 2008-09-04 Anix Plants Works Ltd 人工培土およびこれを用いた植物栽培方法
JP2010094101A (ja) * 2008-10-20 2010-04-30 Green Com:Kk 簡易型水耕装置及び水耕栽培方法
WO2011033316A2 (en) * 2009-09-18 2011-03-24 Robin Oakey Uses of carpet
CN102210254B (zh) * 2011-03-22 2012-08-15 汪晓云 多功能的基质无土栽培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08938A1 (en) 1995-09-05 1997-03-13 Mukoyama Orchids Ltd. Support for plant culture and method for plant growth
JP3044006B2 (ja) 1996-09-30 2000-05-22 ハイトカルチャ株式会社 栽培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45895A (ja) 1999-08-11 2001-02-20 Phytoculture Control Co Ltd 栽培装置
JP2006217874A (ja) 2005-02-10 2006-08-24 Taniguchi Sangyo Kk マルチ栽培用シート
JP2009153398A (ja) 2007-12-25 2009-07-16 Nidaiki Kk 農業用シート、そのシートを使用した農作物の栽培・管理方法及び栽培した農作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99788A1 (en) 2017-04-13
IL235009A0 (en) 2014-12-31
KR20140145156A (ko) 2014-12-22
CN104219948A (zh) 2014-12-17
AU2016206372A1 (en) 2016-08-11
AU2013247832B2 (en) 2016-06-30
WO2013154053A1 (ja) 2013-10-17
IL235009B (en) 2019-09-26
EP2837282A1 (en) 2015-02-18
JPWO2013154053A1 (ja) 2015-12-17
KR20190139879A (ko) 2019-12-18
AU2013247832A1 (en) 2014-11-06
KR20200128764A (ko) 2020-11-16
EP2837282A4 (en) 2015-11-25
TW201350014A (zh) 2013-12-16
TWI576042B (zh) 2017-04-01
JP2016182147A (ja) 2016-10-20
CN104219948B (zh) 2017-12-19
HK1206195A1 (en) 2016-01-08
US20150080492A1 (en) 2015-03-19
CN107079797A (zh) 2017-08-22
US9615519B2 (en) 2017-04-11
KR20160113731A (ko) 2016-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6510B2 (ja) 植物栽培システムとそれを利用した栽培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88757A (ko) 식물 재배용 소재 및 그것을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CN104114020B (zh) 植物生长系统以及采用所述系统的方法
RU2529173C2 (ru) Упаковка с порцией удобрения и пестицида
JP2007053920A (ja) 育苗マット及びそれを用いる育苗・植栽方法
KR20140075159A (ko) 적층형 식물재배장치
JPH02255013A (ja) ビート育苗用培地
KR100292360B1 (ko) 원예용 배지셀
JPH09308386A (ja) 育苗用成形培地封入紙筒及び植物育苗方法
JP2021052722A (ja) 植物栽培用液体の誘導部材、植物栽培システム及び植物栽培方法
JP2991926B2 (ja) 植物育成キット
KR100332446B1 (ko) 식물육성 묘판을 사용하는 식물의 육성 방법
JP3043872U (ja) 植物栽培装置
JP2021097607A (ja) 植物栽培チューブ用ボビンおよびチューブ状植物栽培用システムキ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344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1018

Effective date: 20200923